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039B1 -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 Google Patents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039B1
KR100336039B1 KR1020000012769A KR20000012769A KR100336039B1 KR 100336039 B1 KR100336039 B1 KR 100336039B1 KR 1020000012769 A KR1020000012769 A KR 1020000012769A KR 20000012769 A KR20000012769 A KR 20000012769A KR 100336039 B1 KR100336039 B1 KR 100336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mmon
segment
inverted
volt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259A (ko
Inventor
한광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12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039B1/ko
Publication of KR20010091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1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는 매 프레임마다 그리고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커먼 출력 신호와 세그먼트 출력 신호의 위상을 각각 반전시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LCD 패널(30)의 각 픽셀을 구성하는 액정이 직류(DC) 전계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과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에 응답하여 픽셀들 가운데 선택된 셀이 온/오프될 때 선택된 셀 주변의 선택되지 않은 셀들이 영향을 받게되는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LIQUID CRYSTAL DISPLAY PANEL DRIVER WITH REDUCED CROSS-TALK}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 패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크로스-토크(cross-talk)를 방지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명암(contrast)을 향상시키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에 관한 것이다.
LCD는 두 개의 얇은 유리판 사이의 틈에 액체 결정을 담고 투명한 전극을 통해 전압을 가하면 결정의 분자 배열 방향이 달라져서 빛의 투과율이 달라지는 성질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러한 LCD는 전력 소모가 적고 얇은 판 형태로 만들 수 있으므로, 셀룰러 전화기, 전자계산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각종 기계의 제어판(control panel)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인 LCD 장치는 LCD 구동기와 LCD 패널을 포함한다.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의 시스템 장치(system unit)(이 시스템 장치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HDD(Hard Disk Drive), FDD(Floppy Disk Drive), CD-ROM 드라이브, 비디오 보드 등이 탑재되어 있음)등과 같은 호스트(host)로부터는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들이 상기 LCD 구동기로 제공된다.
상기 LCD 구동기는 LCD 컨트롤러, 전압 분배기(voltage divider), 행 드라이버(row driver) 그리고 열 드라이버(column driver)를 포함한다. 상기 LCD 컨트롤러는 상기 호스트로부터의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행 드라이버 및 열 드라이버를 제어한다.
상기 전압 분배기는 상기 행 드라이버와 열 드라이버에서 각각 출력되는 행 구동 신호와 열 구동 신호의 활성화 레벨과 비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분압 전압들을 발생한다. 예컨대, 상기 행 구동 신호의 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분압 전압은 V0, V5이고, 비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분압 전압은 V1, V4이다. 한편, 상기 열 구동 신호의 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분압 전압은 V0, V5이고, 비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분압 전압은 V2, V3이다. 상기 분압 전압들은 V0 < V1 < V2 < V3 < V4 < V5 순의 크기를 갖는다.
상기 행 드라이버는 상기 전압 분배기로부터의 분압 전압들(V0, V1, V4, V5)을 받아들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행을 구동하기 위한 커먼 출력 신호들(common output signals)(COMj; j=1,2,…,n)을 출력한다. 상기 열 드라이버(28)는 상기 전압 분배기(24)로부터의 분압 전압들(V0, V2, V3, V5)을 받아들여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ment-output signals)(SEGk; k=1,2,…,m)을 출력한다.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j)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LCD 패널의 행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로, 어느 한 시점에 오직 하나의 행만이 활성화된다.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k)은 LCD 패널을 온/오프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로서,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j)에 의해 선택된 행에 속하는 열들의 디스플레이 정보이다. (n×m) 개의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LCD 패널(30)은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j)과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k)에 따라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은 12×12 개의 픽셀들로 구성된 LCD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는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커먼 출력 신호들의 전압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B는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의 전압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먼 출력 신호들(COM1 ~ COM12)은 분압 전압 V0 또는 V5의 활성화 레벨과 분압 전압 V4 또는 V1의 비활성화 레벨을 가지며, 한 프레임(frame)동안 한 행씩 순차적으로 활성화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COM12)에 의해 12 개의 행들이 순차적으로 선택된다. 제 1 프레임(FRAME1)에서 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분압 전압이 V0이고, 비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분압 전압이 V4였다면 제 2 프레임(FRAME2)에서의 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분압 전압은 V5, 비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분압 전압은 V1로 그 위상이 각각 반전된다. 즉, 한 프레임이 끝날될 때마다 커먼 출력 신호들(COM1 ~ COM12)의 위상이 각각 반전된다.
