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176Y1 - 굽높이신발 - Google Patents

굽높이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176Y1
KR200166176Y1 KR2019990016163U KR19990016163U KR200166176Y1 KR 200166176 Y1 KR200166176 Y1 KR 200166176Y1 KR 2019990016163 U KR2019990016163 U KR 2019990016163U KR 19990016163 U KR19990016163 U KR 19990016163U KR 200166176 Y1 KR200166176 Y1 KR 2001661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hoe
heel
shoes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동규
Original Assignee
변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동규 filed Critical 변동규
Priority to KR2019990016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1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1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가지고, 상기 출입구의 둘레에 인접하여 발의 윗면과 측면을 덮는 신발거죽과; 상기 신발거죽의 밑면둘레에 부착되고, 평면이 발바닥 모양인 밑창과; 상기 밑창에 형성되고 상기 밑창과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단부를 갖는 굽을 가지고, 각 윗면이 상기 밑창의 밑면에 부착된 신발굽을 포함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키를 크게 보이고 싶은 사람의 취향을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신발굽에 형성된 다수개의 절단부로 인해 보행시 신발의 꺾임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굽높이신발{HIGH-STATURE SHOES}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이 편하면서, 키가 커보이도록 한 굽높이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문명이 시작되면서 지금까지 사용되어온 물품이어서 그 문화를 상징할 정도로 다양한 형태를 가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신발의 발전은 주로 외부 디자인에 치우쳐 있어서, 상류층에게는 그 신발 주인의 신분을 상징하는 물품이거나, 일반인에게는 멋을 부리는 물품이기도 하였다.
상기 신발은 다양한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많이 사용되는 일 신발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사람의 발이 출입하는 출입구(18)를 가지고, 이 출입구(18)의 둘레에 인접하며, 발의 윗면과 측면을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신발거죽(16)이 위치한다. 이 신발거죽(16)의 내면은 사람의 발이 들어갈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이루고 있고, 신발거죽(16)의 재질은 동물의 가죽이나, 화학섬유를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이 신발거죽(16) 밑면에는 사람의 발바닥을 지지하고, 접촉하는 밑창(14)이 부착되어 있는데, 그 평면은 발바닥 형상을 취하고 있다. 이 밑창(14)은 사람의 발바닥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항상 사람의 체중이 실리기 때문에 유연하면서, 튼튼한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밑창(14)의 밑면중에서 발의 뒷꿈치 영역에는 신발굽(12)이 부착되어 사람의 키가 커 보이게 할뿐더러, 보행시 원활한 터닝포인트(Turning Point)로서 기능한다.
이 신발굽(12)의 재질은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튼튼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도 변형되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형태의 신발(10)은 무더운 여름이나 열대지방에서 사용하기에는 무덥기 때문에, 보행시 신발이 이탈되지 않도록 발등에 묶을 수 있도록 복수개의 끈이 망사로 된 것도 있다.
그런데, 하이힐(High Hill)이라고도 불리는 여성용 신발의 경우에는 도 2a에서와 같이, 발의 뒷꿈치 부분 즉, 신발굽(112)이 매우 높기 때문에 보행시 발이 불편하다. 이와 같이, 신발굽(112)이 매우 높을 경우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시 무게중심이 앞꿈치 쪽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면, 발의 변형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발의 앞꿈치에서부터 뒷꿈치 부분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밑창(114)의 전면에 부착된 신발굽이 출시되어 사용되는데, 이러한 신발굽의 평면은 발바닥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 뒷꿈치 부분에만 부착되던 신발굽을 발바닥 전 부분에 부착함으로써, 소정의 효과를 거두었지만, 신발굽이 밑창의 밑면 전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시 신발의 밑창이 원활하게 꺾어지 않아서, 보행하는데 힘이 많이 들어가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젊은이들이 굽높은 신발을 선호하는 까닭은 키가 커 보이게 하고 싶기 때문이지만, 상기 굽높이 신발이 보행하는데 불편하기 때문에 잠시 벗어 두었다가 일반적인 신발을 다시 신게 되므로, 이 신발의 제조업체로서는 매출감소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사람이 밖에서 활동하는 동안 신발은 계속 신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신발이 보행하기에 불편하면, 금세 피로해지기 쉽고, 발 건강을 해치기 쉽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된다면, 발가락의 뼈가 비정상적으로 구부러지는 일도 발생하기 때문에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는 것이다. 즉, 사람의 발바닥은 평평하지 않고, 발바닥의 뼈를 따라 굴곡진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보행시 상기 밑창의 꺾임에 연동하여 꺾이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행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키가 커 보이는 멋을 부릴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하는 데에도 불편하지 않는 신발이 필요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상기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행시 불편하지 않는 굽높이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신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종래의 신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b는 종래의 키높이 신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a은 본 고안에 따른 키높이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키높이 신발의 보행중 기능에 관해 설명한 개략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신발굽의 각 굽 사이에 유연한 물질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개략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밑창 16 ; 신발거죽
18 ; 출입구 20 ; 굽높이신발
22 ; 신발굽 23 ; 절단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발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가지고, 상기 출입구의 둘레에 인접하여 발의 윗면과 측면을 덮는 신발거죽과; 상기 신발거죽의 밑면둘레에 부착되고, 평면이 발바닥 모양인 밑창과; 동일한 두께로 이뤄진 다수개의 굽을 가지고, 각 윗면이 상기 밑창의 밑면에 부착된 신발굽을 포함하는 굽높이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굽높이 신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굽높이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발이 출입하는 출입구(18)를 포함하고, 발의 윗면과 측면을 덮는 신발거죽(16)이 위치한다. 상기 신발거죽(16) 아래에는 발바닥 모양의 밑창(14)이 부착되어 있고, 특히 상기 밑창(14) 아래 전면에는 상기 밑창(14)과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다수개의 절단부(23)를 가진 신발굽(22)이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절단부(23)로 인해 상기 신발굽(22)은 다수개가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굽높이신발(20)은 상기 신발거죽(16)과, 그 아래의 신발굽(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신발의 밑창(14) 아래에 다수개의 절단부(23)로 인해 측면이 서로 분할된 다수개의 굽을 부착하면, 보행시 발바닥의 꺾임에 연동하여 꺾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행하는데 편리함을 느끼게 된다. 젊은이들이 굽높은 신발을 신는 이유는 키가 커보이게 하고 싶기 때문인데, 신발이 불편하지 않다면 그 신발을 일상적으로 신을 수 있게 된다.
즉, 도 3b에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보행중에는 상기 절단부(23)를 경계로 굽이 꺾이게 되기 때문에 불편함이 없이 키높이 구두를 신을 수 있다. 따라서, 보행중에는 일반 신발을 신는 것과 같은 정도의 편안함을 보장받을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굽(22)에 다수개의 절단부(23)를 형성하면 밑창(14)이나 다수개로 분리된 굽이 쉽개 손상될 우려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보행시 발바닥의 꺽임이 방해받지 않을 정도로 유연한 물질을 상기 절단부(23)에 채워도 무방하다.
이것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절단부(23) 사이에 유연한 물질이 부착된 부분을 상세 도시한 개략측면도로서, 신발의 밑창(14) 아래에는 다수개의 절단부(23)를 갖는 굽(22)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절단부(23) 사이에는 윤활물질(30)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보행시 상기 밑창(14)의 꺾임 각도에 연동하여 꺾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윤활물질(30)은 장기간을 사용해도 손상되지 않을 정도로 유연하고, 탄력을 가지는 물질이면 무엇이든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물질들로는 에폭시 또는 폴리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굽에 다수개의 절단부를 형성함으로써, 키를 커보이게 하면서도, 보행시 상기 절단부로 인해 꺾임이 자유롭기 때문에 발이 변형되거나, 장시간 보행해도 피로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절단부 사이에 탄력성이 우수한 윤활물질을 채움으로써, 절단부로 격리된 다수개의 굽과 상기 굽을 지탱하는 밑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발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가지고, 상기 출입구의 둘레에 인접하여 발의 윗면과 측면을 덮는 신발거죽과;
    상기 신발거죽의 밑면둘레에 부착되고, 평면이 발바닥 모양인 밑창과;
    상기 밑창 아래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밑창과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평행하개 형성된 절단부을 갖고, 상기 절단부로인해 다수개로 분리되며, 소정 두께의 두께를 갖는 신발굽
    을 포함하는 굽높이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절단부 사이에는 엑폭시, 폴리 우레탄으로 구성된 집단에서 선택한 물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굽높이 신발.
KR2019990016163U 1999-08-07 1999-08-07 굽높이신발 KR2001661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163U KR200166176Y1 (ko) 1999-08-07 1999-08-07 굽높이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163U KR200166176Y1 (ko) 1999-08-07 1999-08-07 굽높이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176Y1 true KR200166176Y1 (ko) 2000-02-15

