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388A - 조립식 신발 - Google Patents

조립식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388A
KR20190093388A KR1020180012970A KR20180012970A KR20190093388A KR 20190093388 A KR20190093388 A KR 20190093388A KR 1020180012970 A KR1020180012970 A KR 1020180012970A KR 20180012970 A KR20180012970 A KR 20180012970A KR 20190093388 A KR20190093388 A KR 20190093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hoes
prefabricated
discharge passag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165B1 (ko
Inventor
정상옥
박성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Priority to KR1020180012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165B1/ko
Priority to JP2019518946A priority patent/JP7004705B2/ja
Priority to PCT/KR2019/001410 priority patent/WO2019151816A1/ko
Publication of KR20190093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8Arrangements for attaching removable insoles to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expelled to the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up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가능한 이너(Inner) 슈즈와 아우터(Outer) 슈즈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서, 이너 슈즈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습기를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은 이너 슈즈와 아우터 슈즈를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통기성 통로를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 결과 발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열기를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 {DUAL TYPE ASSEMBLY SHOES FOR IMPROVEMENT OF AIR-PERMEABILITY}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가능한 이너(Inner) 슈즈와 아우터(Outer) 슈즈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서, 이너 슈즈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습기를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이족 보행을 하면서 발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어 온 신발은 과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소재가 개발되면서 오늘날에는 가정용, 보행용, 산악용, 신체 교정용, 특수 운동용 등 다양한 활동에 적합하도록 여러 가지 신발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신발은 이를 착용하는 사람의 발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의 편의성을 추구하도록 만들어진다.
이 때, 신발 내에 삽입되는 발은 사람의 전체 땀 구멍의 약 20%를 차지하는 50만개 정도의 땀샘 분포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마를 제외하고 땀을 가장 많이 분비하는 부위이다. 이에 따라,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을 하는 경우에는 평소 때보다 약 12 배까지 많은 땀을 분비하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고 착용의 편의성을 추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통기성을 확보하지 않으면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로 인해 신발에 땀이 차고 발 냄새도 발생하게 된다. 결국 신발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나 땀을 효과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표면이 노출되는 외피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에어홀을 형성함으로써, 깔창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등록실용신안 제 20-0192510 호 (공기배출신발), 공개특허공보 제 10-2000-0035118 호(공기호스가 설치된 신발 깔창), 및 등록특허공보 제 10-0470751 호 (외부와의 공기순환이 가능한 신발)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신발 바닥이나 신발의 측면을 통해서 통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면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에는 신발 내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장화와 같이 방수 기능이 요구되는 신발에 매우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발등과 발목 부분을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내피와 외피에 각각 통공이 형성된 이중 구조의 신발을 제시한 바가 있다. 이는 등록특허공보 제 10-1737910 호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와 등록특허공보 제 10-1711881 호 (설포 통기성 신발), 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122645 호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을 통해 공개되었으며,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 10-1767884 호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에서는 이러한 신발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 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외피와 내피 사이에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이중 구조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신발의 설계에서부터 제조까지 공기 배출을 위한 이중 구조를 고려해서 진행하여야 하는 어려운 점이 있으며, 열기와 땀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 한계를 가지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 20-0192510호 (2000.08.16) 공개특허공보 제 10-2000-0035118호 (20001.10.05) 등록특허공보 제 10-0470751호 (2005.03.08) 등록특허공보 제 10-1737910 호 (2017.05.19) 등록특허공보 제 10-1711881 호 (2017.03.13) 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122645 호 (2017.11.06) 등록특허공보 제 10-1767884 호 (2017.08.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발을 분리가능한 이너(Inner) 슈즈와 아우터(Outer) 슈즈의 이중 구조로 구성하고, 이너 슈즈와 아우터 슈즈 사이에 통기성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발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열기를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은 사용자의 발에 착용가능한 이너 슈즈와, 상기 이너 슈즈를 내부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아우터 슈즈를 포함하되, 상기 이너 슈즈는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열기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신발은 상기 이너 슈즈가 상이 아우터 슈즈의 내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이너 슈즈와 상기 아우터 슈즈 사이에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일정 공간의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슈즈 및 상기 아우터 슈즈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합성 수지, 가죽, 및 직물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기 배출구는 사용자의 발등 부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슈즈는 상기 이너 슈즈와의 사이에 공기 배출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배출 통로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 