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862A - 벌룬 카테터 - Google Patents
벌룬 카테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20862A KR20200020862A KR1020207001829A KR20207001829A KR20200020862A KR 20200020862 A KR20200020862 A KR 20200020862A KR 1020207001829 A KR1020207001829 A KR 1020207001829A KR 20207001829 A KR20207001829 A KR 20207001829A KR 20200020862 A KR20200020862 A KR 202000208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lloon
- tip
- catheter shaft
- catheter
- reg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4—Mean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inflation or def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4—Balloon catheters used for angioplas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61M25/1036—Making parts for balloon catheter systems, e.g. shafts or distal e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61M25/1038—Wrapping or folding devices for use with balloon cathe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4—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two or more concentrically arranged tubes for forming a concentric catheter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61M2025/1004—Balloons with folds, e.g. folded or multifold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6—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guide wire lumens outside the main shaft, i.e. the guide wire lumen is within or on the surface of the ballo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7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radio-opaque markers in the region of the ballo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84—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features for increasing the shape stability, the reproducibility or for limiting expansion, e.g. containments, wrapped around fibres, yarns or stra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balloons for removing solid matters, e.g. by grasping or scraping plaque, thrombus or other matters that obstruct the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벌룬 카테터는, 기단으로부터 선단으로 연장되는 카테터 샤프트(2)와, 카테터 샤프트(2)에 접속되어, 팽창 가능한 팽창 영역(33)을 갖는 벌룬(3)과, 팽창 영역(33)보다도 선단측에 위치하는 선단부와 팽창 영역(33)보다도 기단측에 위치하는 기단부(42)를 갖는 선형 부재(4)이며, 선단부와 기단부(42) 중 적어도 한쪽이 카테터 샤프트(2)의 연신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선형 부재(4)와, 선단부 및 기단부(42) 중 연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벌룬(3)의 팽창 영역(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 가능하고, 카테터 샤프트(2)에 일 부분이 접합된 제1 가압 부재(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벌룬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혈관이 협착된 개소를 확장하는 치료에 사용되는 벌룬 카테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은, 카테터 튜브, 벌룬, 고정 우산형부, 및 3개의 선형 부재를 구비한 벌룬 카테터를 개시한다. 카테터 튜브(「카테터 샤프트」라 칭해지는 경우도 있음)는 내측 튜브 및 외측 튜브를 갖는다. 벌룬은 외측 튜브 및 내측 튜브에 접합된다. 벌룬은, 압축 유체가 공급된 경우에 팽창한다. 고정 우산형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며, 선단측이 내측 튜브의 선단에 접합된다. 3개의 선형 부재는 벌룬의 외주측에 배치된다. 3가닥의 선형 부재의 선단측은 고정 우산형부의 기단측에 접합된다. 3가닥의 선형 부재의 기단측은 카테터 튜브의 연신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3가닥의 선형 부재의 기단측과, 외측 튜브에 마련된 스토퍼 사이에, 가압 스프링이 마련된다.
벌룬의 팽창에 따라 3가닥의 선형 부재는, 내측 튜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3가닥의 선형 부재의 기단측은 벌룬측으로 이동하여 가압 스프링을 압축한다. 한편, 벌룬의 수축에 따라 3가닥의 선형 부재는, 내측 튜브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3가닥의 선형 부재의 기단측은, 가압 스프링의 가압력을 받아서 벌룬과 반대측으로 이동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가압 스프링은 외측 튜브에 대하여 접합되어 있지 않으며,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혈관 내에는 스텐트 등의 부재가 유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가압 스프링이 외측 튜브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가압 스프링이 혈관 내에서 스텐트 등에 걸려서 외측 튜브로부터 탈락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락하기 어려운 가압 부재를 구비한 벌룬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기단으로부터 선단으로 연장되는 카테터 샤프트와,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 접속되어, 팽창 가능한 팽창 영역을 갖는 벌룬과, 상기 팽창 영역보다도 상기 선단측에 위치하는 선단부와 상기 팽창 영역보다도 상기 기단측에 위치하는 기단부를 갖는 선형 부재이며, 상기 선단부와 상기 기단부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연신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선형 부재와, 상기 선단부 및 상기 기단부 중 상기 연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상기 벌룬의 상기 팽창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 가능하고,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 일 부분이 접합된 가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벌룬이 팽창한 경우, 선형 부재는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벌룬 카테터는, 혈관이 협착된 개소에 벌룬이 배치된 상태에서 벌룬이 팽창하였을 때에, 혈관이 협착된 개소에 선형 부재를 작용시킬 수 있다. 선형 부재의 선단부 및 기단부 중 연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는 벌룬의 팽창에 따라 벌룬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벌룬 카테터는, 벌룬의 팽창이 선형 부재에 의하여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가압 부재는, 벌룬의 팽창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부를 가압한다. 따라서 벌룬이 팽창한 상태로부터 수축한 상태로 되돌아가는 경우, 선형 부재의 이동부는 가압 부재로부터 받는 가압력에 부응하여, 벌룬의 팽창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벌룬이 수축한 상태에서 선형 부재의 휨이 억제된다. 따라서 벌룬 카테터는, 선형 부재의 휨에 따라 크로스어빌리티(통과성)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의 일 부분은 카테터 샤프트에 접합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혈관 내에 유치된 스텐트 등에 가압 부재가 걸린 경우에도, 카테터 샤프트로부터 가압 부재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기단부여도 된다. 