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660A - 팬 헤드 어셈블리 및 선풍기 - Google Patents

팬 헤드 어셈블리 및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660A
KR20200018660A KR1020207001483A KR20207001483A KR20200018660A KR 20200018660 A KR20200018660 A KR 20200018660A KR 1020207001483 A KR1020207001483 A KR 1020207001483A KR 20207001483 A KR20207001483 A KR 20207001483A KR 20200018660 A KR20200018660 A KR 20200018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base
swing
spherical surfac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1015B1 (ko
Inventor
융 위
스챵 추이
융챵 우
페이 펑
원쥔 장
쉬성 장
웨이 쉬
웨이량 류
펑시 옌
Original Assignee
지디 미디어 인바이런먼트 어플라이언스즈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디 미디어 인바이런먼트 어플라이언스즈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지디 미디어 인바이런먼트 어플라이언스즈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18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04D25/105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by changing rotor axis direction, e.g. oscillat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damping or preventing mechanical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가전 제품 기술 분야에 적용되고, 팬 헤드 어셈블리 및 선풍기를 개시하며, 여기서, 팬 헤드 어셈블리는 바람 방출 베이스와, 바람 방출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바람 진입 베이스와, 바람 방출 베이스가 바람 진입 베이스에 대해 스윙 운동을 진행하도록 구동시키기 위한 스윙 기구를 포함하되, 스윙 기구는, 바람 진입 베이스 상에 장착된 스윙 구동 모터와, 스윙 구동 모터와 바람 방출 베이스를 동력 전달되게 연결시키는 스윙 전달 페어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바람 방출 베이스는 바람 진입 베이스에 대해 스윙 운동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선풍기 중의 바람 방출 베이스와 바람 진입 베이스가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통상적인 설계의 사고방식을 깨뜨렸다. 바람 방출 베이스는 바람 진입 베이스에 대해 입체적인 스윙 운동을 진행하는 것이므로, 제품이 작동될 경우 멋스러움이 물씬하여, 기존의 선풍기 제품의 동질화가 엄중하고, 차별화된 판매 포인트가 없는 문제점을 잘 해결할 뿐만 아니라, 송풍 영역을 효과적으로 확장시켜, 바람 방향의 회전 출력을 실현하고, 출력되는 바람의 느낌이 보다 부드럽고 자연스러워 진다.

Description

팬 헤드 어셈블리 및 선풍기
본 출원은 가전 제품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팬 헤드 어셈블리 및 해당 팬 헤드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 중의 선풍기의 헤드 회전 방식은 대체적으로 자동으로 좌우로 헤드를 회전시키고 수동으로 상하로 헤드를 회전시키는 방식, 자동으로 상하로 헤드를 회전시키고 수동으로 좌우로 헤드를 회전시키는 방식, 및 자동으로 좌우로 헤드를 회전시키고 자동으로 상하로 헤드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조합된 헤드 회전 방식과 같은 여거가지가 구비된다. 기존의 선풍기의 이러한 헤드 회전 방식은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아래와 같은 결함이 존재하게 된다.
1) 선풍기의 바람 방출 베이스와 바람 진입 베이스가 모두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되어, 송풍 영역 범위에 큰 한정이 존재하게 되며, 차별화된 판매 포인트가 없어 제품의 선전 및 판매에 불리하게 된다.
2) 각종의 헤드 회전 방식은 모두 단일 평면의 헤드 회전 방식으로 간단히 조합된 것이므로, 진정한 의미에서 공간 입체적인 헤드 회전을 구현하지 못하여, 제품의 동질화가 엄중하고, 차별화된 판매 포인트가 없어 제품의 선전 및 판매에 불리하게 될 뿐만 아니라, 단일 평면의 헤드 회전의 운동 궤적이 선형 왕복 운동이므로, 방향 전환 위치에서 헤드 회전이 쉽게 정지되는 문제가 존재하게 된다.
3) 각 일련의 단일 평면의 헤드 회전 방식은 예컨대 동기 모터를 이용하여 사절 회전 기구를 구동하거나, 스테퍼 모터/가역 모터를 이용하여 기어 치합 기구를 구동하는 것과 같은 하나의 모터로 일련의 전달 기구를 움직이는 구동으로 실현되어야 하며, 이들의 구조는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조합형 입체 헤드 회전 기술의 난이도가 높아 생산 제조가 어렵고, 높은 투자 비용이 필요하게 된다.
본 출원의 제1 목적으로서, 기존의 헤드 회전식 선풍기의 바람 방출 베이스와 바람 진입 베이스가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므로 인해 제품의 동질화가 엄중하고, 차별화된 판매 포인트가 없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팬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방안으로서, 팬 헤드 어셈블리는 바람 방출 베이스 및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바람 진입 베이스 및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가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에 대해 스윙 운동을 진행하도록 구동시키기 위한 스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윙 기구는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 상에 장착된 스윙 구동 모터 및 상기 스윙 구동 모터와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를 동력 전달되게 연결시키는 스윙 전달 페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는 제1 구면을 구비하고,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는 상기 제1 구면과 간격 맞춤되는 제2 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면의 구심과 상기 제2 구면의 구심이 중합되고, 상기 제1 구면은 상기 제2 구면의 외부에 피복되거나 상기 제2 구면은 상기 제1 구면의 외부에 피복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구면과 상기 제2 구면 사이에는 1mm-12mm의 간격이 구비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스윙 구동 모터는 출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스윙 전달 페어는 상기 출력축 상에 장착되는 캠, 상기 캠 상에 슬리브 설치되는 연결 케이스, 상기 연결 케이스에 연결되는 연결 로드 및 상기 연결 로드 상에 슬리브 설치되고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에 연결되는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는 상기 연결 로드를 연결하고, 상기 제1 구면의 구심, 상기 제2 구면의 구심 및 상기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의 구심은 중합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캠은 편심륜이고, 상기 연결 로드의 중심축과 상기 출력축의 중심축은 협각(A)를 구비하고, 상기 협각(A)은 0°<A≤30°의 관계를 만족한다.
