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891B1 - 클러치 디스크 - Google Patents

클러치 디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891B1
KR102494891B1 KR1020177002992A KR20177002992A KR102494891B1 KR 102494891 B1 KR102494891 B1 KR 102494891B1 KR 1020177002992 A KR1020177002992 A KR 1020177002992A KR 20177002992 A KR20177002992 A KR 20177002992A KR 102494891 B1 KR102494891 B1 KR 102494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ivet
supports
friction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6596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벡셀
미햐엘 케쓸러
칼-루드비히 킴미히
알렉산더 포이트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70026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13/68Attachments of plates or lamellae to their supports
    • F16D13/683Attachments of plates or lamellae to their supports for 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2013/642Clutch-plates; Clutch-lamellae with resilient attachment of frictions rings or linings to their supporting discs or plates for allowing limited axial displacement of these rings or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하나의 지지부(4, 5)에 수용된 두 개의 마찰 라이닝(8, 9)을 구비한 마찰 클러치용 클러치 디스크(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두 마찰 라이닝은 서로의 먼 측면에 마찰면과, 지지부들(4, 5)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6)와, 마찰 라이닝(8, 9)의 반경 반향 내부에서 지지부(4, 5)를 수용하는 드라이버 디스크(2)를 포함하며, 이때 마찰 라이닝(8, 9)의 컷아웃 섹션(12, 13)에 작용하는 축 방향 연결부(10)가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6)의 작용에 대해 두 지지부(4, 5)를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수용한다. 특히 축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마찰 라이닝(8, 9)의 영역 내에서 클러치 디스크(1)의 축 방향 설치 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두 지지부 중 하나 이상의 지지부(5)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6)의 컷아웃 섹션(15)을 감싸고, 축 방향 연결부(10)에 대한 접촉 영역에서 축 방향으로 다른 지지부(5)의 방향으로 함몰부(16)를 갖는다.

Description

클러치 디스크{CLUTCH DISK}
본 발명은 각각 하나의 지지부에 수용된 두 개의 마찰 라이닝을 구비한 마찰 클러치용 클러치 디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두 마찰 라이닝은 서로의 먼 측면에 마찰면과, 축 방향으로 지지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와, 마찰 라이닝의 반경 반향 내부에서 지지부를 수용하는 드라이버 디스크를 포함하며, 이때 마찰 라이닝의 컷아웃 섹션에 작용하는 축 방향 연결부가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의 작용에 대해 두 지지부를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수용한다.
이러한 유형의 클러치 디스크는, 예를 들어 DE 10 2010 024 460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각각 하나의 지지부에 하나의 마찰 라이닝이 수용된다. 지지부는 라이닝 스프링이 중간 개재된 상태로 서로 축 방향으로 탄성 연결되며, 이때 마찰 라이닝의 마찰면은 서로의 먼 측면으로 배치됨으로써, 클러치 디스크는 자신의 마찰 라이닝에 의해 마찰 클러치의 두 개의 상대 마찰면들 사이에서 마찰 결합을 형성하면서 축 방향으로 클램핑될 수 있다. 지지부는 마찰 라이닝의 영역에서 축 방향 연결부에 의해 유지되는데, 상기 연결부는 주연에 걸쳐 분포하여 배치된 리벳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라이닝 탄성을 구현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가 축 방향으로 지지부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 부재는 리벳 부재의 스토퍼에 대해 지지부를 예압시킨다. 통상적으로 스프링 부재는 리벳 부재의 스토퍼를 통해 축 방향으로 부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혀 예압이 발생하지 않거나 단지 미미한 예압만 발생하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 리벳 부재의 마감 헤드 및 스냅 헤드가 마찰 라이닝 내에 축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 스냅 헤드 및 마감 헤드의 전방면들과 마찰 라이닝의 마찰면들 사이에서는 새로운 상태에서 마모 마진(wear margin)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축 방향 설치 공간 및 마모 마진과 관련하여 유리하게 개선된 클러치 디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의 대상에 의해 해결된다. 이에 종속된 청구항들에는 청구항 1에 따른 대상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되는 클러치 디스크는 마찰 라이닝을 위해 제공되며, 이때 서로의 먼 측면에 마찰면을 갖고 각각 지지부에 수용된 마찰 라이닝은 마찰 결합의 형성을 위해 마찰 라이닝의 상대 마찰면들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클램핑될 수 있다. 라이닝 탄성을 제공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가 축 방향으로 지지부들 사이에 제공된다. 지지부 및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는 마찰 라이닝의 반경 방향 내부에서 드라이버 디스크에 수용되는데 예컨대 리벳 연결된다. 드라이버 디스크는 클러치 디스크에 도입된 회전 토크를 회전 부재, 예를 들어 기어 입력 샤프트, 구동 케이지, 구동 판 등에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드라이버 디스크와 회전 부재 사이에는 토션 진동 댐퍼가 배치될 수 있거나 드라이버 디스크에 원심력 추(pendulum)가 배치될 수 있다. 마찰 라이닝은 컷아웃 섹션을 포함하는데, 상기 컷아웃 섹션 내에서 축 방향 연결부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의 작용에 대해 두 지지부를, 라이닝 탄성의 형성을 위해 축 방향으로 제한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수용한다.
