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872A -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 - Google Patents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872A
KR20200011872A KR1020190082813A KR20190082813A KR20200011872A KR 20200011872 A KR20200011872 A KR 20200011872A KR 1020190082813 A KR1020190082813 A KR 1020190082813A KR 20190082813 A KR20190082813 A KR 20190082813A KR 20200011872 A KR20200011872 A KR 20200011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re pin
piece
undercu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리 소리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크라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크라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크라쯔
Publication of KR20200011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22D17/24Accessories for locating and holding core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5Mounting of moulds or mould support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ans for collapsing or disassembling
    • B29C33/485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ans for collapsing or disassembling cores or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03Discharging moulded articles from the mould
    • B29C37/0014Discharging moulded articles from the mould by flexibly or permanently deforming undercut portion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07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by flexible movement of undercut portion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45/332Mountings or guides therefor; Driv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관형의 돌출부(P1)의 내주면을 성형하는 코어 핀(11)과, 관형의 돌출부(P1)의 외주면을 성형하는 슬라이드 코어(31)와, 코어 핀(11)에 연결되어 코어 핀(11)을 관형의 돌출부(P1)의 축심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슬라이딩 피스(41)와, 슬라이딩 피스(41)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슬라이딩 피스(41)를 진퇴시키는 유지 피스(51)와, 유지 피스(51)를 진퇴 가능하게 수용하는 고정측 형판(104)에 고정된 홀더(61)와, 코어 핀(11)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이동량 규제 수단을 가지고 있다. 유지 피스(51)는, 고정형(100)과 가동형(200)을 폐쇄한 상태에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고, 유지 피스(51)의 후퇴에 연동하여 코어 핀(11)이 후퇴하고, 코어 핀(11)의 이동량이 규제된 거리에 도달하면, 코어 핀(11)과 슬라이드 코어(31)가 일체로 되어 후퇴하여, 언더컷부의 형 빼기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AND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고정형(固定型)과 가동형(可動型)에 의해 성형품을 성형하는 성형용 금형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언더컷부(undercut portion)를 성형 가능한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언더컷이 있는 성형품을 고정형과 가동형에 의해 성형하는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는, 언더컷부의 형태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언더컷 처리 기구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통형부의 선단 외주(外周)에 환형(環形) 돌기부를 구비하는 성형품에 있어서는, 2분할한 슬라이드 코어를 사용한 언더컷 처리 기구, 무리 빼기(forced pulling)라고 하는 방법을 이용한 언더컷 처리 기구가 있다(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17386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17―36768호 공보 참조).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17386호 공보에 기재된 환형 돌기부를 가지는 원통체의 성형 금형에서는, 가이드 핀을 통하여, 니플(nipple)의 형상을 성형하는 분할된 제2 슬라이드 코어를 니플에 대하여 수직 외주 방향으로만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니플 선단의 불지(bulge)와 스템(stem)의 단차(段差)를 크게 설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무리 빼기를 사용한 언더컷 처리 기구는, 언더컷부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형 빼기(demolding)하는 방법이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7―36768호 공보에는, 파이프 코어 핀을 제1 및 제2의 2개의 파이프 코어 핀으로 구성하고, 제2 파이프 코어 핀을 무리 빼내기함으로써, 파이프의 외주면(外周面)과 돌출하도록 형성된 호스 이탈방지용 볼록부와,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교정용 볼록부를 구비하는 파이프를 성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17386호 공보에 기재된 성형 금형과 같이 니플의 외주면의 형성으로 분할한 피스를 사용하면, 2개의 피스의 맞댐면의 부분에 분할선이 들어가, 호스 등을 접속한 경우에 누수의 원인으로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현념(懸念)으로부터 현실적으로는, 니플과 같은 통형부의 선단 외주에 환형 돌기부를 구비하는 성형품은, 무리 빼기에 의해 성형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까지 개시되어 있는 통형부의 선단 외주에 환형 돌기부를 구비하는 성형품의 성형에 사용되는 무리 빼기를 사용한 언더컷 처리 기구는, 구성 부품의 수가 많고, 또한 금형에 대한 내장도 특히 고려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언더컷 처리 기구는 성형용 금형에 컴팩트하게 내장하는 것이 어렵고, 언더컷 처리 기구를 내장한 성형용 금형도 대형화하여 버린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17386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17―36768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 부품이 적고 컴팩트하며, 금형에 대한 내장도 용이한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언더컷부를 가지는 성형품을 성형하는 고정형 및 가동형을 구비하는 성형용 금형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언더컷 처리 기구로서,
상기 언더컷부를 가지는 성형품이, 성형품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관형의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언더컷부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부이며,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內周面)을 성형하는 코어 핀과,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을 성형하는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코어 핀에 연결하여 상기 코어 핀을 상기 돌출부의 축심(軸心; axis) 방향으로 진퇴(進退)시키는 슬라이딩 피스(sliding piece)와, 상기 슬라이딩 피스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상기 슬라이딩 피스를 진퇴시키는 유지 피스(retaining piece)와, 상기 유지 피스를 진퇴 가능하게 수용하는, 상기 고정형 또는 상기 가동형에 고정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된 홀더와, 상기 코어 핀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이동량 규제 수단을 가지고,
상기 홀더는, 상기 코어 핀을 상기 돌출부의 축심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딩 피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피스 가이드를 가지고,
상기 유지 피스는, 상기 고정형과 상기 가동형을 폐쇄한 상태에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유지 피스의 후퇴에 연동(連動)하여 상기 코어 핀이 후퇴하고, 코어 핀의 이동량이 상기 이동량 규제 수단에 의해 규제된 거리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량 규제 수단을 통하여 상기 코어 핀과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걸려 상기 코어 핀과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일체로 되어 후퇴하여, 언더컷부의 형 빼기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고정형 또는 가동형은, 상기 성형용 금형의 형 개방·형 폐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체(可動體)를 가지고, 상기 가동체는, 상기 고정형과 상기 가동형을 폐쇄한 상태에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유지 피스는, 기단부(基端部)가 상기 가동체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가, 고정측 형판(型板)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측 장착판, 또는 가동측(可動側) 형판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측 받이판(receiving plate)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는, 상기 코어 핀과, 상기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슬라이딩 피스와, 상기 유지 피스와, 상기 홀더와, 상기 이동량 규제 수단이, 1개의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고정형과, 가동형과, 상기 언더컷 처리 기구를 구비하는 성형용 금형이다.
