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672A - 자동차의 요소들의 연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요소들의 연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672A
KR20200020672A KR1020197033866A KR20197033866A KR20200020672A KR 20200020672 A KR20200020672 A KR 20200020672A KR 1020197033866 A KR1020197033866 A KR 1020197033866A KR 20197033866 A KR20197033866 A KR 20197033866A KR 20200020672 A KR20200020672 A KR 20200020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ression
elements
adhesive
cavity
fill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6258B1 (ko
Inventor
필립 웨버
Original Assignee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filed Critical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020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 B29C65/5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between pre-assembled parts
    • B29C65/54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between pre-assembled parts by inj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2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6Connections by glue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3Reactive adhesives, e.g. chemically curing adhesives
    • B29C65/4835Heat cur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3Reactive adhesives, e.g. chemically curing adhesives
    • B29C65/485Multi-component adhesives, i.e. chemically curing as a result of the mixing of said multi-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1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formed by a single dot or dash or by several dots or dashes, i.e. spot joining or 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301Three-dimensional joints, i.e. the joined area being substantially non-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303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joint involving an anchoring effect
    • B29C66/303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joint involving an anchoring effect making use of protrusions or cavities belonging to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3032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joint involving an anchoring effect making use of protrusions or cavities belonging to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making use of cavities belonging to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자동차용 연결된 요소들의 시스템은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를 갖는 제1 요소; 제2 요소로서, 상기 제2 요소의 표면과 상기 제1 요소의 함몰부가 공동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요소에 배열되는 상기 제2 요소; 상기 공동에 대한 접근부를 형성하는 충전 개구; 및 상기 공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하여 상기 제1 요소를 상기 제2 요소에 접착제로 접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요소들의 연결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결된 요소들의 시스템 및 자동차의 요소들을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결을 위해, 예를 들어 압출된 프로파일, 주조물 또는 패널과 같은 요소들은 종종 서로 접착제로 접합된다. 이것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이 접착제는 슬러그(slug) 형태의 접착제로 제1 요소에 도포되고 나서 접합할 제2 요소가 이 접착제의 슬러그에 가해져서 두 요소가 접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알려진 방법의 단점은 한편으로는 접합될 요소를 관리하는 것과 또한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에 비용이 많이 들고 불편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특정 제한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 기술을 사용하면 서로 포개진 요소들을 서로 접합하는 것이 어렵다. 그 이유는 제2 요소의 부착 시, 제1 요소에 도포된 접착제의 슬러그가 벗겨져서 요소들을 서로 접합시키기 원하는 위치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이 기초하는 목적은, 보다 비용 효율적이고 관리하기 쉬운 방식으로 자동차의 요소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연결 요소의 개선된 시스템 및 자동차의 요소들을 연결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먼저 자동차용 연결된 요소들의 시스템으로서, 일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를 갖는 제1 요소; 제2 요소로서, 상기 제2 요소의 표면과 상기 제1 요소의 함몰부가 공동(cavity)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요소 상에 배열되는 제2 요소; 상기 공동에 대한 접근부를 형성하는 충전 개구; 및 상기 공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하여 상기 제1 요소를 상기 제2 요소에 접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용 연결된 요소들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시스템의 장점은 또한 종래 접착제의 슬러그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없는 끼워 넣어지는 요소들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형상에 관계없이 요소들을 연결하는 데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 개념은 요소들이 서로 의도된 위치에 배열될 때까지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요소들을 서로 배열할 때, 이미 도포된 접착제의 슬러그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서, 요소들이 보다 효율적이고 보다 비용 효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다수의 요소가 연결되는 경우, 먼저 모든 요소가 의도된 위치에 놓일 수 있고 이후 접착제가 한 번의 작업으로 모든 공동에 도입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모든 요소가 배열되기 전에는 연결될 모든 요소에 접착제가 개별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없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요소는 프로파일, 주조물 또는 패널형 요소이고, 상기 제2 요소는 프로파일, 주조물 또는 패널형 요소이다.