동일하게 유지되는 마모 마진에서 축 방향 설치 폭을 감소시키거나, 동일하게 유지되는 축 방향 설치 공간에서 마모 마진을 증가시키거나, 상기 두 극단적 상태들 사이에서 상태를 조정하기 위해, 두 지지부들 중 하나는 축 방향 연결부에 대해 접촉 영역에서 스프링 부재를 감싸고 축 방향으로 다른 하나의 지지부의 방향으로 함몰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스프링 부재는 축 방향 연결부의 수용을 위해 마찰 라이닝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컷아웃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에서 컷아웃 섹션을 통해 그리고 하나 이상의 지지부에서 함몰부를 통해 함몰부의 스토퍼는 축 방향 연결부에서 축 방향으로 다른 하나의 지지부의 방향으로 복귀 변위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마찰 라이닝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영역은, 마찰 라이닝의 축 방향 이완 상태에서, 예컨대 개방된 마찰 클러치에서 축 방향 연결부의 축 방향 스토퍼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교차하게 된다. 축 방향으로 완전히 예압된 마찰 라이닝의 상태에서, 예컨대 폐쇄된 마찰 클러치에서, 함몰부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를 축 방향으로, 예컨대 다른 하나의 지지부와 접촉하기까지 교차하거나 감싼다. 이로써,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의 두께의 높이에서 마찰 라이닝의 두께가 사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마찰 라이닝의 마모 마진이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축 방향 연결부는 주연에 걸쳐 분포하여 배치된 리벳 부재로 형성되며, 이때 각각 하나 이상의 리벳 부재는 하나의 지지부를 고정 수용한다. 이 경우, 다른 하나의 지지부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 축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지지부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간격은 리벳 부재의 스토퍼에 의해 제한된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에서 리벳 부재를 둘러싸는 접시형 함몰부가 다른 하나의 지지부의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을 정도로, 리벳 부재 둘레에서 각각 절감된다. 이 경우, 지지부는 모든 리벳 부재에 고정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단지 하나의 지지부에만 접시형 함몰부가 제공된다. 다른 하나의 지지부는 리벳 부재를 갖는 리벳 영역과 같이 접촉 영역에서 평편하게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두 지지부에 함몰부가 제공될 수 있고, 이때 하나의 지지부는 리벳 부재와 고정 연결될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평편한 고정 표면이 리벳 부재의 스토퍼와 상기 지지부로 형성된다. 이상적인 경우, 스토퍼의 최대 두께는 마모 마진의 증가를 위해 활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클러치 디스크의 마모 상태에서 스토퍼와 지지부가 마찰 라이닝의 분해 후 마모 한계를 동일하게 형성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평편한 리벳 영역을 갖는 접시형 함몰부들이 주연에 걸쳐 교대로 두 지지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의 각각 하나의 접시형 함몰부가 다른 지지부의 평편한 리벳 영역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의 작용하에 지지부의 탄성 예압은 주연에 걸쳐 리벳 부재로부터 리벳 부재로 변경된다. 여기서, 짝수의 평편한 리벳 영역과 함몰부가 주연에 걸쳐 교대되는 경우 지지부들은 동일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들은 리벳 부재의 간격 만큼 주연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옵셋되어 배치된다.
