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788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788A
KR20200016788A KR1020190077567A KR20190077567A KR20200016788A KR 20200016788 A KR20200016788 A KR 20200016788A KR 1020190077567 A KR1020190077567 A KR 1020190077567A KR 20190077567 A KR20190077567 A KR 20190077567A KR 20200016788 A KR20200016788 A KR 20200016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s
connector
contact
row
r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7442B1 (ko
Inventor
세이야 마츠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6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41D1/005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with embedded cable o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01R33/765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the terminal pins having a non-circular dis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8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오감합 방지용의 돌기 및 홈을 이용하지 않고 오감합을 방지하고 또한 콘택트의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2열이고 또한 3 이상의 정수를 N으로 하여 N행에 배열된 2×N개의 콘택트(13)를 구비하고, 각각의 열의 N개의 콘택트는 열에 평행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소정의 폭을 갖는 열 영역 내이고 또한 서로 제1 방향으로 콘택트간 피치(PY)로 배열되고, N행 중 제1 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행의 2개의 콘택트(C1A, C1B)의 간격(P1)은 다른 모든 행에서의 2개의 콘택트의 간격보다도 크고 또한 콘택트간 피치(PY)와 다르고, N행 중 제1 방향의 타단에 위치하는 행의 2개의 콘택트(C3A, C3B)의 간격(P3)은 다른 모든 행에서의 2개의 콘택트의 간격보다도 작고 또한 콘택트간 피치(PY)와 다르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이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측 커넥터와의 오감합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오감합을 방지하는 구조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도 26에 나타나는 리셉터클(1)과 도 27에 나타나는 플러그(2)를 감합시키는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리셉터클(1)은 절연 하우징(3)과, 절연 하우징(3)에 유지된 복수의 콘택트(4)를 갖고, 절연 하우징(3)에는 감합공(3A) 및 감합공(3A)의 중심축(A1)에 대하여 편심한 위치에 배치된 키 홈(3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2)는 절연 하우징(5)과, 절연 하우징(5)에 유지된 복수의 콘택트(6)를 갖고, 절연 하우징(5)에는 감합돌기(5A) 및 감합돌기(5A)의 중심축(A2)에 대하여 편심하고 리셉터클(1)의 키 홈(3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키 돌기(5B)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1)과 플러그(2)의 감합시에는 플러그(2)의 감합돌기(5A)가 리셉터클(1)의 감합공(3A)에 삽입되고, 플러그(2)의 복수의 콘택트(6)와 리셉터클(1)의 복수의 콘택트(4)가 서로 접속된다.
이때, 플러그(2)의 키 돌기(5B)가 리셉터클(1)의 키 홈(3B)에 감합함으로써 오감합이 방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특개 2013-187006호 공보
그러나, 리셉터클(1)의 절연 하우징(3)에 키 홈(3B)을 형성하고, 플러그(2)의 절연 하우징(5)에 키 돌기(5B)을 형성하기 위해 리셉터클(1) 및 플러그(2)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커넥터의 소형화를 꾀하기 위해 리셉터클(1) 및 플러그(2)에 키 홈(3B) 및 키 돌기(5B)를 각각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을 경우에는, 키 홈(3B) 및 키 돌기(5B)에 의한 오감합 방지를 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리셉터클(1)의 복수의 콘택트(4) 및 플러그(2)의 복수의 콘택트(6)는 각각 제1 방향(D1)을 따른 2열이고 또한 제1 방향(D1)에 수직한 방향을 따른 3행, 즉 2열 3행으로 배열된 합계 6개의 콘택트로 이루어지고, 각 행에 배치된 한 쌍의 콘택트는 서로 공통의 열 간 피치(P)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1)에 대하여 플러그(2)를 제1 방향(D1)에 경사한 상태로 감합시키고자 하면, 플러그(2)의 3행의 콘택트(6) 중 제1 방향(D1)의 단부에 위치하는 행의 한 쌍의 콘택트(6)가 리셉터클(1)의 3행의 콘택트(4) 중 예를 들면 중앙에 위치하는 행의 한 쌍의 콘택트(4)에 잘못 접속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비스듬한 감합에 의해 서로 대응하지 않는 리셉터클(1)의 콘택트(4)와 플러그(2)의 콘택트(6)가 오접속되면, 리셉터클(1) 또는 플러그(2)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회로에 예기치 않은 전기신호가 공급되어 전자회로가 손상되거나, 또는 리셉터클(1)의 콘택트(4) 및 플러그(2)의 콘택트(6)에 예기치 않은 외력이 작용하여 콘택트(4, 6)가 손상될 우려가 생긴다.
이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오감합 방지용의 돌기 및 홈을 이용하지 않고 오감합을 방지하고 또한 콘택트의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2열이며 또한 3 이상의 정수를 N으로 하여 N행에 배열된 2×N개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각각의 열의 N개의 콘택트는 각각의 열에 평행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열 영역 내에서 서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로 배열되고, N행 중 제1 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행의 2개의 콘택트 사이의 간격은 다른 각 행에서의 2개의 콘택트 사이의 간격보다도 크고 또한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와 다르고, N행 중 제1 방향의 타단에 위치하는 행의 2개의 콘택트 사이의 간격은 다른 각 행에서의 2개의 콘택트 사이의 간격보다도 작고 또한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와 다른 것이다.
