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128A - 만두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만두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128A
KR20140013128A KR1020120073833A KR20120073833A KR20140013128A KR 20140013128 A KR20140013128 A KR 20140013128A KR 1020120073833 A KR1020120073833 A KR 1020120073833A KR 20120073833 A KR20120073833 A KR 20120073833A KR 20140013128 A KR20140013128 A KR 20140013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pling
dumpling skin
dumplings
sk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휘준 박
Original Assignee
제임스 휘준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 휘준 박 filed Critical 제임스 휘준 박
Priority to KR1020120073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3128A/ko
Publication of KR20140013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된 공정을 통해 별도의 인력 투입없이 만두를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제조과정에서 만두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미려한 외관을 가진 만두를 생산할 수 있는 만두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료 만두피를 공급하는 만두피롤; 상기 만두피롤에서 공급되는 원료 만두피를 가이드하고 단위 크기로 절단하는 만두피 가이드; 상기 만두피가이드에서 공급되는 단위 크기의 만두피를 상면에 얹고 이동하는 만두피 이동판; 호퍼에서 공급되는 만두속을 수용하는 배출 실린더; 상기 배출 실린더 내의 만두속을 가압하여 단위 양의 만두속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피스톤; 및 상기 배출 실린더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만두피 이동판이 이동하여 상면에 놓이면 상기 배출 실린더에서 배출된 만두속을 만두피 위에 공급받으며, 피스톤의 압박에 따라 만두속 및 만두피를 배출 구멍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하면서 성형구의 조임 동작에 의해 만두피의 상부를 조여 단위 만두로 배출하는 성형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만두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DUMPLING}
본 발명은 만두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화된 공정을 통해 별도의 인력 투입없이 만두를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제조과정에서 만두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미려한 외관을 가진 만두를 생산할 수 있는 만두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만두는 밀가루 반죽으로 된 만두피의 내부에 만두속이 채워지게되는데 만두속이 채워진 만두피를 접합하는 작업의 난이도 때문에 종래에는 사람이 일일이 손으로 만두를 만들어야 했으므로 만두를 만드는데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만두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들이 일부 제작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매우 조잡하고 만두재료의 공급에 있어서도 재료의 이송거리가 길어서 재료가 이송되는 도중에 기계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재료가 변질되거나 익어버려서 재료 자체의 맛이 변질되어 만두의 맛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생산된 만두의 형태도 좋은 형태를 유지하지 못해 만두로서의 상품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화된 공정을 통해 별도의 인력 투입없이 만두를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제조과정에서 만두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미려한 외관을 가진 만두를 생산할 수 있는 만두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원료 만두피를 공급하는 만두피롤; 상기 만두피롤에서 공급되는 원료 만두피를 가이드하고 단위 크기로 절단하는 만두피 가이드; 상기 만두피가이드에서 공급되는 단위 크기의 만두피를 상면에 얹고 이동하는 만두피 이동판; 호퍼에서 공급되는 만두속을 수용하는 배출 실린더; 상기 배출 실린더 내의 만두속을 가압하여 단위 양의 만두속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피스톤; 및 상기 배출 실린더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만두피 이동판이 이동하여 상면에 놓이면 상기 배출 실린더에서 배출된 만두속을 만두피 위에 공급받으며, 피스톤의 압박에 따라 만두속 및 만두피를 배출 구멍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하면서 성형구의 조임 동작에 의해 만두피의 상부를 조여 단위 만두로 배출하는 성형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만두피 가이드는 상기 만두피롤의 하측에 위치해 내부의 중공된 공간을 통해 상기 만두피롤에서 풀려 내려오는 만두피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절단틀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틀의 하부 말단에는 절단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만두피롤에서 풀려져 만두피 가이드의 가이드를 받는 만두피는 그 끝단이 상기 만두피 이동판 보다 아래에 위치되며, 만두피 이동판이 만두피 가이드 측으로 이동하면 만두피 이동판의 상면에는 만두피가 놓여지고 해당 만두피가 절단틀에 의해 종방향으로 절단되어 단위 크기의 만두피가 만두피 이동판의 상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만두피 이동판은 상기 만두피 가이드의 하측과 상기 성형판의 상측을 왕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만두피 이동판에는 만두피에 주름을 만들 수 있는 주름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름구는 적어도 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진 구멍 형태로 만두피 이동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 실린더의 내부에는 만두속과 피스톤의 이동경로를 구획하기 위한 만두속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화된 공정을 통해 별도의 인력 투입없이 만두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과정에서 만두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미려한 외관을 가진 만두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속의 투입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피의 절단 및 이송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성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형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는 만두피롤(10)에 감겨진 만두피(s)가 일측에서 공급되고 해당 만두피(s)의 끝단부에서 절단된 단위 크기의 만두피(s)가 만두피 이동판(30)을 통해 성형판(60)으로 공급되며, 호퍼(40)에 적재된 만두속(d)은 배출 실린더(42)에 공급된 상태에서 피스톤(50)의 하향 압박을 받아 단위 양으로 성형판(60)으로 공급되며, 성형판(60)에서는 단위 크기의 만두피(s) 위에 단위 양의 만두속(d)이 얹어진 상태에서 만두속(d)을 아래로 밀어내리는 피스톤(50)의 하향 압박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만두피(s)가 만두속(d)을 수용해 감싼 상태로 아래로 밀려 내려가게 되고 성형구(61)의 조임 동작에 의해 만두피(s)의 상부가 조여져 하나의 단위 만두가 제조되게 된다.
