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479A - 더블 클러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더블 클러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479A
KR20200012479A KR1020180087824A KR20180087824A KR20200012479A KR 20200012479 A KR20200012479 A KR 20200012479A KR 1020180087824 A KR1020180087824 A KR 1020180087824A KR 20180087824 A KR20180087824 A KR 20180087824A KR 20200012479 A KR20200012479 A KR 20200012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diaphragm spring
cover casing
pressure plate
auxiliar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4607B1 (ko
Inventor
강석민
노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to KR1020180087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607B1/ko
Priority to PCT/KR2019/009271 priority patent/WO2020022813A1/ko
Priority to EP19839955.2A priority patent/EP3832156A4/en
Priority to CN201980049741.XA priority patent/CN112513485B/zh
Priority to US17/263,480 priority patent/US11773918B2/en
Publication of KR20200012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583Diaphragm-springs, e.g. Belleville
    • F16D13/585Arrangements or details relating to the mounting or support of the diaphragm on the clutch on the clutch cover or the pressur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583Diaphragm-springs, e.g. Bellevil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16D2021/0607Double clutch with torque input plate in-between the two clutches, i.e. having a central input plate
    • F16D2021/0615Double clutch with torque input plate in-between the two clutches, i.e. having a central input plate the central input plate is supported by bearings in-between the two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16D2021/069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with two clutches arranged axially without radial overl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02Fluid-pressure mechanisms
    • F16D2125/12Membrane or diaphragm ty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43Clutch type
    • F16D2500/1045Friction clu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커버 케이싱에 대해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반경방향과 회전방향의 유동을 동시에 구속하면서 다이아프램 스프링과의 회전방향 접촉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허브 중심에 대한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동심도를 정위치로 정렬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압력판과 디스크 조립체 사이의 편심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디스크 조립체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를 개시한다.
전술한 더블 클러치 조립체는 보조 커버 케이싱(130)과 다이아프램 스프링(2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면서 보조 커버 케이싱(130)에 고정되는 바디부(221), 바디부(221)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보조 커버 케이싱(130)에 결합되는 마운팅부(222), 바디부(221)로부터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절개홈(202)을 향해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절개홈(202)의 내부로 삽입되어 반경방향 유동을 구속하는 제1돌출부(223), 및 바디부(221)로부터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절개홈(202)을 향해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절개홈(202)의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방향 유동을 구속하는 제2돌출부(224)를 갖추고서, 보조 커버 케이싱(130)에 설치되어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반경방향과 회전방향의 유동을 구속하는 위치규제용 구조물(22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더블 클러치 조립체{Double clutch assembly}
본 발명은 더블 클러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 커버 케이싱에 대해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반경방향과 회전방향의 유동을 동시에 구속하면서 다이아프램 스프링과의 회전방향 접촉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허브 중심에 대한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동심도를 정위치로 정렬하여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압력판과 디스크 조립체 사이의 편심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디스크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입력축을 가지는 더블 클러치 트랜스미션(Double Clutch T/M)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클러치 디스크가 두 개인 더블 클러치의 사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더블 클러치는 클러치가 두 개가 필요하고, 기어방식도 듀얼(Dual)로 작동되며 한 개 단씩 변속될 때마다 이중으로 되어 있는 샤프트가 바뀌기 때문에 변속 속도가 빠르며 실제 연비에도 도움이 된다.
