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868A - 항산화, 미백, 주름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미백, 주름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868A
KR20200017868A KR1020180093363A KR20180093363A KR20200017868A KR 20200017868 A KR20200017868 A KR 20200017868A KR 1020180093363 A KR1020180093363 A KR 1020180093363A KR 20180093363 A KR20180093363 A KR 20180093363A KR 20200017868 A KR20200017868 A KR 20200017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hitening
antioxidant
moisturizi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7723B1 (ko
Inventor
이태범
김현우
양지혜
조하늘
소양강
김지효
이범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남원시화장품산업지원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남원시화장품산업지원센터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남원시화장품산업지원센터
Priority to KR1020180093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723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7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미백, 주름,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몬그라스, 산구절초, 와송, 자소엽 및 찔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주름,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산화, 미백, 주름,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ntioxidant, whitening, wrinkle, moisturizing}
본 발명은 항산화, 미백, 주름,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몬그라스, 산구절초, 와송, 자소엽 및 찔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주름,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기능성 화장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그 중, 기능성 화장품 시장은 2016년 430억달러 규모에서 2017년 470달러 규모로 증가하였고, 2020년 610억달러 규모만큼 증가할 것으로 추측된다(자료: RMCOS, 메리츠종금종권 리서치센터).
또한, 전체 화장품 중 기능성 화장품 시장이 차지하는 비율도 2012년 13%에서 2017년 16%로 증가하여(자료: RMCOS, 메리츠종금종권 리서치센터),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식물유래 소재는 안전성 측면에서 뛰어난 효과를 보여 오랫동안 이용되어오던 화장품 원료중에 하나이며, 최근, 건강 및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천연 식물유래 소재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한방에서 이용되어오던 식물 및 생약성분을 주로 한 기능성 화장료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식물유래 소재로는 주로 올리브유, 야자유와 사포닌, 소맥 배아유, 미강유, 인지질 등이 계면활성성분으로 이용되고, 아미노산, 단백질, 당류 등을 함유한 수용성 성분 등이 보습제, 피막보호제, 피부보호제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사람의 피부는 자외선 등 외부의 약한 자극에도 쉽게 민감해질 뿐만 아니라 회복시간이 오래 걸리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전체적인 피부톤이 어두워질 뿐만아니라 탄력이 떨어지며, 건조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건조, 피부톤 저하, 탄력 저하를 방지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천연 소재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레몬그라스, 산구절초, 와송, 자소엽 및 찔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주름,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항산화, 미백, 주름,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레몬그라스, 산구절초, 와송, 자소엽 및 찔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추출물은, 레몬그라스, 산구절초, 와송, 자소엽 및 찔레 추출물이 0.5~2 : 0.5~1.5 : 0.5~1.5 : 0.5~1 : 0.3~2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미백, 주름,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이 높고,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아 항산화 활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고,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므로 미백 활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엘라스타제 활성을 저해하므로 주름 생성 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히알루론산 생성능을 가지므로 보습 활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몬그라스, 산구절초, 와송, 자소엽 및 찔레 원재료를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이 함유된 항산화, 미백, 주름,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레몬그라스, 산구절초, 와송, 자소엽 및 찔레 원재료로는 전라북도 남원시 일대에서 재배한 생물 또는 건조물을 이용하였고, 이때, 생물 원재료는 38~42℃에서 72시간 이상 식품건조기(LD9013, L'EQUIP, Seoul, Korea)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이용하였다.
