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471Y1 - 등산화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등산화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471Y1
KR200467471Y1 KR2020110010903U KR20110010903U KR200467471Y1 KR 200467471 Y1 KR200467471 Y1 KR 200467471Y1 KR 2020110010903 U KR2020110010903 U KR 2020110010903U KR 20110010903 U KR20110010903 U KR 20110010903U KR 200467471 Y1 KR200467471 Y1 KR 200467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king
hiking boots
height adjusting
adjusting means
replace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쌍용
Original Assignee
이쌍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쌍용 filed Critical 이쌍용
Priority to KR2020110010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4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4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9Equipment associated with footwear for walking on inclines to compensate for angle of inclina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산화(H)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100)과, 상기 높이조절수단(1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100)를 신발에 고정하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100)은, 등산화(H)의 밑창과 결합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교체가능한 교체부재(120)를 포함하는 등산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경사면을 오르거나 내릴 때 등산화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등산화의 밑창에 손쉽게 착용하여 발바닥의 평형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발목 관절이 과도하게 꺾여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 발바닥 전체에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착용자의 안정적인 보행을 돕는 한편, 발바닥의 피로를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등산화 보조장치{Support Device for Hiking Boots}
본 고안은 등산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등산시 경사면인 오르막과 내리막을 보행할 때 등산화의 높이를 조절하여 손쉽게 보행할 수 있는 등산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과 같이 경사면을 오르거나 내리는 운동을 장시간 지속하는 경우, 사람은 몸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발과 무릎 등에 과도한 힘이 집중되고, 이로 인해 경직된 신체부위가 쉽게 부상을 당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장시간 보행시에는 발 앞꿈치나 뒷꿈치에 체중이 오랫동안 집중되어 물집이 잡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경사면을 오르거나 내릴 때 등산화의 밑창에 손쉽게 착용하여 보행을 돕도록 하는 등산화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 보조장치는, 등산화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를 신발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등산화의 밑창과 결합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교체가능한 교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와 상기 교체부재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좌우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교체부재가 상기 몸체에 슬라이딩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기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이탈방지홈과 이탈방지리브가 각각 더 형성되어, 상기 교체부재가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 보조장치에 의하면, 경사면을 오르거나 내릴 때 등산화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등산화의 밑창에 손쉽게 착용하여 발바닥의 평형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노약자나 등산 초보자가 쉽게 등산을 할 수 있으며, 발목 관절이 과도하게 꺾여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 발바닥 전체에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착용자의 안정적인 보행을 돕는 한편, 발바닥의 피로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 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 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 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몸체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교체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 보조장치가 오르막에 사용되는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 보조장치가 내리막에 사용되는 측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 보조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 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 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 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몸체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교체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 보조장치가 오르막에 사용되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 보조장치가 내리막에 사용되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산화(H)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100)과, 상기 높이조절수단(1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100)를 신발에 고정하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100)은, 등산화(H)의 밑창과 결합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교체가능한 교체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좌측이 라운드진 사각형상을 가지며,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져 진다. 