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594B1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594B1
KR102160594B1 KR1020190089870A KR20190089870A KR102160594B1 KR 102160594 B1 KR102160594 B1 KR 102160594B1 KR 1020190089870 A KR1020190089870 A KR 1020190089870A KR 20190089870 A KR20190089870 A KR 20190089870A KR 102160594 B1 KR102160594 B1 KR 102160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s
shoe
cover
protrusion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옥
임종민
박성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Priority to KR1020190089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594B1/ko
Priority to PCT/KR2019/011209 priority patent/WO2020046071A1/ko
Priority to US17/272,612 priority patent/US2021026731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upp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2Boots covering the lower le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expelled to the outside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신발은 착용자의 발앞부 일부가 위치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착용자의 발앞부의 나머지 부분, 발중간부 및 발뒷부가 위치하는 제2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에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몸체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덮개, 그리고 상기 덮개의 내부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몸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각 돌출부의 돌출 두께는 상부에서 상기 제1 몸체부로 갈수록 감소한다.

Description

신발{SHOES}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내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습기를 효과적으로 방출하는 통기성을 개선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이족 보행을 하면서 발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어 온 신발은 과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소재가 개발되면서 오늘날에는 가정용, 보행용, 산악용, 신체 교정용, 특수 운동용 등 다양한 활동에 적합하도록 여러 가지 신발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신발은 이를 착용하는 사람의 발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의 편의성을 추구하도록 만들어진다.
이 때, 신발 내에 삽입되는 발은 사람의 전체 땀 구멍의 약 20%를 차지하는 50만개 정도의 땀샘 분포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마를 제외하고 땀을 가장 많이 분비하는 부위이다.
이에 따라,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을 하는 경우에는 평소 때보다 약 12배까지 많은 땀을 분비하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고 착용의 편의성을 추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통기성을 확보하지 않으면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로 인해 신발에 땀이 차고 발 냄새도 발생하게 된다. 결국 신발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발에서 발생하는 열기나 땀을 효과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표면이 노출되는 외피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에어홀을 형성함으로써, 깔창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등록실용신안 제20-0192510호(공기배출신발),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35118호(공기호스가 설치된 신발 깔창) 및 등록특허공보 제10-0470751호(외부와의 공기순환이 가능한 신발)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신발 바닥이나 신발의 측면을 통해서 통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면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에는 신발 내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장화와 같이 방수 기능이 요구되는 신발에 매우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발등과 발목 부분을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내피와 외피에 각각 통공이 형성된 이중 구조의 신발을 제시한 바가 있다. 이는 등록특허공보 제10-1737910호(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와 등록특허공보 제10-1711881호(설포 통기성 신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2645호(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을 통해 공개되었으며,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767884호(통기성 장화 제조방법)에서는 이러한 신발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 바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92510호(2000.08.16)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35118호(20001.10.05) 등록특허공보 제10-0470751호(2005.03.08) 등록특허공보 제10-1737910호(2017.05.19) 등록특허공보 제10-1711881호(2017.03.13)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2645호(2017.11.06) 등록특허공보 제10-1767884호(2017.08.23)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신발의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신발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신발은 착용자의 발앞부 일부가 위치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착용자의 발앞부의 나머지 부분, 발중간부 및 발뒷부가 위치하는 제2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에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몸체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덮개, 그리고 상기 덮개의 내부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몸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각 돌출부의 돌출 두께는 상부에서 상기 제1 몸체부로 갈수록 감소한다.
상기 돌출부의 개수가 복수 개일 경우, 상기 덮개의 내부면을 가로 지르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신발은 인접한 두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신발 내부의 땀이나 냄새를 배출하는 배출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 통로의 폭은 0.5㎝ 내지 3㎝일 수 있다.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서로 다른 돌출부의 돌출 높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서로 다른 돌출부의 돌출 높이가 서로 상이할 때,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부에서 가운데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돌출 높이는 증가할 수 있다.