특허청구범위 및/또는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개시된 2개 이상의 구성의 어떠한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특히, 청구의 범위의 각 청구항의 2개 이상의 어떠한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시형태 및 도면은 단순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품 번호는, 동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언더컷 처리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절단선 IIA―IIA로부터 본, 형이 폐쇄되고, 고정측 장착판과 고정측 형판이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2b는 도 2a의 II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a의 절단선 III―III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V―IV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의 절단선 IIA―IIA로부터 본 코어 핀(11)을 후퇴시켰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V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a의 절단선 VI―VI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절단선 VII―VII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1의 절단선 IIA―IIA로부터 본 슬라이드 코어를 후퇴시켰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VIII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3의 절단선 IV―IV로부터 본 슬라이드 코어를 후퇴시켰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언더컷 처리 기구(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절단선 IIA―IIA로부터 본, 형이 폐쇄되고, 고정측 장착판(102)과 고정측 형판(104)이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2b는, 그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a의 절단선 III―III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V―IV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의 절단선 IIA―IIA로부터 본 코어 핀(11)을 후퇴시켰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5b는, 그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a의 절단선 VI―VI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절단선 VII―VII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1의 절단선 IIA―IIA로부터 본 슬라이드 코어(31)를 후퇴시켰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8b는, 그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3의 절단선 IV―IV로부터 본 슬라이드 코어(31)를 후퇴시켰을 때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향은, 도 2a의 고정형(100) 측을 위, 가동형(200) 측을 아래로 한다. 또한, 도 2a의 성형품(P) 측을 좌측, 반대측을 우측으로 하고, 또한 도 2a의 좌우 방향을 수평 방향, 그 직교 방향을 연직(沿直)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성형품(P)의 돌출된 관형의 돌출부(P1)의 축심은, 수평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언더컷부(P1), (P2)를 가지는 니플 부품과 같은 성형품(P)을 성형하는 고정형(100) 및 가동형(200)을 구비하는 성형용 금형(1)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언더컷 처리 기구이다. 성형품(P)은, 도 8a, 도 8b에 나타낸 단면(斷面) 형상의 것이며, 성형품 본체(P3)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돌출된 관형의 돌출부(P1)를 가지고, 관형의 돌출부(P1)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환형의 돌기부(P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형의 돌출부(P1)는, 성형품 본체(P3)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돌기부(P2)는, 연직 방향으로 팽창하고, 이들이 언더컷부로 된다. 성형품(P)의 재질은,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철이나 구리 등의 금속이라도 된다.
성형용 금형(1)은, 성형품(P)의 위쪽에 위치하는 고정형(100)과, 성형품(P)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성형품(P)의 형 빼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형(200)과, 언더컷부를 성형하는 언더컷 처리 기구(10)를 가지고 있다.
고정형(100)은, 고정측 장착판(102)과, 성형품(P)의 외주면을 성형하는 고정측 형판(104)을 가지고, 고정측 형판(104)는, 구동 수단(도시를 하지 않음)을 통하여 고정측 장착판(102)에 대하여 착탈(着脫)(진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은, 예를 들면, 고정측 장착판(102)과 고정측 형판(104)에 연결되어 고정측 장착판(102)에 대하여 고정측 형판(104)을 떼어내도록 가압하는 스프링과, 고정측 장착판(102)과 고정측 형판(104)과의 이격 거리를 규제하는 스톱 볼트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측 형판(104)은, 성형품 본체(P3)의 외면을 성형하는 캐비티 면(cavity surface)(106)을 가지고, 또한 캐비티 면(106)의 가까이에, 고정측 형판(104)을 상하로 관통하는 홀더 수용부(108)를 구비한다. 홀더 수용부(108)에, 후술하는 홀더(61)가 장착된다.
