KR20220123520A -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3520A
KR20220123520A KR1020227024666A KR20227024666A KR20220123520A KR 20220123520 A KR20220123520 A KR 20220123520A KR 1020227024666 A KR1020227024666 A KR 1020227024666A KR 20227024666 A KR20227024666 A KR 20227024666A KR 20220123520 A KR20220123520 A KR 20220123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mold
footwear
article
c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피르 벨랄리
롱타오 왕
헨리 송
Original Assignee
밴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밴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밴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23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6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6/00Machines for assembling soles or heels onto upp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3D25/00 - A43D83/00, e.g. by weld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09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alveolar or honeycomb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outsole or external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6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 B29D35/061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6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 B29D35/08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having multilayered parts
    • B29D35/081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having multilayered parts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0Producing footwear having preformed soles or heels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feeding or injecting plastics material between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2S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footwear article)을 제조하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몰드에 인접하게 수지를 배치하는 단계, 몰드에 인접하게 배치된 수지의 적어도 일부에 격자 구조를 배치하는 단계, 화형 갑피(lasted upper)를 사용하여 몰드를 덮는 단계, 발포체가 화형 갑피와 격자 구조를 함께 결합시키게 작용하도록 덮인 몰드 안에 발포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신발류 구성요소(footwear component)는, 손이나 기계에 의한 박음질, 접착제, 가황, 및 사출 성형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여러 잘 알려진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방법은 내구성과 제조 비용을 포함하여 신발류의 여러 측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렇지만 개선이 필요하다.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몰드에 인접하게 재료(예를 들어, 미경화 수지, 경화 수지, 가황 고무 등)를 배치하는 단계, 몰드에 인접하게 배치된 재료(예를 들어, 미경화 수지, 경화 수지, 고무 밑창 등)의 적어도 일부에 격자 구조를 배치하는 단계, 화형 갑피(lasted upper)를 사용하여 몰드를 덮는 단계, 발포체가 화형 갑피와 격자 구조를 함께 결합시키게 작용하도록 덮인 몰드 안에 발포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밑창이 전혀 없는 경우를 포함해서, 다른 공정과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를 수행할 필요는 없다.
3D 프린팅과 같은 적층 제조 방법(additive manufacturing method)은 신발류 제조업체가 사람의 해부학과 활동에 맞춤화되는 풋베드(footbed) 및 심지어 중창과 같은 신발류 구성요소를 만들어 낼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맞춤형 구성요소(custom component)는 제거될 수 없는 경우에는 여전히 신발류 갑피에 붙어 있어야만 해서 개방된 격자 구조에 부스러기와 작은 물체를 쉽게 모으게 되어서 한정된 내구성과 내마모성을 제공한다는 것이 난제이다. 본 개시내용은 발포체 내에 구성요소(예를 들어, 맞춤화된 구성요소)를 봉입하고 주입된 발포체를 갑피와 밑창 사이의 결합제로 사용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하나 이상의 과제를 처리할 수 있다. 추가 예로서, 이것은 맞춤화된 핏(customized fit)을 제공하면서 제조 공정의 하나 이상의 부분의 자동화를 허용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신발류와 관련된 암형 몰드에 제1 수지(예를 들어, 경화 또는 미경화 수지) 또는 가황 고무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지 또는 고무는 신발류 물품의 밑창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예시적인 방법은 밑창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몰드를 덮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지가 미경화된 경우, 예시적인 방법은 제1 수지를 경화시켜 몰드에 경화된 제1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몰드 내의 경화된 제1 수지의 적어도 일부 위에 제2 수지(예를 들어, 경화 또는 미경화 수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몰드 내의 경화된 제1 수지 위에 배치된 제2 수지의 적어도 일부에 격자 구조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화형 갑피를 사용하여 몰드를 덮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발포체가 화형 갑피와 격자 구조를 함께 결합시키게 작용하도록 덮인 몰드 안에 발포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덮인 몰드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몰드에 미경화된 제1 수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미경화 수지가 언급되지만, 경화 수지, 가황 고무, 또는 기타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지 또는 고무 성분을 포함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예시적인 방법은 제1 수지(미경화된 경우)를 경화시켜 경화된 제1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몰드 내의 경화된 제1 수지의 적어도 일부 위에 제2 수지(예를 들어, 경화 또는 미경화 수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몰드 내의 경화된 제1 수지 위에 배치된 제2 수지의 적어도 일부에 격자 구조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화형 갑피를 사용하여 몰드를 덮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발포체가 화형 갑피와 격자 구조를 함께 결합시키게 작용하도록 덮인 몰드 안에 발포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의 도면은,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에서 논의된 다양한 예들을 보여준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신발류 물품을 도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몰드를 도시한다.