인접한 두 돌출부의 연장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신발은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부와 인접한 제2 몸체부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덮개와 상기 제2 몸체부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형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태 지지부는 서로 인접하게 마주보고 있는 상기 제2 몸체부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의 내부면에 돌출되어 있는 지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폭은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폭은 상기 본체의 상단에서 상기 착용자의 발의 목발뼈가 위치하는 목발 부분로 내려 갈수록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단에서 착용자의 목발 부분으로 올라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기의 두께는 상기 제2 몸체부에 연결된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덮개 쪽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형태 지지부는 상기 지지 돌기의 하단에서 상기 지지 돌기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의 외부면의 높이는 인접한 제1 및 제2 몸체부의 외부면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신발은 상기 제2 몸체부의 후면 외측면에 위치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신발은 상기 신발을 감싸고 있는 아우터 슈즈,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슈즈와 상기 신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신발의 발앞부를 싸고 있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신발 내측에 공기 통로가 위치하므로, 신발 내에서 발생하는 땀, 열 또는 냄새 등의 배출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발 건강이 향상되며, 신발의 착용감이 뛰어나다.
공기 통로부는 신발의 몸체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공기 통로부로 인한 신발의 굽힘 동작이 방해받지 않고 착용자의 발 동작에 따라 용이하고 부드럽게 신발의 굽힘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기 통로부로 인한 신발 사용의 불편함이 없다.
공기 통로부의 내부면에 위치한 돌출부는 제1 몸체부쪽으로 갈수록 돌출 두께가 감소하므로, 돌출부가 발등에 닿아 발생하는 통증이나 상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제2 몸체부와 공기 통로부 사이에 위치하는 형태 지지부에 의해, 신발의 형태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제2 몸체부의 연장 길이가 증가하여도 신발은 매우 안전적으로 위치한다. 이로 인해, 신발의 신고 벗을 때, 착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한 신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신발의 후면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한 신발의 평면도로서, 원 내에는 연장부의 일부를 절단한 후 확대해 도시한다.
도 5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C-C'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D-D'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1)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1)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몸체(100), 몸체(100)의 전방 쪽에 위치하는 덮개부(200), 그리고 몸체(100)와 덮개부(200) 사이에 위치하는 형태 지지부(300)를 구비한다.
몸체(100)는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어 발이 착용되는 부분으로서, 바닥부(110), 바닥부(110)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몸체부(121), 그리고 바닥부(110)와 제1 몸체부(121)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몸체부(122)을 구비한다.
바닥부(110)는 착용자의 발바닥 즉, 발앞부(forefoot), 발중간부(midfoot) 및 발뒷부(rearfoot)의 각 하부가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신발 착용 시 착용자의 발바닥과 접한다. 여기서 발앞부는 발가락뼈와 발허리뼈가 주로 위치하는 부분이고, `발중간부는 발목뼈가 주로 위치하는 부분이며, 발뒷부는 발꿈치뼈와 목발뼈가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몸체부(121)와 제2 몸체부(122)는 바닥부(110)에서 연장되어 서로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고, 신겨진 해당 발의 발등을 감싸고 있다. 이때,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몸체(100)의 연장 길이 즉, 착용자의 몸통 쪽으로 연장되는 신발(1)의 길이에 따라, 몸체(100)는 발등뿐만 아니라 발목을 감쌀 수 있고 추가적으로 다리도 감쌀 수 있다.
제1 몸체부(121)는 착용자의 발등 일부, 구체적으로는 주로 발앞부의 일부즉, 발가락뼈와 일부 발허리뼈가 위치하는 발앞부 일부의 측면 부분과 발등 부분을 감싸는 부분이다.
따라서, 몸체(100)는 제1 몸체부(121)와 이에 대응하는 바닥부(110)의 일부로 에워싸여져 있는 내부 공간(예, 제1 내부 공간)(S11)을 구비하고, 이 제1 내부 공간(S11) 내에 주로 발앞부가 위치한다.
제2 몸체부(122)는 착용자의 발중간부의 나머지 부분과 발뒷부가 위치하여, 해당 부분의 발중간부와 발뒷부의 측면 부분을 주로 감싸고 있다.
