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063A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063A
KR20200012063A KR1020180086705A KR20180086705A KR20200012063A KR 20200012063 A KR20200012063 A KR 20200012063A KR 1020180086705 A KR1020180086705 A KR 1020180086705A KR 20180086705 A KR20180086705 A KR 20180086705A KR 20200012063 A KR20200012063 A KR 20200012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ma
data
current frame
image data
g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804B1 (ko
Inventor
김균호
강봉균
김성진
이능범
이준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6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804B1/ko
Priority to US16/401,600 priority patent/US11030967B2/en
Priority to CN201910676948.1A priority patent/CN110782851B/zh
Publication of KR20200012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68Image quality insp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8Details of driving circuits arranged to drive both scan and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8Use of a frame buffer in a display terminal, inclusive of th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데이터 라인 및 상기 서로 다른 컬러의 서브 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로 다른 컬러의 서브 화소들은 동일한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표시 패널과, 상기 데이터 라인에 기준 전압 대비 양극성 데이터 전압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와,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설정된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 데이터가 노멀한 영상 데이터이면,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계조별 비대칭인 비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상기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면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계조별 대칭인 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감마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표시 기판(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과 대향 기판(counter substrate)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각 화소는 데이터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 상기 스위칭 소자에 연결된 액정 커패시터 및 상기 액정 커패시터에 연결된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을 기준 전압으로 하여 양극성의 데이터 전압과 음극성의 데이터 전압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표시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고하는 것이다.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데이터 라인 및 상기 서로 다른 컬러의 서브 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로 다른 컬러의 서브 화소들은 동일한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표시 패널과, 상기 데이터 라인에 기준 전압 대비 양극성 데이터 전압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와,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설정된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 데이터가 노멀한 영상 데이터이면,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계조별 비대칭인 비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상기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면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계조별 대칭인 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감마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감마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별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대칭 감마 생성부 및 상기 비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별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대칭 감마 생성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대칭 감마와 상기 비대칭 감마 사이의 보간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별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간 감마 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고, 이전 프레임의 노멀 영상 데이터에서 변경된 경우, 상기 보간 감마 생성부는 설정된 프레임 횟수 동안 상기 보간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노멀 영상 데이터이고, 이전 프레임의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에서 변경된 경우, 상기 보간 감마 생성부는 설정된 프레임 횟수 동안 상기 보간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간 감마 생성부는 점진적으로 변하는 복수의 보간 감마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감마 생성부들은 룩업테이블이거나 산출회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체 계조 영역은 기준 저계조 보다 낮은 계조를 포함하는 저계조 영역과, 기준 고계조 보다 높은 계조를 포함하는 고계조 영역 및 상기 기준 계조와 기준 고계조 사이의 중간 계조를 포함하는 중간 계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대칭 감마는 상기 저계조 영역, 상기 중간 계조 영역 및 상기 고계조 영역에 대해서 계조별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대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비대칭 감마는 상기 저계조 영역 및 상기 고계조 영역에 대해서는 계조별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대칭이고 상기 중간 계조 영역에 대해서 계조별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비대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크로스토크 패턴은 저계조의 영상 데이터로 이루어진 바탕 화면과 상기 바탕 화면의 중앙에 단색의 중간 계조로 이루어진 박스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라인 및 상기 서로 다른 컬러의 서브 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로 다른 컬러의 서브 화소들은 동일한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설정된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 데이터가 노멀한 영상 데이터이면,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계조별 비대칭인 비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상기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면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계조별 대칭인 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고, 이전 프레임의 노멀 영상 데이터에서 변경된 경우, 설정된 프레임 횟수 동안 상기 보간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노멀 영상 데이터이고, 이전 프레임의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에서 변경된 경우, 설정된 프레임 횟수 동안 상기 보간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감마 데이터는 룩업테이블이거나 산출회로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계 계조 영역은 기준 저계조 보다 낮은 계조를 포함하는 저계조 영역과, 기준 고계조 보다 높은 계조를 포함하는 고계조 영역 및 상기 기준 계조와 기준 고계조 사이의 중간 계조를 포함하는 중간 계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대칭 감마는 상기 저계조 영역, 상기 중간 계조 영역 및 상기 고계조 영역에 대해서 계조별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대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비대칭 감마는 상기 저계조 영역 및 상기 고계조 영역에 대해서는 계조별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대칭이고 상기 중간 계조 영역에 대해서 계조별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비대칭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크로스토크가 많이 시인되는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대칭 감마를 적용하고 크로스토크 패턴이 없는 노멀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비대칭 감마를 적용함으로써 표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데이터 생성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칭 감마 및 비대칭 감마를 설명하기 위한 곡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데이터 생성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타이밍 제어부(200), 감마 데이터 생성부(300), 데이터 구동부(400) 및 게이트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복수의 공통 전압 라인들(VCL) 및 복수의 화소부들(PU)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다. 상기 공통 전압 라인들(VCL)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다.