도 2b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도 2a의 예시적인 몰드의 덮이기 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c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도 2a의 예시적인 몰드의 덮여 있을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d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도 2a의 예시적인 몰드의 덮여 있을 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몰드와 격자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도 3a의 몰드와 격자의 사시도를 몰드 내에 격자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시한다.
도 4a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몰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도 4a의 예시적인 몰드의 덮여 있을 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c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도 4a의 예시적인 몰드로부터 형성된 예시적인 신발류 물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지금까지, 3D 프린팅과 같은 적층 제조 방법은 신발류 제조업체가 사람의 해부학과 활동에 맞춤화되는 풋베드 및 중창과 같은 신발류 구성요소를 만들어낼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맞춤형 구성요소는 제거될 수 없는 경우에는 여전히 신발류 갑피에 붙어 있어야만 해서 개방된 격자 구조에 부스러기와 작은 물체를 쉽게 모으게 되어서 한정된 내구성과 내마모성을 제공한다는 것이 난제이다. 본 개시내용의 물품과 방법은 발포체 내에 맞춤화된 구성요소를 봉입하고 주입된 발포체를 갑피와 밑창 사이의 결합제로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과제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신발류와 관련된 암형 몰드에 제1 수지(예를 들어, 경화 또는 미경화 수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지는 투명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몰드를 덮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또한 제1 수지(미경화된 경우)를 경화시켜 몰드에 경화된 제1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화 수지는 신발류 물품의 밑창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고무 또는 가황 고무와 같은 다른 재료가 수지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신발류 물품은 밑창 구성요소로서 수지 또는 고무 재료를 포함하지 않고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몰드 내의 경화된 제1 수지의 적어도 일부 위에 제2 수지(예를 들어, 경화 또는 미경화 수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지는 투명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몰드 내의 경화된 제1 수지 위에 배치된 제2 수지의 적어도 일부에 격자 구조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격자 구조는 적층 제조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제2 수지는 제1 수지가 있거나 없이 몰드 내에 또는 몰드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제2 수지"라는 용어는 특정 예에서 예시적인 것이고, 다수의 수지 층을 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예시적인 방법은 화형 갑피를 사용하여 몰드를 덮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형 갑피를 사용하여 몰드를 덮는 단계는 일체형 갑피를 포함하는 몰드 구성요소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갑피는 편직 갑피(knit upp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발포체가 화형 갑피와 격자 구조를 함께 결합시키게 작용하도록 덮인 몰드 안에 발포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발포체는 신발류 물품에서 기부 완충층(base cushion layer)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덮인 몰드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은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된 신발류 물품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된 신발류 물품은 하나 이상의 부분(예를 들어, 신발류 하위 구성요소)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신발류 물품은 갑피, 중창, 밑창 및 기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는 착용자의 발에 맞는 신발류 물품의 외부 최상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는 신발류 물품의 외부 부분을 형성하는 데 적합한 편직 재료, 직물, 또는 가죽과 같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중창은 갑피와 밑창 사이의 신발류 물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중창은 착용자의 발에 완충 작용을 하고 신발류 물품을 안정화하는 데 적합한 발포체, 캡슐화된 공기(encapsulated air), 젤,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은 그 부분들 중 하나 이상의 부분에 하나 이상의 격자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중창은 하나 이상의 격자 구조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격자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격자 구조는 플라스틱 또는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격자 구조는 복수의 상호 연결된 스트럿(interconnected strut)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격자 구조는 적층 제조법을 사용하여 형성된 실질적으로 평면인 3차원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밑창은 지면과 접촉하는 신발류 물품의 바닥부(bottom)를 포함할 수 있다. 밑창은 신발류 물품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데 적합한 플라스틱 또는 다른 내구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100)은 갑피(101), 중창(102), 및 밑창(103)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101)는 편직 갑피(knitted upper)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재료 또는 구성일 수 있다. 