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112Y1 -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112Y1
KR200482112Y1 KR2020150001405U KR20150001405U KR200482112Y1 KR 200482112 Y1 KR200482112 Y1 KR 200482112Y1 KR 2020150001405 U KR2020150001405 U KR 2020150001405U KR 20150001405 U KR20150001405 U KR 20150001405U KR 200482112 Y1 KR200482112 Y1 KR 2004821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ing member
height adjusting
sho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086U (ko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김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석 filed Critical 김용석
Priority to KR2020150001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112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0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0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1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1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by scre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각도의 오르막 또는 내리막으로 형성된 길을 걸을 때, 착용자의 발이 수평이 될 수 있도록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에 관한 것으로써, 신발의 전면부 및 후면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에 대한 구성을 간단히 하고, 손쉽게 탈, 부착할 수 있으며, 경사각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연결 가능한 각도조절부재가 구성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어, 경사면에 따라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제 1, 2높이조절부재를 각각 탈, 부착하며 사용할 수 있어 경사면에 따른 탈, 부착이 용이하며, 경사각에 따라 별도의 각도조절부재를 함께 탈, 부착시킬 수 있어 경사각에 따른 미세한 조절도 가능하고, 높이조절에 따른 구성을 간단히 하여 실용성을 극대화 시키는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front and rear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shoe and the shoe member }
본 고안은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각도의 오르막 또는 내리막으로 형성된 길을 걸을 때, 착용자의 발이 수평이 될 수 있도록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각도를 가진 경사면 도로 또는 길 또는 등산을 할 때, 경사면의 각도에 따라 지면과 수평이 되게 되는 신발로 인해 신발 착용자의 발 또는 발목 또는 무릎까지 일정 각도를 이루게 되어 무리가 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는 경사면 각도에 따라 발의 앞꿈치 또는 뒷꿈치 등 일 부분에만 힘이 들어가게 되어 착용자로 하여금 발, 발목, 무릎으로 무리가 가는 일이 배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등록번호 10-0810694호의 '경사조절용 다리교정 신발' 과, 등록번호 20-0313447호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작업용 신발 고정구' 및 등록번호 20-0192602호의 '다리 길이 균형 조정신발' 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상기한 기술들은 그 구성 및 구조가 복잡하여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고, 구성의 복잡성으로 인해 기능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로 인해 불량 및 파손의 원인이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신발의 전면부 및 후면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에 대한 구성을 간단히 하고, 손쉽게 탈, 부착할 수 있으며, 경사각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연결 가능한 각도조절부재가 구성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높이 조절용 신발에 장착되는 높이조절부재에 있어서, 신발 밑창의 하부 전면측과 하면측에 각각 형성되되 밑창 하부면에서 상측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며 외주에는 나선이 형성된 제 1결속홈과 제 2결속홈에 결속되되, 상기 제 1결속홈에 나선으로 연결되는 제 1높이조절부재와, 상기 제 2결속홈에 나선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 1높이조절부재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 2높이조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을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에 의하면, 경사면에 따라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제 1, 2높이조절부재를 각각 탈, 부착하며 사용할 수 있어 경사면에 따른 탈, 부착이 용이하며, 경사각에 따라 별도의 각도조절부재를 함께 탈, 부착시킬 수 있어 경사각에 따른 미세한 조절도 가능하고, 높이조절에 따른 구성을 간단히 하여 실용성을 극대화 시키는 등 그 효과가 큰 고안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인 높이조절부재가 장착된 신발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높이조절부재가 장착된 