통로용 부재는 전방 외측 표면에 발등 부분에서부터 탑 라인까지 이어지는 돌출 형상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 통로용 부재는 전방 내측 표면에 발등 부분에서부터 탑 라인까지 이어지는 돌출 형상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슈즈는 상기 아우터 슈즈와의 사이에 공기 배출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배출 통로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 통로용 부재는 전방 외측 표면에 발등 부분에서부터 탑 라인까지 이어지는 돌출 형상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슈즈는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하여, 바닥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홈은 임의의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슈즈는 바닥면이 상기 아우터 슈즈의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외측 바닥면에 복수의 바닥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슈즈는 내부 바닥면이 상기 이너 슈즈의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내부 바닥면에 복수의 바닥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은 상기 이너 슈즈의 외부 바닥면과, 상기 아우터 슈즈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는 배기용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용 펌프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압착되는 신축성 압착부와, 상기 신축성 압축부를 에워싸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 흡입구가 일측에 형성된 펌프 외피와, 상기 펌프 외피에서 연장되어 압착 과정에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은 상기 이너 슈즈의 발가락 외측면과 상기 아우터 슈즈의 발가락 내측면 사이에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은 사용자의 발에 착용가능한 이너 슈즈; 및 상기 이너 슈즈를 내부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아우터 슈즈를 포함하되, 상기 이너 슈즈는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하여, 바닥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슈즈는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열기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은 이너 슈즈와 아우터 슈즈를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통기성 통로를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 결과 발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열기를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이너 슈즈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이너 슈즈가 아우터 슈즈 내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열기 배출구가 구비된 이너 슈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열기 배출구가 구비된 이너 슈즈를 아우터 슈즈에 결합한 상태에서 열기가 배출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배출 통로용 부재가 외부로 돌출된 구조의 구비된 아우터 슈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배출 통로용 부재가 구비된 아우터 슈즈에 이너 슈즈를 결합한 경우의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배출 통로용 부재가 구비된 아우터 슈즈에 이너 슈즈를 결합한 경우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배출 통로용 부재가 내부로 돌출된 구조의 아우터 슈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배출 통로용 부재가 구비된 아우터 슈즈에 이너 슈즈가 결합된 경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배출 통로용 부재가 외측에 형성된 이너 슈즈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배출 통로용 부재가 구비된 이너 슈즈가 아우터 슈즈에 결합된 경우의 평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수분 배출구가 구비된 이너 슈즈의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배출홈이 구비된 이너 슈즈를 아우터 슈즈에 결합한 경우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바닥 돌기가 구비된 이너 슈즈를 아우터 슈즈에 결합한 경우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바닥 돌기가 구비된 아우터 슈즈에 이너 슈즈가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아우터 슈즈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바닥 돌기가 격자 형태인 경우와 벌집 형태인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사용할 수 있는 배기요 펌프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15(a)는 상면도이고 도 15(b)는 하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배기용 펌프가 내부에 장착된 경우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이너 슈즈와 아우터 슈즈 사이에 보호 부재가 결합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한 성격,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그 밖의 다른 특정한 성격이나,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이너 슈즈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이너 슈즈가 아우터 슈즈 내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은 사용자의 발에 착용가능한 이너 슈즈(Inner Shoes, 100)와 상기 이너 슈즈(100)를 내부에 결합할 수 있는 아우터 슈즈(Outer Shoes, 2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을 구성하는 이너 슈즈(100)는 몸체(110)가 그 자체로 사용자의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신발의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운동이나 활동 과정에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열기 배출구(120),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닥 부분에 땀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는 수분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너 슈즈(100)를 구성하는 열기 배출구(120) 또는 수분 배출구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너 슈즈(100)의 몸체(110)는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 또는 합성 수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독성이고 내화학성이 뛰어나며 절연성이 우수한 폴리 에틸렌(PE), 내광성, 내약품성이 뛰어나고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비점착성이고 비유성 및 높은 절연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고무, 내한성 및 산이나 알칼리 성분에 강한 TPR(Thermoplastic Rubber), 내열성이 우수하고 저온에서도 유연성이 우수한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밖에, SEPS, SEEBS, SEEPS, EVA, TPU, PU, PS, PP, TPO, TPV 등의 고무나 발포 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 밖에,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두께의 가죽이나 고어텍스와 같은 직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이너 슈즈(100)의 몸체(110)는 아우터 슈즈(200)의 입구를 통해 내부에 삽입되고 끼워질 수 있도록 신축성이나 탄력성을 가지는 재질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우터 슈즈(200)는 사용자의 발에 착용하는 이너 슈즈(100)가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너 슈즈(100)는 발목의 직경, 또는 발가락에서부터 발 뒤꿈치까지 이어지는 표면적이 아우터 슈즈(200)보다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정 크기의 힘을 가함으로써 이너 슈즈(100)를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에 밀어 넣을 수 있다.