LCD 패널(30)의 각 픽셀을 구성하는 액정은 직류(DC) 전계에 의한 열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매 프레임마다 커먼 출력 신호들의 위상을 반전시킨다.
도 2B를 참조하면,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1 ~ SEG12)은 분압 전압 V0 또는 V5의 활성화 레벨과 분압 전압 V3 또는 V2의 비활성화 레벨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 COM12)에 의해서 선택된 행의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1 ~ SEG12)이 분압 전압 V0 또는 V5일 때 대응하는 픽셀이 '온(ON)'되고,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1 ~ SEG12)이 분압 전압 V3 또는 V2일 때 대응하는 픽셀이 '오프(OFF)'된다.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1 ~ SEG12)은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 COM12)과 동일하게 매 프레임마다 반전된다. 즉, 제 1 프레임(FRAME1)에서 '온' 레벨이 V5이고, 디세이블 레벨이 V3이었다면 제 2 프레임(FRAME2)에서의 인에이블 레벨은 V0, 디세이블 레벨은 V2로 반전된다.
매 프레임마다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이유는 LCD 패널(30)의 각 픽셀을 구성하는 액정이 직류(DC) 전계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LCD 패널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픽셀(C11)에 대한 등가 회로는 병렬로 연결된 커패시터(C)와 저항(R)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C)와 저항(R)의 접속점들은 각각 커먼 출력 신호(COMj) 및 세그먼트 출력 신호(SEGk)와 연결된다.
픽셀(C11)의 '온/오프' 여부는 상기 커패시터(C)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 차에 따라 결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커먼 출력 신호(COMj)가 분압 전압 V0이고,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SEGk)가 분압 전압 V5일 때 또는 상기 커먼 출력 신호(COMj)가 분압 전압 V5이고,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SEGk)가 분압 전압 V0일 때(다시 말하면, 상기 커패시터(C) 양단의 전압 차가 V5-V0 또는 V0-V5일 때) 상기 픽셀(C11)은 '온'된다. 한편, 상기 커먼 출력 신호(COMj)가 분압 전압 V4이고,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SEGk)가 분압 전압 V3이거나 또는 커먼 출력 신호(COMj)가 분압 전압 V1 이고,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SEGk)가 분압 전압 V2일 때(즉, 상기 커패시터(C1) 양단의 전압 차가 V4-V3 또는 V1-V2일 때) 상기 픽셀(C11)은 '오프'된다.
다시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 COM12)은 디세이블 상태 동안 분압 전압 V4 또는 V1 레벨을 유지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 COM12)과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1 ~ SEG12)에 응답하여 픽셀들 가운데 선택된 셀이 온/오프될 때 선택된 셀 주변의 선택되지 않은 셀들이 영향을 받게되는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이 발생된다. 크로스-토크는 디스플레이 신호를 왜곡시켜 표시 대비비(명암; contrast)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이 직류 전계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정 간의 크로스-토크 현상을 방지하여 명암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12×12 개의 픽셀들로 구성된 매트릭스 LCD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는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커먼 출력 신호들의 전압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B는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의 전압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LCD 패널의 등가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CD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압 분배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상세 회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행 드라이버의 일 예를 보여주는 상세 회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열 드라이버의 일 예를 보여주는 상세 회로도;
도 8A는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먼 출력 신호들의 전압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8B는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의 전압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스트
20 :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22 : 전압 분배기
24 : LCD 컨트롤러
26 : 행 드라이버
28 : 열 드라이버