이 경우, 벌룬 카테터는, 선단측의 외경이 가압 부재에 의하여 증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벌룬 카테터는, 혈관이 협착된 개소를 향하여 벌룬을 이동시키는 경우의 크로스어빌리티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형 부재는, 상기 선단부에서 상기 카테터 샤프트 또는 상기 벌룬에 접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선형 부재의 선단부와 카테터 샤프트 또는 벌룬의 사이에,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가 마련되는 경우에 비해, 선단측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벌룬 카테터는, 혈관이 협착된 개소까지 벌룬을 이동시키는 경우의 크로스어빌리티를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이동부보다도 상기 벌룬의 상기 팽창 영역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벌룬 카테터는, 선형 부재의 이동부에 대하여, 벌룬의 팽창 영역측과 반대측의 부분의 외경이 가압 부재에 의하여 증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벌룬 카테터는, 혈관이 협착된 개소까지 벌룬을 이동시키는 경우, 및 혈관으로부터 벌룬을 빼내는 경우의 크로스어빌리티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일부에 권회된 코일 스프링이어도 된다. 이 경우, 벌룬 카테터는, 가압 부재(코일 스프링)에 의한 외경의 증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가압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 대신 통형 수지가 사용된 경우에 비해, 경년 열화에 의한 가압력의 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소선의 단부가, 상기 소선의 상기 단부를 제외한 어느 부분에 접합되어도 된다. 이 경우, 벌룬 카테터는, 코일 스프링의 소선의 단부가 혈관에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소선의 단부는 둥그스름한 형상을 가져도 된다. 이 경우, 벌룬 카테터는, 코일 스프링의 소선의 단부가 혈관에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피복 부재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혈관 내에서 코일 스프링이 혈액에 접촉하는 것이 피복 부재에 의하여 규제되므로, 벌룬 카테터는, 코일 스프링에 혈전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일 부분은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 접합되어도 된다. 이 경우, 가압 부재의 일 부분이 카테터 샤프트에 접합된 벌룬 카테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벌룬 카테터(1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수축 상태에 있어서의 벌룬(3) 및 선형 부재(4)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있어서의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수축 상태에 있어서의 벌룬(3) 및 선형 부재(4)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팽창 상태에 있어서의 벌룬(3) 및 선형 부재(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선에 있어서의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팽창 상태에 있어서의 벌룬(3) 및 선형 부재(4)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벌룬(3)이 확대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1 장착 부재(21A) 근방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벌룬(3)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의 제1 장착 부재(21A) 근방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1 가압 부재(5)의 소선(5A)의 단부(5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변형예에 있어서 제1 가압 부재(5)의 소선(5A)의 단부(5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는 수축 상태에 있어서의 벌룬(3) 및 선형 부재(4)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있어서의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수축 상태에 있어서의 벌룬(3) 및 선형 부재(4)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팽창 상태에 있어서의 벌룬(3) 및 선형 부재(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선에 있어서의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팽창 상태에 있어서의 벌룬(3) 및 선형 부재(4)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벌룬(3)이 확대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1 장착 부재(21A) 근방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벌룬(3)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의 제1 장착 부재(21A) 근방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1 가압 부재(5)의 소선(5A)의 단부(5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변형예에 있어서 제1 가압 부재(5)의 소선(5A)의 단부(5B)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룬 카테터(10)는 카테터 샤프트(2), 벌룬(3) 및 선형 부재(4A, 4B, 4C)(도 3 등 참조. 이하, 총칭하여 「선형 부재(4)」라 함)를 갖는다. 벌룬(3)은 카테터 샤프트(2)의 일방측의 단부에 접속된다. 선형 부재(4)는, 팽창한 상태의 벌룬(3)의 외측에 배치된다. 벌룬 카테터(10)는, 카테터 샤프트(2)의 타방측의 단부에 허브(6)가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허브(6)는 카테터 샤프트(2)를 통하여 벌룬(3)에 압축 유체를 공급 가능하다. 이하, 카테터 샤프트(2)의 양단 중, 일방측의 단을 「선단」이라 한다. 카테터 샤프트(2)의 양단 중, 타방측의 단을 「기단」이라 한다. 카테터 샤프트(2)를 따라 연장되는 방향을 「연신 방향」이라 한다.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카테터 샤프트(2)의 단면 중심에 근접하는 측을 「내측」이라 하고, 카테터 샤프트(2)의 단면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을 「외측」이라 한다.
<카테터 샤프트(2)>
도 4,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2)는 외측 튜브(21) 및 내측 튜브(22)를 갖는다. 외측 튜브(21) 및 내측 튜브(22)는 각각, 가요성을 갖는 관형 부재이다. 외측 튜브(21)는, 내측의 면인 내면(212)으로 둘러싸인 공간(이하, 「내강(213)」이라 함)을 갖는다. 내측 튜브(22)는, 내측의 면(이하, 「내면(222)」이라 함)으로 둘러싸인 공간(이하, 「내강(223)」이라 함)을 갖는다. 외측 튜브(21) 및 내측 튜브(22)는 폴리아미드계 수지에 의하여 형성된다. 외측 튜브(21)의 내경은 내측 튜브(22)의 외경보다도 크다.
내측 튜브(22)는, 선단측의 소정 부분을 제외하고 외측 튜브(21)의 내강(213) 내에 배치된다. 내측 튜브(22)의 선단측의 소정 부분은 외측 튜브(21)의 선단측의 단(이하, 「선단(211)」이라 함)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이 때문에 내측 튜브(22)의 선단측의 단(이하, 「선단(221)」이라 함)은 외측 튜브(21)의 선단(211)보다도 선단측에 배치된다. 이하, 내측 튜브(22)의 선단측의 소정 부분을 「돌출 부분(225)」이라 한다. 내측 튜브(22)의 돌출 부분(225)에 방사선 불투과 마커(이하, 단순히 「마커」라 함)(22A, 22B)가 장착된다. 마커(22A, 22B)는 백금과 이리듐의 합금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마커(22A, 22B)는, 상기 재료로 형성된 원통 부재가 내측 튜브(22)의 돌출 부분(225)에 코오킹됨으로써 내측 튜브(22)의 외주면(이하, 「외면(224)」이라 함)에 고정된다. 마커(22A, 22B)는 연신 방향에 있어서 소정 길이를 갖는다. 마커(22A, 22B)는 방사선을 투과시키지 않는다. 마커(22A)는 마커(22B)보다도 선단측에 배치된다. 마커(22A, 22B)는 연신 방향으로 이격된다.
