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705A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705A
KR20170026705A KR1020150120412A KR20150120412A KR20170026705A KR 20170026705 A KR20170026705 A KR 20170026705A KR 1020150120412 A KR1020150120412 A KR 1020150120412A KR 20150120412 A KR20150120412 A KR 20150120412A KR 20170026705 A KR20170026705 A KR 20170026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lookup table
gamma lookup
output imag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수
고준철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0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6705A/ko
Priority to US15/155,624 priority patent/US10460640B2/en
Publication of KR20170026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26Control of mixing and/or overlay of colours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4Compensation of DC component across the pixel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타이밍 제어 회로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타이밍 제어 회로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영상 데이터를 발생하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2 출력 영상 데이터를 발생한다. 표시 패널은 제1 구간에서 제1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하고, 제1 구간 이후의 제2 구간에서 제2 출력 영상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구동한다. 제1 및 제2 감마 룩업 테이블들은 표시 패널의 제1 영역에 대응하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와 상이하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표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면적이 용이하고 박형 및 경량화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표시 장치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들은 복수의 픽셀들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픽셀들 각각은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픽셀 전극 및 공통 전압이 인가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며,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의 차이에 따라 해당 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다양한 원인에 의해 표시 패널 내에 잔류(residual) DC(Direct Current) 전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잔류 DC 전압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에 이전 영상이 남게 되는 잔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표시 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타이밍 제어 회로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영상 데이터를 발생하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2 출력 영상 데이터를 발생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구간에서 상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하고, 상기 제1 구간 이후의 제2 구간에서 제2 출력 영상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구동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감마 룩업 테이블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상기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와 상이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구간과 상기 제2 구간 사이의 제3 구간에서 상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출력 영상 데이터 사이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는 시간적 평활화(smoothing)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보간 동작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평활화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3 구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활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상기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내의 잔류 DC(Direct Current) 전압은 상기 제1 구간에서 증가하고 상기 제2 구간에서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제3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3 출력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하고, 제4 입력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 및 제4 감마 룩업 테이블 중 하나에 기초하여 제4 출력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제1 및 제3 출력 영상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구동하고, 상기 제2 구간에서 상기 제2 및 제4 출력 영상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감마 룩업 테이블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 및 상기 제4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3 출력 영상 데이터 사이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는 공간적 평활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제3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3 출력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하고, 제4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4 출력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구간 이후의 제3 구간에서 상기 제3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하고, 상기 제3 구간 이후의 제4 구간에서 상기 제4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제3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3 출력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하고, 제4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4 출력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구간 이후의 제3 구간에서 상기 제3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하고, 상기 제3 구간 이후의 제4 구간에서 상기 제4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 및 상기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상기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보다 낮으며,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가변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영상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제1 영상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영상이 정지 영상인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를 나타내는 플래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 제1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영상 데이터를 발생한다. 제2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2 출력 영상 데이터를 발생한다. 제1 구간에서 상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을 구동한다. 