N행 중 제1 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행의 2개의 콘택트 사이의 간격은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보다도 크고, N행 중 제1 방향의 타단에 위치하는 행의 2개의 콘택트 사이의 간격은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콘택트는 대응하는 열 영역 내에 규정되고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콘택트 배치선 중 어느 하나의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2×N개의 콘택트는 각각의 열 영역 내에서 2개의 콘택트 배치선으로 이루어지는 합계 4열이면서 또한 N행의 격자상에 배치되게 된다.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또한 2×N개의 콘택트를 유지하는 커넥터 본체를 구비하고, 커넥터 본체는, 2×N개의 콘택트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돌출되는 벽부와, 벽부 내에 형성되고 또한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상대측 커넥터의 하우징의 일부가 삽입되는 오목형상의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2×N개의 콘택트는 각각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 내에 돌출되는 플러그형 콘택트로 이루어지고, 벽부는 플러그형 콘택트의 돌출 높이 이상의 돌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열의 N개의 콘택트로부터, 제2 방향을 따라, 타방의 열과는 반대측에 N개의 도전부재가 인출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의복에 설치되는 의복용 커넥터라고 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열의 N개의 콘택트는 각각의 열에 평행한 제1 방향에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열 영역 내에서 서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로 배열되고, N행 중 제1 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행의 2개의 콘택트 사이의 간격은, 다른 각 모든 행에서의 2개의 콘택트 사이의 간격보다도 크고 또한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와 다르고, N행 중 제1 방향의 타단에 위치하는 행의 2개의 콘택트 사이의 간격은, 다른 각 모든 행에서의 2개의 콘택트 사이의 간격보다도 작고 또한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와 다르므로, 오감합 방지용의 돌기 및 홈을 이용하지 않고 오감합을 방지하고 또한 콘택트의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의 커넥터에 이용되는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의 커넥터에 이용되는 콘택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의복에 설치된 제 1 실시예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의복에 설치된 제 1 실시예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의 커넥터의 상방에 상대측 커넥터를 위치맞춤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상대측 커넥터를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대측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한 제 1 실시예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서의 복수의 콘택트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상대측 커넥터에서의 복수의 콘택트의 배치위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4는 상대측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감합한 경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의 위치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상대측 커넥터가 -Y방향으로 1콘택트간 피치만큼 벗어나서 오감합하려고 하는 경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의 위치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상대측 커넥터가 +Y방향으로 1콘택트간 피치만큼 벗어나서 오감합하려고 하는 경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의 위치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상대측 커넥터가 180도 회전하여 오감합하려고 하는 경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의 위치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상대측 커넥터가 90도 회전하여 오감합하려고 하는 경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대측 커넥터가 90도 회전하여 오감합하려고 하는 경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상대측 커넥터가 90도 회전하여 오감합하려고 하는 경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상대측 커넥터가 90도 회전하여 오감합하려고 하는 경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의 위치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의 커넥터에서의 복수의 콘택트의 배치 위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의 커넥터에 대응하는 상대측 커넥터에서의 복수의 콘택트의 배치 위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상대측 커넥터의 복수의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서의 복수의 콘택트의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종래의 커넥터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종래의 커넥터의 플러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 및 도 2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1)를 나타낸다. 커넥터(11)는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합하기 위해 의복에 설치되는 의복용 커넥터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본체(12)를 갖고, 커넥터 본체(12)에 복수의 콘택트(13)와 시트 형상의 커넥터 고정부재(14)가 유지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2)는 제1 인슐레이터(15)와, 제1 인슐레이터(15)에 결합되는 제2 인슐레이터(16)를 갖고 있고, 커넥터 고정부재(14)는 제1 인슐레이터(15)와 제2 인슐레이터(16) 사이에 끼워져 유지되고, 커넥터 본체(12)의 외주부를 끊어진 곳 없이 둘러싸도록 커넥터 본체(12)의 외부로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1 인슐레이터(15) 및 제2 인슐레이터(16)는 모두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을 갖고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인슐레이터(15)에는 복수의 콘택트(13)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돌출되는 벽부(17)가 형성되는 동시에, 벽부(17) 내측에 오목형상의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7A)가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콘택트(13)가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7A)의 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7A) 내에 돌출되어 있다. 또한, 벽부(17)는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고, 제1 인슐레이터(15)가 평판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1)는 복수의 콘택트(13)에 대응하고 커넥터 본체(12)에 유지된 복수의 도전부재(18)를 갖고 있다. 복수의 도전부재(18)는 각각 커넥터 본체(12)의 내부에 배치되어 대응하는 콘택트(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후술하는 내부 도전부(18A)와, 커넥터 본체(12)의 외부에 배치되고 커넥터 고정부재(14)를 따라 연장되어 커넥터 고정부재(14)에 의해 덮이는 외부 도전부(18B)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편의상 대략 직사각형의 제1 인슐레이터(15) 및 제2 인슐레이터(16)의 단변 방향을 X방향 (제2 방향), 장변 방향을 Y방향 (제1 방향), XY면에 수직하고 또한 각각의 콘택트(13)가 돌출되는 방향을 +Z방향이라 부르기로 한다.
즉, 6개의 콘택트(13)가 3개씩 각각 대략 Y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되어 있고, 6개의 콘택트(13) 중, +X방향측의 열에 배치된 3개의 콘택트(13)로부터, -X방향측의 타방의 열과는 반대측의 +X방향으로 3개의 도전부재(18)가 인출되고, -X방향측의 열에 배치된 3개의 콘택트(13)로부터, +X방향측의 타방의 열과는 반대측의 -X방향으로 3개의 도전부재(18)가 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열의 3개의 콘택트(13)로부터 타방의 열과는 반대측에 3개의 도전부재(18)가 인출됨으로써, 각각의 도전부재(18)를 넓은 폭으로 설정할 수 있고, 도전부재(18)의 전기 저항의 저감 및 전기 용량의 증대를 꾀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1)는 또한 제1 인슐레이터(15)와 복수의 도전부재(18)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방수 시트(19)와, 복수의 도전부재(18)와 제2 인슐레이터(16)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방수 시트(20)와, 복수의 도전부재(18)와 제2 방수 시트(20) 사이에 배치되는 2개의 침투접착제 시트(S)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인슐레이터(15)에는 복수의 콘택트(13)가 관통하는 복수의 콘택트 설치공(15A)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 형상의 커넥터 고정부재(14)는 절연성을 갖고 있고, 수지 또는 직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고정부재(14)의 중앙에는 개구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방수 시트(19) 및 제2 방수 시트(20)는 제1 인슐레이터(15) 및 제2 인슐레이터(16)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장방형상을 갖는 시트 형상 또는 필름 형상의 고형접착제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열용해형의 열가소성 접착제를 제1 방수 시트(19) 및 제2 방수 시트(20)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열가소성 접착제는, 소위 핫멜트 접착제라고도 불리우며, 상온에서는 고체이지만, 가열함으로써 용융하고, 냉각고화에 의해 접합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1 방수 시트(19) 및 제2 방수 시트(20)에는 각각 복수의 콘택트(13)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공(19A, 20A)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도전부재(18)는 각각 도전섬유를 이용하여 직물 형상으로 가공된 부재이며, 도전성과 가요성을 갖고 있다.
침투접착제 시트(S)는 제1 방수 시트(19) 및 제2 방수 시트(20)와 마찬가지로, 고형접착제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열용해형의 열가소성 접착제를 침투접착제 시트(S)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단, 가열해서 용융했을 때에 제1 방수 시트(19) 및 제2 방수 시트(20)의 접착제보다도 유동성이 높고, 도전섬유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도전부재(18)의 내부에 침투하기 쉬운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인슐레이터(16)에는 복수의 콘택트(13)에 대응하고 또한 각각 +Z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콘택트용 돌기(16A)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콘택트(13)는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플러그형의 콘택트이며, Z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돌출부(13A)와, 돌출부(13A)의 -Z방향의 기단으로부터 XY면을 따라 연장되는 플렌지(13B)를 갖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돌출부(13A)의 내부에는 오목형상의 돌기수용부(13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인슐레이터(15)의 복수의 콘택트 설치공(15A) 및 제1 방수 시트(19)의 복수의 관통공(19A)은 각각 콘택트(13)의 돌출부(13A)의 외경보다도 조금 크고 또한 플렌지(13B)의 외경보다도 작은 내경을 갖는 것으로 한다.
