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703A - 만두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만두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703A
KR20200021703A KR1020180097368A KR20180097368A KR20200021703A KR 20200021703 A KR20200021703 A KR 20200021703A KR 1020180097368 A KR1020180097368 A KR 1020180097368A KR 20180097368 A KR20180097368 A KR 20180097368A KR 20200021703 A KR20200021703 A KR 20200021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umpling
support
cutt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5732B1 (ko
Inventor
정병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한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to KR1020180097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7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두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죽피를 제공하는 공급부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반죽피를 복수개의 만두피로 잘라내는 절단부와, 절단부에 의해 잘려진 만두피가 각각 안착되는 받침부와, 받침부에 안착된 만두피에 각각 만두소를 공급하는 주입부와, 만두소가 투입된 만두피가 만두 모양이 되도록 성형하는 성형부를 포함하여, 만두를 대량생산 할 수 있다.

Description

만두 제조 장치{DEVICE OF MOLDING DUMPLING}
본 발명은 만두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화를 통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만두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두는 밀가루나 메밀가루 반죽으로 껍질을 만들고, 그 속에 고기, 두부, 김치 등으로 버무린 소를 넣고 찌거나 튀긴 음식이다.
이러한 만두제조는 대부분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이 떨어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기계적으로 만두를 성형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만두 제조장치는 밀가루반죽과 만두소를 각각 별도의 반죽호퍼와 만두소호퍼에 공급하면 반죽은 자동으로 반죽 이동스크루에 의하여 노즐 쪽으로 압출되어 노즐을 통하여 성형롤러 측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만두소는 만두소 이동장치에 의해 노즐 끝부분까지 이어진 이동 파이프 속으로 이동되어 노즐을 통해 나오는 반죽 튜브의 만두피 내부로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반죽튜브 내부에 속이 꽉 찬 상태로 성형롤러 쪽으로 연속 공급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반죽튜브는 성형롤러에 의해 빚어져 만두를 생산하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로터리 방식으로 만두가 성형되거나 소규모 구조로 제한되므로, 만두를 대량 생산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5515호(2017.05.08. 등록, 발명의 명칭 : 만두 제조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화를 통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만두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는: 반죽피를 제공하는 공급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반죽피를 복수개의 만두피로 잘라내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에 의해 잘려진 상기 만두피가 각각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안착된 상기 만두피에 각각 만두소를 공급하는 주입부; 및 상기 만두소가 투입된 상기 만두피가 만두 모양이 되도록 성형하는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반죽피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는 받침프레임부; 및 상기 받침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성형부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만두피가 각각 안착되는 받침몰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몰드부는 상기 받침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반죽피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몰드판부; 상기 몰드판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만두피가 안착되는 몰드홈부; 및 상기 몰드홈부의 중앙부에 해당되는 상기 몰드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만두피를 하방으로 배출하는 몰드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몰드홈부의 깊이는 상기 몰드홀부로 갈수록 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받침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받침몰드부를 이동시키는 받침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만두 제작이 가능하므로, 작업 환경에 따라 작업 길이를 늘려주어 만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급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급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에서 반죽피의 처짐을 방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에서 반죽피가 회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가 만두피를 밀어내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몰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가 절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만두피가 접합되기 위한 성형작동부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삽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가 성형작동부에서 배출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1)는 공급부(10)와, 절단부(20)와, 받침부(30)와, 주입부(40)와, 성형부(50)를 포함한다.
공급부(10)는 반죽피(100)를 제공한다. 일 예로, 반죽피(100)는 밀가루와 같은 분말가루와 수분을 섞어 일정한 두께의 판 형상이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권취된 롤 형상을 할 수 있다.
절단부(20)는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반죽피(100)를 복수개의 만두피(200)로 잘라낸다. 일 예로, 반죽피(100)를 절단하여 원판 형상의 만두피(200)를 획득할 수 있다.
받침부(30)는 절단부(20)에 의해 잘려진 만두피(200)가 각각 안착되고, 주입부(40)는 받침부(30)에 안착된 만두피(200)에 각각 만두소(300)를 공급한다. 일 예로, 만두소(300)는 고기, 두부, 야채 등이 다져서 양념하여 버무린 것을 의미한다.