중창(102)은 갑피(101)와 밑창(103) 사이의 영역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중창(102)은 발포 재료(예를 들어, 고무) 또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중창(102)은 편안함을 제공하면서 착용자를 지지하기 위해 신발류 물품(100)에 기능적 완충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밑창(103)은 중창(10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밑창(103)은 지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예로서, 밑창(103)은 중창(102)의 일부를 보호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0)은 안창(insole) 또는 장벽 층(barrier layer)과 같은 다른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중창(102) 또는 밑창(103)과 같은 신발류 물품(100)의 부분은 사출 성형, 수지 주조, 및 기타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0)의 부분은 하나 이상의 몰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몰드는 둘 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몰드는 수형 부분과 암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수형 부분은 암형 부분 위에 덮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몰드의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몰드는 유연성이 있을 수 있고, 고무, 실리콘, 또는 수지 주조에 적합한 기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몰드는 얕은 중공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몰드는 갑피 또는 밑창과 같은 신발류 물품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일체형일 수 있거나, 신발류 물품의 일부와 통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일체형 갑피를 갖는 몰드). 몰드는 화형 갑피, 편직 갑피, 또는 밑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몰드(104)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104)는 암형 부분(105)과 수형 부분(106)을 포함할 수 있다. 부분(105, 106) 중 하나 이상은 인간의 발의 일반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암형 부분(105)은 바닥부 유닛(bottom unit)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수형 부분(106)은 바닥부 유닛과 협력하여 공동을 봉입하도록 구성된 상단 유닛(top unit)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암형 부분(105)은 하나 이상의 벽(105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될 수 있는 공동(105a)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벽(105b)은 바닥부(105c)의 주연부 주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닥부(105c)는 일반적으로 평면일 수 있지만, 다른 형상과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바닥부(105c)는 그 안에 형성된 텍스처 또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암형 부분(105)은 재료가 벽(105b)을 통해 공동(105a) 안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멍(aperture)(107) 또는 관통 구멍(through-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수형 부분(106)은 하나 이상의 벽(106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될 수 있는 공동(106a)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벽(106b)은 바닥부(106c)의 주연부 주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닥부(106c)은 일반적으로 평면일 수 있지만, 다른 형상과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바닥부(105c)는 그 안에 형성된 텍스처 또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수형 부분(106)의 형상은 부분이나 단편을 성형하기 위해 암형 몰드(105)(예를 들어, 공동(105a))의 형상과 정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몰드(104) 또는 몰드(104)의 구성요소는 고무 또는 유사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신발류 물품의 형상과 일치할 수 있다. 수형 부분(106)은 신발류 물품(100)(도 1)과 같은 신발류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의 일부로서 몰드(104)의 암형 부분(105) 위에 덮일 수 있다.
도 2b는 덮이기 전에 도 2a의 몰드(104)의 암형 부분(105)과 수형 부분(106)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c는 덮여 있을 때 암형 및 수형 부분(105, 106)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몰드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몰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몰드 재료 및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수지는 신발류 물품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몰드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수지는 경화 공정을 통해 경질 중합체(rigid polymer)로 변환되는 점성 물질일 수 있다. 수지는 투명하고, 실질적으로 투명하고, 불투명하고, 실질적으로 불투명하고, 대체로 유연성이 있을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수지의 유형은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에폭시,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적합한 성형 또는 주조용 수지도 또한 고려된다. 수지는 유기 또는 합성일 수 있다. 수지는 신발류 물품의 부분에 추가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가소제, 섬유, 착색제 및 난연제와 같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지는 임의의 적절한 공정(예를 들어, 시간, 열, 방사, 전자빔, 첨가제 등)을 사용하여 경화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수지가 부분적으로 경화될 수 있어서, 추가 수지(예를 들어, 제2 수지, 제3 수지)를 적용하면 인접한 수지 층과 화학적으로 결합될 것이다. 몰드의 부분에 배치된 수지에는 제조 공정의 일부로서 주조되어 응고될 시간이 주어질 수 있다. 