커넥터(11)를 조립할 때는, 우선 제1 인슐레이터(15)와 제2 인슐레이터(16) 사이에 커넥터 고정부재(14), 제1 방수 시트(19), 복수의 콘택트(13), 복수의 도전부재(18), 2개의 침투접착제 시트(S) 및 제2 방수 시트(20)가 끼워진다. 이때, 복수의 콘택트(13)의 돌출부(13A)는 제1 방수 시트(19)의 복수의 관통공(19A), 커넥터 고정부재(14)의 개구부(14A), 및 제1 인슐레이터(15)의 복수의 콘택트 설치공(15A)을 통해 제1 인슐레이터(15)의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7A) 내로 돌출되고, 복수의 콘택트(13)의 플렌지(13B)의 -Z방향측의 면 상에 도전섬유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도전부재(18)가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제2 인슐레이터(16)가 제1 인슐레이터(15)을 향해 밀어붙여진다. 이로 인해, 제2 인슐레이터(16)의 +Z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콘택트용 돌기(16A)가 복수의 도전부재(18)를 사이에 끼워서, 복수의 콘택트(13)의 돌기수용부(13C)에 삽입되고, 도전부재(18)는 각각 대응하는 콘택트용 돌기(16A)에 의해 +Z방향으로 돌출되어 변형하고, 대응하는 콘택트(13)의 돌기수용부(13C)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가열처리가 실시되고, 제1 방수 시트(19) 및 제2 방수 시트(20)가 용융한 후, 냉각됨으로써 고화된다. 이로 인해, 제1 인슐레이터(15)와 제2 인슐레이터(16)가 서로 접착되는 동시에, 제1 인슐레이터(15)와 제2 인슐레이터(16) 사이에 고화된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방수층이 형성되어, 제1 인슐레이터(15)과 제2 인슐레이터(16) 사이에 물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가열처리에 의해 복수의 도전부재(18) 위에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침투접착제 시트(S)도 용융하지만, 침투접착제 시트(S)는 용융시에 높은 유동성을 갖고 있고, 도전섬유로 이루어지는 도전부재(18)의 내부로 용융한 접착제가 침투하고, 그 후 냉각 고화된다. 따라서, 도전부재(18)의 내부에 침투접착제 시트(S)를 구성하고 있던 접착제가 들어가서 고화하고, 이로 인해 도전부재(18)의 내부를 통과해 외부로부터 제1 인슐레이터(15)와 제2 인슐레이터(16) 사이에 물이 침입하는 것도 방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커넥터(11)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커넥터(11)는 의복의 직물(21)에 설치된다. 직물(21)의 이면에는 커넥터(11)의 복수의 도전부재(18)에 대응하는 복수의 의복측 도체부(23)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커넥터(11)가 의복의 직물(21) 위에 위치된 후, 커넥터 고정부재(14)를 넘기면서, 직물(21)의 표면 상에 위치하는 커넥터(11)의 복수의 도전부재(18)의 선단부와, 직물(21)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의복측 도체부(23)가 도전성 실(24)을 이용하여 직물(21)과 함께 봉합된다. 이로 인해, 커넥터(11)의 복수의 도전부재(18)와 직물(21)의 복수의 의복측 도체부(23)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후, 커넥터 고정부재(14)의 가장자리부가 절연성 실(25)을 이용하여 직물(21)에 봉합되고, 커넥터 고정부재(14)가 의복 직물(21)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커넥터(11)가 의복에 설치된다.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12)의 제1 인슐레이터(15)와 제2 인슐레이터(16)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시트 형상의 커넥터 고정부재(14) 및 도전부재(18)가 커넥터 본체(12)에 유지되고, 도전부재(18)가 도전성 실(24)을 이용하여 직물(21)에 봉합됨으로써 도전부재(18)와 의복측 도체부(23)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커넥터 고정부재(14)의 가장자리부가 절연성 실(25)을 이용하여 직물(21)에 봉합됨으로써 커넥터(11)가 의복에 설치된다.
또한, 커넥터 본체(12)의 벽부(17)는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7A) 내로 돌출되는 콘택트(13)의 돌출 높이 이상의 돌출 높이를 갖고 있다.
의복 직물(21)에 설치된 커넥터(11)에 상대측 커넥터가 되는 전자기기 모듈(31)을 위치맞춤한 상태를 도 8에 나타낸다.
전자기기 모듈(31)은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32)을 갖고 있다. 하우징(32)은 제1 하우징 부재(33)와, 제1 하우징 부재(33)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부재(34)를 갖고 있다. 제1 하우징 부재(33)는 -Z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33A)를 갖고, 볼록부(33A)를 둘러싸도록 볼록부(33A)의 외주부에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방수 링(35)이 장착되어 있다. 볼록부(33A)는 전자기기 모듈(31)을 커넥터(11)에 감합했을 때에 커넥터(11)의 오목형상의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7A)에 삽입되는 것이다.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 모듈(31)은 또한 복수의 콘택트(36)가 설치된 기판(37)과, 제1 하우징 부재(33)와 기판(37) 사이에 배치되는 방수부재(38)와, 기판(37)을 제1 하우징 부재(3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나사(39)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하우징 부재(33)의 볼록부(33A)의 -Z방향을 향한 면(33B)에 커넥터(11)의 복수의 콘택트(13)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택트 수용공(33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33A)의 외측면에는 볼록부(33A)를 둘러싸도록 방수 링(35)을 장착하기 위한 홈(33D)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37)에 장착된 콘택트(36)는 전자기기 모듈(31)을 커넥터(11)에 감합했을 때에, 커넥터(11)의 플러그형의 콘택트(13)에 접속되는 리셉터클형의 콘택트이며,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커넥터(11)의 콘택트(13)가 삽입되는 삽입공(36A)을 갖고 있다.
방수부재(38)에는 복수의 콘택트(36)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부(38A)가 형성되어 있다.
방수부재(38)를 사이에 끼워 복수의 콘택트(36)가 설치된 기판(37)을 고정 나사(39)에 의해 제1 하우징 부재(33)에 고정하고, 제1 하우징 부재(33)에 제2 하우징 부재(34)를 결합하고, 제1 하우징 부재(33)의 볼록부(33A)의 홈(33D)에 방수 링(35)을 장착함으로써, 도 9에 나타나는 전자기기 모듈(31)이 조립된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 모듈(31)을 커넥터(11)에 감합하면, 전자기기 모듈(31)의 제1 하우징 부재(33)의 일부인 볼록부(33A)가 커넥터(11)의 오목형상의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7A)에 삽입되지만, 이때, 전자기기 모듈(31)의 방수 링(35)이 제1 하우징 부재(33)의 볼록부(33A)의 외측면과 커넥터(11)의 오목형상의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7A) 사이에서 압축 변형됨으로써, 전자기기 모듈(31)과 커넥터(11)가 서로 견고하게 감합하고, 또한 전자기기 모듈(31)과 커넥터(11) 사이에서 물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전자기기 모듈(31)의 볼록부(33A)가 커넥터(11)의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7A)에 삽입됨으로써, 커넥터(11)의 복수의 플러그형의 콘택트(13)가 전자기기 모듈(31)의 복수의 콘택트 수용공(33C)을 통해서 복수의 리셉터클형의 콘택트(36)에 삽입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자기기 모듈(31)을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11)가 갖는 6개의 콘택트(13)의 배치 위치를 도 12에 나타낸다. 6개의 콘택트(13)는 3개씩, 대략 Y방향 (제1 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되어 있고, -X방향측의 열에 배열된 3개의 콘택트(13)를 콘택트(C1A, C2A, C3A)라 부르고, +X방향측의 열에 배열된 3개의 콘택트(13)를 콘택트(C1B, C2B, C3B)라 부르기로 한다.
