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337A - 폴리올레핀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337A
KR20200024337A KR1020207005595A KR20207005595A KR20200024337A KR 20200024337 A KR20200024337 A KR 20200024337A KR 1020207005595 A KR1020207005595 A KR 1020207005595A KR 20207005595 A KR20207005595 A KR 20207005595A KR 20200024337 A KR20200024337 A KR 20200024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weight
adhesive
ethylene
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5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콜린 리피샨
신시아 엘 리키
알렉 와이 왕
Original Assignee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24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9J1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질 블록과 연질 블록을 포함하며, 경질 블록이 4 내지 8 몰%의 공단량체를 포함하며, 20 중량% 내지 4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제 배합물을 제공한다. 이 배합물은 핫-멜트 접착제에 사용하기에 특히 유리하나, 다른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 접착제 조성물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
본 발명은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접착제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접착제는 고상 재료 (예를 들어, 피착재 또는 기재)를 표면 부착에 의해 함께 고정시킬 수 있는 물질이다. 감압성 접착제 (PSA)는 일반적으로 필요한 압력이 인가될 때 피착재에 결합하여 피착재에 접착을 일으키는 접착제 물질이다. PSA는 영구적이거나 제거될 수 있다. 제거형 PSA는 포스트-잇 노트와 같은 재접착식 용도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감압성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중합체, 점착제 및 오일을 기재로 한다. 일부 통상의 PSA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BR) 및 SIS),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알파-올레핀과 같은 중합체를 기재로 한다. PSA는 용매계, 수성계 또는 핫-멜트 시스템일 수 있다.
주위 온도에서 핫-멜트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용융물로 가열되어 냉각 및 고화시 피착재 또는 기재를 함께 고정시킬 수 있는 고체 물질이다. 일부 용도에서, 결합된 기재는 그것이 열을 견딜 수 있는 경우에는 핫-멜트 접착제를 재용융시켜 탈착시킬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는 종이 제품, 포장재, 라미네이트 우드 패널, 주방 조리대 상판, 차량, 테입, 라벨, 및 일회용 기저귀, 병원용 패드, 여성용 생리대와 같은 각종 일회용 제품, 및 외과용 드레이프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핫-멜트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중합체, 점착제 및 왁스를 기재로 한다. 일부 통상의 핫-멜트 접착제는 중합체 성분을 기재로 하며, 중합체 성분은 에틸렌계 반결정성 중합체, 예를 들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EVA)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BC), 예를 들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SIS)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SBS) 공중합체;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EA); 및 폴리우레탄 반응성 접착제 (PUR)를 포함한다. 핫-멜트 접착제의 한 가지 바람직한 특성은 액체 담체를 사용하지 않아 용매 제거와 관련된 고비용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중합체, 점착제 및 임의로 1종 이상의 충전제 또는 안료를 함유하는 일부 조성물은 열가소성 마킹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중합체는 실란-개질된 페트롤륨 수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어택틱 (atactic) 폴리프로필렌; 카르복시-개질된 탄화수소 수지, 에스테르-개질된 탄화수소 수지,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OBC)는, 예컨대, 미국 특허 제7,524,911호, 제7,989,543호, 및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11-026274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각종 접착제 용도에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접착제가 경화하는 시간, 또는 접착제가 고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인 가사 시간 (open time)이 더욱 개선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할 것이다. 가사 시간의 지연은 접착제의 적심 (wetting) 및 결합 시간의 증가를 내포하는 것이다. 현재 시장의 트렌드는 기계를 더 높은 라인 속도로, 더 낮은 온도에서 가동시키는 것이므로, 접착제를 보다 낮은 온도 (100 ℃ 내지 120 ℃)에서 도포하면서도 필요한 결합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면 바람직할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에틸렌과 α-올레핀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로서, 4 몰% 내지 8 몰%의 공단량체를 포함하며,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의 20 중량%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경질 블록, 및 10 몰% 내지 14 몰%의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연질 블록을 포함하며, Mw가 15,000 g/mol 내지 100,000 g/mol이고, 총 결정화도가 5 중량%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20 중량%이며, Tm이 60 ℃ 내지 115 ℃, 80 ℃ 내지 110 ℃, 또는 90 ℃ 내지 105 ℃이고, Tc가 45 ℃ 내지 100 ℃, 60 ℃ 내지 90 ℃, 또는 70 ℃ 내지 80 ℃인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점착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또는 배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 구조물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도 1은 OBC A의 DSC 프로파일이다.
도 2는 OBC 1의 DSC 프로파일이다.
도 3은 배합물 A의 DSC 프로파일이다.
도 4는 배합물 B의 DSC 프로파일이다.
도 5는 배합물 C의 DSC 프로파일이다.
도 6은 배합물 1의 DSC 프로파일이다.
도 7은 배합물 2의 DSC 프로파일이다.
도 8은 배합물 A, B 및 C, 및 배합물 1 및 2의 점도 형성 플롯이다.
"중합체"란 동일하거나 상이한 종류의 단량체를 중합시켜 제조되는 중합체성 화합물이다. "중합체"는 통칭적으로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혼성중합체"를 포함한다. 중합체의 단량체 함량을 언급할 때, 그러한 단량체의 중합된 단위를 이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혼성중합체"란 2종 이상의 상이한 단량체를 중합시켜 제조되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혼성중합체"는 통칭적으로 "공중합체"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2종의 상이한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이르는데 사용됨) 뿐만 아니라 "삼원공중합체"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3종의 상이한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이르는데 사용됨)를 포함한다. 이는 또한 4종 이상의 단량체를 중합시켜 제조되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결정성"이란 용어는 사용된다면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 또는 동등한 기술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1차 전이 또는 결정 용융 온도 (Tm)를 갖는 중합체를 이른다. 이 용어는 "반결정성"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무정형"이란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 또는 동등한 기술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결정 용융 온도가 없는 중합체를 이른다.