이후, 건조된 레몬그라스, 산구절초, 와송, 자소엽 및 찔레 원재료를 추출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레몬그라스, 산구절초, 와송, 자소엽 및 찔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원재료를 각각 분쇄기(HMF-3600TG, Hanil, Seoul, Korea)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분쇄된 원재료 100중량부에 50% 에탄올 1800~2200중량부를 첨가하고, 50~100℃에서 1~4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부직포를 이용하여 환류 추출물을 1차 여과하고, 종이 여과지(Whatman NO.3, Whatman NO.5)를 이용하여 2차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은 각각 감압농축기(R-100, BUCHI, Flawil, Switzerland)를 이용하여 50~70℃에서 2~6시간 동안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기 (MCFD8508, ILSHIN, Gyeonggi-do, Korea)를 이용하여 -90~-70℃에서 48~96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레몬그라스, 산구절초, 와송, 자소엽 및 찔레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추출된 본 발명의 레몬그라스, 산구절초, 와송, 자소엽 및 찔레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이 높고,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으므로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고,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므로 미백 활성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엘라스타제 활성을 저해하므로 주름 생성 방지 효과를 가지며, 히알루론산 생성능을 가지므로 보습 활성 효과를 가진다.
이후, 레몬그라스, 산구절초, 와송, 자소엽 및 찔레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혼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10중량%가 함유될 수 있으며, 혼합추출물 함유량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가가 증가하여 경제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형 안정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혼합추출물은 레몬그라스, 산구절초, 와송, 자소엽 및 찔레 추출물이 0.5~2 : 0.5~1.5 : 0.5~1.5 : 0.5~1 : 0.3~2 중량비로 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배합비와 같이 배합될 수 있다.
레몬그라스 산구절초 와송 자소엽 찔레
배합비 1 0.5 0.5 1 1 2
배합비 2 0.5 1.5 0.5 0.5 2
배합비 3 0.5 0.5 1.5 1 1.5
배합비 4 2 1 0.7 1 0.3
이때, 레몬그라스의 배합비가 0.5 미만일 경우, 히알루론산 생성능이 감소되어 보습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으며, 배합비가 2를 초과할 경우, 제형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산구절초의 배합비가 0.5 미만일 경우, 멜라닌 생성 저해율이 감소되어 미백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으며, 배합비가 1.5를 초과할 경우, 제형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와송의 배합비가 0.5 미만일 경우,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이 감소되어 미백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으며, 배합비가 1.5를 초과할 경우, 제형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자소엽의 배합비가 0.5 미만일 경우, 히알루론산 생성능이 감소되어 보습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으며, 배합비가 1을 초과할 경우, 제형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찔레의 배합비가 0.3 미만일 경우, 폴리페놀 및 라디칼 소거능이 낮아 항산화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으며, 배합비가 2를 초과할 경우, 제형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다양한 배합비로 배합될 수 있다.
[ 실시예 1]
전북 남원시 이백면에서 채취한 레몬그라스 생물을 40℃에서 72시간동안 식품건조기(LD9013, L'EQUIP, Seoul, Korea 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에 분쇄기(HMF-3600TG, Hanil, Seoul, Korea)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레몬그라스 분쇄물 100중량부에 50% 에탄올 2000중량부를 첨가한 후에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 추출하고, 부직포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한 후 종이 여과지(Whatman NO.3, Whatman NO.5)를 이용하여 2차 여과하였다.
이후, 감압농축기(R-100, BUCHI, Flawil, Switzerland)를 이용하여 60℃에서 3시간 동안 농축한 후에 동결건조기 (MCFD8508, ILSHIN, Gyeonggi-do, Korea)를 이용하여 -80℃에서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분석용 레몬그라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전북 남원시 산내면에서 채취한 산구절초 생물을 40℃에서 72시간동안 식품건조기(LD9013, L'EQUIP, Seoul, Korea 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에 분쇄기(HMF-3600TG, Hanil, Seoul, Korea)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산구절초 분쇄물 100중량부에 50% 에탄올 2000중량부를 첨가한 후에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 추출하고, 부직포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한 후 종이 여과지(Whatman NO.3, Whatman NO.5)를 이용하여 2차 여과하였다.
이후, 감압농축기(R-100, BUCHI, Flawil, Switzerland)를 이용하여 60℃에서 3시간 동안 농축한 후에 동결건조기 (MCFD8508, ILSHIN, Gyeonggi-do, Korea)를 이용하여 -80℃에서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분석용 산구절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전북 남원시 송동면에서 채취한 와송 생물을 40℃에서 72시간동안 식품건조기(LD9013, L'EQUIP, Seoul, Korea 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에 분쇄기(HMF-3600TG, Hanil, Seoul, Korea)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와송 분쇄물 100중량부에 50% 에탄올 2000중량부를 첨가한 후에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 추출하고, 부직포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한 후 종이 여과지(Whatman NO.3, Whatman NO.5)를 이용하여 2차 여과하였다.