특히, 건식 더블 클러치(Dry Double Clutch)는 종래의 습식 더블 클러치(Wet Double Clutch)와는 다르게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 클러치 디스크와 압력판의 마찰에 의해서 엔진의 동력을 트랜스미션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건식 더블 클러치는 등록특허 제10-1180599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더블 클러치(1)는 댐퍼 플라이휠(3)과 셋 더블 클러치(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셋 더블 클러치(5)의 환형 케이싱(13)에 의해 외주연이 묻히고 외주연을 제외한 부분은 상기 환형 케이싱(13) 밖으로 노출되도록 동축 상으로 고정된 제1 다이어프램 스프링(7), 제1 다이어프램 스프링(7) 안쪽에 동축 상으로 인접 배치되어 외주연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된 동축 상의 엠보싱부(15)에 의해 상기 제1 다이어프램 스프링(7)의 외주연을 지지하는 커버판(9), 커버판(9)의 안쪽에 동축 상으로 인접 배치되어 셋 더블 클러치(5)의 제1 압력판(21)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는 제2 다이어프램 스프링(11), 및 커버판(9)의 외주연과 제2 다이어프램 스프링(11)의 외주연 사이에 동축 상으로 개재되어 커버판(9)에 의해 제2 다이어프램 스프링(11)이 지지되도록 하는 환형의 지지부재(10)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더블 클러치는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수축과 복원시 클러치와 다이아프램 스프링 사이의 축 중심이 틀어지는 문제를 유발하게 되고, 이러한 동심도의 불일치는 압력판과 디스크 사이의 편심 접촉을 초래하여 디스크의 편마모를 수반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0599호의 더블 클러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조 커버 케이싱에 대해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반경방향과 회전방향의 유동을 동시에 구속하면서 다이아프램 스프링과의 회전방향 접촉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허브 중심에 대한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동심도를 정위치로 정렬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압력판과 디스크 조립체 사이의 편심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디스크 조립체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커버 케이싱; 상기 커버 케이싱에 대해 축방향으로 수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이아프램 스프링; 상기 커버 케이싱과 결합되고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터 플레이트;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커버 케이싱과 함께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지지점을 형성하는 보조 커버 케이싱; 상기 커버 케이싱과 결합되고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판;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압력판;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과 상기 보조 압력판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상기 압력판 사이에 설치되고 변속기의 입력축과 결합되는 허브를 갖추고서 상기 압력판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변속기의 입력축으로 제공하는 디스크 조립체;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상기 보조 압력판 사이에 설치되고 변속기의 입력축과 결합되는 허브를 갖추고서 상기 보조 압력판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변속기의 입력축으로 제공하는 보조 디스크 조립체; 및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에 고정되어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반경방향과 회전방향의 유동을 구속하는 위치규제용 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규제용 구조물은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과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면서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에 고정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에 결합되는 마운팅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절개홈을 향해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절개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반경방향 유동을 구속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절개홈을 향해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절개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방향 유동을 구속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바디부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바디부의 중앙부위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면서 자유단부가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절개홈의 반경방향 최외곽 내주면과 면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바디부의 중앙부위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절곡부의 양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절개홈의 원주방향 양측 내주면과 각각 면접촉하는 제2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위치규제용 구조물은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 배치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은 상기 마운팅부와의 체결을 위한 제1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보조 압력판에 고정되어 상기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반경방향과 회전방향의 유동을 구속하는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은 일단부가 상기 보조 압력판의 조립구멍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절개홈의 반경방향 최외곽 내주면과 원주방향 양측 내주면에 면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은 상기 보조 압력판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 배치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은 상기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의 삽입을 위한 제2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클러치 조립체는 보조 커버 케이싱에 설치되어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반경방향과 회전방향의 유동을 동시에 구속할 수 있으므로, 클러치의 작동에 따른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압축과 복원시 클러치의 허브 중심에 대한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동심도를 정상의 상태로 정렬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러치의 허브 중심에 대한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동심도를 정위치로 정렬하여 유지할 수 있고, 압력판과 디스크 조립체 사이의 편심 접촉을 방지하여 클러치의 체결시 압력판과 디스크 조립체 사이에서 균일한 하중 전달을 유도함으로써 지오메트릭 저더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절개홈과 위치규제용 구조물 사이의 반경방향과 회전방향으로의 접촉을 각각 면접촉의 방식을 통해 접촉부위의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외력에 의한 편심 발생시 회전방향으로의 접촉면적 확장에 따른 편마모의 개선을 통해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이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 클러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더블 클러치 조립체의 배면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더블 클러치 조립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더블 클러치 조립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커버 케이싱을 제거한 상태에서 위치규제용 구조물에 의해 다이아프램 스프링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다이아프램 스프링을 제거한 다음, 위치규제용 구조물이 보조 커버 케이싱에 대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위치규제용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위치규제용 구조물을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보조 커버 케이싱을 제거한 다음,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에 의해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더블 클러치 조립체는 접속 케이싱(100), 커버 케이싱(120), 보조 커버 케이싱(130), 센터 플레이트(140), 압력판(160), 보조 압력판(170), 디스크 조립체(180), 보조 디스크 조립체(190), 다이아프램 스프링(200),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 위치규제용 구조물(220), 및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속 케이싱(100)은 엔진의 출력측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접속 케이싱(100)은 링 형상의 원판부재로 형성되고, 중앙부위의 내주면 전 둘레에 걸쳐 엔진과의 동력 전달을 위한 이음부위로서 세레이션부(102)를 동심원상으로 균일하게 형성한다. 또한, 접속 케이싱(100)은 가장자리 부위에 센터 플레이트(140)와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04)를 형성한다.
