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849A -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 - Google Patents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849A
KR20200023849A KR1020180100275A KR20180100275A KR20200023849A KR 20200023849 A KR20200023849 A KR 20200023849A KR 1020180100275 A KR1020180100275 A KR 1020180100275A KR 20180100275 A KR20180100275 A KR 20180100275A KR 20200023849 A KR20200023849 A KR 20200023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a
weight
jar
mixing
high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영
Original Assignee
박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영 filed Critical 박찬영
Priority to KR102018010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3849A/ko
Publication of KR20200023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마추어 스포츠인은 물론 프로 스포츠인들도 운동 후 복용하여 스트레스 해소, 원기회복, 신진대사 개선 및 근육합성 증대에 기여하고, 마시기에 좋은 맛과 향을 발현시킬 뿐만 아니라 특히,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증대시켜 항산화활성을 강화시킨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method for manufacturing healthy drinks using maca and healthy drinks produc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마추어 스포츠인은 물론 프로 스포츠인들도 운동 후 복용하여 스트레스 해소, 원기회복, 신진대사 개선 및 근육합성 증대에 기여하고, 마시기에 좋은 맛과 향을 발현시킬 뿐만 아니라 특히,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증대시켜 항산화활성을 강화시킨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음료란 주로 운동이나 노동 등으로 인하여 체내에서 빠져나간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해주어 피로회복을 돕는 기능성 음료를 말한다.
이러한 건강음료는 당을 비롯하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C를 함유하여 체내에서 빠져나간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하고, 이를 통해 피로회복을 돕기 때문에 특히 운동선수들의 경우 건강에 해로운 단백 동화 스테로이드 대신에 필요한 영양소와 에너지를 빠르고 간편하게 얻을 수 있어 선호되고 있다.
이와 같은 건강음료의 하나로 마카추출물을 이용한 것이 개시된 바 있다.
마카(Lepidium meyenii Walpers)는 십자화과(Brassic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주로 페루의 안데스 산맥 해발 4,000m 이상의 고지대에서 재배되는 다년생 식물로 감자와 비슷한 형태인 뿌리부분이 안데스 산맥 주변 토착인들에게 주요한 식량자원으로 이용되었던 식물이다.
이러한 마카는 추위, 강풍, 가뭄 등 어려운 자연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생명력이 매우 강하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비타민, 무기질, 섬유소 등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가가 높고 알칼로이드, 스테로이드, 탄닌, 사포닌 등의 다양한 생리기능성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특히, 함유된 아르기닌은 노화를 억제하고 성장호르몬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젊음을 유지하고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에, 일본에서는 마카에 대한 기능성을 인정받아 건강식품 시장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건강식품들이 시판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에서는 마카와 관련된 건강식품, 특허 건강음료와 관련해서 활성화가 미진한 상태이다.
그런데, 마카의 서식지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는 강원도와 같은 곳에서는 마카 재배가 가능하여 이를 농가소득으로 연결시킬 필요가 있다.
즉, 국내 농가현실은 상당히 취약한 상태로서 어떤 곳은 월 소득이 100만원에도 못미치는 영세 농민들이 많다.
