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351A - 코팅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코팅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22351A KR20200022351A KR1020190102160A KR20190102160A KR20200022351A KR 20200022351 A KR20200022351 A KR 20200022351A KR 1020190102160 A KR1020190102160 A KR 1020190102160A KR 20190102160 A KR20190102160 A KR 20190102160A KR 20200022351 A KR20200022351 A KR 202000223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coating
- layer
- weight
- polyan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29920006267 polyester film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29920000447 polyanionic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29920002873 Polyethylenimi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150000007942 carboxylat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QAOWNCQODCNURD-UHFFFAOYSA-L sulfate group Chemical group S(=O)(=O)([O-])[O-] QAOWNCQODCNURD-UHFFFAOYSA-L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8
- KKEYFWRCBNTPAC-UHFFFAOYSA-N Tere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O)=O)C=C1 KKEYFWRCBNTPA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QQVIHTHCMHWDBS-UHFFFAOYSA-N iso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O)=O)=C1 QQVIHTHCMHWDB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40093476 ethylene glycol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OFOBLEOULBTSOW-UHFFFAOYSA-N Mal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O OFOBLEOULBTSO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3007 heat c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5
- MTHSVFCYNBDYFN-UHFFFAOYSA-N di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 MTHSVFCYNBDY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809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ZOIORXHNWRGPMV-UHFFFAOYSA-N acetic acid;zinc Chemical group [Zn].CC(O)=O.CC(O)=O ZOIORXHNWRGP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GKMXREIWPASRMP-UHFFFAOYSA-J dipotassium;oxalate;oxygen(2-);titanium(4+) Chemical group [O-2].[K+].[K+].[Ti+4].[O-]C(=O)C([O-])=O.[O-]C(=O)C([O-])=O GKMXREIWPASRMP-UHFFFAOYSA-J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246 zinc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WOZVHXUHUFLZGK-UHFFFAOYSA-N dimethyl terephthalate Chemical compound COC(=O)C1=CC=C(C(=O)OC)C=C1 WOZVHXUHUFLZ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JXTHNDFMNIQAHM-UHFFFAOYSA-N dichloro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l)Cl JXTHNDFMNIQAH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328 Polyvinylidene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009 di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RXOHFPCZGPKIRD-UHFFFAOYSA-N naphthalene-2,6-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O)=O)C=CC2=CC(C(=O)O)=CC=C21 RXOHFPCZGPKI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33 polyvinylidene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SMZOUWXMTYCWNB-UHFFFAOYSA-N 2-(2-methoxy-5-methylphenyl)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C1CCN SMZOUWXMTYCW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MSODMZESSGVBE-UHFFFAOYSA-N 2-Oxazoline Chemical compound C1CN=CO1 IMSODMZESSGVB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ERQOIWHTDAKMF-UHFFFAOYSA-N Methacr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VQNEPGJFQJSBK-UHFFFAOYSA-N Methyl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OC(=O)C(C)=C VVQNEPGJFQJSB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335 aliphatic alka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ADCOVFLJGNWWNZ-UHFFFAOYSA-N antimony trioxide Chemical compound O=[Sb]O[Sb]=O ADCOVFLJGNWWN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TZCXTZWJZNENPQ-UHFFFAOYSA-L bar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Ba+2].[O-]S([O-])(=O)=O TZCXTZWJZNENPQ-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WERYXYBDKMZEQL-UHFFFAOYSA-N butane-1,4-diol Chemical compound OCCCCO WERYXYBDKMZEQ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OSGAYBCDTDRGGQ-UHFFFAOYSA-L calc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Ca+2].[O-]S([O-])(=O)=O OSGAYBCDTDRGGQ-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99 coating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215 dichloroacet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PQXKHYXIUOZZFA-UHFFFAOYSA-M lithium fluoride Chemical compound [Li+].[F-] PQXKHYXIUOZZFA-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976 ma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696 manganes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68 polycondens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YPFDHNVEDLHUCE-UHFFFAOYSA-N propane-1,3-diol Chemical compound OCCCO YPFDHNVEDLHU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ZCYOOQTPOCHFL-UHFFFAOYSA-N trans-bute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VZCYOOQTPOCHF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XGZQGDTEZPERC-UHFFFAOYSA-N 1,4-cyclohexanedicarboxylic acid Chemical class OC(=O)C1CCC(C(O)=O)CC1 PXGZQGDTEZPER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PWNQTHUCYMVMZ-UHFFFAOYSA-N 4,4'-sulfonyldiphenol Chemical class C1=CC(O)=CC=C1S(=O)(=O)C1=CC=C(O)C=C1 VPWNQTHUCYMV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EQFBGHQPUXOFH-UHFFFAOYSA-N 4-(4-carboxyphenyl)benzoic acid Chemical class C1=CC(C(=O)O)=CC=C1C1=CC=C(C(O)=O)C=C1 NEQFBGHQPUXO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95 Alumin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8790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5605 Bisphen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99 BoPET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34 Co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1 Cross lin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8651 Crystalli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JIGUQPWFLRLWPJ-UHFFFAOYSA-N Eth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COC(=O)C=C JIGUQPWFLRLWP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AYPIBMASNFSPL-UHFFFAOYSA-N Ethylene oxide Chemical group C1CO1 IAYPIBMASNFSP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NCOEDDPFOAUMB-UHFFFAOYSA-N N-Methylolacrylamide Chemical compound OCNC(=O)C=C CNCOEDDPFOAU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LQSHHUCVQOPAS-UHFFFAOYSA-N Pentane-1,5-diol Chemical compound OCCCCCO ALQSHHUCVQOP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BMJMQXJHONAFJ-UHFFFAOYSA-M Sodium laurylsulph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O DBMJMQXJHONAF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ULUAUXLGCMPNKK-UHFFFAOYSA-N Sulfobutanedioic acid Chemical class OC(=O)CC(C(O)=O)S(O)(=O)=O ULUAUXLGCMPNK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IMQCDZDWXUDCA-UHFFFAOYSA-N [4-(hydroxymethyl)cyclohexyl]methanol Chemical compound OCC1CCC(CO)CC1 YIMQCDZDWXUDC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52 acr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18 adhesion promo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051 alkyl sulf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11 alumin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129 an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18 anion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45 a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0 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8 ba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DSAJWYNOEDNPEQ-UHFFFAOYSA-N barium atom Chemical compound [Ba] DSAJWYNOEDNP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YJRCSIUFZENHW-DEQYMQKBSA-L barium(2+);oxomethanediolate Chemical compound [Ba+2].