커버 케이싱(120)은 접속 케이싱(100)과 결합되어 엔진의 가동시 클러치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커버 케이싱(120)은 변속기의 입력축과 동축상으로 외측에 배치되도록 중앙부위에 천공된 형태의 설치구멍(122)을 갖춘 링 형상의 원판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커버 케이싱(120)은 일측 가장자리 부위에 압력판(160)과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24)를 형성한다.
보조 커버 케이싱(130)은 센터 플레이트(140)와 결합되어 엔진의 가동시 클러치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보조 커버 케이싱(130)은 변속기의 입력축과 동축상으로 외측에 배치되도록 중앙부위에 천공된 형태의 설치구멍(132)을 갖춘 링 형상의 원판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보조 커버 케이싱(130)은 일측 가장자리 부위에 센터 플레이트(140)와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34)를 형성한다. 또한, 보조 커버 케이싱(130)은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에 대한 지지점의 설정을 위해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을 향해 돌출되는 배면돌기부(136)를 형성한다.
또한, 보조 커버 케이싱(130)은 리벳팅에 의한 위치규제용 구조물(220)의 고정 설치를 위해 분할형 돌기부(135)의 반경방향 내측의 가장자리 부위에 다수의 제1관통구멍(138)을 구비한다. 또한, 보조 커버 케이싱(130)은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230)의 자유단부에 대한 지지를 위해 가장자리 부위에 다수의 제2관통구멍(139)을 구비한다. 이 경우, 제1관통구멍(138)과 제2관통구멍(139)은 커버 케이싱(120)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의 배치 구조로서 상호 교호적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센터 플레이트(140)는 커버 케이싱(120)과 결합되어 엔진의 가동시 클러치의 중심에 위치하는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센터 플레이트(140)는 변속기의 입력축과 동축상으로 외측에 배치되도록 중앙부위에 천공된 형태의 설치구멍(142)을 갖춘 링 형상의 원판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센터 플레이트(140)는 가장자리 부위에 접속 케이싱(100)의 플랜지부(104)와 대응하는 위치에 접속 케이싱(100)과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44)를 형성한다. 또한, 센터 플레이트(140)는 설치구멍(142)의 내주면에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한 공회전 가능한 지지를 위해 베어링(146)을 설치한다.
압력판(160)은 커버 케이싱(120)과 결합되어 엔진의 가동시 클러치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압력판(160)은 변속기의 입력축과 동축상으로 외측에 배치되도록 중앙부위에 천공된 형태의 설치구멍(162)을 갖춘 링 형상의 원판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압력판(160)은 가장자리 부위에 커버 케이싱(120)의 플랜지부(124)와 대응하는 위치에 커버 케이싱(120)과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64)를 형성한다.