-X방향측의 열에 배열된 3개의 콘택트(C1A, C2A, C3A)는 각각 Y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X방향(제2 방향)으로 거리(PX)만큼 서로 떨어진 2개의 콘택트 배치선(XA1 및 XA2) 중 어느 하나 위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콘택트(C1A, C2A)는 콘택트 배치선(XA1) 상에 배치되고, 콘택트(C3A)는 콘택트 배치선(XA2) 상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X방향측의 열에 배열된 3개의 콘택트(C1B, C2B, C3B)는 각각 Y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X방향으로 거리(PX)만큼 서로 떨어진 2개의 콘택트 배치선(XB1, XB2) 중 어느 하나 위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콘택트(C1B)는 콘택트 배치선(XB2) 상에 배치되고, 콘택트(C2B, C3B)는 콘택트 배치선(XB1)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X방향측의 열의 3개의 콘택트(C1A, C2A, C3A) 및 +X방향측의 열의 3개의 콘택트(C1B, C2B, C3B)는 각각 Y방향으로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PY)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C1A, C1B)는 서로 동등한 Y방향 위치에 있어 X방향에 따른 행(Y1C)을 구성하고, 마찬가지로, 콘택트(C2A, C2B)는 서로 동등한 Y방향 위치에 있어 X방향에 따른 행(Y2C)을 구성하고, 콘택트(C3A, C3B)는 서로 동등한 Y방향 위치에 있어 X방향에 따른 행(Y3C)을 구성하고 있다. 즉, 6개의 콘택트(C1A, C2A, C3A, C1B, C2B, C3B)는 2열 3행으로 배열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6개의 콘택트(C1A, C2A, C3A, C1B, C2B, C3B)는 -X방향측의 2개의 콘택트 배치선(XA1, XA2)과 +X방향측의 2개의 콘택트 배치선(XB1, XB2)으로 이루어지는 합계 4열이고 또한 3행의 격자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3개의 행(Y1C, Y2C, Y3C) 중, -Y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행(Y1C)의 2개의 콘택트(C1A, C1B)의 간격(P1)은 다른 행 (Y2C)에서의 2개의 콘택트(C2A, C2B)의 간격(P2) 및 다른 행(Y3C)에서의 2개의 콘택트(C3A, C3B)의 간격(P3)보다도 크고, 또한 Y방향의 소정의 콘택트간 피치(PY)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3개의 행(Y1C, Y2C, Y3C) 중, +Y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행(Y3C)의 2개의 콘택트(C3A, C3B)의 간격(P3)은 다른 행(Y1C)에서의 2개의 콘택트(C1A, C1B)의 간격(P1) 및 다른 행(Y2C)에서의 2개의 콘택트(C2A, C2B)의 간격(P2)보다도 작고, 또한 Y방향의 소정의 콘택트간 피치(PY)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커넥터(11)에 대한 상대측 커넥터가 되는 전자기기 모듈(31)이 갖는 6개의 콘택트(36)의 배치 위치를 도 13에 나타낸다. 여기서, 콘택트(36)의 배치 위치란, 도 10에 나타나는 콘택트(36)의 삽입공(36A)이 배치된 위치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6개의 콘택트(36)는 커넥터(11)가 갖는 6개의 콘택트(13)와 마찬가지로, 3개씩 대략 Y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되어 있고, -X방향측의 열에 배열된 3개의 콘택트(36)를 콘택트(H1A, H2A, H3A)라 부르고, +X방향측의 열에 배열된 3개의 콘택트(36)를 콘택트 (H1B, H2B, H3B)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도 13은 커넥터(11)에 대향하는 전자기기 모듈(31)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6개의 콘택트(36)의 배치 위치는 도 12에 나타나는 커넥터(11)의 6개의 콘택트(13)의 배치 위치에 대하여 좌우 대칭의 관계에 있다.
-X방향측의 열에 배열된 3개의 콘택트(H1A, H2A, H3A)는 각각 Y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X방향으로 거리(PX)만큼 서로 떨어진 2개의 콘택트 배치선(XA1, XA2) 중 어느 하나 위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콘택트(H1A 및 H2A)는 콘택트 배치선(XA1) 상에 배치되고, 콘택트(H3A)는 콘택트 배치선(XA2) 상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X방향측의 열에 배열된 3개의 콘택트(H1B, H2B, H3B)는 각각 Y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X방향으로 거리(PX)만큼 서로 떨어진 2개의 콘택트 배치선(XB1, XB2) 중 어느 하나 위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콘택트(H1B)는 콘택트 배치선(XB2) 상에 배치되고, 콘택트(H2B, H3B)는 콘택트 배치선(XB1)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X방향측의 열의 3개의 콘택트(H1A, H2A, H3A) 및 +X방향측의 열의 3개의 콘택트(H1B, H2B, H3B)는 각각 Y방향으로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PY)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 H1A와 H1B는 서로 동등한 Y방향 위치에 있으며 X방향에 따른 행(Y1H)을 구성하고, 마찬가지로 콘택트 H2A와 H2B는 서로 동등한 Y방향 위치에 있으며 X방향에 따른 행(Y2H)을 구성하고, 콘택트 H3A와 H3B는 서로 동등한 Y방향 위치에 있으며 X방향에 따른 행(Y3H)을 구성하고 있다. 즉, 6개의 콘택트(36)는 2열 3행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3개의 행(Y1H, Y2H, Y3H) 중, -Y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행(Y1H)의 2개의 콘택트(H1A, H1B)의 간격(P1)은 다른 행(Y2H)에서의 2개의 콘택트(H2A, H2B)의 간격(P2) 및 다른 행(Y3H)에서의 2개의 콘택트(H3A, H3B)의 간격(P3)보다도 크고, 또한 Y방향의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PY)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3개의 행(Y1H, Y2H, Y3H) 중, +Y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행(Y3H)의 2개의 콘택트(H3A, H3B)의 간격(P3)은 다른 행(Y1H)에서의 2개의 콘택트(H1A, H1B)의 간격(P1) 및 다른 행(Y2H)에서의 2개의 콘택트(H2A, H2B)의 간격(P2)보다도 작고, 또한 Y방향의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PY)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즉, 커넥터(11)의 6개의 콘택트(C1A, C2A, C3A, C1B, C2B, C3B)와 전자기기 모듈(31)의 6개의 콘택트(H1A, H2A, H3A, H1B, H2B, H3B)는 각각의 행에서의 2개의 콘택트의 간격(P1, P2, P3), Y방향의 콘택트간 피치(PY)가 서로 같고, 서로 대응하는 배치 위치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전자기기 모듈(31)이 커넥터(11)에 정상적으로 감합한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1)의 6개의 콘택트(C1A, C2A, C3A, C1B, C2B, C3B)가 각각 전자기기 모듈(31)의 6개의 콘택트(H1A, H2A, H3A, H1B, H2B, H3B)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 14는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1)에 전자기기 모듈(31)이 감합한 상태를 +Z방향에서 -Z방향으로 향해 투시한 경우의 콘택트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 모듈(31)이 커넥터(11)에 대하여 -Y방향으로 하나의 콘택트간 피치(PY)만큼 벗어난 상태로 커넥터(11) 위에 배치된 경우에는, 전자기기 모듈(31)의 +Y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행(Y3H)에서의 2개의 콘택트(H3A, H3B)와, 커넥터(11)의 중간의 행(Y2C)에서의 2개의 콘택트(C2A, C2B)가 서로 동일한 Y방향 위치가 된다.