30 :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는: 전압 발생 수단, 커먼 출력 수단 그리고 세그먼트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전압 발생 수단은 커먼 출력 신호의 활성화 레벨 및 비활성화 레벨에 각각 대응하는 커먼 활성화 전압 및 커먼 비활성화 전압 그리고 세그먼트 출력 신호의 활성화 레벨 및 비활성화 레벨에 각각 대응하는 세그먼트 활성화 전압 및 세그먼트 비활성화 전압을 발생한다. 상기 커먼 출력 수단은 상기 커먼 활성화 전압 또는 커먼 비활성화 전압 가운데 하나를 상기 커먼 출력 신호로 출력하여 복수 개의 커먼 출력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고, 매 프레임마다 그리고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커먼 출력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킨다. 상기 세그먼트 출력 수단은 호스트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세그먼트 활성화 전압 또는 세그먼트 비활성화 전압 가운데 하나를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로 출력하고, 매 프레임마다 그리고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압 발생 수단은 상기 커먼 활성화 전압, 커먼 비활성화 전압, 세그먼트 활성화 전압 그리고 세그먼트 비활성화 전압과 각각 반전된 위상을 가지는 반전 커먼 활성화 전압, 반전 커먼 비활성화 전압, 반전 세그먼트 비활성화 전압 그리고 반전 세그먼트 비활성화 전압을 더 발생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커먼 출력 수단은, 매 프레임마다 그리고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커먼 활성화 전압 및 커먼 비활성화 전압 그리고 상기 반전 커먼 활성화 전압 및 반전 커먼 비활성화 전압을 번갈아 선택하고, 선택된 전압들 가운데 하나를 상기 커먼 출력 신호로 출력하여 상기 복수 개의 커먼 출력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킨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출력 수단은, 매 프레임마다 그리고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세그먼트 활성화 전압 및 세그먼트 비활성화 전압 그리고 상기 반전 세그먼트 활성화 전압 및 반전 세그먼트 비활성화 전압을 번갈아 선택하고, 상기 호스트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전압들 가운데 하나를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는:
매 프레임마다 그리고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반전되는 반전 신호, 커먼 출력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커먼 제어 신호들 그리고 호스트로부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응답하여 세그먼트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제어기와; 일군의 커먼 전압들과 타군의 세그먼트 전압들을 발생하는 전압 발생 수단과;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상기 커먼 제어 신호와 상기 반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일군의 커먼 전압들 가운데 하나를 상기 커먼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커먼 출력 수단; 그리고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상기 세그먼트 제어 신호와 상기 반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타군의 세그먼트 전압들 가운데 하나를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세그먼트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일군의 커먼 전압들은 상기 커먼 출력 신호의 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반전 및 비반전 커먼 활성화 전압들, 상기 커먼 출력 신호의 비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반전 및 비반전 커먼 비활성화 전압들을 포함한다. 상기 타군의 세그먼트 전압들은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의 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반전 및 비반전 세그먼트 활성화 전압들,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의 비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반전 및 비반전 세그먼트 비활성화 전압들을 포함한다.
상기 반전 및 비반전 커먼 활성화 전압들, 상기 반전 및 비반전 커먼 비활성화 전압들, 상기 반전 및 비반전 세그먼트 활성화 전압들 그리고 상기 반전 및 비반전 세그먼트 비활성화 전압들 각각은 서로 반전된 위상을 갖는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후의 설명에서 도면들 중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 및 부호는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CD 장치는 LCD 구동기(20)와 LCD 패널(30)을 포함한다.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의 시스템 장치(system unit)(이 시스템 장치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HDD(Hard Disk Drive), FDD(Floppy Disk Drive), CD-ROM 드라이브, 비디오 보드 등이 탑재되어 있음)등과 같은 호스트(host)(10)로부터는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들이 LCD 구동기(20)로 제공된다.
상기 LCD 구동기(20)는 전압 분배기(voltage divider)(22), LCD 컨트롤러(24), 행 드라이버(row driver)(26) 그리고 열 드라이버(column driver)(28)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분배기(22)는 상기 행 드라이버(26)로 제공하기 위한 일군의 분압 전압들(V0, V1, V4, V5)과 상기 열 드라이버(28)로 제공하기 위한 타군의 분압 전압들(V0, V2, V3, V5)을 발생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분압 전압들은 V0 < V1 < V2 < V3 < V4 < V5 순의 크기를 갖는다.
상기 LCD 컨트롤러(24)는 상기 호스트(10)로부터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행 드라이버(26)와 열 드라이버(28)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COM_Cj, SEG_Ck) 및 반전 신호(IV)를 발생한다. 상기 반전 신호(IV)는 매 프레임(frame)마다 그리고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하이 레벨(즉, 논리 '1')에서 로우 레벨(즉, 논리 '0')로 또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반전되는 신호이다.