가동형(200)은, 가동측 형판(204)과, 가동측 형판(204)에 고정된 가동측 상자(202)를 구비한다. 가동측 상자(202)의 외주에는, 성형품 본체(P3)의 내면을 성형하는 코어면(20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성형용 금형(1)은, 고정형(100)과 가동형(200)을 폐쇄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코어(31)를 수용하는 슬라이드 코어 수용부(110)를 가진다(도 4 참조). 슬라이드 코어 수용부(110)는, 고정측 형판(104)의 바닥면(105)과 가동측 형판(204)의 상면(205)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코어 수용부(110)는, 슬라이드 코어 기대(slide core base)(32)를 수용하는 기대 수용부(110a)와, 슬라이드 코어(31)의 성형부(37)를 수용하는 성형부 수용부(110b)를 구비한다(도 8a 참조). 기대 수용부(110a)와 성형부 수용부(110b)는 연통되어 있고, 기대 수용부(110a)와 성형부 수용부(110b)와의 경계는 단차(111)로 되어 있다.
기대 수용부(110a)는, 홀더 수용부(108)와도 연통되고(도 8a 참조), 슬라이드 코어 기대(32) 외에 홀더(61)의 하부, 슬라이딩 피스(41), 유지 피스(51), 또한 코터(cotter)(81)의 일부를 수용한다.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관형의 돌출부(P1)의 내주면을 성형하는 코어 핀(11)과, 코어 핀(11)과 슬라이딩 피스(41)를 연결하는 인장 피스(pulling piece)(21)와, 관형의 돌출부(P1)의 외주면을 성형하는 성형부(37)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코어(31)와, 코어 핀(11)을 관형의 돌출부(P1)의 축심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슬라이딩 피스(41)와, 슬라이딩 피스(41)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슬라이딩 피스(41)를 진퇴시키는 유지 피스(51)와, 유지 피스(51)를 진퇴 가능하게 수용하는 홀더(61)와, 코어 핀(11)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이동량 규제 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또한 슬라이드 코어(31)의 위치 결정을 행하여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코터(81)와, 코터(81)의 위치 결정을 행하여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록킹 블록(91)을 구비하고, 이들이 컴팩트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언더컷 처리 기구(10) 중 코어 핀(11), 인장 피스(21), 슬라이드 코어(31), 슬라이딩 피스(41), 유지 피스(51), 홀더(61) 및 이동량 규제 수단은, 1개의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성형용 금형(1)에 대한 내장이 용이하며, 언더컷 처리 기구(10)가 내장된 성형용 금형(1)도 컴팩트하다.
코어 핀(11)은, 관형의 돌출부(P1)의 내주면을 성형하는 원기둥형의 부재이며, 관형의 돌출부(P1)의 돌기부(P2)를 제외하고, 관형의 돌출부(P1)의 내주면을 성형하는 제1 성형부(12)와, 돌기부(P2)의 내주면을 성형하는 길이 L1의 제2 성형부(13)를 구비한다. 제1 성형부(12)는, 중앙부로부터 선단(좌측)에 위치하고, 제2 성형부(13)는, 제1 성형부(12)의 후단(後端)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코어 핀(11)은, 중앙으로부터 말단(우측)에 위치하는 본체부(14)와 비교하여, 제2 성형부(13)는 외경(外徑)이 작고, 또한 제1 성형부(12)의 외경은 제2 성형부(13)의 외경보다 작다. 그러므로, 코어 핀(11)에는 중앙부에 2개의 단차(15), (16)가 형성된다. 코어 핀(11)의 말단에는, 인장 피스(21)와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17)가 설치되어 있다.
인장 피스(21)는, 코어 핀(11)과 슬라이딩 피스(41)를 연결하는 가늘고 긴 블록형 부재이다. 인장 피스(21)에는, 코어 핀(11)에 형성된 플랜지(17) 및 슬라이딩 피스(41)의 선단부에 형성된 플랜지(47)가 각각 끼워넣어지는 더브테일 홈(dovetail groove)(23), (25)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7)를 더브테일 홈(23)에 끼워넣음으로써 코어 핀(11)은 인장 피스(21)에 연결되고, 플랜지(47)를 더브테일 홈(25)에 끼워넣음으로써 슬라이딩 피스(41)는 인장 피스(21)와 연결된다. 인장 피스(21)는, 폭(도 3에서의 상하 방향의 길이)이 홀더(61)의 폭(도 3에서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크고, 슬라이드 코어(31)에 설치된 수용부(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다.
