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636A - 사용자 발화에 응답하여 통화를 포함하는 태스크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발화에 응답하여 통화를 포함하는 태스크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636A
KR20200016636A KR1020180091964A KR20180091964A KR20200016636A KR 20200016636 A KR20200016636 A KR 20200016636A KR 1020180091964 A KR1020180091964 A KR 1020180091964A KR 20180091964 A KR20180091964 A KR 20180091964A KR 20200016636 A KR20200016636 A KR 20200016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rovider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voice
counse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838B1 (ko
Inventor
김광연
김우찬
김유식
김주영
서재은
정은수
정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80091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838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980053513.XA priority patent/CN112567718A/zh
Priority to AU2019319322A priority patent/AU2019319322B2/en
Priority to EP19846412.5A priority patent/EP3794809B1/en
Priority to ES19846412T priority patent/ES2950974T3/es
Priority to EP23178876.1A priority patent/EP4235652A3/en
Priority to PCT/KR2019/009864 priority patent/WO2020032568A1/en
Priority to US16/534,950 priority patent/US10560576B1/en
Publication of KR2020001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636A/ko
Priority to AU2023203454A priority patent/AU202320345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22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166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in combination with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s or voice portals, e.g. as front-e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4Segmentation; Word boundary dete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06Decision making techniques; Pattern matching strategies
    • G10L17/08Use of distortion metrics or a particular distance between probe pattern and reference templat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93Notifying the calling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ed or connec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6Notifying a held subscriber when his held call is removed from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18Artificial neural networks; Connectionist approach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27Live party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 H04M2203/251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where a voice mode or a visual mode can be used interchangeably
    • H04M2203/253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where a voice mode or a visual mode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here a visual mode is used instead of a voice mode
    • H04M2203/254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where a voice mode or a visual mode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here a visual mode is used instead of a voice mode where the visual mode comprises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마이크, 스피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통신 회로, 상기 마이크, 상기 스피커,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자 및 상세 서비스를 식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상세 서비스를 포함하는 메뉴 정보로부터 상기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뉴에 대응하는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하나 이상의 응답을 송신하고, 상기 제1 메뉴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고, 및 상기 출력된 알림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통화를 전화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발화에 응답하여 통화를 포함하는 태스크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ASK INCLUDING CALL IN RESPONSE TO USER UTTERANCE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 발화에 응답하여 통화를 포함하는 태스크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성인식 서비스, 음성인식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사용자 의도에 기반한 다양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전자 장치 내 특정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언어적 이해는 인간의 언어/문자를 인식하고 응용/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 처리, 기계 번역, 대화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합성 등을 포함한다.
자동음성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은 사용자의 음성을 받아 음향적 특징 벡터(feature vector)를 추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ASR을 통해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으로 자연어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자연어(natural language)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를 의미하며, 기계가 별도의 분석 없이 직접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음성인식 시스템에 있어서의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NLU)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는 수동적으로 구축한 의미론적 단계의 문법을 통하여 음성언어를 이해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통계적 방법으로 생성된 언어 모델에 기반하여 정의된 의미 구조에 단어 문자열을 대응하여 이해하는 방법이다.
전자 장치는, 상기 언급한 음성인식과 자연어처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음성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담사와의 통화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이 전화를 한 후,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버튼을 누르거나 사용자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가 요청하는 과정은 과도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상담사 연결까지 대기 시간이 수분에서 수십분 소요될 수도 있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이 기다리는 시간이 과도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측면에서 사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이고,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원활히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여 사용자를 대신하여 서비스 제공자에 전화를 걸고,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누르고, 상담사 연결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비스 제공자의 상담사 연결시까지 사용자가 전자 장치의 다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마이크, 스피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통신 회로, 상기 마이크, 상기 스피커,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자 및 상세 서비스를 식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상세 서비스를 포함하는 메뉴 정보로부터 상기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뉴에 대응하는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하나 이상의 응답을 송신하고, 상기 제1 메뉴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고, 및 상기 출력된 알림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화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스피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통신 회로, 상기 스피커,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통화 연결 중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상담사 연결을 위한 대기 모드를 요청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대기 모드에서 백그라운드로 실행됨-,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대기 모드로 실행하고,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대기 모드로 실행되는 동안,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와의 연결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고, 및 상기 출력된 알림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 모드를 종료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화 연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상기 요청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세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정보를 포함함-,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화 연결을 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상세 서비스를 포함하는 메뉴 정보에서 상기 요청에 포함된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뉴에 대응하는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하나 이상의 응답을 송신하고, 상기 제1 메뉴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고,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화가 연결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화 연결을 종료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발화에 응답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 발화에 응답하여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화 중에 사용자를 대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를 대신하여 콜 센터에 통화 연결하고 콜 센터의 상담사와 연결되기 전까지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발화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서비스 제공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메뉴 정보에 대한 트리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메뉴 정보에서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음성에 대응하여 응답을 송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담사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담사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담사 연결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하는 다양한 개념도들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담사 연결을 위한 대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5a 내지 도 1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 전자 장치 및 서비스 제공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발화에 따른 정보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을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지능형 앱을 실행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지능형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스 자연어 이해 모듈(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NLU)이 패스 룰(path rule)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컨텍스트 모듈이 현재 상태를 수집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페르소나 모듈(persona module)이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안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200)를 도시한다. 도 2의 실시예는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발화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300)을 도시한다.
20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 입력 장치(150) 또는 표시 장치(160)) 또는 마이크(예: 입력 장치(150))를 통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은 전자 장치(101)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마이크(150)을 이용하여 사용자 발화(301)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에 하나 이상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발화(301)를 수신하기 위한 실행 화면(320)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의 적어도 일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화 어플리케이션(native calling application) 또는 진보된 전화 어플리케이션(enhanced calling application)에서 사용자 발화를 처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 발화(301)를 수신하기 위한 실행 화면(320)은 전화 어플리케이션 또는 진보된 전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실행 화면(320)은, 청취 중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321), 확인 아이콘(322), 및 텍스트 표시창(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마이크(150)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청취 중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321)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발화(301) 처리 결과로 획득된 텍스트 또는 명령을 텍스트 표시창(323) 내에 입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확인 아이콘(322)이 지정되면, 텍스트 표시창(323) 내의 텍스트 또는 명령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삼성카드 이번 달 결제 금액이 얼마지"라는 사용자 발화(301)를 마이크(15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삼성카드 이번 달 결재 금액이 얼마지?"라는 텍스트를 텍스트 표시창(323) 내에 표시할 수 있고, 확인 아이콘(322)이 선택되면, "삼성카드 이번달 결제 금액이 얼마지?"에 포함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분석 결과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삼성카드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입력 및 호 연결, 호 연결 이후의 결제 금액 확인 단계까지 도달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 수행의 복수 개의 태스크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해당 복수 개의 태스크를 직접 확인하거나, 또는 음성 인식 분석을 위한 서버(108)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전자 장치(101)가 특정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서버(108)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특정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확인 아이콘(322)이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실행 화면(320)의 표시를 중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행 화면(320)의 표시 중단에 따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에 실행 화면(320)이 표시되기 전의 적어도 하나의 화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330)이 표시될 수 있다.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330)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2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수신한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자 및 상세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통화 연결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성카드 고객센터는 통화 연결을 통해 카드 신청, 결제 정보 확인, 카드 분실 신고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삼성카드 이번 달 결제 금액이 얼마지?"라는 사용자 입력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삼성카드 고객센터로 식별하고, 상세 서비스는 결제 금액 조회로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들에 대한 정보에서 제1 사용자 입력에서 서비스 제공자 또는 상세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검색하여 서비스 제공자 및 상세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삼성카드 이번달 결제 금액이 얼마지?"로부터 '삼성', '삼성카드', '이번달', '결제', '결제 금액', 또는 '얼마'를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삼성 카드' 키워드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를 삼성카드 고객센터로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외부 서버(108)로부터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 중에서 '삼성카드' 키워드에 매칭되는 '삼성카드 고객센터'를 선택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이번달', '결제 금액' 또는 '얼마'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세 서비스를 "결제 금액 조회"로 식별할 수 있다.
2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식별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상세 서비스를 포함하는 메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식별된 서비스 제공자의 메뉴 정보로부터 상기 식별된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삼성카드 고객센터의 메뉴 정보에서 "결제 금액 조회"에 대응하여 개인 회원의 정보 조회에서 결제 금액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2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식별된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식별된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 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화를 걸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백그라운드에서 전화 어플리케이션 또는 진보된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호 연결을 실행할 수 있다. 진보된 전화 어플리케이션은 직접 호 연결을 수행하거나,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번호에 대응하여 전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버튼을 누르고, 전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호 연결과 관련된 실행 화면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호 연결을 백그라운드로 실행하는 동안 마이크(150) 및 스피커(155)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20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뉴에 대응하는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하나 이상의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안내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메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한 안내 음성에 대응하는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개인 회원인 경우 1번, 기업 회원인 경우 2번을 누르세요"와 같은 안내 음성을 수신하고, 제1 메뉴가 개인의 회원 정보 조회에서 결제 금액 항목임에 기초하여 1번 버튼을 누르는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순차로 복수의 안내 음성을 수신할 수 있고, 각 안내 음성에 대응하는 응답을 판단하여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전화 어플리케이션 또는 진보된 전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키패드 상의 번호들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함으로써,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21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메뉴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제1 메뉴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담사 연결을 포함할 수 있고, 통화 연결 후 해당 메뉴가 선택되면 상담사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해당 메뉴 선택 후 바로 상담사를 연결할 수 없는 경우, 상담사를 연결할 때까지 대기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상담사를 연결하는 동안 대기 상태에 대한 안내 멘트를 송신할 수 있다.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면 서비스 제공자는 상담사의 음성을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판단 모델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음성이 상담사의 음성인지, 또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로써 미리 저장된 안내 멘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21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알림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 또는 스피커(155)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전자 장치(101)는 팝업 창(340)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의 적어도 일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팝업 창(340)은 상담사가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팝업 창(340)은 상담사 연결을 위한 확인 아이콘 및 상담사 연결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스피커(155)를 이용하여 지정된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팝업 창(340)에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과 알림음을 출력하는 것을 함께 할 수 있다.
21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출력된 알림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화 화면(35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팝업창(340)에서 확인 아이콘이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화 화면(350)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출력된 알림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마이크(150)와 스피커(155)의 기능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통화 화면(350)을 표시하고, 마이크(150)를 통해 사용자 발화를 수신하고, 스피커(155)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송신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 및 서비스 제공자(4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4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발화에 따른 통화 연결 수행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450)와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40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실행 화면은 사용자 발화를 수신하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텍스트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4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 또는 마이크(150)를 통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4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자 및 상세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사용자 입력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서비스 제공자 및 상세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 목록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서 추출한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매칭되는 서비스 제공자(450)를 선택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450)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세 서비스로 식별할 수 있다.