도 1b는 이와 같이, 이너 슈즈(100)가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에 삽입된 경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에 삽입된 이너 슈즈(100)는 신축성 또는 탄력성을 가지는 표면의 마찰력에 의해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표면 중 일부분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이너 슈즈(100)의 외부 표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표면은 일부 영역에서 밀착될 수 있지만, 다른 일부 영역은 일정한 정도로 이격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렇게 형성된 이격 공간은 신발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기나 땀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 통로(15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슈즈(100)가 아우터 슈즈(200)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운동이나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나 땀의 수분이 이너 슈즈(100)와 아우터 슈즈(200) 사이에 형성된 배출 통로(1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는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나 땀으로 인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이 때, 아우터 슈즈(200)는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나 땀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외부에 존재하는 물 등이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방수 효과가 요구되는 장화나 식당 조리화 또는 부츠와 같은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장화나 부츠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로부터의 방수 기능이 요구되는 모든 종류의 신발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아우터 슈즈(200)의 몸체를 구성하는 재질은 이너 슈즈(100)와 마찬가지로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 또는 합성 수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폴리 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열가소성 고무, TPR(Thermoplastic Rubber),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밖에, SEPS, SEEBS, SEEPS, EVA, TPU, PU, PS, PP, TPO, TPV 등의 고무나 발포 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 밖에, 이너 슈즈(100)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의 가죽이나 고어텍스와 같은 직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아우터 슈즈(200)는 이너 슈즈(100)가 내부에 삽입되고 끼워질 수 있도록 신축성이나 탄력성을 가지는 재질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은 이너 슈즈(100)와 아우터 슈즈(200)가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을 착용하여 작업을 완료한 이후에는 아우터 슈즈(200)로부터 이너 슈즈(100)를 분리함으로써 이너 슈즈(100)의 내부와 외부,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와 외부에 부착된 물기나 습기 등의 이물질을 세척하거나 청소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이너 슈즈(100)와 아우터 슈즈(2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열기 배출구가 구비된 이너 슈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a는 사용자의 발등 부분에 원형의 단일 통기공으로 열기 배출구(120)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운동이나 활동 과정에서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가벼운 기체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발의 위쪽 방향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열기 배출구(120)는 위쪽 방향으로 향할 수 있는 발등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열기 배출구(120)를 너무 크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너 슈즈(100)가 아우터 슈즈(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열기 배출구(120)에 위치한 발등 부분이 아우터 슈즈(200) 내부 표면과 마찰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b는 사용자의 발등 부분에 다수의 작은 통기공(121)을 형성함으로써, 열기 배출구(120)를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와 같이, 다수개의 작은 통기공(121)을 이용하여 열기 배출구(12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전체 개방 면적이 도 2a보다 작을 수 있지만 열기 배출구(120)를 통해 사용자의 발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표면과 발등 사이에 마찰이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들어 사용자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열기 배출구가 구비된 이너 슈즈를 아우터 슈즈에 결합한 상태에서 열기가 배출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열기 배출구(120)가 형성된 이너 슈즈(100)가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에 결합된 경우, 사용자의 운동이나 활동 과정에서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이너 슈즈(100)의 열기 배출구(120)를 통해 이너 슈즈(100)과 아우터 슈즈(200)의 사이로 배출될 수 있다. 열기 배출구(12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등 부분에 형성되는 단일의 통기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수의 작은 통기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운동이나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할 때 따뜻한 온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발등 부분에 형성된 열기 배출구(120)는 발등 부분을 포함해서 발바닥이나 발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손쉽게 이너 슈즈(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너 슈즈(100)가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너 슈즈(100)의 표면 중 일부는 마찰력에 의해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표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이너 슈즈(100)와 아우터 슈즈(200) 사이에 접촉되는 면적은 이너 슈즈(100)와 아우터 슈즈(200)의 직경과 크기의 차이에 크게 좌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슈즈(100)의 발목 부분 직경과 아우터 슈즈(200)의 발목 부분 직경의 차이가 5 mm 이하인 경우에는 마찰력에 의한 인력으로 이너 슈즈(100)의 외부 표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표면이 상당 부분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슈즈(100)의 외부 표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표면 사이에 열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 통로(150)가 형성될 수 있을 만큼 이너 슈즈(100)와 아우터 슈즈(200)의 직경 및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 슈즈(100)의 외부 표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표면, 특히, 이너 슈즈(100)의 발등에서부터 발목을 잇는 외부 표면과 여기에 인접하는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표면 