[O-][14C]([O-])=O AYJRCSIUFZENHW-DEQYMQKBSA-L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7 calc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4 cardiac stress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91 cat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23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YQADNCHXSEGJT-UHFFFAOYSA-N cyclohexane-1,1-dicarboxylate;hydron Chemical class OC(=O)C1(C(O)=O)CCCCC1 QYQADNCHXSEG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DXRQENMIVHKPI-UHFFFAOYSA-N cyclohexane-1,1-diol Chemical compound OC1(O)CCCCC1 PDXRQENMIVHK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KONPUDBRVKQLM-UHFFFAOYSA-N cyclohexane-1,4-diol Chemical compound OC1CCC(O)CC1 VKONPUDBRVKQL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990 dicarbox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991 dicarboxy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HTHALBTIRVDBM-UHFFFAOYSA-N furan-2,5-dicarboxylic acid Chemical class OC(=O)C1=CC=C(C(O)=O)O1 CHTHALBTIRVD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34 glyc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56 gravure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XMIOPMDWAUFGU-UHFFFAOYSA-N hexane-1,6-diol Chemical compound OCCCCCCO XXMIOPMDWAUFG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6 i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67 intermediate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2 lacqu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6 lith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002 lithium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2 lith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ZLNQQNXFFQJAID-UHFFFAOYSA-L magnes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Mg+2].[O-]C([O-])=O ZLNQQNXFFQJAI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95 magnesium 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1 magnes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VALZJMUIHGIMD-UHFFFAOYSA-H magnes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Mg+2].[Mg+2].[Mg+2].[O-]P([O-])([O-])=O.[O-]P([O-])([O-])=O GVALZJMUIHGIMD-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137 magnes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57 magnes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261 magnesium phosph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94 magnes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3 magnes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YTZHLUVELPASH-UHFFFAOYSA-N naphthalene-1,2-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C2=C(C(O)=O)C(C(=O)O)=CC=C21 KYTZHLUVELPA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30 organic base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NJWIWWMYCMZRO-UHFFFAOYSA-N pent‐4‐en‐2‐one Natural products CC(=O)CC=C PNJWIWWMYCMZ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14 phosphoric acid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18 phosphorus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XNGIFLGASWRNHJ-UHFFFAOYSA-N 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C(O)=O XNGIFLGASWRNH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1 potass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18 rhe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LIVNPJMFVYWSIS-UHFFFAOYSA-N silic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Si-]#[O+] LIVNPJMFVYWSI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020 sulfo group Chemical group O=S(=O)([*])O[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08 titanium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TWQULNDIKKJZPH-UHFFFAOYSA-K trilithium;phosphate Chemical compound [Li+].[Li+].[Li+].[O-]P([O-])([O-])=O TWQULNDIKKJZPH-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AKZBPTYRLMSJV-UHFFFAOYSA-N vinyl-ethylene Natural products C=CC=C KAKZBPTYRLMS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51 zinc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8—Forming gas barrier coa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61/00 - C09D177/00
- C09D179/02—Polyam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5—Oriented
- B29K2995/0053—Oriented bi-axi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4—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4—Oxygen barri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4—Gas barrier composi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필름 표면 상에 배리어 코팅을 갖는 투명한 단일 또는 다층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
(a) 상기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코팅 제외)의 두께는 8㎛-100㎛이고,
(b) 상기 배리어 코팅은 수성 코팅 분산액 또는 수성 코팅 용액의 건조 생성물이며,
(c) 배리어 코팅은 하나 이상의 폴리음이온 및 하나 이상의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고,
(d) 상기 폴리음이온은 카복실레이트, 포스페이트 및/또는 설페이트기인 중화된 산기를 포함하고,
(e) 상기 코팅의 건조 두께(d)가 15㎚ ≤ d ≤ 200㎚의 범위이고,
상기 이축 배향 코팅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f) 88% 이상의 투명도, 및
(g) 상기 코팅되지 않은 이축 배향 필름의 산소 투과도보다 적어도 2배 이상 낮은 산소 투과도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의 제조방법, 및 필름을 단일 성분 포장 또는 가령 폴리올레핀 필름과의 라미네이트에서 산소 배리어 필름으로, 가령 식품 포장용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상기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코팅 제외)의 두께는 8㎛-100㎛이고,
(b) 상기 배리어 코팅은 수성 코팅 분산액 또는 수성 코팅 용액의 건조 생성물이며,
(c) 배리어 코팅은 하나 이상의 폴리음이온 및 하나 이상의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고,
(d) 상기 폴리음이온은 카복실레이트, 포스페이트 및/또는 설페이트기인 중화된 산기를 포함하고,
(e) 상기 코팅의 건조 두께(d)가 15㎚ ≤ d ≤ 200㎚의 범위이고,
상기 이축 배향 코팅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f) 88% 이상의 투명도, 및
(g) 상기 코팅되지 않은 이축 배향 필름의 산소 투과도보다 적어도 2배 이상 낮은 산소 투과도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의 제조방법, 및 필름을 단일 성분 포장 또는 가령 폴리올레핀 필름과의 라미네이트에서 산소 배리어 필름으로, 가령 식품 포장용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감소된 산소 투과율을 갖는 코팅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우수한 광학 및 기계적 특성을 지니므로, 이들 필름은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하나의 응용 분야로는 식품 포장이 있다. 여기서 중요한 특성은 식품을 산소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다양한 투명 배리어 코팅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PVDC (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염화비닐리덴) 코팅을 갖는 필름이 널리 사용된다. 이들 필름의 산소 투과율은 약 10㎤/(㎡·d)이다. 이들 필름의 단점은 코팅이 염소를 포함하므로, 별도의 단계 (오프라인)에서 코팅제를 도포해야 하는 것이다.
기타 종래의 배리어 층으로는 산화 알루미늄(AlOx)또는 산화 규소(SiOx)로 제조된 층이 있다. 여기서 다시, 이 층은 비교적 고가인 오프라인 공정으로 도포된다. 게다가, 이 층들은 기계적 손상을 받기 쉽다.
