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132B1 -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132B1
KR101366132B1 KR1020130034144A KR20130034144A KR101366132B1 KR 101366132 B1 KR101366132 B1 KR 101366132B1 KR 1020130034144 A KR1020130034144 A KR 1020130034144A KR 20130034144 A KR20130034144 A KR 20130034144A KR 101366132 B1 KR101366132 B1 KR 101366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binding
pair
sol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894A (ko
Inventor
박금명
Original Assignee
박금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금명 filed Critical 박금명
Publication of KR20130142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18Devices for holding overshoes in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8Polishing implements
    • A47L13/282Polishing implements mounted under footwear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를 가지는 내리막길이나, 비탈길 등을 내려갈 때 등산화 등을 포함하는 신발에 착용하여 하중에 의해 무릎이나 발목 등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완충하는 한편, 오르막길 등을 오를 때는 신발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편한 보행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DESORPTION POSSIBLE BUFFER APPARATUS FOR SHOE OF DESORPTION TYPE}
본 발명은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를 가지는 내리막길이나, 비탈길 등을 내려갈 때 등산화 등을 포함하는 신발에 착용하여 하중에 의해 무릎이나 발목 등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완충하는 한편, 오르막길 등을 오를 때는 신발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편한 보행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등과 발목 부분을 보호하는 갑피와, 발바닥을 보호하면서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보행에 도움을 제공하는 신발 밑창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신발은 내리막길을 내려갈 때 하중에 의한 충격이 무릎이나, 허리 등으로 전달됨으로써, 무릎, 허리, 목 등에 부담을 주어 통증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올바른 보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피로감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41886호에 따르면, 등산화 밑창의 전면부를 후면부보다 높게 경사지게 형성하여 하산시 착용자의 무릎이나 발목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등산화의 밑창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등산화의 밑창구조는 앞 밑창이 뒷 밑창보다 높게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내리막길과 반대로 오르막길을 오를 때는 보행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41886호(2007. 04. 2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를 가지는 내리막길이나, 비탈길 등을 내려갈 때 등산화 등을 포함하는 신발에 착용하여 하중에 의해 무릎이나 발목 등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완충하는 한편, 오르막길 등을 걸을 때는 신발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편한 보행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상면에 안착되며, 발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뒤꿈치가 위치되는 후측밑창부와, 앞꿈치가 위치되는 전측밑창부가 구비되는 신발밑창을 포함하는 신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완충장치로서,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신발밑창의 하부에 위치되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를 상기 신발에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완충부는, 양단부 사이 중앙부가 상기 전,후측밑창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신발밑창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양단부의 길이는 상기 신발밑창보다 짧게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전측밑창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후측밑창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완충부는, 상기 대상면과 접촉되는 하부면에 미끄럼방지돌기가 다수 구비되는 미끄럼방지패드; 상기 미끄럼방지패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강패드; 및 상기 보강패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충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강패드는, 양단부 사이 중앙부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편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편은, 상기 전측밑창부와 상기 후측밑창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완충부는, 양단부 사이 중앙 하부에 탄력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력홈은, 상기 전측밑창부와 상기 후측밑창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신발밑창은, 상기 전측밑창부와 상기 후측밑창부 사이에 공간홈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는, 양단부 사이 중앙부 상면에 상기 공간홈으로 인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속부는, 상기 완충부의 전단부를 상기 신발에 결속하는 제1결속모듈; 및 상기 완충부의 후단부를 상기 신발에 결속하는 제2결속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속모듈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완충부의 전단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연결바;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연결바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압착바; 및 상기 한 쌍의 제1압착바의 타단부를 상호 결속하는 제1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속모듈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완충부의 후단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연결바;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2연결바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압착바; 및 상기 한 쌍의 제2압착바의 타단부를 상호 결속하는 제2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속부는, 상기 완충부의 전단부를 상기 신발에 결속하는 제1결속모듈; 및 상기 완충부의 후단부를 상기 신발에 결속하는 제2결속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속모듈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완충부의 전단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연결바; 및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연결바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압착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속모듈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완충부의 후단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연결바;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2연결바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압착바; 및 상기 한 쌍의 제2압착바의 타단부를 상호 결속하는 제2결속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제1압착바는, 타단부가 각각 상기 제2압착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연결바를 연결하는 제3압착바를 