선택 가능하게, A=5°±3°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는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에 연결되는 유니버셜 볼 케이스, 상기 연결 로드 상에 슬리브 설치되고 상기 유니버셜 볼 케이스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유니버셜 볼 헤드, 및 상기 유니버셜 볼 헤드의 일 단부에 슬리브 설치되고 상기 유니버셜 볼 케이스에 연결되는 볼 헤드 고정 커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연결 로드는 제1 로드 본체와 상기 제1 로드 본체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구비하는 제2 로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드 본체를 멀리하는 상기 제1 로드 본체의 단부는 상기 연결 케이스 상에 슬리브 설치되고, 상기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는 상기 제2 로드 본체 상에 슬리브 설치되고,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는 상기 제2 로드 본체를 연결하며, 및/또는,
상기 연결 로드는 중공 구조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는 바람 진입 그리드 커버와 상기 바람 진입 그리드 커버 내부에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면은 상기 바람 진입 그리드 커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스윙 구동 모터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타 단부에 연결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바람 진입 그리드 커버는, 그리드 커버 본체, 상기 그리드 커버 본체의 일 단부에 장착되는 중간 프레임 및 상기 그리드 커버 본체 내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브래킷와 상기 스윙 구동 모터는 모두 상기 슬리브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 구면은 상기 중간 프레임 상에 설치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는 플라스틱 커넥터 및 진동 감쇠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 브래킷은 상기 플라스틱 커넥터를 통해 상기 슬리브를 연결하고, 상기 진동 감쇠 패드는, 상기 장착 브래킷과 상기 슬리브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진동 감쇠부, 상기 장착 브래킷과 상기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진동 감쇠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측벽에 연장되어 맞대이는 제3 진동 감쇠부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는 바람받이와 상기 바람받이의 내부에 설치되는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팬 헤드 어셈블리는 상기 날개에 연결되어 상기 날개의 회전 운동을 구동시키기 위한 바람 방출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바람받이에 대해 정지되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상기 날개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되는 회전자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받이는 상기 스윙 전달 페어에 연결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바람 방출 구동 모터는 상기 바람받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바람받이 및/또는 상기 스윙 전달 페어를 연결하며, 및/또는,
상기 바람 방출 구동 모터는 상기 바람받이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스윙 전달 페어에 연결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바람받이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 단부에 장착되는 정면 그리드 및 상기 메인 하우징의 타 단부에 장착되는 후면 그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그리드는 상기 스윙 기구를 연결한다.
본 출원의 제2 목적으로서, 선풍기를 제공하고자 하며, 상기 선풍기는 상술한 팬 헤드 어셈블리 및 상기 팬 헤드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베이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 상에 장착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는 베이스 본체 및 상기 베이스 본체 상에 장착되어 상기 팬 헤드 어셈블리의 왕복 회전을 구동시키기 위한 헤드 회전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는 상기 헤드 회전 기구를 연결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술한 선풍기는 탁상용 스탠드 선풍기, 탁상용 선풍기, 스탠드 선풍기 또는 벽걸이 선풍기이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 및 선풍기는 팬 헤드 어셈블리에 일 스윙 기구를 추가로 설치하여 바람 방출 베이스가 스윙 운동을 진행하도록 구동시키고, 구체적으로 바람 진입 베이스 상에 스윙 구동 모터를 장착하여 동력을 제공하고, 스윙 전달 페어를 통해 스윙 구동 모터와 바람 방출 베이스를 동력 전달되게 연결시킴으로써, 스윙 구동 모터가 작동되면, 스윙 전달 페어는 스윙 구동 모터에서 출력되는 동력을 스윙 운동으로 변환시켜 바람 방출 베이스를 움직이게 하여 함께 스윙 운동을 진행할 수 있어, 바람 방출 베이스가 바람 진입 베이스에 대해 스윙 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선풍기 중의 바람 방출 베이스와 바람 진입 베이스가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통상적인 설계의 사고방식을 깨뜨리고, 바람 방출 베이스는 바람 진입 베이스에 대해 입체적인 스윙 운동을 진행하는 것이므로, 제품이 작동될 경우 멋스러움이 물씬하여, 기존의 선풍기 제품의 동질화가 엄중하고, 차별화된 판매 포인트가 없는 문제점을 잘 해결하여, 제품의 선전 및 판매에 유리하게 된다. 또한, 스윙 기구의 구동 하에서 바람 방출 베이스가 진행하는 것은 회전과 요동의 조합인 입체적인 스윙 운동이므로, 즉, 바람 방출 베이스가 동일한 동력 기구의 구동 하에 2가지 헤드 회전 방식의 조합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바람 방출 베이스로 공간 입체적인 헤드 회전의 기능을 실현하고, 송풍 영역을 효과적으로 확장시켜, 바람 방향의 회전 출력을 실현하고, 출력되는 바람의 느낌이 보다 부드럽고 자연스러워 진다. 나아가, 바람 방출 베이스의 스윙 운동 궤적이 입체적이고 연속적인 원주 폐쇄 궤적이므로, 기존의 선풍기가 단일 평면 내에서의 선형 왕복 운동을 진행할 경우와 유사하게 바람 변환 위치에서 정지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기존의 전통적인 상하좌우의 자동 헤드 회전형 선풍기보다 비용이 더욱 낮아지고, 운동이 더욱 신뢰성 있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선행 기술 중의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 실시예 또는 선행 기술에 대한 설명에 이용하기에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한 소개를 진행하기로 하며, 아래의 설명 중의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의 실시예일 뿐,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진보성 노동이 없이 이러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 따라 기타의 도면을 획득할 수도 있음을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의 개략적 조립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스윙 전달 페어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바람 방출 홀더, 바람 방출 구동 모터 및 연결 브래킷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의 구조 약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의 스윙 운동의 윈리 약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선풍기의 개략적 조립 단면도이다.