함몰부의 높이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의 재료 두께에 상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는 마찰 라이닝이 축 방향으로 예압된 상태에서 함몰부의 영역에서 서로 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라이닝 탄성은 마찰 라이닝의 축 방향 예압하에, 예컨대 최대 회전 토크를 전달하는 폐쇄된 마찰 클러치에서 완전히 소모된다.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는 탄성률을 갖는 하나 또는 축 방향으로 서로 접하는 복수의 환형 판재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재 부품은 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응하는 레이아웃 또는 다른 축 방향 탄성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는 주연에 걸쳐 분포된 스프링 세그먼트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는 소실 방지를 위해, 예컨대 걸림 고정되는 것과 같이 하나 또는 두 지지부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가 지지부와 함께 드라이버 디스크에 수용된다.
지지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의 지지부 또는 두 지지부 모두는 축 방향으로 확대된 환형 크림프를 포함할 수 있다.
리벳 부재는 단일 직경 상에서 주연에 걸쳐 분포하여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리벳 부재가 상이한 직경의 2개 이상의 분할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클러치 디스크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클러치 디스크에 대해 변경된 클러치 디스크를 동일한 방식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클러치 디스크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도 1의 클러치 디스크에 대해 변경된 클러치 디스크의 상세도이며,
도 5는 두 개의 리벳 열을 구비한, 도 1의 클러치 디스크에 대해 변경된 클러치 디스크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리벳 요소의 정렬이 변경된, 도 5의 클러치 디스크에 대해 변경된 클러치 디스크를 동일한 방식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이중 스프링 요소를 구비한, 도 5 및 도 6의 클러치 디스크에 대해 변경된 마찰 클러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스프링 세그먼트와 그 뒤에 위치하는 지지부의 3D-상세도이며,
도 9는 도 1의 클러치 디스크의 지지부의 3D-도면이고,
도 10은 도 4의 클러치 디스크의 지지부의 3D-도면이며,
도 11은 도 1 내지 도 10의 클러치 디스크에 대해 변경된 클러치 디스크의 지지부의 3D-도면이다.
도 1에는 클러치 디스크(1)가 부분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드라이버 디스크(2)는 회전 요소와, 예를 들어 허브에 의해 변속기의 기어 입력 샤프트와 회전 결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드라이버 디스크(2)와 상기 회전 요소 사이에는 회전 진동 절연 장치가, 예를 들어 토션 진동 댐퍼 및/또는 원심력 추를 구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드라이버 디스크(2)는 주연에 걸쳐 배치된 리벳(3)을 이용하여 지지부(4, 5)를 반경 방향 외부에 수용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연에 결쳐 분포된 스프링 세그먼트(7)로서 형성되어 지지부들(4, 5) 사이에서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6)를 수용한다. 두 지지부(4, 5)에는 각각 하나의 마찰 라이닝(8, 9)이 수용되는데, 예를 들어 접착 또는 압착된다. 마찰 라이닝(8, 9)의 반경 방향 영역에는 주연에 걸쳐 분호하여 배치된 리벳 부재(11)로 형성된 축 방향 연결부(10)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마찰 라이닝(8, 9)는 축 방향 연결부(10)의 수용을 위한 상응하는 컷아웃 섹션(12, 13)을 갖는다. 이 경우 지지부(4)는 리벳 영역(14)에서 리벳 부재(11) 둘레에 평편하게 형성되고 리벳 부재(11)와 고정 연결된다. 스프링 세그먼트(7)는, 컷아웃 섹션(12, 13)과 동일한 직경부에서 절결된 컷아웃 섹션(15)을 포함한다. 이로써, 리벳 영역(14)에서 지지부(5)에는 지지부(4)의 방향으로 접시형 함몰부(16)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는, 예를 들어 완전히 폐쇄된 마찰 클러치에서 축 방향으로 완전히 예압된 상태의 마찰 라이닝(8, 9)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접시형 함몰부(16)는 스프링 세그먼트(7)를 축 방향으로 감싸고 지지부(4)에 접하게 된다. 이를 통해 스프링 세그먼트(7)의 높이에서 축 방향 설치 공간은 축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절감되는데, 이는 마찰 라이닝(8, 9)의 마찰 라이닝 두께가 동일할 때 사용 상태에서 감소될 수 있거나 축 방향 설치 공간이 동일할 때 상응하는 마찰 라이닝의 두께 증가를 통해 마찰 라이닝(8, 9)의 마모 마진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찰 라이닝의 마모 한계로서 리벳 부재(11)의 축 방향 두께가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마찰 클러치의 상대 마찰면과 리벳 부재의 접촉이 전달 가능한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스프링 세그먼트(7)의 이완된 상태에서 함몰부(16)는 리벳 부재(11)의 스토퍼(17)에 대해 변위됨으로써, 서로에 대한 지지부(4, 5)의 축 방향 간격 또는 마찰 라이닝(8, 9)의 간격이 제한된다.