하나 또는 많은 다양한 유형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수지는 몰드의 일부에 배치되어 경화될 수 있고, 제2 수지는 제1 경화 수지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수지는 또한 다양한 기능성을 이루려고 하는 어떤 다른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신발류 물품의 여러 부분에서 다양한 특성을 이루기 위해 추가 수지가 연속적으로 첨가되어 경화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제1 수지(108)(예를 들어, 경화 또는 미경화 수지)는 몰드(104)의 암형 부분(105)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지(108)는 투명하고 유연성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가황 고무와 같은 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이러한 제1 수지(108)는 포함되지 않는다. 제1 미경화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 제1 수지(108)는 경화되어 몰드(104)의 암형 부분(105)에 경화된 제1 수지(108)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104)의 수형 부분(106)은 암형 부분(105) 위에 덮여서 수지를 원하는 형상과 텍스처로 성형할 수 있다. 그 다음, 몰드가 분리되어 특정한 형태의 경화된 성형 수지를 남길 수 있다. 이 형태는 신발류의 물품(예를 들어, 신발류 물품(100)(도 1))의 밑창의 적어도 일부를 한정할 수 있다. 제2 수지(109)(예를 들어, 경화 또는 미경화 수지)는, 예를 들어, 몰드(104)에서 경화된 제1 수지(108)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라는 용어가 한 예로 사용되지만, 제2 수지(109)는 다른 수지가 있거나 없이 몰드(104) 내에 또는 몰드(10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추가 예로서, 제2 수지가 또 다른 층을 제공하도록, 제2 수지(109)는 성형되어 경화된 제1 수지(108)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수지(109)가 미경화된 경우, 격자 구조(격자 구조(307)(도 3a 및 도 3b))와 같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제2 수지(109)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는 신발류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격자 구조(307)를 도시한다. 격자 구조(307)는 신발류의 물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격자 구조(307)는 몰드(104)의 암형 부분(105)의 공동(105a)에 기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격자 구조(307)는 복수의 구멍을 한정하기 위해 상호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트럿을 포함할 수 있다. 격자 구조(307)는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신발류 물품 일부의 특정한 형태를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3b는 몰드(104) 내에 배치되어 있을 때 격자 구조(307)를 도시한다. 격자 구조(307)는 임의의 형상 또는 특징을 가질 수 있고, 특정한 착용자 또는 착용자의 특징에 대해 맞춤화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404)는 이와 통합된 신발류 물품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몰드(404)는 수형 부분(406)을 포함할 수 있다. 수형 부분(406)은 암형 부분(105)과 같은 암형 부분과 정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부분(406)은 화형 편직 갑피(lasted knitted upper)(401)를 포함할 수 있고, 암형 부분(105)은 제1 및 제2 수지(108, 109)와 격자 구조(30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404)는 화형 편직 갑피(401)와 같은 신발류 물품의 다른 부분에 격자 구조(307)를 결합시키기 위해 덮일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404)가 덮인 후, 재료가 신발류 물품의 둘 이상의 부분을 함께 결합시키게 작용하도록 덮인 몰드(404)의 적어도 일부 안에 재료가 주입될 수 있다. 재료는 발포 고무와 같은 발포체일 수 있다. 재료는 몰드(404)에 형성된 구멍(예를 들어, 구멍(107)(도 2a 및 도 2b))을 통해 주입될 수 있다. 발포체는 폴리우레탄 또는 다른 유형의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는 몰드(404)의 공동 안으로 흐를 수 있고, 격자 구조(307)의 구멍을 통해 흐를 수 있다. 재료는 갑피(401)를 격자 구조(307)와 결합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어서, 갑피(401)를 경화 수지(미도시)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몰드(404)가 분리되어 신발류 물품(100)(도 1)과 같은 신발류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주입된 재료는 신발류 물품(100)의 기부 완충층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암형 부분과 수형 부분을 포함하는 몰드가 제조된다. 단계 501에서, 제1 수지가 몰드의 암형 부분 안에 배치되어 제1 층을 형성한다. 가황 고무와 같은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단계 502에서, 몰드가 덮인다. 단계 503에서, 수형 부분이 분리되어 몰드를 개방한다. 제1 층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추가 단계는 제1 층을 포함하지 않고 구현될 수 있다. 단계 504에서, 제2 수지가 암형 몰드 안에 배치되어 수지의 제2 층을 형성하고, 여기서 제1 층은 경화되고 제2 층은 미경화된다. 단계 505에서, 3D 격자 구조가 수지의 제2 미경화 층 위에 배치된다. 단계 506에서, 몰드는 몰드의 화형 갑피 수형 부분으로 덮인다. 단계 507에서, 재료(예를 들어, 발포체)가 몰드 안에 주입된다. 그 후, 몰드가 분리되어 신발류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신발류 물품(footwear article)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신발류와 관련된 몰드의 암형 몰드 부분에 제1 수지를 배치하는 단계;
    수형 몰드 부분을 사용하여 상기 몰드를 덮는 단계;
    상기 암형 몰드 부분 내의 경화된 제1 수지의 적어도 일부 위에 미경화된 제2 수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암형 몰드 부분 내의 상기 제1 수지 위에 배치된 상기 미경화된 제2 수지의 적어도 일부에 격자 구조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몰드를 다시 덮는 단계;