실시예를 결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출원의 목적에 대한 구현, 기능 특점 및 장점에 대한 진일보의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아래에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 방안에 대한 명확하고 완정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일부의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이 분명할 것이다. 본 출원 중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진보성 노동이 없이 획득한 모든 기타의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해당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모든 방향성 지시(예컨대, 상, 하, 좌, 우, 전, 후??)는 단지 임의의 특정된 자세(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서 각 부재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 운동 상황 등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특정된 자세가 변화될 경우, 해당 방향성 지시도 대응되게 변화됨을 설명하고자 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하나의 구성 요소에 "고정" 또는 "설치"되는 것으로 지칭될 경우, 이는 다른 하나의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위치하거나, 중간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으며,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하나의 구성 요소에 "연결"되는 것으로 지칭될 경우, 이는 다른 하나의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중간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음을 더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관련된 "제1", "제2" 등의 설명은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이용될 뿐,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거나 기재된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해당 특징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 사이의 기술적 방안은 상호 결합될 수 있으나, 반드시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실현할 수 있는지를 기초로 하여야 하며, 기술적 방안의 결합이 서로 모순되거나 실현될 수 없을 경우, 이러한 기술적 방안의 결합은 존재하지 않으며, 본 출원에서 청구하는 보호 범위 내에도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시인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100)는 바람 방출 베이스(1), 바람 방출 베이스(1)의 일측에 설치되는 바람 진입 베이스(2), 및 바람 방출 베이스(1)가 바람 진입 베이스(2)에 대해 스윙 운동을 진행하기 위한 스윙 기구(3)를 포함하고, 스윙 기구(3)는 바람 진입 베이스(2) 상에 장착되는 스윙 구동 모터(31) 및 스윙 구동 모터(31)와 바람 방출 베이스(1)를 동력 전달되게 연결시키는 스윙 전달 페어(3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바람 방출 베이스(1)는 팬 헤드 어셈블리(100)의 바람 방출측이고, 바람 진입 베이스(2)는 팬 헤드 어셈블리(100)의 바람 진입측이며,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선풍기가 작동될 경우, 외부 공기는 바람 진입 베이스(2)에서 팬 헤드 어셈블리(100) 내부로 진입하고, 바람 방출 베이스(1)에서 팬 헤드 어셈블리(100) 외부로 배출된다. 스윙 구동 모터(31)는 스윙 기구(3)의 동력 출력 부재이고, 스윙 전달 페어(32)는 스윙 구동 모터(31)에서 출력되는 동력을 스윙 운동으로 변환시켜 바람 방출 베이스(1) 상에 전달시킴으로써, 바람 방출 베이스(1)를 구동시켜 스윙 운동을 발생시키는 목적을 실현한다. 스윙 운동은 일종의 공간 입체 운동이고, 이는 구체적으로 회전과 요동의 조합 운동이며, 이의 운동 궤적은 입체적이고 연속적인 원주 폐쇄 궤적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스윙 기구(3)의 구동 하에, 바람 방출 베이스(1)는 바람 진입 베이스(2)에 대해 스윙 운동을 진행할 수 있어, 선풍기 중의 바람 방출 베이스(1)와 바람 진입 베이스(2)가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통상적인 설계의 사고방식을 깨뜨리고, 바람 방출 베이스(1)는 바람 진입 베이스(2)에 대해 입체적인 스윙 운동을 진행하는 것이므로, 제품이 작동될 경우 멋스러움이 물씬하여, 기존의 선풍기 제품의 동질화가 엄중하고, 차별화된 판매 포인트가 없는 문제점을 잘 해결하여, 제품의 선전 및 판매에 유리하게 된다. 또한, 바람 방출 베이스(1)가 스윙 기구(3)의 구동 하에서 진행하는 것이 회전과 요동의 조합인 입체적인 스윙 운동이므로, 즉, 바람 방출 베이스(1)가 동일한 동력 기구의 구동 하에 2가지 헤드 회전 방식의 조합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바람 방출 베이스(1)로 공간 입체적인 헤드 회전의 기능을 실현하고, 송풍 영역을 효과적으로 확장시켜, 바람 방향의 회전 출력을 실현하고, 출력되는 바람의 느낌이 보다 부드럽고 자연스러워 진다. 나아가, 바람 방출 베이스(1)의 스윙 운동 궤적이 입체적이고 연속적인 원주 폐쇄 궤적이므로, 선풍기가 단일 평면 내에서의 선형 왕복 운동을 진행할 경우와 유사하게 바람 변환 위치에서 정지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제품의 운동이 더욱 신뢰성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도 1,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 방출 베이스(1)는 제1 구면(110)을 구비하고, 바람 진입 베이스(2)는 제1 구면(110)에 간격 맞춤되는 제2 구면(210)을 구비하고, 제1 구면(110)의 구심과 제2 구면(210)의 구심은 중합되고, 제2 구면(210)은 제1 구면(110)의 외부에 피복된다. 여기서, 제2 구면(210)이 제1 구면(110)의 외부를 피복시켜, 바람 방출 베이스(1)와 바람 진입 베이스(2)가 아주 양호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한편으로 먼지 또는 잡물이 스윙 기구(3)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 제품의 외형 미관성을 향상시키기에 유리하며, 또 다른 한편으로, 제1 구면(110)과 제2 구면(210)이 동심으로 설치되고, 제1 구면(110)과 제2 구면(210)이 간격 맞춤되므로, 바람 진입 베이스(2)로 인해 바람 방출 베이스(1)의 입체적인 스윙 운동에 대한 간섭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제품 운행의 신뢰성을 충분히 확보할 뿐만 아니라, 바람 방출 베이스(1)가 작동될 경우, 제2 구면(210)이 시종 제1 구면(110)의 외부에 피복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작동이 안전 테스트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을 확보하기에 유리하다. 물론, 대안으로, 제1 구면(110)이 제2 구면(210)의 외부를 피복하도록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먼지 방지, 잡물 방지, 제품의 외형 미관성을 확보하고 제품 운행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유익한 효과를 실현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도 1,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면(110)과 제2 구면(210) 사이에는 1mm-12mm의 간격(L)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 구면(110)과 제2 구면(210) 사이의 간격(L)이 너무 작게 설계될 경우, 바람 방출 베이스(1)의 스윙 운동 과정에서 바람 진입 베이스(2)와의 마찰 현상이 용이하게 발생되므로, 바람 방출 베이스(1)의 스윙의 원활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제1 구면(110)과 제2 구면(210) 사이의 간격(L)이 너무 크게 설계될 경우, 제품의 미관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제품의 먼지 방지, 잡물 방지의 효과를 확보하기에 불리하게 된다. 여기서, 제1 구면(110)과 제2 구면(210) 사이의 간격(L)을 1mm-12mm로 설정하므로써, 바람 방출 베이스(1)의 스윙의 원활성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미관성, 먼지 방지, 잡물 방지의 효과를 확보하기에도 유리하며, 이의 종합성능이 좋아, 대부분의 적용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구면(110)과 제2 구면(210) 사이의 간격(L)은 1mm-5mm이다.