보조 압력판(170)은 센터 플레이트(140)와 결합되어 엔진의 가동시 클러치의 중심에 위치하는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보조 압력판(170)은 변속기의 입력축과 동축상으로 외측에 배치되도록 중앙부위에 천공된 형태의 설치구멍(172)을 갖춘 링 형상의 원판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보조 압력판(170)은 가장자리 부위에 센터 플레이트(140)와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74)를 형성한다.
또한, 보조 압력판(170)은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230)의 고정 설치를 위해 가장자리 부위에 다수의 조립구멍(176)을 형성한다. 이 경우, 조립구멍(176)은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230)의 일단부를 삽입시켜 지지하는 것으로 보조 압력판(170)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의 배치 구조로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크 조립체(180)는 센터 플레이트(140)와 압력판(16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심부위에 변속기의 입력축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중실의 입력축과의 결합을 위해 허브(182)를 구비한다. 또한, 디스크 조립체(180)는 허브(182)의 둘레부위에 급격한 구동력의 변화를 완충시키기 위한 댐퍼 스프링(184)을 구비하고, 센터 플레이트(140)와 압력판(160) 사이에서 이들과 접촉 가능한 페이싱(186)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수축시 커버 케이싱(120)과 접속 케이싱(10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압력판(160)의 가압이 이루어지고, 압력판(160)의 가압에 의해 페이싱(186)은 센터 플레이트(140)와 접촉하게 되며, 이를 통해 엔진 구동력은 센터 플레이트(140)와 압력판(160) 사이에서 긴밀하게 접촉하는 페이싱(186)을 매개로 디스크 조립체(180)의 허브(182)로 전달되어 변속기의 입력축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보조 디스크 조립체(190)는 센터 플레이트(140)와 보조 압력판(17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심부위에 변속기의 입력축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중공의 입력축과의 결합을 위한 허브(192)를 구비한다. 또한, 보조 디스크 조립체(190)는 둘레부위에 센터 플레이트(140)와 보조 압력판(170) 사이에서 이들과 접촉 가능한 페이싱(194)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수축시 보조 커버 케이싱(13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보조 압력판(170)의 가압이 이루어지고, 보조 압력판(170)의 가압에 의해 페이싱(194)은 센터 플레이트(140)와 접촉하게 되며, 이를 통해 엔진 구동력은 센터 플레이트(140)와 보조 압력판(170) 사이에서 긴밀하게 접촉하는 페이싱(194)을 매개로 보조 디스크 조립체(190)의 허브(192)로 전달되어 변속기의 입력축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은 커버 케이싱(120)과 보조 커버 케이싱(130) 사이에 설치되는 와셔 형태의 판스프링으로, 가장자리 부위의 원주면으로부터 중심부위를 향해 방사상으로 절개홈(202)을 형성하도록 다수로 분할된 탄성편을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중심부위는 변속기 입력축의 설치를 위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은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클러치의 축방향으로 경사지게 수축 변형되어 커버 케이싱(120)에 대한 축방향 변위를 구현함으로써 센터 플레이트(140)와 디스크 조립체(180) 및 압력 플레이트(160) 사이의 접속에 따른 엔진 구동력의 전달을 도모하게 된다.
이를 위해, 커버 케이싱(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지지점 형성을 위해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126)를 구비하고, 보조 커버 케이싱(130)은 커버 케이싱(120)의 돌기부(126)와 함께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지지점을 형성하도록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을 향해 돌출된 분할형 돌기부(137)를 구비한다. 이때, 돌기부(126)는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분할형 돌기부(136) 보다 원주면에 인접한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다.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은 보조 커버 케이싱(130)과 보조 압력판(170) 사이에 설치되는 와셔 형태의 판스프링으로, 가장자리 부위의 원주면으로부터 중심부위를 향해 방사상으로 절개홈(212)을 형성하도록 다수로 분할된 탄성편을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중심부위는 변속기 입력축의 설치를 위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도 다이아프램 스프링(200)과 동일하게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클러치의 축방향으로 경사지게 수축 변형되어 커버 케이싱(120)에 대한 축방향 변위를 구현함으로써 센터 플레이트(140)와 보조 디스크 조립체(190) 및 보조 압력판(170) 사이의 접속에 따른 구동력의 전달을 도모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보조 커버 케이싱(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지지점 형성을 위해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을 향해 돌출된 배면돌기부(136)를 구비한다. 이 경우, 배면돌기부(136)는 돌기부(126) 및 분할형 돌기부(137)와 달리 단일의 개소에서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에 대한 지지점을 형성하게 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반경방향 외측 가장자리부위에 대해 지지점을 형성하는 위치로 마련된다.