도 2에는 도 1의 클러치 디스크(1)와 유사하한 클러치 디스크(101)가 동일한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클러치 디스크는 지지부(104, 105)와, 이에 고정된 마찰 라이닝(108, 109)과, 지지부들(104, 105)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 스프링 부재(106)를 구비한다. 클러치 디스크(1)와는 다르게, 두 지지부(104, 105)는 리벳 부재(111)의 반경 방향 내부에 각각 마찰 라이닝(108, 109)의 마찰면(118, 119)의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확대된, 바람직하게는 환형의 크림프(120, 121)를 포함한다. 이러한 크림프는 지지부(104, 105)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최대로 리벳 부재(111)의 마감 헤드 및 스냅 헤드(122, 123)까지 연장되어 마찰 라이닝(108, 109)의 마모 마진 감소를 방지한다.
도 3에는 지지부(4, 5)와, 마찰 라이닝(8, 9)과, 스프링 세그먼트(7)로 형성된 스프링 부재(6)와, 축 방향 연결부(10)를 형성하는 리벳 부재(11)를 구비한 도 1의 클러치 디스크(1)가 확대된 상세도로 도시되어 있다. 마찰 라이닝(8, 9)의 컷아웃 섹션(12, 13)까지 확대된 컷아웃 섹션(15)을 통해 리벳 영역(14) 내에서 지지부(5)에 함몰부(16)가 제공될 수 있고, 리벳 부재(11)의 마감 헤드와 스냅 헤드(22, 23) 사이의 축 방향 간격(a)이 더 짧게 설정됨으로써, 상기 함몰부는 함몰부(16)와 리벳 부재(11)의 스토퍼(17) 사이에 방향 스프링 트래블(s)이 동일할 때 마찰 라이닝(8, 9)의 라이닝 탄성을 구현하기 위한 더 큰 마모 마진을 가능케 한다. 이를 통해 리벳 부재(11)와 마찰면(18, 19) 사이의 마모 마진(r1)이 증가할 수 있거나, 축 방향으로 예압된 상태에서 도시된 클러치 디스크(1)의 축 방향 폭(b)이 감소될 수 있다.
도 4에는 도 1 내지 도 3의 클러치 디스크에 대해 변경된 클러치 디스크(201)가 도 3에 상응하는 상세도로 도시되어 있다. 클러치 디스크(1)와는 다르게, 클러치 디스크(201)는 리벳 영역(214) 내에서 리벳 부재(211)와 고정 연결된 지지부(204)에 함몰부(224)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마감 헤드(223)는 지지부(20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 방향으로 교차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마모 마진(r2)은 평편한 지지부의 구성에 비해 확대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205)의 함몰부(216)는 도 1 및 도 3의 구현예에 상응하게 마모 마진(r1)을 가능케 한다. 전체적으로 총 마모 마진(r1 + r2)은 스프링 부재(206)의 축 방향 두께만큼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함몰부(216, 224)에 의해 마찰 라이닝(208, 209)에 대해 마모 마진(r1, r2)의 동일한 분포가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7에는 클러치 디스크(301, 401, 501)가 부분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클러치 디스크는 도 1 내지 도 4의 클러치 디스크(1, 101, 201)와는 다르게, 상이한 직경의 두 분할원(326, 327, 426, 427, 526, 527) 상에서 리벳 부재(311, 325, 411, 425, 511, 525)의 2열 배치가 제공되어 있다. 반경 방향으로 분할원들(326, 327, 426, 427, 526, 527) 사이에서 지지부(304, 305, 404, 405, 504, 505)는 각각 도 2의 크림프(120, 121)에 상응하는 환형 크림프(320, 321, 420, 421, 520, 521)를 갖는다. 이러한 클러치 디스크의 실시 형태는 크림프 없이도 유리하다. 