자동차의 차체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요소들로 구성된다. 이 경우 서로 연결될 이러한 요소들은 상이한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장점은 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시스템이 형상, 재료 또는 생산 방식에 관계없이 광범위한 요소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자동차를 구성하는데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패널형 요소"라는 명칭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요소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요소를 명시적으로 포함한다. 따라서 이 명칭은 단지 요소의 재료가 아닌 형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프로파일"이라는 명칭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산된 요소를 명시적으로 포함한다. 이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압출된 프로파일, 내부 고압 형성 프로파일 또는 압연된 패널형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주조물"이라는 명칭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산된 요소를 명시적으로 포함한다. 이 주조물은 예를 들어, 데드 몰드(dead-mold) 주조물, 잉곳(ingot) 주조물 또는 연속 스트랜드(continuous strand) 주조물에 의해 생성된 요소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요소 및/또는 상기 제2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 플라스틱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개선에서, 상기 제1 요소 및/또는 상기 제2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폴리아마이드, 특히 PA 6.6(나일론)으로 구성된다.
대안적인 바람직한 개선에서, 상기 제1 요소 및/또는 상기 제2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철,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또는 이들 금속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대안적인 바람직한 개선에서, 상기 제1 요소 및/또는 상기 제2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CFRP, GFRP 또는 SMC 그룹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시스템의 장점은 특히 상이한 재료 및 재료의 조합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숄더(shoulder)와 제2 요소 사이의 거리는 최대 1㎜, 바람직하게는 최대 0.8㎜,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0.5㎜,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0.3㎜이다.
숄더와 제2 요소 사이의 이러한 거리는 실질적으로 제1 요소와 제2 요소 사이의 개방 공동 영역에 접착제가 유지되어 의도된 위치에서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장한다. 선택된 거리는 사용된 접착제, 보다 특히 그 점도에 따라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상기 숄더와 상기 제2 요소는 서로 직접 접촉하여, 거리가 0㎜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함몰부 폭은 3㎜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함몰부 깊이는 0.5㎜ 내지 5㎜,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4㎜,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함몰부 길이는 15㎜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50㎜이다.
이러한 크기의 함몰부의 장점은 요소들을 연결하는 시스템의 다른 응용 분야를 커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함몰부는 일정한 단면을 가질 수 있지만,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함몰부는 또한 일정하지 않은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함몰부의 길이, 폭 및 깊이는 형태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충전 개구 아래) 함몰부의 중간에서보다 단부에서 덜 깊은 함몰부를 실현하거나, 또는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타원형 형상을 갖는 함몰부를 실현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물론, 상기 함몰부는 전체 길이에 걸쳐 선형으로 연장될 필요는 없지만, 대신 또한 만곡되거나 또는 다양한 방향 변화를 갖게 만들어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함몰부는 V자형 또는 U자형 또는 각형 또는 반원형 또는 불규칙한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함몰부는 불규칙한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함몰부 베이스는 경사형으로 설계되어, 내부에서 응고된 접착제가 쐐기형 단면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접착제의 쐐기형 단면, 및 대응하여 상보형 형상을 갖게 형성된 함몰부 베이스의 쐐기형 단면은 이 형상에 의해 쐐기 효과가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접합된 요소의 인장 하중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요소는 인장 하중 면에서 제2 요소에 보다 효과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함몰부의 단면은 또한 요소들 사이에 훨씬 더 나은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언더컷(undercut) 또는 다른 형태의 상호 맞물림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함몰부는 분기(branch)를 갖는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함몰부는 주 함몰부 및 상기 주 함몰부에 연결된 측방 함몰부를 갖는다. 상기 제1 요소의 표면에 상기 함몰부 또는 함몰부들을 배열하고 구성하는 것은 상기 제1 요소가 상기 제2 요소에 접합되는 위치에 의존한다. 이를 위해, 서로 별개로 구성된 복수의 함몰부를 갖는 함몰부들이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분기 및/또는 측방 함몰부를 갖는 함몰부들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측방 함몰부는 제1 요소와 제2 요소 사이의 접합 영역을 확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요소 또는 상기 제2 요소는 상기 접착제를 상기 공동에 도입하기 위한 충전 개구를 갖는다.