상기 행 드라이버(26)는 상기 LCD 컨트롤러(24)로부터 제공되는 행 제어 신호(COM_Cj)에 응답하여 상기 전압 분배기(22)로부터의 일군의 분압 전압들(V0, V1, V4, V5)을 커먼 출력 신호들(common output signals)(COMj; j=1,2,…,n)로 출력한다. 상기 열 드라이버(28)는 상기 LCD 컨트롤러(24)로부터 제공되는 열 제어 신호(SEG_Ck)에 응답하여 상기 전압 분배기(22)로부터의 타군의 분압 전압들(V0, V2, V3, V5)을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ment-output signals)(SEGk; k=1,2,…,m)로 출력한다.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j)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LCD 패널(30)의 행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로, 어느 한 시점에 오직 하나의 신호만이 인에이블된다.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k)은 데이터 신호로서,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j)에 의해 선택된 행에 속하는 열들의 디스플레이 정보이다. (n×m) 개의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LCD 패널(30)은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j)과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k)에 따라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압 분배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상세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압 분배기(22)는 전원 전압(VDD)과 접지 전압(VSS) 사이에 직렬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저항들(R5 ~ R1)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 전압(VDD)은 분압 전압 V5로 출력되고, 상기 접지 전압(VSS)은 분압 전압 V0으로 출력된다. 상기 저항들(R5 ~ R1)의 접속점들의 전압은 분압 전압들(V4, V3, V2, V1)로 출력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행 드라이버의 일 예를 보여주는 상세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행 드라이버(26)는 상기 LCD 컨트롤러(24)로부터 제공되는 반전 신호(IV)에 응답하여 상기 일군의 분압 전압들(V0, V1, V4, V5) 가운데 비반전 행 활성/비활성 전압들(V5, V1) 또는 반전 행 활성/비활성 전압들(V0, V4)을 선택하여 제 1 및 제 2 노드들(N1, N2)로 각각 전달하는 반전 선택부(110)와 상기 LCD 컨트롤러(24)로부터 제공되는 행 제어 신호들(COM_C1, COM_C2, …, COM_Cn)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들(N1, N2)의 전압을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COM_C2, …, COMn)로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반전 선택부(110)는 상기 일군의 전압들(V0, V1, V4, V5) 가운데 비반전 행 활성 전압(V5)과 상기 제 1 노드(N1)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111), 상기 반전 행 비활성 전압(V4)과 상기 제 2 노드(N2) 사이에 연결된 제 2 스위치(112), 상기 반전 행 비활성 전압(V1)과 상기 제 1 노드(N1) 사이에 연결된 제 3 스위치(113), 상기 반전 행 활성 전압(V0)과 상기 제 2 노드(N2) 사이에 연결된 제 4 스위치(114) 그리고 인버터(115)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들(111, 112, 113, 114)은 상기 LCD 컨트롤러(24)로부터 제공되는 반전 신호(IV)에 응답하여 상기 비반전/반전 열 활성 전압들(V5, V0) 가운데 하나를 상기 제 1 노드(N1)로 전달하고, 상기 비반전/반전 비활성 전압들(V4, V1) 가운데 하나를 상기 제 2 노드(N2)로 전달한다. 예를 들면, 상기 LCD 컨트롤러(24)로부터 제공되는 반전 신호(IV)가 하이 레벨이면 상기 비반전 행 활성/비활성 전압들(V5, V1)을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들(N1, N2)로 각각 전달하고, 상기 반전 신호(IV)가 로우 레벨이면 상기 반전 행 활성/비활성 전압들(V0, V4)을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들(N1, N2)로 각각 전달한다.
상기 반전 신호(IV)는 매 프레임마다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또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반전되므로, 제 1 프레임에서 상기 반전 신호가 로우 레벨이면, 상기 스위치들(112, 114)이 온되어, 반전 활성/비활성 전압들(V0, V4)이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들(N1, N2)로 각각 전달된다. 다음 제 2 프레임에서 상기 반전 신호(IV)가 하이 레벨로 반전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들(111, 113)이 온되어, 비반전 활성/비활성 전압들(V5, V1)이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들(N1, N2)로 각각 전달된다. 한편, 상기 반전 신호(IV)는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또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반전되므로, 상기 스위치들(112, 114)과 스위치들(111, 113)이 번갈아 온되어 상기 반전 활성/비활성 전압들(V0, V4)과 상기 비반전 활성/비활성 전압들(V5, V1)이 번갈아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들(N1, N2)로 각각 전달된다. 이러한 동작은 추후 첨부된 도면 8A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출력 제어부(120)는 상기 제 1 노드(N1)와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COM2, …, COMn)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들(121, 123, …, 125), 상기 제 2 노드(N2)와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COM2, …, COMn)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들(122, 124, …, 126), 그리고 상기 LCD 컨트롤러(24)로부터 제공되는 행 제어 신호들(COM_C1, COM_C2, …, COM_Cn)을 각각 반전시키는 인버터들(131, 132, …, 133)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들(121, 123, …, 125)은 상기 인버터들(131, 132, …, 133)에 의해 반전된 행 제어 신호들(COM_C1, COM_C2, …, COM_Cn)에 의해 제어되어서 상기 제 1 노드(N1)의 전압(즉, V5 또는 V0)을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COM2, …, COMn)로 전달한다. 