그러나, 전자기기 모듈(31)의 행(Y3H)에서의 2개의 콘택트(H3A, H3B)의 간격(P3)은 커넥터(11)의 행(Y2C)에서의 2개의 콘택트(C2A, C2B)의 간격(P2)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커넥터(11)의 2개의 콘택트(C2A, C2B)가 전자기기 모듈(31)의 2개의 콘택트(H3A, H3B)에 삽입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11)의 콘택트(C2A)가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H3A)에 대하여 다른 X방향 위치로 되어 있어 콘택트(H3A)에 삽입되지 않고, 전자기기 모듈(31)의 볼록부(33A)의 -Z방향을 향한 면(33B)에 맞부딪친다. 그 결과, 커넥터(11)의 콘택트(C2A, C2B)가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H3A, H3B)에 잘못 접속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때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1)의 콘택트(C1A, C1B)도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H2A, H2B)와 동일한 Y방향 위치가 되지만, 커넥터(11)의 콘택트(C1B)가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H2B)에 삽입되지 않고, 전자기기 모듈(31)의 면(33B)에 맞부딪치게 된다.
또한,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 모듈(31)이 커넥터(11)에 대하여 +Y방향으로 하나의 콘택트 간 피치(PY)만큼 벗어난 상태로 커넥터(11) 위에 배치된 경우에는, 전자기기 모듈(31)의 -Y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행(Y1H)에서의 2개의 콘택트(H1A, H1B)와 커넥터(11)의 중간 행(Y2C)에서의 2개의 콘택트(C2A, C2B)가 서로 동일한 Y방향 위치가 된다.
그러나, 전자기기 모듈(31)의 행(Y1H)에서의 2개의 콘택트(H1A, H1B)의 간격(P1)은 커넥터(11)의 행(Y2C)에서의 2개의 콘택트(C2A, C2B)의 간격(P2)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커넥터(11)의 2개의 콘택트(C2A, C2B)가 전자기기 모듈(31)의 2개의 콘택트(H1A, H1B)에 삽입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11)의 콘택트(C2B)가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H1B)에 대하여 다른 X방향 위치로 되어 있어 콘택트(H1B)에 삽입되지 않고, 전자기기 모듈(31)의 면(33B)에 맞부딪친다. 그 결과, 커넥터(11)의 콘택트(C2A, C2B)가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H1A, H1B)에 잘못 접속되지는 않는다.
한편, 이때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1)의 콘택트(C3A, C3B)도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H2A, H2B)와 동일한 Y방향 위치가 되지만, 커넥터(11)의 콘택트(C3A)가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H2A)에 삽입되지 않고, 전자기기 모듈(31)의 면(33B)에 맞부딪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11)에 대하여 전자기기 모듈(31)을 Y방향으로 경사한 상태로 감합시키고자 해도, 전자기기 모듈(31)이 커넥터(11)에 잘못 감합되지 않고, 또한 커넥터(11)의 콘택트가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에 잘못 접속되지는 않는다. 즉, 커넥터(11)에 대한 전자기기 모듈(31)의 오감합 및 콘택트의 오접속이 방지된다.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 모듈(31)이 커넥터(11)에 대하여 180도 회전한 상태로 커넥터(11) 위에 배치된 경우에는, 전자기기 모듈(31)의 행(Y3H)에서의 2개의 콘택트(H3A, H3B)와 커넥터(11)의 행(Y1C)에서의 2개의 콘택트(C1A, C1B)가 서로 동일한 Y방향 위치가 되고, 마찬가지로 전자기기 모듈(31)의 행(Y2H)에서의 2개의 콘택트(H2A, H2B)와 커넥터(11)의 행(Y2C)에서의 2개의 콘택트(C2A, C2B)가 서로 동일한 Y방향 위치가 되고, 또한 전자기기 모듈(31)의 행(Y1H)에서의 2개의 콘택트(H1A, H1B)와 커넥터(11)의 행(Y3C)에서의 2개의 콘택트 (C3A, C3B)가 서로 동일한 Y방향 위치가 된다.
그러나, 전자기기 모듈(31)의 행(Y3H)에서의 2개의 콘택트(H3A, H3B)의 간격(P3)은 커넥터(11)의 행(Y1C)에서의 2개의 콘택트(C1A, C1B)의 간격(P1)보다도 작게 설정되고, 전자기기 모듈(31)의 행(Y1H)에서의 2개의 콘택트(H1A, H1B)의 간격(P1)은 커넥터(11)의 행(Y3C)에서의 2개의 콘택트(C3A, C3B)의 간격(P3)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전자기기 모듈(31)의 행(Y2H)에서의 2개의 콘택트(H2A, H2B)의 간격(P2)은 커넥터(11)의 행(Y2C)에서의 2개의 콘택트(C2A, C2B)의 간격(P2)과 같지만, 전자기기 모듈(31)이 커넥터(11)에 대하여 180도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H2A, H2B)와 커넥터(11)의 콘택트(C2A, C2B)는 모두 X방향 위치가 다르다.
따라서, 커넥터(11)의 6개의 콘택트(C1A, C2A, C3A, C1B, C2B, C3B)의 모두가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H1A, H2A, H3A, H1B, H2B, H3B)에 삽입되지 않고, 전자기기 모듈(31)의 면(33B)에 맞부딪치고, 커넥터(11)에 대한 전자기기 모듈(31)의 오감합 및 콘택트의 오접속이 방지된다.
또한, 도 18∼도 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 모듈(31)이 커넥터(11)에 대하여 90도 회전한 상태로 커넥터(11) 위에 배치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도 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전자기기 모듈(31)의 행(Y3H)이 커넥터(11)의 콘택트 배치선(XA1) 상에 겹치고, 전자기기 모듈(31)의 행(Y3H)에서의 콘택트(H3A, H3B)와, 커넥터(11)의 콘택트 배치선(XA1)상의 콘택트(C1A, C2A)가 서로 동일한 X방향 위치가 된다.