이후, 감압농축기(R-100, BUCHI, Flawil, Switzerland)를 이용하여 60℃에서 3시간 동안 농축한 후에 동결건조기 (MCFD8508, ILSHIN, Gyeonggi-do, Korea)를 이용하여 -80℃에서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분석용 와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전북 남원시 주천면에서 채취한 자소엽 생물을 40℃에서 72시간동안 식품건조기(LD9013, L'EQUIP, Seoul, Korea 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에 분쇄기(HMF-3600TG, Hanil, Seoul, Korea)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자소엽 분쇄물 100중량부에 50% 에탄올 2000중량부를 첨가한 후에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 추출하고, 부직포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한 후 종이 여과지(Whatman NO.3, Whatman NO.5)를 이용하여 2차 여과하였다.
이후, 감압농축기(R-100, BUCHI, Flawil, Switzerland)를 이용하여 60℃에서 3시간 동안 농축한 후에 동결건조기 (MCFD8508, ILSHIN, Gyeonggi-do, Korea)를 이용하여 -80℃에서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분석용 자소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전북 남원시 송동면에서 채취한 찔레 생물을 40℃에서 72시간동안 식품건조기(LD9013, L'EQUIP, Seoul, Korea 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에 분쇄기(HMF-3600TG, Hanil, Seoul, Korea)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찔레 분쇄물 100중량부에 50% 에탄올 2000중량부를 첨가한 후에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 추출하고, 부직포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한 후 종이 여과지(Whatman NO.3, Whatman NO.5)를 이용하여 2차 여과하였다.
이후, 감압농축기(R-100, BUCHI, Flawil, Switzerland)를 이용하여 60℃에서 3시간 동안 농축한 후에 동결건조기 (MCFD8508, ILSHIN, Gyeonggi-do, Korea)를 이용하여 -80℃에서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분석용 찔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1 ] 항산화 활성 측정
실시예 1 내지 5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폴리페놀(polyphenol) 함량, 플라보이드(flavonoid) 함량을 측정하였다.
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Blois법(Blois, 1958)을 변형하여 실시예 1 내지 5의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각각 31.25㎍/mL, 62.5㎍/mL, 125㎍/mL, 250㎍/mL, 500㎍/mL, 1000㎍/mL 농도로 희석한 실시예 1 내지 5 100㎕에 0.2mM DPPH(Sigma-aldrich, St. Louis, MO, USA) 용액 400㎕와 에탄올 100㎕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 (Tecan, Seestrasse, M
Figure pat00001
annedorf, Switzerland)를 사용하여 517 nm에서 측정하였다.
DPPH의 흡광도가 50% 감소할 때 나타나는 실시예 1 내지 5의 농도(SC50)를 구하였으며, 3회 반복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L-ascorbic acid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 DPPH 라디칼소거활성(%)=
Figure pat00002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SC50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ascorbic acid
(대조구)
ug/mL 612.59 549.59 256.92 528.93 123.12 24.49
측정 결과, 실시예 5에서 가장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 총 polyphenol 함량 측정
Folin-Denis의 방법(Folin et al., 1912)을 변형하여 실시예 1 내지 5의 총 polyphenol 함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625㎍/mL 농도로 희석한 실시예 1 내지 5 80㎕에 1N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20㎕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용액에 2% Na2CO3 (Daejung Chemical, Gyeonggi-do Korea) 100㎕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켜 750nm에서 측정하였고, 표준물질로 Tannic acid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얻은 검량선으로부터 총 polyphenol 함량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폴리페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mg/g 40.35 78.12 112.61 68.2 202
측정 결과, 실시예 5에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이며, 실시예 3 및 2 순으로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 총 flavonoid 함량 측정
Kang 등 (Kang et al., 1996)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시예 1 내지 5의 총 flavonoid 함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5mg/ml 농도로 희석한 실시예 1 내지 5 10㎕에 Diethylene glycol(Daejung Chemical, Gyeonggi-do Korea) 100㎕와 1N NaOH 10㎕를 혼합하여 37℃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420nm에서 측정하였다.