상기 제1 구간 이후의 제2 구간에서 상기 제2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감마 룩업 테이블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상기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와 상이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간과 상기 제2 구간 사이의 제3 구간에서 상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출력 영상 데이터 사이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는 시간적 평활화(smoothing)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간적 평활화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보간 동작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평활화 영상 데이터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3 구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활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3 출력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할 수 있다. 제4 입력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 및 제4 감마 룩업 테이블 중 하나에 기초하여 제4 출력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제3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더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간에서 상기 제4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더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감마 룩업 테이블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 및 상기 제4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3 출력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할 수 있다. 제4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4 출력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간 이후의 제3 구간에서 상기 제3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더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3 구간 이후의 제4 구간에서 상기 제4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더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 및 상기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영상 데이터들을 기초로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위치 및 구동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감마 룩업 테이블을 적용하는 시간적 L-DAG 방식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의 위치별 감마 편차를 개선하여 잔상 편차를 개선할 수 있으며, 잔상의 원인이 되는 잔류 DC 전압을 감소하여 잔상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타이밍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5 및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타이밍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타이밍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타이밍 제어 회로(200), 게이트 구동 회로(300) 및 데이터 구동 회로(4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출력 영상 데이터(DAT)에 기초하여 구동(즉,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과 연결된다.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은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픽셀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게이트 라인들(GL) 중 하나 및 데이터 라인들(DL)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은 복수 개의 표시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표시 패널(100)은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 패널(100)은 m*n개(m, n은 자연수)의 표시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200)는 표시 패널(100)의 동작을 제어하며, 게이트 구동 회로(300) 및 데이터 구동 회로(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타이밍 제어 회로(200)는 외부의 장치(예를 들어, 호스트)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IDAT) 및 입력 제어 신호(ICONT)를 수신한다. 입력 영상 데이터(IDAT)는 상기 복수의 픽셀들에 대한 픽셀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제어 신호(ICONT)는 마스터 클럭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200)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데이터(DAT)를 발생한다. 타이밍 제어 회로(200)는 입력 제어 신호(ICONT)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CONT1)를 발생한다. 제1 제어 신호(CONT1)는 수직 개시 신호, 게이트 클럭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200)는 입력 제어 신호(ICONT)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회로(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CONT2)를 발생한다. 제2 제어 신호(CONT2)는 수평 개시 신호, 데이터 클럭 신호, 극성 제어 신호, 데이터 로드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300)는 제1 제어 신호(CONT1)에 기초하여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들을 발생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회로(400)는 제2 제어 신호(CONT2) 및 디지털 형태의 출력 영상 데이터(DAT)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들을 발생한다. 데이터 구동 회로(400)는 상기 데이터 전압들을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에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게이트 구동 회로(300) 및/또는 데이터 구동 회로(400)는 표시 패널(100) 상에 실장되거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형태로 표시 패널(100)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게이트 구동 회로(300) 및/또는 데이터 구동 회로(400)는 표시 패널(100)에 집적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의 복수 개의 표시 영역들마다 다른(즉, 위치 별로 다른) 감마 룩업 테이블을 적용하는 L-DAG(Local Digital Asymmetric Gamma)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또한 표시 패널(100)의 동일한 표시 영역에 대해서도 시간에 따라 다른 감마 룩업 테이블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위치 및 구동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감마 룩업 테이블을 적용하는 방식을 시간적(Temporal) L-DAG 방식이라 부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100)이 두 개의 표시 영역들(DA1, DA2)로 구분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간적 L-DAG 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타이밍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타이밍 제어 회로(200)는 영상 처리부(210), 저장부(220) 및 제어 신호 발생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논리적으로 구분하였을 뿐, 하드웨어적으로 구분한 것은 아닐 수 있다.
