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240B1 - 발바닥 보호용 신발 - Google Patents

발바닥 보호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240B1
KR101205240B1 KR1020110038011A KR20110038011A KR101205240B1 KR 101205240 B1 KR101205240 B1 KR 101205240B1 KR 1020110038011 A KR1020110038011 A KR 1020110038011A KR 20110038011 A KR20110038011 A KR 20110038011A KR 101205240 B1 KR101205240 B1 KR 101205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hoe
tightening band
upper side
wa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9810A (ko
Inventor
김태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Priority to KR1020110038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240B1/ko
Publication of KR20120119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81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hook-and-loop typ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6Elastic b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발바닥 보호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신발 갑피의 발등부위에 발바닥보호 부재가 설치되며, 필요시에 상기 발바닥보호 부재가 펼쳐져서 연장되게 되어 신발 바닥을 감싸게 됨으로써 보행시 발바닥을 보호하는 것으로, 착용자가 보행시 신발 하부에 발바닥보호 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발을 보다 더 편하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바닥 보호용 신발{SOLE PROTECT SHOES}
본 발명은 발바닥 보호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하부에 보행중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보호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서 발바닥을 보호할 수 있는 발바닥 보호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착용시에 지면과의 충격을 완화하여 발을 보호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보행등을 편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발의 건강에도 관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발은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로 이루어져 있고, 지면과의 접촉시에 몸 전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한다.
보행시에는 후족부 부위인 발꿈치가 제일 먼저 지면에 닿게되고, 따라서, 대부분의 신발은쿠션기능을 위해 뒤꿈치에 굽을 부착시키거나 밑창의 구조가 측면에서 볼때 앞부분보다 뒷부분이 두껍게 제조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운동화나 건강을 고려한 신발은 쿠션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행시에 지면에 접촉하는 부위인 밑창에 충격완화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다양한 건강 신발이 개발되었다. 밑창의 형상을 다양하게 제조하거나 또한, 발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인 안창과 밑창 사이에 부착된 중창에 쿠션 기능을 구비하도록 제조된 신발 등이 있다.
또한, 밑창 앞부분이 닳아서 얇아졌거나, 산행이나 운동중에 발바닥 앞부분이 아픈 경우가 있는데 밑창의 앞부분을 보강하여 충격완화를 목적으로 전족부 부위 안창위에 패드를 깔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신발에 땀이 차면서 비위생적일 수 있고 발을 안정감있게 보호하는 기능이 부족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착용자가 보행시 신발 하부에 발바닥보호 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발을 보다 더 편하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발바닥 보호용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발바닥 보호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신발 갑피의 발등부위에 발바닥보호 부재가 설치되며, 필요시에 상기 발바닥보호 부재가 펼쳐져서 연장되게 되어 신발 바닥을 감싸게 됨으로써 보행시 발바닥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착용자가 보행시 신발 하부에 발바닥보호 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발을 보다 더 편하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발바닥 보호용 신발에 조임밴드가 부착된 상태도
도2는 본 발명의 발바닥 보호용 신발에 조임밴드가 부착된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조임밴드의 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발바닥 보호용 신발에 조임밴드를 펼쳐서 사용하는 상태도
본발명은 발바닥 보호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신발 갑피의 발등부위에 발바닥보호 부재가 설치되며, 필요시에 상기 발바닥보호부재가 펼쳐져서 연장되게 되어 신발 바닥을 감싸게 됨으로써 보행시 발바닥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바닥보호 부재는 탄성이 있는 조임밴드(10) 형상으로 신발 갑피 발등부위에 일단 하부가 고정부착되며, 결합부재인 벨크로(찍찍이)(11)가 조임밴드(10)의 일단 상면과 중간부분 하면과 타단 상, 하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접거나 펼쳐짐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바닥보호부재의 표면에는 쿠션부재를 결합시켜서 보행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발바닥 보호용 신발에 조임밴드가 부착된 상태도, 도2는 본 발명의 발바닥 보호용 신발에 조임밴드가 부착된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조임밴드의 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발바닥 보호용 신발에 조임밴드를 펼쳐서 사용하는 상태도이다.