상기 화소부들(PU)은 복수의 화소 행들과 복수의 화소 열들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화소부들(PU) 각각은 복수의 서브 화소들(SP)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소부(PU)는 레드 서브 화소(R), 그린 서브 화소(G) 및 블루 서브 화소(B)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서브 화소는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액정 커패시터 및 상기 액정 커패시터에 연결된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공통 전압 배선(VCL)은 공통 전압(Vcom)을 상기 스토리 커패시터의 공통 전극에 전달한다.
상기 레드 서브 화소(R), 상기 그린 서브 화소(G) 및 상기 블루 서브 화소(B)는 제1 방향(D1)에 대응하는 단변과 제2 방향(D2)에 대응하는 장변을 갖고, 동일한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200)는 전반적인 표시 장치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200)는 외부 그래픽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DATA) 및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2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를 설정된 보정 알고리즘을 통해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200)는 상기 감마 데이터 생성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200)는 상기 제어 신호(CONT)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복수의 제어 신호들은 상기 감마 데이터 생성부(3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CONT1),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CONT2)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5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3 제어 신호(CONT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기설정된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지에 따라 상기 감마 데이터 생성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감마 제어 신호(GCS)를 포함한다.
상기 감마 데이터 생성부(300)는 상기 감마 제어 신호(GCS)에 기초하여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에 대응하는 대칭 감마 및 비대칭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상기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감마 데이터 생성부(300)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기준 전압, 예컨대, 공통 전압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인 양극성과 음극성 감마 데이터로 생성한다.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상기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지 않은 노멀 영상 데이터인 경우, 상기 감마 데이터 생성부(300)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공통 전압을 기준으로 비대칭 구조인 양극성과 음극성 감마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는 상기 감마 데이터 생성부(300)로부터 제공된 감마 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500)는 복수의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500)는 표시 패널에 바로 집적된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쉬프트레지스터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200)는 저장부(210) 및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10)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210)는 액정의 응답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보정 알고리즘(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 DCC)에 사용되는 프레임 메모리일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는 현재 수신된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분석한다.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가 설정된 크로스토크 패턴(CROSSTALK_PATTERN)을 포함하는 크로스토크 영상 데이터인지 또는 상기 크로스토크 패턴(CROSSTALK_PATTERN)을 포함하지 않는 노멀 영상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크로스토크 패턴(CROSSTALK_PATTERN)은 바탕 화면(LI)과 상기 바탕 화면(LI)의 중앙에 박스 형상(MI)이 위치한 패턴 영일 수 있다. 상기 바탕 화면(LI)은 레드, 그린 및 블루 데이터가 모두 저계조 데이터이고, 박스 형상(MI)은 레드, 그린 및 블루 데이터 중 하나의 컬러 데이터는 중간 계조 데이터이고, 나머지는 두 컬러 데이터는 0-계조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체 계조 범위가 0-계조 내지 255-계조 인 경우, 상기 바탕 화면(LI)은 레드, 그린 및 블루 데이터 각각이 32-계조 내지 64-계조이고, 상기 박스 형상(MI)은 레드, 그린 및 블루 중 하나는 65-계조 내지 150-계조 이고, 나머지 두 컬러 데이터는 0-계조 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박스 형상(MI)에서, 그린 데이터가 65-계조 내지 150-계조 이고, 레드 및 블루 데이터 각각이 0-계조 인 경우 수평 크로스토크가 가장 크게 시인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가 설정된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 크로스토크 영상 데이터이면 제1 감마 제어 신호(GCS1)를 생성하고, 반대로,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가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지 않는 노멀 영상 데이터이면 제2 감마 제어 신호(GSC2)를 생성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의 분석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감마 제어 신호(GCS1, GSC2)를 상기 감마 데이터 생성부(300)에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데이터 생성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칭 감마 및 비대칭 감마를 설명하기 위한 곡선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감마 데이터 생성부(300)는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 대칭 감마 생성부(330) 및 비대칭 감마 생성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상기 감마 제어 신호(GCS1, GCS2)에 따라서 상기 대칭 감마 생성부(330) 또는 상기 비대칭 감마 생성부(350)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를 출력한다.