"총 중량% 결정화도"는 하기하는 바와 같이 DSC에 의해 측정되며, 100 * (샘플의 엔탈피/폴리에틸렌 결정의 엔탈피)로서, 완전한 폴리에틸렌 결정의 엔탈피는 문헌 [Macromolelcular Physics, Vol. 1, Academic Press, New York, 1973, p. 154]에 보고된 바에 따르면 292 J/g이다.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또는 "OBC"는 에틸렌/α-올레핀 멀티-블록 공중합체로서, 에틸렌과 1종 이상의 공중합가능한 α-올레핀 공단량체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며, 화학적 또는 물리적 특성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중합된 단량체 단위로 된 다수의 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특징으로 한다. "혼성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멀티-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AB)n
상기 식에서, n은 1 이상, 바람직하게는 1을 초과하는 정수, 예컨대, 2, 3, 4, 5, 10, 15,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또는 그 이상이고, "A"는 경질 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나타내며, "B"는 연질 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A와 B는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결합되며, 실질적으로 분지되거나 실질적으로 별모양으로 결합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A 블록과 B 블록은 중합체 쇄를 따라 불규칙하게 분포된다. 달리 말해서, 블록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지 않는다.
AAA-AA-BBB-BB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블록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상이한 공단량체(들)을 포함하는 제3 형태의 블록을 갖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블록 A 및 블록 B 각각은 블록 내에 실질적으로 불규칙하게 분포된 단량체 또는 공단량체를 포함한다. 달리 말해서, 블록 A나 블록 B 어느 것도 블록의 나머지 부분과 실질적으로 상이한 조성을 갖는 2종 이상의 독특한 조성을 갖는 서브-세그먼트 (또는 서브-블록), 예를 들어, 팁 (tip) 세그먼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은 전체 블록 공중합체의 주된 몰 비율을 구성하며, 즉, 에틸렌은 전체 중합체의 50 몰 퍼센트 이상을 차지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은 전체 중합체의 60 몰 퍼센트 이상, 70 몰 퍼센트 이상, 또는 80 몰 퍼센트 이상을 차지하며, 전체 중합체의 실질적인 나머지는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3 이상의 α-올레핀인, 1종 이상의 다른 공단량체를 포함한다. 여러 에틸렌/옥텐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 바람직한 조성은 전체 중합체의 80 몰 퍼센트를 초과하는 에틸렌 함량, 및 전체 중합체의 10 내지 15 몰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몰 퍼센트의 옥텐 함량을 포함한다.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다양한 양의 "경질" 및 "연질"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경질" 세그먼트는 에틸렌이 92 몰% 내지 99 몰%, 96 몰% 내지 98 몰%, 또는 95 몰% 내지 98 몰%의 양으로 존재하는 중합된 단위의 블록이다. 달리 말해서, 경질 세그먼트 중 공단량체 함량 (에틸렌이 아닌 단량체의 함량)은 1 몰% 내지 8 몰%, 2 몰% 내지 5 몰%, 또는 2 몰% 내지 4 몰%이다. "연질" 세그먼트는 공단량체 함량 (에틸렌이 아닌 단량체의 함량)이 10 몰% 내지 15 몰%, 10 몰% 내지 13 몰%, 또는 11 몰% 내지 12 몰%인 중합된 단위의 블록이다. 달리 말해서, 에틸렌 함량은 85 몰% 내지 90 몰%, 86 몰% 내지 89 몰% 또는 87 몰% 내지 88 몰%이다. 적어도 이분의 일 몰 퍼센트 이상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
경질 세그먼트는 OBC 중 블록 공중합체의 20 중량%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고, 연질 세그먼트는 나머지를 구성한다. 연질 세그먼트 중량 퍼센트 및 경질 세그먼트 중량 퍼센트는 DSC 또는 NMR로부터 수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으며, 몰 퍼센트는 그로부터 계산된다. 그러한 방법 및 계산은, 예컨대, 미국 특허 제7,608,668호[발명의 명칭 "Ethylene/α-Olefin Block Interpolymers", 2006년 3월 15일 출원, 출원인 Colin L. P. Shan, Lonnie Hazlitt, et. al., Dow Global Technologies Inc.에 양도]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전문이 본원에 원용된다. 특히, 경질 및 연질 세그먼트 중량 퍼센트 및 공단량체 함량은 미국 특허 제7,608,668호의 칼럼 57 내지 칼럼 63에 기재된 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선형으로 결합된, 2종 이상의 화학적으로 상이한 영역 또는 세그먼트 ("블록"이라 함)를 포함하는 중합체, 즉, 펜던트 또는 그래프트 방식이 아니라 중합된 에틸렌 관능기에 대하여 말단-대-말단 방식으로 연결된, 화학적으로 차별화된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블록은 혼입된 공단량체의 양 또는 종류, 밀도, 결정의 양, 그러한 조성의 중합체에 기인한 결정 크기, 택틱성(tacticity)의 형태 또는 정도 (이소택틱 또는 신디오택틱), 레지오-규칙성 또는 레지오-불규칙성, 분지의 양 (장쇄 분지화 또는 고도 분지화 포함), 균질도 또는 기타 화학적 또는 물리적 특성에 있어서 상이하다. 연속적 단량체 부가, 유동성 촉매, 또는 음이온성 중합 기술에 의하여 제조되는 혼성중합체를 포함하는 선행 기술의 블록 혼성중합체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OBC는 중합체 다분산도 (PDI 또는 Mw/Mn 또는 MWD), 블록 길이 분포, 및/또는 블록 수 분포의 독특한 분포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이는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그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다수의 촉매와 조합한 셔틀링제 (shuttling agent)(들)의 효과에 기인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OBC는 연속 공정으로 제조되며, 다분산 지수, PDI가 1.7 내지 3.5, 1.8 내지 3, 1.8 내지 2.5, 또는 1.8 내지 2.2이다. 배치 또는 세미-배치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 OBC의 PDI는 1.0 내지 3.5, 1.3 내지 3, 1.4 내지 2.5, 또는 1.4 내지 2이다.