먼저 상기 만두피롤(10)은 일측이 회전축(11)과 연결되며, 이 회전축(11)은 제 1 동력전달부(12)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여 회전력을 만두피롤(10)에 전달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두피롤(10)에는 만두속(s)을 감싸는 만두피(s)가 감겨지게 되며 이렇게 만두피롤(10)에 감겨진 기다란 만두피(s)는 종방향 절단시 하나의 만두를 만들 수 있는 단위 크기의 만두피(s)가 될 것이다.
해당 만두피롤(10)의 하측에는 만두피 가이드(20)가 설치된다. 만두피 가이드(20)는 내부의 중공된 공간을 통해 상기 만두피롤(10)에서 풀려 내려오는 만두피(s)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관 형상의 부재로, 만두피롤(10)에서 풀려 내려오는 만두피(s)가 바람 등의 영향으로 흐트러지지 않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이러한 만두피 가이드(20)의 일측에는 판 형태의 절단틀(21)이 부착된다. 상기 절단틀(21)은 상부가 만두피 가이드(20)의 일측에 결합되며 하부 말단에는 톱니 형태의 절단날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만두피롤(10)에서 풀려 내려와 만두피 가이드(20)를 통과해 내려오는 만두피(s)의 끝부분이 외력에 의해 절단틀(21) 측으로 휘어지게 되면, 해당 절단틀(21)의 절단날에 의해 만두피(s)가 종방향으로 절단되게 되며 이에 따라 단위 크기의 만두피(s)가 만들어지게 된다.
만두피(s)에 가해지는 이러한 외력은 상기 만두피 이동판(30)에 의해 발생되게 된다.
상기 만두피 이동판(30)은 판 형태를 가지며 제 1 링크(32)와 연결된다.
상기 제 1 링크(32)는 일측이 고정단으로 제 2 동력전달부(33)에 연결되며 타측이 자유단으로 상기 만두피 이동판(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만두피 이동판(30)은 제 2 동력전달부(33)의 작동에 따라 자유단을 회전시키는 제 1 링크(32)에 의해 두 지점을 왕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만두피 이동판(30)이 왕복하는 두 지점은 상기 만두피 가이드(20)의 하측과 상기 성형판(60)의 상측이다.
여기에서 상기 만두피 이동판(30)에 만두피(s)를 얹는 과정과 만두피(s)를 끊어내는 과정에 대하여는 차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만두피 이동판(30)에는 만두피(s)를 만두로 성형할 때 만두피(s)의 조여지는 상부에 일정한 무늬의 주름을 만들 수 있는 주름구(31)가 형성된다. 이 주름구(3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진 구멍 형태로 이동판(3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서 해당 만두피(s)는 만두속(d)을 감싸면서 주름구(31)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므로 이 주름구(31)의 돌출부가 많아질수록 만두의 주름은 많아질 것이다.
한편, 상기 호퍼(40)에는 일정량의 만두속(d)이 공급되어 저장되며, 이 호퍼(40)의 하부에 연결된 공급관(41)을 통해 배출된 만두속(d)은 배출 실린더(42)로 공급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공급관(41)에는 만두속(d)의 공급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가 부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 실린더(42)에 수용된 만두속(d)은 피스톤(50)의 하향 운동에 따라 피스톤(50)에 밀려 실린더 하방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피스톤(50)은 봉 형태를 가지며 제 2 링크(51)와 연결된다.