클러치 디스크(301, 401, 501)는 리벳 요소(311, 325, 411, 425, 511, 525)의 배치와 스프링 부재(306, 406, 506, 506a)의 구성에서 구별된다. 개별적으로 도 5에 도시된 클러치 디스크(301)에서, 지지부(304)가 반경 방향 내부 및 반경 방향 외부 리벳 부재(311, 325)와 고정 연결되고 지지부(305)가 스프링 부재(306)의 작용에 대해 함몰부(316, 328)의 스토퍼(317)에의 접촉부와 지지부(304)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클러치 디스크(401)에서, 리벳 부재(411)와 함몰부(416)는 도 5의 리벳 부재(311)와 함몰부(316)에 상응하게 배치되어 있다. 리벳 부재(411)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 리벳 부재(425)는 지지부(405)를 고정적으로 수용하고 지지부(404)를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수용한다. 이에 상응하게 함몰부(428)는 지지부(404)에 제공되어 있다. 도 7의 클러치 디스크(501)는 리벳 부재(511, 525)의 배치와 관련하여 도 5의 클러치 디스크(301)에 상응한다. 후자의 클러치 디스크와 다르게, 서로 접하는 두 개의 스프링 부재(506, 506a)가 제공되며, 이들 스프링 부재는 예를 들어 주연에 걸쳐 배치된 스프링 부재(507, 507a)로서 형성될 수 있다.
리벳 부재(311, 325, 411, 425, 511, 525)와 고정 연결된 지지부(304, 404, 405, 504)는 리벳 영역(314, 329, 414, 429, 514, 529)에 평편하게 형성된다. 도 4의 클러치 디스크(201)에 상응하게, 리벳 부재(311, 325, 411, 425, 511, 525)와 고정 연결된 지지부(304, 404, 405, 504)도 함몰부를 갖는다.
도 8에는 지지부(605)와 이 지지부에 스프링 세그먼트(607)의 형태로 수용된 스프링 부재(606)를 구비한 클러치 디스크(601)가 3D-상세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반대편에 위치하는 지지부는 개관을 위해 생략되어 있다. 스프링 세그먼트(607)는 지지부(605)의 평편한 리벳 영역(614) 및 함몰부(616)에 대한 시야를 제공하는 컷아웃 섹션(615)을 포함한다. 이 경우 지지부(605)는 함몰부(616)와 평편한 리벳 영역(614)을 주연에 걸쳐 교대로 포함한다. 스프링 세그먼트(607)는 반경 방향 내부로 확장된 설부(630)를 갖고, 상기 설부를 이용하여 스프링 세그먼트는 컷아웃 섹션(631)을 통해 노출된 지지부(605)의 웨브(632)와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지지부와 함께 드라이버 디스크(2)(도 1)에 연결된다.
도 9에는 도 1 및 도 3과 관련하여 도 1 및 도 3의 클러치 디스크(1)의 지지부(4, 5)가 3D-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지지부(4)에는 주연에 걸쳐 분포된 개구(33)가 제공되고, 이들 개구에서 리벳 부재(11)의 고정 리벳 연결이 이루어진다. 지지부(5)는 주연에 걸쳐 분포된 함몰부(16)를 구비하고, 상기 함몰부는 스프링 부재(6)의 작용에 대해 리벳 부재(11)의 스토퍼(17)에서 지지부(4)를 지지부(5)에 대해 축 방향으로 유지시킨다. 주연 방향으로 함몰부들(16) 또는 개구들(33) 사이에는 각각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34, 35)이 마찰 라이닝 평면의 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도 10에는 도 2의 클러치 디스크(201)의 지지부(204, 205)가 3D-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두 지지부(204, 205)는 함몰부(216, 224)를 구비하며, 이때 함몰부들의 개구(233)는 리벳 부재(211)(도 4)와의 고정 리벳 연결을 위해 함몰부(216)에 할당된 개구(236)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지지부는 리벳 부재(211)에 대해 축 방향으로 제한되어 변위 가능하다.