상기 스위치들(122, 124, …, 126)은 상기 행 제어 신호들(COM_C1, COM_C2, …, COM_Cn)에 의해 제어되어서 상기 제 2 노드(N2)의 전압(즉, V4 또는 V1)을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COM2, …, COMn)로 전달한다. 즉, 상기 출력 제어부(120)는 상기 행 제어 신호들(COM_C1, COM_C2, …, COM_Cn)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N1)의 전압(즉, V5 또는 V0) 또는 상기 제 2 노드(N2)의전압(즉, V4 또는 V1)을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COM2, …, COMn)로 출력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열 드라이버의 일 예를 보여주는 상세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열 드라이버(28)는 상기 LCD 컨트롤러(24)로부터 제공되는 반전 신호(IV)에 응답하여 상기 타군의 분압 전압들(V0, V2, V3, V5) 가운데 비반전 열 활성/비활성 전압들(V5, V3) 또는 반전 열 활성/비활성 전압들(V0, V2)을 선택하여 제 3 및 제 4 노드들(N3, N4)로 각각 전달하는 반전 선택부(150)와 상기 LCD 컨트롤러(24)로부터 제공되는 열 제어 신호들(SEG_C1, SEG_C2, …, SEG_Cm)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들(N3, N4)의 전압을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_C1, SEG_C2, …, SEG_Cm)로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반전 선택부(150)는 상기 일군의 전압들(V0, V2, V3, V5) 가운데 비반전 열 활성 전압(V5)과 상기 제 3 노드(N3)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151), 상기 비반전 열 비활성 전압(V3)과 상기 제 4 노드(N4)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162), 상기 반전 열 비활성 전압(V2)과 상기 제 4 노드(N4)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153), 상기 반전 열 활성 전압(V0)과 상기 제 3 노드(N3)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154) 그리고 인버터(155)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들(151, 152, 153, 154)은 상기 LCD 컨트롤러(24)로부터 제공되는 반전 신호(IV)에 응답하여 상기 비반전/반전 열 활성 전압들(V5, V0) 가운데 하나를 상기 제 3 노드(N3)로 전달하고, 상기 비반전/반전 비활성 전압들(V3, V2) 가운데 하나를 상기 제 4 노드(N4)로 전달한다. 예를 들면, 상기 LCD 컨트롤러(24)로부터 제공되는 반전 신호(IV)가 하이 레벨이면 상기 반전 열 활성/비활성 전압들(V0, V2)을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들(N3, N4)로 각각 전달하고, 상기 반전 신호(IV)가 로우 레벨이면 상기 반전 열 활성/비활성 전압들(V5, V3)을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들(N3, N4)로 각각 전달한다.
상기 반전 신호(IV)는 매 프레임마다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또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반전되므로, 제 1 프레임에서 상기 반전 신호가 로우 레벨이면, 상기 스위치들(151, 152)이 온되어, 비반전 활성/비활성 전압들(V5, V3)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들(N3, N4)로 각각 전달된다. 다음 제 2 프레임에서 상기 반전 신호(IV)가 하이 레벨로 반전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들(153, 154)이 온되어, 반전 활성/비활성 전압들(V0, V2)이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들(N3, N4)로 각각 전달된다. 한편, 상기 반전 신호(IV)는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또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반전되므로, 상기 스위치들(151, 152)과 스위치들(153, 154)이 번갈아 온되어 상기 비반전 활성/비활성 전압들(V5, V3)과 상기 반전 활성/비활성 전압들(V0, V2)이 번갈아 상기 제 3 및 제 4 노드들(N3, N4)로 각각 전달된다. 이러한 동작은 추후 첨부된 도면 8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출력 제어부(160)는 상기 제 3 노드(N3)와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1, SEG2, …, SEGm)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들(161, 163, …, 165), 상기 제 4 노드(N4)와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1, SEG2, …, SEGm)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들(162, 164, …, 166), 그리고 상기 LCD 컨트롤러(24)로부터 제공되는 열제어 신호들(SEG_C1, SEG_C2, …, SEG_Cm)을 각각 반전시키는 인버터들(171, 172, …, 173)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들(161, 163, …, 165)은 상기 인버터들(171, 172, …, 173)에 의해 반전된 열 제어 신호들(SEG_C1, SEG_C2, …, SEG_Cm)에 의해 제어되어서 상기 제 3 노드(N3)의 전압(즉, V5 또는 V0)을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1, SEG2, …, SEGm)로 전달한다. 상기 스위치들(162, 164, …, 166)은 상기 열 제어 신호들(SEG_C1, SEG_C2, …, SEG_Cm)에 의해 제어되어서 상기 제 4 노드(N4)의 전압(즉, V3 또는 V2)을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1, SEG2, …, SEGm)로 전달한다. 즉, 상기 출력 제어부(160)는 상기 열 제어 신호들(SEG_C1, SEG_C2, …, SEG_Cm)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노드(N3)의 전압(즉, V5 또는 V0) 또는 상기 제 4 노드(N4)의 전압(즉, V3 또는 V2)을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1, SEG2, …, SEGm)로 출력한다.