상기 대칭 감마 생성부(330)는 기준 전압(예컨대, 공통 전압(Vcom))에 대해 대칭인 양극성 및 음극성 대칭 감마들에 기초하여 계조별 양극성 감마 데이터와 음극성 감마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대칭 감마 생성부(330)는 룩업테이블 및/또는 산출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계조 영역은 기준 저계조와 기준 고계조에 기초하여 저계조 영역, 중간 계조 영역 및 고계조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체 계조 영역(0-계조 내지 255-계조)은 상기 기준 저계조(64-계조) 보다 낮은 계조를 포함하는 저계조 영역과, 상기 기준 고계조(224-계조) 보다 높은 계조를 포함하는 고계조 영역 및 상기 기준 저계조와 기준 고계조 사이의 중간 계조를 포함하는 중간 계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대칭 감마는 계조별 기준 전압(예컨대, 공통 전압(Vcom)) 대비 양극성의 데이터 전압을 갖는 양극성 대칭 감마(SY_GAM1) 및 기준 전압 대비 음극성의 데이터 전압을 갖는 음극성 대칭 감마(SY_GAM2)를 포함한다.
상기 대칭 감마는 저계조 영역, 중간 계조 영역 및 고계조 영역 모두에서 계조별 음극성과 양극성 데이터 전압이 상기 공통 전압에 대해서 대칭을 이룬다. 상기 대칭 감마는 공통 전압 리플을 감소시켜 수평 크로스토크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비대칭 감마 생성부(350)는 기준 전압에 대해 비대칭을 이루는 양극성 및 음극성 비대칭 감마들에 기초하여 계조별 양극성 감마 데이터와 음극성 감마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비대칭 감마 생성부(350)는 룩업테이블 및/또는 산출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대칭 감마는 계조별 공통 전압(Vcom) 대비 양극성의 데이터 전압을 갖는 양극성 비대칭 감마(ASY_GAM1) 및 공통 전압(Vcom) 대비 음극성의 데이터 전압을 갖는 음극성 비대칭 감마(ASY_GAM2)를 포함한다.
상기 비대칭 감마는 저계조 영역 및 고계조 영역에서는 계조별 음극성과 양극성 데이터 전압이 상기 공통 전압에 대해서 대칭을 이루고, 중간 계조 영역에서는 계조별 음극성과 양극성 데이터 전압이 상기 공통 전압에 대해서 비대칭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계조별 플리커를 줄이기 위한 최적의 공통 전압이 다르다. 상기 비대칭 감마는 계조별 플리커를 줄여 잔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감마를 적용하면, 중간 계조 영역에서 비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잔상을 개선할 수 있고, 저계조 및 고계조 영역에서는 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수평 크로스토크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가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면 제1 감마 제어 신호(GCS1)를 수신한다.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대칭 감마 생성부(330)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크로스토크 패턴의 중앙에 위치한 단색의 중간 계조를 표시하는 박스 형상은 비대칭 감마 영역에서 왜곡된 킥백 파형을 만들고 비대칭 형태의 왜곡된 공통 전압 리플을 발생할 수 있다. 공통 전압을 전달하는 공통 전압 라인이 표시 패널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표시 패널의 중앙에 형성된 공통 전압 리플이 수평 방향으로 전계되어 수평 크로스토크가 시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상기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는 대칭 감마 생성부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에 의해, 중앙에 표시되는 중간 계조의 박스 형상에서 공통 전압 리플을 감소시켜 수평 크로스토크 현상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가 상기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지 않은 노멀 영상 데이터이면 제2 감마 제어 신호(GCS2)가 수신한다.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비대칭 감마 생성부(350)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노멀 영상은 중간 계조 영역에서 비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플리커를 줄여 잔상을 줄일 수 있고, 저계조 및 고계조 영역에서는 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수평 크로스토크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는 현재 수신된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분석한다(단계 S110).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가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 크로스토크 영상 데이터이면, 제1 감마 제어 신호(GCS1)를 상기 감마 데이터 생성부(300)에 출력한다(단계 S130).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상기 제1 감마 제어 신호(GCS1)에 기초하여,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대칭 감마 생성부(330)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를 생성하여 출력한다(단계 S140).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여 데이터 전압을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의 구동에 동기되어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라인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에 대응하는 크로스토크 패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단계 S150).