이러한 제2 몸체부(122)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몸체부(121)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제1 몸체부(121)와 연결되지 않은 바닥부(110)의 나머지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착용자의 몸통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제2 몸체부(122)의 전방부는 덮개부(200)로 덮여 있으므로, 제2 몸체부(122)의 연장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제2 몸체부(122)의 전방부 즉, 해당 발중간부와 발뒤부에서 발등과 대응하는 앞쪽 부분은 정해진 폭만큼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신발(1)이 본 예와 같이 장화인 경우 개방된 전방부는 정강이뼈가 위치하는 정강이부까지 당연히 연장된다.
따라서, 몸체(100)는 제2 몸체부(122)와 이에 대응하는 바닥부(110)의 나머지 부분 및 덮개부(200)로 에워싸여져 있는 내부 공간(예, 제2 내부 공간)(S12)을 구비하고, 이 제2 내부 공간(S12) 내에 해당 부분의 발중간부와 발뒷부가 주로 위치한다. 이때, 제1 내부 공간(S11)과 제2 내부 공간(S12)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당연하다.
이처럼, 바닥부(110), 제1 및 제2 몸체부(121, 122) 및 덮개부(200)로 에워싸여져 형성되는 제1 및 제2 내부 공간(S11, S12) 내에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어 신발 착용이 이루어진다.
몸통 쪽으로 연장되는 제2 몸체부(122)의 연장 길이에 따라, 본 예의 신발(1)은 착용자의 종아리까지 삽입되는 긴장화 형태나 착용자의 발목까지 삽입되는 발목장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본 예의 신발(1)은 제2 몸체부(122)의 연장 길이나 형태의 조정으로 다른 형태의 신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00)는 발뒷부에 대응되는 제2 몸체부(122)의 후면 외측면에 걸림턱(123)이 돌출되어 있다. 걸림턱(123)은 신발(1)을 벗을 때 착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착용자가 해당 쪽 신발(예, 왼쪽 신발)을 벗을 때, 다른 쪽 신발(예, 오른쪽 신발)이나 발로 벗고자 하는 신발의 걸림턱(123)을 밟아 해당 신발(1)을 좀 더 편리하게 벗을 수 있도록 한다.
덮개부(200)는 몸체(100)의 개방된 부분인 제1 몸체부(122)의 전방부를 덮고 있다.
이러한 덮개부(200)는 개방된 제2 몸체부(122) 전방부를 덮도록 정해진 폭(W200)을 갖고 있고, 제2 몸체부(122)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부(200)는 제1 몸체부(121)와 접해 있는 제2 몸체부(122)의 시작 부분에서부터 제2 몸체부(12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제2 몸체부(122)의 끝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덮개부(200)는 신발(1) 내부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냄새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러한 덮개부(200)는 몸체(100)의 전방부의 개방된 부분을 덮고 있는 덮개(201)와 덮개(201)의 내부면 즉, 제2 내부 공간(S12)과 접하는 면에서 제2 내부 공간(S12)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출부(202)를 구비한다.
덮개(201)는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고, 삽입되는 발과 다리에 외형에 따라 외부면과 내부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덮개(201)의 두께는 제1 및 제2 몸체부(121, 12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얇은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0)는 신발 착용을 위해 발이 삽입되는 부분 즉, 제2 몸체(122)의 상부를 제외하면, 바닥부(110), 제1 몸체부(121), 제2 몸체부(122) 및 덮개(201)에 의해 완전히 덮여져 있다.
이러한 덮개(201)의 폭, 즉 덮개부(200)의 폭(W200)은 덮개부(200)의 높이에 무관하게 동일하거나 바닥부(110)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
덮개(201)의 폭(W200)은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의 불편함과 미관을 해치지 않고 신발 내에서 발생된 열이나 땀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정도의 크기면 좋고, 예를 들어, 5㎝ 내지 10㎝일 수 있다. 본 예에서 덮개(201)의 폭(W200)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덮개(201)의 내부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가상의 직선으로 가로 방향으로 연결할 때의 길이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돌출부(202)는 정해진 거리만큼 덮개(201)의 가로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덮개(201)의 내부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덮개부(200)는 돌출부(202)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예, 제1 부분)과 돌출부(202)가 위치하는 부분(예, 제2 부분)으로 나눠지고, 제1 부분의 두께는 덮개(201)의 두께와 동일한 반면, 제2 부분의 두께는 덮개(201)와 두께와 해당 돌출부(202)의 두께를 합친 두께가 된다.