곧, 본 발명은 신발 몸체를 이루는 갑피의 발등부위에 형성되어, 신발을 안정감있게 착용하도록 조이는 기능을 하는 조임밴드에 있어서, 상기 조임밴드는 조임기능과 쿠션 기능이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인 벨크로는 조임밴드의 일단의 상면과 타단의 상하 양면과, 중간부분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조임밴드는 일단이 엄지발가락 방향인 갑피의 내측에 일체로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발등을 감싸면서 새끼발가락 방향인 갑피 외측으로 넘어가서 상기 갑피의 외측에서 1차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외측 결합부에서 위로 겹쳐 접어서 다시 갑피의 내측으로 돌아와서 이미 형성되어 있는 내측결합부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2차적으로 고정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임밴드는 필요에 따라서 펼쳐져서 연장되어 밑창을 감싸면서 발바닥의 전방부를 보호하게 되는데 조임밴드가 밑창을 감싸는 부분인 밑창지지부에는 쿠션기능을 위하여 스폰지나 고무 등의 충격흡수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밴드는 갑피의 상부 발등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신발은 밑창과 갑피와, 상기 갑피의 상부에 형성되는 덮개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덮개부에는 정해진 길이에 비해 다양한 발의 두께를 고려하여 갑피의 상부 발등부위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갑피 내부에 부착된 덮개로 덮은후 조임줄이나 조임밴드에 의해서 안정감있게 착용하도록 제조된다. 이때 개구부의 양측에 형성된 조임줄이나 조임밴드는 신발 착용시에 신발이 발에서 헐거워지지 않고 안정감과 착용감이 있도록 조이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조임기능을 하던 종래의 조임밴드에 쿠션 기능을 가지게 함으로써, 신발 밑창 앞부분이 닳았거나, 장기간의 보행, 운동이나 산행중에 발바닥에 통증이 있을때 본 발명의 조임밴드를 사용함으로써 발바닥 보호를 할 수 있다.
도 1, 2에서 상기 조임밴드가 엄지발가락방향인 갑피의 내측에 결합되는 부분을 내측결합부, 새끼발가락 방향인 갑피의 외측에 결합되는 부분을 외측 결합부라 할때 상기 조임밴드는 내측결합부에 양쪽 단부가 겹쳐지고 중간부위가 외측결합부에 고정부착된 상태로 갑피의 상부에 형성 되어있다.
조임밴드는 일단 하면은 갑피의 내측에 재봉등으로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은 당겨서 발등을 가로질러 갑피의 외측으로 넘어가서 조임밴드의 중간부위 하면이 외측 결합부에 탈부착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조임기능은 신발을 안정감있게 착용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상기 외측 결합부에서 다시 위로 접히면서 내측결합부에서 끝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조임밴드이다. 결합부재는 벨크로, 암,수 똑딱버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임밴드는 도 4와 같이 밑창을 감싸면서 발바닥의 전방부를 보호하게 되는데 밑창을 감싸는 부분을 밑창지지부라 하며 쿠션기능을 한다.
상기 밑창지지부는 밑창을 감싸는 부분인 것을 고려하여 내마모성이 있는 천을 따로 부착하여 제조가능하다. 또한, 쿠션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충격흡수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밑창지지부에서 조임밴드의 내피와 외피사이에 발바닥과 지면이 닿을 때 충격이 감소되도록 충격흡입제를 삽입하여 제조가능하다
상기 조임밴드는 쿠션기능 외에 색상이나 디자인에서 신발의 상품성을 향상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임밴드를 갑피와 동일 색상으로 제조하거나 다른 색상을 사용하여 신발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향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완충효과로 인해 발바닥을 보호하여 발의 피로를 줄이고 편안한 착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조임밴드에 쿠션기능을 첨가하여 신발의 완충효과와 발바닥 보호 역할을 동시에 하도록 구성 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도이다. 상기 조임밴드는 도1 에서와 같이 평소에는 갑피 상부에 부착되어 있고, 도로포장이 원만하지 않는 곳을 걷거나, 운동이나 산행 중에 발바닥이 통증이 있거나 할 때 상기 갑피 상부에 있는 조임밴드를 풀어서 도3 에서와 같이 발을 감싸는데 사용된다.
상기 조임밴드는 그 길이는 내측에서 외측을 지나 신발 밑바닥을 싸고 다시 내측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폭은 발가락을 제외한 앞부분의 절반 이상을 감쌀수있는 크기가 바람직하다.
사람의 발바닥의 대부분은 후족부와 전족부 하부 부위에서 지면과 닿게되는데, 보행시에는 주로 발 뒷 꿈치가 먼저 닿게 되지만 발이 붓거나 조깅시에는 발가락부위를 제외한 전족부가 지면과 먼저 닿게되는데 이부위에서 밑창의 쿠션기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을때 상기 조임밴드를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사용 후에는 갑피상부에 다시 접어서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동이나 장기간 걸어서 발바닥이 통증이 있거나 했을 때 상기 조임밴드의 쿠션 기능을 인하여 발을 보호하여, 발의 피로를 줄이고 전체적인 몸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 : 조임밴드 11 : 벨크로(찍찍이)
12 : 밑창지지부 13 : 외측결합부
14 : 내측결합부

