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919Y1 - 구두용 누드 양말 - Google Patents

구두용 누드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919Y1
KR200243919Y1 KR2020010015599U KR20010015599U KR200243919Y1 KR 200243919 Y1 KR200243919 Y1 KR 200243919Y1 KR 2020010015599 U KR2020010015599 U KR 2020010015599U KR 20010015599 U KR20010015599 U KR 20010015599U KR 200243919 Y1 KR200243919 Y1 KR 200243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s
socks
nude
sock
so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임
Original Assignee
이경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임 filed Critical 이경임
Priority to KR2020010015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9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919Y1/ko

Links

Landscapes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두용 누드 양말에 관한 것으로, 이 누드 양말(1)은 좌우 대칭된 형상을 이루면서 그 전후방에 각각 버선볼 형태의 돌출된 형상을 갖는 양말 몸체(2)가 구비되고, 상기 양말 몸체(2)의 바닥부(3)를 이루는 하단 중심에 중앙 요부(4)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 요부(4)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제1 봉재부(5)와 제2 봉재부(6)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양말 몸체(2)의 상부를 이루는 양말 입구(7)가 하부방향으로 라운딩되어 패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양말 입구(7)의 테두리에 탄성력을 갖는 밴드(8)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양말 몸체(2)의 바닥부(3)에 면직물로 이루어진 보조 깔판(9)이 직조되어 양말 몸체(2)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누드 양말에 의해 맨발로 구두 등과 같은 신발을 신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발에서 오는 불쾌감이나 발에서 발생되는 각종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누드 양말의 착용시 그 착용감이 뛰어나기 때문에 도보시나 혹은 구두를 벗을 경우 양말이 벗겨짐으로써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누드 양말의 구조상 구두를 신더라도 구두 밖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옷 맵시나 신발의 맵시를 살려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구두용 누드 양말{A nude socks in shose}
본 고안은 구두를 신을 때 착용하는 양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맨발로 구두를 신을 경우 구두 내부의 발에서 발생되는 각종 불쾌함을 없애줌과 더불어 발바닥 정도만 살짝 가려줌으로써 구두 외부로 양말이 표출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된 구두용 누드 양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이나 스타킹의 경우 신발을 신을 때 발에서 생겨나는 불쾌감을 없애 줌과 더불어 옷 맵시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 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양말이나 스타킹을 즐겨 신는 경우도 있고 그냥 맨발인 상태에서 신발을 신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즉, 근래에 들어 주로 젊은층에서 옷 맵시나 혹은 계절적인 원인으로 인해 양말이나 스타킹을 신지 않은 상태에서 구두를 신고 다니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바, 이는 보다 내추럴하고 활동적으로 보이고 싶어하는 젊이들의 취향을 나타낸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맨발인 상태에서 구두를 신고 보행하게 되면 보행중에 발에 땀이 차고, 이에 따라 발냄새도 심하게 나기 때문에 본인 뿐만아니라 상대방에게도 심한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맨발로 구두를 신거나 벗게 되면 발이 잘 들어가지 않을 뿐만아니라 벗을 때도 매끄럽지 못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장시간 맨발인 상태로 구두를 신고 있으면 발가락이 휘거나 혹은 발의 여러 부위에 굳은살이 박히게 되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을 뿐만아니라 건강에도 좋지 않고, 무좀 등과 같은 여러 질병이 발에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결점을 보완하고자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덧신이 개발되어 사용되는 바, 이 덧신(100)은 신축성 있는 재질의 덧신 몸체(101)가 발이 들어갈 수 있는 덧신 입구(102)를 가지면서 성형되되, 상기 덧신 몸체(101)의 바닥부에는 일자형을 갖는 재봉부(103)가 형성되고, 상기 덧신 입구(102)의 테두리에는 탄력을 갖는 밴드(104)가 봉재된 구조이다.
그러므로,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덧신(100)을 신은 상태에서 구두를 신게 되면 도 2에 나타낸 상태가 되는 바, 이 때에는 상기 덧신(100)에 의해 발은 보호할 수 있지만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덧신 입구(102)가 구두(105) 몸체의 높이 보다 높기 때문에 덧신(100)의 일부가 구두(105) 밖으로 나타나는 결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이 덧신(100)의 일부가 구두(105) 외측으로 나타나 보이기 때문에 옷 맵시나 신발 맵시를 떨어뜨리게 되어 사용자들이 그 사용을 기피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덧신(100)을 보완하고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또다른 형태의 덧신(100')이 제작되어 사용되는 바, 이러한 덧신(100')의 경우 착용시 그 높이를 낮추기 위하여 덧신 몸체(101')의 바닥부(106)가 평면을 이루면서 성형되고,상기 바닥부(106)의 전후방에 덧신(100')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봉재부(103')가 덧신(100) 모양을 따라 라운딩된 상태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덧신 몸체(101')의 상부에 덧신 입구(102')가 상기 바닥부(106)와 유사한 형태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형성되고, 상기 덧신 입구(102')의 테두리에는 탄력을 갖는 밴드(104')가 봉재된 구조이다.
그런데,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덧신(100')은 그 덧신 몸체(101')의 높이를 낮추어 구두(105)를 신더라도 외부에 표출되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 덧신 몸체(101')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그 바닥부(106)가 평평한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덧신 입구(102')에 봉재된 밴드(104')의 탄력이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덧신(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구두(105)를 벗을 경우 덧신(100')도 함께 벗겨지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착용시 그 자체의 탄력으로 인해 착용감을 높여줌과 더불어 구두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제작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줄 수 있도록 된 구두용 누드 양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좌우 대칭된 형상을 이루면서 그 전후방에 각각 버선볼 형태의 돌출된 형상을 갖는 양말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양말 몸체의 바닥부를 이루는 하단 중심에 중앙 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 요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제1 봉재부와 제2 봉재부가 각각형성되고, 상기 양말 몸체의 상부를 이루는 양말 입구가 하부방향으로 라운딩되어 패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양말 입구의 테두리에 탄성력을 갖는 밴드가 설치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양말 몸체의 바닥부에 면직물로 이루어진 보조 깔판이 직조되어 양말 몸체의 바닥부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양말 몸체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방향이 양말 몸체의 바닥부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가해지되, 각각의 탄성력 방향이 8자 형을 이루면서 상기 밴드쪽으로 가해질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누드 양말의 경우 착용시 발바닥과 발가락 및 발뒷꿈치 정도만을 감싸줄 수 있게 되어 