도 2, 도 4, 도 5,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튜브(21)의 외주면(이하, 「외면(214)」이라 함) 중, 선단(211)보다도 기단측의 부분에 제1 장착 부재(21A)가 장착된다. 제1 장착 부재(21A)는 원통형을 갖는다. 제1 장착 부재(21A)는 연신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제1 장착 부재(21A)의 내경은 외측 튜브(21)의 외경보다도 크다. 제1 장착 부재(21A)의 재료로서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이용된다.
도 4,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튜브(21)의 내면(212)과 내측 튜브(22)의 외면(224) 사이의 공간에는, 허브(6)(도 1 참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유체가 통류된다. 벌룬(3)은 압축 유체의 공급에 따라 팽창한다(도 5 내지 도 7 참조). 내측 튜브(22)의 내강(223)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 관통된다.
<벌룬(3)>
벌룬(3)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유체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측으로 수축한다. 한편, 벌룬(3)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유체가 공급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팽창한다. 벌룬(3)은 폴리아미드계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4, 도 5,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룬(3)은 기단측 레그부(31), 기단측 콘 영역(32), 팽창 영역(33), 선단측 콘 영역(34) 및 선단측 레그부(35)를 갖는다. 기단측 레그부(31), 기단측 콘 영역(32), 팽창 영역(33), 선단측 콘 영역(34) 및 선단측 레그부(35)는, 연신 방향을 따라 벌룬(3)을 5분할한 각각의 부분에 대응한다. 팽창 영역(33)의 연신 방향의 길이는, 기단측 레그부(31), 기단측 콘 영역(32), 선단측 콘 영역(34) 및 선단측 레그부(35)의 각각의 연신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다.
도 4,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측 레그부(31)는 외측 튜브(21)의 외면(214) 중, 선단(211)보다도 기단측이고, 또한 제1 장착 부재(21A)가 장착되는 부분보다도 선단측의 부분에 열용착에 의하여 접속된다. 기단측 콘 영역(32)은 기단측 레그부(31)에 대하여 선단측에 인접한다. 팽창 영역(33)은 기단측 콘 영역(32)에 대하여 선단측에 인접한다. 선단측 콘 영역(34)은 팽창 영역(33)에 대하여 선단측에 인접한다. 선단측 레그부(35)는 선단측 콘 영역(34)에 대하여 선단측에 인접한다. 선단측 레그부(35)는, 내측 튜브(22)의 돌출 부분(225)의 외면(224) 중, 선단(221)보다도 기단측의 부분에 열용착에 의하여 접속된다. 기단측 레그부(31), 기단측 콘 영역(32), 팽창 영역(33), 선단측 콘 영역(34) 및 선단측 레그부(35)는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차례로 나열된다. 기단측 콘 영역(32), 팽창 영역(33), 선단측 콘 영역(34) 및 선단측 레그부(35)는 내측 튜브(22)의 돌출 부분(225)을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룬(3)은 3매 블레이드식 벌룬이다. 벌룬(3)은 수축한 상태에서 3매의 블레이드를 형성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룬(3)은,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블레이드(3A, 3B, 3C)가 형성되도록 절첩된다. 블레이드(3A, 3B, 3C)의 각각은 내측 튜브(22)의 돌출 부분(225) 주위에 감긴다. 이 상태에서 블레이드(3A)는 후술하는 선형 부재(4A)를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블레이드(3B)는 후술하는 선형 부재(4B)를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블레이드(3C)는 후술하는 선형 부재(4C)를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블레이드(3A, 3B, 3C)는 「플랩」「윙」이라고도 칭해진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팽창한 상태의 벌룬(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룬(3)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다. 도 5,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측 콘 영역(32)은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기단측 콘 영역(32)은,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또한 직선적으로 직경이 커진다. 팽창 영역(33)은 연신 방향의 전역에 걸쳐 동일 직경으로 된다. 선단측 콘 영역(34)은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선단측 콘 영역(34)은,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또한 직선적으로 직경이 작아진다. 즉, 벌룬(3)의 단면의 직경은, 기단측 콘 영역(32), 팽창 영역(33) 및 선단측 콘 영역(34) 간에서 단계적으로 변화된다. 팽창 영역(33)의 외형은 벌룬(3)에 있어서 최대로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 영역(33)의 선단측의 경계, 달리 말하면 팽창 영역(33)과 선단측 콘 영역(34)의 경계의 위치는, 연신 방향에 있어서 마커(22A)의 선단측의 단부의 위치 P11과 일치한다. 팽창 영역(33)의 기단측의 경계, 달리 말하면 팽창 영역(33)과 기단측 콘 영역(32)의 경계의 위치는, 연신 방향에 있어서 마커(22B)의 기단측의 단부의 위치 P21과 일치한다.
<선형 부재(4)>
도 4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선형 부재(4)에 대하여 설명한다. 선형 부재(4)는 모노필라멘트형 탄성체이다. 선형 부재(4)는 굽힘 변형에 대하여 복원력을 갖는다. 선형 부재(4)는 폴리아미드계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선형 부재(4)는 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단면이란, 선형 부재(4)의 연신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이다. 선형 부재(4A, 4B, 4C)는 동일 형상이다. 선형 부재(4)는 연신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 4, 도 5,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형 부재(4)의 선단측의 단부(이하, 「선단부(41)」라 함)는 벌룬(3)의 팽창 영역(33)보다도 선단측, 보다 상세하게는 벌룬(3)의 선단측 레그부(35)의 외주면에 열용착에 의하여 접속된다. 선형 부재(4A, 4B, 4C)의 각각의 선단부(41)는, 벌룬(3)의 선단측 레그부(35)의 외주면을 둘레 방향으로 3등분한 각각의 위치에 접속된다.