그러나, 전자기기 모듈(31)의 행(Y3H)에서의 2개의 콘택트(H3A, H3B)의 간격(P3)은 커넥터(11)의 콘택트 배치선(XA1) 상의 콘택트(C1A, C2A)의 사이의 콘택트 간 피치(PY)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커넥터(11)의 2개의 콘택트(C1A, C2A)가 전자기기 모듈(31)의 2개의 콘택트(H3A, H3B)에 삽입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11)의 콘택트(C1A)가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H3A)에 대하여 다른 Y방향 위치로 되어 있어 콘택트(H3A)에 삽입되지 않고 전자기기 모듈(31)의 면(33B)에 맞부딪친다. 그 결과, 커넥터(11)의 콘택트(C1A, C2A)가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H3A, H3B)에 잘못 접속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때 도 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1)의 콘택트(C1B)도 커넥터(11)의 콘택트(C1B)가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H2A)에 삽입되지 않고, 전자기기 모듈(31)의 면(33B)에 맞부딪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11)에 대하여 전자기기 모듈(31)을 90도 회전한 상태로 감합시키고자 해도 전자기기 모듈(31)이 커넥터(11)에 잘못 감합하지 않고, 또한 커넥터(11)의 콘택트가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에 잘못 접속되지는 않는다. 즉, 커넥터(11)에 대한 전자기기 모듈(31)의 오감합 및 콘택트의 오접속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커넥터(11)에 대하여 전자기기 모듈(31)을 270도 회전한 상태로 감합시키고자 해도, 전자기기 모듈(31)이 커넥터(11)에 잘못 감합하지는 않고, 또한 커넥터(11)의 콘택트가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에 잘못 접속되지는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1)에 의하면, 커넥터(11)에 대하여 전자기기 모듈(31)을 Y방향으로 경사한 상태로 감합시키고자 해도, 또한 90도, 180도 또는 270도 회전한 상태로 감합시키고자 해도, 전자기기 모듈(31)이 커넥터(11)에 잘못 감합하거나 콘택트가 잘못 접속되는 것이 방지된다.
커넥터(11)는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나는 종래의 커넥터가 갖는 오감합 방지용의 돌기 및 홈을 이용하지 않고, 6개의 콘택트(C1A, C2A, C3A, C1B, C2B, C3B)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전자기기 모듈(31)의 오감합 및 콘택트의 오접속을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 모듈(31)의 방수 링(35)과 같은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링을 커넥터(11)의 벽부(17)의 내주부 또는 전자기기 모듈(31)의 볼록부(33A)의 외주부에 장착함으로써, 커넥터(11)과 전자기기 모듈(31) 사이에서의 물의 침입을 용이하게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1)는 벽부(17)을 갖고 있지 않아도 6개의 콘택트(C1A, C2A, C3A, C1B, C2B, C3B)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전자기기 모듈(31)의 오감합 및 콘택트의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지만, 커넥터(11)의 벽부(17) 내측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7A)에 전자기기 모듈(31)의 볼록부(33A)를 삽입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더욱 확실하게 오감합 및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콘택트의 오접속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커넥터(11)의 벽부(17)는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7A) 내에 돌출되는 콘택트(C1A, C2A, C3A, C1B, C2B, C3B)의 돌출 높이 이상의 돌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1)에 있어서는, -X방향측의 열에 배열된 3개의 콘택트(C1A, C2A, C3A)는 2개의 콘택트 배치선(XA1 및 XA2) 중 어느 하나 위에 배치되고, +X방향측의 열에 배열된 3개의 콘택트(C1B, C2B, C3B)는 2개의 콘택트 배치선(XB1 및 XB2) 중 어느 하나 위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2에 모식적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X방향측의 3개의 콘택트(C1A, C2A, C3A)는 Y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X방향으로 소정의 폭(X0)을 갖는 열 영역(RA) 내에 포함되도록 배치되고, +X방향측의 3개의 콘택트(C1B, C2B, C3B)는 Y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X방향으로 소정의 폭(X0)을 갖는 열 영역(RB) 내에 포함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즉, 콘택트(C1A, C2A, C3A)가 각각 열 영역(RA) 내에서 또한 콘택트 배치선(XA1, XA2) 상에 한정되지 않는 X방향 위치를 갖고, 콘택트(C1B, C2B, C3B)가 각각 열 영역(RB) 내에서 또한 콘택트 배치선(XB1 및 XB2) 상에 한정되지 않는 X방향 위치를 갖고 있어도, 3개의 행(Y1C, Y2C, Y3C) 중 Y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행의 2개의 콘택트의 간격이 다른 모든 행에서의 2개의 콘택트의 간격보다도 크고 또한 Y방향의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PY)와 다르고, Y방향의 타단에 위치하는 행의 2개의 콘택트의 간격이 다른 모든 행에서의 2개의 콘택트의 간격보다도 작고 또한 Y방향의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PY)와 다르면, 전자기기 모듈(31)의 오감합 및 콘택트의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커넥터(11)에 대한 상대측 커넥터가 되는 전자기기 모듈(31)에 있어서도, 도 23에 모식적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X방향측의 3개의 콘택트(H1A, H2A, H3A)는 Y방향에 따라 연장되고 또한 X방향으로 소정의 폭(X0)을 갖는 열 영역(RA) 내에 포함되도록 배치되고, +X방향측의 3개의 콘택트(H1B, H2B, H3B)는 Y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X방향으로 소정의 폭(X0)을 갖는 열 영역(RB) 내에 포함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커넥터(11)는 열 영역(RA) 내에 규정된 2개의 콘택트 배치선(XA1, XA2) 상에 콘택트(C1A, C2A, C3A)가 배치되고, 열 영역(RB) 내에 규정된 2개의 콘택트 배치선(XB1, XB2) 상에 콘택트(C1B, C2B, C3B)가 배치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단,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 이용된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36)는 삽입공(36A)이 편심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도 2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기판(37)에 대한 6개의 콘택트(36)의 탑재 위치를 바꾸지 않고, 임의의 콘택트(36)의 X방향의 방향을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그 콘택트(36)의 삽입공(36A)을 2개의 콘택트 배치선(XA1, XA2) 중 어느 하나의 위, 또는 2개의 콘택트 배치선(XB1, XB2) 중 어느 하나의 위에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 모듈(31)의 콘택트(36)는 2열의 콘택트가 각각 2개의 콘택트 배치선 중 어느 하나의 위에 배치되는 구성에 적합하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커넥터(11)에서 이용되는 도전부재(18)는 도전섬유로 이루어져 있지만, 예를 들면, 수지 또는 직물의 표면에 도전막이 코팅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납땜 등을 이용하여 콘택트(13)가 도전부재(1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에는, 도전부재(18)가 가요성을 가질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금속판 등에 의해 도전부재(18)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의 커넥터(11)에 있어서는, 커넥터 본체(12)에 유지된 커넥터 고정부재(14)의 가장자리부가 직물(21)에 봉합됨으로써 커넥터(11)가 의복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제1 인슐레이터(15)와 제2 인슐레이터(16) 사이에 의복의 직물(21)을 끼움으로써 커넥터(11)를 의복에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넥터 고정부재(14)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커넥터(11)가 복수의 플러그형의 콘택트(13)를 갖고, 전자기기 모듈(31)이 복수의 리셉터클형의 콘택트(36)를 갖고 있지만, 반대로, 커넥터(11)가 복수의 리셉터클형의 콘택트(36)을 갖고, 전자기기 모듈(31)이 복수의 플러그형의 콘택트(13)을 갖고 있어도 된다.