영상 처리부(210)는 감마 보정부(212) 및 시간적 평활화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감마 보정부(212)는 입력 영상 데이터들(DI11, DI12, DI21, DI22, DI31, DI32, DI41, DI42) 및 감마 룩업 테이블들(L11, L12, L21, L22)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1, DO12, DO21, DO22, DO31, DO32, DO41, DO42)을 발생할 수 있다. 시간적 평활화부(214)는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1~DO42)에 기초하여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SD11, SD12, SD21, SD22, SD31, SD32, SD41, SD42)을 발생할 수 있다.
입력 영상 데이터들(DI11, DI21, DI31, DI41),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1, DO21, DO31, DO41) 및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SD11, SD21, SD31, SD41)은 표시 패널(100)의 제1 표시 영역(DA1)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입력 영상 데이터들(DI12, DI22, DI32, DI42),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2, DO22, DO32, DO42) 및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SD12, SD22, SD32, SD42)은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입력 영상 데이터들(DI11~DI42)은 네 개의 입력 영상 데이터 세트들(IS1, IS2, IS3, IS4)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입력 영상 데이터 세트(IS1)는 제1 및 제2 입력 영상 데이터들(DI11, DI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입력 영상 데이터 세트(IS2)는 제3 및 제4 입력 영상 데이터들(DI21, DI22)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입력 영상 데이터 세트(IS3)는 제5 및 제6 입력 영상 데이터들(DI31, DI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4 입력 영상 데이터 세트(IS4)는 제7 및 제8 입력 영상 데이터들(DI41, DI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1~DO42) 및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SD11~SD42)은 각각 네 개의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들(OS1, OS2, OS3, OS4) 및 네 개의 평활화 영상 데이터 세트들(TSS1, TSS2, TSS3, TSS4)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OS1)는 제1 및 제2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1, DO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OS2)는 제3 및 제4 출력 영상 데이터들(DO21, DO22)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OS3)는 제5 및 제6 출력 영상 데이터들(DO31, DO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4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OS4)는 제7 및 제8 출력 영상 데이터들(DO41, DO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활화 영상 데이터 세트(TSS1)는 제1 및 제2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SD11, SD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평활화 영상 데이터 세트(TSS2)는 제3 및 제4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SD21, SD22)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평활화 영상 데이터 세트(TSS3)는 제5 및 제6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SD31, SD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4 평활화 영상 데이터 세트(TSS4)는 제7 및 제8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SD41, SD42)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영상 데이터 세트들(IS1~IS4) 및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들(OS1~OS4) 각각은 상응하는 구동 구간들에서 표시 패널(100)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및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들(IS1, OS1)은 제1 구동 구간(예를 들어, 도 5의 DP1)에서 표시 패널(100)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고, 제2 입력 및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들(IS2, OS2)은 상기 제1 구동 구간 이후의 제2 구동 구간(예를 들어, 도 5의 DP2)에서 표시 패널(100)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제3 입력 및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들(IS3, OS3)은 상기 제2 구동 구간 이후의 제3 구동 구간(예를 들어, 도 5의 DP3)에서 표시 패널(100)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고, 제4 입력 및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들(IS4, OS4)은 상기 제3 구동 구간 이후의 제4 구동 구간(예를 들어, 도 5의 DP4)에서 표시 패널(100)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평활화 영상 데이터 세트들(TSS1~TSS4) 각각은 상응하는 평활화 구간들에서 영상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평활화 영상 데이터 세트(TSS1)는 상기 제1 구동 구간과 상기 제2 구동 구간 사이의 제1 평활화 구간(예를 들어, 도 5의 SP1)에서 제1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OS1)와 제2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OS2) 사이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제2 평활화 영상 데이터 세트(TSS2)는 상기 제2 구동 구간과 상기 제3 구동 구간 사이의 제2 평활화 구간(예를 들어, 도 5의 SP2)에서 제2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OS2)와 제3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OS3) 사이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제3 평활화 영상 데이터 세트(TSS3)는 상기 제3 구동 구간과 상기 제4 구동 구간 사이의 제3 평활화 구간(예를 들어, 도 5의 SP3)에서 제3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OS3)와 제4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OS4) 사이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제4 평활화 영상 데이터 세트(TSS4)는 상기 제4 구동 구간 이후의 제4 평활화 구간(예를 들어, 도 5의 SP4)에서 제4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OS4)와 상기 제4 평활화 구간 이후의 제5 구동 구간에 상응하는 제5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미도시) 사이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영상 처리부(210)는 입력 영상 데이터들(DI11~DI42)에 대한 화질 보정, 얼룩 보정, 색 특성 보상(Adaptive Color Correction; ACC) 및/또는 능동 커패시턴스 보상(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DCC) 등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감마 룩업 테이블들(L11~L22)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20)는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상변화 랜덤 액세스 메모리(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PRAM),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FRAM), 저항 랜덤 액세스 메모리(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RRAM), 강자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저장부(220)는 타이밍 제어 회로(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3 감마 룩업 테이블들(L11, L21)은 표시 패널(100)의 제1 표시 영역(DA1)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및 제4 감마 룩업 테이블들(L12, L22)은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감마 룩업 테이블들(L11~L22)은 두 개의 감마 룩업 테이블 세트들(LS1, LS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감마 룩업 테이블 세트(LS1)는 제1 및 제2 감마 룩업 테이블들(L11, L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감마 룩업 테이블 세트(LS2)는 제3 및 제4 감마 룩업 테이블들(L21, L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감마 룩업 테이블(L11)은 제2 감마 룩업 테이블(L12)과 다른 감마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감마 룩업 테이블(L21)과도 다른 감마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3 감마 룩업 테이블(L21)은 제4 감마 룩업 테이블(L42)과 다른 감마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신호 발생부(230)는 입력 제어 신호(CONT)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300)의 구동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CONT1) 및 데이터 구동 회로(400)의 구동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CONT2)를 발생할 수 있다.