슬라이드 코어(31)는, 기대(32)와, 기대(32)의 전면측(도 2a의 좌측)에 설치된 성형부(37)로 구성되어 있다. 기대(32)는, 직사각형 블록형의 부재이며,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후단(도 2a의 우측)이 경사지게 잘라내진 경사면(33)으로 되어 있다(도 4 참조). 기대(32)의 중앙부에, 인장 피스(21)와 슬라이딩 피스(41)를 수용하는 요부로 이루어지는 수용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35)는, 인장 피스(2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넣어지는 제1 수용부(35a)와, 슬라이딩 피스(41)의 하부가 들어가는 제2 수용부(35b)로 이루어진다(도 3 참조). 제2 수용부(35b)는, 제1 수용부(35a)의 후단측(우측)에 위치하고 제1 수용부(35a)와 연통된다. 제2 수용부(35b)의 폭(도 3의 상하 방향의 길이)은, 제1 수용부(35a)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다.
성형부(37)는, 관형의 돌출부(P1)의 외주면, 및 성형체 본체(P3)의 외주면의 일부를 성형한다(도 2a 참조). 성형부(37)의 중심부에는, 관형의 돌출부(P1)의 외형에 대응한 제1 성형부(38a), 환형의 돌출부(P1)에 삽통(揷通)된 코어 핀(11)의 본체부(14)의 외형에 대응한 제2 성형부(38b)가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제1 성형부(38a)와 제2 성형부(38b)는 연통되어 있고, 성형부(37)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되어 있다.
슬라이딩 피스(41)는, 유지 피스(51)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고, 유지 피스(51)의 진퇴에 연동하여, 인장 피스(21)를 통하여 연결하는 코어 핀(11)을 관형의 돌출부(P1)의 축심 방향으로 진퇴시킨다. 슬라이딩 피스(41)는, 직사각형 블록형의 부재이며,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후단(도 5a의 우측)이 경사지게 잘라내진 경사면(42)으로 되어 있고, 저변(底邊)이 넓은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가진다(도 5a, 도 8a 참조).
슬라이딩 피스(41)의 경사면(42)에는, 유지 피스(51)의 경사면(52)에 형성된 볼록조(engagement projection)(5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더브테일 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피스(41)와 유지 피스(51)는, 볼록조(53)가 더브테일 홈(43)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진다. 또한, 슬라이딩 피스(41)의 정면(44)(도 3의 상측의 면), 배면(45)(도 3의 하측의 면)에 볼록조(46)를 구비한다. 볼록조(46)는, 홀더(61)의 정면 측벽 면(62)의 내측 및 배면 측벽 면(62)의 내측에 형성된 오목홈(68)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피스 가이드에 끼워넣어진다. 또한, 슬라이딩 피스(41)의 전면(前面)(도 3의 좌측의 면)에, 인장 피스(21)와 연결하기 위한 상기 플랜지(47)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 피스(51)는, 홀더(61)에 수용되고, 슬라이딩 피스(41)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고, 슬라이딩 피스(41)를 진퇴시킨다. 유지 피스(51)는, 직사각형 블록형의 부재이며,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전면 하부(도 5a의 좌측 하부)가 경사지게 잘라 떨어뜨려진 경사면(52)으로 되어 있고, 상변이 넓은 사다리꼴의 부재이다(도 2a, 도 8a 참조). 유지 피스(51)의 경사면(52)에는, 슬라이딩 피스(41)의 경사면(42)에 형성된 더브테일 홈(4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볼록조(53)가 형성되어 있다(도 5a, 도 8a 참조).
유지 피스(51)의 경사면(52)의 경사 각도는, 언더컷 처리 기구를 장착하는 스페이스나, 고정측 장착판(102)의 스트로크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최적의 각도로 할 수 있다. 슬라이딩 피스(41)와 유지 피스(51)와의 걸어맞춤 수단(engaging means)은, 볼록조(53)와 더브테일 홈(43)을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리니어 가이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요약하면, 슬라이딩 피스(41)와 유지 피스(51)와의 걸어맞춤 수단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수단이면 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슬라이딩 피스(41)의 진퇴 방향과 유지 피스(51)의 진퇴 방향을 직교 배치시켜 언더컷 처리 기구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유지 피스(51)의 정면(54)의 후부(後部) 및 배면(55)의 후부에, 홀더(61)에 설치된 유지 피스 가이드에 끼워넣어지는 볼록조(57)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 피스 가이드는, 홀더(61)의 정면측 측벽(정면 측벽 면)(62)의 내면 및 배면측 측벽(배면 측벽 면)(62)의 내면에 형성된 오목홈(69)으로 이루어진다. 유지 피스(51)는, 볼록조(57)를 홀더(61)에 설치된 유지 피스 가이드(69)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기단부 (58)(도 2a의 상측)가 고정측 장착판(102)에 고정되어 있다. 유지 피스(51)는, 고정형(100)과 가동형(200)을 폐쇄한 상태에서 고정측 장착판(102)의 상하동에 연동하여 홀더(61) 내를 유지 피스 가이드(69)를 따라 진퇴한다.