이러한 종류의 충전 개구의 장점은 접착제가 상기 공동에 직접 도입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개선에서, 상기 충전 개구는 상기 함몰부로 직접 개방된다. 이 경우, 상기 충전 개구는 상기 함몰부의 길이 및/또는 폭의 중심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개구는 또한 상기 함몰부를 갖는 상기 제1 요소 내에 배열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충전 개구는 상기 제2 요소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상기 충전 개구의 배열은 (접착제가 도입되는 상황에서) 요소들이 접근할 수 있는 방식에 의존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충전 개구는 직경이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요소 및 상기 제2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착제가 도입되기 전에 상기 제1 요소 및 상기 제2 요소를 예비 고정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요소들은 일면 또는 양면 기계적 접합 기술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리벳, 용접,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예비로 고정된다.
상기 제2 요소에 대해 상기 제1 요소를 고정시키기 위한 이러한 종류의 요소는 접착제가 응고되거나 및/또는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요소들이 의도된 위치에 유지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요소 및 상기 제2 요소는 프로파일이다. 예를 들어, 이들 프로파일은 크기가 서로 다른 단면을 가져서, 더 작은 프로파일이 더 큰 프로파일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더 작은 또는 더 큰 프로파일에서 선택적으로 함몰부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선택적으로 더 큰 프로파일이 본 발명의 의미에서 제1 요소 또는 제2 요소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요소 및 제2 요소는 각 경우 하나의 프로파일 및 하나의 패널형 요소로 형성된다. 이 경우, 다시, 상기 함몰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패널형 요소에 또는 상기 프로파일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파일은 제1 요소 또는 제2 요소이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요소 및 상기 제2 요소는 각각 주조물 및 프로파일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주조물은 상기 프로파일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다시, 상기 함몰부는 상기 프로파일 또는 상기 주조물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결국 상기 주조물이 본 발명의 의미에서 상기 제1 요소 또는 상기 제2 요소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요소 및 상기 제2 요소는 각각 주조물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주조물 중 하나의 주조물이 제2 주조물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다시, 함몰부는 하나의 주조물 또는 다른 주조물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를 갖는 주조물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요소 또는 제2 요소이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요소 및 제2 요소는 패널형 요소이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함몰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패널형 요소 또는 상기 제2 패널형 요소에 제공될 수 있다. 대응하여, 상기 제1 패널형 요소 또는 상기 제2 패널형 요소는 본 발명의 의미에서 상기 제1 요소 또는 상기 제2 요소이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요소 및 상기 제2 요소는 각각 패널형 요소 및 주조물이다. 예를 들어, U자형 단면을 갖는 2개의 패널형 요소는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접착제로 접합 또는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주조물은 예를 들어 이 공동에 배열될 수 있다. 다시, 상기 함몰부는 상기 패널형 요소 또는 상기 주조물에 배열될 수 있다. 대응하여, 상기 주조물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 상기 제1 요소 또는 상기 제2 요소이다.
2개를 초과하는 요소가 서로 접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시스템의 본질적인 장점은, 임의의 원하는 요소에 함몰부가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형상이 매우 다른 요소들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자동차용 연결된 요소들의 시스템의 다양한 사용을 허용한다.
나아가 처음에 언급된 목적은, 자동차의 요소들을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일 표면에 함몰부를 갖는 제1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제2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요소의 표면과 상기 제1 요소의 함몰부가 공동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요소와 상기 제2 요소를 배열하는 단계; 및 충전 개구를 통해 상기 공동으로 접착제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요소들을 연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연결된 요소들의 시스템과 관련하여 이미 언급된 것과 동일한 장점을 제공한다. 특히, 그 결과, 요소들을 접착제로 접합하는 방법은 보다 비용 효율적이고 더 관리하기 쉽게 만들어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요소의 표면에 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1 요소를 제조하는 동안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함몰부는 이미 생성된 제1 요소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적합한 변형이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개선에서, 상기 함몰부는 형성 동안 엠보싱, 임프레싱, 스탬핑, 가공, 주조 또는 몰딩에 의해 형성된다.