밑창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3은 밑창의 제 1결속홈 또는 제 2결속홈에 제 1높이조절부재 또는 제 2높이조절부재가 결합된 측단면도와 결합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밑창의 제 1결속홈에 크기가 각기 다른 제 1높이조절부재가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제 1높이조절부재 또는 제 2높이조절부재의 하부에 홈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제 1높이조절부재 또는 제 2높이조절부재의 하부에 각도조절부재가 연결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제 1결속홈 또는제 2결속홈과 제 1높이조절부재 또는 제 2높이조절부재 사이에 구성되는 보조결속부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신발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에 본 고안인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높이조절부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높이 조절용 신발에 장착되는 높이조절부재에 있어서, 신발 밑창(10)의 하부 전면측과 후면측에 각각 형성되되 밑창(10) 하부면에서 상측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며 외주에는 나선이 형성된 제 1결속홈(11)과 제 2결속홈(13)에 결속되되, 상기 제 1결속홈(11)에 연결되는 제 1높이조절부재(100) 및 상기 제 2결속홈(13)에 연결되되 연결 시, 상기 제 1높이조절부재(100)보다 더 길게 돌출되는 제 2높이조절부재(200)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제 1, 2결속홈(11, 13)과 각각의 제 1, 2높이조절부재(100, 200) 사이에는 상기 제 1, 2 消談 (11, 13)에 연결되도록 상측 외주에 나선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내부로 일정 깊이를 가지며 상기 제 1, 2높이조절부재(100, 200)가 연결되도록 내부 외주에 나선이 형성된 보조결속부재(130, 230)가 각각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보조결속부재(130, 230)는 하나 이상 다수개를 다단으로 연결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2높이조절부재(100, 200)의 하부 또는 보조결속부재(130, 230)에는 일정 각도를 가지는 각도조절부재(110, 210)가 각각 연결 구성된다.
상기 제 1, 2높이조절부재(100, 200)의 하부 또는 각각의 각도조절부재(110, 210)의 하부에는 일정 깊이와 형상을 가진 홈(120, 220)이 각각 형성된다.
제 1, 2결속홈(11, 13)에 결속되되 결속 시, 밑창(10)의 하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진 제 3높이조절부재(300)가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인 신발은 상기한 높이조절부재가 연결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인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에 대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인 높이조절부재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밑창(10)의 하부 전면측(앞꿈치)과 후면측(뒷꿈치)에 상기 밑창(10)의 하부면에서 상측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며 외주에 나선이 형성된 제 1결속홈(11)과 제 2결속홈(13)에 결속되며, 상기 제 1결속홈(11)에 연결되는 제 1높이조절부재(100)와 제 2결속홈(13)에 결속되는 제 2높이조절부재(200)로 구성된다.
제 1높이조절부재(1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10)의 제 1결속홈(11)에 형성된 나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높이조절부재(100)의 상측에도 일정 높이의 나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높이조절부재(100)의 높이는 제 1결속 홈(11)에 나선을 통해 연결 시, 밑창(10)의 하부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밑창(10)의 하부면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제 1결속홈(11)과 제 1높이조절부재(100) 사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결속홈(11)에 연결되도록 상측 외주에 나선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내부로 일정 깊이를 가지며 상기 제 1높이조절부재(100)가 연결되도록 내부 외주에 나선이 형성된 보조결속부재(130)가 구성된다.
상기 보조결속부재(130)는 하나 이상 다수개를 다단으로 연결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경사면의 높이에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개의 보조결속부재(130)를 제 1결속홈(11)에 연결하고, 상기 보조결속부재(130)의 하부에 제 1높이조절부재(10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 1높이조절부재(100)의 하부 또는 보조결속부재(130)의 하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를 가지는 각도조절부재(110)가 연결 구성된다.
이는 경사면의 높이에 대해서는 제 1높이조절부재(100)와 보조결속부재(130)를 이용하여 신발이 수평이 되게 할 수 있지만, 상기 제 1높이조절부재(100)와 보조결속부재(130)의 하부에도 수평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별도의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각도조절부재(110)를 구성하였다.
상기한 각도조절부재(110)는 각각의 각도에 따라 다수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높이조절부재(100)의 하부 또는 각각의 각도조절부재(110)의 하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깊이와 형상을 가진 홈(120)이 각각 형성된다.
