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516A -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516A
KR20200013516A KR1020180088794A KR20180088794A KR20200013516A KR 20200013516 A KR20200013516 A KR 20200013516A KR 1020180088794 A KR1020180088794 A KR 1020180088794A KR 20180088794 A KR20180088794 A KR 20180088794A KR 20200013516 A KR20200013516 A KR 20200013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uneven portion
slip pad
forming
p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록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민테크
Priority to KR1020180088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3516A/ko
Publication of KR20200013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63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7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Abstract

제조가 용이하고 미끄럼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계단에 설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표면에 요부와 철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부, 상기 요철부 형성면에서 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 형성한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및 그 제조 방법{NON SLIP P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개시내용은 계단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전에 따른 인구집중현상에 따라 도시에는 많은 고층 건물 및 대중교통수단인 지하철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고층건물 및 지하철에는 많은 계단이 구비되어 수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이에, 계단 이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계단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논슬립 패드(non slip pad)가 시공된다.
일반적으로, 논슬립 패드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플레이트 구조물로, 계단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마감 부재이다.
논슬립 패드는 미끄럼 방지용 요철부 형성을 위해 표면에 금강석이나 텅스텐카바이트 등의 가루를 다양한 패턴으로 부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논슬립 패드는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 중에 패드 표면에 부착된 돌가루가 떨어져 나가면서 미끄럼 방지 기능을 상실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 들어 논슬립 패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도록 표면 에칭 처리를 통해 요철부를 형성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에칭 처리된 요철부의 높이 차이가 매우 작아 미끄럼 방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패드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어려워 단조롭고 장식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과제는 제조가 용이하고 미끄럼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미려하고 시각적으로 우수한 표면 품질을 갖는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미끄럼 방지 패드는, 계단에 설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표면에 요부와 철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부, 상기 요철부 형성면에서 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 형성한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부는 상기 기판 표면을 에칭하여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금층은 텅스텐, 코발트, 몰리브덴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금액에서 전해도금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구현예의 제조 방법은, 계단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금속재질의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표면을 에칭하여 요철부를 형성하는 단계, 요철부가 형성된 기판을 성형하여 돌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 형성 후 기판의 표면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기판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단계, 요철부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필름을 준비하여 기판의 포토레지스트 상에 마스킹하고 노광하는 단계, 노광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고 세척하는 단계,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된 기판의 표면을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 형성 단계는, 기판의 요철부 표면을 금형으로 가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금층 형성 단계는, 금속 재질의 기판 및 도금액을 준비하고, 상기 기판을 도금액 내에 장입하여 전해도금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금액은 텅스텐, 코발트, 몰리브덴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표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 구조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요철부의 높이차를 크게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표면 도금 처리를 통해 시각적으로 화려하고 미려한 색상을 구현하여 미끄럼 방지 패드의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계단에 설치된 미끄럼 방지 패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드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어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계단에 설치된 미끄럼 방지 패드를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100)의 모서리 부분에는 사용자가 계단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 패드(10)(이하, 패드라 한다)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패드(10)는, 기판(12), 기판(12)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거친면을 이루는 요철부(14), 요철부(14) 형성면에서 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 형성한 복수의 돌기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드는 기판(12)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금층(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2)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판, 동판, 또는 탄소강판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기판(12)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고 계단(100) 모서리를 따라 길게 연장된 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기판(12)은 계단 모서리에 설치되어 계단의 외측면을 이룬다. 기판(12)은 그 자체로 바로 계단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계단 모서리에 장착되는 별도의 중간 구조물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기판(12)의 형태나 크기 및 계단 모서리에 대한 설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기판(12)의 외측 표면에 요부와 철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요철부(14)를 이룬다. 요부는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파인 부분을 지칭하고 철부는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요철부(14)는 올록볼록하게 거칠게 형성되어 기판(12) 상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거친 면을 제공한다. 