따라서, 크로스토크 패턴의 중앙에 단색으로 표시되는 중간 계조의 박스 형상을 대칭 감마가 적용됨으로써 공통 전압 리플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크로스토크 패턴을 표시할 때 상기 공통 전압 리플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 크로스토크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가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지 않는 노멀 영상 데이터이면, 제2 감마 제어 신호(GCS2)를 상기 감마 데이터 생성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상기 제2 감마 제어 신호(GCS2)에 기초하여,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비대칭 감마 생성부(350)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를 생성하여 출력한다(단계 S160).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여 데이터 전압을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의 구동에 동기되어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라인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에 대응하는 노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단계 S150).
따라서, 노멀 영상은 중간 계조 영역에서 비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잔상을 개선할 수 있고, 저계조 및 고계조 영역에서는 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수평 크로스토크를 개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데이터 생성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감마 데이터 생성부(300)는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 대칭 감마 생성부(330), 비대칭 감마 생성부(350) 및 보간 감마 생성부(370)를 포함한다.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으로부터 제공된 감마 제어 신호(GCS1 내지 GCS4)에 따라서 상기 대칭 감마 생성부(330), 상기 비대칭 감마 생성부(350) 및 상기 보간 감마 생성부(370)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를 출력한다.
상기 대칭 감마 생성부(330)는 도 5에 도시된 양극성 및 음극성 대칭 감마들(SY_GAM1, SY_GAM2)에 각각 대응하는 계조별 양극성 감마 데이터와 음극성 감마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대칭 감마 생성부(330)는 룩업테이블 및/또는 산출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대칭 감마 생성부(350)는 도 5에 도시된 양극성 및 음극성 비대칭 감마들(ASY_GAM1, ASY_GAM2)에 각각 대응하는 계조별 양극성 감마 데이터와 음극성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다. 상기 비대칭 감마 생성부(350)는 룩업테이블 및/또는 산출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간 감마 생성부(370)는 도 5에 도시된 양극성 및 음극성 보간 감마들(INT_GAM1, INT_GAM2)에 각각 대응하는 계조별 양극성 감마 데이터와 음극성 감마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보간 감마 생성부(370)는 및/또는 산출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양극성 보간 감마(INT_GAM1)는 양극성 대칭 감마(SY_GAM1)와 양극성 비대칭 감마(ASY_GAM1) 사이에 대응하는 감마이고, 상기 음극성 보간 감마(INT_GAM2)는 음극성 대칭 감마(SY_GAM2)와 음극성 비대칭 감마(ASY_GAM2)사이에 대응하는 감마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극성 대칭 감마(SY_GAM1)와 양극성 비대칭 감마(ASY_GAM1) 사이에 점진적으로 변하는 복수의 양극성 보간 감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극성 대칭 감마(SY_GAM2)와 음극성 비대칭 감마(ASY_GAM2)사이에 점진적으로 변하는 복수의 음극성 보간 감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의 영상 데이터 분석 결과,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고, 이전 프레임의 노멀 영상 데이터에서 변경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는 제1 감마 제어 신호(GCS1)를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에 제공한다.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제1 감마 제어 신호(GCS1)에 기초하여, 설정 프레임 횟수 동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상기 보간 감마 생성부(370)를 이용하여 보간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INT_DATA(n))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상기 설정 프레임 횟수가 완료되면,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대칭 감마 생성부(330)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의 영상 데이터 분석 결과,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고, 이전 프레임으로부터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는 제2 감마 제어 신호(GCS2)를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에 제공한다.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제2 감마 제어 신호(GCS2)에 기초하여,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대칭 감마 생성부(330)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의 영상 데이터 분석 결과,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지 않는 노멀 영상 데이터이고, 이전 프레임의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에서 변경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는 제3 감마 제어 신호(GCS3)를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에 제공한다.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제3 감마 제어 신호(GCS3)에 기초하여, 설정 프레임 횟수 동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상기 보간 감마 생성부(370)를 이용하여 보간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INT_DATA(n))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상기 설정 프레임 횟수가 완료되면,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비대칭 감마 생성부(350)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의 영상 데이터 분석 결과,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지 않는 노멀 영상 데이터이고, 이전 프레임으로부터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는 제4 감마 제어 신호(GCS4)를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에 제공한다.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제4 감마 제어 신호(GCS4)에 기초하여,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비대칭 감마 생성부(350)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크로스토크 패턴 영상에서 노멀 영상으로 변할 때 또는 노멀 영상에서 크로스토크 패턴 영상으로 변할 때, 비대칭 감마와 대칭 감마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 감마를 적용한 보간 영상을 설정 횟수의 프레임 동안 표시함으로써 갑작스런 감마 변화에 따른 플리커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는 현재 수신된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와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1))를 비교 및 분석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가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 크로스토크 영상 데이터인지 또는 상기 크로스토크 패턴(CROSSTALK_PATTERN)을 포함하지 않는 노멀 영상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는 이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1))가 상기 크로스토크 영상 데이터인지 또는 상기 노멀 영상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230).