WO 2013/182444에는 필름용 배리어 코팅제로서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용액은 폴리음이온 및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4㎛의 코팅과 함께 40㎛의 두께를 갖는 PP 필름의 투과율은 975에서 32㎤/(㎡·d)로 감소된다. 이러한 층 두께는 PET 필름을 제조하는 동안 수용액을 사용하여 인라인으로 도포할 수 없는데, 기존의 생산 속도로는 건조 용량이 불충분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코팅량은 필름의 분쇄재생 (생산 잔류물의 회수) 동안 불리할 수 있다. 분쇄재생된 재료를 사용할 경우, 필름의 광학 특성이 손상된다.
모든 경우에 배리어 코팅이 추가 공정 단계에서 필름에 도포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른 필름은 불리하다. 흔히 사용하는 PVDC 코팅은 염소를 포함하므로, 환경 친화적이지 않다. 기상 증착법으로 도포한 산화물 층은 깨지기 쉬우며, 따라서, 포장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 처리 동안 쉽게 손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팅되지 않은 필름의 투과율보다 2배 이상 낮은 감소된 산소 투과율을 가지며, 단일 공정 단계에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코팅된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의도한 바는 필름의 광학 특성과 코팅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학 특성 간에 큰 차이가 없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투명한 단층 또는 다층의 이축 배향 인라인 코팅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나 이상의 필름 표면 상에 배리어 코팅을 가지며,
(a) 상기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코팅 제외)의 두께는 8 ㎛ 내지 100 ㎛이고,
(b) 상기 인라인 도포 배리어 코팅은 수성 분산액 또는 수용액의 건조 생성물이며,
(c) 상기 코팅은 하나 이상의 폴리음이온 및 하나 이상의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고,
(d) 상기 폴리음이온은 카복실레이트, 포스페이트 및/또는 설페이트기인 중화된 산기를 포함하고,
(e) 상기 코팅의 건조 두께(d)는 15㎚ ≤ d ≤ 200㎚의 범위이고,
상기 이축 배향 인라인 코팅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g) 88% 이상의 투명도, 및
(h) 상기 코팅되지 않은 이축 배향 필름의 산소 투과도보다 2배 이상 낮은 산소 투과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첨가제 및 코팅제로 이루어진다.
기재층은,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이 목적에 적합한 폴리에스테르로는 에틸렌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에틸렌 글리콜 및 나프탈렌-2,6-디카복실산 (=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PEN), 1,4-비스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및 테레프탈산 [=폴리(시클로헥산-1,4-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CDT] 및 에틸렌 글리콜, 나프탈렌-2,6-디카복실산 및 비페닐-4,4'-디카복실산 (=폴리에틸렌 2,6-나트팔레이트 비젠조에이트, PENBB)로 제조된 것들이 있다. 그의 9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몰% 이상이 에틸렌 글리콜 단위 및 테레프탈산 단위 또는 에틸렌 글리콜 단위 및 나프탈렌-2,6-디카복실산 단위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독중합체(homopolymer)로 이루어진다.
적합한 기타 지방족 디올로는, 예를 들어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일반식 HO-(CH2)n-OH의 지방족 글리콜, 여기서, n은 3 내지 6의 정수이며 (특히 프로판-1,3-디올, 부탄-1,4-디올, 펜탄-1,5-디올 및 헥산-1,6-디올) 또는 최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형 지방족 글리콜이 있다. 지환족 디올 중에는 시클로헥산디올 (특히 시클로헥산-1,4-디올)을 언급할 수 있다. 적합한 기타 방향족 디올은 예를 들어, 화학식 HO-C6H4-X-C6H4-OH를 가지며, 여기서 X는 -CH2-, -C(CH3)2-, -C(CF3)2-, -O-, -S- 또는 -SO2이다. 화학식 HO-C6H4-C6H4-OH의 비스페놀 역시 양호한 적합성을 갖는다.
적합한 기타 방향족 디카복실산은, 벤젠디카복실산, 나프탈렌디카복실산 (가령, 나프탈렌-1,4 또는 1,6-디카복실산), 바이페닐-x,x'-디카복실산 (특히 바이페닐-4,4'-디카복실산), 디페닐아세틸렌-x,x'-디카복실산 (특히 디페닐아세틸렌-4,4'-디카복실산) 또는 스틸벤-x,x'-디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지환족 디카복실산 중에서, 시클로헥산 디카복실산 (특히 시클로헥산-1,4-디카복실산)을 언급할 수 있다. 지방족 디카복실산 중에서, (C3-C19)알칸 이산이 특히 적합하며, 여기서 알칸 잔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다. 복소환 디카복실산(heterocyclic dicarboxylic acids) 중에서는 특히 푸란-2,5-디카복실산을 언급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존재하는 필름의 부가층(들) (중간 또는 외부층(들))은,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은 폴리에스테르로 마찬가지로 구성되며, 이때의 조성은 전술한 기재층과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에스테르 교환(transesterification)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것은 아연 염, 칼슘 염, 리튬 염, 마그네슘 염 및 망간 염 등의 통상적인 에스테르 교환 촉매와 반응하는 디카복실산 에스테르 및 디올로부터 출발한다. 다음에, 중간 생성물은 주지의 중축합 촉매, 예를 들어 삼산화 안티몬 또는 티타늄 염의 존재하에 중축합된다. 이들은 중축합 촉매의 존재하에 직접 에스테르 교환 공정에 의해 동일하게 잘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디카복실산과 디올로부터 직접 진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표면의 특정 거칠기를 달성하고 필름의 성공적인 권취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입자를 포함한다.
사용할 수 있는 입자의 예로는 탄산 칼슘, 비정질 실리카, 활석, 탄산 마그네슘, 탄산 바륨, 황산 칼슘, 황산 바륨, 인산 리튬, 인산 칼슘, 인산 마그네슘, 산화 알루미늄, LiF, 사용된 디카복실산의 칼슘, 바륨, 아연 및 망간 염, 이산화 티타늄, 카올린 및 미립자 중합체, 예를 들어 가교 결합된 폴리스티렌 입자 또는 가교 결합된 아크릴레이트 입자가 있다. 사용된 바람직한 입자는 비정질 실리카이다. 입자는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미만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이 필름의 표면 특성 및 유동학 특성에 영향을 주는 기타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이 복수의 층을 갖는 경우, 입자는 모든 층, 바람직하게는 외부층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필름은 입자와 함께 안정제 등의 통상적인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안정제의 예로는 인산 또는 인산 에스테르 등의 인 화합물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두께는 특정 범위 내에서 변화할 수 있다. 이 범위는 8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이며, 다층 변형예에서, 층(B)(=기재층)의 비율은 총 두께의 6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3층 구현예에서 상기 기재층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필름 두께의 6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다.