도 4, 5 및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3의 저장부(220)에 저장되는 감마 룩업 테이블들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시간에 따라 감마 룩업 테이블들이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시간에 따른 표시 패널(100) 내의 잔류 DC(Direct Current)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제1 감마 룩업 테이블(L11)을 적용하여 발생되는 감마 전압의 레벨은 제3 감마 룩업 테이블(L21)을 적용하여 발생되는 감마 전압의 레벨보다 높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감마 룩업 테이블(L11)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제3 감마 룩업 테이블(L21)에 따른 영상의 휘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L11)에 포함되는 감마 데이터들은 제3 감마 룩업 테이블(L21)에 포함되는 감마 데이터들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감마 룩업 테이블(L12)과 제4 감마 룩업 테이블(L22)의 관계는 제1 감마 룩업 테이블(L11)과 제3 감마 룩업 테이블(L21)의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감마 룩업 테이블(L12)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제4 감마 룩업 테이블(L22)에 따른 영상의 휘도보다 높을 수 있다.
도 2, 3, 5 및 6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210)는 상기 시간적 L-DAG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0)은 영상 처리부(21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구동할 수 있다.
먼저, 표시 패널(100)의 제1 표시 영역(DA1)을 구동하는 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및 제3 구동 구간들(DP1, DP3)에서 제1 표시 영역(DA1)을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제1 및 제5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1, DO31)에는 제1 감마 룩업 테이블(L11)이 적용될 수 있고, 제2 및 제4 구동 구간들(DP2, DP4)에서 제1 표시 영역(DA1)을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제3 및 제7 출력 영상 데이터들(DO21, DO41)에는 제3 감마 룩업 테이블(L21)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마 보정부(212)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DI11) 및 제1 감마 룩업 테이블(L11)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영상 데이터(DO11)를 발생할 수 있고, 제3 입력 영상 데이터(DI21) 및 제3 감마 룩업 테이블(L21)에 기초하여 제3 출력 영상 데이터(DO21)를 발생할 수 있고, 제5 입력 영상 데이터(DI31) 및 제1 감마 룩업 테이블(L11)에 기초하여 제5 출력 영상 데이터(DO31)를 발생할 수 있으며, 제7 입력 영상 데이터(DI41) 및 제3 감마 룩업 테이블(L21)에 기초하여 제7 출력 영상 데이터(DO41)를 발생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1 표시 영역(DA1)은 제1, 제3, 제5 및 제7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1, DO21, DO31, DO41)에 기초하여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제1 구동 구간(DP1)에서 제1 출력 영상 데이터(DO11)에 기초하여 제1 표시 영역(DA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구동 구간(DP2)에서 제3 출력 영상 데이터(DO21)에 기초하여 제1 표시 영역(DA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3 구동 구간(DP3)에서 제5 출력 영상 데이터(DO31)에 기초하여 제1 표시 영역(DA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4 구동 구간(DP4)에서 제7 출력 영상 데이터(DO41)에 기초하여 제1 표시 영역(DA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인접한 두 구동 구간들 사이의 평활화 구간(예를 들어, SP1, SP2, SP3, SP4)에서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1, DO21, DO31, DO41) 사이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는 시간적 평활화(smoothing)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간적 평활화부(214)는 제1 출력 영상 데이터(DO11) 및 제3 출력 영상 데이터(DO21)를 기초로 보간(interpolation) 동작을 수행하여 제1 평활화 영상 데이터(SD11)를 발생할 수 있고, 제3 출력 영상 데이터(DO21) 및 제5 출력 영상 데이터(DO31)를 기초로 보간 동작을 수행하여 제3 평활화 영상 데이터(SD21)를 발생할 수 있으며, 제5 출력 영상 데이터(DO31) 및 제7 출력 영상 데이터(DO41)를 기초로 보간 동작을 수행하여 제5 평활화 영상 데이터(SD31)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시간적 평활화부(214)는 제7 출력 영상 데이터(DO41) 및 제4 구동 구간(DP4) 이후의 제5 구동 구간에 제1 표시 영역(DA1)에 대응하는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보간 동작을 수행하여 제7 평활화 영상 데이터(SD41)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은 출력 영상 데이터들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즉, 완충 작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평활화 영상 데이터(SD11)는 제1 출력 영상 데이터(DO11)와 제3 출력 영상 데이터(DO21)의 중간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평활화 영상 데이터(SD11)는 제1 출력 영상 데이터(DO11)와 제3 출력 영상 데이터(DO21) 사이의 제1 값 및 상기 제1 값보다 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DO11)와 제3 출력 영상 데이터(DO21) 사이의 제2 값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1 표시 영역(DA1)은 제1, 제3, 제5 및 제7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SD11, SD21, SD31, SD41)에 기초하여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제1 평활화 구간(SP1)에서 제1 평활화 영상 데이터(SD11)에 기초하여 제1 표시 영역(DA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평활화 구간(SP2)에서 제3 평활화 영상 데이터(SD21)에 기초하여 제1 표시 영역(DA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3 평활화 구간(SP3)에서 제5 평활화 영상 데이터(SD31)에 기초하여 제1 표시 영역(DA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4 평활화 구간(SP4)에서 제7 평활화 영상 데이터(SD41)에 기초하여 제1 표시 영역(DA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서, CASE1은 출력 영상 데이터들에 적용되는 감마 룩업 테이블들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고, CASE2는 출력 영상 데이터들에 적용되는 감마 룩업 테이블들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CASE1의 경우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표시 패널(100) 내의 잔류 DC 전압은 계속 증가할 수 있다. 반면, CASE2의 경우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표시 패널(100) 내의(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DA1) 내의) 잔류 DC 전압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마 룩업 테이블(L11)이 적용되는 시간 0부터 시간 t1까지의 구간 및 시간 t2부터 시간 t3까지의 구간에서, 표시 패널(100) 내의 잔류 DC 전압은 증가할 수 있다. 제3 감마 룩업 테이블(L21)이 적용되는 시간 t1부터 시간 t2까지의 구간 및 시간 t3부터 시간 t4까지의 구간에서, 표시 패널(100) 내의 잔류 DC 전압은 감소할 수 있다.