성형부(50)는 만두소(300)가 투입된 만두피(200)가 만두(400) 모양이 되도록 성형한다. 일 예로, 만두피(200)의 중앙부에 만두소(300)가 안착되면, 성형부(50)에 의해 만두피(200)의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만두소(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10)는 공급제공부(11)와, 공급롤러부(12)와, 공급이송부(13)를 포함한다.
공급제공부(11)는 권취된 반죽피(100)를 풀어준다. 일 예로, 공급제공부(11)는 한 쌍의 제1공급제공부(111)와, 제1공급제공부(111)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공급제공부(112)와, 제2공급제공부(112)를 강제로 회전시키는 제3공급제공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권취된 반죽피(100)는 제2공급제공부(112)에 장착되고, 제2공급제공부(112)는 제3공급제공부(113)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반죽피(100)를 풀어줄 수 있다.
공급롤러부(12)는 공급제공부(11)에서 제공되는 반죽피(100)를 안내하고, 설정된 두께로 유도한다. 일 예로, 공급롤러부(12)는 한 쌍의 제1공급롤러부(121)와, 제1공급롤러부(121)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하로 배치되는 제2공급롤러부(122)와, 제2공급롤러부(122)를 강제로 회전시키는 제3공급롤러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하로 배치되는 제2공급롤러부(122) 사이로 반죽피(100)가 통과하고, 제2공급롤러부(122) 간의 간격에 의해 반죽피(100)의 두께가 변경될 수 있다.
공급이송부(13)는 공급롤러부(12)에서 제공되는 반죽피(100)의 양측을 파지하여 반죽피(100)를 이동시키고, 절단부(20) 작동시 반죽피(100)를 지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급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급이송부(13)는 이송구동부(131)와, 이송종동부(132)와, 이송벨트부(133)를 포함한다.
이송구동부(131)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된다. 이러한 이송구동부(131)는 상하로 배치된다. 일 예로, 한 쌍의 이송구동부(131)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이들은 또한 상하로 배치된다. 이때, 마주보는 이송구동부(131)는 풀리 형상을 하며 개별적으로 회전되거나 축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이송종동부(132)는 이송구동부(131)에서 반죽피(100)의 이동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된다. 일 예로, 이송종동부(132)는 이송구동부(131)와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송벨트부(133)는 이송구동부(131)와 이송종동부(132)에 각각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고, 반죽피(100)의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이송벨트부(133)는 이송구동부(131)와 이송종동부(132)에 감겨 이동되는 체인벨트가 될 수 있으며, 상하로 배치되는 이송벨트부(133) 사이에 반죽피(100)가 삽입되어 이송벨트부(133)의 진행 방향으로 반죽피(100)가 이동될 수 있다.
한편 공급이송부(13)는 이송기어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기어부(134)는 상하로 배치되는 이송구동부(131)에 형성되고 동력이 전달되도록 맞물린다. 일 예로, 이송기어부(134)는 기어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하나의 동력원을 사용하여 하방에 배치되는 이송구동부(131)를 회전시키면 이송기어부(134)에 의해 상방에 배치되는 이송구동부(1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 외, 공급이송부(13)는 간격롤러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롤러부(135)는 상하로 배치되는 이송벨트부(133)의 간격을 줄어줌으로써, 공급이송부(13)를 관통하는 절단부(20)의 이동거리를 줄여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급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급이송부(13)는 이송구동풀리부(135)와, 이송종동풀리부(136)와, 이송체인벨트부(137)와, 이송클램프부(138)를 포함한다.
이송구동풀리부(135)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된다. 일 예로, 한 쌍의 이송구동풀리부(131)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마주보는 이송구동부(131)는 개별적으로 회전되거나 축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이송종동풀리부(136)는 이송구동풀리부(135)에서 반죽피(100)의 이동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 예로, 이송종동풀리부(136)는 이송구동풀리부(135)와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송체인벨트부(137)는 이송구동풀리부(135)와 이송종동풀리부(136)에 각각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된다.