분석결과,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가 상기 크로스토크 영상 데이터이고, 이전 프레임의 노멀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크로스토크 영상 데이터로 변경된 경우(단계 S230),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는 제1 감마 제어 신호(GCS1)를 생성한다.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상기 제1 감마 제어 신호(GCS1)에 기초하여 설정 프레임 횟수 동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보간 감마 생성부(370)를 이용하여 보간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INT_DATA(n))를 생성하여 출력한다(단계 S240).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500)는 설정된 프레임 횟수 동안 상기 보간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INT_DATA(n))에 대응하는 보간 영상을 상기 표시 패널(100)에 표시한다(단계 S250).
이후,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상기 설정 프레임 횟수가 완료되면,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대칭 감마 생성부(330)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를 생성하여 출력한다(단계 S260).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500)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에 대응하는 크로스토크 패턴 영상을 상기 표시 패널(100)에 표시한다(단계 S270).
따라서, 크로스토크 패턴의 중앙에 단색으로 표시되는 중간 계조의 박스 형상을 대칭 감마가 적용됨으로써 공통 전압 리플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크로스토크 패턴을 표시할 때 상기 공통 전압 리플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 크로스토크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노멀 영상에서 크로스토크 패턴 영상으로 변할 때 비대칭 감마와 대칭 감마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간 감마를 적용하여 설정된 프레임 동안 표시함으로써 갑작스런 감마 변화에 따른 플리커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분석결과,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가 상기 크로스토크 영상 데이터이고, 이전 프레임과 동일한 영상 데이터인 경우(단계 S230),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는 제2 감마 제어 신호(GCS2)를 생성한다.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대칭 감마 생성부(330)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를 생성하여 출력한다(단계 S260).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500)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에 대응하는 크로스토크 패턴 영상을 상기 표시 패널(100)에 표시한다(단계 S270).
따라서, 크로스토크 패턴의 중앙에 단색으로 표시되는 중간 계조의 박스 형상을 대칭 감마가 적용됨으로써 공통 전압 리플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크로스토크 패턴을 표시할 때 상기 공통 전압 리플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 크로스토크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분석결과,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가 상기 노멀 영상 데이터이고, 이전 프레임의 크로스토크 영상 데이터에서 노멀 영상 데이터로 변경된 경우(단계 S230),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는 제3 감마 제어 신호(GCS3)를 생성한다.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상기 제1 감마 제어 신호(GCS1)에 기초하여 설정 프레임 횟수 동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보간 감마 생성부(370)를 이용하여 보간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INT_DATA(n))를 생성하여 출력한다(단계 S241).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500)는 설정된 프레임 횟수 동안 상기 보간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INT_DATA(n))에 대응하는 보간 영상을 상기 표시 패널(100)에 표시한다(단계 S251).
이후,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상기 설정 프레임 횟수가 완료되면,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비대칭 감마 생성부(350)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를 생성하여 출력한다(단계 S260).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500)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에 대응하는 노멀 영상을 상기 표시 패널(100)에 표시한다(단계 S270).