더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산이나, 산행시 등 내리막길이나, 비탈길 등을 내려갈 때 등산화 등을 포함하는 신발에 간편하게 착용하여 대상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발과 무릎에 적은 힘을 들이고도 체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여 하중에 의해 무릎이나 발목 등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완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리막길이나, 비탈길 등을 내려갈 때 발이 신발의 내부로부터 그 신발의 전방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예방됨으로써 바른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발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오르막길 등을 오를 때는 신발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편한 보행자세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에서 대상면과 완충부가 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에서 완충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에서 완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에서 결속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대상면과 완충부가 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완충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 완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결속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이하, "완충장치"라 한다)(1)는 대상면(100)에 안착되며, 발의 뒤꿈치(210)가 위치되는 후측밑창부(310)와, 발의 앞꿈치(220)가 위치되는 전측밑창부(320)가 구비되는 신발밑창(330)을 포함하는 신발(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완충장치로서, 상기 신발밑창(330)에 위치되는 완충부(10), 상기 완충부(10)를 상기 신발(300)에 결속하는 결속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대상면(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 등의 실외 지면이나, 실내 바닥면 등을 포함하며, 보행시 상기 완충부(10)가 안착되어 접촉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의 앞꿈치(220)는 발(200)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A)을 중심으로 상기 발의 뒤꿈치(210)와 반대되는 위치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발밑창(330)은 발(200)이 상측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중앙부에 위치되는 상기 가상의 중심선(A)을 중심으로 상기 발의 뒤꿈치(210)가 위치되는 후측밑창부(310)와 상기 발의 앞꿈치(220)가 위치되는 전측밑창부(3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10)는 경사를 가지는 내리막길이나, 비탈길 등을 내려갈 때 무릎이나, 발목 등에 가해지는 하중을 후방으로 분산시켜 충격 등을 완충한다.
상기 완충부(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양단부의 폭(B)이 그 양단부 사이 중앙부의 폭(C)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방부 상측에는 상기 전측밑창부(320)가 위치되고, 후방부 상측에는 상기 후측밑창부(310)가 위치된다.
상기 완충부(10)는 전,후단부가 상기 신발밑창(3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신발밑창(300)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완충부(10)가 상기 신발밑창(30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므로 인해 보행시 상기 전측밑창부(320) 및 상기 후측밑창부(310)가 상기 대상면(100)에 자연스럽게 접촉되면서 바른 보행이 유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를 가지는 내리막길이나, 비탈길 등을 내려갈 때 상기 후측밑창부(310)와 상기 완충부(10)의 후방부 및 상기 전측밑창부(320)와 상기 완충부(10)의 전방부가 함께 상기 대상면(100)에 접촉되면서 그 대상면(100)과 접촉되는 면적이 넓게 유도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완충부(1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면(100)에 안착되는 하부면에 미끄럼방지돌기(11)가 다수 구비되는 미끄럼방지패드(12), 상기 미끄럼방지패드(12)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강패드(13) 및 상기 보강패드(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충패드(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12)는 접지력을 높여 상기 대상면(100)으로부터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완충패드(14)는 우레탄,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행시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 등을 완충한다.
상기 보강패드(13)는 강화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완충패드(14)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패드(12)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강패드(13)는 보행시 상기 완충부(10)가 상,하 방향으로의 휨 상태로부터 원상태로의 복원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보강패드(13)는 양단부 사이 중앙부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완충패드(14)로 인입되는 보강편(13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편(13a)은 상기 전측밑창부(320)와 상기 후측밑창부(31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완충부(10)는 양단부 사이 중앙 하부 즉, 상기 전측밑창부(320)와 상기 후측밑창부(310)가 위치되는 사이 하부에 탄력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력홈(15)은 상기 완충부(1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보행시 상기 대상면(100)과 접촉되는 상기 완충부(10)의 탄력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한편, 보행시 그 양단부 사이가 갈라지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완충부(10)는 보행시 상기 대상면(100)과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지면서 발과 무릎에 적은 힘을 들이고도 체중을 지탱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를 가지는 내리막길이나, 비탈길 등을 내려올 때 하중에 의해 무릎이나 발목 등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완충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발 앞꿈치(220)로 걷는 것이 발바닥 전체로 걷는 것보다 상기 대상면(100)과 접촉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면서 무릎이나, 발목 등에 부담이 더 큰 점에 비추어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10)는 양단부 사이 중앙 상부 즉, 상기 전측밑창부(220)와 상기 후측밑창부(210)가 위치되는 사이 상부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신발밑창(330)은 상기 후측밑창부(310)와 상기 전측밑창부(320) 사이 하부에 상방향으로 함몰되는 공간홈(340)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완충부(10)는 상기 돌출부(16)가 상기 공간홈(340)에 위치되면서 보행시 상기 발 뒤꿈치(210) 및 상기 발 앞꿈치(220)가 상기 대상면(100)에 내딛어질 때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완충부(10)가 상기 신발밑창(330)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대상면(100)과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10)가 상기 대상면(100)에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진다는 의미는 상기 신발밑창(330)이 상기 대상면(100) 직접 안착될 때보다 상대적으로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장치(1)는 보행시 상기 전측밑창부(320) 및 상기 후측밑창부(310)가 상기 대상면(100)에 자연스럽게 접촉되면서 경사를 가지는 내리막길이나, 비탈길 등을 내려갈 때 상기 후측밑창부(310)와 상기 완충부(10)의 후방부 및 상기 전측밑창부(320)와 상기 완충부(10)의 전방부가 함께 상기 대상면(100)에 접촉되면서 그 대상면(100)과 접촉되는 면적이 넓게 된다.