이송클램프부(138)는 이송체인벨트부(137)에 형성되고, 반죽피(100)의 가장자리를 파지한다. 일 예로, 이송클램프부(138)는 이송체인벨트부(137)의 외측에 형성되어 이송구동풀리부(135) 및 이송종동풀리부(136)와 간섭되지 않고, 반죽피(100)를 감지하면 유압에 의해 간격이 좁혀져 반죽피(100)를 파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에서 반죽피의 처짐을 방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10)는 공급지지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지지부(14)는 공급롤러부(12)와 공급이송부(13) 사이에 배치되고, 반죽피(100)의 처짐을 방지한다. 일 예로, 공급지지부(14)는 회전 가능한 롤러 형상을 하며, 필요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공급이송부(13)는 절단부(20) 작동시 반죽피(100) 이동을 중지하고, 절단부(20) 작동이 완료되면 반죽피(100)를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단부(20)가 반죽피(100)를 절단하는 동안 공급이송부(13)는 반죽피(100)의 이동을 중지시킨다. 이때, 공급제공부(11)는 지속적으로 구동하여 공급롤러부(12)와 공급이송부(13) 사이에서 반죽피(100) 처짐이 발생할 수 있는데, 반죽피(100)가 공급지지부(14)에 걸쳐져 반죽피(100)의 처짐에 의한 지면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절단부(20)가 반죽피(100) 절단 작업을 완료하면, 공급이송부(13)는 신속하게 반죽피(100)를 이동시켜 줌으로써, 절단되지 않고 대기하던 반죽피(100)를 절단부(20)의 작업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에서 반죽피가 회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10)는 공급회수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회수부(15)는 공급이송부(13)에서 배출되는 반죽피(100)를 공급롤러부(12)로 유도한다. 일 예로, 공급회수부(15)는 만두피(200) 성형으로 구멍이 형성된 반죽피(100)를 공급롤러부(12)로 유도하여 반죽피(100)를 재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회수부(15)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추가 반죽이 실시되어 구멍을 메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1)에서 공급부(1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롤 형상을 갖는 반죽피(100)가 공급제공부(11)를 통해 공급롤러부(12)를 통과하면서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공급이송부(13)를 통과하면서 절단부(20)에 의해 절단되어 만두피(200)가 생성된다.
한편, 공급이송부(13)는 절단부(20)의 작동을 위해 반죽피(100)의 이동을 중지시키는데, 공급지지부(14)는 공급롤러부(12)와 공급이송부(13) 사이에 배치되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반죽피(100)의 처짐을 방지한다.
절단부(20)가 반죽피(100)에 대한 절단 작업을 완료하면, 공급이송부(13)는 대기중인 반죽피(100)를 절단부(20) 작업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킨다.
그리고, 절단부(20)에 의한 절단 작업이 완료된 반죽피(100)는 공급회수부(15)에 의해 회수되어 공급롤러부(12)로 유도된다. 이때, 공급제공부(11)에서 풀리는 반죽피(100)와 절단부(20)를 통과한 반죽피(100)가 공급회수부(15)에서 만나도록 배치됨으로써, 절단부(20)에 의해 일부 절단된 반죽피(100)가 재활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가 만두피를 밀어내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절단부(20)는 동시에 반죽피(100)를 잘라 만두피(200)를 획득한다. 일 예로, 공급이송부(13)의 길이와 상응하도록 반죽피(100)가 배치되고, 절단부(20)는 반죽피(100)의 길이를 따라 복수개의 만두피(200)를 동시에 제작할 수 있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20)는 절단구동부(21)와, 절단판부(22)와, 절단날부(23)를 포함한다.