따라서, 노멀 영상은 중간 계조 영역에서 비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잔상을 개선할 수 있고, 저계조 및 고계조 영역에서는 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수평 크로스토크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크로스토크 패턴 영상에서 노멀 영상으로 변할 때 비대칭 감마와 대칭 감마 사이의 보간 감마를 적용하여 설정된 프레임 동안 표시함으로써 갑작스런 감마 변화에 따른 플리커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분석결과,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가 상기 노멀 영상 데이터이고, 이전 프레임과 동일한 노멀 영상 데이터인 경우(단계 S230),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230)는 제4 감마 제어 신호(GCS4)를 생성한다.
상기 감마 데이터 제어부(310)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DATA(n))를 비대칭 감마 생성부(350)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를 생성하여 출력한다(단계 S261).
상기 데이터 구동부(400)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500)는 상기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G_DATA(n))에 대응하는 노멀 영상을 상기 표시 패널(100)에 표시한다(단계 S270).
따라서, 노멀 영상은 중간 계조 영역에서 비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잔상을 개선할 수 있고, 저계조 및 고계조 영역에서는 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수평 크로스토크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크로스토크가 많이 시인되는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대칭 감마를 적용하고 노멀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비대칭 감마를 적용함으로써 표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 폰, PDA, PMP,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PC, 서버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노트북, 디지털 TV, 셋-탑 박스, 음악 재생기, 휴대용 게임 콘솔, 네비게이션 시스템, 스마트 카드, 프린터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7)

  1. 데이터 라인 및 상기 서로 다른 컬러의 서브 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로 다른 컬러의 서브 화소들은 동일한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표시 패널;
    상기 데이터 라인에 기준 전압 대비 양극성 데이터 전압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설정된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 데이터가 노멀한 영상 데이터이면,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계조별 비대칭인 비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상기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면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계조별 대칭인 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감마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별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대칭 감마 생성부; 및
    상기 비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별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대칭 감마 생성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 감마와 상기 비대칭 감마 사이의 보간 감마를 적용하여 계조별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간 감마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고, 이전 프레임의 노멀 영상 데이터에서 변경된 경우,
    상기 보간 감마 생성부는 설정된 프레임 횟수 동안 상기 보간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노멀 영상 데이터이고, 이전 프레임의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에서 변경된 경우,
    상기 보간 감마 생성부는 설정된 프레임 횟수 동안 상기 보간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 감마 생성부는 점진적으로 변하는 복수의 보간 감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표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 생성부들은 룩업테이블이거나 산출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전계 계조 영역은 기준 저계조 보다 낮은 계조를 포함하는 저계조 영역과, 기준 고계조 보다 높은 계조를 포함하는 고계조 영역 및 상기 기준 계조와 기준 고계조 사이의 중간 계조를 포함하는 중간 계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대칭 감마는 상기 저계조 영역, 상기 중간 계조 영역 및 상기 고계조 영역에 대해서 계조별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감마는 상기 저계조 영역 및 상기 고계조 영역에 대해서는 계조별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대칭이고 상기 중간 계조 영역에 대해서 계조별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패턴은 저계조의 영상 데이터로 이루어진 바탕 화면과 상기 바탕 화면의 중앙에 단색의 중간 계조로 이루어진 박스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데이터 라인 및 상기 서로 다른 컬러의 서브 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로 다른 컬러의 서브 화소들은 동일한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설정된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 데이터가 노멀한 영상 데이터이면,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계조별 비대칭인 비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상기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면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계조별 대칭인 대칭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 감마와 상기 비대칭 감마 사이의 보간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고, 이전 프레임의 노멀 영상 데이터에서 변경된 경우,
    설정된 프레임 횟수 동안 상기 보간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노멀 영상 데이터이고, 이전 프레임의 크로스토크 패턴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에서 변경된 경우,
    설정된 프레임 횟수 동안 상기 보간 감마를 적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감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 데이터는 룩업테이블이거나 산출회로를통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전계 계조 영역은 기준 저계조 보다 낮은 계조를 포함하는 저계조 영역과, 기준 고계조 보다 높은 계조를 포함하는 고계조 영역 및 상기 기준 계조와 기준 고계조 사이의 중간 계조를 포함하는 중간 계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대칭 감마는 상기 저계조 영역, 상기 중간 계조 영역 및 상기 고계조 영역에 대해서 계조별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감마는 상기 저계조 영역 및 상기 고계조 영역에 대해서는 계조별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대칭이고 상기 중간 계조 영역에 대해서 계조별 양극성 및 음극성 데이터 전압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80086705A 2018-07-25 2018-07-25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552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705A KR102552804B1 (ko) 2018-07-25 2018-07-25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6/401,600 US11030967B2 (en) 2018-07-25 2019-05-02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201910676948.1A CN110782851B (zh) 2018-07-25 2019-07-25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705A KR102552804B1 (ko) 2018-07-25 2018-07-25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063A true KR20200012063A (ko) 2020-02-05