4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에 대한 메뉴 정보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450)에 대한 메뉴 정보는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130)로부터 획득하거나, 외부 서버(108)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40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에 대한 메뉴 정보로부터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41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식별된 서비스 제공자(450)에게 통화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413 동작에서, 서비스 제공자(450)는 전자 장치(101)의 통화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1)와의 통화 연결을 승인할 수 있다.
41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와 서비스 제공자(450) 사이의 통화 연결이 성립될 수 있다.
417 동작에서, 서비스 제공자(450)는 메뉴 정보에 기초하여 순차로 정해진 안내 음성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450)는 통화 연결이 성립된 이후, 메뉴 정보에서 가장 우선하여 설정된 "고객님의 휴대 전화 번호를 입력해주세요"의 안내 음성을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450)는 가장 우선하여 전화를 건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41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안내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한 안내 음성에 대응하는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고객님의 휴대 전화 번호를 입력해주세요"와 같은 안내 음성에 대응해서 전자 장치(101)의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버튼을 순차로 누르는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메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한 안내 음성에 대응하는 응답을 결정하고, 이를 송신할 수 있다.
421 동작에서, 서비스 제공자(450)는 수신한 응답에 기초하여, 제1 메뉴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메뉴는 상담사 연결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메뉴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해서, 서비스 제공자(450)는 상담사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제한된 자원에 따라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는데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450)는 제1 메뉴에 도달할 때까지 수신한 응답에 따른 안내 음성을 전자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450)는 제1 메뉴에 도달할 때까지 417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423 동작에서, 서비스 제공자(450)는 음성을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450)는 상담사 연결을 시도하는 동안, 상담사 연결을 위한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안내 음성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안내 음성은 ARS로써 미리 저장된 안내 멘트일 수 있다. 상기 안내 멘트는 기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450)는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담사의 음성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담사는 사람일 수 있으며, 상담사의 음성은 기계에 의해 생성된 것과 다른 점을 가질 수 있다.
42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수신한 음성에 기초하여 상담사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한 음성을 상담사 음성에 대한 판단 모델을 이용하여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 결과에 따라 임계치보다 연관성이 높은 경우 상담사 음성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상담사 음성의 라벨을 가진 기 저장된 복수의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딥러닝을 수행하여 생성한 딥러닝 모델을 판단 모델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한 음성과 딥러닝 모델을 비교하여, 상담사 연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427 동작에서, 상담사가 연결되었다면, 전자 장치(101)는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담사 연결에 대하여 지정된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42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출력된 알림에 응답하여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출력된 텍스트 창에서 함께 표시된 확인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43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통화 화면을 표시하고, 스피커(155)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450)로부터 송신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150)를 통해 사용자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메뉴 정보에 대한 트리 구조(500)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서비스 제공자(예: 도 4의 서비스 제공자(450))가 제공하는 메뉴 정보를 트리 구조로 저장하거나, 외부 서버(108)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시로, 서비스 제공자(450)는 삼성카드 고객센터(501)라 가정한다. 도 5는 삼성카드 고객센터(501)의 전화 연결을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메뉴 정보를 트리 구조로 나타낸 것이다. 메뉴 정보에 대한 트리 구조에서 루트 노드(root node)는 서비스 제공자(450)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삼성카드 고객센터(501)가 루트 노드일 수 있다. 삼성카드 고객센터(501)는 개인 회원에 대한 서비스들과 기업 회원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고, 메뉴 정보에 대한 트리 구조에서 루트 노드의 자식 노드로 개인(502)과 기업(503)을 포함할 수 있다. 삼성카드 고객센터(501)는 개인 회원에게 분실 신고, 정보 조회, 정보 변경, 카드 탈퇴, 카드 신청 및 상담사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각 서비스는 개인 회원을 나타내는 개인(502)의 자식 노드로써, 메뉴 정보에 대한 트리 구조에서 분실 신고(504), 정보 조회(505), 정보 변경(506), 카드 탈퇴(507), 카드 신청(508) 및 상담사 연결(509)로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메뉴 정보에서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600)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발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예 : 도 4의 서비스 제공자(450)) 및 상세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발화로써 "삼성 카드에 새 카드 신청해"를 수신하면 '삼성카드', '새 카드', '카드 신청'의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삼성카드' 키워드로부터 서비스 제공자(450)는 삼성카드 고객센터(예 : 도 5의 삼성카드 고객센터(501))로 식별할 수 있고, '새 카드' 및 '카드 신청' 키워드로부터 상세 서비스를 신규 카드 발급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트리 구조를 가지는 서비스 제공자(450)의 메뉴 정보에서 상세 서비스와의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삼성카드 고객센터(501)의 메뉴 정보에 대한 트리 구조에서 상세 서비스에 대응되는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의 동작들은 도 5의 삼성카드 메뉴 정보에 대한 트리 구조(500)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60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메뉴 정보 트리 구조(500)에서 상세 서비스와 노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신규 카드 발급과 도 5에 포함된 각 노드의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신규 카드 발급과 분실 신고 노드(504)를 비교하면, 일치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신규 카드 발급과 카드 신청 노드(508) 및 신규 노드(513)와 비교하여, 신규 노드(513)에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매칭되는 리프 노드가 하나 이상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6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매칭 결과, 하나의 리프 노드가 매칭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신규 카드 발급에 대하여 신규 노드(513)가 매칭된다고 판단할 수 있고, 신규 노드(513)는 리프 노드에 해당할 수 있다.
6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매칭된 하나의 리프 노드를 상세 서비스에 대한 메뉴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신규 노드(513)를 신규 카드 발급에 대한 삼성카드 고객센터(501)의 메뉴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것으로, 서비스 제공자(450)에 따라 메뉴 정보는 달라질 수 있다.
6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매칭 결과, 두 개 이상의 리프 노드가 매칭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세 서비스가 결제 날짜 확인인 경우, 두 개의 리프 노드로 결제 날짜 노드(510) 및 결제 날짜 노드(511)가 매칭될 수 있다.
60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두 개 이상의 리프 노드가 매칭되었다고 판단한 것에 응답하여 리프 노드가 브랜치되는 중간 노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두 개 이상의 리프 노드들의 조상 노드를 확인하고, 조상 노드들 중에서 두 개 이상의 리프 노드가 브랜치 되는 중간 노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중간 노드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중간 노드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을 요청하기 위해 중간 노드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계좌 조회 항목이 두 개의 리프 노드에 매칭되고, 두 개의 리프 노드가 브랜치 되는 중간 노드는 개인 정보 변경 항목과 결제 정보 확인 항목일 경우, "개인 정보 변경에 따른 계좌 조회 항목인지, 결제 정보 확인에 따른 계좌 조회 항목인지 선택하세요"라는 텍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 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
61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중간 노드의 하위 리프 노드를 상세 서비스에 대한 메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개인 정보 변경 항목이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개인 정보 변경에 따른 계좌 조회 항목에 매칭되는 리프 노드를 상기 제1 메뉴로 결정할 수 있다.
61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매칭 결과, 하나의 중간 노드가 매칭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61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매칭된 중간 노드의 하위 노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중간 노드의 하위 노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61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하위 노드가 리프 노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리프 노드에 도달할 때까지 하위 노드를 선택하는 615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61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하위 노드가 리프 노드에 해당하는 경우, 선택된 하위 노드 즉 해당 리프 노드를 상기 제1 메뉴로 결정할 수 있다.
62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매칭 결과, 두 개 이상의 중간 노드가 매칭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62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두 개 이상의 중간 노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중간 노드에 대해서는 615 동작에서, 중간 노드의 하위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62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매칭 결과, 리프 노드 및 중간 노드 중 어느 하나도 매칭하지 못한다고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메뉴를 결정하지 못하고 종료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1 메뉴가 특정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음성에 대응하여 응답을 송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700)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예: 도 4의 서비스 제공자(450))와 통화 연결 후, 서비스 제공자(450)가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음성에 대응하여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450)는 수신한 응답에 따라 메뉴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다음 안내 음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세 서비스를 신규 카드 신청이라 가정하고, 도 5의 메뉴 정보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서비스 제공자(450)는 전화 연결이 성립되는 것에 응답하여, 도 5의 메뉴 정보에 대한 트리 에서 리프 노드에 도달하기까지 자식 노드들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삼성카드 고객센터(501)와 통화 화면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710)(예: 도 3 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삼성카드 고객센터(501)가 송신한 "개인 회원은 1번 기업 회원은 2번을 누르세요"라는 안내 음성에 대응해서 1번 버튼(711)을 누르는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삼성카드 고객센터(501)는 1번 버튼(711)을 누르는 응답을 수신하고,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가 개인 회원임을 확인하고, 도 5의 개인 회원 노드(502)의 자식 노드에 대한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성카드 고객센터(501)는 도 5의 "분실신고(504)는 1번, 정보 조회(505)는 2번, 정보 변경(506)은 3번, 카드 탈퇴(507)는 4번, 카드 신청(508)은 5번, 상담사 연결(509)은 6번을 누르세요"라는 안내 음성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신규 카드 신청에 기초하여, 5번 버튼(721)을 누르는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삼성카드 고객센터(501)로부터 송신되는 "신규 카드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1번, 카드 재발급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2번을 누르세요"라는 안내 음성을 수신하고, 전자 장치(101)는 1번 버튼(711)을 누르는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신규 카드 신청이라는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신규 노드(513)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삼성카드 고객센터(501)는 상담사 연결을 위해 대기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상담사 연결이 완료될 때까지 삼성카드 고객센터(501)로부터 하나 이상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담사를 연결하는 동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710)에 통화 화면을 표시하고 대기할 수 있다.
도 7의 화면들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710) 상에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고, 구현에 따라 전자 장치(101)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710)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7과 같이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101)는 상기 표시된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없이, 순차로 1번 버튼(711), 5번 버튼(721), 1번 버튼(711)을 누르고 상담사 연결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담사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800)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서비스 제공자(예: 도 4의 서비스 제공자(450))가 송신한 하나 이상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담사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담사의 음성을 판별하기 위해서, 상담사의 음성에 대한 판단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80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로부터 기계에 의해 생성된(또는, 미리 저장되어 있다가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상담사에 의해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신호는 ARS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8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수신한 오디오 신호와 상담사 음성과 관련된 판단 모델과의 연관성을 비교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담사 음성과 관련된 복수의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판단 모델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담사 음성과 관련된 복수의 오디오 신호들로부터 특성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성에 대한 기계학습 모델을 판단 모델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zero crossing rate, energy, entropy of energy, spectral centroid/spread/entropy/flux/rolloff, MFCCs(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또는 Chroma vector/deviation를 오디오 신호 특성으로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8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담사 연결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판단 모델과의 연관성이 임계치 이상 유사한 경우, 상담사와 연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담사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900)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또는 210))는, 서비스 제공자(예: 도 4의 서비스 제공자(450))가 송신한 하나 이상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담사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담사의 음성을 판별하기 위해서, 상담사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가 상담사 연결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인사말과의 유사성을 판단할 수 있다.