다시, 상기 함몰부를 형성하는 적절한 방법은 여기서 상기 제1 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요소 또는 상기 제2 요소에 충전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개구는 상기 공동에 대한 접근부를 형성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개선에서, 상기 접착제의 경화는 적어도 12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4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60℃의 온도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예로서, 상기 접착제의 경화는 차체의 음극 전기 코팅(cathodic electrocoating: CEC) 후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종류의 오븐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오븐에서 나타나는 온도는 전형적으로 120℃ 내지 220℃이다. 이러한 온도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접착제를 완전히 경화시키는 데에 특히 적합하다. 연결된 요소 및 응고된 접착제를 갖는 차체는 임의의 경우에 코팅 시스템을 완전히 경화시키기 위해 전기 코팅 작업 및 후속 열 작용을 받기 때문에, 접착제를 완전히 경화시키기 위해 전기 코팅 후 오븐에서 이러한 열 작용을 이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공동에 도입 시, 접착제의 온도는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접착제는 0.1㎤/s 내지 5㎤/s, 바람직하게는 0.5㎤/s 내지 4㎤/s, 보다 바람직하게는 1㎤/s 내지 3㎤/s의 체적 흐름률로 공동에 도입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공동에 도입될 때 펌프를 통해 접착제 탱크로부터 운반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공동에 도입될 때 상기 제1 요소 또는 상기 제2 요소의 충전 개구를 통해 운반된다.
상기 제1 요소 또는 상기 제2 요소에 충전 개구를 제공하면 예를 들어 로봇을 사용하여 접착제가 간단한 방식으로 공동에 도입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접착제는 다양하다. 예를 들어, 접착제는 1성분 에폭시 접착제, 2성분 또는 다성분 에폭시 접착제, 2성분 아크릴산 또는 2성분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SikaPower
Figure pct00001
라는 이름으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접착제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제품인 SikaPower
Figure pct00002
-497 및 SikaPower
Figure pct00003
-477R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특정 작업 예에서, SikaFast
Figure pct00004
또는 SikaForce
Figure pct00005
라는 이름으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접착제가 사용된다.
적합한 접착제는 사용되는 제1 요소 및 제2 요소의 재료 및 표면에 따라 및/또는 접착제의 적용 파라미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 및 장점은 작업 예 그리고 개략적인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자동차의 차체의 예시적인 표현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예시적인 제1 요소의 개략도;
도 3은 예시적인 제1 요소 및 제2 요소의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c는 예시적인 제1 요소 및 제2 요소의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예시적인 제1 요소 및 제2 요소의 개략도;
도 6a 및 도 6b는 예시적인 제1 요소 및 제2 요소의 개략도; 및
도 7은 도입 장치의 개략도.
도 1에는 자동차의 차체(1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차체(10)는 예를 들어 기둥(column)(14) 및 크로스 스트럿(cross strut)(12)과 같은 다양한 구조물을 포함한다. 이런 종류 및 다른 종류의 차체(10) 구조물은 적절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특히, 프로파일, 주조물 및 패널형 요소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1 요소(1)의 상세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요소(1)는 그 표면에 함몰부(3)를 갖는다. 제1 요소(1)의 표면은 함몰부(3) 옆에 숄더(6)를 형성한다. 여기서 함몰부(3)는 함몰부 길이(16)를 갖는다.
도 3에는 제1 요소(1) 및 제2 요소(4)의 상세 단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요소(1)는 다시 제1 요소(1)의 표면에 형성된 함몰부(3)를 가진다. 여기서 함몰부(3)는 함몰부 폭(17) 및 함몰부 깊이(18)를 갖는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함몰부(3)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태이다. 다시 함몰부(3) 옆에 숄더(6)가 형성된다.
이어서, 제1 요소(1)의 함몰부(3)와 제2 요소(4) 사이에 공동(5)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제1 요소(1)에 대해 제2 요소(4)가 배열된다.
이 경우, 제1 요소(1)의 숄더(6)와 제2 요소(4)의 표면 사이에는 거리(9)가 존재한다. 도 3에서 이 거리(9)는 보다 효과적인 인식을 위해 과장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 거리(9)는 최대 1㎜이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2 요소(4)는 직경(22)을 갖는 충전 개구(2)를 갖는다. 이 충전 개구(2)를 통해 접착제(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공동(5)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충전 개구는 또한 제1 요소(1)에도 배열될 수 있다. 접근 가능성에 따라, 제1 요소 또는 제2 요소에 충전 개구를 배열하면 장점들이 동반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예시적인 제1 요소(1) 및 예시적인 제2 요소(4)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함몰부(3)는 각 경우에 제1 요소(1)의 일 표면에 배열된다. 각 경우에 이 함몰부(3)와 제2 요소(4) 사이에는 공동(5)이 형성된다.