바람직하게, 도 1,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구동 모터(31)는 출력축(311)을 구비하고, 스윙 전달 페어(32)는 출력축(311) 상에 장착되는 캠(321), 캠(321) 상에 슬리브 설치되는 연결 케이스(322), 연결 케이스(322)에 연결되는 연결 로드(323), 및 연결 로드(323) 상에 슬리브 설치되고 바람 진입 베이스(2)에 연결되는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324)를 포함하며, 바람 방출 베이스(1)는 연결 로드(323)를 연결하고, 제1 구면(110)의 구심, 제2 구면(210)의 구심과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324)의 구심(3240)은 중합된다. 캠(321)은 주로 출력축(311)에서 출력되는 회전 동력을 스윙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되고, 연결 케이스(322)는 주로 캠(321)과 연결 로드(323)의 연결을 실현하도록 구성되고, 연결 로드(323)는 주로 바람 방출 베이스(1)가 바람 진입 베이스(2)에 대해 입체적인 헤드 회전 효과를 실현하도록 캠(321) 상의 스윙 운동을 바람 방출 베이스(1) 상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324)는 주로 연결 로드(323), 바람 방출 베이스(1)의 스윙 운동의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연결 로드(323)의 스윙 운동에 대해 지지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구면(110), 제2 구면(210) 및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324)는 동심으로 설치되며, 이로써 스윙 기구(3)로 바람 방출 베이스(1)를 구동시켜 스윙 운동을 진행시킬 경우, 제2 구면(210)이 시종 제1 구면(110)의 외부에 피복되고, 제2 구면(210)과 제1 구면(110) 사이의 간격(L)이 시종 일정하게 유지되고, 바람 진입 베이스(2)가 바람 방출 베이스(1)의 입체적인 스윙 운동에 간섭 현상을 초래하지 않도록 확보하여, 제품 운행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하기에 편리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캠(321)은 편심륜이다. 연결 로드(323)와 바람 방출 베이스(1)는 캠(321)의 구동 하에 스윙 구동 모터(31)의 출력축(311)에 대해 입체 원추 운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바람 방출 베이스(1)로 입체적인 헤드 회전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스윙 구동 모터(31)의 구동 하에, 스윙 전달 페어(32)는 스윙 구동 모터(31)의 출력축(311)으로 입체적인 원추 운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바람 방출 베이스(1)와 스윙 전달 페어(32)가 연결되므로, 바람 방출 베이스(1)는 스윙 전달 페어(32)와 함께 입체적인 원추 운동을 진행하게 되며, 선풍기의 헤드 본체가 고정 베이스에 대해 외부 원추 회전을 진행하게 되어, 이러한 간단한 3D 운동을 통해 전반적인 선풍기의 바람 방출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어, 작은 크기의 선풍기로도 큰 크기의 선풍기와 같이 바람을 방출할 수 도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물론, 대안으로, 캠(321)은 기타 형상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캠(321)은 타원형 휠 또는 기타의 불규칙적인 형상의 휠로 설계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캠(321)의 형상의 설계를 통해 바람 방출 베이스(1)로 상이한 궤적의 입체형 헤드 회전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로드(323)의 중심축(3230)과 출력축(311)의 중심축(3110)은 협각(A)을 구비하고, 협각(A)은 바람직하게 0°<A≤30°의 관계를 만족한다. 협각(A)은 즉 스윙 기구(3)에서 출력하는 동력의 스윙 각도이다. 협각(A)이 너무 크게 설계될 수록, 바람 방출 베이스(1)의 스윙 범위가 더욱 크고, 바람 방출 범위도 더욱 커지게 되나, 캠(321)과 연결 로드(323)의 크기도 커지게 된다. 여기서, 협각(A)은 0°-30° 사이로 설계되어, 대부분의 정경에서의 바람 방출 범위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으며, 캠(321)과 연결 로드(323)의 크기가 너무 커지는 것을 초래하지 않아, 제품의 소형화 설계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설계 및 제조 실현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A=5°±3°이다. 여기서, 협각(A)을 5° 정도로 설계하면, 캠(321)과 연결 로드(323)의 크기가 모두 상대적으로 적당하게 되어, 제품의 소형화 설계에 유리하고, 제품의 설계 및 제조 실현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324)은 바람 진입 베이스(2)에 연결되는 유니버셜 볼 케이스(3241), 연결 로드(323) 상에 슬리브 설치되고 유니버셜 볼 케이스(3241) 내부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유니버셜 볼 헤드(3242), 및 유니버셜 볼 헤드(3242)의 일 단부에 슬리브 설치되고 유니버셜 볼 케이스(3241)에 연결되는 볼 헤드 고정 커버(3243)를 포함한다. 유니버셜 볼 헤드(3242)의 회전 구심은 즉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324)의 구심(3240)이다. 유니버셜 볼 헤드(3242)는 연결 로드(323)에 긴밀하게 맞춤되어, 연결 로드(323)와 함께 운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즉, 유니버셜 볼 헤드(3242)와 연결 로드(323)는 상대적으로 정지한다. 유니버셜 볼 케이스(3241)는 유니버셜 볼 헤드(3242)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이는 유니버셜 볼 헤드(3242)에 대해 반경 방향에서의 위치 한정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니버셜 볼 헤드(3242)에 대해 일 단부에서 축 방향에서의 위치 한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볼 헤드 고정 커버(3243)는 주로 유니버셜 볼 헤드(3242)에 대해 타 단부에서 축방향에서의 위치 한정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유니버셜 볼 케이스(3241) 내부에는 구형 아크 내벽이 구비되고, 유니버셜 볼 헤드(3242)의 외측부는 이격되게 분포된 여러개의 돌기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각 돌기는 각각 유니버셜 볼 케이스(3241)의 구형 아크 내벽에 맞대이게 된다. 여기서, 유니버셜 볼 헤드(3242)은 여러개의 돌기를 통해 유니버셜 볼 케이스(3241)와의 접촉 맞춤을 구현하며, 이로써 유니버셜 볼 헤드(3242)가 연결 로드(323)를 따라 운동할 때 인가받게 되는 저항력을 감소시키기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로드(323)는 제1 로드 본체(3231) 및 제1 로드 본체(323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구비하는 제2 로드 본체(3232)를 포함하고, 제2 로드 본체(3232)를 멀리한 제1 로드 본체(3231)의 단부는 연결 케이스(322) 상에 슬리브 설치되고,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324)는 제2 로드 본체(3232) 상에 슬리브 설치되고, 바람 방출 베이스(1)는 제2 로드 본체(3232)를 연결한다. 유니버셜 볼 헤드(3242)는 제2 로드 본체(3232) 상에 긴밀하게 슬리브 설치된다. 