90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450)는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기 전까지 상담사 연결을 위한 대기 상태임을 나타내는 안내 멘트를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450)는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면 상담사의 음성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담사 연결 후, "안녕하세요 고객님, 삼성카드 고객센터 상담사 ooo 입니다"와 같이 상담사는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멘트를 발화할 수 있다.
9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9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변환된 텍스트와 인사말에 대한 말뭉치(Corpus)에 대한 판단 모델과의 연관성을 비교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가 제공하는 인사말에 대한 말뭉치를 저장할 수 있고, 말뭉치에 대한 학습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9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담사 연결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변환된 텍스트가 말뭉치에 대한 판단 모델과의 연관성이 임계치 보다 높은 경우 상담사와 연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 8에서 설명한 상담사 음성과 관련된 판단 모델을 이용하는 방법과 도 9에서 설명한 인사말 말뭉치에 관련된 판단 모델을 이용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담사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에 따라 산출된 값을 고려하여 상담사 연결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담사 연결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하는 다양한 개념도들(1000)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서비스 제공자(예: 도 4의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 연결을 백그라운드로 실행하고,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실행 화면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010)(예: 도 3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 또는 도 7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7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의 (a)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010)가 동작 중인 경우, 팝업 창(1020)으로 상담사 연결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팝업 창(1020)은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b)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 연결을 백그라운드로 실행하고,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01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수신 전화에 대한 알람을 표시하는 화면(1030)으로 상담사 연결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100)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서비스 제공자(예: 도 4의 서비스 제공자(450))의 메뉴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인증 과정을 위해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응답할 수 있다.
110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가 제공하는 메뉴 중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이번달 결제 금액이 얼마지?"라는 사용자 발화에 따라 결제 금액 조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11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메뉴와 관련하여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은 전자 장치(101)에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400)는 결제 금액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 이름, 휴대 전화 번호, 카드 번호 및 카드 비밀번호를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가 제공하는 메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11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필요한 개인 정보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101)는 선택된 메뉴에 정해진 사용자 인증을 확인하고, 사용자 인증에서 요구하는 개인 정보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한 개인 정보 항목은 사용자 이름, 휴대 전화 번호, 카드 번호 및 카드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11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DB)에 개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개인 정보는 보안 영역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1)가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개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별도의 사용자 인증이 필요할 수 있다.
110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데이터 베이스에 필요한 개인 정보가 저장된 경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개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111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데이터 베이스에 필요한 개인 정보가 없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인 정보 항목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개인 정보 항목에 대응하는 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200)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서비스 제공자(예: 도 4의 서비스 제공자(450))와 통화 중에 사용자 요청에 의해 상담사 연결이 완료될 때까지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대기 모드로 실행할 수 있다.
120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12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서비스 제공자(450)와 통화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버튼 아이콘에서 고객센터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버튼을 순차로 누르는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고객센터(서비스 제공자(450))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12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450)의 상담사 연결을 위한 대기 모드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대기 모드로 실행하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아이콘을 통화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대기 모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12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대기 모드로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대기 모드에서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대기 모드에서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를 들어 통화 화면)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 도 3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 또는 도 7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710) 또는 도 10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010)) 상에 표시하지 않거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의 일부에 백그라운드로 실행 중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또는 아이콘)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대기 모드 동안, 스피커(155) 또는 마이크(150)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스피커(155) 또는 마이크(150)의 기능을 제한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대기 모드 동안,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스피커(155)를 이용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고, 마이크(15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대기 모드로 실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120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대기 모드 동안, 상기 서비스 제공자(450)가 송신한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와 연결이 되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가 송신한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과 상담사 음성에 대한 판단 모델의 연관성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결정할 수 있다.
121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시각적으로 상담사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상담사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지정된 음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을 이용하여 상담사 연결 완료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에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에 상담사 연결 완료에 대한 알림을 전송하여, 다른 전자 장치에서 상담사 연결 완료에 대한 알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121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출력된 알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대기 모드를 종료하고,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310)에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통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담사 연결을 위한 대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1300)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310)을 표시할 수 있다.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310)은 상담사 연결을 위한 대기 모드를 요청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131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아이콘(1311)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대기 모드인 동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 도 3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 또는 도 7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710) 또는 도 10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010))에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런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320)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대기 모드인 동안,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대기 모드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321)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1321)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의 일부 영역에 지정된 색을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담사와 연결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담사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알림을 팝업 창(1330)으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320)의 적어도 일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담사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팝업 창(1330) 알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대기 모드를 종료하고,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통화 화면(1310)을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400)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다른 전자 장치의 요청에 의해 다른 전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자(예: 도 4의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 연결을 포함하는 태스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140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로부터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 연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요청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102 또는 104)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450) 및 상세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4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450)에게 통화 연결을 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에 대한 전화 연결 번호를 식별 번호로서 획득할 수 있다.
14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450)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상세 서비스를 포함하는 메뉴 정보에서 상기 요청에 포함된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카드 신청이라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삼성카드 고객센터(예: 도 5의 삼성카드 고객센터(501))가 제공하는 신규 카드 발급이라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14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450)에게 상기 외부 전자 장치(102 또는 104)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의 식별 번호로 전화를 걸고, 서비스 제공자(450)가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것에 응답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 또는 104)의 사용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140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450)에 대한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450)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뉴에 대응하는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하나 이상의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102 또는 104)의 사용자 정보 및 제1 메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안내 음성 각각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고, 결정된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가 송신한 안내 멘트에 따라 제1 메뉴에 대응하는 메뉴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버튼을 누르는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141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메뉴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450)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담사 음성에 관련된 판단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음성과의 연관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41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102 또는 104)에 상기 서비스 제공자(450)의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와 외부 전자 장치(102 또는 104) 사이의 통화 연결을 유도할 수 있는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또는 104)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 연결을 위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141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102 또는 104)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가 연결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또는 104)는 전자 장치(101)의 정보 제공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450)와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고, 통화 연결이 완료되면 전자 장치(101)에 통화 연결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 또는 104)와 서비스 제공자(450) 사이의 통화가 연결되었다고 판단하고,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 전자 장치 및 서비스 제공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5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550)(예: 도 1 의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로부터 전자 장치(101)와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전자 장치(101)와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150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기 위한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기 위해서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15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마이크(150)를 통해 사용자 발화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실행 화면에서 사용자 발화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음성 인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15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서버(1550)에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 연결을 포함하는 태스크를 요청하기 위해 제1 사용자 입력을 서버(1550)에 송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를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입력은 "삼성카드 고객센터에 신규 카드를 신청해줘"일 수 있다.
1507 동작에서, 서버(1550)는 수신한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자(450) 및 상세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450)는 전화 연결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450)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서버(1550)는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서비스 제공자(450) 또는 상세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450) 및 상세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50)는 "삼성카드 고객센터에 신규 카드를 신청해줘"에서 '삼성카드', '고객센터', '신규 카드', '신청' 키워드를 추출하고, '삼성카드', '고객센터'를 이용하여 삼성카드 고객센터(501)를 서비스 제공자(450)로 식별할 수 있다. 서버(1550)는 '신규 카드', '신청'을 이용하여 상세 서비스를 신규 카드 발급으로 식별할 수 있다.
1509 동작에서, 서버(1550)는 서비스 제공자(450)에 대한 메뉴 정보 획득할 수 있다. 메뉴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450)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트리 구조로 저장될 수 있으며, 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 정보 및 상담사 연결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511 동작에서, 서버(1550)는 서비스 제공자(450)에 대한 메뉴 정보로부터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메뉴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50)는 신규 카드 발급에 대응하여 삼성카드 고객센터(501)의 카드 신청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1513 동작에서, 서버(1550)는 서비스 제공자(450)에게 통화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1515 동작에서, 서비스 제공자(450)는 서버(1550)와의 통화 연결을 승인할 수 있다.
1517 동작에서, 서버(1550)와 서비스 제공자(450) 사이의 통화 연결이 성립될 수 있다.
1519 동작에서, 서비스 제공자(450)는 통화 연결에 따라 정해진 안내 음성을 서버(1550)에 송신할 수 있다.
1521 동작에서, 서버(1550)는 전자 장치(101)에 대한 정보,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 정보, 제1 메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한 안내 음성에 대응하는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50)는 사용자 정보로써 휴대 전화 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안내 음성에 대응해서, 전자 장치(101)의 전화 번호를 송신할 수 있다.
1523 동작에서, 서비스 제공자(450)는 수신한 응답에 따라 제1 메뉴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450)는 제공하는 서비스들 중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정해진 순서대로 안내 멘트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응답에 따라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450)는 제1 메뉴에 도달할 때까지 안내 멘트를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1525 동작에서, 서비스 제공자(450)는 제1 메뉴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자(450)가 송신하는 상담사 연결과 관련된 음성을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450)는 제1 메뉴에 도달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담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450)는 상담사와 연결에 따라 상담사 음성을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450)는 상담사 연결을 대기하는 동안, 상담사 연결 대기 중임을 나타내는 안내 음성을 송신할 수 있다.
1527 동작에서, 서버(1550)는 서비스 제공자(450)가 송신한 음성에 기초하여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1550)는 상담사 연결이 완료될 때까지 서비스 제공자(450)로부터 송신된 음성을 수신하고, 이를 판단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1529 동작에서, 서버(1550)는 상담사와 연결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자(450)에게 전자 장치(101)에 대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50)는 서비스 제공자(450)에게 전자 장치(101)에 전화를 걸어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1531 동작에서, 서버(1550)는 전자 장치(101)에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1531 동작은 상기 1529 동작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153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의 상담사와 통화 연결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서버(155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한 알림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1535 동작에서, 서비스 제공자(450)는 서버(1550)의 요청에 따라 전자 장치(101)에 통화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1535 동작은 상기 1533 동작 또는 1531 동작보다 선행될 수 있다.
153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가 송신한 통화 연결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153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 연결을 나타내는 정보를 서버(1550)에 제공할 수 있다.
154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와 통화 연결이 성립될 수 있다.