도 8A는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먼 출력 신호들의 전압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B는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의 전압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먼 출력 신호들(COM1 ~ COM12)은 분압 전압 V0 또는 V5의 활성화 레벨과 분압 전압 V4 또는 V1의 비활성화 레벨을 가지며, 한 프레임(frame)동안 한 행씩 순차적으로 활성화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COM12)에 의해 12 개의 행들이 순차적으로 선택된다. 제 1프레임(FRAME1)에서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 COM12)의 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분압 전압이 V0이고, 비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분압 전압이 V4였다면 제 2 프레임(FRAME2)에서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 COM12) 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분압 전압은 V5, 비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분압 전압은 V1로 그 위상이 각각 반전된다. 즉, 프레임이 변경될 때마다 커먼 출력 신호들(COM1 ~ COM12)의 위상이 각각 반전된다.
또한,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예를 들면, 2 개의 행들이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는 주기)마다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 COM12)의 위상이 반전된다.
도 2A와 도 8A를 비교하면, 종래에 제 1 프레임(FRAME 1)동안 비선택된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 COM12)은 분압 전압 V4 레벨을 계속해서 유지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프레임(FRAME 1) 동안 비선택된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 COM12)은 분압 전압 V4 에서 V1 레벨(즉, 비활성화 레벨)로 또는 분압 전압 V1에서 V4 레벨로 반복적으로 위상이 반전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1 ~ SEG12)은 분압 전압 V0 또는 V5의 활성화 레벨과 분압 전압 V3 또는 V2의 비활성화 레벨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 COM12)에 의해서 선택된 행의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1 ~ SEG12)이 분압 전압 V0 또는 V5일 때 대응하는 픽셀이 '온(ON)'되고,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1 ~ SEG12)이 분압 전압 V3 또는 V2일 때 대응하는 픽셀이 '오프(OFF)'된다.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1 ~SEG12)은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COM1 ~ COM12)과 동일하게 매 프레임마다 반전된다. 즉, 제 1 프레임(FRAME1)에서 '온' 레벨이 V5이고, 디세이블 레벨이 V3이었다면 제 2 프레임(FRAME2)에서의 인에이블 레벨은 V0, 디세이블 레벨은 V2로 반전된다.
또한,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예를 들면, 2 개의 열들에 대응하는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이 발생되는 주기)마다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SEG1 ~ SEG12)의 위상이 반전된다.
도 2B와 도 8B를 비교하면, 종래의 제 1 세그먼트 출력 신호(SEG1)는 제 1 프레임(FRAME 1)동안 분압 전압 V5 레벨을 계속 유지하여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30)의 제 1 열을 모두 온시켰다. 반면, 본 발명의 제 1 세그먼트 출력 신호(SEG1)는 제 1 프레임(FRAME 1)동안 2 개의 열들에 대응하는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이 출력될 때마다 분압 전압 V5와 V0 레벨로 반복적으로 위상이 반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드라이버(20)는 매 프레임 뿐만 아니라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과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의 위상을 반전시킴으로써 상기 LCD 패널(30)의 각 픽셀을 구성하는 액정이 직류(DC) 전계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과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것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30)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커패시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각 픽셀의 커패시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위상이 매 프레임 뿐만 아니라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반전됨에 따라 커패시터는 충/방전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과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에 응답하여 픽셀들 가운데 선택된 셀이 온/오프될 때 선택된 셀 주변의 선택되지 않은 셀들이 영향을 받게되는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들에서는 행과 열로 배열된 도트 매트릭스(DOT MATRIX)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모두에 적용 가능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잘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에는 다양한 변형 예들 및 그 유사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청구 범위는 그러한 변형 예들 및 그 유사한 구성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능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매 프레임 뿐만 아니라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과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의 위상을 반전시킴으로써 상기 LCD 패널(30)의 각 픽셀을 구성하는 액정이 직류(DC) 전계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과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에 응답하여 픽셀들 가운데 선택된 셀이 온/오프될 때 선택된 셀 주변의 선택되지 않은 셀들이 영향을 받게되는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8)

  1. 커먼 출력 신호의 활성화 레벨 및 비활성화 레벨에 각각 대응하는 커먼 활성화 전압 및 커먼 비활성화 전압 그리고 세그먼트 출력 신호의 활성화 레벨 및 비활성화 레벨에 각각 대응하는 세그먼트 활성화 전압 및 세그먼트 비활성화 전압을 발생하는 전압 발생 수단과;
    상기 커먼 활성화 전압 또는 커먼 비활성화 전압 가운데 하나를 상기 커먼 출력 신호로 출력하여 복수 개의 커먼 출력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고, 매 프레임마다 그리고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커먼 출력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커먼 출력 수단; 그리고