이후, 표준물질로 kaempferol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얻은 검량선으로부터 총 flavonoid 함량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플라보노이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mg/g 57.46 43.03 37.33 57.82 86.77
측정 결과, 실시예 5에서 가장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2] 미백 활성 측정
세포 배양을 위해, heat inactivation 10% fetal bovine serum (Merck, MA, USA)와 1% penicillin/streptomycin (Gibco, Carlsbad, CA, USA)가 함유된 DMEM (High glucose, Welgene, Daegu, Korea)를 멜라노마 세포주인 B16F10 세포로 사용하였으며, 5% CO2, 37℃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가) 티로시나제 활성 측정
실시예 1 내지 5에 대한 티로시나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6 well plate에 1×105 cells/mL로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1시간 동안 전처리 하고, 200nM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α-MSH; Sigma, Saint Louis, MO, USA)를 72시간 처리하였다.
phosphate buffer saline(PBS; Welgene, Daegu, Korea)를 이용하여 세포를 수확한 후, 원심분리(3,000 rpm, 10분, 4℃)하였다. 이후, 원심분리 된 PBS를 버리고, 200μL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buffer로 세포를 분해한 후, 원심분리(13,000 rpm, 20분, 4℃) 하였다.
이후, 50mM PBS(pH 6.8), 5mM L-3,4-dihydroxyphenylalanine와 50μg 상층액을 37℃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다.
Control α-MSH
처리
positive control
(Rucinol)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티로시나제 함량(%) 100 220 95* 242 197 159 434 89*
*p < 0.05
측정 결과, 양성대조군인 Rucinol은 α-MSH에 의해 증가된 티록시나제 함량 대비 57%의 감소효과를 보였으며, 분석용 시료 5종 중 실시예 5 및 3이 각각 59%, 27%의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을 나타내어 실시예 5가 가장 강력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든 분석 자료는 평균±표준오차 (Mean ± SD)로 나타내었으며, 측정 결과는 GraphPad Instat (La Jolla, CA, USA)를 이용하여 p < 0.05 수준에서 통계처리 하였고, 통계적인 분석은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tukey-kramer multiple comparisons test 방법을 이용하였다.
나) 멜라닌 생성량 측정
실시예 1 내지 5에 대한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해, 6 well plate에 1×105 cells/mL로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1시간 동안 전처리하고, 200nM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α-MSH; Sigma, Saint Louis, MO, USA)를 72시간 처리하였다.
phosphate buffer saline(PBS; Welgene, Daegu, Korea)를 이용하여 세포를 수확한 후, 원심분리(3,000 rpm, 10분, 20℃)하였다. 이후, 원심분리 된 상측액을 버리고, 펠렛 상태에 10% dimethyl sulfoxide가 함유된 1N NaOH 용액 200μL를 첨가한 후, 60℃에서 30분간 중탕하고, 펠렛을 용해시켜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다.
Control α-MSH 처리 positive control
(Rucinol)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멜라닌 함량(%) 100 258 84* 291 177* 252 239 87*
*p < 0.05
측정 결과, 양성대조군인 Rucinol은 α-MSH에 의해 증가된 멜라닌 함량 대비 67%의 감소효과를 보였으며, 실시예 1 내지 5 중 실시예 5 및 2가 각각 66%, 31%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나타내어 실시예 5가 가장 강력한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든 분석 자료는 평균±표준오차 (Mean ± SD)로 나타내었으며, 측정 결과는 GraphPad Instat (La Jolla, CA, USA)를 이용하여 p < 0.05 수준에서 통계처리 하였고, 통계적인 분석은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tukey-kramer multiple comparisons test 방법을 이용하였다.