1543 동작에서, 서버(1550)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발화에 따른 정보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1600)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전화 연결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예: 도 4 의 서비스 제공자(45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발화에 포함된 태스크를 처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발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태스크를 처리하면서,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전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고, 전화 연결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10)(예: 도 3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310) 또는 도 7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710) 또는 도 10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010))에 사용자 발화(1601)를 수신하기 위한 실행 화면(162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실행 화면(1620)을 표시할 수 있다. 실행 화면(1620)은, 청취 중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621), 확인 아이콘(1622), 및 텍스트 표시창(162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마이크(150)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청취 중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621)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발화 처리 결과로 획득된 텍스트 또는 명령을 텍스트 표시창(1623) 내에 입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확인 아이콘(1622)이 지정되면, 텍스트 표시창(1623) 내의 텍스트 또는 명령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삼성카드 이번 달 결제 금액이 얼마지?"라는 사용자 발화(1601)를 마이크(15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삼성카드 이번 달 결제 금액이 얼마지?"라는 텍스트를 텍스트 표시창(1623) 내에 표시할 수 있고, 확인 아이콘(1622)이 선택되면, "삼성카드 이번달 결제 금액이 얼마지?"에 포함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분석 결과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삼성카드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의 입력 및 호 연결, 호 연결 이후의 결제 금액 확인 단계까지 도달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 수행을 위한 복수 개의 태스크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해당 복수 개의 태스크를 직접 확인하거나, 또는 음성 인식 분석을 위한 서버(108)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전자 장치(101)가 해당 복수 개의 태스크를 포함한 특정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서버(108)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특정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확인 아이콘(1622)이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실행 화면(1620)의 표시를 중단할 수 있다. 실행 화면(1620)의 표시 중단에 따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10)에 실행 화면(1620)이 표시되기 전의 적어도 하나의 화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런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630)이 표시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발화(1601)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자(450) 및 상세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자(450)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에게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서, 서비스 제공자(450)에게 전화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450)와의 통화 연결 중에 상기 메뉴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하고, 서비스 제공자(450)로부터 서비스 결과로써, 결제 금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발화(1601)에 응답하는 서비스 결과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10)에 팝업 창(164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결과를 나타내는 팝업 창(1640)에 확인 아이콘(1641) 및 취소 아이콘(1642)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확인 아이콘(1641)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서비스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1650)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1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있어서, 마이크(예: 입력 장치(150)), 스피커(예: 음향 출력 장치(155)),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160)), 통신 회로(예: 통신 모듈(190)), 상기 마이크(150), 상기 스피커(155),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0) 및 상기 통신 회로(190)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및 상기 프로세서(120)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예: 메모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130)는, 실행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0) 또는 상기 마이크(150)를 통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자 및 상세 서비스를 식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상세 서비스를 포함하는 메뉴 정보로부터 상기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통신 회로(190)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뉴에 대응하는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하나 이상의 응답을 송신하고, 상기 제1 메뉴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155)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0)를 이용하여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고, 및 상기 출력된 알림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화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메뉴 정보로부터 상기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는 적어도 일부로, 상기 통신 회로(190)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108)에 상기 메뉴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통신 회로(190)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서버(108)로부터 상기 메뉴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메뉴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트리 구조로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트리 구조 중 리프 노드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제1 메뉴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상세 서비스가 상기 트리 구조 중 중간 노드에 위치하는 제2 메뉴와 매칭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메뉴의 상위 노드 또는 하위 노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정보에 응답하여 수신된 제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트리 노드 중 리프 노드에 위치하는 제1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적어도 일부로,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중 제1 음성과 상담사 음성을 학습한 판단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음성이 상기 판단 모델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지 여부를 비교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1 음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특성을 추출하고, 상기 상담사의 음성에서 추출한 오디오 특성을 학습한 판단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음성이 상기 판단 모델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지 여부를 비교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적어도 일부로,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중 제1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지정된 인사말에 대한 말뭉치(corpus)를 학습한 판단 모델과의 연관성(correlation)을 판단하고, 상기 연관성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음성이 상기 상담사의 음성에 해당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뉴에 대응하는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하나 이상의 응답을 송신하도록 하는 적어도 일부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안내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응답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1 메뉴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메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하기 전에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전까지 상기 통화 연결에 대한 실행을 백그라운드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및 상세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고-상기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들 각각은 통화 연결을 통해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함-,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화 연결을 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한 후, 상기 출력된 알림에 대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전까지,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상담사 연결이 유지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상기 상담사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있어서, 스피커(예: 음성 출력 장치(155)),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160)), 통신 회로(예: 통신 모듈(190)), 상기 스피커(155),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0) 및 상기 통신 회로(190)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및 상기 프로세서(120)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예: 메모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130)는, 실행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가,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통신 회로(190)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통화 연결 중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상담사 연결을 위한 대기 모드를 요청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대기 모드에서 백그라운드로 실행됨-,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대기 모드로 실행하고,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대기 모드로 실행되는 동안,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와의 연결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155)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0)를 이용하여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고, 및 상기 출력된 알림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 모드를 종료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상기 대기 모드를 제공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적어도 일부로,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중 제1 음성과 상담사 음성을 학습한 판단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음성이 상기 판단 모델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지 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1 음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특성을 추출하고, 상기 상담사의 음성에서 추출한 오디오 특성을 학습한 판단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음성이 상기 판단 모델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지 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중 제1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지정된 인사말에 대한 말뭉치(corpus)를 학습한 판단 모델과의 연관성(correlation)을 판단하고, 상기 연관성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음성이 상기 상담사의 음성에 해당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대기 모드로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지 않고, 상기 스피커 또는 마이크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있어서, 통신 회로(예: 통신 모듈(190)), 상기 통신 회로(190)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및 상기 프로세서(120)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예: 메모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130)는, 실행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화 연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상기 요청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세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정보를 포함함-,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화 연결을 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상세 서비스를 포함하는 메뉴 정보에서 상기 요청에 포함된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뉴에 대응하는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하나 이상의 응답을 송신하고, 상기 제1 메뉴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회로(190)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정 보를 제공하고,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화가 연결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화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통합 지능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통합 지능화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3100), 지능형 서버(3200), 개인화 정보 서버(3300) 또는 제안 서버(3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100)(예: 전자 장치(101))은 사용자 단말(3100) 내부에 저장된 앱(app)(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예: 알람 앱, 메시지 앱, 사진(갤러리) 앱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100)은 사용자 단말(3100) 내부에 저장된 지능형 앱(또는, 음성 인식 앱)을 통해 다른 앱을 실행하고 동작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3100)의 상기 지능형 앱을 통해 상기 다른 앱을 실행하고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물리적 버튼, 터치 패드, 음성 입력, 원격 입력 등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100)은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각종 단말 장치(또는, 전자 장치)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100)은 사용자의 발화를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100)은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화에 기초하여 앱을 동작시키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0)은 상기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앱을 동작시킬 수 있다.
지능형 서버(320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3100)로부터 사용자 음성 입력(voice input)을 수신하여 텍스트 데이터(text data)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지능형 서버(3200)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패스 룰(path rule)을 생성(또는,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패스 룰은 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action)(또는, 오퍼레이션(operation))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스 룰은 상기 앱의 상기 동작의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100)은 상기 패스 룰을 수신하고,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앱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앱에서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100)은 상기 동작을 실행하고, 동작을 실행한 사용자 단말(3100)의 상태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100)은 상기 동작을 실행하고, 동작을 수행한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3100)은, 예를 들어, 복수의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복수의 동작의 일부 결과 만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100)은, 예를 들어, 마지막 순서의 동작을 실행한 결과만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100)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동작을 실행한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개인화 정보 서버(3300)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화 정보 서버(3300)는 사용자 단말(3100)로부터 사용자 정보(예: 컨텍스트 정보, 앱 실행 등)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3200)는 통신망을 통해 개인화 정보 서버(3300)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한 패스 룰을 생성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100)은 통신망을 통해 개인화 정보 서버(3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제안 서버(3400)는 단말 내에 기능 혹은 어플리케이션의 소개 또는 제공될 기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안 서버(3400)는 개인화 정보 서버(33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3100)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사용 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100)은 통신망을 통해 제안 서버(3400)로부터 상기 제공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100)은 입력 모듈(3110), 디스플레이(3120), 스피커(3130), 메모리(3140) 또는 프로세서(315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100)은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3100)의 구성들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거나 하우징 상에(on the housing)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모듈(311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3110)은 연결된 외부 장치(예: 키보드, 헤드셋)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입력 모듈(3110)은 디스플레이(3120)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예: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입력 모듈(3110)은 사용자 단말(3100)(또는, 사용자 단말(3100)의 하우징)에 위치한 하드웨어 키(예: 도 19의 3112)(또는, 물리적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3110)은 사용자의 발화를 음성 신호로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예: 도 18의 3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3110)은 발화 입력 시스템(speech input system)을 포함하고, 상기 발화 입력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발화를 음성 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3120)는 이미지나 비디오,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120)는 앱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피커(3130)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3130)는 사용자 단말(3100) 내부에서 생성된 음성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3140)는 복수의 앱(3141, 3143)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140)에 저장된 복수의 앱(3141, 3143)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어 실행되고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3140)는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140)은 로그(log)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로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314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페르소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3140)는 복수의 앱(3141, 3143)을 저장하고, 복수의 앱(3141, 3143)은 로드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140)에 저장된 복수의 앱(3141,3143)은 프로세서(3150)의 실행 매니저 모듈(3153)에 의해 로드되어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앱(3141, 3143)은 기능을 수행하는 실행 서비스(3141a, 3143a) 또는 복수의 동작(또는, 단위 동작)(3141b, 3143b)을 포함할 수 있다. 