선형 부재(4)의 기단측의 단부(이하, 「기단부(42)」이라 함)는 벌룬(3)의 팽창 영역(33)보다도 기단측,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장착 부재(21A)의 외주면에 열용착에 의하여 접속된다. 선형 부재(4A, 4B, 4C)의 각각의 기단부(42)는, 제1 장착 부재(21A)의 외주면을 둘레 방향으로 3등분한 각각의 위치에 접속된다. 선형 부재(4)의 기단부(42)는, 외측 튜브(21)의 외면(214)을 따라 제1 장착 부재(21A)가 연신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선형 부재(4)는, 선단부(41) 및 기단부(42)를 제외한 부분에서 벌룬(3)에 접속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단부(42)가 본 발명의 「이동부」에 상당한다.
선형 부재(4)는 벌룬(3)의 팽창 영역(33)을 건너질러 선단부(41)와 기단부(42)에 걸쳐 배치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룬(3)이 팽창한 상태에 있어서 선형 부재(4A, 4B, 4C)는, 벌룬(3)의 팽창 영역(33)의 외주면을 둘레 방향으로 대략 3등분한 각각의 위치에서 연신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다.
<제1 가압 부재(5)>
도 2, 도 4, 도 5,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룬 카테터(10)는 제1 가압 부재(5)를 구비한다. 제1 가압 부재(5)는 제1 장착 부재(21A)보다도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가압 부재(5)는, 제1 장착 부재(21A)에 접속되는 선형 부재(4)의 기단부(42)에 대하여 벌룬(3)의 팽창 영역(33)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압 부재(5)는, 카테터 샤프트(2)의 외측 튜브(21)에 권회된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제1 가압 부재(5)로서 SUS(스테인리스강)제의 코일 스프링이 사용된다. 제1 가압 부재(5)의 내경은 외측 튜브(21)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다. 제1 가압 부재(5)의 선단측의 일부,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가압 부재(5)를 연신 방향으로 3등분한 각 부분 중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외측 튜브(21)의 외면(214)에 대하여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된다. 접착제로서, 자외선 경화성을 갖는 주지의 의료용 접착제가 사용된다. 이 경우, 제1 가압 부재(5)의 선단측의 일부는 카테터 샤프트(2)에 대하여 연신 방향으로 이동 불능이다. 한편, 제1 가압 부재(5)의 기단측의 부분,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가압 부재(5) 중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카테터 샤프트(2)에 대하여 연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제1 가압 부재(5)는,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 탄성 변형 가능하다.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압 부재(5)의 기단측의 단부는 제1 장착 부재(21A)의 선단측의 단부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다. 제1 가압 부재(5)는, 기단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장착 부재(21A)를 가압한다. 이 때문에, 제1 장착 부재(21A)에 접속된 선형 부재(4)의 기단부(42)는 제1 가압 부재(5)에 의하여, 벌룬(3)의 팽창 영역(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제1 가압 부재(5)는 피복 부재(50)에 의하여 외측으로부터 덮인다. 피복 부재(50)는 수지제의 통형 부재이다. 피복 부재(50)는 제1 가압 부재(5)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밀착된다. 이 때문에 제1 가압 부재(5) 전체는 노출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압 부재(5)의 소선(素線)(5A)의 단부(5B)는, 선단측 및 기단측 모두, 인접하는 소선(5A)의 일부에 용접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소선(5A)의 단부(5B)의 코너는, 각지지 않고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벌룬(3)의 팽창/수축에 수반하는 선형 부재(4)의 동작>
허브(6)로부터 압축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벌룬(3)이 팽창하는 경우의, 선형 부재(4)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벌룬(3)의 팽창에 수반하여 선형 부재(4)는, 외측을 향하는 방향의 힘을 벌룬(3)으로부터 받는다. 선형 부재(4)는 외측으로 이동하고자 한다(도 7 참조). 선형 부재(4)의 선단부(41)는 벌룬(3)의 선단측 레그부(35)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형 부재(4)의 기단부(42)에는, 벌룬(3)의 팽창 영역(33)에 근접하는 방향(선단측을 향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 힘에 의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형 부재(4)의 기단부(42)에 접속된 제1 장착 부재(21A)는 연신 방향을 따라 선단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선형 부재(4)의 중앙 부분은 외측으로 이동하고 선형 부재(4)의 기단부(42)는 선단측으로 이동한다. 선형 부재(4)의 중앙 부분은, 선형 부재(4) 중 기단부(42)와 선단부(41) 사이의 부분이다. 또한 제1 장착 부재(21A)의 선단측에는 제1 가압 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압 부재(5)는, 벌룬(3)의 팽창 영역(33)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향하는 방향(기단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장착 부재(21A)를 가압한다. 구체적으로는, 벌룬(3)이 완전히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제1 가압 부재(5)는 제1 장착 부재(21A)를 기단측을 향하여 가압한다. 이 때문에, 벌룬(3)의 팽창 시, 제1 장착 부재(21A)는, 제1 가압 부재(5)에 의한, 기단측을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거슬러 선단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팽창한 상태의 벌룬(3)으로부터 압축 유체가 배출됨에 따라 벌룬(3)이 수축하는 경우의, 선형 부재(4)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벌룬(3)이 수축하는 경우, 선형 부재(4)에 대하여 작용하는, 외측을 향하는 방향의 힘은 약화된다. 이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형 부재(4)의 기단부(42)에 접속된 제1 장착 부재(21A)는, 제1 가압 부재(5)로부터 받는, 기단측을 향하는 쪽의 가압력에 의하여 기단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선형 부재(4)는 내측 튜브(22)의 돌출 부분(225)에 접근한다. 선형 부재(4)의 휨은, 제1 가압 부재(5)의 가압력에 부응하여 제1 장착 부재(21A)가 기단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억제된다. 선형 부재(4A)는 블레이드(3A)에 의하여 외측으로부터 덮인다. 선형 부재(4B)는 블레이드(3B)에 의하여 외측으로부터 덮인다. 선형 부재(4C)는 블레이드(3C)에 의하여 외측으로부터 덮인다(도 3 참조).