다음에,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을 구동하는 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시간적 L-DAG 방식은 표시 패널(100)에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고, 표시 패널(100)에 부분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표시 영역(DA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할 수도 있고, 제1 표시 영역(DA1)과 상이한 방식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3 구동 구간들(DP1, DP3)에서 제2 표시 영역(DA2)을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제2 및 제6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2, DO32)에는 제2 감마 룩업 테이블(L12)이 적용될 수 있고, 제2 및 제4 구동 구간들(DP2, DP4)에서 제2 표시 영역(DA2)을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제4 및 제8 출력 영상 데이터들(DO22, DO42)에는 제2 감마 룩업 테이블(L12) 및 제4 감마 룩업 테이블(L22) 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마 보정부(212)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DI12) 및 제2 감마 룩업 테이블(L12)에 기초하여 제2 출력 영상 데이터(DO12)를 발생할 수 있고, 제6 입력 영상 데이터(DI32) 및 제2 감마 룩업 테이블(L12)에 기초하여 제6 출력 영상 데이터(DO32)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감마 보정부(212)는 제4 입력 영상 데이터(DI22)와 제2 및 제4 감마 룩업 테이블들(L12, L22) 중 하나에 기초하여 제4 출력 영상 데이터(DO22)를 발생할 수 있고, 제8 입력 영상 데이터(DI42)와 제2 및 제4 감마 룩업 테이블들(L12, L22) 중 하나에 기초하여 제8 출력 영상 데이터(DO42)를 발생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제2, 제3 및 제4 구동 구간들(DP1, DP2, DP3, DP4)에서 제2, 제4, 제6 및 제8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2, DO22, DO32, DO42)에 기초하여 제2 표시 영역(DA2)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2, DO22, DO32, DO42) 사이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는 시간적 평활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간적 평활화부(214)는 제2 출력 영상 데이터(DO12) 및 제4 출력 영상 데이터(DO22)를 기초로 보간 동작을 수행하여 제2 평활화 영상 데이터(SD12)를 발생할 수 있고, 제4 출력 영상 데이터(DO22) 및 제6 출력 영상 데이터(DO32)를 기초로 보간 동작을 수행하여 제4 평활화 영상 데이터(SD22)를 발생할 수 있으며, 제6 출력 영상 데이터(DO32) 및 제8 출력 영상 데이터(DO42)를 기초로 보간 동작을 수행하여 제6 평활화 영상 데이터(SD32)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시간적 평활화부(214)는 제8 출력 영상 데이터(DO42) 및 상기 제5 구동 구간에 제2 표시 영역(DA2)에 대응하는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보간 동작을 수행하여 제8 평활화 영상 데이터(SD42)를 발생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제2, 제3 및 제4 평활화 구간들(SP1, SP2, SP3, SP4)에서 제2, 제4, 제6 및 제8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SD12, SD22, SD32, SD42)에 기초하여 제2 표시 영역(DA2)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간적 평활화 동작의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간적 L-DAG 방식이 표시 패널(100)에 부분적으로 적용된 경우에, 즉 제1 표시 영역(DA1)에만 적용된 경우에, 제2 표시 영역(DA2)에 대한 상기 시간적 평활화 동작이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출력 영상 데이터(DO22)가 제2 감마 룩업 테이블(L12)에 기초하여 발생된 경우에, 제1, 제2 및 제3 구동 구간들(DP1, DP2, DP3) 모두에서 제2 표시 영역(DA2)은 제2 감마 룩업 테이블(L12)에 기초하여 구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및 제2 평활화 구간들(SP1, SP2)에서 제2 표시 영역(DA2)에 대한 상기 시간적 평활화 동작이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처리부(210)는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경계 영역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는 공간적 평활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210)는 제1 구동 구간(DP1)에서 제1 출력 영상 데이터(DO11)와 제2 출력 영상 데이터(DO12) 사이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는 공간적 평활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영상 처리부(210)는 제2, 제3 및 제4 구동 구간들(DP2, DP3, DP4)에서 제3, 제5 및 제7 출력 영상 데이터들(DO21, DO31, DO41)과 제4, 제6 및 제8 출력 영상 데이터들(DO22, DO32, DO42) 사이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는 공간적 평활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고, 평활화 구간들(SP1, SP2, SP3, SP4)에서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SD11, SD21, SD31, SD41)과 평활화 영상 데이터(SD12, SD22, SD32, SD42) 사이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는 공간적 평활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구간들(DP1, DP2, DP3, DP4) 및 평활화 구간들(SP1, SP2, SP3, SP4)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구간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위치 및 구동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감마 룩업 테이블을 적용하는 시간적 L-DAG 방식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의 위치별 감마 편차를 개선하여 잔상 편차를 개선할 수 있으며, 잔상의 원인이 되는 잔류 DC 전압이 포화(saturation)되기 전에 이를 감소하여 잔상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타이밍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7을 참조하면, 타이밍 제어 회로(200a)는 영상 처리부(210), 저장부(220a) 및 제어 신호 발생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20a)에 저장되는 감마 룩업 테이블들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영상 처리부(210)에서 발생되는 출력 영상 데이터들 및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이 변경되는 것을 제외하면, 도 7의 타이밍 제어 회로(200a)는 도 2의 타이밍 제어 회로(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10)는 감마 보정부(212) 및 시간적 평활화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감마 보정부(212)는 입력 영상 데이터들(DI11, DI12, DI21, DI22, DI31, DI32, DI41, DI42) 및 감마 룩업 테이블들(LA1, LA2, LB1, LB2, LC1, LC2)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1', DO12', DO21', DO22', DO31', DO32', DO41', DO42')을 발생할 수 있다. 시간적 평활화부(214)는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1'~DO42')에 기초하여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SD11', SD12', SD21', SD22', SD31', SD32', SD41', SD42')을 발생할 수 있다.