이로 인해, 제1 부분은 양측에 인접한 두 돌출부(202)에 의해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 부분을 형성하고, 이 오목 부분은 신발(1)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공기 흐름이 이루어져 신발 내부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냄새가 배출되는 공기 통로인 배출 통로(P200)가 된다.
이러한 배출 통로(P200)의 폭은 0.5㎝ 내지 3㎝일 수 있다.
각 돌출부(202)는 사각형이나 원형과 같이 정해진 단면 형상을 갖고 있고, 덮개(201)의 연장 방향으로 따라 덮개(201)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까지 끊김없이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예에서, 각 돌출부(202)의 돌출 두께(H202)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제2 내부 공간(S12) 내에 삽입된 신체와 덮개(201)의 내부면 간의 거리에 따라 달라져, 덮개(201)의 상단(즉, 끝 부분)에서 하단[즉, 제1 몸체부(121)와 접해 있는 시작 부분]로 갈수록 감소한다.
또한, 본 예에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서로 다른 돌출부(202)의 돌출 두께(H202)는 동일하지만, 이와 달리 상이할 수 있다.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돌출부(202)의 돌출 두께(H202)가 상이할 경우, 해당 돌출부(202)의 돌출 두께(H202) 역시 제2 내부 공간(S12) 내에 삽입된 신체와 덮개(201)의 내부면 간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덮개(201)의 내부면과 외부면의 평면 형상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동일한 높이에서 덮개(201)의 가장자리부[즉, 형태 지지부(300)와 인접한 양 측부]에서 가운데 부분으로 갈수록 돌출부(202)의 돌출 두께(H202)는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부(12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덮개(201)로 인해 발생되는 제2 몸체부(122)와 덮개(201) 간의 단차는 돌출부(202)에 의해 보상된다. 따라서, 신발(1) 속에 삽입되어 있는 착용자의 발과 다리 부분은 돌출부(202)에 의해 그 움직임 범위가 한정되어, 외부로 돌출된 덮개(201)(200)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착용자는 편안하고 안전하게 신발(1)을 착용하게 된다.
본 예의 신발이 발목 장화나 긴 장화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발등뿐만 아니라 발목 부분이나 정강이 부분 역시 돌출부(202)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제2 내부 공간(S12) 내에 위치한 신체의 두께나 형상에 따라 돌출부(202)의 돌출 높이가 달라지므로, 신발의 착용감과 편리함은 더욱 향상된다. 하지만, 본 예와 달리, 돌출부(202)의 개수는 복수 개가 아닌 한 개일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경우, 모든 돌출부(202)의 연장 길이를 동일하지만, 이와 달리, 형성 위치에 따라 다른 돌출부(202)와 상이한 연장 길이를 갖는 돌출부(202)가 존재할 수 있다.
형태 지지부(300)는 개방된 부분과 접해있는 제2 몸체부(122)의 양 가장자리부와 덮개(201)의 양 가장자리부[즉, 덮개(201)의 좌측 가장자리부와 우측 가장자리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제2 몸체부(122)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 지지부(300)에 의해 덮개(201) 제2 몸체부(122)에 연결되게 부착된다.
본 예에서, 각 형태 지지부(300)는 판 형태를 갖고 서로 인접하게 마주보고 있는 제2 몸체부(122)의 가장자리부와 덮개(201)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301)와 본체(301)의 내부면에서 제2 내부 공간(S12)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 돌기(302)를 구비한다.
본체(301)의 폭(W301)은 위치에 따라 상이하여, 본체(301)의 폭(W301)은 본체(301)의 상단에서 착용자의 발의 발목뼈와 인접해 있는 목발뼈가 위치하는 목발 부분으로 내려 갈수록 그리고 본체(301)의 하단에서 목발 부분으로 올라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2 몸체부(122)의 외부면에서 전방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형태 지지부(300)의 본체(301)는 덮개(201)와 제2 몸체부(122) 사이에 경사지게 위치한다.