홀더(61)는, 유지 피스(51)를 진퇴 가능하게 수용하고, 슬라이딩 피스(41)를 언더컷부(P1)의 축심 방향으로 안내한다. 홀더(61)는, 한 쌍의 대칭형으로 되는 단면 ㄷ자형의 부재를 조합시켜 완성되어, 상단면(上端面) 및 하단면(下端面)이 개구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홀더(61)의 전방측 벽면(도 5a의 좌측벽 면)(63)은, 정면측 및 배면측의 벽면(62)(도 1)의 대략 절반의 높이이며, 전방측 벽면(63)의 하부가 인장 피스(21)의 출입구로 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벽면(도 5a의 우측벽 면)(65)도 정면측 및 배면측의 벽면(62)의 대략 절반의 높이이며, 후방측 벽면(65)의 하부가 슬라이딩 피스(41)의 출구로 되어 있다(도 8a 참조).
홀더(61)는, 고정측 형판(104)에 설치된 홀더 수용부(108)에 고정된다. 이 때 홀더(61)의 전방측 벽면(63)의 하단(下端)(64) 및 후방측 벽면(65)의 하단(66)은, 고정측 형판(104)에 설치된 홀더 수용부(108)의 하단과 면일치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홀더(61)의 정면 측벽 면(62)의 내면 및 배면 측벽 면(62)의 내면에는, 슬라이딩 피스 가이드(68) 및 유지 피스 가이드(69)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피스 가이드(68)는, 정면 측벽 면(62)의 내면 및 배면 측벽 면(62)의 내면의 하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오목홈(68)이다(도 5a 참조). 유지 피스 가이드(69)는, 정면 측벽 면(62)의 내면 및 배면 측벽 면(62)의 내면의 우측단에 연직으로 형성된 오목홈(69)이다.
슬라이딩 피스 가이드(68)는, 정면 측벽 면(62)의 내면 및 배면 측벽 면(62)의 내면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딩 피스(41)를 도 2a에 나타낸 성형 위치 내지 도 8a에 나타낸 이형(離型) 위치에 걸쳐 언더컷부(P1)의 형 빼기 방향으로 안내 가능하면 된다.
슬라이딩 피스 가이드(68)는, 오목홈 단면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볼록부나 더브테일 홈, 돌조(突條; engagement projection) 등이라도 되고, 홀더(61)의 정면 측벽 면(62)의 내면 및 배면 측벽 면(62)의 내면에 리니어 가이드 등을 설치한 것이라도 된다. 요컨대, 슬라이딩 피스(41)를 언더컷부(P1)의 형 빼기 방향으로 안내 가능한 구성이면 된다. 슬라이딩 피스 가이드(68)에 안내되는 슬라이딩 피스(41)에 대해서도, 슬라이딩 피스 가이드(68)의 구성에 따라 적절히, 최적의 구성으로 하면 된다. 이에 대하여는, 유지 피스 가이드(69) 및 유지 피스(51)에 대하여도 같다.
홀더(61)의 구성은, 특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각통(角筒)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3개 이상의 홀더 부재(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홀더(61)는, 고정형(100)의 일부로서 구성해도 된다.
이동량 규제 수단은, 코어 핀(11)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수단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장 피스(21) 및 슬라이드 코어(31)에 장착된 스토퍼(71)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71)는, 슬라이드 코어(31)의 제2 수용부(35b)와 제1 수용부(35a)에 의해 형성되는 각부(角部)에 장착되고, 일부가 제1 수용부(35a)의 중앙부 가까이로 돌출되어 있다(도 3 참조). 이로써, 슬라이딩 피스(41)를 통하여 인장 피스(21)가 스토퍼(71)에 접촉함으로써, 코어 핀(11)의 이동량이 규제된다.
코터(81)는, 슬라이드 코어(31)의 위치 결정을 행하여,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코터(81)는, 직사각형 블록형의 부재이며, 전방측 하부(도 4의 좌측 하부)가 경사지게 잘라 떨어뜨려진 경사면(82)으로 되어 있고, 상변이 넓은 사다리꼴의 부재이다(도 7 참조). 코터(81)의 경사면(82)은, 고정형(100)과 가동형(200)이 페쇄되고, 또한 고정측 장착판(102)이 고정측 형판(104)에 접촉된 형 폐쇄 상태에서, 슬라이드 코어(31)의 경사면(33)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코터(81)의 후방측 벽면(83)(도 4의 우측벽 면)은, 하부가 내측(좌측)으로 경사진 경사면(84)으로 되어 있다. 코터(81)는, 하강할 때 경사면(84)을 록킹 블록(91)의 경사면(92)에 슬라이딩시키면서 하강함으로써 자신의 위치 결정 및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코터(81)는, 홀더(61)를 협지(sandwich)하도록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도 1 참조), 기단부(85)가 (도 2a의 상측)가 고정측 장착판(102)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코터(81)는, 유지 피스(51)와 함께, 고정형(100)과 가동형(200)을 폐쇄한 상태에서 고정측 장착판(102)의 상하동에 연동하여 움직일 수가 있다. 코터(81)를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성형용 금형(1)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록킹 블록(91)은, 고정형(100)과 가동형(200)이 닫히고, 또한 고정측 장착판(102)이 고정측 형판(104)에 접촉된 형 폐쇄 상태에서, 코터(81)의 위치 결정 및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블록형의 부재이며, 가동측 형판(204)에 고정되어 있다(도 4 참조). 록킹 블록(91)은, 전방측 벽면(도 4의 좌측 벽면)의 중앙으로부터 상단(上端)에 걸쳐 상부가 우측으로 경사진 경사면(92)을 가지고 있다.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이하의 요령으로 조립된다. 코어 핀(11)이 슬라이드 코어(31)의 성형부(37)의 제1 성형부(38a) 및 제2 성형부(38b)에 끼워넣어지고, 코어 핀(11)에 형성된 플랜지(17)가 인장 피스(21)에 형성된 더브테일 홈(23)에 끼워넣어진다. 그 상태에서 인장 피스(21)는, 슬라이드 코어(31)의 제1 수용부(35a)에 끼워넣어진다.