사이에 열기나 공기가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으로 배출 통로(150)가 형성되면, 이너 슈즈(100)의 열기 배출구(120)를 통해 나오는 열기가 배출 통로(150)를 통해 외부로 손쉽게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너 슈즈(100)의 열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된 열기 또는 수분 배출구(200)를 통해 배출된 수분이 기화하여 생성된 기체가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너 슈즈(100) 또는 아우터 슈즈(200)에 배출 통로용 부재를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배출 통로용 부재가 외부로 돌출된 구조의 아우터 슈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을 구성하는 아우터 슈즈(200)는 사용자의 발을 에워싸도록 구성되는 몸체(210)의 전방에 외측 방향으로 배출 통로용 부재(22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배출 통로용 부재(222)는 아우터 슈즈(200)의 발등 부분에서부터 신발의 최상부에 해당하는 탑 라인까지 이어지도록 일정 크기의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배출 통로용 부재(222)는 아우터 슈즈(200)의 표면을 따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발등 부분에서부터 탑 라인까지 일정한 폭의 두께를 가지면서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배출 통로용 부재(222)가 가지는 두께만큼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 통로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운동이나 활동에 의해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 또는 땀이나 수분으로 발생하는 습기가 배출 통로용 부재(222)에 의해 형성된 배출 통로를 통해 손쉽게 배출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배출 통로용 부재가 구비된 아우터 슈즈에 이너 슈즈를 결합한 경우의 단면도와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이너 슈즈(100)가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에 결합된 경우, 사용자의 운동이나 활동 과정에서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이너 슈즈(100)의 열기 배출구(120)를 통해 이너 슈즈(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아우터 슈즈(200)의 배출 통로용 부재(222)는 이너 슈즈(100)의 열기 배출구(120)와 인접한 부분에서부터 시작해서 탑 라인까지 전방을 향하여 일정 두께로 돌출된 형태로 위치한다. 따라서, 이너 슈즈(100)와 아우터 슈즈(200)의 사이에는 배출 통로용 부재(222)가 형성된 면적만큼 열기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며, 이너 슈즈(100)의 열기 배출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열기가 보다 효과적으로 조립식 신발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아우터 슈즈(200)의 탑 라인에서부터 발등부분까지 이어지는 배출 통로용 부재(222)는 이너 슈즈(100)와 접촉되는 부분에 열기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배출 통로용 부재(222)에 의하여 형성된 배출 통로는 사용자의 발등 부분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배출하는 경로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이너 슈즈(100)의 바닥면을 통해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에 고인 땀이나 수분이 기체로 기화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배출 통로용 부재(222)는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정도의 폭을 유지하되 사용자의 활동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정도, 예를 들어 2 cm 이하의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배출 통로용 부재가 내부로 돌출된 구조의 아우터 슈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을 구성하는 아우터 슈즈(200)는 사용자의 발을 에워싸도록 구성되는 몸체(210)의 전방에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출 통로용 부재(224)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배출 통로용 부재(224)는 아우터 슈즈(200)의 발등 부분에서부터 신발의 탑 라인까지 일정한 두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배출 통로용 부재(224)는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표면과 이너 슈즈(100)의 외부 표면을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시키게 되고, 그 결과 아우터 슈즈(200)와 이너 슈즈(100) 사이에 열기나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배출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배출 통로용 부재(224)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둘 이상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배출 통로용 부재가 구비된 아우터 슈즈에 이너 슈즈가 결합된 경우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아우터 슈즈(200)의 탑 라인에서부터 발등 부분까지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배출 통로용 부재(224)는 이너 슈즈(100)와 접촉되는 부분에 열기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배출 통로용 부재(224)가 두 개의 라인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아우터 슈즈(200)의 내면에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배출 통로용 부재(224)가 형성된 경우, 배출 통로용 부재(224)에 의해 아우터 슈즈(200)의 내면과 이너 슈즈(100)의 외면이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두 개의 배출 통로용 부재(224)의 사이 및 배출 통로용 부재(224)와 인접한 부분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어 열기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이렇게 형성된 배출 통로를 통하여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에 고인 땀이나 수분에서 기화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이 때,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배출 통로용 부재(224)의 두께는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정도의 폭을 유지하되 사용자가 그 두께로 인하여 활동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정도, 예를 들어 2 cm 이하의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한편, 아우터 슈즈(200)와 이너 슈즈(100) 사이에 배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배출 통로용 부재는 이너 슈즈(100)의 외측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배출 통로용 부재가 외측에 형성된 이너 슈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을 구성하는 이너 슈즈(100)는 사용자의 발을 에워싸도록 구성되는 몸체(210)의 전방에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출 통로용 부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슈즈(100)의 외부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배출 통로용 부재(122)는 사용자의 발등 부분에 형성된 열기 배출구(120)의 일부 영역 또는 열기 배출구(120)의 상단에서부터 이너 슈즈(100)의 탑 라인까지 일정한 두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너 슈즈(100)가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배출 통로용 부재(122)는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표면과 이너 슈즈(100)의 외부 