상기 몸체(110)는 합성수지제로 제작 될 수 있으며, 특히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10)의 상부면에는 미끄럼방지돌기(112)가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돌기(112)는 원뿔 형상을 가지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돌기(112)는 등산화(H)와 상기 몸체(110)의 마찰력을 높여 등산화(H)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미끄럼방지돌기(112)는 원뿔 형상 뿐만 아니라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110)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결합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14)은 전후(도 4 참조)로 길게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14)은 하부방향에서 상부방향(도 3 참조)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결합돌기(122)가 삽입되어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홈(114)의 좌,우측(도 4 참조)에는 다수개의 이탈방지홈(116)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홈(116)은 상기 결합홈(114)의 좌,우측으로 더 함몰 형성되며,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탈방지홈(116)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탈방지리브(124)가 결합되어진다.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는 교체부재(120)가 결합된다. 상기 교체부재(120)는 일측의 두께가 두껍고, 타측의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교체부재(120)는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10)를 지지하며 바닥면과 접촉되어 진다. 상기 교체부재(120)는 합성수지제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특히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체부재(120)의 상부면에는 전,후로 길게 결합돌기(12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22)는 하부에서 상부(도 3 참조)로 갈수록 넓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22)는 상기 결합홈(114)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교체부재(120)가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돌기(122)의 좌,우측에는 이탈방지리브(124)가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리브(124)는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홈(116)에 결합된다. 상기 이탈방지리브(124)는 상기 교체부재(120)를 상기 결합홈(114)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즉, 상기 교체부재(120)가 상기 결합홈(114)에 결합되면 상기 이탈방지홈(116)과 상기 이탈방지리브(124)에 의해 보다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교체부재(120)의 하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요철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126)는 삼각파형으로 형성되어 경사면과 접촉시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00)의 좌우(도 2 참조)측에는 고정수단(20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높이조절수단(100)과 재봉결합되어진다.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높이조절수단(100)과 연결되는 결속끈(210)과, 상기 결속끈(210)에 결합되는 암버클(220)과, 상기 암버클(220)에 삽입 고정되는 수버클(230)와, 상기 수버클과 연결되는 길이조절부(2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끈(210)은 일반적인 천으로 이루어져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재봉 결합된다. 상기 결속끈(210)의 일측에는 상기 높이조절수단(100)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암버클(220)이 연결된다. 상기 결속끈(210)은 상기 암버클(220)을 높이조절수단(100)과 연결시킨다.
상기 결속끈(210)의 끝단에는 암버클(220)이 재봉 결합된다. 상기 암버클(220)은 아래에서 설명할 수버클(230)과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100)을 등산화(H)에 고정한다. 상기 암버클(220)의 내부에는 수버클(230)이 결합된다. 상기 수버클(230)은 암버클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암버클(220)과 수버클(230)이 상호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100)을 등산화(H)에 고정한다. 상기 고정수단(200)은 버클 이외에도 탄력밴드, 벨크로테이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수버클(230)의 일측에는 길이조절부(240)가 결합된다. 상기 길이조절부(240)는 일면에 암벨크로(미도시)와 수벨크로(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부(240)는 상기 수버클(230)의 연결고리(232)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길이조절부(240)는 암벨크로와 수벨크로를 서로 결합시켜 등산화(H)와 높이조절수단(100)의 부착시에 고정수단(20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 보조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보행자가 경사면의 오르막과 내리막에 보행할 때, 등산화(H)의 앞밑창 또는 뒷밑창에 등산화 보조장치(10)를 손쉽게 부착할 수 있고, 착용상태에서는 경사면의 오르막과 내리막 보행시에는 발바닥이 경사면과 평형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경사면을 오를때에는, 등산화(H)의 뒷밑창의 라운드되는 부분과 높이조절수단(100)의 라운드되는 부분을 일치시켜 등산화(H)의 뒷밑창을 상기 높이조절수단(100)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등산화(H)의 뒷꿈치와 발등에 각각 고정수단(200)을 감싸 고정한다. 상기 고정수단(20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길이조절부(240)를 잡아당겨 부착한다. 즉, 등산화(H) 뒷밑창의 높이를 높여 발바닥이 수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경사면을 내릴때에는, 등산화(H)의 앞밑창의 라운드되는 부분과 높이조절수단(100)의 라운드되는 부분을 일치시켜 등산화(H)의 앞밑창을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등산화(H)의 발등과 뒷꿈치에 각각 고정수단(200)을 감싸 고정한다. 상기 고정수단(20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길이조절부(240)를 잡아당겨 부착한다.
따라서, 발바닥을 평형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은 발목 관절이 과도하게 꺽이는 것을 방지하고, 발바닥 전체에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안정적인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부착한다.