때문에, 농한기에 고부가가치 식물을 재배하고, 이를 상품화할 수 있다면 농가소득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고부가가치 식물인 마카의 경우 강원도와 같은 재배 적합지가 있기 때문에 농한기 농가소득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활발한 방안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7237호(2012.09.25), '마카 추출물 함유 알코올 음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3516호(2012.04.30.), '마카 추출물을 포함하며 항산화 작용 및 기억력 증진 효과가 있는 음료,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0956호(2013.05.29.), '마카 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아마추어 스포츠인은 물론 프로 스포츠인들도 운동 후 복용하여 스트레스 해소, 원기회복, 신진대사 개선 및 근육합성 증대에 기여하고, 마시기에 좋은 맛과 향을 발현시킬 뿐만 아니라 특히,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증대시켜 항산화활성을 강화시킨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카엑기스 추출단계, 대추 증숙후 착즙단계, 감초 분쇄단계, 마카음료 조성단계, 살균 후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카음료 조성단계에서, 마카음료 조성은 마카엑기스 40중량%와, 대추즙 17중량%와, 감초 미분 15중량%와, 꿀 5중량%와, 복분자액 8중량% 및 나머지 증류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마카엑기스 추출단계는 500㎖의 항아리에 세절된 마카 잎과 뿌리를 넣는 제1과정과; 500㎖ 항아리 기준 식초 10㎖와 검은콩 20알을 더 첨가하는 제2과정과; 제2과정 후 삼베로 항아리 입구를 막은 상태에서 물이 채워진 용기에 항아리를 넣고 용기의 뚜껑을 닫은 후 100℃의 온도로 2-3시간 동안 가열 중탕하는 제3과정과; 제3과정 후 얻은 추출액을 여과하여 마카엑기스를 얻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를 제공함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마추어 스포츠인은 물론 프로 스포츠인들도 운동 후 복용하여 스트레스 해소, 원기회복, 신진대사 개선 및 근육합성 증대에 기여하고, 마시기에 좋은 맛과 향을 발현시킬 뿐만 아니라 특히,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증대시켜 항산화활성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강음료를 혼합하기 위한 건강음료 제조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은 마카엑기스 추출단계, 대추 증숙후 착즙단계, 감초 분쇄단계, 마카음료 조성단계, 살균 후 포장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마카엑기스 추출단계는 마카 잎과 뿌리(감자 형태의 알뿌리)를 세절한 후 중탕하여 엑기스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즉, 500㎖의 항아리에 세절된 마카 잎과 뿌리를 넣고, 500㎖ 항아리 기준 식초 10㎖와 검은콩 20알을 함께 넣은 뒤 삼베로 항아리 입구를 막은 상태에서 물이 채워진 용기에 항아리를 넣고 용기의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100℃의 온도로 2-3시간 동안 가열 중탕하여 얻은 추출액을 걸러 사용한다.
여기에서, 식초를 넣는 이유는 마카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경험에 따르면 포도를 증류한 증류주가 마카 특유의 냄새를 경감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대부분 증류주를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냄새를 잡고 있으나 이는 알콜 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최근 보고에 따르면 아세트산이 마카 특유의 냄새 제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를 응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아세트산(CH3COOH, 초산)인 식초를 활용한다.
이는 식초가 식용가능한 조미료의 일종으로서 4-6%의 농도를 갖는 초산 수용액이기 때문이다.
다만, 항아리 용량 대비 10㎖를 초과하게 되면 식초 냄새가 베일 수 있어 취음하기 불편할 수 있으므로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해야 한다.
또한, 검은콩을 넣는 이유는 레틴 성분이 풍부한 검은콩을 함께 넣어 추출함으로써 쓴맛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검은콩에 함유된 안토시아닌과 이소플라본 성분에 의한 운동 후 혈액순환 개선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항아리 용량 대비 20알을 넘어 과량 첨가되면 레틴성분의 과량 추출로 소화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여성의 경우 여성호르몬 분비를 촉진하여 장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20알 이하로 한정해야 한다.
그리고, 대추 증숙후 착즙단계는 대추즙을 만드는 단계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대추는 다양한 아미노산과 무기질을 포함하고 있고 또한 카로티노이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몸속 활성산소 제거 효과가 우수하여 노화예방에 기여하며, 무엇보다도 대추의 단맛은 진정작용이 있어 특히 운동 후 호흡을 고르게 하고 신체를 이완시키면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운동선수(아마추어, 프로 포함)들의 스포츠음료격인 뉴트리젼으로 활용한 건강음료임을 고려하여 대추를 증숙한 후 착즙한 즙 형태로 첨가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대추 증숙후 착즙단계에서 즙의 특성을 더욱 더 강화시키기 위해 대추를 증숙할 때 백화사설초 잎과 마그네슘을 더 첨가한 상태로 증숙할 수 있다.
이 경우, 첨가 비율은 대추:백화사설초 잎:마그네슘이 각각 7:2.5:0.5의 중량비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백화사설초(Hedyotis diffusa Wilid)는 체내 독소를 해독하고, 염증을 치료하며, 면역기능 증진을 위해 첨가되는 천연물질로 생잎을 사용하며; 마그네슘은 이 생잎의 연화와 독성 제거를 위해 첨가되는데 주로 증숙시 물과 반응하여 활성수소를 생성함으로써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생잎의 독성 분해, 유용물질 추출 촉진에 기여하게 된다.