도 11에는 도 8에서 상세하게 도시된 클러치 디스크(601)의 지지부(604, 605)가 3D-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두 지지부(604, 605)는 바람직하게 동일한 부품으로 형성되고 주연에 걸쳐 교대로 배치된 함몰부(616)와, 리벳 부재와의 고정 리벳 연결을 위한 평편한 리벳 영역(614)에 제공된 개구(633)를 포함한다.
1 클러치 디스크
2 드라이버 디스크
3 리벳
4 지지부
5 지지부
6 스프링 부재
7 스프링 세그먼트
8 마찰 라이닝
9 마찰 라이닝
10 축 방향 연결부
11 리벳 부재
12 컷아웃 섹션
13 컷아웃 섹션
14 리벳 영역
15 컷아웃 섹션
16 함몰부
17 스토퍼
18 마찰면
19 마찰면
22 마감 헤드
23 스냅 헤드
33 개구
34 슬롯
35 슬롯
101 클러치 디스크
104 지지부
105 지지부
106 스프링 부재
108 마찰 라이닝
109 마찰 라이닝
111 리벳 부재
118 마찰면
119 마찰면
120 크림프
121 크림프
122 마감 헤드
123 스냅 헤드
201 클러치 디스크
204 지지부
205 지지부
206 스프링 부재
208 마찰 라이닝
209 마찰 라이닝
211 리벳 부재
214 리벳 영역
216 함몰부
223 마감 헤드
224 함몰부
233 개구
236 개구
301 클러치 디스크
304 지지부
305 지지부
306 스프링 부재
311 리벳 부재
314 리벳 영역
316 함몰부
317 스토퍼
320 크림프
321 크림프
325 리벳 부재
326 분할원
327 분할원
328 함몰부
329 리벳 영역
401 클러치 디스크
404 지지부
405 지지부
406 스프링 부재
411 리벳 부재
414 리벳 영역
416 함몰부
420 크림프
421 크림프
425 리벳 부재
426 분할원
427 분할원
428 함몰부
429 리벳 영역
501 클러치 디스크
504 지지부
505 지지부
506 스프링 부재
506a 스프링 부재
507 스프링 부재
507a 스프링 부재
511 리벳 부재
514 리벳 영역
516 함몰부
520 크림프
521 크림프
525 리벳 부재
526 분할원
527 분할원
528 함몰부
529 리벳 영역
601 클러치 디스크
604 지지부
605 지지부
606 스프링 부재
607 스프링 부재
614 리벳 영역
615 컷아웃 섹션
616 함몰부
630 설부
631 컷아웃 섹션
632 웨브
633 개구
a 간격
b 폭
r1 마모 마진
r2 마모 마진
s 스프링 트래블

Claims (10)

  1. 각각 하나의 지지부(4, 5, 104, 105, 204, 205, 304, 305, 404, 405, 504, 505, 604, 605)에 수용된 두 개의 마찰 라이닝(8, 9, 108, 109, 208, 209)을 구비한 마찰 클러치용 클러치 디스크(1, 101, 201, 301, 401, 501, 60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두 마찰 라이닝은 서로의 먼 측면에 마찰면(18, 19, 118, 119)과, 지지부들(4, 5, 104, 105, 204, 205, 304, 305, 404, 405, 504, 505, 604, 605)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6, 106, 206, 306, 406, 506, 506a, 606)와, 마찰 라이닝(8, 9, 108, 109, 208, 209)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안쪽에서 지지부(4, 5, 104, 105, 204, 205, 304, 305, 404, 405, 504, 505, 604, 605)를 수용하는 드라이버 디스크(2)를 포함하며, 이때 마찰 라이닝(8, 9, 108, 109, 208, 209)의 컷아웃 섹션(12, 13)에 작용하는 축 방향 연결부(10)가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6, 106, 206, 306, 406, 506, 506a, 606)의 작용에 대해 두 지지부(4, 5, 104, 105, 204, 205, 304, 305, 404, 405, 504, 505, 604, 605)를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수용하는 클러치 디스크에 있어서,
    두 지지부 중 하나 이상의 지지부(5, 105, 204, 205, 305, 404, 405, 505, 604, 605)는 축 방향 연결부(10)에 대한 접촉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6, 106, 206, 306, 406, 506, 506a, 606)의 컷아웃 섹션(15, 615)을 감싸고, 축 방향으로 다른 지지부(4, 104, 204, 205, 304, 404, 405, 504, 604, 605)의 방향으로 함몰부(16, 216, 224, 316, 328, 416, 428, 516, 528, 61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축 방향 연결부(10)는 주연에 걸쳐 분포하여 배치된 리벳 부재(11, 111, 211, 311, 325, 411, 425, 511, 525)로 형성되고, 각각 하나의 리벳 부재(11, 111, 211, 311, 325, 411, 425, 511, 525)는 하나의 지지부(4, 104, 204, 205, 304, 404, 405, 504, 604, 605)를 고정 수용하며, 다른 하나의 지지부(5, 105, 204, 205, 305, 404, 405, 505, 604, 605)의 축 방향 간격이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6, 106, 206, 306, 406, 506, 506a, 606)에 의해 리벳 부재(11, 111, 211, 311, 325, 411, 425, 511, 525)의 스토퍼(17, 317)를 통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1, 101, 201, 301, 401, 501, 601).