표면을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시키게 되고, 그 결과 이너 슈즈(100)의 열기 배출구(120)를 통해 열기나 공기가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배출 통로용 부재(122)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둘 이상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배출 통로용 부재가 구비된 이너 슈즈가 아우터 슈즈에 결합된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너 슈즈(100)의 전방 외측면을 따라 탑 라인에서부터 발등 부분까지 배출 통로용 부재(122)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배출 통로용 부재(122)가 두 개의 라인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이너 슈즈(100)의 외부면에 돌출된 배출 통로용 부재(122)해 아우터 슈즈(200)의 내면과 이너 슈즈(100)의 외면이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두 개의 배출 통로용 부재(122)의 사이 및 배출 통로용 부재(122)와 인접한 부분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어 열기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이렇게 형성된 배출 통로를 통하여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에 고인 땀이나 수분에서 기화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이 때,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배출 통로용 부재(122)의 두께는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정도의 폭을 유지하되 사용자가 그 두께로 인하여 활동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정도, 예를 들어 2 cm 이하의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의 이너 슈즈(100)는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수분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는 수분 배출구를 바닥 부분에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수분 배출구가 구비된 이너 슈즈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너 슈즈(100)의 바닥면에 땀이나 수분이 배출될 수 있는 수분 배출구가 구비된 경우, 사용자가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이나 활동을 하면 발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수분은 수분 배출구를 통해 바닥면을 통과하여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면에 모이게 된다. 이 때,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 부분은 방수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아우터 슈즈(200)를 통해 외부로부터 발바닥으로 물기가 유입되지는 않는다.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 부분에 모인 땀이나 수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화되어 기체로 바뀌고, 이너 슈즈(100)와 아우터 슈즈(200) 사이에 형성된 배출 통로(150)를 통해 서서히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수분 배출구는 이너 슈즈(1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홈(1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배출홈(131)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배출홈(131)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직선형이나 원형 이외에 삼각형이나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모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다양한 크기의 배출홈(131)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배출홈이 구비된 이너 슈즈를 아우터 슈즈에 결합한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배출홈(131)이 형성된 이너 슈즈(100)가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에 결합된 경우, 사용자의 운동이나 활동 과정에서 발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수분은 사용자의 발을 타고 아래로 흐르게 되고, 이너 슈즈(100)의 배출홈(131)를 통해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 부분으로 모일 수 있다. 배출홈(131)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바닥 부분에 형성되는 직선형 또는 원형 등의 형태를 가지는 배출홈(131)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운동이나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수분은 액체 성분이기 때문에 그 무게로 인해 아래로 흐르게 되므로, 배출홈(131)은 이너 슈즈(100)의 발바닥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배출홈(131)을 통해 배출된 수분이 이너 슈즈(100)의 바닥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면 사이에서 압착되지 않고,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바닥면에 고일 수 있도록 도면과 같이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바닥면을 굴곡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이다.
이너 슈즈(100)가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너 슈즈(100)의 표면 중 일부는 마찰력에 의해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표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이너 슈즈(100)의 외부 바닥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바닥면이 접촉될 수도 있는데, 일반적으로 신발은 바닥이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고 사용자의 발바닥 굴곡을 따라 발가락 부분과 중족골, 및 발뒤꿈치 부분이 바닥에 밀착되고, 중족골과 발뒤꿈치 사이의 아치 부분은 지면으로부터 볼록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발가락과 중족골, 발뒤꿈치 부분도 동시에 바닥에 접촉되지는 않고, 사용자의 보행이나 운동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지면과 접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너 슈즈(100)의 바닥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면은 부분적으로 접촉과 비접촉이 번갈아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배출홈(131)을 통해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면에 고인 수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체 성분으로 기화하게 되고, 이너 슈즈(100)의 바닥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면이 접촉되지 않은 공간을 따라 이동한 후에 이너 슈즈(100)와 아우터 슈즈(200)의 사이에 형성된 배출 통로(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의 이너 슈즈(100)는 배출홈(131)을 통해 배출된 땀이나 수분이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면에 모이는 경우를 고려하여, 이너 슈즈(100)의 바닥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면 사이에 수분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재는 이너 슈즈(100)의 바닥면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바닥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바닥 돌기가 구비된 이너 슈즈를 아우터 슈즈에 결합한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바닥 돌기가 구비된 아우터 슈즈에 이너 슈즈가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이너 슈즈(100)는 직선형 또는 원형의 배출홈(131)이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발바닥 부분에서 발생한 땀이나 수분은 배출홈(131)을 통해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면에 고이게 되는데, 이너 슈즈(100)의 바닥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면이 접촉되는 경우에 바닥면에 고인 땀이나 수분이 이너 슈즈(100)의 배출홈(131)을 통해 다시 이너 슈즈(100)의 안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너 슈즈(100)의 바닥면에 하부 방향으로 바닥 돌기(132)가 부착될 수 있다. 