실행 서비스(3141a, 3143a)는 프로세서(3150)의 실행 매니저 모듈(3153)에 의해 생성되고, 복수의 동작 (3141b, 3143b)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앱(3141, 3143)의 동작(3141b, 3143b)이 실행되었을 때, 동작(3141b, 3143b)의 실행에 따른 실행 상태 화면은 디스플레이(312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실행 상태 화면은, 예를 들어, 동작(3141b, 3143b)이 완료된 상태의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실행 상태 화면은, 다른 예를 들어, 동작(3141b, 3143b)의 실행이 정지된 상태(partial landing)(예: 동작(3141b, 3143b)에 필요한 파라미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의 화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행 서비스(3141a, 3143a)는 패스 룰에 따라 동작(3141b, 3143b)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서비스(3141a, 3143a)는 실행 매니저 모듈(3153)에 의해 활성화되고, 실행 매니저 모듈(3153)로부터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실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실행 요청에 따라 동작(3141b, 3143b)을 앱(3141, 3143)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실행 서비스(3141a, 3143a)는 상기 동작(3141b, 3143b)의 수행이 완료되면 완료 정보를 실행 매니저 모듈(3153)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앱(3141, 3143)에서 복수의 동작(3141b, 3143b)이 실행되는 경우, 복수의 동작(3141b, 3143b)은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실행 서비스(3141a, 3143a)는 하나의 동작(동작 1)의 실행이 완료되면 다음 동작(동작 2)을 오픈하고 완료 정보를 실행 매니저 모듈(3153)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동작을 오픈한다는 것은, 임의의 동작을 실행 가능한 상태로 천이시키거나, 임의의 동작의 실행을 준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임의의 동작이 오픈되지 않으면, 해당 동작은 실행될 수 없다.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상기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다음 동작(3141b, 3143b)에 대한 실행 요청을 실행 서비스(예: 동작 2)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앱(3141, 3143)이 실행되는 경우, 복수의 앱(3141, 3143)은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앱(3141)의 마지막 동작의 실행이 완료되어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제2 앱(3143)의 첫번째 동작의 실행 요청을 실행 서비스(3143a)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앱(3141, 3143)에서 복수의 동작(3141b, 3143b)이 실행된 경우, 상기 실행된 복수의 동작(3141b, 3143b) 각각의 실행에 따른 결과 화면은 디스플레이(312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실행된 복수의 동작(3141b, 3143b)의 실행에 따른 복수의 결과 화면 중 일부만 디스플레이(312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3140)는 지능형 에이전트(3151)와 연동된 지능형 앱(예: 음성 인식 앱)을 저장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3151)와 연동된 앱은 사용자의 발화를 음성 신호로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3151)와 연동된 앱은 입력 모듈(3110)을 통해 입력되는 특정 입력(예: 하드웨어 키를 통한 입력, 터치 스크린을 통한 입력, 특정 음성 입력)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50)는 사용자 단말(3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50)는 입력 모듈(3110)을 제어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150)는 디스플레이(3120)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3150)는 스피커(3130)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3150)는 메모리(3140)를 제어하여 필요한 정보를 불러오거나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50)는 지능형 에이전트(3151), 실행 매니저 모듈(3153) 또는 지능형 서비스 모듈(3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150)는 메모리(314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지능형 에이전트(3151), 실행 매니저 모듈(3153) 또는 지능형 서비스 모듈(3155)을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되는 여러 모듈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지능형 에이전트(3151), 실행 매니저 모듈(3153) 또는 지능형 서비스 모듈(3155)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프로세서(315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된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앱을 동작시키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지능형 에이전트(3151)로부터 상기 생성된 명령을 수신하여 메모리(3140)에 저장된 앱(3141, 3143)을 선택하여 실행시키고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서비스 모듈(3155)은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입력 모듈(3110)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지능형 서버(3200)로 송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지능형 서버(3200)로 송신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전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전처리하기 위하여, 적응 반향 제거(adaptive echo canceller)(AEC) 모듈, 노이즈 억제(noise suppression)(NS) 모듈, 종점 검출(end-point detection)(EPD) 모듈 또는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AGC)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응 반향 제거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에코(echo)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억제 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배경 잡음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종점 검출 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사용자 음성의 종점을 검출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존재하는 부분을 찾을 수 있다. 상기 자동 이득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여 처리하기 적합하도록 상기 사용자 입력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성능을 위하여 상기 전처리 구성을 전부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 예에서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저전력으로 동작하기 위해 상기 전처리 구성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사용자의 호출을 인식하는 웨이크 업(wake up)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 업 인식 모듈은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웨이크 업 명령을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웨이크 업 명령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지능형 에이전트(3151)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3151)의 웨이크 업 인식 모듈은 저전력 프로세서(예: 오디오 코덱에 포함된 프로세서)에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하드웨어 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3151)가 활성화 되는 경우, 지능형 에이전트(3151)와 연동된 지능형 앱(예: 음성 인식 앱)이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사용자 입력을 실행하기 위한 음성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모듈은 앱에서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성 인식 모듈은 앱(3141, 3143)에서 상기 웨이크 업 명령과 같은 동작을 실행하는 제한된 사용자 (음성) 입력(예: 카메라 앱이 실행 중일 때 촬영 동작을 실행시키는 “찰칵”과 같은 발화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서버(3200)를 보조하여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모듈은,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100)내에서 처리할 수 있는 사용자 명령을 인식하여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3151)의 사용자 입력을 실행하기 위한 음성 인식 모듈은 앱 프로세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3151)의 음성 인식 모듈(웨이크 업 모듈의 음성 인식 모듈을 포함)은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HMM(hidden markov model) 알고리즘,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 또는 DTW(dynamic time warping)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사용자의 음성을 지능형 서버로(3200)로 전달하여,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상기 텍스트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3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지능형 서버(3200)로부터 송신한 패스 룰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3151)은 상기 패스 룰을 실행 매니저 모듈(3153)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지능형 서버(3200)로부터 수신된 패스 룰에 따른 실행 결과 로그(log)를 지능형 서비스(intelligence service) 모듈(3155)로 송신하고, 상기 송신된 실행 결과 로그는 페르소나 모듈(persona manager)(3155b)의 사용자의 선호(preference) 정보에 누적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지능형 에이전트(3151)로부터 패스 룰을 수신하여 앱(3141, 3143)을 실행시키고, 앱(3141, 3143)이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동작(3141b, 3143b)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앱(3141, 3143)으로 동작(3141b, 3143b)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앱(3141, 3143)로부터 동작(3141b, 3143b)의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지능형 에이전트(3151)와 앱(3141, 3143)의 사이에서 앱(3141, 3143)의 동작(3141b, 3143b)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실행할 앱(3141, 3143)을 바인딩(binding)하고,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동작(3141b, 3143b)의 명령 정보를 앱(3141, 3143)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동작(3141b, 3143b)을 순차적으로 앱(3141, 3143)으로 송신하여, 앱(3141, 3143)의 동작(3141b, 3143b)을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앱(3141, 3143)의 동작(3141b, 3143b)의 실행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앱(3141, 3143)으로부터 상기 동작(3141b, 3143b)의 실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동작(3141b, 3143b)의 실행 상태가, 예를 들어, 정지된 상태(partial landing)인 경우(예: 동작(3141b, 3143b)에 필요한 파라미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상기 정지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능형 에이전트(3151)로 송신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예: 파라미터 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동작(3141b, 3143b)의 실행 상태가, 다른 예를 들어, 동작 상태인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발화를 수신할 수 있고,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상기 실행되고 있는 앱(3141, 3143) 및 앱(3141, 3143)의 실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능형 에이전트(3151)로 송신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지능형 서버(32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발화의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 정보를 실행 매니저 모듈(3153)로 송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상기 수신한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3141b, 3143b)의 파라미터를 새로운 파라미터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패스 룰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를 앱(3141, 3143)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패스 룰에 따라 복수의 앱(3141, 3143)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경우,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하나의 앱에서 다른 앱으로 패스 룰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복수의 패스 룰을 수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사용자의 발화에 기초하여 복수의 패스 룰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사용자의 발화가 일부 동작(3141a)을 실행할 일부 앱(3141)을 특정하였지만, 나머지 동작(3143b)을 실행할 다른 앱(3143)을 특정하지 않은 경우, 일부 동작(3141a)를 실행할 동일한 앱(3141)(예: 갤러리 앱)이 실행되고 나머지 동작(3143b)를 실행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앱(3143)(예: 메시지 앱, 텔레그램 앱)이 각각 실행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패스 룰을 수신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패스 룰의 동일한 동작(3141b, 3143b)(예: 연속된 동일한 동작(3141b, 3143b))을 실행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상기 동일한 동작까지 실행한 경우, 상기 복수의 패스 룰에 각각 포함된 서로 다른 앱(3141, 3143)을 선택할 수 있는 상태 화면을 디스플레이(3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서비스 모듈(3155)는 컨텍스트 모듈(3155a), 페르소나 모듈(3155b) 또는 제안 모듈(3155c)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텍스트 모듈(3155a)는 앱(3141, 3143)으로부터 앱(3141, 3143)의 현재 상태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텍스트 모듈(3155a)은 앱(3141, 3143)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여 앱(3141, 3143)의 현재 상태를 수집할 수 있다.
페르소나 모듈(3155b)은 사용자 단말(31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르소나 모듈(3155b)은 사용자 단말(3100)의 사용 정보 및 수행 결과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제안 모듈(3155c)는 사용자의 의도를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명령을 추천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안 모듈(3155c)은 사용자의 현재 상태(예: 시간, 장소, 상황, 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명령을 추천해줄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지능형 앱을 실행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100)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지능형 에이전트(3151)와 연동된 지능형 앱(예: 음성 인식 앱)을 실행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100)은 하드웨어 키(3112)를 통해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지능형 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100)은 하드웨어 키(3112)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3120)에 지능형 앱의 UI(user interface)(3121)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지능형 앱의 UI(3121)가 디스플레이(3120)에 표시된 상태에서 음성을 입력(3111b)하기 위해 지능형 앱의 UI(3121)에 음성인식 버튼(3121a)를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른 예를 들어, 음성을 입력(3111b)하기 위해 상기 하드웨어 키(3112)를 지속적으로 눌러서 음성을 입력(3111b)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100)은 마이크(3114)를 통해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지능형 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100)은 마이크(3114)를 통해 지정된 음성(예: 일어나!(wake up!))이 입력(3111a)된 경우 디스플레이(3120)에 지능형 앱의 UI(3121)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지능형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지능형 서버(3200)는 자동 음성 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ASR) 모듈(3210),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NLU) 모듈(3220), 패스 플래너(path planner) 모듈(3230), 대화 매니저(dialogue manager)(DM) 모듈(3240), 자연어 생성(natural language generator)(NLG) 모듈(3250) 또는 텍스트 음성 변환(text to speech)(TTS) 모듈(3260)을 포함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3200)의 자연어 이해 모듈(3220) 또는 패스 플래너 모듈(3230)은 패스 룰(path rule)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음성 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ASR) 모듈(3210)은 사용자 단말(3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음성 인식 모듈(3210)은 사용자 단말(3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음성 인식 모듈(3210)은 발화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화 인식 모듈은 음향(acoustic) 모델 및 언어(language)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모델은 발성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언어 모델은 단위 음소 정보 및 단위 음소 정보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화 인식 모듈은 발성에 관련된 정보 및 단위 음소 정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발화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모델 및 언어 모델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자동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automatic speech recognition database)(ASR DB)(3211)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문법적 분석(syntactic analyze) 또는 의미적 분석(semantic analyze)을 수행하여 사용자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문법적 분석은 사용자 입력을 문법적 단위(예: 단어, 구, 형태소 등)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단위가 어떤 문법적인 요소를 갖는지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의미적 분석은 의미(semantic) 매칭, 룰(rule) 매칭, 포뮬러(formula) 매칭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 입력이 어느 도메인(domain), 의도(intent) 또는 상기 의도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parameter)(또는, 슬롯(slot))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도메인(domain), 의도(intend) 및 상기 의도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parameter)(또는, 슬롯(slot))로 나누어진 매칭 규칙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의 도메인(예: 알람)은 복수의 의도(예: 알람 설정, 알람 해제 등)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의도는 복수의 파라미터(예: 시간, 반복 횟수, 알람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룰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필수 요소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규칙은 자연어 인식 데이터베이스(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database)(NLU DB)(3221)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형태소, 구 등의 언어적 특징(예: 문법적 요소)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추출된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단어의 의미를 도메인 및 의도에 매칭시켜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각각의 도메인 및 의도에 사용자 입력에서 추출된 단어가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 지를 계산하여 사용자 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상기 의도를 파악하는데 기초가 된 단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의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언어적 특징이 저장된 자연어 인식 데이터베이스(3221)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개인화 언어 모델(personal language model)(PLM)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개인화된 정보(예: 연락처 리스트, 음악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개인화 언어 모델은, 예를 들어, 자연어 인식 데이터베이스(3221)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뿐만 아니라 자동 음성 인식 모듈(3210)도 자연어 인식 데이터베이스(3221)에 저장된 개인화 언어 모델을 참고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에 기초하여 실행될 앱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앱에서 수행될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상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상기 결정된 동작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결정하여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에 의해 생성된 패스 룰은 실행될 앱, 상기 앱에서 실행될 동작 및 상기 동작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패스 플래너 모듈(3230)로부터 사용자 단말(3100)에 대응되는 패스 룰 셋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상기 수신된 패스 룰 셋에 매핑하여 패스 룰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실행될 앱, 상기 앱에서 실행될 동작 및 상기 동작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를 결정하여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 단말(3100)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될 앱 및 상기 앱에서 실행될 동작을 사용자 입력의 의도에 따라 온톨로지(ontology) 또는 그래프 모델(graph model) 형태로 배열하여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패스 룰은, 예를 들어, 패스 플래너 모듈(3230)를 통해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path rule database)(PR DB)(3231)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패스 룰은 데이터베이스(3231)의 패스 룰 셋에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생성된 복수의 패스 룰 중 적어도 하나의 패스 룰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상기 복수의 패스 룰 최적의 패스 룰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 발화에 기초하여 일부 동작만이 특정된 경우 복수의 패스 룰을 선택할 수 있다.