[ 실험예 3] 주름 생성 저해 활성 측정
실시예 1 내지 5에 대한 주름 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50mM Tris-HCl buffer(pH 8.0)에 2mM N-succinyl-Ala-Ala-Ala-ρ-nitroanilide를 제조한 용액 200μL를 첨가하고, 실시예 1 내지 5 50μL와 0.5 Unit/mL 엘라스타아제 효소 용액 100μL와 buffer 200uL를 넣어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뒤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다.
100ug/mL 양성대조군
(ursolic acid)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80.8 26.1 38.9 54.4 28.2 53.2
측정 결과, 양성대조군인 ursolic acid는 80.8%의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실시예 3 및 5에서 54.4%, 53.2%의 높은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4] 보습 활성 측정
실시예 1 내지 5에 대한 보습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히알루론산 생성능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피부각질 세포주인 HaCaT 세포는 heat inactivation 10% fetal bovine serum (Merck, MA, USA)와 1% penicillin/streptomycin (Gibco, Carlsbad, CA, USA)가 함유된 DMEM (High glucose, Welgene, Daegu, Korea)를 사용하였으며, 5% CO2, 37℃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에 대한 히알루론산 분비능을 측정하기 위해 6 well plate에 2×105cells/mL로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serum free DMEM (High) 배지로 2번 세척한 후 serum free DMEM (High) 배지로 교체하고 시료를 48시간 처리하였다.
이후, 350㎕의 media를 걷어내고, 15,000xg에서 5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을 걷어내어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를 수행할 때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ELISA는 hyaluronic acid (HA) sandwich ELISA kit(echelon, Salt Lake City, UT, USA)를 이용하였으며 제조사에서 제공한 방법에 의해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다.
100ug/mL Control 양성대조군
(Retinoic acid)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HA 생성량
(%)
100 677* 857* 543* 417* 610* 74
*p < 0.05
측정 결과, 양성대조군인 retinoic acid는 대조군에 비해 히알루론산 생성량이 6.7배 증가하였고, 실시예 1은 8.5배, 실시예 4는 6.1배 증가하여 양성대조군과 유사하거나 높은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제형예 ]
하기 표 9에 나타낸 조성으로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크림을 제조하였다.
Phase  INCI name 배합비 (%) 
A Water 67.98
Glycerin 3.00
Butylene Glycol 2.00
Cetearyl Olivate, Sorbitan Olivate 1.00
Betaine 0.10
Disodium EDTA 0.02
B Xanthan Gum 5.00
Carbomer 5.00
C Cetearyl Alcohol 1.00
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0.70
Polysorbate 20 0.20
Caprylic/Capric Triglyceride 5.00
Cyclopentasiloxane, Cyclohexasiloxane 3.00
D Triethanolamine 1.00
E Rosa Multiflora Extract(찔레 추출물) 2.00
Chrysanthemum Zawadskii Extract(산구절초 추출물) 1.00
Orostachys Japonica Extract(바위솔 추출물) 1.00
Perilla Frutescens Leaf Extract(자소엽 추출물) 0.50
Cymbopogon Citratus Extract(레몬그라스 추출물) 0.50
[ 비교예 1]
하기 표 10에 나타낸 조성으로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크림을 제조하였다.
Phase  INCI name 배합비 (%) 
A Water 67.98
Glycerin 3.00
Butylene Glycol 2.00
Cetearyl Olivate, Sorbitan Olivate 1.00
Betaine 0.10
Disodium EDTA 0.02
B Xanthan Gum 5.00
Carbomer 5.00
C Cetearyl Alcohol 1.00
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0.70
Polysorbate 20 0.20
Caprylic/Capric Triglyceride 5.00
Cyclopentasiloxane, Cyclohexasiloxane 3.00
D Triethanolamine 1.00
E Rosa Multiflora Extract(찔레 추출물) 5.00
[ 비교예 2]
하기 표 11에 나타낸 조성으로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크림을 제조하였다.