이는 지면에 직접 닿게 되는 제 1높이조절부재(100)와 각도조절부재(110)를 탈, 부착 시, 탈,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홈(120)에 대해 별도의 장착부재를 이용하여 장착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홈(120)으로 인해 발생되는 돌출되는 부분을 이용하여 장착이 용이하게 한 것으로 상기한 홈(120)은 돌출부로 가변될 수 있음으로 한정하지 않겠다.
제 2높이조절부재(2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10)의 제 2결속홈(13)에 형성된 나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높이조절부재(200)의 상측에도 일정 높이의 나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높이조절부재(200)의 높이는 제 2결속 홈(13)에 나선을 통해 연결 시, 상기 제 1높이조절부재(100) 보다 일정 길이 높은 높이로 구성된다.
상기 제 2결속홈(13)과 제 2높이조절부재(200) 사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결속홈(13)에 연결되도록 상측 외주에 나선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내부로 일정 깊이를 가지며 상기 제 2높이조절부재(200)가 연결되도록 내부 외주에 나선이 형성된 보조결속부재(230)가 구성된다.
상기 보조결속부재(230)는 하나 이상 다수개를 다단으로 연결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경사면의 높이에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개의 보조결속부재(230)를 제 2결속홈(13)에 연결하고, 상기 보조결속부재(230)의 하부에 제 2높이조절부재(20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 2높이조절부재(200)의 하부 또는 보조결속부재(230)의 하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를 가지는 각도조절부재(210)가 연결 구성된다.
이는 경사면의 높이에 대해서는 제 2높이조절부재(200)와 보조결속부재(230)를 이용하여 신발이 수평이 되게 할 수 있지만, 상기 제 2높이조절부재(200)와 보조결속부재(230)의 하부에도 수평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별도의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각도조절부재(210)를 구성하였다.
상기한 각도조절부재(210)는 각각의 각도에 따라 다수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높이조절부재(200)의 하부 또는 각각의 각도조절부재(210)의 하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깊이와 형상을 가진 홈(220)이 각각 형성된다.
이는 지면에 직접 닿게 되는 제 2높이조절부재(200)와 각도조절부재(210)를 탈, 부착 시, 탈,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홈(220)에 대해 별도의 장착부재를 이용하여 장착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홈(220)으로 인해 발생되는 돌출되는 부분을 이용하여 장착이 용이하게 한 것으로 상기한 홈(220)은 돌출부로 가변될 수 있음으로 한정하지 않겠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결속홈(11, 13)에 결속되되 결속 시, 밑창(10)의 하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진 제 3높이조절부재(300)가 각각 구성된다.
상기 제 3높이조절부재(300)는 착용자가 경사면이 아닌 일반적인 평지를 걸을 때 연결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제 1결속홈(11) 또는 제 2결속홈(13)에 결속 시, 밑창(10)의 하부면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였다.
상기한 제 1높이조절부재(100)와 제 2높이조절부재(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에 따라 제 1결속홈(11)에 제 2높이조절부재(200)를 연결할 수도 있고, 제 2결속홈(13)에 제 1높이조절부재(200)를 연결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1, 2높이조절부재(100, 200)의 높이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으로 상기한 연결 및 설명에 대해서 한정하지 않겠다.