KR102552804B1 KR102552804B1 (ko) 2023-07-10

Family

ID=69178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705A KR102552804B1 (ko) 2018-07-25 2018-07-25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30967B2 (ko)
KR (1) KR102552804B1 (ko)
CN (1) CN1107828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4240B1 (en) * 2019-10-23 2021-03-30 Pixelworks, Inc. Accurate display panel calibration with common color space circuitry
CN110910851B (zh) * 2019-12-18 2021-08-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源极驱动电路、驱动方法和显示装置
KR20210115110A (ko) * 2020-03-11 2021-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1477192B (zh) * 2020-05-25 2022-04-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调节方法、调节模组和显示装置
CN112201212B (zh) * 2020-10-13 2022-04-0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16524871B (zh) * 2023-07-05 2023-09-01 惠科股份有限公司 驱动方法、驱动装置、显示装置和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8246A (ko) * 2006-11-28 2008-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100207963A1 (en) * 2009-02-19 2010-08-19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Gamma volatge generating apparatus and gamma voltage generator thereof
US9191657B2 (en) * 2010-12-20 2015-11-17 Lg Display Co., Ltd. Image display device
KR20160009516A (ko) * 2014-07-15 2016-0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2847A (ja) * 1997-07-14 2003-07-18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336039B1 (ko) 2000-03-14 2002-05-08 윤종용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KR101365066B1 (ko) 2007-05-11 2014-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마전압 발생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구동 회로 및 이를구비한 표시 장치
KR101604491B1 (ko) 2009-10-29 2016-03-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691153B1 (ko) * 2010-07-09 2017-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JP2012189764A (ja) * 2011-03-10 2012-10-04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CN103295550B (zh) * 2013-05-31 2015-03-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驱动电压确定方法及装置
KR102099281B1 (ko) * 2013-10-25 2020-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151263B1 (ko) 2013-12-17 2020-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97270B1 (ko) * 2014-01-03 2021-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영상 보정 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WO2016010376A1 (ko) * 2014-07-15 2016-0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CN104376823B (zh) * 2014-09-30 2017-03-29 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 伽马电压调节装置和方法
CN104464678A (zh) * 2014-12-31 2015-03-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2348701B1 (ko) * 2015-05-31 2022-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70026705A (ko) * 2015-08-26 2017-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70035387A (ko) * 2015-09-22 2017-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544321B1 (ko) * 2016-08-02 2023-06-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6157919B (zh) * 2016-09-09 2019-0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的显示方法及装置
KR102555060B1 (ko) * 2016-09-30 2023-07-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CN108630165B (zh) * 2018-06-29 2020-02-2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的控制电路及液晶显示面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8246A (ko) * 2006-11-28 2008-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100207963A1 (en) * 2009-02-19 2010-08-19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Gamma volatge generating apparatus and gamma voltage generator thereof
US9191657B2 (en) * 2010-12-20 2015-11-17 Lg Display Co., Ltd. Image display device
KR20160009516A (ko) * 2014-07-15 2016-0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804B1 (ko) 2023-07-10
US20200035173A1 (en) 2020-01-30
CN110782851A (zh) 2020-02-11
CN110782851B (zh) 2022-10-25
US11030967B2 (en)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2804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374425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도트 인버젼 제어방법
US1001393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287209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US10522100B2 (en) Method of driving a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KR102651807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20110101800A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CN113658565A (zh) 显示面板和电子设备
KR20130062649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N113284470A (zh) 一种公共电压补偿方法及液晶显示装置
US11776450B2 (en) Driv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KR20170036175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09058684A (ja) 液晶表示装置
KR20170049701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88486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increased response speed, and device and method for modifying image signal to provide increased response speed
CN114637147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16343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651290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데이터 극성 제어방법
KR20080064243A (ko)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20130028595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도트 인버전 구동방법
KR101679075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도트 인버젼 제어방법
KR101351922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90141039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1410626B1 (en)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20157219A1 (en) Driving circuit of display panel,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