요철부(14)의 형성 위치나 형성 면적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요철부(14)는 기판(12)의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요철부(14)는 기판(12)의 어느 일측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요철부(14)는 기판(12) 표면을 에칭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요부와 철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요철부(14)를 기판(12) 상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칭 공정시 패턴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어 요철부(14)의 형성 위치나 형태를 다양하게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에칭을 통한 요철부(14) 형성 과정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패드는 기판(12) 상에 돌기부(16)를 구비함으로써, 미끄럼 방지 효과를 더 높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돌기부(16)는 기판(12)의 요철부(14) 형성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돌기부(16)의 형태나 크기, 그 형성 간격 등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부(16)는 금형으로 기판(12)을 가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에, 기판(12) 상에 돌기부(16)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돌기부(16)는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6)는 요철부(14)의 철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6)는 요부와 철부의 높이차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높이차로 기판(12)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돌기부(16)는 요철부(14) 표면에서 상대적으로 위로 돌출되어 기판(12) 상에 또다른 요철 형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요철부(14) 외에 기판(12) 상에서 위로 돌출된 돌기부(16)를 통해 이중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기판(12)의 미끄럼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부(16)는 표면에 요철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2) 표면에 요철부(14)가 형성되며, 기판(12) 표면에서 위로 돌출된 돌기부(16)의 표면에도 역시 요철부(14)가 형성된다. 이에, 돌기부(16)의 표면도 요철부(14)에 의해 거칠게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계단 이용자는 요철부(14)에 의한 기판(12)의 거친 표면과, 돌기부(16)에 의한 기판(12)의 올록볼록한 표면에 의해 계단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돌기부(16) 자체의 표면에도 요철부(14)가 형성되어 있어서, 계단 이용자가 돌기부(16)를 밟았을 때 돌기부(16)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의 기판(12)은 외측면에 장식미를 높일 수 있는 도금층(1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금층(18)은 텅스텐, 코발트, 몰리브덴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금액에서 전해도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 위치에 따라 도금층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금층(18)은 빛의 조사각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발현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 도금층(18)은 도금액이 수용된 도금조에 침적되는 기판(12)의 침적 깊이나 시간 등을 조절하여 다양한 색상이 나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기판(12)은 표면에 대한 빛의 조사각도에 따라 마치 무지개와 같은 색상으로 발현될 수 있다. 따라서, 계단 모서리에 설치되는 패드의 장식미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패드의 제조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패드 제조 방법은, 금속재질의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표면을 에칭하여 요철부를 형성하는 단계, 요철부가 형성된 기판을 성형하여 돌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패드 제조 방법은, 돌기부 형성 후 기판의 표면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이 준비되면 기판 표면에 원하는 패턴의 요철부를 형성한다.
기판 표면을 에칭하여 요철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기판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단계, 요철부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필름을 준비하여 기판의 포토레지스트 상에 마스킹하고 노광하는 단계, 노광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고 세척하는 단계,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된 기판의 표면을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금속 재질의 기판 상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건조한다. 기판에 도포된 포토레지스트가 건조 완료되면, 준비된 마스크필름을 기판 상에 마스킹한다. 마스크필름은 기판 표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요철부 패턴을 미리 인쇄하여 준비될 수 있다. 기판의 포토레지스트 상에 마스크필름을 마스킹한 후 노광을 실시한다. 노광을 한 후 현상을 하여 기판에 설정된 패턴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제거한다.
노광 및 세척 공정을 통해 기판의 표면에는 에칭용 패턴이 만들어지게 된다.
현상 및 세척이 완료되면, 에칭액을 이용하여 패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에칭한다. 에칭액으로는 예를 들어, 염화제이철이 사용될 수 있다. 에칭 공정을 통해 기판의 패턴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이 녹아 음각으로 구현된다. 에칭이 완료되면 패턴만 남게 되며 패턴만 남은 기판을 물로 세척한 후 건조한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기판 표면에 패턴이 양각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기판 표면에는 패턴 형태로 상대적으로 돌출된 철부와 에칭되어 음각으로 파여진 요부가 연속된 요철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에청 공정을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요철부 형성이 완료되면 기판의 요철부 형성면에 돌기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부는 기판의 요철부 표면을 금형으로 가압하는 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의 형태로 가공된 형틀을 구비한 프레스 머신에 기판을 위치하고, 프레스로 기판을 가압함으로써 기판에 돌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기판은 복수개의 돌기부가 표면에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요철 형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돌기부는 요철부 형성면을 프레스하여 돌출시킨 구조로, 돌기부 표면에는 에칭에 의한 요철부가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기판 표면에서 돌출된 돌기부 자체도 요철부에 의해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기판에 돌기부가 형성되면, 기판 표면에 도금층을 형성한다.
도금층 형성 단계는, 도금액이 수용된 도금조를 준비하고, 기판을 도금조의 도금액 내에 장입하여 전해 도금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금액은 텅스텐, 코발트, 몰리브덴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 도금하는 과정에서, 도금액이 수용된 도금조에 침적되는 기판의 침적 깊이나 시간 등을 조절하여 다양한 색상이 나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기판 표면에 형성되는 도금층의 두께가 달라져, 도금층이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금조 내부에 수용된 도금액에 기판의 승강 높이나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설정된 값에 따라 기판을 도금액에 침적시킴으로써, 도금층의 두께를 달리할 수 있다. 이에, 기판의 표면에 도금층 두께를 달리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되는 도금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된 기판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표면에 형성된 도금층에 의해 기판이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 기판에 도금층을 형성함으로써, 기판을 보다 화려하고 아름답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패드 12 : 기판
14 : 요철부 16 : 돌기부
18 : 도금층