위치규제용 구조물(220)은 보조 커버 케이싱(13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반경방향과 회전방향의 유동을 동시에 구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위치규제용 구조물(2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221)와 마운팅부(222), 제1돌출부(223), 및 제2돌출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부(221)는 보조 커버 케이싱(130)과 다이아프램 스프링(200) 사이의 공간에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보조 커버 케이싱(130)에 대해 고정되는 평판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마운팅부(222)는 바디부(221)로부터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보조 커버 케이싱(130)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222a)을 갖추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마운팅부(222)는 바디부(221)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돌출부(223)는 바디부(221)로부터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절개홈(202)을 향해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절개홈(202)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에 대한 반경방향 유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제1돌출부(223)는 바디부(221)의 중앙부위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면서 자유단부가 수평하게 연장되어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절개홈(202)의 반경방향 최외곽 내주면(204)과 면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돌출부(223)는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절개홈(202)의 반경방향 최외곽 내주면(204)과 접촉면적의 확장을 위한 면접촉을 위해 축방향과 반경방향으로 각각 확장되는 면상구조로 이루어진다.
제2돌출부(224)는 제1돌출부(223)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바디부(221)로부터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절개홈(202)을 향해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절개홈(202)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에 대한 회전방향 유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제2돌출부(224)는 상기 바디부(221)의 중앙부위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제1절곡부(224a), 및 제1절곡부(224a)의 양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절개홈(202)의 원주방향 양측 내주면(206)과 각각 면접촉하는 제2절곡부(224b)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2절곡부(224b)는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절개홈(202)의 원주방향 양측 내주면(206)과 각각 접촉면적의 확장을 위한 면접촉을 위해 축방향과 반경방향으로 각각 확장되는 면상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위치규제용 구조물(220)은 보조 커버 케이싱(130)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의 배치 구조로서 상호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제1돌출부(223)와 제2돌출부(224)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의 변형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고, 특히 제2돌출부(224)는 제1돌출부(223)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230)은 보조 압력판(170)에 고정되어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반경방향과 회전방향의 유동을 동시에 구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230)은 도 3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보조 압력판(170)의 조립구멍(176)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타단부가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절개홈(212)의 반경방향 최외곽 내주면(214) 원주방향 양측 내주면(216)에 대해 각각 동시에 면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230)의 타단부측 자유단부는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절개홈(212)을 지나 보조 커버 케이싱(130)에 형성되는 제2관통구멍(139)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삽입 설치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설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230)은 핀 형태의 원기둥 형상의 구조물이나, 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구조물 등 다양한 형태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구조물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할 것이다.