<실시 형태의 주된 작용, 효과>
벌룬(3)의 팽창 영역(33)이 팽창한 경우, 선형 부재(4)는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벌룬 카테터(10)는, 혈관이 협착된 개소에 벌룬(3)이 배치된 상태에서 팽창 영역(33)이 팽창하였을 때에, 혈관이 협착된 개소에 선형 부재(4)를 작용시킬 수 있다. 선형 부재(4)의 기단부(42)는, 연신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장착 부재(21A)에 접속된다. 선형 부재(4)의 기단부(42)는 벌룬(3)의 팽창에 따라 벌룬(3)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벌룬 카테터(10)는, 벌룬(3)의 팽창이 선형 부재(4)에 의하여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5)는, 벌룬(3)의 팽창 영역(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장착 부재(21A)를 가압한다. 따라서 벌룬(3)이 팽창한 상태로부터 수축한 상태로 되돌아가는 경우, 제1 장착 부재(21A)에 접속되는 선형 부재(4)의 기단부(42)는 제1 가압 부재(5)로부터 받는 가압력에 부응하여, 연신 방향을 따라 벌룬(3)의 팽창 영역(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벌룬(3)이 수축한 상태에서 선형 부재(4)가 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벌룬 카테터(10)는, 벌룬(3)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선형 부재(4)의 휨에 따라 크로스어빌리티(통과성)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5)가 제1 장착 부재(21A)를 기단측을 향하여 가압함으로써, 선형 부재(4) 중, 제1 장착 부재(21A)에 접속되는 기단부(42)는 연신 방향을 따라 기단측으로 이동한다. 선형 부재(4)의 중앙 부분은 카테터 샤프트(2)에 근접하도록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선형 부재(4)는 벌룬(3)을 카테터 샤프트(2)를 향하여 누른다. 즉, 벌룬(3)이 수축하는 경우, 선형 부재(4)는 제1 가압 부재(5)와 협동하여, 벌룬(3)이 수축하는 것을 지원한다. 그 때문에 벌룬 카테터(10)는, 제1 가압 부재(5)가 마련되지 않는 형태에 비해 벌룬(3)을 보다 작게 수축시킬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5)의 선단측의 일부는, 카테터 샤프트(2) 중, 외측 튜브(21)의 외면(214)에 접합된다. 예를 들어 카테터 샤프트(2) 중, 외측 튜브(21)의 외면(214)에 마련된 스토퍼에 의하여 제1 가압 부재(5)가 카테터 샤프트(2)에 보유 지지되는 경우, 벌룬 카테터(10)의 강성은 스토퍼의 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도 커진다. 벌룬 카테터(10)에 있어서, 연신 방향의 강성 변화가 커질수록 꼬임이나 비틀림 등(킹크)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에 비해, 벌룬 카테터(10)에서는, 제1 가압 부재(5)는 카테터 샤프트(2)에 직접 접합된다. 이 때문에 벌룬 카테터(10)는 연신 방향의 강성 변화의 정도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벌룬 카테터(10)는, 연신 방향의 강성 변화에 기초하는 킹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5)의 일부가 외측 튜브(21)의 외면(214)에 접합되어 있으므로, 제1 가압 부재(5)가, 혈관 내에 배치된 스텐트 등에 걸린 경우에도, 카테터 샤프트(2)로부터 제1 가압 부재(5)가 혈관 내에서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선형 부재(4)의 기단부(42)가 접속되는 제1 장착 부재(21A)는 벌룬(3)의 팽창 영역(33)에 대하여 기단측에 마련된다. 이 경우, 벌룬 카테터(10)는, 선단측의 외경이 제1 장착 부재(21A)에 의하여 증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벌룬 카테터(10)는, 혈관이 협착된 개소를 향하여 벌룬(3)을 이동시키는 경우의 크로스어빌리티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선형 부재(4)의 선단부(41)는 벌룬(3)의 선단측 레그부(35)의 외주면에 접속된다. 달리 말하면, 선형 부재(4)의 선단부(41)는 벌룬(3)의 선단측 레그부(35)를 통하여 카테터 샤프트(2)에 접속된다. 이에 대하여, 벌룬(3)의 팽창 또는 수축 시에 있어서 선형 부재(4)가 이동하기 쉽도록 선형 부재(4)의 선단부(41)와 카테터 샤프트(2) 사이에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를 개재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벌룬 카테터(10)의 선단측의 외경이 커져 크로스어빌리티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해, 벌룬 카테터(10)에 있어서, 선형 부재(4)의 선단부(41)는 벌룬(3)을 통하여 카테터 샤프트(2)에 직접 접속된다. 따라서 벌룬 카테터(10)는 선단측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벌룬 카테터(10)는, 혈관이 협착된 개소까지 벌룬(3)을 이동시키는 경우의 크로스어빌리티를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5)는 제1 장착 부재(21A)보다도 선단측, 달리 말하면, 제1 장착 부재(21A)에 접속되는 선형 부재(4)의 기단부(42)에 대하여 벌룬(3)의 팽창 영역(33)측에 마련된다. 이 경우, 벌룬 카테터(10)는 제1 장착 부재(21A)보다도 기단측, 달리 말하면, 선형 부재(4)의 기단부(42)에 대하여, 벌룬(3)의 팽창 영역(33)측과 반대측의 부분의 외경이 제1 가압 부재(5)에 의하여 증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벌룬 카테터(10)는, 혈관이 협착된 개소까지 벌룬을 이동시키는 경우, 및 혈관으로부터 벌룬을 빼내는 경우의 크로스어빌리티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5)는, 카테터 샤프트(2)의 외측 튜브(21)의 일부에 권회된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이 경우, 벌룬 카테터(10)는, 제1 가압 부재(5)가 마련되는 것에 의한 외경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가압 부재(5)로서 코일 스프링 대신 통형 수지가 사용된 경우에 비해, 경년 열화에 의한 가압력의 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5)의 소선(5A)의 단부(5B)는, 인접하는 소선(5A)의 일부에 용접된다. 이 때문에 소선(5A)의 단부(5B)의 코너는, 각지지 않고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된다. 이 경우, 벌룬 카테터(10)는, 소선(5A)의 단부(5B)가 혈관에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5)는 피복 부재(50)에 의하여 외측으로부터 덮인다. 이 경우, 혈관 내에서 제1 가압 부재(5)가 혈액에 접촉하는 것이 피복 부재(50)에 의하여 규제된다. 