일 구현예에서, 필름은 3개의 층을 가지며, 층(B) (=기재층)의 양면 중 일면 상에 외부층(A)을 갖고, 상기 층(B)의 타면 상에 추가로 외부층(C)을 갖는다. 이 경우, 2개의 층(A 및 C)은 외부층(A 및 C)을 형성한다. 여기서, 배리어 코팅은 외부층(A) 및/또는 외부층(C)에 도포될 수 있다. 3층 구조는, 층(B)가 자체 분쇄재생재료(self-regrind)의 첨가를 통해 도입된 것 이외에 추가 입자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낮은 헤이즈 및 우수한 투명도를 갖는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회수되는 분쇄재생재료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특히 비용 효율적인 필름의 제조를 가져온다. 자체 분쇄재생재료란 용어는 필름의 제조 과정 동안 발생하는 필름 잔류물/폐기물 (가령, 가장자리 트림(edge trims))을 의미하며; 이들은 제조 중에 직접 회수할 수 있거나, 먼저 수집한 다음, 층(B)의 제조 중에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의도한 바는 본 발명에 따라 기재된 필름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회수된 재생 폴리에스테르 재료의 비율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에서 기재층(B) 내의 재생 폴리에스테르 재료의 비율은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6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40 중량%일 수 있다.
구현예(Ⅰ)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ABC 구조의 3개의 층을 갖는다. 여기에서, (외부층(A) 상의) 배리어 코팅과 반대측의 외부 폴리에스테르 층(C층)은 밀봉 가능한 층이다. 밀봉 가능한 층은 비정질이며, 그의 90 중량% 이상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며, 이는 에틸렌-글리콜-유래 단량체 단위와 테레프탈산-유래 및 이소프탈산-유래 단량체 단위로 구성된 코폴리에스테르이며, 여기서 이소프탈산 유래 단위의 비율은 디카복실산 유래 단위 기준으로, 10-30 몰%이다. 밀봉 가능한 층은, 예를 들어 APET 트레이 또는 CPET 트레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밀봉 가능한 필름(뚜껑 필름)으로서, (밀봉 가능한 래커의 도포없이도) 필름을 직접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밀봉 가능한 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다른 층과 마찬가지로, 전술한 입자에 0.2 중량% 미만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코팅 용액은 폴리음이온 및 1종 이상의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는 수용액이다. 음이온성 중합체라고도 부르는 폴리음이온은 무기 및 1가 유기 염기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기에 의해 중화된 산기를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중화 전의 이 중합체의 평균 몰 질량은 10,000 g/몰 이상이다. 폴리에틸렌이민의 평균 몰 질량은 25,000 g/몰 이상이다.
이러한 코팅제는 WO 2013/182444에 기재되어 있다.
오프라인으로 도포되며 WO 2013/182444에 기재된 전형적인 코팅 두께는 0.2 ㎛ 내지 50 ㎛이다. 놀랍게도, 코팅이 인라인으로 도포되면, 건조 코팅 두께가 200㎚ 미만인 경우에도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산소 투과율의 큰 감소가 달성된다. 이는 코팅된 필름의 횡연신과 제조 공정의 마지막에서 고온에 의해 달성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놀랍게도, 코팅의 낮은 건조 층 두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동일한 층 두께로 별도의 단계, 즉 오프라인으로 코팅된 필름보다 낮은 산소 투과율을 보인다.
수성 코팅 용액은 3-30 중량%의 고형분을 포함하고, 폴리에틸렌이민 대 폴리음이온(중화 전)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90:10 내지 50:50, 특히 바람직하게는 80:20 내지 65:45이다.
건조된 코팅의 두께(d)는 15㎚ ≤ d ≤ 200㎚, 바람직하게는 20㎚ ≤ d ≤ 180㎚,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 d ≤ 150㎚이다. 코팅 두께(d)가 15㎚ 미만이면, 필름에 대해 달성된 산소 투과율 감소가 더 이상 적절하지 않다. 코팅 두께(d)가 200㎚ 이상이면, 분쇄재생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필름 특성에 악영향을 준다. 게다가, 필름의 비용 효율성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본 발명에 따른 두께를 갖는 코팅을 사용하면, 코팅되지 않은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산소 투과도보다 2배 (50%) 낮은 코팅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산소 투과도가 달성된다. 코팅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산소 투과율은 대응하는 코팅되지 않은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산소 투과율의 최대 50%,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이다.
일 구현예에서, 코팅 용액 (또는 코팅 분산액)은, 폴리음이온 및 폴리에틸렌이민 이외에, 코팅 용액 (또는 코팅 분산액)의 총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5-20 중량%의 가교 결합제를 포함한다. 가교 결합제는 상표명 EPOCROS WS-500, 특히 Nippon Shokubai사로부터 EPOCROS WS-700으로 입수할 수 있는 옥사졸린 개질 중합체 (옥사졸린계 가교결합제)가 바람직하다. 언급한 양으로 가교 결합제를 사용하면, 코팅의 배리어 작용 (산소 투과도의 증가)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코팅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코팅 용액에 20 중량% 이상의 가교 결합제를 첨가하면, 증가된 산소 투과율을 가져온다.