절단구동부(21)는 반죽피(100)의 상방에 배치된다. 일 예로, 절단구동부(21)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는 제1절단구동부(211)와, 제1절단구동부(211)에 형성되고 자체 길이가 조절되는 하나 이상의 제2절단구동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판부(22)는 절단구동부(21)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고, 반죽피(1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일 예로, 절단판부(22)는 제2절단구동부(212)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제2절단구동부(212)의 자체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절단판부(22)는 공급이송부(13)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절단날부(23)는 절단판부(22)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반죽피(100)를 잘라낸다. 일 예로, 절단판부(22)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절단날부(23)는 원통 형상을 하여 원형의 만두피(200)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20)는 절단지지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단지지부(24)는 반죽피(100)의 하방에 배치되고, 반죽피(100)를 받쳐주면서 절단날부(23)를 통과시킨다. 일 예로, 절단지지부(24)는 반죽피(100)와 받침부(30) 사이에 배치되고, 받침부(30) 또는 별도의 고정물에 지지될 수 있다. 그 외, 절단지지부(24)는 필요에 따라 받침부(30)와 반죽피(100) 사이로 이동될 수 있다. 절단지지부(24)는 절단날부(23)가 통과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20)는 절단분사부(25)와 절단막대부(26)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절단분사부(25)는 절단판부(22)에 형성되고, 반죽피(100)에 유체를 분사한다. 그리고, 절단막대부(26)는 절단판부(22)에 형성되고, 길이가 조절되면서 반죽피(100)를 밀어낸다.
일 예로, 절단분사부(25)는 절단날부(23)의 내부에 배치되고, 반죽피(100)에서 잘려나간 만두피(200)를 절단날부(23)에서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막대부(26)는 절단날부(23)의 내부에 배치되고, 반죽피(100)에서 잘려나간 만두피(200)를 절단날부(23)에서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그 외, 절단부(20)는 절단핀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단핀부(27)는 절단판부(22)에 형성되고, 절단날부(23)의 내측에 배치된다. 절단핀부(27)는 단부가 날카로운 형상을 하고, 절단날부(23) 보다 낮게 위치되어 만두피(200)를 관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절단날부(23)에 의해 생성된 만두피(200)가 겹쳐져서 낙하되지 않고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절단핀부(27)에 가결합된 만두피(200)는 절단분사부(25) 또는 절단막대부(26)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1)에서 절단부(2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급이송부(13)가 반죽피(100)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면, 절단구동부(21)의 길이가 늘어나 절단판부(22)가 하방 이동되어, 절단날부(23)가 반죽피(100)를 관통한다. 이로 인해, 절단날부(23)가 대응되는 형상의 만두피(200)가 획득된다.
이때, 반죽피(100)와 받침부(30) 사이에 절단지지부(24)가 배치되면, 반죽피(100)가 절단날부(23)에 의해 절단되는 과정에서 반죽피(100)를 지지하여 만두피(200)의 불량을 방지한다.
절단날부(23)가 반죽피(100)를 절단하여 만두피(200)가 형성되면, 절단핀부(27)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절단분사부(25) 또는 절단막대부(26)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되어 절단날부(23) 또는 절단핀부(27)에 부착된 만두피(200)를 하방으로 낙하시킨다. 그리고, 낙하된 만두피(200)는 받침부(30)에 안착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9를 참조하면, 받침부(30)는 반죽피(1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일 예로, 받침부(30)에는 반죽피(100)에서 동시에 절단된 복수개의 만두피(200)가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0)는 받침프레임부(31)와 받침몰드부(32)를 포함한다.
받침프레임부(3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받침몰드부(32)는 받침프레임부(31)에 장착된다. 받침몰드부(32)는 성형부(50)의 상방에 배치되어 만두피(200)가 각각 안착된다.
일 예로, 받침프레임부(31)는 지면 또는 고정설비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받침프레임부(311)와, 제1받침프레임부(311)에 결합되고 받침몰드부(32)가 장착되는 제2받침프레임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받침프레임부(312)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몰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몰드부(32)는 몰드판부(321)와, 몰드홈부(322)와, 몰드홀부(323)를 포함한다.