따라서 벌룬 카테터(10)는, 제1 가압 부재(5)에 혈전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5)의 선단측의 일부는 외측 튜브(21)의 외면(214)에 대하여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된다. 이 경우, 제1 가압 부재(5)의 일 부분이 카테터 샤프트(2)에 접합된 벌룬 카테터(1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팽창 영역(33)의 선단측의 경계의 위치는, 연신 방향에 있어서 마커(22A)의 선단측의 단부의 위치 P11과 일치하였다. 팽창 영역(33)의 기단측의 경계의 위치는, 연신 방향에 있어서 마커(22B)의 기단측의 단부의 위치 P21과 일치하였다. 팽창 영역(33)의 선단측의 경계의 위치와, 마커(22A)의 선단측의 위치 P11는, 연신 방향에 있어서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팽창 영역(33)의 선단측의 경계의 위치는 연신 방향에 있어서, 마커(22A)의 선단측의 단부의 위치 P11과 기단측의 단부의 위치 P12 사이 중 어느 위치와 일치해도 된다. 팽창 영역(33)의 기단측의 경계의 위치는, 마커(22B)의 기단측의 위치 P21과 연신 방향에 있어서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팽창 영역(33)의 기단측의 경계의 위치는 연신 방향에 있어서, 마커(22B)의 기단측의 단부의 위치 P21과 선단측의 단부의 위치 P22 사이 중 어느 위치와 일치해도 된다. 마커(22A)와 마커(22B)의 위치는, 팽창 영역(33)의 선단측의 경계의 위치와, 팽창 영역(33)의 기단측의 경계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고 있으면 된다. 마커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마커의 수가 하나인 경우, 마커는, 팽창 영역(33)의 중앙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마커(22A, 22B)는, 방사선 불투과성을 갖는 재료가 혼합된 수지제여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팽창한 상태의 벌룬(3)의 기단측 콘 영역(32)과 팽창 영역(33)의 경계 부분, 및 팽창 영역(33)과 선단측 콘 영역(34)의 경계 부분은 각각 만곡되어도 된다. 이 경우, 각각의 경계의 위치는, 예를 들어 각각의 만곡된 경계 부분에 접하는 복수의 가상 평면을 정의하였을 때에, 복수의 가상 평면 중, 연신 방향과 이루는 각도의 예각이 45도인 가상 평면이 접하는 경계 부분의 위치를 각각의 경계의 위치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단측 콘 영역(32)과 선단측 콘 영역(34)은 각각,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직경이 변화되는 영역이었다. 그러나 기단측 콘 영역(32)과 선단측 콘 영역(34)은 각각,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곡선적으로 직경이 변화되는 영역이어도 된다. 기단측 콘 영역(32)과 선단측 콘 영역(34) 중, 한쪽이 곡선적으로 직경이 변화되는 영역이고 다른 쪽이 직선적으로 직경이 변화되는 영역이어도 된다. 벌룬(3)의 두께는 연신 방향을 따라 변화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기단측 콘 영역(32)과 선단측 콘 영역(34)의 두께는 각각, 팽창 영역(33)을 향하여 점차 커져도 된다. 기단측 콘 영역(32)과 선단측 콘 영역(34)에서 두께의 증가도는 상이해도 된다. 기단측 콘 영역(32)과 선단측 콘 영역(34) 중 어느 한쪽의 두께만이 변화되어도 된다. 팽창 영역(33)의 직경은 연신 방향을 따라 변화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팽창 영역(33)의 직경은, 연신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를 향하여 커져도 되고 작아져도 된다. 팽창 영역(33)의 두께는, 연신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를 향하여 커져도 되고 작아져도 된다. 벌룬(3)은,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선형 부재(4)는, 연신 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부재였다. 선형 부재(4)의 형상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선형 부재(4)는, 연신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부재여도 된다. 선형 부재(4)는 삼각형 이외의 단면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선형 부재(4)는 원형의 단면을 가져도 된다. 선형 부재(4)의 수는 3개 이외여도 된다. 선형 부재(4)는 탄성체가 아니어도 된다. 선형 부재(4)는 금속제의 부재여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벌룬 카테터(10)의 제1 가압 부재(5)는 인장 코일 스프링이어도 된다. 인장 코일 스프링은 제1 장착 부재(21A)보다도 기단측, 달리 말하면, 제1 장착 부재(21A)에 접속되는 선형 부재(4)의 기단부(42)보다도 기단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벌룬 카테터(10)는 내측 튜브(22)의 돌출 부분(225)의 선단부에 제2 장착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2 장착 부재는, 내측 튜브(22)의 외면(224)을 따라 연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도 된다. 선형 부재(4)의 선단부(41)는 제2 장착 부재에 접속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선형 부재(4)의 선단부(41)을 연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해도 된다. 벌룬(3)의 팽창 영역(33)측과 반대측을 향하여 제2 장착 부재를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가 마련되어도 된다. 제2 가압 부재는, 제2 장착 부재에 접속되는 선형 부재(4)의 선단부(41)에 대하여 벌룬(3)의 팽창 영역(33)측에 마련된 압축 코일 스프링이어도 되고, 제2 장착 부재에 접속되는 선형 부재(4)의 선단부(41)에 대하여 벌룬(3)의 팽창 영역(33)과 반대측에 마련된 인장 코일 스프링이어도 된다. 벌룬 카테터(10)는, 제2 장착 부재 및 제2 가압 부재만 갖고 제1 장착 부재(21A) 및 제1 가압 부재(5)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선단부(41)가 본 발명의 「이동부」에 상당한다. 선단부(41)와 기단부(42)가 각각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선단부(41)와 기단부(42)가 본 발명의 「이동부」에 상당한다. 제1 가압 부재(5)는, DLC(Diamond-Like Carbon) 코팅된 코일 스프링이어도 된다. 제1 가압 부재(5) 및 제2 가압 부재는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으며, 장착 부재에 가압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 다른 탄성 부재여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가압 부재(5) 및 제2 가압 부재는, 탄성을 갖는 수지(고무 등)여도 된다.