지지 돌기(302)는 해당 본체(301)의 양 가장자리부(즉, 제1 가장자리부와 제2 가장자리부) 중에서 덮개(201)에 인접한 가장자리부인 제1 가장자리부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형태 지지부(3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가느다란 띠 형태를 갖고 있다.
본 예에서, 지지 돌기(302)의 두께는 제1 가장자리부의 반대 편에 위치하고 제2 몸체부(122)에 연결된 제2 가장자리부에서 제1 가장자리부 쪽으로 가로질러 갈수록 증가하여, 지지 돌기(302)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대략 삼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착용자의 발과 인접해 있는 지지 돌기(302)의 내부면은 곡면일 수 있다. 이처럼, 신발의 착용 시 곡면 형태를 유지하는 착용자의 발과 다리에 직접 닿는 부분[즉, 지지 돌기(302)의 내부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 돌기(302)로 인해 착용감 감소나 불편함이 방지된다.
이러한 지지 돌기(302)의 최대 두께(H302)는 돌출부(202)의 최대 두께(H202)보다는 얇지만, 덮개(201)의 최대 두께와 제2 몸체부(122)의 최대 두께보다 두껍다.
따라서, 지지 돌기(302)의 두께로 인하여, 제2 몸체부(122)와 공기 통로부(200)의 단차 부분에 위치한 형태 지지부(300)는 신발(1)의 지지가 좀더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예에서, 지지 돌기(302)는 이미 기술할 것처럼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의 경계까지 연장되어 있어,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경계에 위치하는 지지 돌기(302)의 하단은 엄지 발가락뼈와 접해있는 해당 발허리뼈의 대략 끝부분에 위치한다.
이러한 형태 지지부(300)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각 지지 돌기(301)의 하단에서 지지돌기(302)와 교차하는 방향, 대략 오른쪽이나 왼쪽 방향으로 발바닥부(110)을 행해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3021)를 더 구비한다.
이때, 해당 방향의 발바닥부(110) 쪽으로 연장되는 지지돌기(302)의 연장부(3021)의 돌출 높이는 해당 방향의 발바닥부(110) 쪽으로 갈수록 감소되어, 결국에는 연장부(3021)의 내부면은 제1 몸체부(110)의 내부면과 동일한 면에 위치하게 된다.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외부면에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연장부(3021)의 외부면의 높이는 제1 및 제2 몸체부(110, 120)의 외부면의 높이보다 높다.
이처럼, 지지 돌기(302)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고 외부면의 높이 역시 주변보다 높아 착용자가 신발(1)을 착용한 후 발뒷부를 경우, 신발(1)은 연장부(3021) 바로 아래쪽에서 용이하게 굽혀진다. 따라서 착용자의 편리성은 더욱 향상된다.
본 예의 신발(1)에서, 형태 지지부(300)와 돌출부(202)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신발은 지지력이 감소하여 신발을 세워놓았을 때 신발의 접히거나 쓰러지게 된다. 따라서, 본 예의 신발(1)은 형태 지지부(300)와 돌출부(202) 중 적어도 하나는 존재하므로 신발(1)의 지지력이 향상되어 안정적으로 세워지게 된다.몸체(100), 덮개부(200) 및 형태 지지부(300)로 이루어진 본 예의 모두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 폼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와 같이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몸체(100)의 바닥부(110)는 몸체(100)의 다른 부분(121, 122)과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도 신발(1)은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 또는 합성 수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9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것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8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8와 비교할 때, 본 예의 신발(1a)는 이너 슈즈(10), 아우터 슈즈(20), 그리고 이너 슈즈(10)와 아우터 슈즈(20) 사이에 위치하는 보호 부재(30)을 구비한다.
이때, 이너 슈즈(10)는 바닥부(110)의 구조와 보호 부재(30)가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를 제외하면, 이미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기술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예의 이너 슈즈(10)는 걸림턱(123)이 생략될 수 있다.