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의 추가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패스 룰 중 하나의 패스 룰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 입력에 대한 요청으로 패스 룰을 사용자 단말(31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하나의 패스 룰을 사용자 단말(31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복수의 패스 룰을 사용자 단말(31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스 룰은, 예를 들어, 사용자 발화에 기초하여 일부 동작만이 특정된 경우 자연어 이해 모듈(322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3230)은 복수의 패스 룰 중 적어도 하나의 패스 룰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3230)은 자연어 이해 모듈(3220)로 복수의 패스 룰을 포함하는 패스 룰 셋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패스 룰 셋의 복수의 패스 룰은 패스 플래너 모듈(3230)에 연결된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3231)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 플래너 모듈(3230)은 지능형 에이전트(3151)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3100)의 정보(예: OS 정보, 앱 정보)에 대응되는 패스 룰 셋을 자연어 이해 모듈(32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3231)에 저장된 테이블은, 예를 들어, 도메인 또는 도메인의 버전 별로 저장될 수 있다. 패스 룰 플래닝은 구현에 따라 액션 시퀀스의 플래닝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3230)은 패스 룰 셋에서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선택하여 자연어 이해 모듈(32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 플래너 모듈(3230)은 사용자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사용자 단말(3100) 에 대응되는 패스 룰 셋에 매칭하여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선택하여 자연어 이해 모듈(32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3230)은 사용자 의도 및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 플래너 모듈(3230)은 사용자 의도 및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실행될 앱 및 상기 앱에서 실행될 동작을 결정하여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3230)은 상기 생성된 패스 룰을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3231)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3230)은 자연어 이해 모듈(3220)에서 생성된 패스 룰을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3231)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패스 룰은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3231)에 저장된 패스 룰 셋에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3231)에 저장된 테이블에는 복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 셋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 셋은 각 패스 룰을 수행하는 장치의 종류, 버전, 타입, 또는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화 매니저 모듈(3240)은 자연어 이해 모듈(3220)에 의해 파악된 사용자의 의도가 명확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 매니저 모듈(3240)은 파라미터의 정보가 충분하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의도가 명확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대화 매니저 모듈(3240)는 자연어 이해 모듈(3220)에서 파악된 파라미터가 태스크를 수행하는데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화 매니저 모듈(3240)는 사용자의 의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 매니저 모듈(3240)는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화 매니저 모듈(3240)은 컨텐츠 제공(content provider)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모듈은 자연어 이해 모듈(3220)에서 파악된 의도 및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태스크를 수행한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화 매니저 모듈(3240)은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컨텐츠 제공 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결과를 사용자 단말(3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생성 모듈(NLG)(3250)은 지정된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형태로 변경된 정보는 자연어 발화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정보는, 예를 들어, 추가 입력에 대한 정보,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의 완료를 안내하는 정보 또는 사용자의 추가 입력을 안내하는 정보(예: 사용자 입력에 대한 피드백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텍스트 형태로 변경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3100)로 송신되어 디스플레이(3120)에 표시되거나,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3260)로 송신되어 음성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3260)은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음성 형태의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3260)은 자연어 생성 모듈(3250)로부터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음성 형태의 정보로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310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100)은 상기 음성 형태의 정보를 스피커(3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 패스 플래너 모듈(3230) 및 대화 매니저 모듈(3240)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20), 패스 플래너 모듈(3230) 및 대화 매니저 모듈(3240)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의도 및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응답(예: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된 응답은 사용자 단말(3100)로 송신될 수 있다.
도 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스 플래너 모듈(path planner module)의 패스 룰(path rule)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앱의 기능을 단위 동작(A 내지 F)으로 구분하여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3231)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단위 동작으로 구분된 복수의 패스 룰(A-B1-C1, A-B1-C2, A-B1-C3-D-F, A-B1-C3-D-E-F)을 포함하는 패스 룰 셋을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3231)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3230)의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3231)는 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패스 룰 셋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패스 룰 셋은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스 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스 룰은 복수의 동작 각각에 입력되는 파라미터에 따라 실행되는 동작이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패스 룰은 온톨로지(ontology) 또는 그래프 모델(graph model) 형태로 구성되어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3231)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패스 룰(A-B1-C1, A-B1-C2, A-B1-C3-D-F, A-B1-C3-D-E-F) 중에 최적의 패스 룰(A-B1-C3-D-F)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 입력에 완벽히 매칭되는 패스 룰이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3100)에 복수의 룰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 입력에 부분적으로 대응된 패스 룰(예: A-B1)을 선택할 수 있다.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 입력에 부분적으로 대응된 패스 룰(예: A-B1)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패스 룰(예: A-B1-C1, A-B1-C2, A-B1-C3-D-F, A-B1-C3-D-E-F)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3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 단말(3100)의 추가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패스 룰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패스 룰을 사용자 단말(3100)에 전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사용자 단말(3100)에서 추가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예: C3를 선택하는 입력)에 따라 복수의 패스 룰(예: A-B1-C1, A-B1-C2, A-B1-C3-D-F, A-B1-C3-D-E-F) 중 하나의 패스 룰(예: A-B1-C3-D-F)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31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을 통해 사용자 단말(3100)에 추가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예: C3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의도 또는 파라미터를 사용자 단말(310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100)은 상기 송신된 의도 또는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패스 룰(예: A-B1-C1, A-B1-C2, A-B1-C3-D-F, A-B1-C3-D-E-F) 중 하나의 패스 룰(예: A-B1-C3-D-F)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0)은 상기 선택된 하나의 패스 룰에 의해 앱(3141, 3143)의 동작을 완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정보가 부족한 사용자 입력이 지능형 서버(3200)에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부분적으로 대응되는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상기 부분적으로 대응된 패스 룰을 지능형 에이전트(3151)로 송신(①)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실행 매니저 모듈(3153)로 상기 부분적으로 대응된 패스 룰을 송신(②)하고, 실행 매니저 모듈(3153)는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제1 앱(3141)을 실행시킬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3153)는 제1 앱(3141)을 실행하면서 부족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지능형 에이전트(3151)로 송신(③)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상기 부족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추가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사용자에 의해 추가 입력이 수신(④)되면 지능형 서버(3200)로 송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상기 추가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된 패스 룰을 생성하여 지능형 에이전트(3151)로 송신(⑤)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3151)는 실행 매니저 모듈(3153)로 상기 패스 룰을 송신(⑥)하여 제2 앱(3143)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일부 정보가 누락된 사용자 입력이 지능형 서버(3200)에 수신된 경우, 개인화 정보 서버(3300)로 사용자 정보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개인화 정보 서버(3300)는 페르소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한 사용자의 정보를 자연어 이해 모듈(3220)로 송신할 수 있다.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일부 동작이 누락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패스 룰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연어 이해 모듈(3220)은 일부 정보가 누락된 사용자 입력이 지능형 서버(3200)에 수신되더라도, 누락된 정보를 요청하여 추가 입력을 받거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패스 룰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컨텍스트 모듈이 현재 상태를 수집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컨텍스트 모듈(3155a)은 지능형 에이전트(3151)로부터 컨텍스트 요청을 수신(①)하면, 앱(3141, 3143)에 앱(3141, 3143)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텍스트 모듈(3155a)은 앱(3141, 3143)으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③)하여 지능형 에이전트(3151)로 송신(④)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텍스트 모듈(3155a)은 앱(3141, 3143)을 통해 복수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가장 최근 실행된 앱(3141, 3143)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앱(3141, 3143) 내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예: 갤러리에서 사진을 보고 있는 경우, 해당 사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텍스트 모듈(3155a)은 앱(3141, 3143)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플랫폼(device platform)으로부터 사용자 단말(3100)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일반적 컨텍스트 정보,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 또는 장치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반적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 단말(3100)의 일반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반적 컨텍스트 정보는 디바이스 플랫폼의 센서 허브 등을 통해 데이터를 받아서 내부 알고리즘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반적 컨텍스트 정보는 현재 시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시공간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현재 시간 또는 사용자 단말(3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시간은 사용자 단말(3100) 상에서의 시간을 통해 확인될 수 있고, 상기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일반적 컨텍스트 정보는 물리적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움직임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걷기, 뛰기, 운전 중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움직임 정보는 모션 센서(motion sensor)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운전 중에 대한 정보는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운행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내의 블루투스 연결을 감지하여 탑승 및 주차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일반적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 활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는, 예를 들어, 출퇴근, 쇼핑, 여행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는 사용자 또는 앱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감정적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정적 상태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행복, 슬픔, 화남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관심, 의도 등(예: 쇼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 단말(3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 컨텍스트 정보는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이 실행한 패스 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상태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연결된 장치 및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된 장치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장치가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페르소나 모듈(persona module)이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페르소나 모듈(3155b)은 앱(3141, 3143), 실행 매니저 모듈(3153) 또는 컨텍스트 모듈(3155a)로부터 사용자 단말(310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앱(3141, 3143) 및 실행 매니저 모듈(3153)은 앱의 동작(3141b, 3143b)을 실행한 결과 정보를 동작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컨텍스트 모듈(3155a)은 사용자 단말(3100)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컨텍스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페르소나 모듈(3155b)은 상기 동작 로그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저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로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분석 엔진(analysis engine)에 의해 분석되어 페르소나 모듈(3155b)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르소나 모듈(3155b)은 앱(3141, 3143), 실행 매니저 모듈(3153) 또는 컨텍스트 모듈(3155a)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제안 모듈(3155c)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르소나 모듈(3155b)은 상기 동작 로그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안 모듈(3155c)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르소나 모듈(3155b)은 앱(3141, 3143), 실행 매니저 모듈(3153) 또는 컨텍스트 모듈(3155a)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개인화 정보 서버(33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르소나 모듈(3155b)은 상기 동작 로그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개인화 정보 서버(33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르소나 모듈(3155b)은 상기 동작 로그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안 모듈(3155c)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페르소나 모듈(3155b)에 의해서 생성된 사용자 정보는 페르소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페르소나 모듈(3155b)는 상기 페르소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주기적으로 개인화 정보 서버(3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르소나 모듈(3155b)에 의해 개인화 정보 서버(3300)로 송신된 정보는 페르소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개인화 정보 서버(3300)는 상기 페르소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능형 서버(3200)의 패스 룰 생성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추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르소나 모듈(3155b)이 송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추론된 사용자 정보는 프로파일(profile) 정보 또는 프리퍼런스(preferenc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정보 또는 프리퍼런스 정보는 사용자의 계정(account) 및 누적된 정보를 통해 추론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의 인구 통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구 통계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gender), 나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라이프 이벤트(life even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프 이벤트 정보는, 예를 들어, 로그 정보를 라이프 이벤트 모델(life event model)과 비교하여 추론되고, 행동 패턴(behavior patter)을 분석하여 보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관심(interes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심 정보는, 예를 들어, 관심 쇼핑 물품, 관심 분야(예: 스포츠, 정치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활동 지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동 지역 정보는, 예를 들어, 집, 일하는 곳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동 지역에 대한 정보는 장소의 위치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누적 체류 시간 및 방문 횟수를 기준으로 우선 순위가 기록된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활동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동 시간 정보는, 예를 들어, 기상 시간, 출퇴근 시간, 수면 시간 등에 대한 정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퇴근 시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활동 지역 정보(예: 집 및 일하는 곳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수면 시간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3100)의 미사용 시간을 통해 추론될 수 있다.