한편, 상기 결속부(20)는 상기 완충부(10)가 상기 신발밑창(3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속부(2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10)의 전단부를 상기 신발(300)에 결속하는 제1결속모듈(21), 상기 완충부(10)의 후단부를 상기 신발(300)에 결속하는 제2결속모듈(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속모듈(21)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완충부(10)의 전단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연결바(22),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연결바(22)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압착바(23) 및 상기 한 쌍의 제1압착바(23)의 타단부를 상호 결속하는 제1결속부재(24)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1연결바(22)는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완충부(10)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압착바(23)는 다양한 형태로 상기 한 쌍의 연결바(22)에 연결될 수 있으나 봉제 등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결속모듈(25)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완충부(10)의 후단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연결바(26),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2연결바(26)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압착바(27) 및 상기 한 쌍의 제2압착바(27)의 타단부를 상호 결속하는 제2결속부재(28)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2연결바(26)는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완충부(10)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제2압착바(27)는 다양한 형태로 상기 한 쌍의 제2연결바(26)에 연결될 수 있으나 봉제 등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1,2결속부재(24,28)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일반적인 형태의 암,수버클을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제1,2연결바(22,26)는 가죽이나, 직물지 등을 포함하는 비탄력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제1,2압착바(23,27)는 고무줄 등의 탄력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속모듈(21)은 상기 신발(300)의 앞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결속되고, 상기 제2결속모듈(25)은 상기 제1결속모듈(21)보다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신발(300)의 등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결속된다.
이때, 상기 결속부(20)는 상기 한 쌍의 제2연결바(26)를 연결하는 제3압착바(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압착바(29)는 고무줄 등의 탄력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신발(300)의 뒤축을 감싸는 형태를 이룬다.
또는, 상기 제1결속모듈(21)은 상기 제1압착바(23)의 타단부가 각각 상기 제2압착바(27)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제1압착바(23)의 타단부를 상호 결속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제1결속모듈(25)을 필요로 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로 인해, 상기 완충장치(1)는 경사를 가지는 내리막길이나, 비탈길 등을 내려갈 때 상기 신발(300)에 간편하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보행시 상기 대상면(100)에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지면서 발과 무릎에 적은 힘을 들이고도 체중을 지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하중에 의해 무릎이나 발목 등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완충할 수 있다.