또한,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프아종 (Poisson) 분포가 아닌 슐츠-플로리 (Schultz-Flory) 분포에 따르는 PDI를 갖는다. 본 발명의 OBC는 다분산 블록 분포 및 블록 크기의 다분산 분포를 모두 갖는다. 이로 인해 개선되고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중합체 생성물이 형성된다. 다분산 블록 분포의 이론적인 장점은 이전에 모델링되고 논의된 바 있다. 문헌 [Potemkin, Physical Review E (1998) 57 (6), pp. 6902-6912] 및 [Dobrynin, J. Chem. Phvs. (1997) 107 (21), pp 9234-9238] 참조.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가장 확률적인 블록 길이 분포를 갖는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A) TREF를 사용하여 분별할 때 40 ℃ 내지 130 ℃에서 용출되는 분자 분획으로, 블록 지수가 0.5 이상 내지 1 이하이고, 분자량 분포 Mw/Mn가 1.3을 초과하는 분자 분획; 및/또는
(B) 0 초과 내지 1.0 이하의 평균 블록 지수, 및 1.3을 초과하는 분자량 분포 Mw/Mn를 갖는 것으로 정의된다. 블록 지수는 그와 관련하여 본원에 원용되는 미국 특허 제7,608,668호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특성 (A) 내지 (B)를 결정하는 분석 방법은, 예컨대, 그와 관련하여 본원에 원용되는 미국 특허 제7,608,668호, 칼럼 31, 라인 26 내지 칼럼 35, 라인 4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OBC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에 적절한 단량체는 에틸렌과, 에틸렌이 아닌 1종 이상의 부가중합가능한 단량체를 포함한다. 적절한 단량체의 예는 탄소 원자수 3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 α-올레핀, 예를 들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3-메틸-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및 1-아이코센; 탄소 원자수 3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의 시클로-올레핀, 예를 들어, 시클로펜텐, 시클로헵텐, 노르보르넨, 5-메틸-2-노르보르넨, 테트라시클로도데센, 및 2-메틸-1,4,5,8-디메타노-1,2,3,4,4a,5,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디올레핀 및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부타디엔, 이소프렌, 4-메틸-1,3-펜타디엔, 1,3-펜타디엔, 1,4-펜타디엔, 1,5-헥사디엔, 1,4-헥사디엔, 1,3-헥사디엔, 1,3-옥타디엔, 1,4-옥타디엔, 1,5-옥타디엔, 1,6-옥타디엔, 1,7-옥타디엔, 에틸리덴노르보르넨, 비닐 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7-메틸-1,6-옥타디엔, 4-에틸리덴-8-메틸-1,7-노나디엔 및 5,9-디메틸-1,4,8-데카트리엔; 및 3-페닐프로펜, 4-페닐프로펜, 1,2-디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3,3,3-트리플루오로-1-프로펜을 포함한다.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의 밀도는 0.850 g/cc 내지 0.880 g/cc, 또는 0.850 g/cc 내지 0.879 g/cc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의 ASTM D 1238 (190 ℃/2.16 kg)으로 측정된 용융 지수 (MI)는 5 g/10분 내지 1000 g/10분, 15 g/10분 내지 50 g/10분, 또는 20 g/10분 내지 40 g/10분이다.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배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중량%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의 Mw는 15,000 내지 100,000 g/mol, 또는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75,000 g/mol이다.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의 DSC에 의해 측정되는 Tm은 60 ℃ 내지 115 ℃, 80 ℃ 내지 110 ℃, 또는 90 ℃ 내지 105 ℃이다. 또한,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의 DSC에 의해 측정되는 Tc는 45 ℃ 내지 100 ℃, 60 ℃ 내지 90 ℃, 또는 70 ℃ 내지 80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의 총 결정화도는 5 중량%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20 중량%이다.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미국 특허 제7,858,70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쇄 셔틀링 공정을 통해 제조되며, 상기 특허는 본원에 원용된다. 특히, 적절한 쇄 셔틀링제 및 관련 정보는 칼럼 16, 라인 39 내지 칼럼 19, 라인 44에 열거되어 있다. 적절한 촉매는 칼럼 19, 라인 45 내지 칼럼 46, 라인 19에 기재되어 있고, 적절한 조-촉매는 칼럼 46, 라인 20 내지 칼럼 51, 라인 28에 기재되어 있다. 공정은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되어 있으며, 특히, 칼럼 51, 라인 29 내지 칼럼 54, 라인 56에 기재되어 있다. 공정은 또한, 예컨대, 미국 특허 제7,608,668호, 제7,893,166호, 제7,947,793호 및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10-0197880호에 기재되어 있다.
점착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점착제 또는 점착 부여 수지 또는 점착제 수지를 포함한다. 점착제는 조성물의 특성, 예컨대, 점탄성 특성 (예를 들어, 탄젠트 델타), 레올로지 특성 (예를 들어, 점도), 점착도 (즉, 들러붙는 능력), 감압성, 및 적심 특성을 개질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점착제는 조성물의 점착성을 개선시키는데 사용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점착제는 조성물의 점도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점착제는 조성물을 감암성 접착제로 만드는데 사용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점착제는 피착재 표면을 적시고/거나 피착재 표면에 대한 접착력을 개선시키는데 사용된다.