슬라이딩 피스(41)와 유지 피스(51)는, 유지 피스(51)의 경사면(52)에 형성된 볼록조(53)를 슬라이딩 피스(41)의 경사면(42)에 형성된 더브테일 홈(43)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피스(41)에 형성된 볼록조(46)가 홀더(61)에 형성된 오목홈(68)에 끼워넣어진다. 또한, 유지 피스(51)에 형성된 볼록조(57)가 홀더(61)에 형성된 오목홈(69)에 끼워넣어진다.
또한, 슬라이딩 피스(41)의 선단부에 형성된 플랜지(47)가, 인장 피스(21)에 형성된 더브테일 홈(25)에 끼워넣어진다. 이로써, 인장 피스(21)를 통하여 코어 핀(11)과 슬라이딩 피스(41)가 직선형으로 연결된다.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고정형(100)과 가동형(200)에 설치된 슬라이드 코어 수용부(110)에 슬라이드 코어(31)가 끼워넣어지도록 성형용 금형(1)에 장착된다.
다음에, 언더컷 처리 기구(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성형용 금형(1)이 사출 성형 금형이다.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2단 빼기(two-step pulling)라고 하는 2단계의 동작으로 언더컷을 뽑는다(pulls out).
사출시에는 성형용 금형(1)은, 형이 폐쇄되고, 고정측 장착판(102)과 고정측 형판(104)이 접한 도 2a∼도 4의 상태에 있다. 형이 폐쇄된 상태란, 고정형(100)과 가동형(200)이 접하고, 파팅면(partition surface)이 폐쇄된 상태를 말한다.
도 2a∼도 4의 상태에 있어서,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유지 피스(51)가 가장 하강한 위치에 있다. 이로써, 유지 피스(51)에 걸어맞추어지는 슬라이딩 피스(41)는, 좌측으로 압출(押出)되고, 슬라이딩 피스(41)에 연결하는 인장 피스(21)는, 전면(좌측면)(22)을 슬라이드 코어(31)에 설치된 제1 수용부(35a)의 벽면에 맞닿게 한다. 코어 핀(11)은, 슬라이드 코어(31)의 성형부(37)에 가장 깊게 삽입된 상태이다. 이로써, 코어 핀(11)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는 동시에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또한, 도 2a∼도 4의 상태에서는, 코터(81)도 가장 하강한 위치에 있다. 가장 하강한 코터(81)는, 경사면(82)을 슬라이드 코어(31)의 기대(32)의 경사면(33)에 접촉시킴으로써, 슬라이드 코어(31)를 가장 전방측(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동시에 코터(81)는, 경사면(84)을 록킹 블록(91)의 경사면(92)과 접촉시킨다. 슬라이드 코어(31)는, 코터(81)에 의해 좌측으로 압출되고, 전면(34)(좌측)이 기대 수용부(110a)와 성형부 수용부(110b)와의 단차부(段差部)(111)에 접한다. 이로써, 슬라이드 코어(31)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는 동시에 이동이 방지된다.
도 2a∼도 4의 상태에 있어서 용융 수지가 사출되고, 보압(保壓), 냉각을 거쳐 성형품(P)의 인출로 된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품(P)에서는, 돌출부(P1) 및 돌기부(P2)가 언더컷으로 되어 있으므로, 성형품(P)의 인출에 앞서, 언더컷을 뽑을 필요가 있다. 언더컷부의 형 빼기는 이하의 요령으로 행해진다.
형이 폐쇄된 상태에서,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고정측 장착판(102)에 대하여 고정측 형판(104) 및 가동형(200)이 하강한다. 코터(81)는, 고정측 장착판(102)에 고정되고, 슬라이드 코어(31)는 고정측 형판(104)과 가동측 형판(204)에 끼워져 있으므로, 고정측 장착판(102)에 대하여 고정측 형판(104) 및 가동형(200)이 하강함으로써, 코터(81)의 경사면(82)과 슬라이드 코어(31)의 기대(32)의 경사면(33)과의 접촉이 해제된다(도 7 참조).