상기 프리퍼런스 정보는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리퍼런스 정보는 앱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앱 선호도는, 예를 들어, 앱의 사용 기록(예: 시간별, 장소별 사용 기록)을 통해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앱의 선호도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예: 시간, 장소)에 따라 실행될 앱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리퍼런스 정보는 연락처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락처 선호도는, 예를 들어, 연락처의 연락 빈도(예: 시간별, 장소별 연락하는 빈도) 정보를 분석하여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연락처 선호도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예: 중복된 이름에 대한 연락)에 따라 연락할 연락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리퍼런스 정보는 세팅(setting)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팅 정보는, 예를 들어, 특정 세팅 값의 설정 빈도(예: 시간별, 장소별 세팅 값으로 설정하는 빈도) 정보를 분석하여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세팅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예: 시간, 장소, 상황)에 따라 특정 세팅 값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리퍼런스 정보는 장소 선호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소 선호도는, 예를 들어, 특정 장소의 방문 기록(예: 시간별 방문 기록)을 통해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장소 선호도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예: 시간)에 따라 방문하고 있는 장소를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리퍼런스 정보는 명령 선호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 선호도는, 예를 들어, 명령 사용 빈도(예: 시간별, 장소별 사용 빈도)를 통해 추론될 수 있다. 상기 명령 선호도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예: 시간, 장소)에 따라 사용될 명령어 패턴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명령 선호도는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실행되고 있는 앱의 현재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장 많이 선택한 메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안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4을 참조하면, 제안 모듈(3155c)은 힌트 제공 모듈(3155c_1),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3155c_2), 조건 체킹 모듈(3155c_3), 조건 모델 모듈(3155c_4),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3155c_5) 또는 소개 힌트 생성 모듈(3155c_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힌트 제공 모듈(3155c_1)은 사용자에게 힌트(hint)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트 제공 모듈(3155c_1)은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3155c_2),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3155c_5) 또는 소개 힌트 생성 모듈(3155c_6)로부터 생성된 힌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3155c_2)은 조건 체킹 모듈(3155c_3) 또는 조건 모델 모듈(3155c_4)을 통해 현재 상태에 따라 추천될 수 있는 힌트를 생성할 수 있다. 조건 체킹 모듈(3155c_3)은 지능형 서비스 모듈(3155)을 통해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조건 모델 모듈(3155c_4)은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조건 모델(condition model)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건 모델 모듈은(3155c_4)는 사용자에게 힌트를 제공하는 시점의 시간, 위치, 상황 사용중인 앱 등을 파악하여 해당 조건에서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힌트를 우선 순위가 높은 순으로 사용자에게 제공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3155c_5)은 현재 상태에 따라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추천될 수 있는 힌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3155c_5)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힌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개 힌트 생성 모듈(3155c_6)은 사용자에게 신규 기능 또는 다른 사용자가 많이 쓰는 기능을 소개하는 힌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규 기능을 소개하는 힌트에는 지능형 에이전트(3151)에 대한 소개(예: 작동 방법)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안 모듈(3155c)의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3155c_2), 조건 체킹 모듈(3155c_3), 조건 모델 모듈(3155c_4),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3155c_5) 또는 소개 힌트 생성 모듈(3155c_6)는 개인화 정보 서버(33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안 모듈(3155c)의 힌트 제공 모듈(3155c_1)은 사용자 개인화 정보 서버(3300)의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3155c_2),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3155c_5) 또는 소개 힌트 생성 모듈(3155c_6)로부터 힌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수신된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100)은 다음의 일련의 프로세스에 따라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트 제공 모듈(3155c_1)은 지능형 에이전트(3151)로부터 힌트 제공 요청을 수신(①)하면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3155c_2)로 힌트 생성 요청을 송신(②)할 수 있다.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3155c_2)은 상기 힌트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조건 체킹 모듈(3155c_3)을 이용(③)하여 컨텍스트 모듈(3155a) 및 페르소나 모듈(3155b)로부터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정보를 수신(④)할 수 있다. 조건 체킹 모듈(3155c_3)은 상기 수신된 정보를 조건 모델 모듈(3155c_4)로 송신(⑤)하고, 조건 모델 모듈(3155c_4)은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힌트 중 상기 조건에 사용 가능성이 높은 순서로 힌트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 할 수 있다.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3155c_2)은 상기 조건을 확인(⑥)하고, 상기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힌트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3155c_2)은 상기 생성된 힌트를 힌트 제공 모듈(3155c_1)로 송신(⑦)할 수 있다. 힌트 제공 모듈(3155c_1)은 지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힌트를 정렬하고, 상기 힌트를 지능형 에이전트(3151)로 전송(⑧)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힌트 제공 모듈(3155c_1)은 복수의 컨텍스트 힌트를 생성할 수 있고,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복수의 컨텍스트 힌트에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힌트 제공 모듈(3155c_1)은 상기 복수의 컨텍스트 힌트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것을 사용자에게 먼저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100)은 사용 빈도에 따른 힌트를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트 제공 모듈(3155c_1)은 지능형 에이전트(3151)로부터 힌트 제공 요청을 수신(①)하면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3155c_5)로 힌트 생성 요청을 송신(②)할 수 있다.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3155c_5)은 상기 힌트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페르소나 모듈(3155b)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③)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3155c_5)은 페르소나 모듈(3155b)의 사용자의 프리퍼런스 정보에 포함된 패스 룰, 패스 룰에 포함된 파라미터, 앱의 실행 빈도, 앱이 사용된 시공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3155c_5)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힌트를 생성할 수 있다.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3155c_5)은 상기 생성된 힌트를 힌트 제공 모듈(3155c_1)로 송신(④)할 수 있다. 힌트 제공 모듈(3155c_1)은 상기 힌트를 정렬하고, 상기 힌트를 지능형 에이전트(3151)로 전송(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100)은 새로운 기능에 대한 힌트를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트 제공 모듈(3155c_1)은 지능형 에이전트(3151)로부터 힌트 제공 요청을 수신(①)하면 소개 힌트 생성 모듈(3155c_6)로 힌트 생성 요청을 송신(②)할 수 있다. 소개 힌트 생성 모듈(3155c_6)은 제안 서버(3400)로부터 소개 힌트 제공 요청을 송신(③)하여 제안 서버(3400)로부터 소개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④)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안 서버(3400)는 소개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소개될 기능에 대한 힌트 리스트(hint list)는 서비스 운영자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소개 힌트 생성 모듈(3155c_6)은 상기 생성된 힌트를 힌트 제공 모듈(3155c_1)로 송신(⑤)할 수 있다. 힌트 제공 모듈(3155c_1)은 상기 힌트를 정렬하고, 상기 힌트를 지능형 에이전트(3151)로 전송(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안 모듈(3155c)은 컨텍스트 힌트 생성 모듈(3155c_2), 재사용 힌트 생성 모듈(3155c_5) 또는 소개 힌트 생성 모듈(3155c_6)에서 생성된 힌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안 모듈(3155c)은 상기 생성된 힌트를 지능형 에이전트(3151)을 동작시키는 앱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힌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하는 요청을 포함하는 제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과 연관된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송신하는 동작;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전자 장치의 순서를 가지는 복수 개의 상태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응답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순서를 가지는 복수 개의 상태들을 가지게 함으로써 상기 태스크를 수행하는 동작; 상기 수행된 태스크의 적어도 일부를 취소하도록 하는 요청을 포함하는 제 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기초하여, 상기 순서를 가지는 복수 개의 상태들 중 하나의 상태로 복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2 사용자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다른 응답을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응답은,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상기 순서를 가지는 복수 개의 상태들 중 상기 하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순서를 가지는 복수 개의 상태들을 가지게 함으로써 상기 태스크를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순서를 가지는 복수 개의 상태들과 연관된 화면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2 사용자 입력이, 상기 수행된 태스크 전체 취소의 요청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순서를 가지는 상태들을 가지기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1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하는 요청을 포함하는 제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과 연관된 제 1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송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전자 장치의 순서를 가지는 제 1 복수 개의 상태들에 대한 제 1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응답을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응답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순서를 가지는 제 1 복수 개의 상태들을 가지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태스크를 수행하는 동작; 제 2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 2 요청을 포함하는 제 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사용자 입력과 연관된 제 2 데이터를, 상기 제 1 정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외부 서버로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 사용자 입력은, 상기 수행된 제 1 태스크의 적어도 일부의 취소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2 사용자 입력의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 1 복수 개의 상태들 중 하나의 상태로 복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1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 1 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제 1 사용자 발화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 1 사용자 발화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태스크 중 제 1 태스크와 연관된 제 2 화면을, 상기 제 1 화면을 대신하여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 1 사용자 발화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 개의 태스크 중 제 2 태스크와 연관된 제 3 화면을, 상기 제 2 화면을 대신하여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 3 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복수 개의 태스크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취소 명령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취소 명령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화면 또는 상기 제 2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취소 명령은, 상기 복수 개의 태스크 전체에 대한 취소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취소 명령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화면 또는 상기 제 2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 개의 태스크 전체를 취소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취소 명령은, 상기 취소 명령은, 상기 복수 개의 태스크와 적어도 일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태스크의 수행 요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취소 명령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화면 또는 상기 제 2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 개의 태스크 전체를 취소하고, 상기 제 1 화면을 표시한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태스크와 연관된 제 4 화면을 상기 제 1 화면을 대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취소 명령은, 상기 복수 개의 태스크 중 일부에 대한 취소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취소 명령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화면 또는 상기 제 2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 개의 태스크 중 상기 일부를 취소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취소 명령은, 상기 복수 개의 태스크와 적어도 일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태스크의 수행 요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취소 명령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화면 또는 상기 제 2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 개의 태스크 중 상기 일부를 취소하고, 상기 제 2 화면을 표시한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태스크와 연관된 제 5 화면을 상기 제 2 화면을 대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취소 명령은, 상기 복수 개의 태스크와 적어도 일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태스크의 수행 요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취소 명령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화면 또는 상기 제 2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 개의 태스크 중 상기 일부를 취소하고, 상기 일부를 취소하면서 상기 또 다른 태스크를 수행하는 제 6 화면을 상기 제 2 화면을 대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 화면은, 상기 제 3 화면이 표시되기 직전에 표시되는 화면, 상기 또 다른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이 요구되는 상태에 대응하는 화면,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된 직후의 화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1 사용자 발화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송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사용자 발화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 개의 태스크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취소 명령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취소 명령의 분석 결과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1 사용자 발화에 대한 데이터에 자동음성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처리하여 제 1 텍스트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텍스트에 자연어 이해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NLU) 처리하여 상기 복수 개의 태스크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
    스피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통신 회로;
    상기 마이크, 상기 스피커,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자 및 상세 서비스를 식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상세 서비스를 포함하는 메뉴 정보로부터 상기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뉴에 대응하는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하나 이상의 응답을 송신하고,
    상기 제1 메뉴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고, 및