또한, 경사를 가지는 내리막길이나, 비탈길 등을 내려갈 때 발이 상기 신발(300)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바른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발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오르막길 등을 오를 때는 상기 신발(30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편한 보행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가능한 신발용 완충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완충장치 10 : 완충부
11 : 미끄럼방지돌기 12 : 미끄럼방지패드
13 : 보강패드 14 : 완충패드
15 : 공간홈 16 : 돌출부
20 : 결속부 21 : 제1결속모듈
22 : 제1연결바 23 : 제1압착바
24 : 제1결속부재 25 : 제2결속모듈
26 : 제2연결바 27 : 제2압착바
28 : 제2결속부재 29 : 제3압착바
100 : 대상면 200 : 발
210 : 뒤꿈치 220 : 앞꿈치
300 : 신발 310 : 후측밑창부
320 : 전측밑창부 330 : 신발밑창

Claims (9)

  1. 발의 뒤꿈치가 위치되는 후측밑창부와, 앞꿈치가 위치되는 전측밑창부가 구비되며, 상기 전측밑창부와 상기 후측밑창부 사이에 공간홈이 형성되는 신발밑창을 포함하는 신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완충장치로서,
    양단부의 사이 중앙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홈으로 상기 돌출부가 인입되도록 상기 신발밑창의 하부에 배치되되, 양단부의 길이는 상기 신발밑창보다 짧게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전측밑창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후측밑창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를 상기 신발에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대상면과 접촉되는 하부면에 미끄럼방지돌기가 다수 구비되는 미끄럼방지패드;
    상기 미끄럼방지패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강패드; 및
    상기 보강패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충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드는,
    양단부 사이 중앙부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편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편은,
    상기 전측밑창부와 상기 후측밑창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양단부 사이 중앙 하부에 탄력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력홈은,
    상기 전측밑창부와 상기 후측밑창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완충부의 전단부를 상기 신발에 결속하는 제1결속모듈; 및
    상기 완충부의 후단부를 상기 신발에 결속하는 제2결속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속모듈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완충부의 전단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연결바;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연결바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압착바; 및
    상기 한 쌍의 제1압착바의 타단부를 상호 결속하는 제1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속모듈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완충부의 후단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연결바;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2연결바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압착바; 및
    상기 한 쌍의 제2압착바의 타단부를 상호 결속하는 제2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완충부의 전단부를 상기 신발에 결속하는 제1결속모듈; 및
    상기 완충부의 후단부를 상기 신발에 결속하는 제2결속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속모듈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완충부의 전단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연결바; 및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연결바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압착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속모듈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완충부의 후단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연결바;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2연결바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압착바; 및
    상기 한 쌍의 제2압착바의 타단부를 상호 결속하는 제2결속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제1압착바는,
    타단부가 각각 상기 제2압착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연결바를 연결하는 제3압착바를 더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
KR1020130034144A 2012-06-20 2013-03-29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 KR101366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6199 2012-06-20
KR1020120066199 2012-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894A KR20130142894A (ko) 2013-12-30
KR101366132B1 true KR101366132B1 (ko) 2014-03-12

Family

ID=4998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144A KR101366132B1 (ko) 2012-06-20 2013-03-29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1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422A (ko) * 2016-11-24 2018-06-01 김정완 신발 밑창 보호대 및 청소용 패드
KR102109784B1 (ko) * 2019-02-14 2020-05-15 박호제 키높이용 신발 받침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520U (ko) * 2009-08-06 2011-02-14 김재식 탈부착식 건강 신발바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520U (ko) * 2009-08-06 2011-02-14 김재식 탈부착식 건강 신발바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894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444B2 (en) Athletic footwear and the like with integral supinator device
US7966747B2 (en) Dance footwear
US7320188B2 (en) Running sandal
US20020144434A1 (en) Walking boot having a detachable upper reinforcement, and reinforcement for such a boot
KR101841085B1 (ko) 신기 편한 신발구조
US20120124860A1 (en) Training sandal and method of use
US20200229531A1 (en) Shoe with improved strap assembly
EP2319345A1 (en) Boot having an extensible band
KR101366132B1 (ko)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
KR101265080B1 (ko) 기능성 신발물품
CN114080166B (zh) 具有自适应鞋面材料的跑鞋
KR101166572B1 (ko) 신발창
KR101319821B1 (ko) 신발창
KR101119566B1 (ko) 하체 근력강화를 유도하는 신발창
US20120079740A1 (en) Basketball Shoe Sole
KR20110112975A (ko) 신발 밑창
KR200461631Y1 (ko) 아치부위체형 맞춤 선택형 충격흡수분산기능성 보형물을 갖는 신발
KR200455079Y1 (ko) 직선보행유도기능을 갖는 중창을 갖는 신발
KR101129339B1 (ko) 등산용 보조신발
KR101288691B1 (ko) 신발 밑창
KR200476129Y1 (ko)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KR101288017B1 (ko) 비탈면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용 탈부착 등산화뒷굽
KR101205240B1 (ko) 발바닥 보호용 신발
KR200467471Y1 (ko) 등산화 보조장치
KR20110000605A (ko) 탈착식 등산화 충격흡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