입력 영상 데이터들(DI11, DI21, DI31, DI41),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1', DO21', DO31', DO41') 및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SD11', SD21', SD31', SD41')은 표시 패널(100)의 제1 표시 영역(DA1)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입력 영상 데이터들(DI12, DI22, DI32, DI42),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2', DO22', DO32', DO42') 및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SD12', SD22', SD32', SD42')은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입력 영상 데이터들(DI11~DI42)은 네 개의 입력 영상 데이터 세트들(IS1, IS2, IS3, IS4)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1'~DO42') 및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SD11'~SD42')은 각각 네 개의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들(OS1', OS2', OS3', OS4') 및 네 개의 평활화 영상 데이터 세트들(TSS1', TSS2', TSS3', TSS4')로 구분될 수 있다. 입력 영상 데이터 세트들(IS1~IS4) 및 출력 영상 데이터 세트들(OS1'~OS4') 각각은 상응하는 구동 구간들(예를 들어, 도 9의 DPA, DPB, DPC, DPD)에서 표시 패널(100)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평활화 영상 데이터 세트들(TSS1'~TSS4') 각각은 상응하는 평활화 구간들(예를 들어, 도 9의 SPA, SPB, SPC, SPD)에서 영상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저장부(220a)는 감마 룩업 테이블들(LA1~LC2)을 저장할 수 있다. 감마 룩업 테이블들(LA1, LB1, LC1)은 표시 패널(100)의 제1 표시 영역(DA1)에 대응할 수 있고, 감마 룩업 테이블들(LA2, LB2, LC2)은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감마 룩업 테이블들(LA1~LC2)은 세 개의 감마 룩업 테이블 세트들(LSA, LSB, LSC)로 구분될 수 있다. 감마 룩업 테이블(LA1)은 감마 룩업 테이블(LA2)과 다른 감마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감마 룩업 테이블들(LB1, LC1)과도 다른 감마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7의 저장부(220a)에 저장되는 감마 룩업 테이블들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시간에 따라 감마 룩업 테이블들이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제1 감마 룩업 테이블(LA1)을 적용하여 발생되는 감마 전압의 레벨은 제3 감마 룩업 테이블(LB1)을 적용하여 발생되는 감마 전압의 레벨보다 낮을 수 있고, 제5 감마 룩업 테이블(LC1)을 적용하여 발생되는 감마 전압의 레벨보다 높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감마 룩업 테이블(LA1)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제3 감마 룩업 테이블(LB1)에 따른 영상의 휘도보다 낮을 수 있고, 제5 감마 룩업 테이블(LC1)에 따른 영상의 휘도보다 높을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감마 룩업 테이블들(LA2, LB2, LC2)의 관계는 감마 룩업 테이블들(LA1, LB1, LC1)의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2, 7 및 9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210)는 상기 시간적 L-DAG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0)은 영상 처리부(21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구동할 수 있다.
먼저, 표시 패널(100)의 제1 표시 영역(DA1)을 구동하기 위해, 감마 보정부(212)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DI11) 및 제1 감마 룩업 테이블(LA1)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영상 데이터(DO11')를 발생할 수 있고, 제3 입력 영상 데이터(DI21) 및 제3 감마 룩업 테이블(LB1)에 기초하여 제3 출력 영상 데이터(DO21')를 발생할 수 있고, 제5 입력 영상 데이터(DI31) 및 제1 감마 룩업 테이블(LA1)에 기초하여 제5 출력 영상 데이터(DO31')를 발생할 수 있으며, 제7 입력 영상 데이터(DI41) 및 제5 감마 룩업 테이블(LC1)에 기초하여 제7 출력 영상 데이터(DO41')를 발생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제2, 제3 및 제4 구동 구간들(DPA, DPB, DPC, DPD)에서 제1, 제3, 제5 및 제7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1', DO21', DO31', DO41')에 기초하여 제1 표시 영역(DA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1', DO21', DO31', DO41') 사이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는 시간적 평활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시간적 평활화부(214)는 제1 및 제3 출력 영상 데이터들(DO11', DO21')을 기초로 보간 동작을 수행하여 제1 평활화 영상 데이터(SD11')를 발생할 수 있고, 제3 및 제5 출력 영상 데이터들(DO21', DO31')을 기초로 보간 동작을 수행하여 제3 평활화 영상 데이터(SD21')를 발생할 수 있고, 제5 및 제7 출력 영상 데이터들(DO31', DO41')을 기초로 보간 동작을 수행하여 제5 평활화 영상 데이터(SD31')를 발생할 수 있으며, 제7 출력 영상 데이터(DO41') 및 제4 구동 구간(DPD) 이후의 제5 구동 구간에 제1 표시 영역(DA1)에 대응하는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보간 동작을 수행하여 제7 평활화 영상 데이터(SD41')를 발생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제2, 제3 및 제4 평활화 구간들(SPA, SPB, SPC, SPD)에서 제1, 제3, 제5 및 제7 평활화 영상 데이터들(SD11', SD21', SD31', SD41')에 기초하여 제1 표시 영역(DA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에,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을 구동하는데 있어서, 시간적 L-DAG 방식을 표시 패널(100)에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적용하거나 표시 패널(100)에 부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표시 영역(DA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할 수도 있고, 제1 표시 영역(DA1)과 상이한 방식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이 때, 제2 표시 영역(DA2)에 대한 상기 시간적 평활화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경계 영역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는 공간적 평활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타이밍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타이밍 제어 회로(200b)는 영상 처리부(210), 저장부(220), 제어 신호 발생부(230) 및 주기 제어부(24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타이밍 제어 회로(200c)는 영상 처리부(210), 저장부(220), 제어 신호 발생부(230), 주기 제어부(240c) 및 판단부(25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기 제어부(240b)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0의 타이밍 제어 회로(200b)는 도 2의 타이밍 제어 회로(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주기 제어부(240c) 및 판단부(250c)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1의 타이밍 제어 회로(200c)는 도 2의 타이밍 제어 회로(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도 1의 10)를 구동하는데 있어서, 구동 구간들(예를 들어, 도 5의 DP1, DP2, DP3, DP4)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평활화 구간들(예를 들어, 도 5의 SP1, SP2, SP3, SP4) 중 적어도 하나는 가변적일 수 있다.