구두를 신더라도 양말이 구두 밖으로 전혀 표출되지 않고, 또한 양말의 탄성력이 8자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발을 조여주기 때문에 쉽게 벗겨지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누드 양말에 의해 맨발로 구두 등과 같은 신발을 신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발에서 오는 불쾌감이나 발에서 발생되는 각종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누드 양말의 착용시 그 착용감이 뛰어나기 때문에 도보시나 혹은 구두를 벗을 경우 양말이 벗겨짐으로써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누드 양말의 구조상 구두를 신더라도 구두 밖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옷 맵시나 신발의 맵시를 살려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덧신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덧신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두용 누드 양말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누드 양말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누드 양말의 바닥부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누드 양말의 탄성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누드 양말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은 본 고안에 따른 누드 양말의 착용 후 구두를 신은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누드 양말 1' : 운동화용 누드 양말
2 : 양말 몸체 3 : 바닥부
4 : 중앙 요부 5 : 제1 봉재부
6 : 제2 봉재부 7 : 양말 입구
8 : 밴드 9 : 보조 깔창
10 : 구두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두용 누드 양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누드 양말을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누드 양말의 바닥부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누드 양말의 탄성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누드 양말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은 본 고안에 따른 누드 양말의 착용 후 구두를 신은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구두(10)를 신을 때 착용할 수 있도록 된 누드 양말(1)이 구비되되, 상기 누드 양말(1)은 좌우 대칭된 형상을 이루면서 그 전후방에 각각 버선볼 형태의 돌출된 형상을 갖는 양말 몸체(2)가 구비되고, 상기 양말 몸체(2)의 바닥부(3)를 이루는 하단 중심에 중앙 요부(4)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 요부(4)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제1 봉재부(5)와 제2 봉재부(6)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양말 몸체(2)의 상부를 이루는 양말 입구(7)가 하부방향으로 라운딩되어 패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양말 입구(7)의 테두리에 탄성력을 갖는 밴드(8)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양말 몸체(2)의 바닥부(3)에 면직물로 이루어진 보조 깔판(9)이 직조되어 양말 몸체(2)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누드 양말(1)은 상기 양말 몸체(2)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방향이 양말 몸체(2)의 바닥부(3)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가해지되, 각각의 탄성력 방향이 8자 형을 이루면서 상기 밴드(8)쪽으로 가해질 수 있도록 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누드 양말(1)은 스판재질로 이루어진 양말 몸체(2)가 발바닥과 발가락 및 발뒷꿈치를 감싸줄 수 있도록 성형되되, 상기 양말 몸체(2)의 전후방이 각각 대칭되게 버선볼 형상을 이루게 되고, 상기 양말 몸체(2)의 바닥부(3)에 중앙 요부(4)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제1 봉재부(5)와 제2 봉재부(6)가 각각 형성되며, 발이 삽입되는 양말 입구(7)가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라운딩처리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테두리에 탄성력을 갖는 밴드(8)가 설치된 것이다.
그러므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누드 양말(1)의 경우, 착용시 발바닥과 발가락 및 발뒷꿈치 정도만을 감싸줄 수 있게 되어 구두(10)를 신더라도 양말이 구두(10) 밖으로 전혀 표출되지 않고, 또한 누드 양말(1)의 탄성력이 8자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발을 조여주기 때문에 쉽게 벗겨지지 않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상기 누드 양말(1)의 바닥부(3)에 보조 깔판(9)이 부착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특히 스타킹과 유사한 재질로 직조된 누드 양말(1)의 경우 땀 흡수가 미흡하기 때문에 상기 보조 깔판(9)을 통해 땀을 보다 양호하게 흡수할 수 있는 바, 상기 보조 깔판(9)은 면실로 이중 직조하여 양말 몸체(2)의 바닥부(3)에 고정됨으로써 나일론 스타킹 재질에서 발생되는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드 양말(1)의 착용시 그 탄성력이 8자형으로 가해지면서 누드 양말(1)이 사용자의 발에 밀착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상기 원리는 링형태의 고무줄을 꼬아서 8자형을 이루게 한 상태로 만약 그 전방과 후방에 발끝과 발뒷꿈치가 고정되면, 상기 고무줄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서로 당기는 힘이 발생됨으로써 발가락을 꽉조이지 않고도 그 착용감이 우수해지고, 또한 발바닥의 중앙부인 장심부위에서 두 면으로 나뉘어진 바닥부(3)를 통해 탄성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누드 양말(1)의 탄성력이 8자형으로 가해지기 위해 바닥부(3)에 하부방향으로 곡률을 갖는 상기 제1 봉재부(5)와 제2 봉재부(6)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누드 양말(1)의 경우 구두(10) 뿐만아니라 운동화에도 적용될 수 있는 바, 도 8에 도시된 운동화용 누드 양말(1')에 의해 운동화를 신고 활동하더라도 양말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누드 양말(1)에 의해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두(10)를 신고 활동하더라도 사용자의 발을 감싸주면서도 외부로 표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두용 누드 양말에 의하면, 맨발로 구두 등과 같은 신발을 신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발에서 오는 불쾌감이나 발에서 발생되는 각종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누드 양말의 착용시 그 착용감이 뛰어나기 때문에 도보시나 혹은 구두를 벗을 경우 양말이 벗겨짐으로써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누드 양말의 구조상 구두를 신더라도 구두 밖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옷 맵시나 신발의 맵시를 살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좌우 대칭된 형상을 이루면서 그 전후방에 각각 버선볼 형태의 돌출된 형상을 갖는 양말 몸체(2)가 구비되고, 상기 양말 몸체(2)의 바닥부(3)를 이루는 하단 중심에 중앙 요부(4)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 요부(4)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제1 봉재부(5)와 제2 봉재부(6)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양말 몸체(2)의 상부를 이루는 양말 입구(7)가 하부방향으로 라운딩되어 패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양말 입구(7)의 테두리에 탄성력을 갖는 밴드(8)가 설치된 구두용 누드 양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말 몸체(2)의 바닥부(3)에 면직물로 이루어진 보조 깔판(9)이 직조되어 양말 몸체(2)의 바닥부(3)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용 누드 양말.
KR2020010015599U 2001-05-26 2001-05-26 구두용 누드 양말 KR200243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599U KR200243919Y1 (ko) 2001-05-26 2001-05-26 구두용 누드 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599U KR200243919Y1 (ko) 2001-05-26 2001-05-26 구두용 누드 양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211A Division KR100420766B1 (ko) 2001-05-26 2001-05-26 구두용 누드 양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919Y1 true KR200243919Y1 (ko) 2001-10-15