당업자에 공지된 어떠한 점착제라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접착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에 적절한 점착제는 주위 온도에서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다. 점착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1) 천연 및 개질 로진 (예를 들어, 검 로진, 우드 로진, 톨유 로진, 증류 로진, 수소첨가 로진, 이합체화 로진, 및 중합된 로진); (2) 천연 및 개질 로진의 글리세롤 및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예를 들어, 페일 우드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수소첨가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중합된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수소첨가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로진의 페놀계-개질된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3) 천연 테르펜의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 (예를 들어, 스티렌/테르펜 및 알파-메틸 스티렌/테르펜); (4) 폴리테르펜 수지 및 수소첨가 폴리테르펜 수지; (5) 페놀계 개질된 테르펜 수지 및 그의 수소첨가 유도체 (예를 들어, 산성 매질 중에서 비시클릭 테르펜과 페놀의 축합으로부터 생성된 수지 생성물); (6)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그의 수소첨가 유도체 (예를 들어, 주로 올레핀 및 디올레핀으로 이루어진 단량체의 중합으로 생성된 수지); (7)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및 그의 수소첨가 유도체; (8) 방향족 개질된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그의 수소첨가 유도체;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조성물 중 점착제의 양은 조성물 총 중량의 30 중량% 내지 70 중량%, 35 중량% 내지 65 중량%, 또는 40 중량%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점착제는 로진-계 점착제 (예를 들어, 아리조나 케미칼(Arizona Chemical, 미국 플로리다주 잭슨빌 소재)의 아쿠아택(AQUATAC)® 9027, 아쿠아택® 4188, 실바라이트(SYLVALITE)®, 실바택(SYLVATAC)® 및 실바검(SYLVAGUM)® 로진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점착제는 폴리테르펜 또는 테르펜 수지 (예를 들어, 아리조나 케미칼(미국 플로리다주 잭슨빌 소재)의 실바레스(SYLVARES)® 테르펜 수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점착제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그의 수소첨가 유도체, 예를 들어, 올레핀과 디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단량체를 중합시켜 얻어지는 수지 (예컨대, 엑손모빌 케미칼 컴퍼니(ExxonMobil Chemical Company, 미국 텍사스주 휴스톤 소재)의 에스코레즈(ESCOREZ)® 1310LC, 에스코레즈® 2596); 지환족 페트롤륨 탄화수소 수지 및 그의 수소첨가 유도체 (예를 들어, 엑손모빌 케미칼 컴퍼니의 에스코레즈® 5300 및 5400 시리즈; 이스트만 케미칼(Eastman Chemical, 미국 테네시주 킹스포트 소재)의 이스토택(EASTOTAC)® 수지)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점착제는 방향족 화합물 (예를 들어, 엑손모빌 케미칼 컴퍼니의 에스코레즈® 2596) 및 저연화점 수지 (예를 들어, 아리조나 케미칼 (미국 플로리다주 잭슨빌 소재)의 아쿠아택 5527)를 포함하는 점착제 개질제로 개질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점착제는 적어도 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점착제의 링 앤드 볼(Ring and Ball; R&B) 연화점은 80 ℃ 이상이다. 링 앤드 볼(R&B) 연화점은 본원에 원용되는 ASTM E28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오일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임의로는 가소제 또는 가소제 오일 또는 점도를 감소시키고/거나 점착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증량제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에 공지된 어떠한 가소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접착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가소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올레핀 올리고머, 액체 폴리부텐과 같은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프탈레이트; 미네랄 오일, 예를 들어, 나프텐, 파라핀, 또는 수소첨가 (백색) 오일 (예를 들어, 케이돌(Kaydol) 오일), 식물성 및 동물성 오일 및 그의 유도체, 페트롤륨 유도 오일,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가소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수소첨가 폴리이소프렌, 수소첨가 폴리부타디엔, 폴리피페릴렌 및 피페릴렌과 이소프렌의 공중합체 등을 포함하며, 이들의 평균 분자량이 약 350 내지 약 10,000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가소제는 통상의 지방산의 글리세릴 에스테르 및 그의 중합 생성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적절한 불용성 가소제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벤조에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디-2-에틸헥소에이트; 2-에틸헥실 디페닐 포스페이트;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각종 치환된 시트레이트, 및 글리세레이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적절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벤조에이트는 벨시콜 케미칼 컴퍼니(Velsicol Chemical Company;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소재)로부터 각각 상표명 "벤조플렉스(Benzoflex) 9-88 및 S-552"로 구입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디-2-에틸헥소에이트는 C.P. 홀 컴퍼니(C.P. Hall Company;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소재)로부터 상표명 "테그머(Tegmer) 809"로 구입할 수 있다. 적절한 2-에틸헥실 디페닐 포스페이트 및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는 몬산토 인터스트리얼 케미칼 컴퍼니(Monsanto Industrial Chemical Company;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로부터 각각 상표명 "샌티사이저(Santicizer) 141 및 160"으로 구입할 수 있다. 벤조플렉스가 접착제 조성물 중 가소제로 사용될 때, 기저귀와 성인 실금자 용품의 얇은 코어를 안정화시키는데 사용되는 기저귀 코어 안정화 접착제에서 결정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배합물은 배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오일, 또는 15 중량% 내지 30 중량%의 오일을 함유한다.