도 4a에서 예시적인 제1 요소(1)는 V자형 단면을 갖는 함몰부(3)를 갖는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충전 개구(2)는 제2 요소(4)에 배열된다.
도 4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1 요소(1)는 U자형 또는 반원형 단면을 갖는 함몰부(3)를 갖는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충전 개구(2)는 제2 요소(4)에 다시 배열된다.
도 4c에 도시된 제1 요소(1)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함몰부(3)를 갖는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충전 개구(2)는 제1 요소(1)에 배열된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제1 요소(1) 및 제2 요소(4)를 도시하는데, 도 5a는 접합을 위해 배열하기 전의 요소를 도시하고, 도 5b는 접합을 위해 서로 배열된 요소를 도시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요소(1, 4)는 각각 금속 패널의 형태이다. 이 경우, 제1 요소(1)의 함몰부(3)는 엠보싱 또는 스탬핑에 의해 패널 내에 형성되었다.
도 5a에서 구멍(20)이 요소(1,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5b는 이 예에서 나사로 구현되고 구멍(20)을 통해 돌출되는 체결 수단(21)을 도시한다. 이 체결 수단(21)은, 접착제가 충전 개구(2)를 통해 도입되기 전에, 제1 요소(1) 및 제2 요소(4)를 서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6a에는 제1 요소(1)와 제2 요소(4)의 예시적인 조합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1 요소(1)는 만곡된 패널형 요소의 형태를 취하고, 제2 요소(4)는 프로파일의 형태를 취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충전 개구(2)는 제1 요소(1)에 배열된다.
도 6b에는 제1 요소(1)와 제2 요소(4)의 다른 예시적인 조합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요소(1)는 프로파일의 형태를 취하고, 제2 요소(4)는 주조물의 형태를 취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충전 개구(2)는 제2 요소(4)에 배열된다.
도 7에는 제1 요소와 제2 요소(이 도면에서는 명백하지 않음) 사이의 공동에 접착제를 도입하기 위한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펌프(25)는 접착제 탱크(24)로부터 접착제를 제1 요소(1)의 충전 개구(2)를 통해 제1 요소(1)와 제2 요소(4) 사이의 공동으로 운반한다.
제1 요소(1) 및 제2 요소(4)는 체결 수단(21)에 의해 미리 고정되어서, 접착제가 도입될 때 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배열이 변하지 않는다.
1: 제1 요소
2: 충전 개구
3: 함몰부
4: 제2 요소
5: 공동
6: 숄더
9: 숄더와 제2 요소 사이의 거리
10: 차체
12: 크로스 스트럿
14: 기둥
16: 함몰부 길이
17: 함몰부 폭
18: 함몰부 깊이
20: 구멍
21: 체결 수단
22: 충전 개구의 직경
24: 접착제 탱크
25: 펌프

Claims (15)

  1. 자동차용 연결된 요소들의 시스템으로서,
    일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3)를 갖는 제1 요소(1);
    제2 요소(4)로서, 상기 제2 요소(4)의 표면과 상기 제1 요소(3)의 함몰부(3)가 공동(cavity)(5)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요소(1)에 배열되는 상기 제2 요소(4);
    상기 공동(5)에 대한 접근부를 형성하는 충전 개구(2); 및
    상기 공동(5)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하여 상기 제1 요소(1)를 상기 제2 요소(4)에 접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연결된 요소들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1) 및/또는 상기 제2 요소(4)는 패널형 요소, 프로파일 또는 주조물인, 자동차용 연결된 요소들의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1) 및/또는 상기 제2 요소(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 플라스틱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연결된 요소들의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숄더(6)와 제2 요소(4) 사이의 거리(9)는 최대 1㎜인, 자동차용 연결된 요소들의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함몰부 폭(17)은 3㎜ 내지 50㎜이고/이거나 함몰부 깊이(18)는 0.5㎜ 내지 5㎜이고/이거나 함몰부 길이(16)는 15㎜ 내지 500㎜인, 자동차용 연결된 요소들의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1성분 에폭시 접착제, 2성분 또는 다성분 에폭시 접착제, 2성분 아크릴 접착제, 2성분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자동차용 연결된 요소들의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개구(2)는 0.5㎜ 내지 10㎜의 직경(22)을 갖는, 자동차용 연결된 요소들의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3)는 직사각형, V자형, U자형 또는 불규칙한 형상의 단면을 갖는, 자동차용 연결된 요소들의 시스템.