Family

ID=73102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599U KR200243919Y1 (ko) 2001-05-26 2001-05-26 구두용 누드 양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9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149B2 (en) Combination sock and shoe
US5259126A (en) Shoe construction having improved backpart fit
KR200474152Y1 (ko) 벗겨짐 방지용 덧버선
MX9603677A (es) Calzado que tiene tubos para cordones.
US6606750B2 (en) Sock system
KR102416454B1 (ko) 샌들이나 슬리퍼로 변환되는 신발
KR200411392Y1 (ko) 덧신
KR20040075918A (ko) 발목지지대를 갖는 양말
KR100919969B1 (ko) 봉제선이 없는 덧신양말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덧신양말
KR100420766B1 (ko) 구두용 누드 양말
US7007309B1 (en) Dance tight stocking
US20020069558A1 (en) Flexible non-restrictive toe structure for shoes
KR101724036B1 (ko) 신축성을 갖는 발 뒤꿈치부가 적용된 암벽화
JP3239574U (ja) ソックス
KR20180000082U (ko) 착용감이 우수한 덧버선
KR200243919Y1 (ko) 구두용 누드 양말
KR101280532B1 (ko)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는 양말
KR101226345B1 (ko) 기능성 신발창
KR20110002513A (ko) 깔창덮개
US20180332899A1 (en) Padded Sock
KR20200072698A (ko) 벗겨짐 방지 기능을 갖는 덧신양말
KR102160594B1 (ko) 신발
JP3244825U (ja) フットカバー
JP3240620U (ja)
KR102090250B1 (ko)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