기타 폴리올레핀
균질하게 분지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도 또한 배합물에 가해질 수 있다. 이들 공중합체는 단일-부위 촉매로 제조될 수 있으며, 촉매는 메탈로센 촉매 또는 속박된 기하구조의 촉매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의 융점은 전형적으로는 105 ℃ 미만, 바람직하게는 90 ℃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0 ℃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 미만이다. 융점은, 예컨대, 미국 특허 제5,783,63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으로 측정된다. α-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C3-20 직쇄, 분지 또는 시클릭 α-올레핀이다. C3-20 α-올레핀의 예는 프로펜, 1-부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및 1-옥타데센을 포함한다. α-올레핀은 또한 시클로헥산 또는 시클로펜탄과 같은 시클릭 구조를 함유하여 3-시클로헥실-1-프로펜 (알릴 시클로헥산) 및 비닐 시클로헥산과 같은 α-올레핀이 될 수 있다. 노르보르넨 및 관련 올레핀과 같은 일부 시클릭 올레핀은 전통적인 의미에서 α-올레핀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목적상 α-올레핀이며, 상기 기재된 α-올레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티렌과 그의 관련 올레핀 (예를 들어, α-메틸스티렌 등)도 본 발명의 목적상 α-올레핀이다. 균질하게 분지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예는 에틸렌/프로필렌, 에틸렌/부텐, 에틸렌/1-헥센, 에틸렌/1-옥텐, 에틸렌/스티렌 등을 포함한다. 삼원공중합체의 예는 에틸렌/프로필렌/1-옥텐, 에틸렌/프로필렌/부텐, 에틸렌/부텐/1-옥텐 및 에틸렌/부텐/스티렌을 포함한다. 공중합체는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균질하게 분지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보다 구체적인 예는 균질하게 분지된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예를 들어, 미쯔이 페트로케미칼스 컴퍼니 리미티드(Mitsui Petrochemicals Company Limited)의 타프머 (TAFMER)®, 및 엑손 케미칼 컴퍼니(Exxon Chemical Company)의 이그잭트 (EXACT)®); 균질하게 분지된 실질적으로 선형 에틸렌/α-올레핀 중합체 (예를 들어, 더 다우 케미칼 컴퍼니(The Dow Chemical Company)의 어피니티(AFFINITY)TM 플라스토머 및 인게이지(ENGAGE)TM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선형 에틸렌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며, 미국 특허 제5,272,236호, 제5,278,272호 및 제5,986,028호에 보다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들 혼성중합체의 임의의 블렌드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균질하게 분지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가 아니다.
포함될 수 있는 다른 폴리올레핀은 상기한 것과 물리적 특징이 상이한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이다.
첨가제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임의로는 비용을 절감시키는 것 외에 용융 점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에 공지된 어떠한 왁스라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접착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왁스의 비제한적인 예는 페트롤륨 왁스,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왁스, 합성 왁스, 융점이 약 55 ℃ 내지 약 110 ℃인 파라핀 및 미세결정 왁스, 피셔-트롭슈 (Fischer-Tropsch) 왁스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왁스는 수 평균 분자량이 약 400 내지 약 6,000 g/몰인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또는 혼성중합체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임의로는 산화 방지제 또는 안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에 공지된 어떠한 산화 방지제라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접착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산화 방지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아민계 산화 방지제, 예를 들어, 알킬 디페닐아민, 페닐-α-나프틸아민, 알킬 또는 아르알킬 치환된 페닐-α-나프틸아민, 알킬화 p-페닐렌 디아민, 테트라메틸-디아미노디페닐아민 등; 입체장애 페놀 화합물, 예를 들어, 2,6-디-t-부틸-4-메틸페놀;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메탄 (예를 들어, 시바 가이기(Ciba Geigy, 미국 뉴욕 소재)의 이르가녹스(IRGANOX)™ 1010); 옥타데실-3,5-디-t-부틸-4-히드록시신나메이트 (예를 들어, 시바 가이기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이르가녹스™ 1076)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사용되는 경우, 조성물 중 산화 방지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의 약 0 중량% 초과 내지 약 1 중량%, 약 0.05 중량% 내지 약 0.75 중량%, 또는 약 0.1 중량% 내지 약 0.5 중량%일 수 있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임의로는 UV선에 의한 조성물의 열화를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UV 안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에 공지된 어떠한 UV 안정화제라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접착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UV 안정화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벤조페논, 벤조트리아졸, 아릴 에스테르, 옥사닐리드, 아크릴 에스테르, 포름아미딘 카본 블랙, 입체장애된 아민, 니켈 켄쳐, 입체장애 아민, 페놀성 산화 방지제, 금속성 염, 아연 화합물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사용되는 경우, 조성물 중 UV 안정화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의 약 0 중량% 초과 내지 약 1 중량%, 약 0.05 중량% 내지 약 0.75 중량%, 또는 약 0.1 중량% 내지 약 0.5 중량%일 수 있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임의로는 착색제 또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에 공지된 어떠한 착색제 또는 안료라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접착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착색제 또는 안료의 비제한적인 예는 이산화티타늄 및 카본 블랙과 같은 무기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기타 유기 안료, 예를 들어, 이르가진(IRGAZIN)®, 크로모프탈(CROMOPHTAL)®, 모나스트랄(MONASTRAL)®, 신콰시아(CINQUASIA)®, 이르가라이트(IRGALITE)®, 오라솔(ORASOL)® (이들 모두는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Ciba Specialty Chemicals; 미국 뉴욕주 테리타운 소재)로부터 구입가능)을 포함한다. 사용되는 경우, 조성물 중 착색제 또는 안료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의 약 0 중량% 초과 내지 약 10 중량%,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또는 약 0.5 중량% 내지 약 2 중량%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임의로는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에 공지된 어떠한 충전제라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접착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충전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모래, 탈크, 돌로마이트, 탄산칼슘, 점토, 실리카, 운모, 규회석(wollastonite), 장석(feldspar),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알루미나, 수화 알루미나, 유리 비드, 유리 미세구, 세라믹 미세구, 열가소성 미세구, 중정석(barite), 목분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접착제 조성물 또는 배합물
본 발명은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점착제, 오일 및 임의로는 또 다른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또는 배합물을 제공한다. 배합물의 복합 점도(Complex Viscosity)는 70 ℃ 내지 110 ℃의 온도 범위에서 0 Paㆍs 내지 500 Paㆍs, 바람직하게는 0 Paㆍs 내지 400 Paㆍs이다. 또한, 배합물은 70 ℃ 내지 95 ℃의 크로스-오버 (cross-over) 온도를 나타내며, "크로스-오버 온도"란 배합물의 복합 점도가 500 Paㆍs을 초과하는 온도로 정의된다.
용도
본 발명의 접착제는 비제한적으로는 감압성 접착제 및 핫-멜트 접착제를 포함하는 각종 접착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핫-멜트 접착제에 특히 유용하며, 그의 용도로는 부직포 접착; 탭, 탄성 밴드와 같은 기저귀, 여성 생리대 및 의료용 의류 허리밴드 용도, 특히 부착용 접착제로서의 용도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부직포 응용시 개선된 적심을 나타내어 보다 나은 접착이 이루어지게 한다. 접착제의 경화 시간은 부직포의 접착과 블록킹 또는 배어남(strike-through)을 적절히 균형잡도록 조정될 수 있다.