또한, 본 고안인 신발은 상기한 높이조절부재가 연결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르면, 경사면에 따라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제 1, 2높이조절부재(100, 200)를 각각 탈, 부착하며 사용할 수 있어 경사면에 따른 탈, 부착이 용이하며, 경사각에 따라 별도의 각도조절부재를 함께 탈, 부착시킬 수 있어 경사각에 따른 미세한 조절도 가능하고, 높이조절에 따른 구성을 간단히 하여 실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10 : 밑창 11 : 제 1결속홈 13 : 제 2결속홈
100 : 제 1높이조절부재 110 : 각도조절부재 120 : 홈
130 : 보조결속부재
200 : 제 2높이조절부재 210 : 각도조절부재 220 : 홈
230 : 보조결속부재
300 : 제 3높이조절부재

Claims (7)

  1. 신발 밑창(10)의 하부 전면측과 후면측에 각각 형성되되 밑창(10) 하부면에서 상측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며 외주에는 나선이 형성된 제 1결속홈(11)과 제 2결속홈(13)에 결속되되, 상기 제 1결속홈(11)에 나선으로 연결되는 제 1높이조절부재(100)와, 상기 제 2결속홈(13)에 나선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 1높이조절부재(100)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 2높이조절부재(200)로 구성된 높이 조절용 신발에 장착되는 높이조절부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 1, 2결속홈(11, 13)과 각각의 제 1, 2높이조절부재(100, 200) 사이에는 상기 제 1, 2결속홈(11, 13)에 연결되도록 상측 외주에 나선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내부로 일정 깊이를 가지며 상기 제 1, 2높이조절부재(100, 200)가 연결되도록 내부 외주에 나선이 형성된 보조결속부재(130, 230)가 각각 구성되고,
    상기 제 1, 2높이조절부재(100, 200)의 하부 또는 보조결속부재(130, 230)에는 일정 각도를 가지는 각도조절부재(110, 210)가 각각 연결 구성되며,
    상기 제 1, 2높이조절부재(100, 200)의 하부 또는 각각의 각도조절부재(110, 210)의 하부에는 일정 깊이와 형상을 가진 홈(120, 220)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보조결속부재(130, 230)는 하나 이상 다수개를 다단으로 연결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제 1, 2결속홈(11, 13)에 결속되되 결속 시, 밑창(10)의 하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진 제 3높이조절부재(300)가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7. 제 1항의 높이조절부재가 연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2020150001405U 2015-03-03 2015-03-03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 KR2004821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405U KR200482112Y1 (ko) 2015-03-03 2015-03-03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405U KR200482112Y1 (ko) 2015-03-03 2015-03-03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86U KR20160003086U (ko) 2016-09-13
KR200482112Y1 true KR200482112Y1 (ko) 2016-12-15

Family

ID=5695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405U KR200482112Y1 (ko) 2015-03-03 2015-03-03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11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71Y1 (ko) * 2011-12-08 2013-06-14 이쌍용 등산화 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711Y1 (ko) * 1992-05-08 1995-06-14 전태형 구두
KR19990007026U (ko) * 1997-07-25 1999-02-25 김진홍 높이를 올리거나 내릴수 있는 구두바닥
KR19990022386U (ko) * 1999-02-06 1999-07-05 최석우 키조절하는신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71Y1 (ko) * 2011-12-08 2013-06-14 이쌍용 등산화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86U (ko)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91380C (en) Orthotic insole for footwear with an attachable angle insert for correcting over pronation or supination of a foot
JP5875168B1 (ja) スタビライザを有する靴
US20080196269A1 (en) Sandals with adjustable center post assemblies
US20100251568A1 (en) Footwear insert
KR20040074008A (ko) 신발 바닥
JP6154436B2 (ja) ヒール及びパンプス用組立式インソール
US20170360147A1 (en) High heel shoe
KR200480494Y1 (ko) 발가락 교정기
USD943251S1 (en) High heel shoe
US7360326B1 (en) Flexible footwear sole
US20150351494A1 (en) Shoe midsole assembly equipped airbag system
US20110258882A1 (en) Removable walking attachment for ski boots
US9380828B2 (en) Structure of athletic shoe
JP5338241B2 (ja) 補高靴
KR200482112Y1 (ko) 신발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조절부재 및 그 신발
US20150264998A1 (en) Sole structure for biomechanical control
EP2883470B1 (en) Structure of platform shoe
US20150320140A1 (en) Sandal having grooves for drainage
US20150157085A1 (en) Structure of platform shoe
CA2935573C (en) Insole for sport footwear
EP2311342A1 (en) Accessory element for spike heel
KR102626233B1 (ko) 운동용 뒤꿈치 받침대
CN102429758B (zh) 一种矫正鞋垫及使用该鞋垫的残障人矫正鞋
US20150121721A1 (en) Insole improvement
CA3027716C (en) Insole for sport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