일 구현예에서, 필름은 인쇄 잉크 또는 접착제용 접착 촉진제로서 역할을 하는 중합체 분산제로 제조된 코팅을 배리어 층의 반대측에도 지니고 있다. 여기서 적합한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 가령 WO 94/13476에 기재된 유형의, 폴리우레탄, 메타크릴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가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김서림방지 코팅제로서 공지된 것이 구현예(I)의 C층(밀봉 가능한 층)에 15-60㎚의 두께로 도포된다. 김서림방지 코팅제는 물,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중합체 표면에 결합시키는 접착 촉진 중합체,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거나 (여기서 접착 촉진 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 친수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의 부타디엔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이다), 또는 물, 설포폴리에스테르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친수성 코팅 조성물의 건조 생성물이다.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가령, 도데실 황산나트륨, C10-C20 지방산의 나트륨 및/또는 칼륨 염), 양이온성 (가령, N-세틸-N,N,N-트리메틸암모늄 할로겐화물) 할로겐화물 및/또는 비이온성 (가령, 2-50 반복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C2-C25-알킬에톡실레이트)일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폴리비닐 알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보호 콜로이드 및/또는 랜덤 또는 블록 프로필렌 옥사이드-에틸렌 옥사이드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여기서 보호 콜로이드의 MW는 200 내지 10,000 g/몰이어야 한다. 계면활성제는 알킬 설페이트, 알킬벤젠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또는 설포숙신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설포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 이는 폴리에스테르를 형성할 수 있는 다음의 단량체 또는 그의 유도체로 제조된 축합물(condensate)이 특히 바람직하다:
(A) 이소프탈산 최대 95 몰%,
(B) 방향족 디카복실산의 방향족 잔기 상의 알칼리 금속 설포네이트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설포 단량체 5 내지 20 몰%, 및
(C) 2 내지 11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공중합 가능한 지방족 또는 지환족 글리콜의 축합물 100 몰%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화학량론적 양.
적합한 김서림방지 코팅제는 EP 1647568 B1 및 EP 1777251 B1에 기재되어 있다. 김서림방지 코팅은 (포장 내에) 수분 응축물이 형성된 경우에도 제품의 식별력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포장의 제조를 가능케 한다. 김서림방지 코팅의 두께가 15㎚ 미만이면, 물방울 형성을 적절히 피할 수 있는 김서림방지 특성을 제공하기에 충분치 않다. 60㎚ 초과의 김서림방지 코팅의 도포 두께는 첫째, 필름의 감소된 투명성/증가된 헤이즈를 가져오고, 둘째, 밀봉 가능한 층의 밀봉 특성에 악영향을 준다.
식품과 접촉하게 되는 포장에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기 위해, 배리어 코팅의 코팅 분산액, 및 임의로 첨가되는 기타 모든 성분 (가령, 가교 결합제)은 규정 EU/10/2011 (부록 I, 표 1)에 열거되어 있다. 여기서, 건조 (및 가열 경화) 후에, 코팅은 EU/10/2011에 열거된 이동 한계를 따라야 한다. EU/10/2011 (부록 I, 표 1)에 열거되지 않거나, 매우 낮은 이동 한계를 갖는 물질 및/또는 용제가 존재하는 경우, 가열 경화 동안 이들 물질이 증발 또는 분해되거나 화학 반응 (가령, 폴리에스테르 표면 및/또는 코팅제의 중합체에 대한 가교 결합 또는 공유 결합)이 행해지는 방식으로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코팅된 표면으로의) 이동이 측정 불가하거나, 적절한 측정 방법의 검출 한계보다 낮은 (CMR 물질이 아닌 EU/10/2011에 언급되지 않은 물질의 이동 한계는 10 ppb이다)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포장된 제품의 프리젠테이션을 위해, 배리어 코팅을 갖는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이러한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갖는다. 여기서 필름의 투명도는 88% 초과, 바람직하게는 90%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92% 초과이다. 20°에서 필름의 광택은 120 초과, 바람직하게는 130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140 초과이다. 필름의 헤이즈는 5% 미만, 바람직하게는 4.5%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미만이다. 광학 특성은 필름 및 코팅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선택 및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 두께를 준수하는 것이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이 취합되어 있다:
[표 1]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특성으로 인해 투명 필름, 특히 식품 포장용 산소 배리어 필름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필름은 직접(단독), 가령, 단일 성분 포장(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트레이 및 뚜껑 필름), 또는 폴리올레핀 필름을 갖는 라미네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제조 방법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Handbook of Thermoplastic Polyesters”, Ed. S. Fakirov, Wiley-VCH, 2002 또는 “Polyesters, Films” in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2, John Wiley & Sons, 1988”란 명칭의 장에 기재되어 있다. 필름 제조에 바람직한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원료를 층당 하나의 압출기에서 용융하고, 단층 또는 다층 평탄 필름 다이를 통해서 냉각 취출 롤 위로 압출한다. 다음에, 이 필름을 종방향 (MD 또는 기계 방향) 및 횡방향 (TD)으로, 또는 횡 및 종방향으로 재가열 및 배향시킨다. 연신 절차에서 필름 온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Tg)보다 10 내지 60℃ 높고, 통상 종연신비는 2.5 내지 5.0, 특히 3.0 내지 4.5이며, 횡연신비는 3.0 내지 5.0, 특히 3.5 내지 4.5이다. 또한, 종연신은 횡연신과 동시에 (동시 연신), 또는 임의의 가능한 순서로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에, 필름을 180 내지 240℃의 오븐 온도, 특히 210 내지 230℃에서 가열 경화시킨다. 다음에, 필름을 냉각시키고 권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인라인으로 코팅되므로; 코팅제는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 연신 전에 필름 제조 공정 중에 도포된다. 수성 코팅 조성물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양호한 습윤을 달성하기 위해, 표면은 우선 코로나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예를 들어 슬롯 코터 또는 스프레이 방법에 의해서 익숙하고 적합한 공정에 의해 코팅제를 도포할 수 있다. 도포량은 1.0 내지 3.0g/㎡의 도포량(습윤)으로 극히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리버스 그라비어 롤(reverse gravure-roll) 코팅방법으로 도포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마이어-로드(Meyer-rod) 방법에 의한 도포도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이는 더 두꺼운 코팅 두께의 달성을 가능케 한다. 완성된 필름 상에서 코팅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80㎚,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50㎚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낮은 산소 투과율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코팅되지 않은 필름의 최대 50%이다. 코팅은 필름의 광학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투명성 및 광택은 코팅되지 않은 필름의 투명성 및 광택과 비슷하다.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원료 및 필름을 특징화하기 위해 다음의 측정 방법을 이용하였다:
SV값 (표준 점도)
묽은 용액의 표준 점도(standard viscosity, SV)는 Ubbelohde 점도계를 이용하여 (25±0.05)℃에서 DIN 53 728 파트 3에 기반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디클로로아세트산(dichloroacetic acid, DCA)을 용매로서 사용하였다. 용해된 중합체의 농도는 중합체 1g/순수 용매 100㎖이었다. 중합체의 용해는 60℃에서 1시간 소요되었다. 이 시간이 지나도 샘플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았으면, 각각의 경우에 80℃에서 40분 동안 최대 2회 용해를 추가로 시도한 다음, 용액을 4100 min-1의 회전 속도로 1시간 동안 원심 분리하였다.