몰드판부(321)는 받침프레임부(31)에 장착되고 반죽피(1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일 예로, 몰드판부(321)는 제2받침프레임부(312)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절단판부(23)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몰드홈부(322)는 몰드판부(32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만두피(200)가 안착된다. 일 예로, 몰드홈부(322)는 만두피(200)와 대응되도록 원형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몰드홀부(323)는 몰드홈부(322)의 중앙부에 해당되는 몰드판부(321)에 형성되고, 만두피(200)를 하방으로 배출한다. 일 예로, 몰드홀부(323)는 타원 형상을 하여 만두피(200)가 만두소(300)를 감싸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몰드홀부(323)의 장방형 길이는 몰드판부(321)의 길이와 직교할 수 있다.
한편, 몰드홈부(322)의 깊이는 몰드홀부(323)로 갈수록 깊어진다. 일 예로, 몰드홈부(322)는 몰드홀부(323)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만두피(200)에 만두소(300)가 안착되면 하중에 의해 만두피(200)가 몰드홀부(323)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0)는 받침이동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이동부(33)는 받침프레임부(31)에 장착되고, 받침몰드부(32)를 이동시킨다. 일 예로, 받침몰드부(32)의 양단부가 받침프레임부(3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길이가 가변되거나 벨트 컨베이어 방식을 사용하는 받침이동부(33)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받침이동부(33)는 받침몰드부(32)에 만두피(200)가 안착되면 후 공정을 위해 받침몰드부(32)를 절단부(20)의 작업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12를 참조하면, 주입부(40)는 동시에 복수개의 만두피(200) 상측면에 만두소(300)를 투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40)는 절단부(2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받침부(30)는 절단부(20)에 의해 잘려진 만두피(200)가 안착되면 주입부(40)의 하방으로 이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입부(40)는 주입프레임부(41)와, 주입판부(42)와, 주입노즐부(43)와, 주입호퍼부(44)를 포함한다.
주입프레임부(4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설치되고, 주입판부(42)는 주입프레임부(41)에 장착되어 받침부(30)의 상방에 배치된다. 일 예로, 주입판부(42)는 도 2의 공급이송부(13)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양단부가 주입프레임부(41)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주입노즐부(43)는 주입판부(4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만두피(200)에 만두소(300)를 낙하시킨다. 일 예로, 주입노즐부(43)는 공압을 통해 주입노즐부(43)에 유입된 만두소(300)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 외, 주입노즐부(43)는 기계적인 가압을 통해 만두소(300)를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받침부(30)에 만두피(200)가 안착되면, 주입노즐부(43)는 하방 이동되어 성형부(50)로 만두피(200)를 낙하시키고, 상방 이동되면서 성형부(50)에 안착된 만두피(200)에 만두소(300)를 주입할 수 있다.
주입호퍼부(44)는 주입노즐부(43)에 만두소(300)를 공급한다. 일 예로, 각각의 주입노즐부(43)와 대응되도록 주입노즐부(44)가 주입판부(42)의 상측에 장착되어 주입노즐부(43)와 연결될 수 있다. 주입호퍼부(44)에는 다량의 만두소(300)를 저장하고 수시로 만두소(300)를 보충하도록 상측이 개구된 용기 형상을 할 수 있다. 또한 주입호퍼부(44)는 정해진 양만큼 만두소(300)를 주입노즐부(43)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40)는 주입감지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입감지부(45)는 주입호퍼부(44)에 장착되고, 주입호퍼부(44)에 저장된 만두소(300)의 잔존량을 측정한다. 이로 인해 관리자는 주입호퍼부(44)에서 만두소(300)의 저장량을 인지하여 추가로 만두소(300)를 투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입감지부(45)는 디스플레이에 만두소(300) 저장량을 표시하거나, 알람을 통해 관리자에게 만두소(300) 부족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가 절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주입부(40)는 절단부(20)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하면, 받침부(30)에서 받침몰드부(32)를 이동시키는 받침이동부(33)는 생략될 수 있다(도 11 참조).