또한, 사용자는 등산화 보조장치(10)가 오랜기간 사용으로 바닥면의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거나, 경사도가 다소 높은 경사면에서는 교체부재(12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거한다. 새로운 교체부재(120)로 변경하거나 바닥면의 각도가 큰 교체부재(120)로 변경하여 사용한다. 즉, 등산화 보조장치(10)의 교체부재(120)만 교체하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등산시 경사면의 경사도에 따라 교체부재(120)를 변경 할 수 있어 보다 쉬운 등산이 가능해 진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홈(114)과 결합돌기(12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결합홈(114)이 교체부재(120)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기(122)가 몸체(110)에 구비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홈(116)과 이탈방지리브(124)는 라운드 형상 이외에도 여러가지 다른 형상이 적용 가능하며, 하나의 이탈방지홈(116)과 이탈방지리브(124)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높이조절수단(100)은 등산시 발에 작용하는 충격과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내부가 격자로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10. 등산화 보조장치 100. 높이조절수단
110. 몸체 112. 미끄럼방지돌기
114. 결합홈 116. 이탈방지홈
120. 교체부재 122. 결합돌기
124. 이탈방지리브 126. 요철부
200. 고정수단 210. 결속끈
220. 암버클 230. 수버클
240. 길이조절부

Claims (3)

  1. 등산화(H)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등산화(H)의 밑창과 결합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교체가능한 교체부재(120)로 구성되는 높이조절수단(100)과;
    상기 높이조절수단(1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100)를 신발에 고정하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110)와 상기 교체부재(120)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114)과 결합돌기(122)가 좌우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교체부재(120)가 몸체(110)에 슬라이딩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114)과 상기 결합돌기(122)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이탈방지홈(116)과 이탈방지리브(124)가 각각 더 형성되어, 상기 교체부재(120)가 상기 몸체(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화 보조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110010903U 2011-12-08 2011-12-08 등산화 보조장치 KR200467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903U KR200467471Y1 (ko) 2011-12-08 2011-12-08 등산화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903U KR200467471Y1 (ko) 2011-12-08 2011-12-08 등산화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471Y1 true KR200467471Y1 (ko) 2013-06-14

Family

ID=5367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903U KR200467471Y1 (ko) 2011-12-08 2011-12-08 등산화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4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086U (ko) * 2015-03-03 2016-09-13 김용석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229U (ko) * 2007-03-26 2008-10-01 이쌍용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229U (ko) * 2007-03-26 2008-10-01 이쌍용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086U (ko) * 2015-03-03 2016-09-13 김용석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
KR200482112Y1 (ko) * 2015-03-03 2016-12-15 김용석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0188B2 (en) Running sandal
US10765169B2 (en) High foot mobility shoe
US2801478A (en) Auxiliary soles
US9462849B2 (en) Adhesive footwear and devices
KR20110020835A (ko) 미끄럼방지 바닥을 가진 신발용 커버
KR20000067994A (ko) 그라인딩 판을 갖춘 신발류 장치와 그 제조 방법
US20120124860A1 (en) Training sandal and method of use
US4780970A (en) Shoe protector
JP2024039656A (ja) 中敷き及びこれを備えた靴
KR200467471Y1 (ko) 등산화 보조장치
US20080178495A1 (en) Foot Clip
KR101129339B1 (ko) 등산용 보조신발
US9380829B2 (en) Shock-absorbing walk-aiding shoe
KR101366132B1 (ko)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
KR102626233B1 (ko) 운동용 뒤꿈치 받침대
KR20180100037A (ko) 운동용 신발 밑창
KR101288691B1 (ko) 신발 밑창
KR200471407Y1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
KR20100011413U (ko) 하산용 신발 보조 밑창
KR20180055769A (ko) 높이 조절 구두 굽, 이를 구비한 구두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128807B1 (ko) 경사면 보행 밑창
KR20110000605A (ko) 탈착식 등산화 충격흡수기
CN210611161U (zh) 一种沙滩拖鞋
TWI743371B (zh) 康特腳跟杯套入式裝置
KR101840945B1 (ko) 높이 조절 구두 굽, 이를 구비한 구두 및 이의 사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