시험 방법
13 C NMR 분석
대략 3 g의 50/50 테트라클로로에탄-d2/오르토디클로로벤젠 혼합물을 10 mm NMR 튜브 중 0.4 g의 샘플에 가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튜브와 그의 내용물을 150 ℃로 가열하여 샘플을 용해하고 균질화시켰다. 제올 이클립스 (JEOL Eclipse)™ 400MHz 스펙트로미터 또는 배리안 유니티 플러스 (Varian Unity Plus)™ 400MHz 스펙트로미터를 사용하여, 100.5 MHz의 13C 공명 주파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6초 펄스 반복 지연으로 데이터 파일 당 4000 트랜지언트 (transient)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득하였다. 정량 분석을 위한 최소 시그널-투-노이즈를 얻기 위하여, 다수의 데이터 파일을 함께 넣었다. 32K 데이터 포인트의 최소 파일 크기에서 스펙트럼 폭은 25,000 Hz였다. 샘플을 130 ℃에서 10 mm 광폭 프로브로 분석하였다. 공단량체 혼입은 랜달의 트라이어드 방법 (Randall's triad method, 문헌 [Randall, J.C.; JMS-Rev. Macromol. Chem. Phys., C29, 201-317 (1989)] 참조)으로 결정하였으며, 이 문헌은 그 전문이 본원에 원용된다.
밀도
중합체의 밀도는 ASTM D 1928에 따라 샘플을 제조한 다음, ASTM D792, 방법 B에 따른 샘플 압착 1시간 이내에 밀도를 측정하여 측정될 수 있다.
용융 지수
용융 지수 I2 또는 MI는 ASTM D 1238, 조건 190 ℃/2.16 kg에 따라 측정되었다.
중합체에 대한 DSC 표준 방법. 시차 주사 열량측정 결과는 RCS 냉각 부속장치 및 자동샘플화기가 장착된 TAI 모델 Q1000 DSC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질소 퍼지 가스 유속 50 ml/분을 사용하였다. 샘플을 박막으로 압착하고, 프레스 중에서 약 175 ℃에서 용융시킨 다음, 실온 (25 ℃)으로 공기냉각시켰다. 이어서, 샘플 (약 3 내지 10 mg)을 6 mm 직경의 디스크형으로 절단하여 정확히 칭량한 다음, 가벼운 알루미늄 팬 (약 50 mg)에 넣고 크림핑하여 밀폐하였다 (crimped shut). 샘플의 열 거동을 다음과 같은 온도 프로파일로 조사하였다. 이전의 임의의 열 이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샘플을 180 ℃로 급속히 가열한 후 3분 동안 등온으로 유지시켰다. 이어서, 샘플을 -90 ℃로 10 ℃/분의 냉각 속도로 냉각시킨 다음 -90 ℃에서 3분 동안 유지시켰다. 이어서, 샘플을 150 ℃로 10 ℃/분의 가열 속도로 가열하였다. 냉각 및 제2 가열 곡선을 기록하였다. 선형 베이스라인과 관련하여 용융 피크 (Tm) 및 냉각 피크 (Tc)를 결정하였다.
중합체 예에 있어서, DSC 용융 피크 온도 (흡열 반응으로부터)를 -30 ℃ 및 용융의 종결 사이에 그려진 선형 베이스라인에 관련하여 열류량 (W/g)에서의 최대치로서 측정하였다. DSC 결정화 피크 온도 (발열 반응으로부터)를 -30 ℃ 및 용융의 종결 사이에 그려진 선형 베이스라인에 관련하여 열류량 (W/g)에서의 최대치로서 측정하였다. 융합열은 선형 베이스라인을 사용하여 -30 ℃ 및 용융의 종결 사이에 용융 곡선 아래의 면적으로서 측정하였다.
총 중량% 결정화도는 100 * (샘플의 엔탈피/폴리에틸렌 결정의 엔탈피)이며, 완전한 폴리에틸렌 결정의 엔탈피는 문헌 [Macromolelcular Physics, Vol. 1, Academic Press, New York, 1973, p. 154]에 보고된 바에 따르면 292 J/g이다.
GPC (M w /M n 결정)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은 폴리머 래보라토리즈(Polymer Laboratories) 모델 PL-210 또는 폴리머 래보라토리즈 모델 PL-220 기기일 수 있다. 칼럼과 캐러셀 격실은 140 ℃에서 가동시켰다. 3개의 폴리머 래보라토리즈 10-마이크론 믹스트-B 칼럼을 사용하였다. 용매는 1,2,4-트리클로로벤젠이었다. 샘플을 200 ppm의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을 함유하는 용매 50 mL 중 0.1 g의 중합체의 농도로 제조하였다. 160 ℃에서 2시간 동안 가볍게 교반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주사 부피는 100 μL였고, 유속은 1.0 ml/분이었다.
GPC 칼럼 세트의 보정은 분자량이 580 내지 8,400,000 범위인 21종의 협소 분자량 분포 폴리스티렌 표준으로 수행되었으며, 표준은 개개 분자량 사이에 10 이상의 분리가 있는 6개의 "칵테일" 혼합물로 배치되었다. 표준은 폴리머 래보라토리즈(영국 쉬롭셔 소재)로부터 구입하였다. 폴리스티렌 표준은 분자량 1,000,000 이상에 대해서는 용매 50 mL 중 0.025 g으로, 분자량 1,000,000 미만에 대해서는 용매 50 mL 중 0.05 g으로 제조하였다. 폴리스티렌 표준을 80 ℃에서 30분 동안 온화하게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협소 분포 표준 혼합물을 제일 먼저 수행하고, 최고 분자량 성분이 감소하는 순서로 하여 분해를 최소화하였다. 폴리스티렌 표준 피크 분자량을 하기 식 (문헌 [Williams and Ward, J. Polym. Sci., Polym. Let., 6, 621 (1968)]에 기재된 바와 같이)을 사용하여 폴리에틸렌 분자량으로 변환시켰다:
M폴리에틸렌 = 0.431 (M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등가 분자량 계산은 비스코텍(Viscotek) TriSEC 소프트웨어 버젼 3.0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
용융 점도를 브룩필드 써모셀™ 시스템이 장착된 브룩필드 점도계 모델 DV-II로 측정하였다. 접착제 실시예의 용융 점도는 177 ℃에서 스핀들 31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ASTM D1084에 따라서 결정하였다.