  3.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지부(5, 105, 204, 205, 305, 404, 405, 505, 604, 605)는 리벳 부재(11, 111, 211, 311, 325, 411, 425, 511, 525)를 둘러싸는 접시형 함몰부(16, 216, 224, 316, 328, 416, 428, 516, 528, 616)를 다른 지지부(4, 104, 204, 205, 304, 404, 405, 504, 604, 605)의 방향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1, 101, 201, 301, 401, 501, 601).
  4. 제3항에 있어서, 하나의 지지부(5, 105, 305, 505)에만 접시형 함몰부(16, 316, 328, 516, 528)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1, 101, 301, 501).
  5. 제3항에 있어서, 두 지지부(204, 205, 404, 405, 604, 605)에 접시형 함몰부(216, 224, 416, 428, 616)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201, 401, 601).
  6. 제3항에 있어서, 평편한 리벳 영역(614)을 갖는 접시형 함몰부들(616)이 주연에 걸쳐 교대로 두 지지부(604, 605)에 위치하고, 지지부(604, 605)의 각각 하나의 접시형 함몰부(616)는 다른 하나의 지지부(605, 604)의 평편한 리벳 영역(614)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60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4, 5, 104, 105, 204, 205, 304, 305, 404, 405, 504, 505, 604, 605)는 마찰 라이닝(8, 9, 108, 109, 208, 209)이 축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함몰부(16, 116, 216, 224, 316, 328, 416, 428, 516, 528, 616)의 영역 내에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1, 101, 201, 301, 401, 501, 601).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506, 506a)는 축 방향으로 서로 접하는 복수의 판재 부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501).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지지부(104, 105, 304, 305, 404, 405, 504, 505)에는 축 방향으로 환형 크림프(120, 121, 320, 321, 420, 421, 520, 521)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101, 301, 401, 501).
  10. 제2항 내지 제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벳 부재(311, 325, 411, 425, 511, 525)는 상이한 직경의 2개 이상의 분할원(326, 327, 426, 427, 526, 527)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디스크(301, 401, 501).