    상기 출력된 알림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화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메뉴 정보로부터 상기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는 적어도 일부로,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에 상기 메뉴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메뉴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트리 구조로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트리 구조 중 리프 노드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제1 메뉴로 선택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상세 서비스가 상기 트리 구조 중 중간 노드에 위치하는 제2 메뉴와 매칭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메뉴의 상위 노드 또는 하위 노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정보에 응답하여 수신된 제3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트리 노드 중 리프 노드에 위치하는 제1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적어도 일부로,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중 제1 음성과 상담사 음성을 학습한 판단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음성이 상기 판단 모델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지 여부를 비교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1 음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특성을 추출하고, 상기 상담사의 음성에서 추출한 오디오 특성을 학습한 판단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음성이 상기 판단 모델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지 여부를 비교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적어도 일부로,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중 제1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지정된 인사말에 대한 말뭉치(corpus)를 학습한 판단 모델과의 연관성(correlation)을 판단하고,
    상기 연관성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음성이 상기 상담사의 음성에 해당한다고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뉴에 대응하는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하나 이상의 응답을 송신하도록 하는 적어도 일부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안내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응답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송신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9. 제8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메뉴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메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전까지 상기 통화 연결에 대한 실행을 백그라운드에서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및 상세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고-상기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들 각각은 통화 연결을 통해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함-,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화 연결을 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획득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한 후, 상기 출력된 알림에 대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전까지,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상담사 연결이 유지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송신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상기 상담사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4. 전자 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통신 회로;
    상기 스피커,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통화 연결 중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상담사 연결을 위한 대기 모드를 요청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대기 모드에서 백그라운드로 실행됨-,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대기 모드로 실행하고,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대기 모드로 실행되는 동안,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와의 연결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고, 및
    상기 출력된 알림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 모드를 종료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대기 모드를 제공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대기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적어도 일부로,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중 제1 음성과 상담사의 음성을 학습한 판단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음성이 상기 판단 모델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지 여부를 비교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1 음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특성을 추출하고, 상기 상담사의 음성에서 추출한 오디오 특성을 학습한 판단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음성이 상기 판단 모델과 임계치 이상 유사한지 여부를 비교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중 제1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지정된 인사말에 대한 말뭉치(corpus)를 학습한 판단 모델과의 연관성(correlation)을 판단하고,
    상기 연관성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음성이 상기 상담사의 음성에 해당한다고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대기 모드로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지 않고, 상기 스피커 또는 마이크의 기능을 제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회로,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화 연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상기 요청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세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정보를 포함함-,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화 연결을 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상세 서비스를 포함하는 메뉴 정보에서 상기 요청에 포함된 상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뉴에 대응하는 단계에 도달할 때까지 하나 이상의 응답을 송신하고,
    상기 제1 메뉴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기초하여 상담사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상기 상담사 연결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고,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화가 연결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화 연결을 종료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KR1020180091964A 2018-08-07 2018-08-07 사용자 발화에 응답하여 통화를 포함하는 태스크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94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964A KR102594838B1 (ko) 2018-08-07 2018-08-07 사용자 발화에 응답하여 통화를 포함하는 태스크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U2019319322A AU2019319322B2 (en) 2018-08-07 2019-08-07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ask including call in response to user utter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19846412.5A EP3794809B1 (en) 2018-08-07 2019-08-07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ask including call in response to user utter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S19846412T ES2950974T3 (es) 2018-08-07 2019-08-07 Dispositivo electrónico para realizar una tarea que incluye una llamada en respuesta al pronunciamiento de un usuario y procedimiento de operación del mismo
CN201980053513.XA CN112567718A (zh) 2018-08-07 2019-08-07 响应用户语音执行包括呼叫的任务的电子装置及操作方法
EP23178876.1A EP4235652A3 (en) 2018-08-07 2019-08-07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ask including call in response to user utter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CT/KR2019/009864 WO2020032568A1 (en) 2018-08-07 2019-08-07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ask including call in response to user utter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6/534,950 US10560576B1 (en) 2018-08-07 2019-08-07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ask including call in response to user utter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U2023203454A AU2023203454A1 (en) 2018-08-07 2023-06-02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ask including call in response to user utter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964A KR102594838B1 (ko) 2018-08-07 2018-08-07 사용자 발화에 응답하여 통화를 포함하는 태스크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636A true KR20200016636A (ko) 2020-02-17
KR102594838B1 KR102594838B1 (ko) 2023-10-30

Family

ID=6940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964A KR102594838B1 (ko) 2018-08-07 2018-08-07 사용자 발화에 응답하여 통화를 포함하는 태스크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60576B1 (ko)
EP (2) EP3794809B1 (ko)
KR (1) KR102594838B1 (ko)
CN (1) CN112567718A (ko)
AU (2) AU2019319322B2 (ko)
ES (1) ES2950974T3 (ko)
WO (1) WO20200325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2356B2 (en) 2020-08-21 202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municating with charg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2146S1 (en) * 2017-04-19 202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210043107A (ko) * 2019-10-11 2021-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전자 장치들 사이의 통신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서버 및 전자 장치
WO2022125078A1 (en) * 2020-12-08 2022-06-16 Google Llc Identifying and providing requested user information during voice calls and video cal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098A (ko) * 2003-04-08 2004-10-16 주식회사 아이니드 발신중 통화연결 성공음을 알리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440527B1 (ko) * 2014-03-07 2014-09-17 (주)에스앤피웍스 음성 안내 절차 없이 고객과 상담원을 직접 연결하는 바로 콜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바로 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KR20170060567A (ko) * 2015-11-24 2017-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3817B1 (en) * 1999-12-30 2002-04-16 At&T Corp. Chase me system
KR20010102798A (ko) * 2000-05-08 2001-11-16 이주옥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상담의 예약 방법
KR100458448B1 (ko) * 2002-03-05 2004-12-03 에이블컴(주) 자동 전화 발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292476A (ja) 2004-03-31 2005-10-20 Jfe Systems Inc 顧客応対方法及び装置
US7634067B1 (en) * 2004-12-17 2009-12-15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visual voice calls
KR20090108821A (ko) * 2008-04-14 2009-10-19 (주)미디어1636 음성인식 및 호 분배를 이용한 정보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정보검색 서비스 방법
US8363818B2 (en) * 2009-05-29 2013-01-29 Apple Inc. On-hold call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WO2011149558A2 (en) * 2010-05-28 2011-12-01 Abelow Daniel H Reality alternate
KR101169045B1 (ko) * 2010-08-24 2012-07-26 (주) 콜게이트 음성-화면 ars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20095626A (ko) * 2011-02-21 2012-08-29 주식회사 케이티 콜 센터 자동 응답에 의한 통화 대기 중 상담원 연결 알림 방법 및 이를 위한 중계 장치
KR101176405B1 (ko) * 2011-12-19 2012-08-28 주식회사 예스피치 상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103369151B (zh) * 2012-03-27 2016-08-17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输出方法和装置
JP5801865B2 (ja) * 2013-07-10 2015-10-28 エルジー ユープラス コーポレイションLG Uplus Corp. 通信端末機及びその制御方法とこのための記録媒体
CN103997575A (zh) * 2014-04-30 2014-08-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获取语音服务的方法和装置
US10091356B2 (en) 2015-01-06 2018-10-02 Cyara Solutions Pty Ltd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 crawler
KR20150121689A (ko) * 2015-10-07 2015-10-2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가상 콜센터 운영 방법
CN106302915A (zh) * 2016-10-18 2017-01-04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助语音服务的智能拨号方法及终端
US10574825B2 (en) * 2017-02-15 2020-02-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ssisted-communication with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098A (ko) * 2003-04-08 2004-10-16 주식회사 아이니드 발신중 통화연결 성공음을 알리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440527B1 (ko) * 2014-03-07 2014-09-17 (주)에스앤피웍스 음성 안내 절차 없이 고객과 상담원을 직접 연결하는 바로 콜 음성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바로 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KR20170060567A (ko) * 2015-11-24 2017-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2356B2 (en) 2020-08-21 202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municating with charg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2568A1 (en) 2020-02-13
EP3794809B1 (en) 2023-06-14
EP4235652A2 (en) 2023-08-30
US10560576B1 (en) 2020-02-11
AU2019319322A1 (en) 2021-01-14
CN112567718A (zh) 2021-03-26
AU2023203454A1 (en) 2023-06-29
AU2019319322B2 (en) 2023-03-02
KR102594838B1 (ko) 2023-10-30
EP3794809A1 (en) 2021-03-24
ES2950974T3 (es) 2023-10-17
EP3794809C0 (en) 2023-06-14
EP3794809A4 (en) 2021-07-14
US20200053219A1 (en) 2020-02-13
EP4235652A3 (en)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2674B2 (en) Vo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677690B2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chatbot and device therefor
KR20200013152A (ko) 이전에 대화를 수집한 결과를 기반으로 인공 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3608906B1 (en) System for processing user voice utter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190109868A (ko) 사운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339819B1 (ko)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자연어 표현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406718B1 (ko)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하여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지속 기간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EP3794809B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ask including call in response to user utter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508863B1 (ko)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
US11120792B2 (en) System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440651B1 (ko) 자연어 표현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7201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KR20200023088A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361750B2 (en)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tts model
US10976997B2 (en) Electronic device outputting hints in an offline state for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user context
US20210217406A1 (en) Voice recognition service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KR102511517B1 (ko) 음성 입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016774A (ko) 사용자 음성 발화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9175453A (ja) ユーザ音声入力の処理を含む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並びに電子装置
KR102426411B1 (ko) 사용자 발화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US11244676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user voice input
KR2019013020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