바닥 돌기(132)는 이너 슈즈(100)의 외부 바닥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바닥면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너 슈즈(100)의 외부 바닥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 땀이나 수분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땀이나 수분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고 다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이너 슈즈(1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바닥 돌기(132)는 땀이나 수분이 배출되는 배출홈(13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분 배출구(130)가 직선형 배출홈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배출홈(131)이 형성되지 않은 공간을 따라 다수의 바닥 돌기(13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수분 배출구(130)가 원형의 배출홈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배출홈(131)이 형성되지 않은 공간과 면적을 고려하여, 바닥 돌기(132)의 크기와 위치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 돌기(132)는 반원형이나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밖의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너 슈즈(100)의 바닥 돌기(132)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 모인 땀이나 수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체로 기화하게 되고, 기화된 기체는 이너 슈즈(100)의 외부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면 사이에 형성된 배출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 돌기는 도 13과 같이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바닥면에 바닥 돌기(232)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이너 슈즈(100)의 외부 바닥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바닥면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너 슈즈(100)의 외부 바닥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 땀이나 수분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바닥면에 바닥 돌기(232)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너 슈즈(200)의 배출홈(131)을 막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이너 슈즈(100)의 배출홈(131) 모양과 위치를 고려하여 서로 대응되는 위치를 가지도록 한 쌍의 이너 슈즈(100)와 아우터 슈즈(200)를 구성하게 될 것이다.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바닥면에 바닥 돌기(232)가 형성된 경우에도 이너 슈즈(100)로부터 흘러나온 땀이나 수분이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면에 고이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체로 기화하여 배출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바닥 돌기(232)는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4a와 같이 격자 형태로 이루어져서 사각형의 홈 사이에 수분이나 물기가 모이거나, 도 14b와 같이 벌집 형태로 이루어진 바닥 돌기에 의해 수분이나 물기가 모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바닥 돌기는 이너 슈즈(100)의 외부 바닥면에 형성되거나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너 슈즈(100)의 외부 바닥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바닥면에 함께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이너 슈즈(100)의 바닥면이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경우에는 이너 슈즈(100)의 배출홈(131)을 통해 아래쪽으로 배출되는 땀과 같은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거나 기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은 이너 슈즈(100)의 외부 바닥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 배기용 펌프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사용할 수 있는 배기용 펌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a)는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5(b)는 하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배기용 펌프(300)는 발 뒤꿈치 부분에 위치하여 발바닥의 하중이 전달되는 부분에 신축성 압착부(310)가 형성되고 이를 둘러싸는 펌프 외피(320)로 이루어진다.
신축성 압착부(310)는 사용자의 신체 하중에 의해서 일정 깊이만큼 쿠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일정 밀도를 가지는 스펀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축성 압착부(310)의 중앙 부위는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반원형 또는 그 밖의 형태로 절개된 공기 흡입 통로(312)가 형성될 수 있다.
펌프 외피(320)는 신축성 압착부(3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신축성 압착부(310)를 에워싸는 형태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립식 신발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잘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 흡입구(322)와 공기 배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펌프 외피(320)의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 흡입구(322)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322)는 펌프 외피(3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신축성 압착부(310)의 공기 흡입 통로(312)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기 흡입구(32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공기 흡입 통로(312)를 통해 펌프 외피(320)의 내부로 이동하고, 사용자의 발뒤꿈치 부분이 신축성 압착부(310)를 압착하는 경우에 공기 배출부(3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배기용 펌프가 내부에 장착된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에서 배기용 펌프(300)는 이너 슈즈(100)의 외부 바닥면과 아우터 슈즈(200)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배기용 펌프(300)의 신축성 압착부(310)는 사용자의 발뒤꿈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용 펌프(300)가 조립식 신발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펌프 외피(320)의 바닥면에 있는 공기 흡입구(322)를 통해 조립식 신발 내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공기는 펌프 외피(320)의 내부로 유입되어 공기 흡입 통로(312) 및 내부 공간을 채우게 될 것이다. 이 상태에서, 조립식 신발의 사용자가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발뒤꿈치 부분이 아래로 눌리게 되면 아래 방향으로 사용자의 하중(F)이 작용하게 되고, 펌프 외피(320)의 바닥면에 있는 공기 흡입구(322)는 아우터 슈즈(200)의 바닥면과 밀착하게 되어 폐쇄된다. 