제1 가압 부재(5)는, 벌룬(3)이 완전히 수축한 상태에서는 제1 장착 부재(21A)를 기단측으로 가압하지 않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벌룬(3)이 완전히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제1 가압 부재(5)는, 제1 장착 부재(21A)에 접촉하지만 가압하지 않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벌룬(3)이 완전히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제1 가압 부재(5)는, 제1 장착 부재(21A)에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가압 부재(5)는, 벌룬(3)의 팽창에 따라 제1 장착 부재(21A)가 선단측을 향하여 소정의 거리 이동하였을 때에 제1 장착 부재(21A)를 기단측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1 가압 부재(5)의 기단부와 제1 장착 부재(21A)의 선단부는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선형 부재(4)의 선단부(41)는, 카테터 샤프트(2)의 내측 튜브(22) 중, 벌룬(3)의 선단측 레그부(35)가 접속되는 부분보다도 선단측의 부분에 접속되어도 된다. 달리 말하면 선형 부재(4)의 선단부(41)는 카테터 샤프트(2)에 직접 접속되어도 된다. 카테터 샤프트(2)는, 내측 튜브(22) 선단에 접합된 선단 칩을 구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선단 칩은 내측 튜브(22)보다도 유연한 부재이다. 선단 칩은 내측 튜브(22)의 선단(221)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선단 칩에는, 내측 튜브(22)의 내강(223)과 연통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 칩의 외경은 내측 튜브(22)의 외경과 대략 동등해도 되고, 선단을 향하여 작아져도 된다. 내측 튜브(22)와 선단 칩의 접합부는, 벌룬(3)의 선단측 레그부(35)보다도 기단측에 위치해도 되고 선단측에 위치해도 된다. 내측 튜브(22)와 선단 칩의 접합부가 선단측 레그부(35)보다도 선단측에 위치하는 경우, 선단측 레그부(35)는 내측 튜브(22)와 선단 칩의 접합부의 외면에 접합되어도 된다. 선형 부재(4)의 선단부(41)는 선단 칩의 외면에 접합되어도 된다.
제1 가압 부재(5)의 소선(5A)의 단부(5B)는, 인접하는 소선(5A)의 일부에 용접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압 부재(5)의 소선(5A)의 단부(5B)에 반구체형의 구체부(5C)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부(5C)는 소선(5A)의 단부(5B)를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소선(5A)의 단부(5B)가 혈관에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 부재(5)의 소선(5A)의 단부(5B)의 형상은 둥그스름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져 있어도 된다.
피복 부재(50)는 제1 가압 부재(5)의 전체를 덮어도 되고 제1 가압 부재(5)의 일부를 덮어도 된다. 피복 부재(50)는, 나선형 슬릿이 형성된 통형 부재여도 된다.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피복 부재(50)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의 강성 변화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벌룬 카테터(10)는 피복 부재(50)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제1 가압 부재(5)의 선단측의 일부는,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카테터 샤프트(2)에 접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가압 부재(5)의 선단부의 일부는, 카테터 샤프트(2)의 외측 튜브(21)에 코오킹됨으로써 접합되어도 된다. 제1 가압 부재(5)가 외측 튜브(21)에 접합되는 부분은, 제1 가압 부재(5)가 3등분된 각 부분 중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아니어도 된다. 제1 가압 부재(5)는, 외측 튜브(21)와의 접합 부분과 제1 장착 부재(21A) 사이에, 제1 장착 부재(21A)를 기단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 부분을 구비하면 된다. 예를 들어 제1 가압 부재(5) 중, 연신 방향에 있어서 중앙 부분이 외측 튜브(21)와 접합되어도 된다. 제1 가압 부재(5)는 복수의 부분에서 외측 튜브(21)와 접합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튜브(21) 및 내측 튜브(22)를 갖는 카테터 샤프트(2)를 예로 들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테터 샤프트(2)는 외측 튜브(21) 및 내측 튜브(22)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카테터 샤프트(2)는, 가요성을 갖는 하나의 튜브만을 갖고 있어도 된다.