Phase  INCI name 배합비 (%) 
A Water 67.98
Glycerin 3.00
Butylene Glycol 2.00
Cetearyl Olivate, Sorbitan Olivate 1.00
Betaine 0.10
Disodium EDTA 0.02
B Xanthan Gum 5.00
Carbomer 5.00
C Cetearyl Alcohol 1.00
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0.70
Polysorbate 20 0.20
Caprylic/Capric Triglyceride 5.00
Cyclopentasiloxane, Cyclohexasiloxane 3.00
D Triethanolamine 1.00
E Chrysanthemum Zawadskii Extract(산구절초 추출물) 5.00
[ 비교예 3]
하기 표 12에 나타낸 조성으로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크림을 제조하였다.
Phase  INCI name 배합비 (%) 
A Water 67.98
Glycerin 3.00
Butylene Glycol 2.00
Cetearyl Olivate, Sorbitan Olivate 1.00
Betaine 0.10
Disodium EDTA 0.02
B Xanthan Gum 5.00
Carbomer 5.00
C Cetearyl Alcohol 1.00
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0.70
Polysorbate 20 0.20
Caprylic/Capric Triglyceride 5.00
Cyclopentasiloxane, Cyclohexasiloxane 3.00
D Triethanolamine 1.00
E Orostachys Japonica Extract(바위솔 추출물) 5.00
[ 비교예 4]
하기 표 13에 나타낸 조성으로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크림을 제조하였다.
Phase  INCI name 배합비 (%) 
A Water 67.98
Glycerin 3.00
Butylene Glycol 2.00
Cetearyl Olivate, Sorbitan Olivate 1.00
Betaine 0.10
Disodium EDTA 0.02
B Xanthan Gum 5.00
Carbomer 5.00
C Cetearyl Alcohol 1.00
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0.70
Polysorbate 20 0.20
Caprylic/Capric Triglyceride 5.00
Cyclopentasiloxane, Cyclohexasiloxane 3.00
D Triethanolamine 1.00
E Perilla Frutescens Leaf Extract(자소엽 추출물) 5.00
[ 비교예 5]
하기 표 14에 나타낸 조성으로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크림을 제조하였다.
Phase  INCI name 배합비 (%) 
A Water 67.98
Glycerin 3.00
Butylene Glycol 2.00
Cetearyl Olivate, Sorbitan Olivate 1.00
Betaine 0.10
Disodium EDTA 0.02
B Xanthan Gum 5.00
Carbomer 5.00
C Cetearyl Alcohol 1.00
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0.70
Polysorbate 20 0.20
Caprylic/Capric Triglyceride 5.00
Cyclopentasiloxane, Cyclohexasiloxane 3.00
D Triethanolamine 1.00
E Cymbopogon Citratus Extract(레몬그라스 추출물) 5.00
[ 실험예 5] 보습력 측정 실험
제형예와 비교예 1 내지 5의 보습력을 측정하기 위해, 성인 남자 20명, 성인 여자 20명을 패널로 선정하고, 코네오미터(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사)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에 따른 피부의 정전부하용량을 측정하였다.
패널들은 실험 전에 실험 부위를 깨끗이 세정한 후, 30분 동안 외부 환경에 적응시켰으며, 실험 조건으로 실내 온도 24~25℃, 상대습도 38~40%를 유지하였다.
제형예와 비교예 1 내지 5를 상완 내측(3*3cm)에 10㎍/㎖ 도포하고, 1분간 건조시킨 다음, 각 도포부위에 정제수 20ul씩 도포하고, 티슈로 수분을 닦아낸 직후로부터 1분 간격으로 0분에서 6분까지 각 도포 부위의 피부표면의 정전용량을 코네오미터로 측정하여 전도도(conductance, %)를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전도도(%) = (각 분당 5회 측정 평균 Cv 값 - 시료적용 전 Cv 값 / 시료 적용 직후(0분) 측정된 값 - 시료적용 전 Cv 값) * 100
그 결과는 하기 [표 15]과 같다.