아울러, 감초 분쇄단계는 감초를 첨가하기 좋은 미분 상태로 분쇄하는 단계로서, 0.01㎛ 입도를 갖도록 마쇄하여 음용하기 용이하도록 가용성 고형분이 일반적인 에너지 음료의 기준인 60ㅁ1.5 Brix 범위로 유지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첨가량도 이 기준을 맞출 수 있도록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한된다.
이렇게 감초 미분을 첨가하는 이유는 단순히 꿀 만으로 당도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미세한 당도 조절을 위한 것이다.
이 경우, 감초 미분만 단독으로 첨가하지 않고, 경단백질인 콘키올린과 말토덱스트린을 감초 미분:콘키올린:말토덱스트린이 6:3:1의 중량비로 혼합사용될 수 있다.
이때, 경단백질인 콘키올린(Conchiolin)은 알레르기를 억제하고, 독성을 배출 제거하는데 효능을 더 강화시킬 수 있으며, 말토덱스트린은 분해가 쉬운 다당류의 탄수화물로서 감초와 꿀로 얻지 못하는 미세한 당도 유지를 위해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마카음료 조성단계는 상술한 추출액 혹은 즙과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상기 마카음료 조성단계에서는 마카엑기스 40중량%와, 대추즙 17중량%와, 감초 미분 15중량%와, 꿀 5중량%와, 복분자액 8중량% 및 나머지 증류수로 조성한다.
이렇게 조성하는 이유는 맛과 향 및 색상, 그리고 가용성 고형분을 건강음료 기준에 부합시키기 위함이며, 마카엑기스가 초과하여 과량 첨가되면 음용하기에 적당한 맛을 유지하는데 미묘한 차이를 보여 다수의 관능평가를 통해 결정된 것이다.
이는 대추즙, 감초 미분, 꿀, 복분자액도 마찬가지 이유이며, 특히 꿀은 직접적인 당도 조절을 위해 첨가된다. 다만, 설탕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정제된 설탕의 경우 혈당량(GI 지수)을 높일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덧붙여, 상기 마카음료 조성물에는 전체량 기준으로 DCHF-DA(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 2.5중량부, 매실 농축액 0.5중량부, 케나프 추출액 1.5중량부 더 첨가될 수 있다.
이때, DCHF-DA(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는 비트(Beta vulgaris)에서 추출된 추출물로서 체내 세포의 항산화 특성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색상을 갈색으로 유지시키면서 음용시 맛을 좋게 하고, pH를 안정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매실 농축액은 매실 열매를 농축한 것으로, 매실은 소화를 촉진하고, 시트르산이 풍부하여 피로 원인 물질은 젖산을 체외로 배출시켜 피로회복을 촉진하며, 피루브산이 함유되어 있어 간 기능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케나프(Hibiscus cannabinus L.)는 보통 섬유를 얻을 목적으로 인도, 방글라데시, 태국 등에서 재배되고 있는 양마(洋麻)로서 잎에는 칼슘이 우유의 4배가 함유되어 있고, 다량의 단백질과 비타민 및 철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활성산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항산화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염, 항바이러스 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렇게 조성된 마카음료 조성물은 살균 후 용기포장단계를 거쳐 제품화된다.
이때, 살균은 마카음료에 자외선램프를 침지시켜 살균선을 방시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 마카음료 시료를 제작하였으며, 시료는 아래 사진과 같다.
[마카음료 시료]
Figure pat00001
상기 마카음료 시료는 다소 탁해 보이지만, 음료로서 요구하는 가용성 고형분 농도의 기준치를 충족하고 있으며, 색상은 갈색에 가까웠다.
강원대학교에 다니는 학생(남여 구분없이) 50명을 대상으로 시음한 결과, 맛과 향 모두 양호하다는 판정을 받았다.
아울러,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도를 확인하기 위해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5℃에서 45분간 감압 농축한 후 시험하였다.