동시에, 유지 피스(51)는 고정측 장착판(102)에 고정되고, 홀더(61)는 고정측 형판(10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측 장착판(102)에 대하여 고정측 형판(104) 및 가동형(200)이 하강함으로써, 유지 피스(51)가 홀더(6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한다. 이에 따라 유지 피스(51)에 걸어맞추어지는 슬라이딩 피스(41)가, 홀더(61)에 설치된 슬라이딩 피스 가이드(오목홈)(68)를 따라 후퇴(우측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딩 피스 가이드(68)는, 인장 피스(21)를 통하여 슬라이딩 피스(41)에 연결하는 코어 핀(11)을, 관형의 돌출부(P1)의 축선(軸線)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유지 피스(51)가 상대적으로 상승함으로써 코어 핀(11)은 관형의 돌출부(P1)의 축선 방향으로 우측 이동(후퇴)한다.
코어 핀(11)이 L2만큼 후퇴하면(도 5b 참조), 인장 피스(21)의 후면(26)이 스토퍼(71)에 접촉한다(도 6 참조). L2는, 돌기부(P2)의 내주면을 성형하는 길이 L1(도 2b)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코어 핀(11)은, 제2 성형부(13)의 선단인 단차부(15)가 돌기부(P2)의 단부(端部T)보다 후퇴하고 있고, 돌기부(P2)와 코어 핀(11)과의 사이에는 공간부(V)로 되어 있다(도 5b 참조). 인장 피스(21)이 스토퍼(71)에 접촉될 때까지는, 슬라이드 코어(31)는 후퇴하지 않고, 코어 핀(11)만이 후퇴한다.
또한, 고정측 형판(104) 및 가동형(200)이 하강하면, 도 3의 인장 피스(21)가 스토퍼(71)에 걸리게 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드 코어(31)는, 슬라이드 코어 수용부(110)의 벽면에 슬라이딩하면서, 인장 피스(21)와 일체로 되어 후퇴(우측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드 코어(31)의 후퇴에 따라 돌기부(P2) 상을 슬라이드 코어(31)의 제1 성형부(38a)가 이동한다. 제1 성형부(38a)의 내경(內徑)은, 돌기부(P2)의 외경보다 작지만, 돌기부(P2)와 코어 핀(11)과의 사이에는 공간부(V)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기부(P2)가 코어 핀(11) 측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제1 성형부(38a)는 돌기부(P2) 상을 통과할 수 있다. 돌기부(P2) 상을 슬라이드 코어(31)의 제1 성형부(38a)가 이동할 때는, 돌기부(P2)의 내측에 코어 핀(11)의 제1 성형부(12)가 있으므로, 돌기부(P2)의 코어 핀(11) 측으로의 변형이 규제되어, 돌기부(P2)의 파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측 형판(104) 및 가동형(200)이 가장 하강했을 때, 슬라이드 코어(31)가 관형의 돌출부(P1)로부터 완전히 빠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들의 동작에 의하여, 고정형(100)과 가동형(200)이 폐쇄된 상태에서 언더컷을 형 빼기할 수 있다.
언더컷의 형 빼기가 완료되면, 고정형(100)과 가동형(200)이 개방되어 성형품(P)의 인출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언더컷 처리 기구는, 구성 부품이 적고 구성도 간편하다. 또한, 언더컷 처리 기구는, 컴팩트하게 정리 유닛화되어있으므로, 성형용 금형에 대한 내장도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언더컷 처리 기구는,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요지를 변경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에서는, 홀더(61)와 고정형(100)을 별개로 하고, 고정형(100)에 홀더(61)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홀더(61)를 고정형(100)에 직접 설치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피스(41)의 진퇴 방향과 유지 피스(51)의 진퇴 방향이 직교하도록 슬라이딩 피스(41)와 유지 피스(51)가 배치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딩 피스(41)의 진퇴 방향과 유지 피스(51)의 진퇴 방향이 교차하도록 슬라이딩 피스(41)와 유지 피스(51)가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측 장착판(102)과 고정측 형판(104)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고정측 장착판(102)에 유지 피스(51)를 장착함으로써, 고정형(100)과 가동형(200)을 폐쇄한 상태에서 유지 피스(51)를 통하여 코어 핀(11) 및 슬라이드 코어(31)를 진퇴시키고 있다. 단, 유지 피스(51)의 장착처는, 고정측 장착판(102)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형(100)과 가동형(200)을 폐쇄한 상태에서 유지 피스(51)를 통하여 코어 핀(11) 및 슬라이드 코어(31)를 진퇴시킬 수 있으면 되고, 다른 부재라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홀더(61)를 고정형(100)에 장착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홀더(61)를 가동형(200)에 장착하거나, 또는 홀더(61)를 가동형(200)에 직접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가동측 받이판(도시하지 않음)을 가동측 형판(204)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구성하고, 홀더(61)를 가동측 형판(204)에, 유지 피스(51)를 가동측 받이판(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고정형(100)과 가동형(200)은, 역이라도 된다. 즉, 상기 성형용 금형(1)에 있어서, 고정형(100)이 상하동하고, 가동형(200)이 이동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은, 수평, 수직 또는 그 외의 방향으로 개폐하는 금형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의 홀더는, 각통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이라도 된다. 이 때 유지 피스나 슬라이딩 피스는, 홀더의 형상에 맞추어 적절히 형상을 결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각각의 구성 부재의 각 및 사이드 에지에 R 모따기(chamfering)나 C 모따기 등이 행해져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 사용되는 각각의 구성 부재의 재질은, 특정한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 사용되는 부재의 재질과 마찬가지의 것을 적절히 이용하면 된다. 단, 각각의 구성 부재에서의 슬라이딩 면은, 슬라이딩성이 양호한 재질 또는 슬라이딩성이 양호한 표면 처리가 행해진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슬라이딩 면은, 면접촉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선(線) 접촉이나 점접촉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으로 성형 가능한 성형품(언더컷부)으로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성형품 본체(P3)에 2개 이상의 돌출부(P1)가 줄지어 설치된 것이나, 1개의 돌출부(P1)에 복수의 돌기부(P2)가 형성된 니플 등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로 처리 가능한 언더컷부는, 성형품의 형 빼기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성형품의 형 빼기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교차하여 돌출되어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이면, 본 명세서를 볼 때, 자명한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상정(想定)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경 및 수정은, 청구의 범위로부터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 내의 것으로 해석된다.