여기서, 제2 로드 본체(3232)의 외경을 제1 로드 본체(3231)의 외경보다 작게 설계함으로써, 한편으로 스윙 구동 모터(31)의 부하를 감소시키기에 유리하고, 다른 한편으로 팬 헤드 어셈블리(100)의 소형화 설계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연결 로드(323)는 중공 구조이고, 즉, 연결 로드(323)는 그의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설치되는 중공의 내부 홀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로드 본체(3231)와 제2 로드 본체(3232)가 모두 중공 구조로 설치되며, 이는 연결 로드(323)의 중량을 감소시키기에 유리하여, 스윙 구동 모터(31)의 부하를 감소시키기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도 1,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 진입 베이스(2)는 바람 진입 그리드 커버(21) 및 바람 진입 그리드 커버(21) 내부에 설치되는 장착 브래킷(22)을 포함하고, 제2 구면(210)은 바람 진입 그리드 커버(21) 상에 설치되고, 스윙 구동 모터(31)는 장착 브래킷(22)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324)는 장착 브래킷(22)의 타 단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스윙 구동 모터(31)와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324)는 모두 장착 브래킷(22)을 통해 바람 진입 그리드 커버(21) 상에 장착되고, 이로써 장착 브래킷(22)의 유연한 설계를 통해 상이한 스윙 구동 모터(31),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324)와 바람 진입 그리드 커버(21)의 조립 요구를 만족시키기에 편리하여, 스윙 구동 모터(31),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324)와 바람 진입 그리드 커버(21)의 장착 구조를 간략화시키기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장착 브래킷(22)은 스윙 구동 모터(31)에 연결되는 제1 지지 암, 제1 지지 암에 이격되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2 지지 암, 및 양 단부가 각각 제1 지지 암의 일 단부와 제2 지지 암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 암을 포함하며,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324)와 고정 홀더는 모두 제2 지지 암에 연결되고, 연결 케이스(322)에 연결되는 연결 로드의 부위, 캠(321) 및 연결 케이스(322)는 모두 제1 지지 암과 제2 지지 암 사이에 위치하며, 즉, 제2 로드 본체(3232), 캠(321) 및 연결 케이스(322)는 모두 제1 지지 암과 제2 지지 암 사이에 위치하며, 이로써 제품의 구조 치밀성을 향상시키기에 유리하여, 제품의 소형화 설계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제1 지지 암과 제2 지지 암은 이격되게 평행되게 설치되며, 연결 암은 제1 지지 암과 제2 지지 암 사이에 수직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도 1,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 진입 그리드 커버(21)는 그리드 커버 본체(211), 그리드 커버 본체(211)의 일 단부에 장착되는 중간 프레임(212), 및 그리드 커버 본체(211) 내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슬리브(213)를 포함하고, 장착 브래킷(22)과 스윙 구동 모터(31)는 모두 슬리브(213) 내부에 수용되고, 제2 구면(210)은 중간 프레임(212) 상에 설치된다. 슬리브(213)의 설치는 주로 너무 많은 소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써 제품의 외형 미관성을 향상시키기에 유리하다. 그리드 커버 본체(211) 상에는 공기가 유통되도록 그리드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리드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중간 프레임(212)을 추가로 설치하고, 중간 프레임(212) 상에 제2 구면(210)을 제조 성형함으로써, 제2 구면(210)의 가공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작고, 가공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다. 물론,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제조 성형의 조건 하에, 제2 구면(210)은 그리드 커버 본체(211)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슬리브(213)와 그리드 커버 본체(211)는 일체로 제조 성형되며, 이로써 제품 크기의 정밀도를 확보하기에 유리하며, 슬리브(213)와 그리드 커버 본체(211)의 조립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 진입 베이스(2)는 플라스틱 커넥터(23)를 더 포함하고, 장착 브래킷(22)은 플라스틱 커넥터(23)를 통해 연결 케이스(322)에 연결된다. 여기서, 플라스틱 커넥터(23)를 이용하여 장착 브래킷(22)과 슬리브(213)를 연결시킴으로써, 장착 브래킷(22)이 슬리브(213)에 직접적으로 강성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착 브래킷(22) 상에서 슬리브(213) 상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기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 진입 베이스(2)는 진동 감쇠 패드(24)를 더 포함하고, 진동 감쇠 패드(24)는 플라스틱 커넥터(23)와 장착 브래킷(22)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진동 감쇠부, 장착 브래킷(22)과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324)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진동 감쇠부, 및 슬리브(213)의 내측벽에 연장되어 맞대이는 제3 진동 감쇠부를 포함한다. 제1 진동 감쇠부는 주로 장착 브래킷(22)과 플라스틱 커넥터(23) 사이의 진동 전달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진동 감쇠부는 주로 장착 브래킷(22)과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324) 사이의 진동 전달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며, 제3 진동 감쇠부는 주로 슬리브(213)와 장착 브래킷(22), 플라스틱 커넥터(23) 사이의 진동 전달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진동 감쇠 패드(24)의 설계를 통해, 스윙 기구(3)에서 후면 그리드(113)의 홀더 상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기에 유리하여, 제품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1,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 방출 베이스(1)는 바람받이(11) 및 바람받이(11) 내부에 설치되는 날개(12)를 포함하고, 팬 헤드 어셈블리(100)는 날개(12)와 연결되어 날개(12)의 회전 운동을 구동시키기 위한 바람 방출 구동 모터(4)를 더 포함하고, 제1 모터는 바람받이(11)에 대해 정지되는 고정자(41) 및 고정자(41)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날개(12)와 상대적으로 정지되게 연결되는 회전자(42)를 포함하고, 바람받이(11)는 스윙 전달 페어(32)에 연결된다. 바람받이(11)은 구체적으로 스윙 전달 페어(32)의 연결 로드(323)에 연결된다. 고정자(41)와 바람받이(11)의 상대적인 정지는, 선풍기가 작동될 경우, 고정자(41)와 바람받이(11)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회전자(42)와 날개(12)의 상대적인 정지는, 선풍기가 작동될 경우, 회전자(42)와 날개(12)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고정자(41)와 바람받이(11)의 상대적인 정지를 실현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아래와 같은 2가지 설치 방식 중의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즉, 제1 설치 방식으로서, 고정자(41)와 바람받이(11)를 조립 연결시키는 것이고, 제2 설치 방식으로서, 고정자(41)와 바람받이(11)에는 조립 연결 관계가 존재하지 않고, 고정자(41)와 바람받이(11)를 각각 스윙 전달 페어(32)에 연결시키는 것이며, 이로써, 고정자(41)는 스윙 전달 페어(32)를 통해 바람받이(11)와의 간접적인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받이(11)와 고정자(41)는 상대적인 정지 관계이고, 회전자(42)와 고정자(41)는 서로 연결되고, 회전자(42)와 날개(12)가 서로 연결되므로, 스윙 기구(3)는 바람받이(11), 날개(12), 바람 방출 구동 모터(4)를 동시에 구동시켜 함께 스윙 운동을 진행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바람받이(11)와 날개(12)는 스윙 기구(3)의 구동 하에 함께 입체적인 스윙 운동을 진행할 수 있어, 제품이 작동될 경우 멋스러움이 물씬하여, 선풍기 제품의 동질화가 엄중하고, 차별화된 판매 포인트가 없는 문제점을 잘 해결하여, 제품의 선전 및 판매에 유리하게 된다. 바람받이(11)와 날개(12)가 함께 스윙 운동을 진행하여, 선풍기의 송풍 영역 범위를 확장시키고, 바람 방향의 회전 출력을 실현하여, 선풍기에서 출력되는 바람의 느낌이 더욱 부드럽고 자연스러워 진다.