상기 제 2 링크(51)는 일측이 고정단으로 제 3 동력전달부(52)에 연결되며 타측이 자유단으로 상기 피스톤(5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50)은 제 3 동력전달부(52)의 작동에 따라 자유단을 회전시키는 제 2 링크(51)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가 상기 배출 실린더(42) 내에 수용되어 있는 만두속(d)을 밀고 내려가 실린더 밑으로 배출시킬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피스톤(50)의 움직임과 이를 통한 만두속 배출과정에 대하여는 차후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한편 상기 성형판(60)은 상기 배출 실린더(42)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측으로 평평한 외면을 가져 상기 만두피 이동판(30)이 상부에 놓일 수 있으며, 중앙에는 제 4 동력전달부(62)의 작동에 따라 조여지고 풀려지는 다수의 성형구(61)가 배출 구멍(63)에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단위 크기의 만두피(s)가 얹혀진 만두피 이동판(30)이 상기 성형판(60) 상에 놓여지게 되고, 상기 피스톤(50)에 의해 밀려 내려온 만두속(d)이 해당 만두피(s) 위에 안착되며 이 피스톤(50)의 하향 압박에 의해 만두속(d)을 수용한 채로 만두피(d)는 주름구(31)와 배출 구멍(63)을 통해 하방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만두피(s)의 상부는 상기 성형구(61)의 조임 동작에 의해 조여져 하나의 단위 만두가 제조되게 된다. 그리고 이 만두는 배출 구멍(63)의 하부에 있는 컨베이어(70) 상에 배출되어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성형판(60)의 조임 동작과 이를 통한 만두 성형과정에 대하여는 차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속의 투입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호퍼(40)에서 공급관(41)을 통해 이동되어온 만두속(d)은 상기 배출 실린더(42) 내로 일정량이 들어가 수용되게 된다(도 2의 (a) 참조). 그리고 이 배출 실린더(42)의 내부를 수직 하방으로 피스톤(50)이 진입하게 됨으로써 해당 만두속(d)은 배출 실린더(42)를 따라 밀려 내려가 배출 실린더(42)의 하방으로 일정량 배출될 것이다(도 2의 (b) 참조).
이때, 상기 배출 실린더(42)의 내부에는 만두속(d)과 피스톤(50)의 이동경로를 정확하게 구획하기 위한 만두속 가이드(43)가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일정량의 만두속(d)은 해당 배출 실린더(42)의 하부에 있는 단위 크기의 만두피(s)에 안착될 것이며, 하방으로 내려가는 피스톤(50)의 힘에 의해 만두피(s)는 만두속(d)을 품은 채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피의 절단 및 이송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만두피롤(10)에서 풀려진 만두피(s)는 그 끝단이 상기 만두피 이동판(30) 보다 아래에 위치될 것이다(도 3의 (a) 참조). 따라서 만두피 이동판(30)이 만두피롤(10) 측으로(보다 정확하게는 만두피 가이드(20) 측으로) 이동하면 만두피 이동판(30)의 상부면에는 만두피(s)가 놓여질 것이고 이러한 만두피 이동판(30)이 만두피 가이드(20)의 하방 위치보다 더 이동하게 되면 해당 만두피(s)는 절단틀(21)에 의해 종방향으로 절단될 것이다(도 3의 (b) 참조). 그리고 이렇게 절단된 단위 크기의 만두피(s)는 해당 만두피 이동판(30)의 이동에 따라 만두피 이동판(30) 상에 놓인 채로 성형판(60) 측으로 이동될 것이다(도 3의 (c) 참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성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성형판(60) 상의 성형구(61)들은 벌려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 성형구(61)들 사이에는 제조된 만두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구멍(63)이 구비될 것이다(도 4의 (a) 참조).
이 성형판(60)의 위에는 이동되어진 만두피 이동판(30)이 놓이게 되는데, 이러한 만두피 이동판(30)에는 단위 크기의 만두피(s)가 놓여져 있을 것이다(도 4의 (b) 참조).
그리고 상기 배출 실린더(42)에서는 피스톤(50)의 하향 운동에 의해 단위 양의 만두속(d)이 배출되어 만두피(s) 상에 얹혀질 것이고, 이 피스톤(50)의 계속되는 하향 운동에 의해 만두피(s)는 만두피 이동판(30)과 배출 구멍(63)을 따라 중심 부위가 하방으로 내려가게 되고 자연스럽게 만두피(s)가 만두속(d)을 감싸면서 배출 구멍(63)을 따라 아래로 배출될 것이다. 이때 해당 만두피(s)는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상기 만두피 이동판(30)의 주름구(31)에 의해 외곽에 일정한 주름이 형성될 것이다(도 4의 (c) 참조).