  9. 자동차의 요소들을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일 표면에 함몰부(3)를 갖는 제1 요소(1)를 제공하는 단계;
    제2 요소(4)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요소(4)의 표면과 상기 제1 요소(1)의 함몰부(3)가 공동(5)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요소(1)와 상기 제2 요소(4)를 배열하는 단계;
    상기 공동(5)에 접착제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충전 개구(2)를 통해 상기 공동(5)으로 도입되는, 자동차의 요소들을 연결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1)의 표면에 상기 함몰부(3)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요소들을 연결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3)는 형성 동안 엠보싱 또는 임프레싱 또는 스탬핑에 의해 형성되는, 자동차의 요소들을 연결하는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1) 또는 상기 제2 요소(4)에 충전 개구(2)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개구(2)는 상기 공동(5)에 대한 접근부를 형성하는, 자동차의 요소들을 연결하는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요소들을 연결하는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공동(5)에 도입되는 동안, 10℃ 내지 100℃의 온도를 갖고/갖거나, 상기 접착제는 0.1㎤/s 내지 5㎤/s의 체적 흐름률로 상기 공동(5)에 도입되는, 자동차의 요소들을 연결하는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시스템의 요소(1, 4)로 수행되는, 자동차의 요소들을 연결하는 방법.
KR1020197033866A 2017-06-22 2018-06-11 자동차의 요소들의 연결 KR102556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77312 2017-06-22
EP17177312.0 2017-06-22
PCT/EP2018/065393 WO2018234082A1 (de) 2017-06-22 2018-06-11 Verbindung von elementen in kraftfahrzeu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672A true KR20200020672A (ko) 2020-02-26
KR102556258B1 KR102556258B1 (ko) 2023-07-14

Family

ID=5922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866A KR102556258B1 (ko) 2017-06-22 2018-06-11 자동차의 요소들의 연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99212B2 (ko)
EP (1) EP3642100B1 (ko)
JP (1) JP7159210B2 (ko)
KR (1) KR102556258B1 (ko)
CN (1) CN110785341B (ko)
ES (1) ES2968452T3 (ko)
PL (1) PL3642100T3 (ko)
WO (1) WO201823408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9057A1 (de) * 1999-06-25 2000-12-28 Daimler Chrysler Ag Fahrzeugtragstruktu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005511308A (ja) * 2001-11-30 2005-04-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物品をハイドロフォーミングする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形成された物品
JP2015502419A (ja) * 2011-11-07 2015-01-22 グラコ ミネソタ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溶融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40246A (en) * 1966-08-15 1969-01-15 Pressed Steel Fisher Ltd A method of bonding two workpieces together
BE794882A (fr) * 1972-02-15 1973-05-29 Stewing Albert Gaine de canalisation pour cables et procede pour sa realisation
US3920268A (en) * 1973-02-13 1975-11-18 Albert Stewing Synthetic-resin tube assembly
JPS6147113U (ja) * 1984-08-31 1986-03-29 昭和飛行機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における外装部材の取付構造
US5228259A (en) * 1992-04-29 1993-07-20 Ford Motor Company Space frame connector
DE10260430A1 (de) * 2002-12-21 2004-07-01 Strecker, Bodo Verfahren zum Verkleben von Teilen und für die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zu verwendende Teile
US7360552B2 (en) * 2004-04-23 2008-04-2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Injectable structural adhesive
BRPI0608031A2 (pt) * 2005-02-28 2009-11-03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um conjunto de veìculo de transporte
CN101128355A (zh) * 2005-02-28 2008-02-20 陶氏环球技术公司 粘合元件的方法和用该方法形成的物品
EP1946995A1 (de) 2006-12-22 2008-07-23 Sika Technology AG Verstärkungssystem zur Verstärkung eines Hohlraumes eines Bauelements