보호 부재(30)는 이너 슈즈(10)의 제1 몸체부(121)의 주로 발앞부를 덮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발가락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보호 부재(30)는 이너 슈즈(10)의 발앞부의 외측면 또는 아우터 슈즈(20)에서 발앞부에 대응되는 내측면에 위치하며, 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강도가 높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유연성이 있는 얇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호 부재(30)는 이너 슈즈(10)의 외측면 해당 부분에 착탈 가능하거나 고정되게 부착되거나, 아우터 슈즈(20)의 내측면의 해당 부분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우터 슈즈(20)는 이너 슈즈(10)가 삽입되어 내부에 이너 슈즈(10)를 감싸고 있다.
이로 인해, 이너 슈즈(10)의 발앞부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있는 보호 부재(30)는 안정적으로 이너 슈즈(10)의 발앞부를 보호하게 된다.
이때, 아우터 슈즈(20) 속으로 삽입된 이너 슈즈(1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이너 슈즈(10)와 아우터 슈즈(20)는 돌기와 홈을 이용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너 슈즈(10)와 아우터 슈즈(20)의 서로 대응하는 발등 부분과 발바닥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결합홈과 결합 돌기가 위치할 수 있다.
아우터 슈즈(20)는 이너 슈즈(10)와 같이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합성 수지와 같이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너 슈즈(10)는 아우터 슈즈(20)로 좀 더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아우터 슈즈(20)는 좀 더 안정적으로 이너 슈즈(10)를 지지 및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재질이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한 예로, 이너 슈즈(10)는 아우터 슈즈(20)보다 좀 더 큰 신축성과 탄력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신발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신발, 이너 슈즈 1a: 신발
100: 몸체 200: 덮개부
300: 형태 지지부 121: 제1 몸체부
122: 제2 몸체부 123: 걸림턱
201: 덮개 202: 돌출부
301: 본체 302: 지지 돌기
10: 이너 슈즈 20: 아우터 슈즈
30: 보호 부재 3021: 연장부
W301: 본체의 폭 P200: 배출 통로
H202: 돌출 두께

Claims (16)

  1. 착용자의 발앞부 일부가 위치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착용자의 발앞부의 나머지 부분, 발중간부 및 발뒷부가 위치하는 제2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에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고, 양측 가장자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덮개,
    상기 덮개의 내부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몸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그리고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부와 인접한 제2 몸체부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덮개와 상기 제2 몸체부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형태 지지부
    를 포함하고,
    각 돌출부의 돌출 두께는 상부에서 상기 제1 몸체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신발.
  2. 제1항에서,
    상기 돌출부의 개수가 복수 개일 경우, 상기 덮개의 내부면을 가로 지르며 이격되어 있는 신발.
  3. 제2항에서,
    인접한 두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신발 내부의 땀이나 냄새를 배출하는 배출 통로를 더 포함하는 신발.
  4. 제3항에서,
    상기 배출 통로의 폭은 0.5㎝ 내지 3㎝인 신발.
  5. 제2항에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서로 다른 돌출부의 돌출 높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신발.
  6. 제5항에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서로 다른 돌출부의 돌출 높이가 서로 상이할 때,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부에서 가운데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돌출 높이는 증가하는 신발.
  7. 제2항에서,
    인접한 두 돌출부의 연장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신발.
  8. 삭제
  9. 제1항에서,
    상기 형태 지지부는,
    서로 인접하게 마주보고 있는 상기 제2 몸체부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의 내부면에 돌출되어 있는 지지 돌기
    를 포함하는 신발.
  10. 제9항에서,
    상기 본체의 폭은 위치에 따라 상이한 신발.
  11. 제10항에서,
    상기 본체의 폭은 상기 본체의 상단에서 상기 착용자의 발의 목발뼈가 위치하는 목발 부분으로 내려 갈수록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단에서 착용자의 목발 부분으로 올라 갈수록 증가하는 신발.
  12. 제9항에서,
    상기 지지 돌기의 두께는 상기 제2 몸체부에 연결된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덮개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신발.
  13. 제9항에서,
    상기 형태 지지부는 상기 지지 돌기의 하단에서 상기 지지 돌기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
  14. 제13항에서,
    상기 연장부의 외부면의 높이는 인접한 제1 및 제2 몸체부의 외부면의 높이보다 높은 신발.