동적 (복합) 점도 온도 스윕 (Sweep) 방법
점도를 TA 인스트루먼츠(TA instruments)의 ARES 변형률-제어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회전 액츄에이터 (서보모터)는 샘플에 전단-변형을 변형력의 형태로 가하였다. 이에 반응하여, 샘플에 의해 생성된 토크를 힘 변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샘플의 점탄성 특성을 용융 상태에서 25 mm 평행판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은 출발 두께 3 mm로부터 25 mm 압착 성형 디스크 상에서 분석을 수행한 후, 플레이트 갭을 1.5 내지 2 mm로 줄인 다음 과량의 샘플을 트리밍하였다. 샘플의 복합 점도는 레오메트릭스 오케스트레이터(Rheometrics Orchestrator) 소프트웨어 (v.6.5.8)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데이터는 10 ℃/분의 속도로 냉각시키면서 5% 내지 10% 사이의 일정한 변형률 및 10 rad/s의 일정 빈도로 기록되었다. 온도 스윕은 150 ℃ 내지 30 ℃에서 수행되었다. 크로스-오버 온도는 점도가 500 Paㆍs을 초과하여 상승한 온도이다.
<실시예>
표 1 및 2는 배합물에 사용된 OBC의 조성과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도 1 및 2는 각각 OBC A와 OBC 1의 DSC 프로파일을 보여준다.
Figure pat00003
하기 표 4에 열거된 조성에 따라 접착제를 배합하고 시험하였다. 배합물 A, B 및 C는 비교용 배합물이고, 배합물 1 및 2는 본 발명의 배합물이다.
Figure pat00004
도 3 내지 7은 각각 비교용 배합물 A 내지 C 및 본 발명의 배합물 1 및 2의 DSC 프로파일을 비교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정도 용융점(93 ℃)의 경질 세그먼트를 갖는 본 발명의 OBC 1을 기재로 하는 접착제는 비교 OBC를 기재로 하는 접착제 보다 낮은 결정화 온도를 갖는다. 비교 실시예와 본 발명 실시예 사이의 결정화 온도의 차이 50 ℃는 결정화에 있어서 상당한 지연을 나타내므로, 배합된 접착제에서 보다 긴 가사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비교 배합물들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없는 것은 중합체가 접착제의 경화를 주관하고, 비교 배합물 B는 비교 배합물 A (100 ℃) 보다 낮은 연화점의 점착제 (90 ℃)를 함유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표 5는 온도 30 ℃ 내지 150 ℃에 대해 플롯팅한 조성물의 복합 점도를 나타낸 도 8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표 5에 나타낸 데이터 및 도 8의 플롯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 조성물의 크로스-오버 온도는 95 ℃에서 일어나고, 본 발명의 조성물의 크로스-오버 온도는 75 ℃에서 일어난다.
Figure pat00006

Claims (1)

  1. a. 에틸렌과 α-올레핀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로서,
    1) 4 몰% 내지 8 몰%의 공단량체를 포함하며,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의 20 중량%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경질 블록, 및
    2) 10 몰% 내지 14 몰%의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연질 블록을 포함하며,
    분자량 Mw가 15,000 g/mol 내지 100,000 g/mol이고, 총 결정화도가 5 중량%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20 중량%이며, Tm이 60 ℃ 내지 105 ℃, 80 ℃ 내지 110 ℃, 또는 90 ℃ 내지 105 ℃이고, Tc가 45 ℃ 내지 100 ℃, 60 ℃ 내지 90 ℃, 또는 70 ℃ 내지 80℃인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b. 점착제; 및
    c. 오일
    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KR1020207005595A 2012-03-30 2013-02-27 폴리올레핀 접착제 조성물 KR202000243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18062P 2012-03-30 2012-03-30
US61/618,062 2012-03-30
PCT/US2013/027919 WO2013148041A1 (en) 2012-03-30 2013-02-27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879A Division KR102223511B1 (ko) 2012-03-30 2013-02-27 폴리올레핀 접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337A true KR20200024337A (ko) 2020-03-06

Family

ID=479013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595A KR20200024337A (ko) 2012-03-30 2013-02-27 폴리올레핀 접착제 조성물
KR1020147026879A KR102223511B1 (ko) 2012-03-30 2013-02-27 폴리올레핀 접착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879A KR102223511B1 (ko) 2012-03-30 2013-02-27 폴리올레핀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43173B2 (ko)
EP (1) EP2831190B1 (ko)
JP (1) JP6226951B2 (ko)
KR (2) KR20200024337A (ko)
CN (2) CN110655886A (ko)
ES (1) ES2614896T3 (ko)
TW (1) TWI626283B (ko)
WO (1) WO2013148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2015DN03074A (ko) 2012-10-09 2015-10-02 Avery Dennison Corp
EP3053954B1 (en) * 2013-10-30 2023-12-06 LG Chem, Ltd. Modified olefin resin
EP3158020A1 (en) * 2014-06-18 2017-04-26 Avery Dennison Corporation Transpos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rticles, and related methods
MX2017006889A (es) 2014-12-01 2017-09-0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elículas de contracción, y métodos para su fabricación.