반면에, 펌프 외피(320) 및 신축성 압착부(310)는 사용자의 신체 하중에 의해 압착되기 때문에 펌프 외피(32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공기 배출부(330)를 통해 배기용 펌프(300)의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이 때, 공개 배출부(330)는 조립식 신발의 바닥면에서 발가락 부분으로 향해 위치하기 때문에 배출되는 공기는 사용자의 발가락 부분으로 분출하게 되고, 결국 이너 슈즈(100)와 아우터 슈즈(200)의 사이에 형성될 배출 통로(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은 이너 슈즈(100)와 아우터 슈즈(200) 사이에 사용자의 발가락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 과정에서 사용자의 발가락 부분에 충격을 가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안전화의 역할도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이너 슈즈와 아우터 슈즈 사이에 보호 부재가 결합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을 구성하는 이너 슈즈(100)의 발가락 부분의 외측, 또는 아우터 슈즈(200)의 발가락 부분의 내측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사용자의 발가락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140)가 위치할 수 있다. 보호 부재(140)는 강화 플라스틱과 같이 강도가 높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유연성이 있는 얇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보호 부재(140)는 이너 슈즈(100)의 외측면에 착탈가능한 형태로 부착될 수도 있고, 이너 슈즈(100)의 외측에 고정된 형태로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아우터 슈즈(200)의 내측면에 보호 부재(140)가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보호 부재(140)가 부착된 이너 슈즈(100)를 아우터 슈즈(200) 내부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위에서 떨어지는 무거운 물체나 충돌로부터 발가락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너 슈즈 110: 이너 슈즈 몸체
120: 열기 배출구 121: 통기공
122: 이너 슈즈 배출 통로용 부재
131: 배출홈 132: 이너 슈즈 바닥 돌기
140: 보호 부재 150: 배출 통로
200: 아우터 슈즈 210: 아우터 슈즈 몸체
222, 224: 아우터 슈즈 배출 통로용 부재
232: 아우터 슈즈 바닥 돌기
300: 배기용 펌프 310: 신축성 압착부
312: 공기 흡입 통로 320: 펌프 외피
322: 공기 흡입구 330: 공기 배출부

Claims (18)

  1. 신발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에 착용가능한 이너 슈즈; 및
    상기 이너 슈즈를 내부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아우터 슈즈를 포함하되,
    상기 이너 슈즈는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열기 배출구를 구비하는 조립식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슈즈가 상이 아우터 슈즈의 내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이너 슈즈와 상기 아우터 슈즈 사이에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일정 공간의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 조립식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슈즈 및 상기 아우터 슈즈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합성 수지, 가죽, 및 직물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신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 배출구는
    사용자의 발등 부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신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슈즈는 상기 이너 슈즈와의 사이에 공기 배출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배출 통로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신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통로용 부재는 전방 외측 표면에 발등 부분에서부터 탑 라인까지 이어지는 돌출 형상의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신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통로용 부재는 전방 내측 표면에 발등 부분에서부터 탑 라인까지 이어지는 돌출 형상의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신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슈즈는 상기 아우터 슈즈와의 사이에 공기 배출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배출 통로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신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통로용 부재는 전방 외측 표면에 발등 부분에서부터 탑 라인까지 이어지는 돌출 형상의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신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슈즈는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하여, 바닥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홈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신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홈은 임의의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신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슈즈는
    바닥면이 상기 아우터 슈즈의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외측 바닥면에 복수의 바닥 돌기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신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슈즈는
    내부 바닥면이 상기 이너 슈즈의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내부 바닥면에 복수의 바닥 돌기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신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슈즈의 외부 바닥면과, 상기 아우터 슈즈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는 배기용 펌프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신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용 펌프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압착되는 신축성 압착부;
    상기 신축성 압축부를 에워싸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 흡입구가 일측에 형성된 펌프 외피; 및
    상기 펌프 외피에서 연장되어 압착 과정에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신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슈즈의 발가락 외측면과 상기 아우터 슈즈의 발가락 내측면 사이에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신발.
  17. 신발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에 착용가능한 이너 슈즈; 및
    상기 이너 슈즈를 내부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아우터 슈즈를 포함하되,
    상기 이너 슈즈는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하여, 바닥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홈을 구비하는 조립식 신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슈즈는 발등 부분에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열기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신발.