    호스트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세그먼트 활성화 전압 또는 세그먼트 비활성화 전압 가운데 하나를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로 출력하고, 매 프레임마다 그리고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세그먼트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발생 수단은 상기 커먼 활성화 전압, 커먼 비활성화 전압, 세그먼트 활성화 전압 그리고 세그먼트 비활성화 전압과 각각 반전된 위상을 가지는 반전 커먼 활성화 전압, 반전 커먼 비활성화 전압, 반전 세그먼트 비활성화 전압 그리고반전 세그먼트 활성화 전압을 더 발생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먼 출력 수단은,
    매 프레임마다 그리고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커먼 활성화 전압 및 커먼 비활성화 전압 그리고 상기 반전 커먼 활성화 전압 및 반전 커먼 비활성화 전압을 번갈아 선택하고, 선택된 전압들 가운데 하나를 상기 커먼 출력 신호로 출력하여 상기 복수 개의 커먼 출력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출력 수단은,
    매 프레임마다 그리고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세그먼트 활성화 전압 및 세그먼트 비활성화 전압 그리고 상기 반전 세그먼트 활성화 전압 및 반전 세그먼트 비활성화 전압을 번갈아 선택하고, 상기 호스트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전압들 가운데 하나를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는 Q(Q는 양의 정수) 개의 커먼 출력 신호들이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는 주기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 개의 픽셀들이 행과 열로 배열된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은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행들과 각각 대응하고,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은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들과 각각 대응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8. 매 프레임마다 그리고 한 프레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반전되는 반전 신호, 커먼 출력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커먼 제어 신호들 그리고 호스트로부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응답하여 세그먼트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제어기와;
    일군의 커먼 전압들과 타군의 세그먼트 전압들을 발생하는 전압 발생 수단과;
    상기 일군의 커먼 전압들은 상기 커먼 출력 신호의 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반전 및 비반전 커먼 활성화 전압들, 상기 커먼 출력 신호의 비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반전 및 비반전 커먼 비활성화 전압들을 포함하고;
    상기 타군의 세그먼트 전압들은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의 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반전 및 비반전 세그먼트 활성화 전압들,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의 비활성화 레벨에 대응하는 반전 및 비반전 세그먼트 비활성화 전압들을 포함하고;
    상기 반전 및 비반전 커먼 활성화 전압들, 상기 반전 및 비반전 커먼 비활성화 전압들, 상기 반전 및 비반전 세그먼트 활성화 전압들 그리고 상기 반전 및 비반전 세그먼트 비활성화 전압들 각각은 서로 반전된 위상을 가지며;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상기 커먼 제어 신호와 상기 반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일군의 커먼 전압들 가운데 하나를 상기 커먼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커먼 출력 수단; 그리고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상기 세그먼트 제어 신호와 상기 반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타군의 세그먼트 전압들 가운데 하나를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세그먼트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먼 출력 수단은,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반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일군의 커먼 전압들 가운데 상기 반전 전압들 또는 비반전 전압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반전 선택 수단; 그리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커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반전 선택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들 가운데 활성 전압 또는 비활성 전압을 선택적으로 상기 커먼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선택 수단은,
    상기 비반전 커먼 활성 전압과 제 1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반전 커먼 비활성 전압과 제 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비반전 커먼 비활성 전압과 상기 제 1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3 스위칭 수단; 그리고
    상기 반전 커먼 활성 전압과 상기 제 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4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3 스위칭 수단들은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반전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 2 및 제 4 스위칭 수단들은 상기 반전 신호의 반전된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선택 수단은,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 사이에 각각 연결된 비반전 커먼 전압 선택 수단들; 그리고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커먼들과 대응하는 커먼 출력 신호들 사이에 각각 연결된 반전 커먼 전압 선택 수단들을 포함하되;
    상기 비반전 커먼 전압 선택 수단들은 상기 커먼 제어 신호의 반전된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반전 커먼 전압 선택 수단들은 상기 커먼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출력 수단은,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공되는 반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타군의 세그먼트 전압들 가운데 상기 반전 전압들 또는 비반전 전압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반전 선택 수단; 그리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세그먼트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반전 선택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들 가운데 활성 전압 또는 비활성 전압을 선택적으로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선택 수단은,
    상기 비반전 세그먼트 활성 전압과 제 3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비반전 세그먼트 비활성 전압과 제 4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반전 커먼 비활성 전압과 상기 제 3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3 스위칭 수단; 그리고