(제 2 실시예)
상기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커넥터(11)가 2열 3행으로 배열된 6개의 콘택트(13)를 갖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열이고 또한 4행 이상으로 배열된 콘택트(13)를 가질 수도 있다. 즉, 3 이상의 정수를 N으로 하여 N행에 배열된 2×N개의 콘택트(13)를 구비할 수 있다. 콘택트(13)의 개수에 대응하여, 2×N개의 도전부재(18)가 필요하게 된다.
도 25에, N=9로서, 2열 9행으로 배열된 합계 18개의 콘택트(13)를 구비하는 커넥터(41)에서의 콘택트(13)의 배치 위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18개의 콘택트(13)는 9개씩, 대략 Y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되어 있고, -X방향측에 배열된 9개의 콘택트(13)에 대응하는 9개의 도전부재(18)가 -X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X방향측에 배열된 9개의 콘택트(13)에 대응하는 9개의 도전부재(18)가 +X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X방향측의 열에 배열된 9개의 콘택트(13)를 콘택트(C1A∼C9A)라 부르고, +X방향측의 열에 배열된 9개의 콘택트(13)를 콘택트(C1B∼C9B)라고 부르기로 한다.
-X방향측의 열에 배열된 9개의 콘택트(C1A∼C9A)는 각각 Y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콘택트 배치선(XA1, XA2) 중 어느 하나의 위에 배치되어 있고, +X방향측의 열에 배열된 9개의 콘택트(C1B∼C9B)는 각각 Y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콘택트 배치선(XB1, XB2) 중 어느 하나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X방향측의 열의 9개의 콘택트(C1A∼C9A) 및 +X방향측의 열의 9개의 콘택트(C1B∼C9B)는 각각 Y방향으로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PY)로 배열되고, 9개의 행(Y1C∼Y9C)의 각각이 서로 동등한 Y방향 위치에 있는 2개의 콘택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9개의 행(Y1C∼Y9C) 중, -Y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행(Y1C)의 2개의 콘택트(C1A, C1B)의 간격(P1)은 다른 행(Y2C∼Y9C)에서의 2개의 콘택트의 간격보다도 크고, 또한 Y방향의 소정의 콘택트간 피치(PY)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9개의 행(Y1C∼Y9C) 중 +Y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행(Y9C)의 2개의 콘택트(C9A, C9B)의 간격(P3)은 다른 행(Y1C∼Y8C)에서의 2개의 콘택트의 간격보다도 작고, 또한 Y방향의 소정의 콘택트간 피치(PY)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행(Y2C∼Y8C)에서의 2개의 콘택트는, X방향으로 간격(P2)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커넥터(41)의 상대측 커넥터도 커넥터(41)의 18개의 콘택트(13)와 마찬가지로 배열된 18개의 콘택트를 갖고 있다.
-Y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행(Y1C)의 2개의 콘택트(C1A, C1B)의 간격(P1)은 다른 행(Y2C∼Y9C)에서의 2개의 콘택트의 간격보다도 크고, +Y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행(Y9C)의 2개의 콘택트(C9A, C9B)의 간격(P3)은 다른 행(Y1C∼Y8C)에서의 2개의 콘택트의 간격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41)에 대하여 상대측 커넥터를 Y방향으로 경사한 상태로 감합시키고자 해도, 또한 Y방향으로 벗어난 상태로 감합시키고자 해도, 또는 180도 회전한 상태로 감합시키고자 해도, 상대측 커넥터가 커넥터(41)에 잘못 감합되지 않고, 또한 커넥터(41)의 콘택트가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에 잘못 접속되지는 않는다. 즉, 커넥터(41)에 대한 상대측 커넥터의 오감합 및 콘택트의 오접속이 방지된다.
또한, -Y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행(Y1C)의 2개의 콘택트(C1A, C1B)의 간격(P1) 및 +Y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행(Y9C)의 2개의 콘택트(C9A, C9B)의 간격(P3)은 Y방향의 소정의 콘택트간 피치(PY)와 다르므로, 커넥터(41)에 대하여 상대측 커넥터를, 90도 또는 270도 회전한 상태로 감합시키고자 해도, 상대측 커넥터가 커넥터(41)에 잘못 감합되지는 않고, 또한 커넥터(41)의 콘택트가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에 잘못 접속되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하여, 2열이고 또한 4∼8행 또는 10행 이상으로 배열된 콘택트(13)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도, 상대측 커넥터의 오감합 및 콘택트의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1 : 리셉터클 2 : 플러그
3, 5 : 절연 하우징 3A : 감합공
3B : 키 홈 4, 6 : 콘택트
5A : 감합돌기 5B : 키 돌기
11, 41 : 커넥터 12 : 커넥터 본체
13 : 콘택트 13A : 돌출부
13B : 플렌지 13C : 돌기 수용부
14 : 커넥터 고정부재 14A : 개구부
15 : 제1 인슐레이터 15A : 콘택트 설치공
16 : 제2 인슐레이터 16A : 콘택트용 돌기
17 : 벽부 17A :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
18 : 도전부재 19 : 제1 방수 시트
20 : 제2 방수 시트 21 : 직물
23 : 의복측 도체부 24 : 도전성 실
25 : 절연성 실 31 : 전자기기 모듈
32 : 하우징 33 : 제1 하우징 부재
33A : 돌출부 33B : 면
33C : 콘택트 수용공 33D : 홈
34 : 제2 하우징 부재 35 : 방수 링
36 : 콘택트 36A : 삽입공
37 : 기판 38 : 방수부재
39 : 고정 나사 S : 침투접착제 시트
A1, A2 : 중심축 P : 열간 피치
D1 : 제1 방향
C1A, C2A, C3A, C1B, C2B, C3B, C9A, C9B, H1A, H2A, H3A, H1B, H2B, H3B : 콘택트
PX : 거리 PY : 콘택트간 피치
XA1, XA2, XB1, XB2 : 콘택트 배치선
Y1C, Y2C, Y3C, Y1H, Y2H, Y3H : 행
P1, P2, P3 : 간격 RA, RB : 열 영역
X0 : 소정의 폭

Claims (8)

  1. 2열이고, 또한 3 이상의 정수를 N으로 하여 N행에 배열된 2×N개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각각의 열의 N개의 콘택트는 각각의 열에 평행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열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로 배열되고,
    상기 N행 중 상기 제1 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행의 2개의 콘택트 사이의 간격은 다른 각 행에서의 2개의 콘택트 사이의 간격보다도 크며, 또한 상기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와 다르고,
    상기 N행 중 상기 제1 방향의 타단에 위치하는 행의 2개의 콘택트 사이의 간격은 다른 각 행에서의 2개의 콘택트 사이의 간격보다도 작으며, 또한 상기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행 중 상기 제1 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행의 2개의 콘택트 사이의 간격은 상기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보다 크고,
    상기 N행 중 상기 제1 방향의 타단에 위치하는 행의 2개의 콘택트 사이의 간격은 상기 소정의 콘택트 간 피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콘택트는 대응하는 상기 열 영역 내에 규정되고 각각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콘택트 배치선 중 어느 하나의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N개의 콘택트는 각각의 상기 열 영역 내에서 상기 2개의 콘택트 배치선으로 이루어지는 합계 4열이면서 또한 상기 N행의 격자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2×N개의 콘택트를 유지하는 커넥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2×N개의 콘택트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돌출되는 벽부와, 상기 벽부 내에 형성되고 또한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하우징의 일부가 삽입되는 오목형상의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N개의 콘택트는 각각 상기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 내에 돌출되는 플러그형 콘택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벽부는 상기 플러그형 콘택트의 돌출 높이 이상의 돌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열의 N개의 콘택트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타방의 열과는 반대측에 N개의 도전부재가 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의복에 설치되는 의복용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90077567A 2018-08-07 2019-06-28 커넥터 KR102177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48527 2018-08-07