    발포체가 화형 갑피(lasted upper)와 상기 격자 구조를 함께 결합시키게 작용하도록 상기 몰드 안에 발포체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몰드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 또는 상기 제2 수지 중 하나 이상은 투명한 수지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는 신발류 물품에서 기부 완충층(base cushion layer)으로 작용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는 미경화된,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를 경화시켜 상기 암형 몰드 부분에 경화된 제1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몰드 부분은 화형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형 갑피는 일체형 갑피인,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를 분리하는 단계는 신발류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구조는 복수의 구멍(aperture)을 획정하도록 상호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트럿(strut)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10.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몰드에 미경화된 제1 수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지를 경화시켜 경화된 제1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몰드 내의 상기 경화된 제1 수지의 적어도 일부 위에 미경화된 제2 수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몰드 내의 상기 경화된 제1 수지 위에 배치된 상기 미경화된 제2 수지의 적어도 일부에 격자 구조를 배치하는 단계;
    화형 갑피를 사용하여 상기 몰드를 덮는 단계;
    발포체가 상기 화형 갑피와 상기 격자 구조를 함께 결합시키게 작용하도록 상기 덮인 몰드 안에 발포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는 투명한 수지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구조는 적층 제조법(additive manufacturing)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형 갑피는 편직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형 갑피를 사용하여 상기 몰드를 덮는 단계는 일체형 갑피를 포함하는 몰드 구성요소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는 신발류 물품에서 기부 완충층으로서 작용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27024666A 2019-12-16 2020-12-14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KR202201235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48508P 2019-12-16 2019-12-16
US62/948,508 2019-12-16
PCT/US2020/064902 WO2021126781A1 (en) 2019-12-16 2020-12-14 Footwear articles and methods for preparing a footwear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520A true KR20220123520A (ko) 2022-09-07

Family

ID=74175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666A KR20220123520A (ko) 2019-12-16 2020-12-14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363855B2 (ko)
EP (1) EP4076085A1 (ko)
JP (1) JP2023507978A (ko)
KR (1) KR20220123520A (ko)
CN (1) CN115087375A (ko)
AU (1) AU2020405285A1 (ko)
CA (1) CA3162193A1 (ko)
MX (1) MX2022007563A (ko)
WO (1) WO20211267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507978A (ja) * 2019-12-16 2023-02-28 ヴァ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履物物品および履物物品の準備方法
US20230091259A1 (en) * 2021-09-23 2023-03-23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Additively manufactured valve seats and seals including a metal-thermoplastic composit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5406A (en) * 1979-05-03 1981-01-20 Brookfield Athletic Shoe Company, Inc. Athletic shoe
US5174049A (en) * 1989-06-12 1992-12-29 Tretorn Ab Shoe soles having a honeycomb insert and shoes, particularly athletic or rehabilitative shoes, utilizing same
IT1254118B (it) * 1991-08-06 1995-09-08 Pro Tec S R L Stampo e metoco per la produzione di suole in materiale plastico iniettato, comprendenti una zona vuota visibile attraverso un materiale trasparente
JP3041888U (ja) * 1997-03-27 1997-10-03 維聰 王 靴の射出成形ミッドソール
US20070063368A1 (en) * 2004-02-23 2007-03-22 Nike, Inc. Fluid-filled bladder incorporating a foam tensile member
RU2560301C2 (ru) * 2010-09-03 2015-08-20 В.Л. Гор Унд Ассошиэйтс Гмбх Предмет обуви, скомпонованный блок подошвы для предмета обув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компонованного блока подошвы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едмета обуви
US20150165690A1 (en) 2012-07-18 2015-06-18 Adam P. Tow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of multi-property anatomically customized devices
US10499706B2 (en) * 2013-03-22 2019-12-10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Molded footwear up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0159306B2 (en) 2013-10-10 2018-12-25 Asics Corporation Shoe sole
JP5968552B2 (ja) 2013-10-21 2016-08-10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側面の緩衝構造 並びにこれを適用したシューズ
US9468258B2 (en) * 2014-03-14 2016-10-18 Wolverine Outdoors, Inc. Footwear including combination lasting construction
DE102014216859B4 (de) * 2014-08-25 2022-06-02 Adidas Ag Metallene, additiv hergestellte Schuhwarenkomponenten für sportliche Leistungen
EP3212402B1 (en) * 2014-10-31 2022-06-29 Rsprint N.V. Insole design
KR102209426B1 (ko) * 2014-11-05 2021-01-29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부분 몰드를 사용하는 발포체 제조 방법
DE102015212099B4 (de) * 2015-06-29 2022-01-27 Adidas Ag Sohlen für Sportschuhe
KR20170061563A (ko) * 2015-11-26 2017-06-05 김광호 신축성 섬유 원단이나 일정한 두께 발포시트 또는 신축성 없는 섬유 원단 또는 격자형 절개선 홈을 이용하여 압공성형이나 진공성형으로 깔창을 제조하는 방법.