바람직하게, 도 1,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 방출 구동 모터(4)는 바람받이(11) 내부에 장착되고, 고정자(41)는 바람받이(11)를 연결한다. 해당 기술적 방안에 있어서, 바람받이(11)와 스윙 기구(3)에는 직접적인 연결 관계가 존재하고, 고정자(41)와 스윙 기구(3) 사이에는 직접적인 연결 관계가 존재하지 않으나, 고정자(41)가 바람받이(11)를 연결하므로, 고정자(41)와 바람받이(11)의 상대적으로 정지되는 설셰 요구를 만족할 뿐만 아니라, 고정자(41)와 바람받이(11)는 스윙 기구(3)의 구동 하에서 함께 스윙 운동을 진행할 수 있는 설계 요구를 만족한다. 물론,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바람 방출 구동 모터(4)의 장착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바람 방출 구동 모터(4)가 바람받이(11) 내부에 장착되는 정경에서, 고정자(41)는 바람받이(11)와 스윙 전달 페어(32)를 동시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또는 고정자(41)는 바람받이(11)에 연결되지 않고 스윙 전달 페어(32)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또는 바람 방출 구동 모터(4)는 바람받이(11) 외부에 장착되고 고정자(41)와 스윙 전달 페어(32)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대안은 모두 고정자(41)와 바람받이(11)의 상대적 정지의 설계 요구 및 고정자(41)와 바람받이(11)가 스윙 기구(3)의 구동 하에 함께 스윙 운동을 진행할 수 있는 설계 요구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1,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41)는 일 연결 브래킷(5)을 통해 바람받이(11)를 연결하고, 이로써 연결 브래킷(5)의 유연한 설계를 통해 상이한 바람 방출 구동 모터(4)와 바람받이(11)의 조립 요구를 만족하기에 편리하여, 바람 방출 구동 모터(4)와 바람받이(11)의 장착 구조를 간략화시키기에 유리하다. 물론, 대안으로, 연결 브래킷(5)을 설계할 필요가 없이, 고정자(41)는 바람받이(11)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형식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받이(11)는 메인 하우징(111), 메인 하우징(111)의 일 단부에 장착되는 정면 그리드(112) 및 메인 하우징(111)의 타 단부에 장착되는 후면 그리드(113)를 포함하고, 후면 그리드(113)는 스윙 전달 페어(32)를 연결한다. 후면 그리드(113)는 구체적으로 스윙 전달 페어(32)의 연결 로드(323)에 연결된다. 날개(12)와 바람 방출 구동 모터(4)는 모두 메인 하우징(111), 정면 그리드(112) 및 후면 그리드(113)로 동봉되어 형성된 챔버 내부에 수용된다. 정면 그리드(112)는 바람 방출 베이스(1)의 바람 방출측이고, 후면 그리드(113)는 바람 방출 베이스(1)의 바람 진입측이다. 정면 그리드(112) 및 후면 그리드(113)가 모두 메인 하우징(111)에 연결되므로, 스윙 전달 페어(32)가 메인 하우징(111)을 움직이게 하여 스윙 운동을 진행시킬 경우, 정면 그리드(112)와 후면 그리드(113)도 함께 스윙 운동을 진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자(41)는 연결 브래킷(5)을 통해 후면 그리드(113)를 연결하며, 물론,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고정자(41)도 후면 그리드(113)를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구면(110)은 메인 하우징(111) 상에 설치된다. 정면 그리드(112) 및 후면 그리드(113) 상에는 모두 공기 유통에 편리한 그리드 구조가 설계되어야 하나, 메인 하우징(111) 상에는 그리드 구조가 설계될 필요가 없어, 그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므로, 메인 하우징(111) 상에 제1 구면(110)을 제조 성형함에 있어서, 가공 난이도가 작고, 가공 비용이 낮은 장점을 구비한다. 물론,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제1 구면(110)은 메인 하우징(111) 상에 설치되는 설계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제1 구면(110)은 메인 하우징(111)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선풍기를 더 제공하며, 선풍기는 상술한 팬 헤드 어셈블리(100) 및 팬 헤드 어셈블리(100)에 연결되는 베이스 어셈블리(200)를 포함하고, 바람 진입 베이스(2)는 베이스 어셈블리(200) 상에 장착된다. 베이스 어셈블리(200)는 주로 적용 정경에서의 선풍기의 장착을 실현하기 위해 팬 헤드 어셈블리(1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선풍기에 있어서, 상술한 팬 헤드 어셈블리(100)를 이용하므로, 한편으로 선풍기의 송풍 영역 범위를 확장하고, 바람 방향의 회전 출력을 실현하여 선풍기에서 출력되는 바람의 느낌이 보다 부드럽고 자연스러워지며, 다른 한편으로 제품의 비용을 저감시키고 제품의 운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기에 유리하게 되며, 또 다른 한편으로 선풍기가 작동될 경우 멋스러움이 물씬하여, 제품의 차별화된 판매 포인트를 증가시켜, 제품의 선전 및 판매에 유리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어셈블리(200)는 베이스 본체(201) 및 베이스 본체(201) 상에 장착되어 팬 헤드 어셈블리(100)의 왕복 회전을 구동시키기 위한 헤드 회전 기구(202)를 포함하고, 바람 진입 베이스(2)눈 헤드 회전 기구(202)를 연결한다. 헤드 회전 기구(202)는 구체적으로 헤드 회전 모터 및 크랭크 로커 기구를 포함한다. 헤드 회전 기구(202)의 설치를 통해 팬 헤드 어셈블리(100)는 평면 헤드 회전 운동을 진행하여, 제품의 송풍 영역 범위를 확장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선풍기는 탁상용 선풍기 또는 탁상용 스탠드 선풍기이며, 물론,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선풍기는 스탠드 선풍기 또는 벽걸이 선풍기일 수도 있으며, 즉, 본 실시예의 팬 헤드 어셈블리(100)는 탁상용 스탠드 선풍기, 탁상용 선풍기, 스탠드 선풍기, 벽걸이 선풍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탁상용 스탠드 선풍기, 탁상용 선풍기, 스탠드 선풍기, 벽걸이 선풍기는 모두 본 실시예의 팬 헤드 어셈블리(100)를 이용하여 송풍 영역 범위를 확장시키고, 선풍기에서 출력되는 바람의 느낌이 더욱 부드럽고 자연스러워지며, 제품 운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운행의 멋스러움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차별화된 판매 포인트을 증가하는 유익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출원의 특허 범위는 이로 인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의 출원 사상을 기초로,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진행한 동등한 구조 변환 또는 기타의 관련된 기술 범위에서의 직접적/간접적인 운용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100 팬 헤드 어셈블리 1 바람 방출 베이스
11 바람받이 110 제1 구면
111 메인 하우징 112 정면 그리드
113 후면 그리드 12 날개
2 바람 방출 홀더 21 바람 진입 그리드 커버
210 제2 구면 211 그리드 커버 본체
212 중간 프레임 213 슬리브
22 장착 브래킷 23 플라스틱 커넥터
24 진동 감쇠 패드 3 스윙 기구
31 스윙 구동 모터 311 출력축
3110 출력축의 중심축 32 스윙 전달 페어
321 캠 322 연결 케이스
323 연결 로드 3230 연결 로드의 중심축
3231 제1 로드 본체 3232 제2 로드 본체
324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 3240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의 구심