이때, 폴리페놀의 함량은 시료 0.20㎖에 10% Folin-Ciocalteu 시약 1.6㎖를 넣고 섞은 다음 7.5% Na2CO3를 0.25㎖ 가한 뒤 30분간 암소에서 반응시킨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였으며, 표준물질로 갈릭산(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뿐만 아니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시료 1㎖와 증류수 3㎖를 혼합 후 7.5% NaNO2를 0.3㎖를 가한 뒤 5분간 반응시킨 후 10% AlCl3를 0.3㎖를 가한 후 6분간 방치한 다음, 2㎖의 1M NaOH를 가한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였으며, 표준물질로 카테킨을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항산화 활성(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정도는 각 시료 50㎕와 증류수 950㎕를 혼합 후 100㎕ DPPH solution을 가한 뒤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분광광도계에서 측정하였으며, 산출식은 아래와 같다.
(산출식)
Figure pat00002
실험 결과, 폴리페놀의 함량은 318.20㎍/㎖,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128.52㎍/㎖, 항산화 활성은 5.54%로 나타나 항산화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실험용 시료 단계를 넘어 하기한 사진과 같이 시음용 샘플(샘플명:프리마카)을 만들어 용기에 담았으며, 관능평가를 지속하고 있다.
[시음용 샘플]
Figure pat00003
한편, 항아리의 외표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와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아리 둘레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Å 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0.1 몰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삼베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삼베를 살균 처리하고, 작업자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 비율은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 50중량%,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 물질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 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의 주 화학성분은 palmic aldehyde, enanthic acid 등이며, 향이 좋으며 살균, 항울작용, 스트레스 완화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은 주 화학성분은 bornyl acetate, pinene 등이며, 혈압강하작용과 더불어 마음을 가라앉히고 진정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불안, 긴장완화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삼베에 코팅되므로 삼베를 살균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의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카음료를 혼합하기 위한 건강음료 제조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제조장치는 혼합용기(1)에 투입된 마카음료를 혼합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강음료 제조장치는, 하부받침(10)과, 하부받침(10)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받침(10)과 함께 이송되는 회전프레임(30)과, 하부가 하부받침(10)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 회전프레임(30)이 설치되며 회전프레임(30)을 승강시키는 승하강부(20)와, 회전프레임(30) 및 승하강부(20)에 설치되어서 회전프레임(3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동부(40)와,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되어서 혼합용기(1) 내의 재료를 고속으로 교반하는 고속믹싱부(50)와,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되고 혼합용기(1) 내의 재료를 저속으로 교반하는 저속믹싱부(60)와, 혼합용기(1)가 안착되고 혼합용기(1)를 고속믹싱부(50) 및 저속믹싱부(6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혼합용기역회전부(70)와, 혼합용기역회전부(70)에 설치되어서 혼합용기역회전부(70)에 안착된 혼합용기(1)의 중량을 감지하고 혼합용기(1)에 투입되는 재료의 양을 계측하는 측량부(80)와, 승하강부(20), 수평회동부(40), 고속믹싱부(50), 저속믹싱부(60), 혼합용기역회전부(70), 측량부(80)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콘트롤부(90)로 이루어진다.
하부받침(10)은, 승하강부(20) 및 콘트롤부(90)가 안착되는 이동판(11)과, 이동판(11)의 바닥에 설치되어서 이동판(11)의 이동을 안내하는 바퀴(12)로 이루어진다.
승하강부(20)는, 하단이 하부받침(10)의 이동판(11)에 안착되고 로드(22)의 상단이 회전프레임(30)에 연결되는 승하강실린더(21)로 이루어진다.
회전프레임(30)은, 로드(22)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수평회동부(40)는, 승하강부(20)에 고정되는 수평회동모터(41)와, 수평회동모터(41)에 연결되어서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구동기어(42)와, 회전프레임(30)에 고정되고 구동기어(42)에 치합되어서 구동기어(42)의 회전시 연동되면서 회전프레임(30)을 회전시키는 전동기어(43)로 이루어진다.
저속믹싱부(60)는,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된 저속회동모터(61)와, 상단이 저속회동모터(61)에 연결되는 저속축(62)과, 저속축(62)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저속축(62)과 함께 회전되고 혼합용기(1) 내의 재료를 교반하는 저속날개부(63)로 이루어진다.