US20170239903A1 (en) * 2016-02-24 2017-08-24 Nike, Inc. Adaptable cast elastomer outsole tooling
EP4371753A2 (en) * 2016-05-16 2024-05-22 adidas AG Patterned three-dimensionallly molded footwea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6496460B2 (ja) * 2016-12-28 2019-04-03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アウトソール、及び、靴
KR101916561B1 (ko) * 2017-01-04 2018-11-07 정종오 다중 성형 신발 미드솔 및 그 제조방법과 금형장치
US10932521B2 (en) * 2017-03-27 2021-03-02 Adidas Ag Footwear midsole with warped lattic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575588B2 (en) * 2017-03-27 2020-03-03 Adidas Ag Footwear midsole with warped lattic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547176B2 (en) * 2018-05-30 2023-01-10 Nike, Inc. Direct bottomed article of footwear with an insert
WO2021089767A1 (en) * 2019-11-08 2021-05-14 Huntsman International Llc 3d printed customised cupsoles
JP2023507978A (ja) * 2019-12-16 2023-02-28 ヴァ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履物物品および履物物品の準備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7978A (ja) 2023-02-28
US20220142306A1 (en) 2022-05-12
EP4076085A1 (en) 2022-10-26
CN115087375A (zh) 2022-09-20
US11363855B2 (en) 2022-06-21
AU2020405285A1 (en) 2022-07-21
US20210177104A1 (en) 2021-06-17
CA3162193A1 (en) 2021-06-24
WO2021126781A1 (en) 2021-06-24
MX2022007563A (es)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6114B2 (en) Polyurethane injected boot assembly and associated manufacturing method
CN104703497B (zh) 鞋底板组件和制造方法
US20050217148A1 (en) Footwear with improved sole, improved so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RPI0621717A2 (pt) elemento permeável a vapor ser usado na composição de solas para calçados, sola para calçados e calçado
US20220142306A1 (en) Footwear articles and methods for preparing a footwear article
CN105795586B (zh) 具有位于鞋跟构件内的垫片的鞋
EP3598911B1 (en) Footwear with padding and midsole structures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13382653A (zh) 鞋子以及鞋子的制造方法
KR101767884B1 (ko)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KR101368380B1 (ko) 발바닥 지지체 제조방법과 발바닥 지지체
JPH0638804A (ja) 靴の表底の成形法
US8845939B1 (en) Foam product with an insert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ES2400617T3 (es) Plantilla, suela, corte, zapato y métodos de fabricación de los mismos
JP5312962B2 (ja) 釣り用履き物
JP2022510149A (ja) セーフティフットウェア用アウトソール、及びそのようなアウトソールの製造方法
CN117460438A (zh) 用于制造具有针织鞋面的鞋的结构和程序
WO2003051614A2 (en) A mould
TW201838534A (zh) 一片式立體鞋基材的製造方法
KR19980028022A (ko) 신발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제작되는 신발
KR20150123630A (ko) 발뒷꿈치용 키높이 보조대
TH71931A (th) วิธีการผลิตผลิตภัณฑ์จำพวกรองเท้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