3241 유니버셜 볼 케이스 3242 유니버셜 볼 헤드
3243 볼 헤드 고정 커버 4 바람 방출 구동 모터
41 고정자 42 회전자
5 연결 브래킷 200 베이스 어셈블리
201 베이스 본체 202 요동 기구

Claims (20)

  1. 팬 헤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바람 방출 베이스와,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바람 진입 베이스와,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가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에 대해 스윙 운동을 진행하도록 구동시키기 위한 스윙 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스윙 기구는,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 상에 장착된 스윙 구동 모터와,
    상기 스윙 구동 모터와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를 동력 전달되게 연결시키는 스윙 전달 페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는 제1 구면을 구비하고,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는 상기 제1 구면과 간격 맞춤되는 제2 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면의 구심과 상기 제2 구면의 구심이 중합되고,
    상기 제1 구면은 상기 제2 구면의 외부에 피복되거나 상기 제2 구면은 상기 제1 구면의 외부에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면과 상기 제2 구면 사이에는 1mm-12mm의 간격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구동 모터는 출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스윙 전달 페어는, 상기 출력축 상에 장착되는 캠과,
    상기 캠 상에 슬리브 설치되는 연결 케이스와,
    상기 연결 케이스에 연결되는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 로드 상에 슬리브 설치되고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에 연결되는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를 포함하되,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는 상기 연결 로드를 연결하고,
    상기 제1 구면의 구심, 상기 제2 구면의 구심 및 상기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의 구심은 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편심륜이고,
    상기 연결 로드의 중심축과 상기 출력축의 중심축은 협각(A)를 구비하고, 상기 협각(A)은 0°<A≤30°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A=5°±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는,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에 연결되는 유니버셜 볼 케이스와,
    상기 연결 로드 상에 슬리브 설치되고 상기 유니버셜 볼 케이스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유니버셜 볼 헤드와,
    상기 유니버셜 볼 헤드의 일 단부에 슬리브 설치되고 상기 유니버셜 볼 케이스에 연결되는 볼 헤드 고정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는 제1 로드 본체와 상기 제1 로드 본체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구비하는 제2 로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드 본체를 멀리하는 상기 제1 로드 본체의 단부는 상기 연결 케이스 상에 슬리브 설치되고, 상기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는 상기 제2 로드 본체 상에 슬리브 설치되고,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는 상기 제2 로드 본체를 연결하며, 및/또는,
    상기 연결 로드는 중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는 바람 진입 그리드 커버와 상기 바람 진입 그리드 커버 내부에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면은 상기 바람 진입 그리드 커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스윙 구동 모터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진입 그리드 커버는, 그리드 커버 본체, 상기 그리드 커버 본체의 일 단부에 장착되는 중간 프레임 및 상기 그리드 커버 본체 내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브래킷와 상기 스윙 구동 모터는 모두 상기 슬리브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 구면은 상기 중간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는 플라스틱 커넥터 및 진동 감쇠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 브래킷은 상기 플라스틱 커넥터를 통해 상기 슬리브를 연결하고,
    상기 진동 감쇠 패드는, 상기 장착 브래킷과 상기 슬리브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진동 감쇠부, 상기 장착 브래킷과 상기 유니버셜 볼 힌지 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진동 감쇠부 및 상기 슬리브의 내측벽에 연장되어 맞대이는 제3 진동 감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는 바람받이와 상기 바람받이의 내부에 설치되는 날개를 포함하되,
    상기 팬 헤드 어셈블리는 상기 날개에 연결되어 상기 날개의 회전 운동을 구동시키기 위한 바람 방출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바람받이에 대해 정지되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상기 날개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되는 회전자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받이는 상기 스윙 전달 페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는 바람받이와 상기 바람받이의 내부에 설치되는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팬 헤드 어셈블리는 상기 날개에 연결되어 상기 날개의 회전 운동을 구동시키기 위한 바람 방출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바람받이에 대해 정지되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회전되게 연결되고 상기 날개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되는 회전자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받이는 상기 스윙 전달 페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방출 구동 모터는 상기 바람받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바람받이 및/또는 상기 스윙 전달 페어를 연결하고, 및/또는,
    상기 바람 방출 구동 모터는 상기 바람받이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스윙 전달 페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받이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 단부에 장착되는 정면 그리드 및 상기 메인 하우징의 타 단부에 장착되는 후면 그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그리드는 상기 스윙 기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헤드 어셈블리.