주입부(40)가 절단부(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주입노즐부(43)는 절단판부(22)에 장착되되 절단날부(2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하면, 절단날부(23)가 반죽피(100)를 절단하여 만두피(200)를 획득한 후, 주입노즐부(43)를 통해 배출되는 만두소(300)가 절단날부(23)에 부착된 만두피(200)를 밀어낼 수 있다. 그 외, 주입노즐부(43)가 하방 이동되어 만두피(200)를 직접 밀어낸 후 만두소(300)를 주입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만두피가 접합되기 위한 성형작동부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성형부(50)는 받침부(30)의 하방에 배치되고, 동시에 복수개의 만두피(200)를 성형한다. 이때 성형부(50)에 의해 만두피(200)가 만두소(300)를 감싸도록 모양이 형성되어 만두(400)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50)는 성형프레임부(51)와 성형작동부(52)를 포함한다.
성형프레임부(51)는 성형작동부(52)를 지지한다. 일 예로, 성형프레임부(5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한 쌍이 마주보는 제1성형프레임부(511)와, 제1성형프레임부(511)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받침부(3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2성형프레임부(512)와, 제1성형프레임부(511)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제2성형프레임부(512)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3성형프레임부(513)와, 제1성형프레임부(511)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제3성형프레임부(513)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4성형프레임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작동부(52)는 성형프레임부(51)에 장착되고, 받침부(30)의 하방에 배치되어 만두소(300)가 투입된 만두피(200)를 만두(400)로 각각 성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작동부(52)는 작동삽입부(521)와, 작동결합부(522)와, 작동승강부(523)를 포함한다.
작동삽입부(521)는 성형프레임부(5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장착되고, 만두피(200)가 삽입된다. 일 예로, 작동삽입부(521)는 제2성형프레임부(51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장착되고, 받침부(30)에서 낙하된 만두피(200)는 작동삽입부(521)에 삽입될 수 있다.
작동결합부(522)는 성형프레임부(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작동삽입부(521)에 삽입된 만두피(200)의 가장자리를 접합한다. 그리고, 작동승강부(523)는 작동삽입부(521)에 삽입되고 작동삽입부(521)에 삽입된 만두(400)를 들어 올린다.
일 예로, 작동승강부(523)가 저점에 위치될 때, 받침부(30)에서 낙하된 만두피(200)가 작동삽입부(521)에 삽입되어 만두피(200)의 가장자리가 작동삽입부(52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만두피(200)의 가장자리가 접합되면, 작동승강부(523)가 고점에 위치되어 만두(400)가 작동삽입부(521)와의 간섭이 해제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삽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삽입부(521)는 제1작동삽입부(5211)와 제2작동삽입부(5212)를 포함한다.
제1작동삽입부(5211)는 성형프레임부(51)에 장착된다. 일 예로, 제1작동삽입부(5211)는 제2성형프레임부(512)의 길이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제2작동삽입부(5212)는 제1작동삽입부(5211)에서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제2작동삽입부(5212)는 한 쌍이 이격되어 마주보며, 제2작동삽입부(5212) 사이로 만두피(20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결합부(522)는 제1작동결합부(5221)와, 제2작동결합부(5222)와, 제3작동결합부(5223)와, 제4작동결합부(5224)를 포함한다.
제1작동결합부(5221)는 길이가 조절된다. 일 예로, 제1작동결합부(5221)는 제4성형프레임부(514)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거나 유압이 공급되면 상단부가 상승하여 자체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가 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작동결합부(5222)는 제1작동결합부(5221)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된다. 일 예로, 제2작동결합부(5222)는 하단부가 겹쳐져서 제1작동결합부(5221)에 연결되고, 제1작동결합부(5221)의 작동 여부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3작동결합부(5223)는 제2작동결합부(5222)와 링크 연결되고, 성형프레임부(51)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일 예로, 제3작동결합부(5223)는 제2작동결합부(5222)의 상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중앙부가 제3성형프레임부(513)에 핀결합될 수 있다. 제3작동결합부(5223)의 상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4작동결합부(5224)는 제3작동결합부(5223)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제2작동삽입부(5212)의 상방에 배치된다. 제4작동결합부(5224)는 제1작동결합부(5221)가 작동됨에 따라 마주보는 한 쌍이 근접하여 제2작동삽입부(5212)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만두피(200)의 가장자리를 밀착시킨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승강부(523)는 제1작동승강부(5231)와, 제2작동승강부(5232)와, 제3작동승강부(5233)를 포함한다.