도 10의 타이밍 제어 회로(200b)는 외부(예를 들어, 호스트)에서 수신되는 플래그 신호(FLG)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상기 평활화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0의 주기 제어부(240b)는 표시 패널(도 1의 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를 나타내는 플래그 신호(FLG)에 기초하여 주기 제어 신호(PCON)를 발생할 수 있다.
도 11의 타이밍 제어 회로(200c)는 입력 영상 데이터들(DI11~DI42)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도 1의 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상기 평활화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의 판단부(250c)는 입력 영상 데이터들(DI11~DI42)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도 1의 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를 나타내는 판단 신호(DET)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250c)는 이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표시 패널(도 1의 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으며, 프레임 메모리 및/또는 라인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주기 제어부(240c)는 판단 신호(DET)에 기초하여 주기 제어 신호(PCON)를 발생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의 실시예에서, 주기 제어 신호(PCON)는 영상 처리부(210) 및 저장부(220)에 제공되며, 주기 제어 신호(PCON)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상기 평활화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도 1의 100)이 정지 영상 및/또는 부분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타이밍 제어 회로들(200b, 200c)은 주기 제어 신호(PCON)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상기 평활화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도 1의 100)이 동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타이밍 제어 회로들(200b, 200c)은 주기 제어 신호(PCON)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상기 평활화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도 1의 100)이 정지 영상 및/또는 부분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타이밍 제어 회로들(200b, 200c)은 주기 제어 신호(PCON)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적 L-DAG 방식을 유지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도 1의 100)이 동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타이밍 제어 회로들(200b, 200c)은 주기 제어 신호(PCON)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적 L-DAG 방식을 중단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20)는 표시 패널(100), 타이밍 제어 회로(600), 게이트 구동 회로(300), 데이터 구동 회로(400) 및 감마 전압 발생 회로(500)를 포함한다.
감마 전압 발생 회로(500)를 더 포함하고 이에 따라 타이밍 제어 회로(600)의 구성이 변경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2의 표시 장치(20)는 도 1의 표시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600)는 표시 패널(100)의 동작을 제어하며, 게이트 구동 회로(300), 데이터 구동 회로(400) 및 감마 전압 발생 회로(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타이밍 제어 회로(600)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데이터(DAT)를 발생하며, 입력 제어 신호(ICONT)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신호(CONT1), 제2 제어 신호(CONT2) 및 제3 제어 신호(CONT3)를 발생한다.
감마 전압 발생 회로(500)는 제3 제어 신호(CONT3)에 기초하여 감마 기준 전압(VG)을 발생할 수 있다. 시간적(Temporal) L-DAG 방식을 적용하기 위하여, 감마 기준 전압(VG)은 표시 패널(100)의 위치 별로 다른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발생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라 다른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감마 룩업 테이블들은 타이밍 제어 회로(600)에 저장되거나 감마 전압 발생 회로(5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임의의 저장부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2 및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 제1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영상 데이터를 발생하고(단계 S100), 제2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2 출력 영상 데이터를 발생한다(단계 S200). 제1 구동 구간에서 상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고(단계 S300), 상기 제1 구동 구간 이후의 제2 구동 구간에서 상기 제2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100)을 구동함으로써(단계 S500), 표시 패널(100)의 제1 표시 영역(DA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동 구간과 상기 제2 구동 구간 사이의 제1 평활화 구간에서 상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출력 영상 데이터 사이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는 시간적 평활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00). 예를 들어, 상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보간 동작을 수행하여 제1 평활화 영상 데이터를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제1 평활화 구간에서 상기 제1 평활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100)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 4 및 5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처럼, 구동 구간들(DP1~DP4) 및 평활화 구간들(SP1~SP4)에서 타이밍 구동 회로(200)가 동작을 수행하여 표시 패널(100)의 제1 표시 영역(DA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7, 8 및 9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처럼, 구동 구간들(DPA~DPD) 및 평활화 구간들(SPA~SPD)에서 타이밍 구동 회로(200a)가 동작을 수행하여 표시 패널(100)의 제1 표시 영역(DA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의 제2 표시 영역(DA2)에 영상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상기 시간적 L-DAG 방식을 표시 패널(100)에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적용하거나 표시 패널(100)에 부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 표시 패널이 두 개의 표시 영역들로 구분되고 두 개 또는 세 개의 감마 룩업 테이블 세트들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간적 L-DAG 방식은 표시 패널이 임의의 개수의 표시 영역들로 구분되고 임의의 개수의 감마 룩업 테이블 세트들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경우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9를 참조하여 네 개의 구동 구간들에서 동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간적 L-DAG 방식은 임의의 개수의 구동 구간들에 대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9에 도시된 그래프들이 네 개의 구동 구간들마다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 폰, PDA, PMP,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PC, 서버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노트북, 디지털 TV, 셋-탑 박스, 음악 재생기, 휴대용 게임 콘솔, 네비게이션 시스템, 스마트 카드, 프린터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0)

  1. 제1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영상 데이터를 발생하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2 출력 영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타이밍 제어 회로; 및
    제1 구간에서 상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하고, 상기 제1 구간 이후의 제2 구간에서 제2 출력 영상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감마 룩업 테이블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상기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와 상이한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구간과 상기 제2 구간 사이의 제3 구간에서 상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출력 영상 데이터 사이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는 시간적 평활화(smoothing)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보간 동작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평활화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3 구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활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상기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내의 잔류 DC(Direct Current) 전압은 상기 제1 구간에서 증가하고 상기 제2 구간에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제3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3 출력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하고, 제4 입력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 및 제4 감마 룩업 테이블 중 하나에 기초하여 제4 출력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제1 및 제3 출력 영상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구동하고, 상기 제2 구간에서 상기 제2 및 제4 출력 영상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구동하며,