따라서 위치규제용 구조물(220)은 바디부(221)의 마운팅부(222)가 보조 커버 케이싱(130)의 제1관통구멍(138)에 대해 리벳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제1돌출부(223)가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절개홈(202)의 반경방향 최외곽 내주면(204)과 면접촉함으로써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반경방향 유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제2돌출부(224)가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절개홈(202)의 원주방향 양측 내주면(206)과 각각 면접촉함으로써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회전방향 유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위치규제용 구조물(220)의 제1돌출부(223)는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절개홈(202)의 반경방향 최외곽 내주면(204)에 대해 면접촉하고, 제2돌출부(224)는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절개홈(202)의 원주방향 양측 내주면(206)에 대해 각각 면접촉함에 따라, 각각 접촉부위에 대한 면적 확장을 통해 보조 커버 케이싱(130)에 대한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반경방향과 회전방향의 유동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구속함과 더불어 각 허브(182,192)의 중심에 대한 다이아프램 스프링(200)의 동심도를 정위치로 정렬한 상태에서 지속할 수 있으므로, 압력판(160)과 디스크 조립체(180) 사이에서 발생하는 편심 접촉을 예방하고, 클러치의 체결시 압력판(160)과 디스크 조립체(180) 사이에서 균일한 하중 전달을 유도하여 지오메트릭 저더를 개선하고, 제품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230)은 일단부가 보조 압력판(170)의 조립구멍(176)에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반경방향 최외곽 내주면(214)과 원주방향 양측 내주면(216)에 대해 각각 면접촉하면서 타단측 자유단부가 보조 커버 케이싱(130)의 제2관통구멍(139)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반경방향과 회전방향의 유동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230)은 위치규제용 구조물(220)과 동일하게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에 대한 동심도를 정위치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조 압력판(170)과 보조 디스크 조립체(190) 사이에서 발생하는 편심 접촉을 예방하고, 클러치의 체결시 보조 압력판(170)과 보조 디스크 조립체(190) 사이에서 균일한 하중 전달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접속 케이싱 120-커버 케이싱
130-보조 커버 케이싱 140-센터 플레이트
160-압력판 170-보조 압력판
180-디스크 조립체 190-보조 디스크 조립체
200-다이아프램 스프링 210-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
220-위치규제용 구조물 221-바디부
222-마운팅부 223-제1돌출부
224-제2돌출부 230-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

Claims (8)

  1.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커버 케이싱;
    상기 커버 케이싱에 대해 축방향으로 수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이아프램 스프링;
    상기 커버 케이싱과 결합되고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터 플레이트;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지지점을 형성하는 보조 커버 케이싱;
    상기 커버 케이싱과 결합되고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판;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압력판;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과 상기 보조 압력판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상기 압력판 사이에 설치되고 변속기의 입력축과 결합되는 허브를 갖춘 디스크 조립체;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상기 보조 압력판 사이에 설치되고 변속기의 입력축과 결합되는 허브를 갖춘 보조 디스크 조립체; 및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에 고정되어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반경방향과 회전방향의 유동을 구속하는 위치규제용 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규제용 구조물은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과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면서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에 고정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에 결합되는 마운팅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절개홈을 향해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절개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반경방향 유동을 구속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절개홈을 향해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절개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방향 유동을 구속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바디부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바디부의 중앙부위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면서 자유단부가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절개홈의 반경방향 최외곽 내주면과 면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바디부의 중앙부위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절곡부의 양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절개홈의 원주방향 양측 내주면과 각각 면접촉하는 제2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규제용 구조물은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 배치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은 상기 마운팅부와의 체결을 위한 제1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압력판에 고정되어 상기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반경방향과 회전방향의 유동을 구속하는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은 일단부가 상기 보조 압력판의 조립구멍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절개홈의 반경방향 최외곽 내주면과 원주방향 양측 내주면에 면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은 상기 보조 압력판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 배치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 커버 케이싱은 상기 위치규제용 보조 구조물의 삽입을 위한 제2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1020180087824A 2018-07-27 2018-07-27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102094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824A KR102094607B1 (ko) 2018-07-27 2018-07-27 더블 클러치 조립체