US8182025B2 (en) * 2009-04-29 2012-05-22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Method of producing a panel assembly
DE102009029657A1 (de) * 2009-09-22 2011-03-24 Deere & Company, Moline Knotenelement für eine Fahrzeugrahmenstruktur
GB201006478D0 (en) * 2010-04-19 2010-06-02 Zephyros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gng to automobile components
CN102963422B (zh) * 2011-08-30 2016-06-01 福特全球技术公司 具有用于连接不同材料的互锁特征的车辆支撑框架
JP5852556B2 (ja) * 2012-12-28 2016-02-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製造方法及び車両構造体
DE102013218495A1 (de) 2013-09-16 2015-03-19 Henkel Ag & Co. Kgaa Fügeverfahren
JP2016034787A (ja) * 2014-08-01 2016-03-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部材接合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9057A1 (de) * 1999-06-25 2000-12-28 Daimler Chrysler Ag Fahrzeugtragstruktu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005511308A (ja) * 2001-11-30 2005-04-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物品をハイドロフォーミングする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形成された物品
JP2015502419A (ja) * 2011-11-07 2015-01-22 グラコ ミネソタ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溶融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72173A1 (en) 2020-06-04
JP7159210B2 (ja) 2022-10-24
EP3642100B1 (de) 2023-12-13
JP2020524627A (ja) 2020-08-20
EP3642100C0 (de) 2023-12-13
CN110785341B (zh) 2022-09-02
PL3642100T3 (pl) 2024-04-29
ES2968452T3 (es) 2024-05-09
CN110785341A (zh) 2020-02-11
WO2018234082A1 (de) 2018-12-27
EP3642100A1 (de) 2020-04-29
US11299212B2 (en) 2022-04-12
KR102556258B1 (ko)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92155B (zh) 用于连接至少两个板件的方法
EP1908669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raftfahrzeugbauteils
DE102018213456A1 (de) Gestaltungsmerkmale von mit ungleichem Material verstärkten Rohlingen und Stangenpresslingen zum Formen
DE102017100826B3 (de) Achsträger in Hybridbauweise
US9759247B2 (en) Structural component
JP7082625B2 (ja) 自動車の車体要素の接続
DE102010026040A1 (de) Verfahren zum Fügen von zwei Bauelementen
CN106232463A (zh) 纤维塑料复合型材部件与车身框架部件之间的连接配置系统及其制造方法
CN108137100A (zh) 汽车车身外壳
DE19721478B4 (de) Druckfügeverfahren und damit hergestellte Rahmen
DE102012007318A1 (de) Fügen von zwei unterschiedliche Werkstoffe aufweisenden Bauteilen
DE102010013089A1 (de)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Bauteils mit einem metallischen Grundbauteil und Hybridbauteil
DE102006001348A1 (de) Querträger oder Strukturbauteil mit Halte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nd Herstellungsverfahren hierfür
DE102016120355A1 (de) Verbundbauteil für ein Kraftfahrzeug
CN111148682A (zh) 车辆结构部件和用于制造车辆结构部件的方法
DE102009018151A1 (de) Verfahren zum Fügen eines Metallkörpers mit einem Kunststoffkörper
WO2003046390A2 (de)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s einsatzes an einem bauteils aus einem leichtbau-werkstoff
JP2019119147A (ja) 樹脂補強金属部品の製造方法
DE10201105130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Metall-Kunststoff-Verbindung
DE10339350A1 (de) Verfahren zum Umformen von Blechen
KR20200020672A (ko) 자동차의 요소들의 연결
DE10357939B4 (de) Karosseriebauteil und zugehöriges Herstellungsverfahren
CN109963680A (zh) 至少两个构件的复合构件和用于制造形锁合和/或力锁合接合的复合构件的方法
DE102018203647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toffschlüssig gefügten Bauteilverbunds mit wenigstens einem Gussbauteil und Karosserie mit solchem Bauteilverbund
DE102008013506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baute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