Claims (9)
- 기단으로부터 선단으로 연장되는 카테터 샤프트와,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 접속되어, 팽창 가능한 팽창 영역을 갖는 벌룬과,
상기 팽창 영역보다도 상기 선단측에 위치하는 선단부와 상기 팽창 영역보다도 상기 기단측에 위치하는 기단부를 갖는 선형 부재이며, 상기 선단부와 상기 기단부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연신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선형 부재와,
상기 선단부 및 상기 기단부 중 상기 연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상기 벌룬의 상기 팽창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 가능하고,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 일 부분이 접합된 가압 부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기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부재는 상기 선단부에서 상기 카테터 샤프트 또는 상기 벌룬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이동부보다도 상기 벌룬의 상기 팽창 영역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일부에 권회된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소선의 단부가, 상기 소선의 상기 단부를 제외한 어느 부분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소선의 단부는 둥그스름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피복 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일 부분은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122767 | 2017-06-23 | ||
JPJP-P-2017-122767 | 2017-06-23 | ||
PCT/JP2018/023413 WO2018235852A1 (ja) | 2017-06-23 | 2018-06-20 | バルーンカテーテル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0862A true KR20200020862A (ko) | 2020-02-26 |
Family
ID=6473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01829A KR20200020862A (ko) | 2017-06-23 | 2018-06-20 | 벌룬 카테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179660A1 (ko) |
EP (1) | EP3643351A4 (ko) |
JP (1) | JP7167020B2 (ko) |
KR (1) | KR20200020862A (ko) |
CN (1) | CN110267702A (ko) |
WO (1) | WO201823585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20375B (zh) * | 2019-06-27 | 2022-09-02 |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 球囊导管及其制作方法 |
WO2021192086A1 (ja) * | 2020-03-25 | 2021-09-30 |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 止血用バルーンカテーテル |
KR20220159941A (ko) * | 2020-03-31 | 2022-12-05 |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 만곡 검출 기능이 있는 베이스 부재, 만곡 검출 시스템, 만곡 검출 기능이 있는 베이스 부재를 구비한 기기 및 벌룬 카테터 |
CN113648516B (zh) * | 2020-05-12 | 2024-04-02 |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 球囊导管及取栓装置 |
CN113877046B (zh) * | 2021-11-18 | 2023-05-12 | 科塞尔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 带有突出件的球囊导管 |
CN114098902B (zh) * | 2021-12-02 | 2023-12-15 | 山东吉威医疗制品有限公司 | 一种丝刀和球囊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29109A1 (ja) | 2010-08-30 | 2012-03-08 | 株式会社グッドマン | 拡張カテーテル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51341A (en) * | 1980-08-15 | 1982-09-28 | Uresil Company | Balloon catheter |
KR20040030423A (ko) * | 2001-08-08 | 2004-04-09 | 가네가후치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확장 카테터 |
US8080026B2 (en) * | 2003-01-21 | 2011-12-20 | Angioscore, Inc. |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hardened vascular lesions |
WO2009009472A1 (en) | 2007-07-09 | 2009-01-15 | Wilson-Cook Medical Inc. | Balloon folding control mechanism |
EP2211966A4 (en) * | 2007-10-16 | 2011-02-23 | Inmotion Medical Ltd | LUMENSONDENGERÄT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FOR |
CA2737272A1 (en) * | 2008-09-22 | 2010-03-25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Biasing a catheter balloon |
US8827952B2 (en) | 2010-12-06 | 2014-09-09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Biasing mechanism for a balloon catheter |
CN202113470U (zh) * | 2011-05-05 | 2012-01-18 | 天健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 带防滑脱功能的药物球囊导管 |
US9345499B2 (en) * | 2011-05-26 | 2016-05-24 | Covidien Lp | Pressure activated foreign body removal system and method of use |
KR20140133553A (ko) * | 2012-03-09 | 2014-11-19 | 클리어스트림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 팽창가능 샤프트를 갖는 풍선 카데터 |
WO2014100030A1 (en) * | 2012-12-18 | 2014-06-26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Drug-eluting angioplasty balloon systems |
JP6442229B2 (ja) * | 2014-10-30 | 2018-12-19 | 株式会社グッドマン | バルーンカテーテル |
ES2802244T3 (es) * | 2015-04-10 | 2021-01-18 | Goodman Co Ltd | Catéter balón |
CN205659247U (zh) * | 2016-04-26 | 2016-10-26 | 业聚医疗器械(深圳)有限公司 | 球囊导管 |
CN106491181B (zh) * | 2017-01-16 | 2019-12-31 |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 一种具有多螺旋结构的血栓取栓装置 |
-
2018
- 2018-06-20 CN CN201880009247.6A patent/CN110267702A/zh active Pending
- 2018-06-20 KR KR1020207001829A patent/KR2020002086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8-06-20 JP JP2019525653A patent/JP7167020B2/ja active Active
- 2018-06-20 WO PCT/JP2018/023413 patent/WO201823585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6-20 EP EP18820775.7A patent/EP3643351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9
- 2019-12-23 US US16/724,897 patent/US20200179660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29109A1 (ja) | 2010-08-30 | 2012-03-08 | 株式会社グッドマン | 拡張カテーテ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179660A1 (en) | 2020-06-11 |
EP3643351A4 (en) | 2021-03-17 |
JPWO2018235852A1 (ja) | 2020-04-30 |
WO2018235852A1 (ja) | 2018-12-27 |
CN110267702A (zh) | 2019-09-20 |
JP7167020B2 (ja) | 2022-11-08 |
EP3643351A1 (en) | 2020-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020862A (ko) | 벌룬 카테터 | |
US20210077790A1 (en) | Balloon Catheter | |
US10426923B2 (en) | Catheter tip assembled with a spring | |
US11033388B2 (en) | Non-occlusive dilation and deployment catheter device | |
US20190167947A1 (en) | Balloon catheter | |
EP3295989B1 (en) | Balloon catheter | |
JP5600745B2 (ja) | 拡張カテーテル | |
CN105960259B (zh) | 组装有弹簧的导管顶端 | |
JP2009528907A (ja) | ステント送達カテーテル | |
US20210138203A1 (en) | Helical guidewires and related systems | |
EP3144028B1 (en) | Balloon catheter | |
JP2023543775A (ja) | 調整可能な管腔並置ステント | |
US20240269441A1 (en) | Balloon For Catheter And Balloon Catheter | |
US10617856B2 (en) | Balloon catheter | |
US20160135949A1 (en) | Valvuloplasty device | |
EP2196174B1 (en) | Process for loading a stent onto a stent delivery system | |
JP6799901B2 (ja) | カテーテル | |
KR20170112977A (ko) | 의료용 디바이스 | |
JP2020116382A (ja) | 拡張用カテーテル | |
JP6368284B2 (ja) | バルーンカテーテル | |
JP6901872B2 (ja) | 拡張用カテーテル | |
JP6982025B2 (ja) | 可撓性カテーテル | |
JP7104185B2 (ja) | スコアリングデバイスおよびスコアリングシステム | |
JP6906883B2 (ja) | バルーンカテーテル | |
WO2024126375A1 (en) | Optimized design of a rolling membrane and a catheter of a rolling membrane cathe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