PCT/KR2019/009271 WO2020022813A1 (ko) 2018-07-27 2019-07-25 더블 클러치 조립체
EP19839955.2A EP3832156A4 (en) 2018-07-27 2019-07-25 DOUBLE CLUTCH ASSEMBLY
CN201980049741.XA CN112513485B (zh) 2018-07-27 2019-07-25 双离合器组件
US17/263,480 US11773918B2 (en) 2018-07-27 2019-07-25 Double clutch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824A KR102094607B1 (ko) 2018-07-27 2018-07-27 더블 클러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479A true KR20200012479A (ko) 2020-02-05
KR102094607B1 KR102094607B1 (ko) 2020-03-27

Family

ID=6918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824A KR102094607B1 (ko) 2018-07-27 2018-07-27 더블 클러치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73918B2 (ko)
EP (1) EP3832156A4 (ko)
KR (1) KR102094607B1 (ko)
CN (1) CN112513485B (ko)
WO (1) WO20200228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20007734T5 (de) * 2020-10-26 2023-08-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Begrenzer für eine Doppelkupplung, Doppelkupplung und Vormontageverfahren davon, Montageverfahren eines Getriebes
TWI789270B (zh) * 2022-03-15 2023-01-01 瑪斯佶科技有限公司 離合裝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0263A (ja) * 1992-02-27 1993-09-17 Aisin Seiki Co Ltd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KR101180599B1 (ko) 2010-06-29 2012-09-06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다이어프램 지지부재를 구비한 건식 더블 클러치
KR101558768B1 (ko) * 2014-02-27 2015-10-12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101592730B1 (ko) * 2014-07-09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어셈블리
JP6080334B2 (ja) * 2010-09-03 2017-02-15 凸版印刷株式会社 容器を封止する蓋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9951A (en) * 1974-12-23 1976-02-24 Dana Corporation Diaphragm clutch spring having radial and rotational restraints
GB2133843B (en) * 1983-01-19 1986-05-08 Automotive Products Plc Friction clutch also driving a secondary output
DE3510053A1 (de) * 1985-03-20 1986-09-25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Membranfederkupplung mit elastischer abstuetzung der distanzbolzen
DE102012210716A1 (de) * 2011-07-20 2013-01-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lemmfeder für eine kraftgesteuerte Nachstelleinrichtung eines Kupplungsaggregats
KR101495086B1 (ko) * 2013-05-30 2015-02-2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더블 클러치와 트랙션 모터의 연결 구조
WO2015170176A1 (ko) * 2014-05-09 2015-11-12 발레오 평화 주식회사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101898785B1 (ko) * 2016-11-30 2018-09-13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20210057600A (ko) * 2019-11-12 2021-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 클러치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0263A (ja) * 1992-02-27 1993-09-17 Aisin Seiki Co Ltd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KR101180599B1 (ko) 2010-06-29 2012-09-06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다이어프램 지지부재를 구비한 건식 더블 클러치
JP6080334B2 (ja) * 2010-09-03 2017-02-15 凸版印刷株式会社 容器を封止する蓋体
KR101558768B1 (ko) * 2014-02-27 2015-10-12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101592730B1 (ko) * 2014-07-09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32156A1 (en) 2021-06-09
CN112513485B (zh) 2023-01-31
US20210156435A1 (en) 2021-05-27
CN112513485A (zh) 2021-03-16
US11773918B2 (en) 2023-10-03
WO2020022813A1 (ko) 2020-01-30
KR102094607B1 (ko) 2020-03-27
EP3832156A4 (en)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768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101803952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US10145458B2 (en) Torque converter drive assembly including bias spring and axially movable turbine
US4899862A (en) Torsion damping device with a centring ring member
KR102494891B1 (ko) 클러치 디스크
KR20080075884A (ko) 토크 컨버터의 외부 에지에 설치된 클러치 및, 토크 컨버터내에 클러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830002123B1 (ko) 토오크 전달장치
WO2016067639A1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KR102561060B1 (ko) 클러치 장치
GB2170295A (en) Flywheel unit
KR20200012479A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102578728B1 (ko) 댐퍼 장치 및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EP3141771B1 (en) Double clutch assembly
KR100722331B1 (ko)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KR101898785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CN111749992A (zh) 离合器和从动盘总成
KR101963028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US10274041B2 (en)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JP7208820B2 (ja) ロックアップ装置
KR101903882B1 (ko) 더블클러치 어셈블리
KR101763415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JP3558475B2 (ja) ダンパー機構
KR101202908B1 (ko) 건식 더블클러치
KR101794908B1 (ko) 토크 컨버터
KR102467897B1 (ko) 클러치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