제1작동승강부(5231)는 제2작동삽입부(5212) 사이에 내장되고, 만두피(200)를 받쳐준다. 일 예로, 제1작동승강부(5231)는 제2작동삽입부(5212) 사이의 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제2작동승강부(5232)는 제1작동승강부(5231)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작동삽입부(5212) 사이로 삽입된다. 일 예로, 제1작동승강부(5231)의 양단에서 돌출되는 제2작동승강부(5232)는 제2작동삽입부(5212)의 이격된 공간을 관통할 수 있다.
제3작동승강부(5233)는 제1작동승강부(5231)의 높이를 조절한다. 일 예로, 제3작동승강부(5233)는 제1작동삽입부(5211)를 관통하여 제1작동승강부(5231)의 저면과 결합되고 자체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제1작동승강부(523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3작동승강부(5233)는 제2성형프레임부(51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 외, 제3작동승강부(5233)는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1작동승강부(523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가 성형작동부에서 배출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50)는 성형배출부(53)와, 성형안내부(54)와, 성형가공부(55)를 더 포함한다.
성형배출부(53)는 만두(400)를 성형작동부(52)에서 배출한다. 일 예로, 성형배출부(53)는 반죽피(100)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길이가 가변되거나 자체 이동되어 제2작동삽입부(5212)의 상방으로 돌출된 만두(400)를 밀어낼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배출부(53)는 단부 중앙부가 함몰된 형상을 하여 만두(4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성형안내부(54)는 성형배출부(53)에서 배출되는 만두(400)를 안내한다. 일 예로, 성형안내부(54)는 성형배출부(53)에 의해 제2작동삽입부(5212)에서 배출되는 만두(400)를 안내할 수 있다. 성형안내부(54)는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만두(400)를 안내할 수 있다.
성형가공부(55)는 성형안내부(54)를 통해 이동된 만두(400)를 익혀준다. 일 예로, 성형가공부(55) 내부에는 고온의 스팀이 분사되어 이동되는 만두(400)를 익혀줄 수 있다.
한편, 성형안내부(54)는 성형배출부(53)에서 배출되는 만두(400)를 각각 안내할 수 있으며, 성형가공부(55)로 갈수록 이웃한 만두(400)와의 간격을 줄여주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성형가공부(55) 자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1)에서 성형부(5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받침부(30)에 안착된 만두피(200)에 만두소(300)가 주입되면, 만두소(300)의 하중에 의해 만두피(200)가 받침부(30)를 통과하여 제2작동삽입부(5212)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만두피(200)의 가장자리는 제2작동삽입부(5212)에서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제1작동결합부(5211)가 구동되면, 제2작동결합부(5212)가 상승하여 제3작동결합부(5213)의 상부는 서로 근접한다. 그리고, 제3작동결합부(521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4작동결합부(5214)는 외부로 노출된 만두피(200)를 서로 밀착시켜 줌으로써, 만두(400) 성형을 완료한다.
만두(400) 성형이 완료되면, 제1작동결합부(5211)의 구동으로 제2작동결합부(5212)가 하강하고, 작동승강부(53)가 상승하여 만두(400)를 제2작동삽입부(5212)의 상방으로 노출시킨다.