무차원 SV값은 상대 점도 (ηrel=η/ηs)로부터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SV = (ηrel-1) × 1000
필름 또는 중합체 원료내 입자의 비율은 애싱(ashing)에 의해 결정하였고, 따라서 투입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보정하였다.
투입 중량 = (중합체의 100%에 해당하는 투입 중량)/[(100-입자함량 중량%)ㆍ0.01]
광택
광택은 DIN 67530에 따라 측정한다. 반사율 값은 필름의 표면을 나타내는 광학 변수로 측정된다. 표준 ASTM D523-78 및 ISO 2813에 기반한 방법을 사용하여 입사각은 20°로 설정된다. 광선은 설정된 입사각으로 평탄한 시험 표면에 충돌하거나 그로 인해 산란된다. 광전자 검출기에 충돌하는 광은 비례 전기 변수(proportional electrical variable)의 형태로 표시된다. 측정된 값은 무차원이며 입사각으로 기재해야 한다.
산소 투과율(oxygen transmission rate, OTR)
산소 배리어는 DIN 53 380, 파트 3(23℃, 필름의 양면에서 50% 상대 습도)에 따라, Mocon Modern Controls (USA)의 OXTRAN® 100으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각 경우에, 두께 12 ㎛의 필름 상에서 OTR을 측정하였다.
헤이즈, 투명성
이 시험은 광학 선명도와 각각의 헤이즈가 기능적 값에 중요한 플라스틱 필름의 헤이즈 및 투명도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측정은 BYK Gardner사로부터의 헤이즈-가드(haze-gard) XL-21 1 헤이즈 미터에서 ASTM D1003-61에 따라 이루어졌다.
자체에 대한 밀봉 심 강도(=FIN 밀봉)
밀봉 심 강도는 15㎜의 폭을 갖는 2개의 필름 스트립을 서로 겹친 다음, 이들을 130℃에서 0.5초의 시간 동안 2bar의 밀봉 압력 (장치: Brugger NDS, 단일면 가열 밀봉 죠)로 밀봉함으로써 결정하였다. 밀봉 심 강도는 T-박리(T-peel) 방법 = 2·90°에 의해 결정한다.
하기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발명의 실시예 1
외부층(A):
SV값 825 및 DEG 함량 0.9 중량% (단량체로서 디에틸렌 글리콜 함량)를 갖는 에틸렌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으로 제조된 92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TA 공정으로 제조. 촉매는 18ppm의 티타늄을 갖는 칼륨 티타닐 옥살레이트. 에스테르 교환 촉매는 아연 아세테이트.
SV값 820 및 DEG 함량 0.9 중량% (단량체로서 디에틸렌 글리콜 함량)를 갖는 에틸렌 글리콜 및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8 중량%, 및 2.5㎛의 d50을 갖는 Sylobloc 46 이산화 규소 입자 1.5 중량%. PTA 공정으로 제조. 촉매는 18ppm의 티타늄을 갖는 칼륨 티타닐 옥살레이트. 에스테르 교환 촉매는 아연 아세테이트.
기재층(B):
SV값 825 및 DEG 함량 0.9 중량% (단량체로서 디에틸렌 글리콜 함량)를 갖는 에틸렌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으로 제조된 100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TA 공정으로 제조. 촉매는 18ppm의 티타늄을 갖는 칼륨 티타닐 옥살레이트. 에스테르 교환 촉매는 아연 아세테이트.
외부층(A) 상의 코팅:
폴리에틸렌이민의 수용액 (Mw = 750,000 g/몰, pH = 11, 충전 밀도 17 meq/g) 및 아크릴산/말레산 공중합체 (3:1, Mw = 80,000 g/몰)의 용액을 암모니아로 중화시켜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코팅제 내의 폴리에틸렌이민 함량은 7 중량%이었고; 공중합체 함량은 5 중량%이었다.
전술한 원료를 각 층의 압출기에서 용융시키고, 3층 평탄 필름 다이(ABA 층 순서)를 통해서 냉각 취출 롤 위로 압출시켰다. 다음에, 생성된 비정질 예비 필름을 먼저 종으로 연신하였다. 종으로 연신된 필름을 코로나 방전 장치에서 코로나 처리한 후, 전술한 용액으로 리버스 그라비어 코팅에 의해 코팅하였다. 6.6 ㎤/㎡의 체적을 갖는 그라비어 롤을 사용했다. 습윤 도포 중량은 2.7 g/㎡이었다. 다음에, 필름을 100℃의 온도에서 건조시킨 후, 횡으로 연신하고, 경화 및 권 취하였다 (최종 필름 두께는 12.0㎛, 각 경우 외부층(A)은 1.1㎛). 이 공정의 개별 단계 조건은 다음과 같다.
종연신:
온도: 80-115℃
종연신율: 4.0
횡연신:
온도: 80-135℃
횡연신율: 4.1
경화: 225℃에서 2초
건조 코팅의 두께는 80㎚이었다.
생성된 필름의 특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발명의 실시예 2
외부층의 조성을 실시예 1로부터 변경하였다.
외부층(A):
SV값 825 및 DEG 함량 0.9 중량% (단량체로서 디에틸렌 글리콜 함량)를 갖는 에틸렌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으로 제조된 90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TA 공정으로 제조. 촉매는 18ppm의 티타늄을 갖는 칼륨 티타닐 옥살레이트. 에스테르 교환 촉매는 아연 아세테이트.
SV값 820 및 DEG 함량 0.9 중량% (단량체로서 디에틸렌 글리콜 함량)를 갖는 에틸렌 글리콜 및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 중량%, 및 2.5㎛의 d50을 갖는 Sylobloc 46 이산화 규소 입자 1.5 중량%. PTA 공정으로 제조. 촉매는 18ppm의 티타늄을 갖는 칼륨 티타닐 옥살레이트. 에스테르 교환 촉매는 아연 아세테이트.