  16. 선풍기에 있어서,
    팬 헤드 어셈블리와,
    상기 팬 헤드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베이스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 상에 장착되고,
    상기 팬 헤드 어셈블리는, 바람 방출 베이스와,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바람 진입 베이스와,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가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에 대해 스윙 운동을 진행하도록 구동시키기 위한 스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윙 기구는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 상에 장착된 스윙 구동 모터 및 상기 스윙 구동 모터와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를 동력 전달되게 연결시키는 스윙 전달 페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방출 베이스는 제1 구면을 구비하고,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는 상기 제1 구면과 간격 맞춤되는 제2 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면의 구심과 상기 제2 구면의 구심이 중합되고,
    상기 제1 구면은 상기 제2 구면의 외부에 피복되거나 상기 제2 구면은 상기 제1 구면의 외부에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면과 상기 제2 구면 사이에는 1mm-12mm의 간격이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는 베이스 본체 및 상기 베이스 본체 상에 장착되어 상기 팬 헤드 어셈블리의 왕복 회전을 구동시키기 위한 헤드 회전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 진입 베이스는 상기 헤드 회전 기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풍기는 탁상용 스탠드 선풍기, 탁상용 선풍기, 스탠드 선풍기 또는 벽걸이 선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KR1020207001483A 2017-07-28 2017-09-28 팬 헤드 어셈블리 및 선풍기 KR102341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637449.2A CN107237772B (zh) 2017-07-28 2017-07-28 扇头组件及风扇
CN201710637449.2 2017-07-28
PCT/CN2017/103935 WO2019019345A1 (zh) 2017-07-28 2017-09-28 扇头组件及风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660A true KR20200018660A (ko) 2020-02-19
KR102341015B1 KR102341015B1 (ko) 2021-12-17

Family

ID=59988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483A KR102341015B1 (ko) 2017-07-28 2017-09-28 팬 헤드 어셈블리 및 선풍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50704B1 (ko)
JP (1) JP6892178B2 (ko)
KR (1) KR102341015B1 (ko)
CN (1) CN107237772B (ko)
WO (1) WO2019019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3609B (zh) * 2018-06-19 2020-11-06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驱动组件、扇头组件及风扇
CN109372783A (zh) * 2018-11-26 2019-0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扇
CN112421877B (zh) * 2019-08-23 2022-05-31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送风装置和家用电器
CN112421875B (zh) * 2019-08-23 2022-05-24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送风装置和家用电器
CN110486605A (zh) * 2019-08-29 2019-11-22 深圳市众安威视技术有限公司 一种力分解缓冲式防爆摄像头
JP7328850B2 (ja) 2019-09-26 2023-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装置及び送風方法
CN113669277A (zh) * 2020-05-14 2021-11-19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循环扇
CN112628179A (zh) * 2020-12-31 2021-04-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送风装置
CN113431793A (zh) * 2021-07-20 2021-09-24 深圳市耐锐照明有限公司 一种磁吸风扇
CN114017368B (zh) * 2021-09-28 2023-10-31 浙江荣文风机有限公司 一种稳定性高的风机
CN113809852A (zh) * 2021-09-29 2021-12-17 苏州隆盈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隔振风扇
TWI795203B (zh) * 2022-02-09 2023-03-01 吳孟姿 吊扇旋轉軸及具有該吊扇旋轉軸的吊扇
CN114869060B (zh) * 2022-05-24 2024-03-19 安徽育安实验室装备有限公司 一种课桌椅
CN114939246B (zh) * 2022-06-09 2023-01-31 钟维宇 一种自降温型消防无人机
CN115105152B (zh) * 2022-06-30 2024-08-30 重庆西山科技股份有限公司 医用摆锯机头
CN115143515B (zh) * 2022-07-12 2023-08-22 青岛极家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球形出风口方向调节机构及浴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144831U (zh) * 2016-09-07 2017-05-03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轴流风扇及电动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4631U (zh) * 1987-03-19 1989-03-22 重庆电扇厂 全方位摇头吊风扇
JP3510665B2 (ja) * 1994-02-28 2004-03-29 三洋電機株式会社 扇風機
JPH10274193A (ja) * 1997-03-28 1998-10-13 Sanyo Electric Co Ltd 壁掛型扇風機
US6171057B1 (en) * 1999-07-27 2001-01-09 Yen-Ching Chen Table electric fan
CN2505625Y (zh) * 2001-10-19 2002-08-14 童伟锋 摆头电风扇
CN101451535B (zh) * 2007-12-05 2010-12-22 北京亚都新风节能技术有限公司 新风换气机
JP3145283U (ja) * 2008-07-23 2008-10-02 キング ジ エンタープライズ コーポレイション プロペラファン構造の内蔵式スイング機構
US20110052394A1 (en) * 2009-09-01 2011-03-03 International Products Group Corp Conical revolution mechanism
US8128346B2 (en) * 2009-09-16 2012-03-06 Steven Yu Fan with concealed 360-degree oscillating mechanism
CN103363587B (zh) * 2013-05-31 2016-01-13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其空调用独立送风部件
CN105927568A (zh) * 2016-04-26 2016-09-07 刘进 一种具有360°扫风功能的电扇
CN206144830U (zh) * 2016-08-15 2017-05-03 艾美特电器(深圳)有限公司 一种无扇叶塔扇
CN207333258U (zh) * 2017-07-28 2018-05-08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扇头组件及风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144831U (zh) * 2016-09-07 2017-05-03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轴流风扇及电动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92178B2 (ja) 2021-06-23
EP3650704B1 (en) 2022-04-27
WO2019019345A1 (zh) 2019-01-31
KR102341015B1 (ko) 2021-12-17
CN107237772A (zh) 2017-10-10
EP3650704A1 (en) 2020-05-13
JP2020526706A (ja) 2020-08-31
EP3650704A4 (en) 2020-07-22
CN107237772B (zh)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8660A (ko) 팬 헤드 어셈블리 및 선풍기
CN107237771B (zh) 扇头组件及风扇
JP5346896B2 (ja) 隠蔽式360度回転機構を備える扇風機
CN201343660Y (zh) 用于将电机固定在洗衣机或类似的家用电器的桶上的支架
CN107313958B (zh) 用于风扇的驱动组件及具有的风扇
JP3145283U (ja) プロペラファン構造の内蔵式スイング機構
CN105194859A (zh) 乒乓球自动发球机
CN203298455U (zh) 扫风装置
CN207093421U (zh) 扇头组件及风扇
CN207333258U (zh) 扇头组件及风扇
JP3178828U (ja) 気体導流構造を備えた扇風機
CN210317848U (zh) 一种摆头结构
CN201053407Y (zh) 超薄型直立式风扇
JP6087509B2 (ja) 扇風機
EP3636934B1 (en) Driving assembly for use with fan, and fan having same
CN211525157U (zh) 立式循环扇装置
JP6009781B2 (ja) 扇風機
JPH0440557B2 (ko)
CN220354091U (zh) 一种风扇灯摇头结构
CN216111408U (zh) 一种摇头机构及应用该摇头机构的塔扇
CN205841278U (zh) 风扇
CN204468638U (zh) 一种按摩垫的按摩机构
CN221257175U (zh) 一种内置转动结构的空气循环扇
CN220269633U (zh) 单导风板组件及具有该单导风板组件的空调
CN218971472U (zh) 一种基于摆头结构的防晃塔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