만두(400)가 제2작동삽입부(5212)의 상방에 노출되면, 성형배출부(53)가 구동되어 만두(400)를 밀어내고, 밀려난 만두(400)는 성형안내부(54)를 통해 성형가공부(55)로 이동되어 가공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공급부 11 : 공급제공부
12 : 공급롤러부 13 : 공급이송부
14 : 공급지지부 15 : 공급회수부
20 : 절단부 21 : 절단구동부
22 : 절단판부 23 : 절단날부
24 : 절단지지부 25 : 절단분사부
26 : 절단막대부 30 : 받침부
31 : 받침프레임부 32 : 받침몰드부
33 : 받침이동부 40 : 주입부
41 : 주입프레임부 42 : 주입판부
43 : 주입노즐부 44 : 주입호퍼부
45 : 주입감지부 50 : 성형부
51 : 성형프레임부 52 : 성형프레임부
53 : 성형배출부 54 : 성형안내부
55 : 성형가공부 100 : 반죽피
200 : 만두피 300 : 만두소
400 : 만두

Claims (5)

  1. 반죽피를 제공하는 공급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반죽피를 복수개의 만두피로 잘라내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에 의해 잘려진 상기 만두피가 각각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안착된 상기 만두피에 각각 만두소를 공급하는 주입부; 및
    상기 만두소가 투입된 상기 만두피가 만두 모양이 되도록 성형하는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반죽피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받침프레임부; 및
    상기 받침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성형부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만두피가 각각 안착되는 받침몰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몰드부는
    상기 받침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반죽피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몰드판부;
    상기 몰드판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만두피가 안착되는 몰드홈부; 및
    상기 몰드홈부의 중앙부에 해당되는 상기 몰드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만두피를 하방으로 배출하는 몰드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홈부의 깊이는 상기 몰드홀부로 갈수록 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받침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받침몰드부를 이동시키는 받침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 장치.
KR1020180097368A 2018-08-21 2018-08-21 만두 제조 장치 KR102085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68A KR102085732B1 (ko) 2018-08-21 2018-08-21 만두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68A KR102085732B1 (ko) 2018-08-21 2018-08-21 만두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703A true KR20200021703A (ko) 2020-03-02
KR102085732B1 KR102085732B1 (ko) 2020-03-06

Family

ID=6980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368A KR102085732B1 (ko) 2018-08-21 2018-08-21 만두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7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610A (ko) * 2003-05-19 2004-12-02 주식회사 삼호에프앤지 어묵으로 만두피를 제작한 만두 제조 시스템
KR20140013128A (ko) * 2012-07-06 2014-02-05 제임스 휘준 박 만두 제조 장치
KR20160069873A (ko) * 2014-12-09 2016-06-17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만두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03138A (ko) * 2015-06-30 2017-01-09 에이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식용피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610A (ko) * 2003-05-19 2004-12-02 주식회사 삼호에프앤지 어묵으로 만두피를 제작한 만두 제조 시스템
KR20140013128A (ko) * 2012-07-06 2014-02-05 제임스 휘준 박 만두 제조 장치
KR20160069873A (ko) * 2014-12-09 2016-06-17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만두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03138A (ko) * 2015-06-30 2017-01-09 에이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식용피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732B1 (ko)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611B1 (ko) 만두 제조 장치
KR101691337B1 (ko) 꼬치 제조 장치
KR102073613B1 (ko) 만두 제조 장치
JP2006321644A (ja) 食品素材の移載方法および移載装置
KR101745549B1 (ko) 꼬치 제조 시스템
TWI525028B (zh) 用於製造罐裝鮪魚和類似物之機器的饋送器以及相關的操作循環
KR101042639B1 (ko) 포자 만두의 성형장치 및 자동정렬 공급시스템
KR102073614B1 (ko) 만두 제조 장치
KR102073612B1 (ko) 만두 제조 장치
KR102085732B1 (ko) 만두 제조 장치
GB2252893A (en) Food-processing apparatus
KR102397323B1 (ko) 만두성형장치
US5207351A (en) Tray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799279B1 (ko) 식용피 제조 장치
US3464299A (en) Dough cutting,transporting and depositing apparatus
JP4095062B2 (ja) 練肉成形機
WO2019093029A1 (ja) 食品材料吐出装置
KR102254460B1 (ko) 만두 자동화 성형장치
JP3149390U (ja) 食品成形装置
KR20050008569A (ko) 반죽물을 일정형태로 성형시키는 반죽물 성형장치
US2679811A (en) Dispensing apparatus for viscous material
CN112056340A (zh) 一种新型食品加工装置
KR200377542Y1 (ko) 반죽물을 일정형태로 성형시키는 반죽물 성형장치
KR101677687B1 (ko) 다중 토출 구조를 갖는 도넛 성형장치
JP2001224325A (ja) 米飯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