외부층(C):
SV값 825, 이소프탈산 함량 22 중량% 및 DEG 함량 0.9 중량% (단량체로서 디에틸렌 글리콜 함량)를 갖는 에틸렌 글리콜과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으로 제조된 97 중량%의 폴리에스테르. PTA 공정으로 제조. 촉매는 18ppm의 티타늄을 갖는 칼륨 티타닐 옥살레이트. 에스테르 교환 촉매는 아연 아세테이트.
SV값 820 및 DEG 함량 0.9 중량% (단량체로서 디에틸렌 글리콜 함량)를 갖는 에틸렌 글리콜 및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3 중량%, 및 2.5㎛의 d50을 갖는 Sylobloc 46 이산화 규소 입자 1.5 중량%. PTA 공정으로 제조. 촉매는 18ppm의 티타늄을 갖는 칼륨 티타닐 옥살레이트. 에스테르 교환 촉매는 아연 아세테이트.
외부층(A)에서 사용한 코팅제는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외부층(C)의 조성 덕분으로 필름은 가열 밀봉 가능하다. 밀봉 심 강도는 130℃ (0.5초, 4 bar)의 밀봉 온도에서 2.5 N/15 ㎜이다.
발명의 실시예 3
실시예 1과 달리, 제 2외부층(A’)도 코팅하였다.
외부층 코팅(A):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외부층 코팅(A’):
수성 코팅은 60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5 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5 중량%의 N-메틸올아크릴아미드와 계면활성제의 공중합체로 구성되었다. 고체 함량은 5 중량%이었다. 건조 코팅의 두께는 30㎚이었다.
생성된 필름의 특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이 필름은 외부층(A’)에서 양호한 인쇄 접착력을 보였다.
비교예 1
코팅의 조성을 실시예 1의 조성으로부터 변경하였다. 코팅제는 아크릴산/말레산 공중합체(3:1, Mw = 80,000 g/몰) 10 중량%를 포함하였다.
건조 층의 두께는 다시 80㎚이었다.
필름의 산소 투과율은 코팅되지 않은 필름의 산소 투과율과 유사했다.
비교예 2
코팅되지 않은 필름의 특성을 발명의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2의 필름을 별도의 단계(오프라인)에서 발명의 실시예 1의 코팅제로 코팅하였다. 건조 온도는 130℃이었다. 건조된 필름의 코팅 두께는 발명의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였다. 건조 층의 두께는 80㎚이었다.
상기 필름은 발명의 실시예 1의 필름보다 높은 산소 투과율을 갖는다.
[표 2]
Claims (15)
- 하나 이상의 필름 표면 상에 배리어 코팅을 갖는 투명한 단일 또는 다층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a) 상기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코팅 제외)의 두께는 8㎛-100㎛이고,
(b) 상기 배리어 코팅은 수성 코팅 분산액 또는 수성 코팅 용액의 건조 생성물이며,
(c) 상기 배리어 코팅은 하나 이상의 폴리음이온 및 하나 이상의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고,
(d) 상기 폴리음이온은 카복실레이트, 포스페이트 및/또는 설페이트기인 중화된 산기를 포함하고,
(e) 상기 코팅의 건조 두께(d)가 15㎚ ≤ d ≤ 200㎚의 범위이고,
상기 이축 배향 코팅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f) 88% 이상의 투명도, 및
(g) 상기 코팅되지 않은 이축 배향 필름의 산소 투과도보다 적어도 2배 이상 낮은 산소 투과도를 갖는 필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미만의 농도로 입자를 포함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다층 필름의 입자가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외부층(들)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기재층(B)과, 각각의 외부층(A) 및 외부층(C)으로 구성되는 3개의 층을 가지며, 상기 외부층(A)은 상기 기재층(B)의 일면에 도포되고, 상기 외부층(C)은 상기 기재층(B)의 타면에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ABC 구조의 3개의 층을 가지며, (외부층(A) 상의) 상기 배리어 코팅과 반대측의 상기 외부층(C층)은 밀봉 가능한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가능한 층은 비정질이고, 그의 90 중량% 이상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며, 이는 에틸렌-글리콜-유래 단량체 단위와 테레프탈산-유래 및 이소프탈산-유래 단량체 단위로 구성된 코폴리에스테르이며, 여기서 이소프탈산 유래 단위의 비율은 디카복실산 유래 단위 기준으로, 10-30 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화 전의 상기 폴리음이온의 평균 몰 질량은 10,000 g/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이민의 평균 몰 질량은 25,000 g/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용액은 수성 코팅 용액이고, 3 내지 30 중량%의 고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음이온(중화 전) 대 상기 폴리에틸렌이민의 중량비는 90:10 내지 50:50, 바람직하게는 80:20 내지 65: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용액은 상기 폴리음이온 및 상기 폴리에틸렌이민 이외에, (상기 코팅 용액의 전체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의 가교 결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90% 초과의 투명도,
- 20°에서 120 초과의 광택 및
- 5% 미만의 헤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 제 1항에 따른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료를 층당 하나의 압출기에서 용융하고, 평탄 필름 다이를 통해서 냉각 취출 롤 위로 압출한 다음, 생성된 예비 필름을 재가열하고,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또는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연신한 다음, 가열 경화하고, 냉각하여 권취하며,
종 및/또는 횡 연신 전의 상기 필름 제조 공정 동안 코팅제를 1.0 내지 3.0 g/㎡의 도포 중량 (습윤)으로 인라인 도포하고,
- 상기 코팅 용액은 하나 이상의 폴리음이온 및 하나 이상의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고,
- 상기 폴리음이온은 카복실레이트, 포스페이트 및/또는 설페이트기인 중화된 산기를 포함하며,
- 가열 경화 후 상기 코팅의 건조 두께(d)는 15㎚ ≤ d ≤ 200㎚의 범위인 제조방법 - 산소 배리어 필름으로서의 제 1항에 따른 필름의 용도.
- 제 13항에 있어서, 식품 포장용으로서의 용도.