    상기 반전 커먼 활성 전압과 상기 제 4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4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 수단들은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반전 신호의 반전된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스위칭 수단들은 상기 반전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선택 수단은,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 사이에 각각 연결된 비반전 세그먼트 전압 선택 수단들; 그리고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 대응하는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 사이에 각각 연결된 반전 세그먼트 전압 선택 수단들을 포함하되;
    상기 비반전 세그먼트 출력 전압 선택 스위칭 수단들은 상기 세그먼트 제어 신호의 반전된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반전 세그먼트 전압 선택 스위칭 수단들은 상기 세그먼트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발생 수단은 전원 전압과 접지 전압 사이에 직렬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분압 저항들로 구성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는 Q(Q는 양의 정수) 개의 커먼 출력 신호들이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는 주기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 개의 픽셀들이 행과 열로 배열된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먼 출력 신호들은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행들과 각각 대응하고,
    상기 세그먼트 출력 신호들은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들과 각각 대응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KR1020000012769A 2000-03-14 2000-03-14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KR100336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769A KR100336039B1 (ko) 2000-03-14 2000-03-14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769A KR100336039B1 (ko) 2000-03-14 2000-03-14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259A KR20010091259A (ko) 2001-10-23
KR100336039B1 true KR100336039B1 (ko) 2002-05-08

Family

ID=1965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769A KR100336039B1 (ko) 2000-03-14 2000-03-14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0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0967B2 (en) 2018-07-25 2021-06-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0409A (ja) * 1991-11-20 1994-04-22 Citizen Watch Co Ltd 表示装置の駆動方式
JPH0850466A (ja) * 1995-04-17 1996-02-20 Seiko Epson Corp 液晶パネルの駆動方法
JPH09274204A (ja) * 1996-04-09 1997-10-21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US5864327A (en) * 1995-04-25 1999-01-26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11142815A (ja) * 1997-11-10 1999-05-28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0409A (ja) * 1991-11-20 1994-04-22 Citizen Watch Co Ltd 表示装置の駆動方式
JPH0850466A (ja) * 1995-04-17 1996-02-20 Seiko Epson Corp 液晶パネルの駆動方法
US5864327A (en) * 1995-04-25 1999-01-26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09274204A (ja) * 1996-04-09 1997-10-21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11142815A (ja) * 1997-11-10 1999-05-28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0967B2 (en) 2018-07-25 2021-06-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259A (ko)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764B1 (ko) 콜레스테릭 액정 디스플레이 및 드라이버
US20080094328A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Driver IC Using the Same
EP0990940A1 (en) Method of driving electro-optical device, circuit for driving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07530999A (ja) 表示ユニット
JP2007226271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装置
KR100726052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디지털 구동 액정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프로젝터
JP2007506135A (ja) 必要メモリを低減された双安定ディスプレイ
JP2009064002A (ja) 液晶表示パネルのデータ線信号の極性を反転制御するデバイスおよびその方法
US7474291B2 (en) Relative brightness adjustment for LCD driver ICs
JP3705436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並びに、液晶駆動回路および液晶駆動方法
KR100336039B1 (ko)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KR100949499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그의 구동회로
JP4470096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並びに、液晶駆動回路および液晶駆動方法
JPH06149180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3482646B2 (ja) 液晶素子の駆動方法、液晶素子の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
KR100864972B1 (ko) 액정표시장치의 리셋구동장치와 이를 이용한 리셋방법
JP2011248302A (ja) メモリ性液晶装置
KR101151286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JP3020228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70017995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06350117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並びに、液晶駆動回路および液晶駆動方法
KR100304912B1 (ko) 액정표시소자의구조및구동방법
JP3070605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H04276794A (ja) 液晶表示装置
KR100598332B1 (ko) 에스티엔 엘시디 패널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