  15. 제1항에서
    상기 제2 몸체부의 후면 외측면에 위치하는 걸림턱
    을 더 포함하는 신발.
  16. 제1항 내지 제7항, 제9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신발을 감싸고 있는 아우터 슈즈,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슈즈와 상기 신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신발의 발앞부를 감싸고 있는 보호부재
    를 더 포함하는 신발.

KR1020190089870A 2018-08-30 2019-07-24 신발 KR102160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870A KR102160594B1 (ko) 2019-07-24 2019-07-24 신발
PCT/KR2019/011209 WO2020046071A1 (ko) 2018-08-30 2019-08-30 신발
US17/272,612 US20210267312A1 (en) 2018-08-30 2019-08-30 Sho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870A KR102160594B1 (ko) 2019-07-24 2019-07-24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594B1 true KR102160594B1 (ko) 2020-09-28

Family

ID=7280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870A KR102160594B1 (ko) 2018-08-30 2019-07-24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59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118A (ko) 1998-10-30 2000-06-26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원격 워크스테이션으로부터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제어하는 방법
KR200192510Y1 (ko) 2000-02-21 2000-08-16 주식회사팀웍 공기 배출 신발
JP2001161401A (ja) * 1999-10-01 2001-06-19 Toyo Kako Kk 長靴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70751B1 (ko) 2002-07-02 2005-03-08 주식회사 한일제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JP2011004959A (ja) * 2009-06-25 2011-01-13 Yoshiro Watanabe 長靴
KR101711881B1 (ko) 2016-05-25 2017-03-13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설포 통기성 신발
KR101737910B1 (ko) 2016-04-27 2017-05-19 정상옥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KR101767884B1 (ko) 2016-12-12 2017-08-23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KR20170122645A (ko) 2017-01-31 2017-11-06 정상옥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118A (ko) 1998-10-30 2000-06-26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원격 워크스테이션으로부터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제어하는 방법
JP2001161401A (ja) * 1999-10-01 2001-06-19 Toyo Kako Kk 長靴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92510Y1 (ko) 2000-02-21 2000-08-16 주식회사팀웍 공기 배출 신발
KR100470751B1 (ko) 2002-07-02 2005-03-08 주식회사 한일제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JP2011004959A (ja) * 2009-06-25 2011-01-13 Yoshiro Watanabe 長靴
KR101737910B1 (ko) 2016-04-27 2017-05-19 정상옥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KR101711881B1 (ko) 2016-05-25 2017-03-13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설포 통기성 신발
KR101767884B1 (ko) 2016-12-12 2017-08-23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통기성 장화 제조방법
KR20170122645A (ko) 2017-01-31 2017-11-06 정상옥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3246A (en) Slipper having good draining functions and providing enhanced support
KR101054622B1 (ko) 조립신발
MXPA04007059A (es) Calcetin con un soporte localizado en el tobillo.
US20020069558A1 (en) Flexible non-restrictive toe structure for shoes
KR100940011B1 (ko)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
KR102160594B1 (ko) 신발
KR100420766B1 (ko) 구두용 누드 양말
KR200433258Y1 (ko) 발가락 신발
KR102212694B1 (ko) 신발
KR101157454B1 (ko) 간이신발을 구비한 양말
US20210267312A1 (en) Shoe
KR102167555B1 (ko) 신발
KR101188698B1 (ko) 깁스 환자용 신발
KR101205240B1 (ko) 발바닥 보호용 신발
KR200457108Y1 (ko) 실내용 덧버선
KR102514616B1 (ko) 신발 깔창
CN220212066U (zh) 一种凉鞋
JP7204080B2 (ja) 室内履き
KR200314694Y1 (ko) 슬리퍼 기능을 갖는 구두
KR200166176Y1 (ko) 굽높이신발
JP7004705B2 (ja) 通気性を改善した二重構造の組立式シューズ
KR200243919Y1 (ko) 구두용 누드 양말
KR200432925Y1 (ko) 덧버선
KR20230155067A (ko) 슬리퍼로 변형이 가능한 신발
KR101367027B1 (ko) 이중커버를 구비하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