Claims (3)

  1. 신발 갑피의 발등부위에 발바닥보호 부재가 설치되며, 필요시에 상기 발바닥보호부재가 펼쳐져서 연장되게 되어 신발 바닥을 감싸게 됨으로써 보행시 발바닥을 보호하는 발바닥 보호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보호부재는 탄성이 있는 조임밴드(10) 이며, 신발 갑피 발등부위에 일단 하부가 재봉에 의해 일체로 고정부착되며, 결합부재인 벨크로(11)가 조임밴드(10)의 일단 상면과 중간부분 하면과 타단 상, 하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접거나 펼쳐짐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조임밴드의 일단이 엄지발가락 방향인 갑피의 내측에 일체로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발등을 감싸면서 새끼발가락 방향인 갑피 외측으로 넘어가서 상기 갑피의 외측에서 1차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외측 결합부에서 위로 겹쳐 접어서 다시 갑피의 내측으로 돌아와서 이미 형성되어 있는 내측결합부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2차적으로 고정부착되는 것이며,
    보행시 발바닥을 보호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조임밴드(10)의 다른 일단이 갑피 내측에서 갑피 외측을 지나 신발 바닥을 감싸며, 최종적으로 갑피 내측에서 벨크로(11)로 결합되되, 조임밴드(10)의 밑창지지부(12)가 신발바닥을 감싸며 쿠션기능을 하게 되어, 보행시 발바닥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보호용 신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보호부재의 표면에는 쿠션부재를 결합시켜서 보행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보호용 신발
KR1020110038011A 2011-04-22 2011-04-22 발바닥 보호용 신발 KR101205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011A KR101205240B1 (ko) 2011-04-22 2011-04-22 발바닥 보호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011A KR101205240B1 (ko) 2011-04-22 2011-04-22 발바닥 보호용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810A KR20120119810A (ko) 2012-10-31
KR101205240B1 true KR101205240B1 (ko) 2012-11-27

Family

ID=4728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011A KR101205240B1 (ko) 2011-04-22 2011-04-22 발바닥 보호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352Y1 (ko) * 2015-09-09 2017-05-08 삼덕통상 주식회사 암벽화용 밴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2836U (ko) 1973-05-07 1974-03-22
JP2006212375A (ja) * 2005-02-03 2006-08-17 Akio Yuda 靴の滑り止め補助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2836U (ko) 1973-05-07 1974-03-22
JP2006212375A (ja) * 2005-02-03 2006-08-17 Akio Yuda 靴の滑り止め補助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810A (ko)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4878C2 (ru) Обувь на раздельной подошве
KR101426154B1 (ko) 신발
US20180055139A1 (en) Ballet shoe
KR102416454B1 (ko) 샌들이나 슬리퍼로 변환되는 신발
US20200229531A1 (en) Shoe with improved strap assembly
EP2319345A1 (en) Boot having an extensible band
JP2022530486A (ja) 着用が簡便な機能性靴
US20150173454A1 (en) Footwear
KR101205240B1 (ko) 발바닥 보호용 신발
KR20090085381A (ko)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
KR101314663B1 (ko) 일체결합형 휴대용 신발
KR100420766B1 (ko) 구두용 누드 양말
US20120198731A1 (en) Pant Leg Protector Insole
KR101366132B1 (ko)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
US20160183634A1 (en) SockTips
CN215124854U (zh) 适于足背上部穿着的垫片
KR101226345B1 (ko) 기능성 신발창
KR200440891Y1 (ko) 덧버선
JP7351499B2 (ja) 靴カバー
JP5538615B1 (ja)
KR102160594B1 (ko) 신발
KR102351033B1 (ko) 태권도 품새용 슈즈
CN211794574U (zh) 一种具有防护作用的安全鞋
KR101067487B1 (ko) 등산화용 발가락 보호대
JP5465262B2 (ja) 履物用緊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