그리고 상기 성형판(60)의 성형구(61)들은 중심으로 조여질 것이고, 이러한 성형구(61)들의 조임 동작에 의해 만두피(s)가 조여져 하나의 단위 만두가 제조되게 된다(도 4의 (d) 참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형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성형판(60)은 하부에 모터 등과 같은 동력원으로서의 제 4 동력전달부(62)가 구비된다. 이 제 4 동력전달부(62)와 연결되는 성형구(61)들은 배출 구멍(63)을 중심으로 다수개가 서로 면접촉되게 구비되며, 동력 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중앙을 기점으로 해당 배출 구멍(63)을 넓히거나(도 5의 (a) 참조) 좁히게(도 5의 (b) 참조) 된다. 따라서 제 4 동력전달부(62)의 정·역회전 동력에 따라 다수의 성형구(61)가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좁혀졌다 벌어졌다 함으로써 그 반복공정으로 인해 계속하여 공급되는 만두피(s)의 상부를 압착시켜 상부가 조여진 만두를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s : 만두피 d : 만두속
10 : 만두피롤 11 : 회전축
12 : 제 1 동력전달부 20 : 만두피 가이드
21 : 절단틀 30 : 만두피 이동판
31 : 주름구 32 : 제 1 링크
33 : 제 2 동력전달부 40 : 호퍼
41 : 공급관 42 : 배출 실린더
43 : 만두속 가이드 50 : 피스톤
51 : 제 2 링크 52 : 제 3 동력전달부
60 : 성형판 61 : 성형구
62 : 제 3 동력전달부 63 : 배출 구멍
70 : 컨베이어

Claims (1)

  1. 만두피롤에서 공급되는 원료 만두피와 호퍼에서 공급되는 만두속을 공급받아 성형판으로 이송시켜 해당 만두피에 만두속을 넣고 만두피의 상부를 조여 단위 만두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 장치.
KR1020120073833A 2012-07-06 2012-07-06 만두 제조 장치 KR20140013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833A KR20140013128A (ko) 2012-07-06 2012-07-06 만두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833A KR20140013128A (ko) 2012-07-06 2012-07-06 만두 제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882A Division KR101241536B1 (ko) 2012-06-29 2012-06-29 만두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128A true KR20140013128A (ko) 2014-02-05

Family

ID=5026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833A KR20140013128A (ko) 2012-07-06 2012-07-06 만두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31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637B1 (ko) * 2018-08-28 2019-11-25 주식회사 에프시이엔지 만두피 접합장치
KR102073613B1 (ko) * 2018-08-21 2020-02-06 (주)대한기계 만두 제조 장치
KR20200021703A (ko) * 2018-08-21 2020-03-02 주식회사대한기계 만두 제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613B1 (ko) * 2018-08-21 2020-02-06 (주)대한기계 만두 제조 장치
KR20200021703A (ko) * 2018-08-21 2020-03-02 주식회사대한기계 만두 제조 장치
KR102048637B1 (ko) * 2018-08-28 2019-11-25 주식회사 에프시이엔지 만두피 접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536B1 (ko) 만두 제조 장치
JP4698352B2 (ja) 米飯食品成形装置
EP2947993B1 (en) Feeder device for feeding a food product in a machine for making filled pasta and machine for making filled pasta comprising such a feeder device
EP0715814B1 (en) A method and equipment for producing cereal aggregates on an industrial scale
CN105996092B (zh) 一种压片机
MX2014010001A (es) Molde ultrasonico giratorio.
CA1212866A (en)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two-component snack
KR20140013128A (ko) 만두 제조 장치
JP2007074978A (ja) 粉振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米飯食品成形装置
US2886927A (en) Cupping and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ragile food products
JP6359692B2 (ja) 棒状食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包被食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US20180092367A1 (en) Variable contoured rounding bar,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TWI688339B (zh) 食品材料排出裝置及其運轉方法、包餡食品製造裝置
CN209234789U (zh) 春卷包制机
US2595305A (en) Rolling, stamping, and cutting machine for dough
US2669378A (en) Machine for packing a predetermined weight of bulk product
US3915080A (en) Multipoint product filling machine
JP3814686B2 (ja) 米飯食品成形装置
US1010174A (en) Confectionery-machine.
CN203740189U (zh) 包装纸切送装置
JP2587378B2 (ja) ワンタンの成形型および連続成形装置
RU2162638C1 (ru) Клипсатор
US3107393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fabricating omicron-rings
US2643495A (en) Apparatus for cutting and impressing substances
US2821958A (en) Cake ic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