-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단일 성분 포장 또는 폴리올레핀 필름과의 라미네이트에서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8214185.1A DE102018214185A1 (de) | 2018-08-22 | 2018-08-22 | Polyesterfolie mit Beschichtung |
DE102018214185.1 | 2018-08-2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2351A true KR20200022351A (ko) | 2020-03-03 |
Family
ID=6761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2160A KR20200022351A (ko) | 2018-08-22 | 2019-08-21 | 코팅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752678B2 (ko) |
EP (1) | EP3613592A1 (ko) |
JP (1) | JP2020073627A (ko) |
KR (1) | KR20200022351A (ko) |
DE (1) | DE10201821418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0213101A1 (de) * | 2020-10-16 | 2022-04-21 |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 Ein- oder mehrschichtige Polyesterfolie mit einer permanenten Antifog-Beschichtung und einer Transparenz von mindestens 92% |
TW202346086A (zh) * | 2022-03-16 | 2023-12-01 | 日商東洋紡股份有限公司 | 積層膜、食品包裝容器用蓋材以及食品包裝容器 |
TW202408791A (zh) * | 2022-03-16 | 2024-03-01 | 日商東洋紡股份有限公司 | 積層膜、食品包裝容器用蓋材以及食品包裝容器 |
KR102567267B1 (ko) * | 2022-09-29 | 2023-08-17 | 대륭포장산업 주식회사 |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56904A (en) * | 1990-05-18 | 1992-10-20 |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 Polymeric film coated in-line with polyethyleneimine |
EP0671994A4 (en) | 1992-12-09 | 1995-11-08 | Hoechst Ag | COPOLYESTER FILM COATED WITH A PRIMARY LAYER OF ACRYLIC POLYMERS. |
DE19813267A1 (de) * | 1998-03-25 | 1999-09-30 | Hoechst Diafoil Gmbh | Transparente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und zusätzlicher Funktionalitä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
DE10302035A1 (de) * | 2003-01-21 | 2004-07-29 |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 Polyesterfolie mit verbesserter Sauerstoffbarriere, enthaltend Poly(m-xylol-adipinamid) sowie eine Deckschicht und eine Barrierebeschich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
DE10302036A1 (de) * | 2003-01-21 | 2004-07-29 |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 Polyesterfolie mit verbesserter Sauerstoffbarriere, enthaltend Poly(m-xylol-adipinamid) und eine Barrierebeschich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
DE10318101A1 (de) * | 2003-04-22 | 2004-11-11 |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 Coextrudierte, heißsiegelbare und peelfähig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
DE102004049609A1 (de) * | 2004-10-12 | 2006-04-13 |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 Polyesterfolie mit hydrophiler Beschich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
GB0500907D0 (en) * | 2005-01-17 | 2005-02-23 | Dupont Teijin Films Us Ltd | Self-venting polymeric film IV |
DE102005049639A1 (de) | 2005-10-18 | 2007-04-19 |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 Polyesterfolie mit hydrophiler Beschichtung |
EP2266793B1 (en) * | 2008-04-09 | 2013-11-27 | Kuraray Co., Ltd. | Laminate having gas barrier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US20110064855A1 (en) * | 2009-09-14 | 2011-03-17 | Mark Levie | Checkerboard baking pan system and method |
JP5937319B2 (ja) * | 2011-09-14 | 2016-06-22 | 興人フィルム&ケミカルズ株式会社 |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及び製造方法 |
JP6312151B2 (ja) | 2012-06-06 | 2018-04-18 |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 酸素バリア性を有するポリマー膜製造用の、ポリアニオン−ポリエチレンイミン水溶液の使用 |
JP6271118B2 (ja) * | 2012-06-12 | 2018-01-31 | 興人フィルム&ケミカルズ株式会社 | ガスバリア性二軸延伸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
EP3209450A1 (en) * | 2014-10-24 | 2017-08-30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Electrochemical machining inner contours of gas turbine engine components |
US10639873B1 (en) * | 2017-07-26 | 2020-05-05 | Toray Plastics (America), Inc. | Heat sealing polyester films with low coefficient of friction |
-
2018
- 2018-08-22 DE DE102018214185.1A patent/DE102018214185A1/de active Pending
-
2019
- 2019-08-12 EP EP19191183.3A patent/EP3613592A1/de active Pending
- 2019-08-20 JP JP2019150067A patent/JP2020073627A/ja not_active Ceased
- 2019-08-21 KR KR1020190102160A patent/KR20200022351A/ko unknown
- 2019-08-21 US US16/546,432 patent/US11752678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18214185A1 (de) | 2020-02-27 |
JP2020073627A (ja) | 2020-05-14 |
US20200061897A1 (en) | 2020-02-27 |
EP3613592A1 (de) | 2020-02-26 |
US11752678B2 (en) | 2023-09-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52678B2 (en) | Polyester film with coating | |
KR100564063B1 (ko) | 산소차단성이높은이축연신된폴리에스테르필름,이의제조방법,이로부터제조된절연재및당해필름을사용한포장방법 | |
JP2000052523A (ja) | 艶消し共押出し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使用 | |
JP2017209996A (ja) | ヒートシール性および剥離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の使用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US20070134470A1 (en) | Multilayer, white,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 |
JP2005145068A (ja) | 共押出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から成る包装材およびトレー用蓋材 | |
KR19990078206A (ko) | 높은 산소 차단 효과를 갖는 밀봉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000127323A (ja) | 二軸配向共押出し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使用 | |
JP2004504459A (ja) | シクロオレフィン共重合体を含有し、良好な接着性を有する不透明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使用 | |
KR20180053249A (ko) | 이축 배향 가열-밀봉 및 박리가능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 |
US6200511B1 (en) | Polyester film having a high oxygen barrier and improved adhesion to metal layers its us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 |
JP2004224047A (ja) | 透明二軸延伸共押出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0524366B1 (ko) | 배리어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복합 필름 | |
US7141307B2 (en) | Extrusion-coatable polyester film comprising poly(m-xyleneadipamide) | |
US20080063857A1 (en) | Sealable,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with hydrophilic coating | |
KR20010049407A (ko) | 밀봉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다중 팩 시스템 | |
KR20040067918A (ko) | 산소차단성이 개선된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 함유기저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용도 | |
KR19990078212A (ko) | 산소 차단성이 큰 폴리에스테르 필름, 당해필름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 |
US6911255B2 (en) | Clear barrier coating and coated film | |
KR20040067917A (ko) | 산소차단성이 개선된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 함유외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용도 | |
KR19990078208A (ko) | 산소 차단성이 우수하고 추가의 작용성 피복물을 갖는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281604B1 (ko) | 밀봉가능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 |
JP2006009023A (ja) |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4500259A (ja) | 耐紫外線性共押出艶消し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使用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 |
JP2002187963A (ja) |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