저속날개부(63)는, 저속축(62)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보스(64)와, 결합보스(64)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회전시 혼합용기(1) 내의 재료를 교반 및 부양시키는 날개(65)와, 날개(65) 둘레에 결합되어서 날개(65)를 지지하고 날개(65)를 보호하는 날개보호링(67)과, 날개(65)에 결합되어서 혼합용기(1) 바닥의 재료를 상측으로 긁어서 올리는 긁개(66)와, 스크래퍼(66) 및 브레이드(65)에 체결되는 고정나사(68) 이루어진다.
고속믹싱부(50)는,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되는 고속회동모터(51)와, 고속회동모터(51)에 연결되어서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고속축(55)과, 고속축(55)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며 혼합용기(1) 내의 재료를 고속으로 교반하는 고속날개부(56)와, 고속회동모터(51)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풀리(52)와, 고속축(55)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전동풀리(53)와, 구동풀리(52) 및 전동풀리(53)에 연결되어서 구동풀리(52)의 회전동력을 전동풀리(53)에 전달하는 전동벨트(54)로 이루어진다.
고속날개부(56)는, 고속축(55)의 하단에 결합되는 회동판(57)과, 회동판(57)의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수평방향의 회동판(57)과 직각을 이루도록 세워져 있으며 고속 회전시 저속날개부(63)에 의해 부양된 고속날개부(56) 외측의 재료를 고속날개부(56) 내측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하는 고속날개(58)와, 회동판(57)과 고속날개(58)에 연결되어서 고속날개(58)를 보강하는 보강편(59)으로 이루어진다.
혼합용기역회전부(70)는,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스(76)와, 케이스(76)의 상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지면에 노출되며 혼합용기(1)가 안착되는 회전판(79)과, 케이스(76)에 내장되고 회전판(79)에 연결되어서 회전판(79)을 회전시키는 회전판구동모터(71)와, 회전판구동모터(71)에 연결되어서 회전판구동모터(7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75)와, 회전판구동모터(71)에 연결된 회전판구동풀리(72)와, 감속기(75)에 연결된 회전판전동풀리(73)와, 회전판구동풀리(72) 및 회전판전동풀리(73)에 연결되어서 회전판구동풀리(72)의 회전동력을 회전판전동풀리(73)에 전달하는 회전판전동벨트(74)와, 회전판(79)의 하부에 고정되는 링기어(77)와, 감속기(75)에 연결되고 링기어(77)에 치합되어서 감속기(75)의 회전동력을 링기어(77)에 전달하는 회전판전동기어(78)로 이루어진다.
측량부(80)는 로드셀로 이루어진다.
저속믹싱부(60)의 저속날개부(63)와 고속믹싱부(50)의 고속날개부(56)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혼합용기역회전부(70)의 회전판(79)은 저속날개부(63) 및 고속날개부(56)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건강음료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하부받침(10)과, 하부받침(10)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받침(10)과 함께 이송되는 회전프레임(30)과, 하부가 하부받침(10)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 회전프레임(30)이 설치되며 회전프레임(30)을 승강시키는 승하강부(20)와, 회전프레임(30) 및 승하강부(20)에 설치되어서 회전프레임(3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동부(40)와,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되어서 혼합용기(1) 내의 재료를 고속으로 교반하는 고속믹싱부(50)와,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되고 혼합용기(1) 내의 재료를 저속으로 교반하는 저속믹싱부(60)와, 혼합용기(1)가 안착되고 혼합용기(1)를 고속믹싱부(50) 및 저속믹싱부(6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혼합용기역회전부(7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강음료 제조장치를 필요한 곳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저속믹싱부(60) 및 고속믹싱부(50)를 수평회전 및 승강시키면서 혼합용기(1) 내부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혼합장치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저속믹싱부(6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혼합용기(1) 내의 재료를 혼합시키면서 상측으로 부양시키고, 고속믹싱부(50)가 저속믹싱부(6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측으로 부양되는 재료를 2차로 혼합시키며, 혼합용기역회전부(70)는 저속믹싱부(60) 및 고속믹싱부(5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혼합용기(1)를 회전시키므로 혼합용기(1) 내의 재료가 저속믹싱부(60) 및 고속믹싱부(50)에 의해 다시 혼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저속믹싱부(60), 고속믹싱부(50) 및 이들과 반대로 회전되는 혼합용기역회전부(70)에 의해 혼합용기(1) 내의 재료가 확실하게 혼합되므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혼합용기역회전부(70)에는 측량부(80)가 설치되어 있으며, 혼합용기역회전부(70)에 안착된 혼합용기(1)의 중량을 감지하고 혼합용기(1)에 투입되는 재료의 양을 계측한다.