MX2017010047A (es) 2015-02-05 2017-12-18 Avery Dennison Corp Conjuntos de etiquetas para entornos adversos.
WO2017000120A1 (en) * 2015-06-29 2017-01-0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le with adhesive composition having a block composite compatibilizer
EP3390475A1 (en) * 2015-12-15 2018-10-2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ross-linked foams made from interpolymers of ethylene/alpha-olefins
EP3260512B1 (en) 2016-06-20 2021-02-24 Henkel AG & Co. KGaA Extrud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based on polybutene-1 suitable for reclosable packagings
EP3486294B1 (en) 2016-07-14 2022-02-23 Sunstar Engineering Inc. Adhesive composition
ES2749111T3 (es) 2016-11-22 2020-03-19 Henkel Ag & Co Kgaa Adhesivo sensible a presión extruible basado en polímero de polibuteno-1 y un copolímero de estireno adecuado para embalajes recuperables
WO2018118767A1 (en) 2016-12-22 2018-06-28 Avery Dennison Corporation Converti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comprising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s
KR20190081822A (ko) * 2017-12-29 2019-07-09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올레핀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BR112022022053A2 (pt) 2020-04-29 2022-12-2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ções contendo interpolímeros multibloco de etileno/alfa-olefina com alto índice de fusão
WO2022126313A1 (en) 2020-12-14 2022-06-2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 high energy return foam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230114301A (ko) 2020-12-14 2023-08-0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폴리올레핀 발포체 비드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150921A1 (en) 2022-02-09 2023-08-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 3d loop articl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O2024073577A1 (en) 2022-09-30 2024-04-0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olefin compositions with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light transmittan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2236A (en) 1991-10-15 1993-12-21 The Dow Chemical Company Elastic substantially linear olefin polymers
US5278272A (en) 1991-10-15 1994-01-11 The Dow Chemical Company Elastic substantialy linear olefin polymers
US5783638A (en) 1991-10-15 1998-07-21 The Dow Chemical Company Elastic substantially linear ethylene polymers
US7608668B2 (en) 2004-03-17 2009-10-27 Dow Global Technologies Inc. Ethylene/α-olefins block interpolymers
DE602005019988D1 (de) 2004-03-17 2010-04-2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Katalysatorzusammensetzung mit shuttlung-mittel für die herstellung von ethylen-multiblockcopolymer
US7524911B2 (en) 2004-03-17 2009-04-28 Dow Global Technologies Inc. Adhesive and marking compositions made from interpolymers of ethylene/α-olefins
CA2601273A1 (en) 2005-03-17 2006-09-28 Dow Global Technologies Inc. Adhesive and marking compositions made from interpolymers of ethylene/alpha-olefins
ES2320383T3 (es) * 2005-03-17 2009-05-2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Interpolimeros de bloques de etileno/alfa-olefinas.
US20080081858A1 (en) 2006-10-02 2008-04-03 Genta Okazaki High styrene SBS hot melt adhesive
WO2009012215A1 (en) 2007-07-13 2009-01-2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Ethylene/a-olefin interpolymers containing low crystallinity hard blocks
KR101331701B1 (ko) 2007-08-17 2013-11-20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스티렌 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핫 멜트 접착제
BRPI0815310B1 (pt) * 2007-08-24 2019-05-1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omposição adesiva, artigo e método de aplicação de uma composição adesiva
JP5781769B2 (ja) 2008-01-30 2015-09-24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ブロックインターポリマー
JP6184048B2 (ja) * 2008-01-30 2017-08-23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ブロック共重合体
EP2294102B1 (en) * 2008-06-30 2013-08-2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olefin compositions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628792B1 (ko) * 2008-10-03 2016-06-0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를 갖는 중합체 블렌드
US20110002103A1 (en) * 2009-07-01 2011-01-06 Wen-Yi Lee Interlocking Structure For Memory Heat Sink
US9885149B2 (en) 2009-07-08 2018-02-0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arpet and carpet backing
CA2768970C (en) * 2009-07-24 2018-06-05 Bostik, Inc. Hot melt adhesive based on olefin block copolymers
US8799173B2 (en) * 2009-07-27 2014-08-05 Ebay Inc. Negotiation platform in an online environment using buyer reputations
WO2011034776A1 (en) * 2009-09-18 2011-03-2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owdered thermoplastic polyolefin elastomer composition for slush molding proce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1190B1 (en) 2016-12-14
TW201348366A (zh) 2013-12-01
US20150065638A1 (en) 2015-03-05
JP2015517007A (ja) 2015-06-18
JP6226951B2 (ja) 2017-11-08
EP2831190A1 (en) 2015-02-04
KR102223511B1 (ko) 2021-03-05
CN104220551A (zh) 2014-12-17
WO2013148041A1 (en) 2013-10-03
KR20140142254A (ko) 2014-12-11
ES2614896T3 (es) 2017-06-02
US9243173B2 (en) 2016-01-26
CN110655886A (zh) 2020-01-07
TWI626283B (zh)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6951B2 (ja) ポリオレフィン接着剤組成物
EP2688967B1 (en) Stretch film lamination adhesive
JP6802151B2 (ja) 結晶性ブロック複合材料を含む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AU767030B2 (en) Hot melt adhesive based on blends of EPR and/or EPDM and semicrystalline olefinic polymers
EP2435525B1 (en)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s
KR102242739B1 (ko) 결정성 블록 복합체를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
KR102267196B1 (ko) 에틸렌/α-올레핀 다중-블록 공중합체를 갖는 핫 멜트 접착제 조성물
JP2017535632A (ja) 改良された加工および結合性能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ベースの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2014528500A (ja) ワセリンを含有する瓶ラベル貼付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
US20140256867A1 (en) Psa containing olefin block copolymers and styrene block copolymers
US5900465A (e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hydrogenated block copolymers
KR102336486B1 (ko) 재밀폐가능한 포장에 적합한 폴리부텐-1 기반의 압출형 감압성 접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