KR1020177002992A 2014-07-03 2015-06-03 클러치 디스크 KR102494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12949.4A DE102014212949A1 (de) 2014-07-03 2014-07-03 Kupplungsscheibe
DE102014212949.4 2014-07-03
PCT/DE2015/200346 WO2016000705A1 (de) 2014-07-03 2015-06-03 Kupplungsschei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596A KR20170026596A (ko) 2017-03-08
KR102494891B1 true KR102494891B1 (ko) 2023-02-03

Family

ID=53498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992A KR102494891B1 (ko) 2014-07-03 2015-06-03 클러치 디스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164615B1 (ko)
KR (1) KR102494891B1 (ko)
CN (1) CN106536958B (ko)
DE (2) DE102014212949A1 (ko)
WO (1) WO20160007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6301B4 (de) 2014-08-18 2023-08-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scheibe für eine Reibungskupplungseinrichtung
DE102015014396A1 (de) * 2015-11-06 2017-05-11 Man Truck & Bus Ag Kupplungsscheibe für eine lösbare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DE102016208778A1 (de) 2016-05-20 2017-11-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rägerscheibe für eine Kupplungsscheibe, sowie Kupplungsscheibe
DE102018104377A1 (de) * 2017-12-19 2019-06-1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einrichtung
DE102019127238A1 (de) * 2019-04-10 2020-10-1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mellenkupplung, insbesondere für einen Hybrid-Antriebsstrang
DE102019123110A1 (de) * 2019-07-10 2021-01-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Mehrscheibenkupplungsscheibe
CN110778616A (zh) * 2019-11-29 2020-02-11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低转动惯量的离合器从动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1097A (en) 1997-12-18 2002-07-17 Luk Lamellen & Kupplungsbau A clutch disc with an embedded reinforcing element having arms
DE102010024460A1 (de) 2009-07-13 2011-01-2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Trägerscheibe für eine Kupplungsscheib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66650A (en) * 1943-02-18 1945-01-08 Wilbur Vincent Thelander Clutch plate facing carriers
US2630199A (en) * 1948-12-15 1953-03-03 Borg Warner Clutch driven plate with bonded linings
US4858742A (en) * 1988-05-13 1989-08-22 Dana Corproation Clutch disk with cushioned friction element assembly
JPH06159386A (ja) * 1992-11-20 1994-06-07 Toyota Motor Corp クラッチディスク
JP2853495B2 (ja) * 1992-12-07 1999-02-0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クッション式摩擦クラッチ装置
JPH09310725A (ja) * 1996-05-23 1997-12-02 Exedy Corp モジュラークラッチ
JPH09250553A (ja) * 1996-03-19 1997-09-22 Exedy Corp 摩擦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クラッチディスク組立体
JPH10196674A (ja) * 1997-01-06 1998-07-31 Exedy Corp 摩擦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クラッチディスク組立体
WO2006136131A1 (de) * 2005-06-24 2006-12-28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upplungsscheibe
EP1865217A1 (de) * 2006-06-07 2007-12-12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upplungsscheib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1097A (en) 1997-12-18 2002-07-17 Luk Lamellen & Kupplungsbau A clutch disc with an embedded reinforcing element having arms
DE102010024460A1 (de) 2009-07-13 2011-01-2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Trägerscheibe für eine Kupplungsschei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0705A1 (de) 2016-01-07
DE102014212949A1 (de) 2016-01-07
KR20170026596A (ko) 2017-03-08
EP3164615A1 (de) 2017-05-10
CN106536958B (zh) 2019-04-23
EP3164615B1 (de) 2018-08-22
CN106536958A (zh) 2017-03-22
DE112015003120A5 (de)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891B1 (ko) 클러치 디스크
CN103492749B (zh) 扭转振动减振器
US10145458B2 (en) Torque converter drive assembly including bias spring and axially movable turbine
US8960396B2 (en) Torsional vibration damping arrangement, particularly for the power train of a vehicle
JP4999898B2 (ja) トルクリミッタ装置
JP5980818B2 (ja) クラッチのためのトーショナルダンパ
CN105299134B (zh) 用于离合器和/或减振器装置的转动组件及扭矩传递装置
US10233978B2 (en) Lock-up device for torque converter
CN106838075B (zh) 特别地用于机动车辆的摩擦盘
US9599205B2 (en) Cover plate sealed to stator assembly
KR20160119784A (ko) 상시 결합식 클러치 장치
KR102578728B1 (ko) 댐퍼 장치 및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US20170292592A1 (en) Recessed hydrodynamic bearing for turbine damper riveting
JP6584427B2 (ja) 浮動式の振り子質量体ストッパ
KR102094607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101664579B1 (ko) 자동변속기의 리턴스프링 공용 구조
US9976624B2 (en) Damper and pre-damper assembly
KR101898785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102391462B1 (ko) 진자식 댐핑 장치를 구비한 토크 전달 장치
JP7527776B2 (ja) ねじり振動ダンパ
US9803701B2 (en) Drive assembly including a damper and clutch plate sub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drive assemblies
KR101549330B1 (ko) 토크 전달 장치의 댐퍼 기구
US20160025183A1 (en) Damper assebmly sealing arrangement
KR101202908B1 (ko) 건식 더블클러치
US20160032982A1 (en) Damper assembly including axially fixed frictio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