Family

ID=1958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163U KR200166176Y1 (ko) 1999-08-07 1999-08-07 굽높이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1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503B1 (ko) 2004-10-22 2006-10-30 김뢰호 원형신발바닥에 에어백이 내장된 건강 흔들 신발
KR101436487B1 (ko) * 2012-10-09 2014-09-26 박완기 키 높이 높은 굽 부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503B1 (ko) 2004-10-22 2006-10-30 김뢰호 원형신발바닥에 에어백이 내장된 건강 흔들 신발
KR101436487B1 (ko) * 2012-10-09 2014-09-26 박완기 키 높이 높은 굽 부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9991B1 (en) Healing shoe or sandal
US7726044B2 (en) Cushioning foot insert
US6003246A (en) Slipper having good draining functions and providing enhanced support
US10609981B1 (en) Insole sandal and shoe system
US5896677A (en) Interchangeable inner sole system
US20130326905A1 (en) Energy wave sockliner
CN112105274A (zh) 刺激足部反射按摩的鞋具
KR200166176Y1 (ko) 굽높이신발
US5799416A (en) Anti-blister shoe grips
US20090199433A1 (en) Shoe
KR200180546Y1 (ko) 굽높이신발
US20150335099A1 (en) Memory sneaker
US20230180883A1 (en) Footwear system and method having footwear upper linings for cushioning and shock absorption
JP6608210B2 (ja) 室内用履物
US2958962A (en) Ladies' shoes having shank support
KR102160594B1 (ko) 신발
KR101509233B1 (ko) 안전화
EP0267307A1 (en) A shoe insert and shoes comprising the same
KR102514616B1 (ko) 신발 깔창
US20240148104A1 (en) Selectively removable insole for high heel shoes
JPS6236403Y2 (ko)
JPH0537763Y2 (ko)
GB2344271A (en) Footwear having drainage outlets
WO2024091193A1 (en) A shoe model and different examples thereof
US20210267312A1 (en) S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