따라서, 혼합용기(1)에 재료를 투입하면 측량부(80)의 로드셀이 투입된 양을 곧바로 계측하므로, 혼합재료의 계측이 매우 간편해지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크게 개선된다.
넷째, 본 발명의 저속날개부(63)는, 저속축(62)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보스(64)와, 결합보스(64)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회전시 혼합용기(1) 내의 재료를 교반 및 부양시키는 날개(65)와, 날개(65) 둘레에 결합되어서 날개(65)를 지지하고 날개(65)를 보호하는 날개보호링(67)과, 날개(65)에 결합되어서 혼합용기(1) 바닥의 재료를 상측으로 긁어서 올리는 긁개(6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저속날개부(63)가 회전되면 경사지게 배열된 날개(65)들에 의해 혼합용기(1) 내부의 재료들이 상측으로 부양되면서 혼합되고, 혼합용기(1)의 바닥에 깔린 재료들은 긁개(66)에 의해 긁어 올려지면서 혼합되며, 날개보호링(67)에 의해 저속날개부(63)가 혼합용기(1)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되면서 혼합용기(1)의 내주면에 부딪힌다 하더라도 그 충격이 최소화되어 혼합용기(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다섯째, 본 발명의 고속날개부(56)는, 고속축(55)의 하단에 결합되는 회동판(57)과, 회동판(57)의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수평방향의 회동판(57)과 직각을 이루도록 세워져 있으며 고속 회전시 저속날개부(63)에 의해 부양된 고속날개부(56) 외측의 재료를 고속날개부(56) 내측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하는 고속날개(58)와, 회동판(57)과 고속날개(58)에 연결되어서 고속날개(58)를 보강하는 보강편(59)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속날개부(56)는 고속날개(58)의 둘레가 곡선으로 형성되므로 고속회전시 재료의 알갱이들이 고속날개(58)에 부딪혀도 파손되지 않는다.
따라서, 재료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고속날개부(56)에 의해 혼합되어도 조성물의 알갱이들이 손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고속날개(58)는 보강편(59)으로 지지되므로 장기간 고속회전되어도 고속날개(58)가 휘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고속날개(58)의 표면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메트캅토트리아졸 20중량%, 페트롤륨술포네이트 15중량%, 머캅토벤조티아졸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3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
메트캅토트리아졸, 페트롤륨술포네이트 및 머캅토벤조티아졸은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1 : 혼합용기
10 : 하부받침 11 : 이동판
12 : 바퀴 20 : 승하강부
21 : 승하강실린더 22 : 로드
30 : 회전프레임 40 : 수평회동부
41 : 수평회동모터 42 : 구동기어
43 : 전동기어 50 : 고속믹싱부
51 : 고속회동모터 52 : 구동풀리
53 : 전동풀리 54 : 전동벨트
55 : 고속축 56 : 고속날개부
57 : 회동판 58 : 고속날개
59 : 보강편 60 : 저속믹싱부
61 : 저속회동모터 62 : 저속축
63 : 저속날개부
65 : 날개 66 : 긁개
67 : 날개보호링 70 : 혼합용기역회전부
71 : 회전판구동모터 72 : 회전판구동풀리
73 : 회전판전동풀리 74 : 회전판전동벨트
75 : 감속기 76 : 케이스
77 : 링기어 78 : 회전판전동기어
79 : 회전판 80 : 측량부
90 : 콘트롤부

Claims (3)

  1. 마카엑기스 추출단계, 대추 증숙후 착즙단계, 감초 분쇄단계, 마카음료 조성단계, 살균 후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카음료 조성단계에서,
    마카음료 조성은 마카엑기스 40중량%와, 대추즙 17중량%와, 감초 미분 15중량%와, 꿀 5중량%와, 복분자액 8중량% 및 나머지 증류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카엑기스 추출단계는 500㎖의 항아리에 세절된 마카 잎과 뿌리를 넣는 제1과정과; 500㎖ 항아리 기준 식초 10㎖와 검은콩 20알을 더 첨가하는 제2과정과; 제2과정 후 삼베로 항아리 입구를 막은 상태에서 물이 채워진 용기에 항아리를 넣고 용기의 뚜껑을 닫은 후 100℃의 온도로 2-3시간 동안 가열 중탕하는 제3과정과; 제3과정 후 얻은 추출액을 여과하여 마카엑기스를 얻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
KR1020180100275A 2018-08-27 2018-08-27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 KR20200023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275A KR20200023849A (ko) 2018-08-27 2018-08-27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275A KR20200023849A (ko) 2018-08-27 2018-08-27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849A true KR20200023849A (ko) 2020-03-06