JP2018148527A JP7128686B2 (ja) 2018-08-07 2018-08-07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788A true KR20200016788A (ko) 2020-02-17
KR102177442B1 KR102177442B1 (ko) 2020-11-11

Family

ID=6713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567A KR102177442B1 (ko) 2018-08-07 2019-06-28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23855B2 (ko)
EP (1) EP3609026B1 (ko)
JP (1) JP7128686B2 (ko)
KR (1) KR102177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45875S (ko) * 2019-05-27 2019-11-18
JP7313991B2 (ja) * 2019-09-09 2023-07-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65458B2 (ja) * 2019-09-26 2023-04-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接続方法
JP7330036B2 (ja) * 2019-09-26 2023-08-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GB2597726B (en) * 2020-07-31 2023-07-12 Prevayl Innovations Ltd System comprising an electronics module
JP2022144758A (ja) * 2021-03-19 2022-10-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接続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049A (ja) * 1997-06-27 1999-01-22 Toko Inc 電子部品
JP2008130391A (ja) * 2006-11-21 2008-06-05 Denso Corp 電子制御装置
JP2013187006A (ja) 2012-03-07 2013-09-19 Honda Tsushin Kogyo Co Ltd 電気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構造
KR20170096748A (ko) * 2016-02-17 2017-08-25 김영선 웨어러블 디바이스 일체형 마그네틱 스냅커넥터
KR20180052431A (ko) * 2016-11-10 2018-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9255A (en) * 1987-12-04 1989-09-26 Ad-Tech Medical Instrument Corp.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NL8902192A (nl) * 1989-08-30 1991-03-18 Du Pont Nederland Inbouwconnector voorzien van een vergrendelframe.
US5562607A (en) * 1995-01-18 1996-10-08 Alza Corporation Electrotransport device having reusable controller power saver
GB0014323D0 (en) * 2000-06-12 2000-08-0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Garment carrying electronic devices
US6929516B2 (en) * 2003-10-28 2005-08-16 9090-3493 Québec Inc. Bathing unit controller and connector system therefore
US7118380B1 (en) * 2004-04-13 2006-10-10 Credence Technologies, Inc. Connector arrangement in wrist strap monitors
JP5017042B2 (ja) 2007-09-28 2012-09-05 株式会社東芝 電源コネクタ
JP2009199809A (ja) * 2008-02-20 2009-09-03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光伝送モジュールおよび光−電気伝送モジュール
JP2010097759A (ja) 2008-10-15 2010-04-30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そしてこれと相手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CN201601329U (zh) * 2009-12-21 2010-10-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主板连接器及与主板连接器配合使用的风扇连接器
CN201584586U (zh) * 2010-01-08 2010-09-15 深圳亚力盛连接器有限公司 反向插拔防呆连接器
JP2012124040A (ja) * 2010-12-09 2012-06-28 Panasonic Corp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オス側コネクタ
US9532608B2 (en) * 2013-01-31 2017-01-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9277793B2 (en) * 2014-04-22 2016-03-08 Pleying Inc. User configurable wearable device
US9819122B1 (en) * 2016-06-29 2017-11-14 Intel Corporation Apparel compute device connection
JP6806580B2 (ja) * 2017-01-30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モジュール
JP6814058B2 (ja) * 2017-01-30 2021-01-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端子構造および電子機器モジュール
JP6840559B2 (ja) * 2017-02-10 2021-03-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049A (ja) * 1997-06-27 1999-01-22 Toko Inc 電子部品
JP2008130391A (ja) * 2006-11-21 2008-06-05 Denso Corp 電子制御装置
JP2013187006A (ja) 2012-03-07 2013-09-19 Honda Tsushin Kogyo Co Ltd 電気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構造
KR20170096748A (ko) * 2016-02-17 2017-08-25 김영선 웨어러블 디바이스 일체형 마그네틱 스냅커넥터
KR20180052431A (ko) * 2016-11-10 2018-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09026A1 (en) 2020-02-12
US10923855B2 (en) 2021-02-16
JP7128686B2 (ja) 2022-08-31
US20200052441A1 (en) 2020-02-13
JP2020024846A (ja) 2020-02-13
KR102177442B1 (ko) 2020-11-11
EP3609026B1 (en)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6788A (ko) 커넥터
US1014169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iddle shielding plate contacting upper and lower contacts
CA2550486C (en) Printed board connector for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CN110739565B (zh) 衣服用连接器
CN109155492B (zh) 连接器、连接器组件以及连接器的制造方法
US11658433B2 (en) Connector
US20220173550A1 (en) Integrally shielded cable connector
TW201711293A (zh) 電連接器
TW201803218A (zh) 表面安裝型連接器
US20240030630A1 (en) Sheet type conductive member, connector, garment, and connector mounting method
JP2011192409A (ja) 電気コネクタ
US3509519A (en) Female connectors
US20240030637A1 (en) Sheet type conductive member, connector, garment, and connector mounting method
US20240030631A1 (en) Sheet type conductive member, connector, garment, and connector mounting method
US20240063563A1 (en) Sheet-like conductive path
CN114696161B (zh) 引线模块、电连接器及连接器组件
KR20170127305A (ko) 기판 커넥터
US20230411905A1 (en) Connector device
US20230045627A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30013277A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KR101948103B1 (ko) 벤더블 인쇄 회로 기판을 이용한 전자 제어 장치
JP2024034807A (ja) コネクタ
JP2024021591A (ja) コネクタ
KR101290214B1 (ko) 열전도부재가 구비된 암수 커넥터 및 이들을 갖는 두 개의기판 간 열전도 구조를 갖는 이동단말기
KR20230028560A (ko) 전기 커넥터 및 전자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