    상기 제3 및 제4 감마 룩업 테이블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 및 상기 제4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3 출력 영상 데이터 사이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는 공간적 평활화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제3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3 출력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하고, 제4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4 출력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구간 이후의 제3 구간에서 상기 제3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하고, 상기 제3 구간 이후의 제4 구간에서 상기 제4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제3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3 출력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하고, 제4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4 출력 영상 데이터를 더 발생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구간 이후의 제3 구간에서 상기 제3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하고, 상기 제3 구간 이후의 제4 구간에서 상기 제4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하며,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 및 상기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상기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보다 낮으며,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영상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제1 영상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영상이 정지 영상인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는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를 나타내는 플래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영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제2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2 출력 영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제1 구간에서 상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간 이후의 제2 구간에서 상기 제2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감마 룩업 테이블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상기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와 상이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과 상기 제2 구간 사이의 제3 구간에서 상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출력 영상 데이터 사이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키는 시간적 평활화(smoothing)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적 평활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출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출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보간 동작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평활화 영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구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활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제3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3 출력 영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제4 입력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 및 제4 감마 룩업 테이블 중 하나에 기초하여 제4 출력 영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제3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구간에서 상기 제4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감마 룩업 테이블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 및 상기 제4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제3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3 출력 영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제4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4 출력 영상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2 구간 이후의 제3 구간에서 상기 제3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구간 이후의 제4 구간에서 상기 제4 출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제3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는 상기 제1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 및 상기 제2 감마 룩업 테이블에 따른 영상의 휘도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영상 데이터들을 기초로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50120412A 2015-08-26 2015-08-26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70026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412A KR20170026705A (ko) 2015-08-26 2015-08-26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5/155,624 US10460640B2 (en) 2015-08-26 2016-05-16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412A KR20170026705A (ko) 2015-08-26 2015-08-26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705A true KR20170026705A (ko) 2017-03-09

Family

ID=5809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412A KR20170026705A (ko) 2015-08-26 2015-08-26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60640B2 (ko)
KR (1) KR201700267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7192B2 (en) * 2016-09-14 2019-11-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KR102552804B1 (ko) * 2018-07-25 2023-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10115110A (ko) * 2020-03-11 2021-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10134150A (ko) * 2020-04-29 2021-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감마 보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6876B2 (en) * 2005-03-15 2011-06-07 Sharp Kabushiki Kaisha Drive method of display device, drive unit of display device, program of the drive unit and storage medium thereof,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drive unit
JP4821889B2 (ja) * 2009-06-15 2011-11-24 株式会社ニコン 画像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KR101798489B1 (ko) * 2011-01-14 2017-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마전압 생성장치,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1279297B1 (ko) 2011-12-26 2013-06-26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에프에프에스 모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929712B2 (ja) * 2012-11-06 2016-06-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撮影装置、撮影装置の制御方法
JP5843751B2 (ja) * 2012-12-27 2016-01-1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40122539A (ko) * 2013-04-10 2014-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169870B1 (ko) 2013-12-23 2020-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컨트롤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KR102281900B1 (ko) * 2013-12-31 2021-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61927A1 (en) 2017-03-02
US10460640B2 (en)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8388B2 (en) Gate driver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9524694B2 (en) Display with spatial and temporal refresh rate buffers
KR10196445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열화보상방법
US20160260381A1 (en) Array substrate,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11205379B2 (en) Pixel circuit with signal-controlled voltage divider and drive method thereof, display substrate, display device
KR20160078748A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9747836B2 (en) Signal processing metho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3280592A (ja) 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KR2015011402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70026705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524677B2 (en) Display panel driver,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8223694A1 (zh) 有机发光显示面板的补偿方法及相关装置
KR20150026376A (ko) 표시장치와 그 휘도 제어 방법
KR102577591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1114034B2 (en) Display device
CN105845077B (zh) 数据补偿器以及包括数据补偿器的显示装置
US10879480B2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150041441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00093113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441599B2 (en) Pixel unit and display device utilizing the same
JP2020122836A (ja) 処理回路、表示装置、及び、処理方法
KR20150053475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33803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210001047A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10140921B2 (en) EM signal control circuit, EM signal control metho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