KR1020180012970A 2018-02-01 2018-02-01 조립식 신발 KR102114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970A KR102114165B1 (ko) 2018-02-01 2018-02-01 조립식 신발
JP2019518946A JP7004705B2 (ja) 2018-02-01 2019-02-01 通気性を改善した二重構造の組立式シューズ
PCT/KR2019/001410 WO2019151816A1 (ko) 2018-02-01 2019-02-01 통기성을 개선한 이중 구조의 조립식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970A KR102114165B1 (ko) 2018-02-01 2018-02-01 조립식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388A true KR20190093388A (ko) 2019-08-09
KR102114165B1 KR102114165B1 (ko) 2020-05-26

Family

ID=6747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970A KR102114165B1 (ko) 2018-02-01 2018-02-01 조립식 신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04705B2 (ko)
KR (1) KR102114165B1 (ko)
WO (1) WO2019151816A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347U (ko) * 1971-01-07 1972-08-14
JPS575003U (ko) * 1980-06-10 1982-01-11
JPH0469006U (ko) * 1990-10-27 1992-06-18
KR20000035118A (ko) 1998-10-30 2000-06-26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원격 워크스테이션으로부터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제어하는 방법
KR200192510Y1 (ko) 2000-02-21 2000-08-16 주식회사팀웍 공기 배출 신발
US20030093919A1 (en) * 2001-11-20 2003-05-22 Kuo-Pao Wang Double-layer shoe with a removable shoe-model lining
KR100470751B1 (ko) 2002-07-02 2005-03-08 주식회사 한일제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US20050188562A1 (en) * 2004-02-27 2005-09-0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perforated covering and removable components
US20070062067A1 (en) * 2005-09-16 2007-03-22 Columbia Insurance Company Boot with interchangeable booties
JP2010233789A (ja) * 2009-03-31 2010-10-21 Midori Anzen Co Ltd 靴および靴先用カバー
KR101711881B1 (ko) 2016-05-25 2017-03-13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설포 통기성 신발
KR101737910B1 (ko) 2016-04-27 2017-05-19 정상옥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KR101767884B1 (ko) 2016-12-12 2017-08-23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KR20170122645A (ko) 2017-01-31 2017-11-06 정상옥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002U (ko) * 1986-03-24 1988-01-28
US4941271A (en) * 1988-08-11 1990-07-17 Nikola Lakic Boot with frictional heat generator and forced air circulation
JP3117194B2 (ja) * 1996-03-12 2000-12-11 アキレス株式会社 靴内換気用エアポンプ
JPH11187904A (ja) * 1997-12-25 1999-07-13 Minoru Tagami 扁平な弁装置及び換気機能を備えた靴内底部材及び靴
KR101164463B1 (ko) * 2010-07-12 2012-07-20 박수현 공기순환기능을 가지는 신발
JP2014200413A (ja) * 2013-04-03 2014-10-27 篤義 前澤
CN203952590U (zh) * 2014-07-15 2014-11-26 徐亮 一种雨鞋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347U (ko) * 1971-01-07 1972-08-14
JPS575003U (ko) * 1980-06-10 1982-01-11
JPH0469006U (ko) * 1990-10-27 1992-06-18
KR20000035118A (ko) 1998-10-30 2000-06-26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원격 워크스테이션으로부터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제어하는 방법
KR200192510Y1 (ko) 2000-02-21 2000-08-16 주식회사팀웍 공기 배출 신발
US20030093919A1 (en) * 2001-11-20 2003-05-22 Kuo-Pao Wang Double-layer shoe with a removable shoe-model lining
KR100470751B1 (ko) 2002-07-02 2005-03-08 주식회사 한일제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US20050188562A1 (en) * 2004-02-27 2005-09-0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perforated covering and removable components
US20070062067A1 (en) * 2005-09-16 2007-03-22 Columbia Insurance Company Boot with interchangeable booties
JP2010233789A (ja) * 2009-03-31 2010-10-21 Midori Anzen Co Ltd 靴および靴先用カバー
KR101737910B1 (ko) 2016-04-27 2017-05-19 정상옥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KR101711881B1 (ko) 2016-05-25 2017-03-13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설포 통기성 신발
KR101767884B1 (ko) 2016-12-12 2017-08-23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KR20170122645A (ko) 2017-01-31 2017-11-06 정상옥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1816A1 (ko) 2019-08-08
JP7004705B2 (ja) 2022-02-10
KR102114165B1 (ko) 2020-05-26
JP2020508707A (ja)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2661A1 (en) Rigid three-dimensional sock-shoe
US20190029363A1 (en) Three layer shoe construction with improved cushioning and traction
US6003246A (en) Slipper having good draining functions and providing enhanced support
WO2012099639A1 (en) Midsole and article of footwear
KR20150000306U (ko) 개선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신발
KR101873916B1 (ko) 통기성과 큐숀이 포함된 일체형 중창
KR101574622B1 (ko)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화
JP7004705B2 (ja) 通気性を改善した二重構造の組立式シューズ
JP6770113B2 (ja) シューズ
JP6824302B2 (ja) スナップフィットシューズ
KR101979998B1 (ko) 신발창과 신발창의 제조방법
KR101130975B1 (ko) 측면부에서 공기 입출이 가능한 신발깔창
KR100564792B1 (ko) 바닥면과 외주연부에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밑창
KR102160594B1 (ko) 신발
JP3542981B2 (ja) 長靴
KR100996943B1 (ko) 통풍 구조를 갖는 신발
KR101099708B1 (ko) 자유롭게 분리가 가능한 통기성 및 발 아치 지압기능과 충격흡수,반발탄성을 강화한 삽입체 삽입용 신발
TWM588974U (zh) 多功能雨鞋
US20210267312A1 (en) Shoe
KR20080000577U (ko) 모카형 웰빙 신발
KR200404227Y1 (ko) 발바닥 보호판이 내장된 공기순환식 신발창
TWI697296B (zh) 多功能雨鞋
KR100238812B1 (ko) 충격완화 및 통풍기능을 갖는 신발
KR102167555B1 (ko) 신발
KR200492916Y1 (ko) 기능성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