구분 제형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0분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분 84.76 65.28 73.23 71.08 76.86 80.02
2분 80.24 58.36 69.52 66.67 71.42 75.86
3분 74.95 50.62 60.63 59.83 67.02 69.15
4분 69.86 42.97 55.78 52.64 61.84 63.38
5분 65.21 37.68 50.31 45.21 55.67 58.75
상기 [표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형예의 보습력이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해 높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형예의 보습력이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6] 미백 효과 측정 실험
제형예와 비교예 1 내지 5의 미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성인 남자 20명, 성인 여자 20명을 패널로 선정하고, 색차계를 이용하여 피부의 명암을 측정하였다.
패널들은 양팔 하박부에 직경 3cm의 구멍 3개가 뚫린 불투명 셀로판지를 부착한 후, 각 패널들의 최소 홍반량의 2배 정도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피부의 흑화를 유도하였다. 이후, 제형예와 비교예 1 내지 5를 30일간, 하루 2회 12시간 간격으로 바르게 하였다.
이후, 색차계(예, 미놀타 CR2002)를 사용하여 피부의 흑백 정도를 측정하여 효과를 판정하였다. 색을 표시하는 데에는 L*a*b* 표색계를 쓰며, 본 실험에서는 주로 L*값(명도)을 지표로 하였다.
제형예와 비교예 1 내지 5를 사용하기 시작한 시점과 30일 후 사용을 완료한 시점에서의 피부색의 차이(L*)를 구하고 이 값으로 효과를 판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6]와 같다.
시험물질 제형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ΔL* 2.3 1.80 1.57 1.36 1.21 0.92
(ΔL* = 도포후의 L* - 도포 개시할 때의 L* 값)
상기 [표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형예를 사용한 경우, 비교예 1 내지 5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피부 색소의 침착이 감소됨으로 나타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형예의 미백 효과가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레몬그라스, 산구절초, 와송, 자소엽 및 찔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이 함유된 항산화, 미백, 주름,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미백, 주름,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레몬그라스, 산구절초, 와송, 자소엽 및 찔레 추출물이 0.5~2 : 0.5~1.5 : 0.5~1.5 : 0.5~1 : 0.3~2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미백, 주름,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93363A 2018-08-09 2018-08-09 항산화, 미백, 주름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7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363A KR102097723B1 (ko) 2018-08-09 2018-08-09 항산화, 미백, 주름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363A KR102097723B1 (ko) 2018-08-09 2018-08-09 항산화, 미백, 주름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868A true KR20200017868A (ko) 2020-02-19
KR102097723B1 KR102097723B1 (ko) 2020-04-06

Family

ID=6967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363A KR102097723B1 (ko) 2018-08-09 2018-08-09 항산화, 미백, 주름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7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217A (ko) * 2021-05-20 2022-11-29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859B1 (ko) 2024-01-03 2024-05-30 주식회사 네오캠코리아 피부 보습 및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농림축산식품부., "허브산업기반 활용 뷰티산업 소재˙제품 개발 및 특성화산업융성 기획 최종보고서 (2017.05.1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217A (ko) * 2021-05-20 2022-11-29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723B1 (ko)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60110A1 (en)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SG176729A1 (en) Extract of whole seeds of moringa sp., and use thereof in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KR101895412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4419B1 (ko) 모링가 종자 유래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를 함유하여 피부 보습, 피부 미백, 피부 탄력 유지 및 향상, 피부 주름 방지에 유효한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1825803B1 (ko) 마가목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7723B1 (ko) 항산화, 미백, 주름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9265B1 (ko) 니코티노일 펩타이드 및 천연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3899B1 (ko)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복합 천연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0994987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5188B1 (ko) 등차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50857B1 (ko) 국화 및 목련 유성온천수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6857A (ko)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9524B1 (ko) 새싹삼 잎, 줄기 발효액 또는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52472B1 (ko)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830860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8173A (ko) 큰실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20741B1 (ko) 떡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5757A (ko) 녹두씨, 만주자작나무수액 및 소리쟁이뿌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5091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