Claims (9)

  1. 계단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용 기판,
    상기 기판의 표면에 요부와 철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부, 및
    상기 요철부 형성면에서 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 형성한 복수의 돌기부
    를 포함하는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기판 표면을 에칭하여 형성된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금층을 더 포함하는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금층이, 텅스텐, 코발트, 몰리브덴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금액에서 전해도금하여 형성된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6. 계단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금속재질의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표면을 에칭하여 요철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철부가 형성된 기판을 성형하여 기판 표면에서 간격을 두고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형성 후, 기판의 표면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형성 단계는, 기판의 요철부 표면을 금형으로 가압하여 형성하는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제조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 형성 단계는, 금속 재질의 기판 및 도금액을 준비하고, 상기 기판을 도금액 내에 장입하여 전해도금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도금액은 텅스텐, 코발트, 몰리브덴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제조 방법.
KR1020180088794A 2018-07-30 2018-07-30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135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794A KR20200013516A (ko) 2018-07-30 2018-07-30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794A KR20200013516A (ko) 2018-07-30 2018-07-30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516A true KR20200013516A (ko) 2020-02-07

Family

ID=69570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794A KR20200013516A (ko) 2018-07-30 2018-07-30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35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7209B (zh) * 2020-08-19 2021-05-18 浙江奥普家居有限公司 一种大功率卫生间浴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7209B (zh) * 2020-08-19 2021-05-18 浙江奥普家居有限公司 一种大功率卫生间浴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519217A (ja) 異なる光沢度を有するプレスプレート又はエンドレスベルト、及びそれを手段として作製される複合板
US5866225A (en) Mosaic reproductions on a tile substrate
KR20200013516A (ko) 계단 미끄럼 방지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US466674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corative sheet
SG147420A1 (en) Method of forming an in-situ recessed structure
JP6957281B2 (ja) テンプレートの作製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MY148648A (en) Positive tone bi-layer imprint lithography method
JPH0872141A (ja) エンボス版の製造方法
KR100496267B1 (ko) 반도체 레이저 식각공정을 이용한 실리콘에 문자 및 도형인쇄방법
ATE316589T1 (de) Verfahren zur bildung einer ausnehmung in der oberfläche eines werkstücks, insbesondere zur herstellung von mikroformen
JP2003171865A (ja) 染色済みデニム布地における立体模様の加工方法
KR100933212B1 (ko) 금속표면에의 이미지 형성방법
KR100419231B1 (ko) 액자의 제조방법
KR101525912B1 (ko) 레이저 문양 가공된 장식판 및 그 제조방법
JP7202945B2 (ja) 表示用部材及び時計
KR101317946B1 (ko) 리버스 오프셋 프린팅용 클리세 제조 방법
JPH05220921A (ja) 印刷用メタルマスク版の製造方法
JPH05229884A (ja) 模様タイルの製造方法
KR100462847B1 (ko) 바닥 미끄럼방지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496268B1 (ko) 반도체 식각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에 인쇄하는 방법
JPS58126986A (ja) 模様付ホウロウ製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S58126985A (ja) 模様付ホウロウ製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190123913A (ko) 논슬립 패널 및 논슬립 패널의 제조방법
JPS63140979A (ja) 時計用文字板の製造方法
JPH032439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