Family

ID=69802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275A KR20200023849A (ko) 2018-08-27 2018-08-27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38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162B1 (ko) 2020-03-16 2020-11-12 최영옥 꾸지뽕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16B1 (ko) 2009-04-29 2012-07-09 강용수 마카 추출물을 포함하며 항산화 작용 및 기억력 증진 효과가 있는 음료, 이의 제조방법
KR101187237B1 (ko) 2004-03-30 2012-10-02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마카 추출물 함유 알코올 음료
KR101270956B1 (ko) 2010-04-27 2013-06-11 강용수 마카 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237B1 (ko) 2004-03-30 2012-10-02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마카 추출물 함유 알코올 음료
KR101143516B1 (ko) 2009-04-29 2012-07-09 강용수 마카 추출물을 포함하며 항산화 작용 및 기억력 증진 효과가 있는 음료, 이의 제조방법
KR101270956B1 (ko) 2010-04-27 2013-06-11 강용수 마카 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162B1 (ko) 2020-03-16 2020-11-12 최영옥 꾸지뽕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23916B (zh) 一种树莓保鲜液
JP2007016015A (ja) ヒストン脱アセチル化酵素および腫瘍壊死因子変換酵素阻害
CN106923279A (zh) 一种绿茶酵素果冻及其制备方法
CN103484293B (zh) 一种余甘子果茶酒及其制作方法
Koley et al. Nutraceutical properties of jamun (Syzygium cumini L.) and its processed products
KR20200023849A (ko) 마카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
CN105614835B (zh) 一种荸荠韭花酱及其制备方法
CN104082453A (zh) 一种蜂蜜果茶粉及其加工方法
KR101258275B1 (ko) 흑마늘 추출물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재배된 흑마늘 콩나물
CN109452643A (zh) 一种抗氧化桑葚花青素口服液及其制备方法
Puranik et al. Bioactive components retention in processed Indian gooseberry products
Jat et al. Commercial products of aonla fruits, increasing the value addition
KR101714471B1 (ko) 스피루리나분말을 함유한 애견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791466B1 (ko) 아로니아 코팅쌀의 제조방법
CN105660955A (zh) 一种保健酸梨茶
KR101725638B1 (ko) 아티초크를 이용한 아티초크 발효차, 발효분말차 및 발효환 제조방법
CN115530365B (zh) 一种鸡皮果-菠萝-火龙果复合酵素及其制备方法
Muhammad et al. 79.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phenolic antioxidants in four varieties of apples (Pyrus malus) from Balochistan, Pakistan
CN109221838A (zh) 一种零添加刺葡萄浊汁及其制备方法
Sharma Blending of kokum extract in Concord grape juice: study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ensory quality and storage
KR102299517B1 (ko) 귀리를 함유하는 기능성 곡물차 제조방법
KR102268220B1 (ko) 수박, 레몬머틀 및 야관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액상차 조성물
Fatma Nadya Nursyamsi Soaking Time in Lime Solution Increases the Antioxidant Activity, Antidiabetic Activity, and Consumer Acceptance Level of Sargassum Polycystum Seaweed Tea
KR100883931B1 (ko) 배를 주재로 한 배식초, 그를 이용한 배식초음료 및 그 제조방법
Paduret et al. Physico-chem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a new beverages obtained from wild mountain cranberry (Vacciniumvitis-ida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