1: 성형용 금형
10: 언더컷 처리 기구
11: 코어 핀
12: 제1 성형부
13: 제2 성형부
21: 인장 피스
31: 슬라이드 코어
32: 기대
35: 수용부
37: 성형부
41: 슬라이딩 피스
42: 경사면
43: 더브테일 홈
46: 볼록조
51: 유지 피스
52: 경사면
53: 볼록조
57: 볼록조
61: 홀더
68: 슬라이딩 피스 가이드(오목홈)
69: 유지 피스 가이드(오목홈)
71: 스토퍼
81: 코터
91: 록킹 블록
100: 고정형
102: 고정측 장착판
104: 고정측 형판
108: 홀더 수용부
110: 슬라이드 코어 수용부
200: 가동형
202: 가동측 상자
204: 가동측 형판
P: 성형품
P1: 돌출부
P2: 돌기부
P3: 성형품 본체
L1: 코어 핀 제2 성형 부장이야

Claims (5)

  1. 언더컷부(undercut portion)를 구비하는 성형품을 성형하는 고정형(固定型) 및 가동형(可動型)을 구비하는 성형용 금형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언더컷 처리 기구(undercut processing mechanism)로서,
    상기 언더컷부를 가지는 성형품이, 성형품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관형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언더컷부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된 돌기부이며,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內周面)을 성형하는 코어 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을 성형하는 슬라이드 코어;
    상기 코어 핀에 연결하여 상기 코어 핀을 상기 돌출부의 축심 방향(axial direction)으로 진퇴(進退)시키는 슬라이딩 피스(sliding piece);
    상기 슬라이딩 피스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고, 상기 슬라이딩 피스를 진퇴시키는 유지 피스(holding piece);
    상기 유지 피스를 진퇴 가능하게 수용하는, 상기 고정형 또는 상기 가동형에 고정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된 홀더; 및
    상기 코어 핀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이동량 규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코어 핀을 상기 돌출부의 축심(axis)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딩 피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피스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피스는, 상기 고정형과 상기 가동형을 폐쇄한 상태에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유지 피스의 후퇴에 연동(連動)하여 상기 코어 핀이 후퇴하고, 상기 코어 핀의 이동량이 상기 이동량 규제 수단에 의해 규제된 거리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량 규제 수단을 통하여 상기 코어 핀과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걸려 상기 코어 핀과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일체로 되어 후퇴하여, 상기 언더컷부의 형 빼기가 가능해지는,
    언더컷 처리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고정형 또는 가동형은, 상기 성형용 금형의 형 개방·형 폐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체(可動體)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체는, 상기 고정형과 상기 가동형을 폐쇄한 상태에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유지 피스는, 기단부(基端部)가 상기 가동체에 고정되어 있는, 언더컷 처리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가, 고정측 형판(型板)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측 장착판, 또는 가동측(可動側) 형판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측 받이판(receiving plate)인, 언더컷 처리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핀과, 상기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슬라이딩 피스와, 상기 유지 피스와, 상기 홀더와, 상기 이동량 규제 수단이, 1개의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언더컷 처리 기구.
  5. 고정형;
    가동형; 및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언더컷 처리 기구;
    를 포함하는 성형용 금형.
KR1020190082813A 2018-07-25 2019-07-09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 KR202000118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39196A JP6892090B2 (ja) 2018-07-25 2018-07-25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及び成形用金型
JPJP-P-2018-139196 2018-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872A true KR20200011872A (ko) 2020-02-04

Family

ID=6743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813A KR20200011872A (ko) 2018-07-25 2019-07-09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031031A1 (ko)
EP (1) EP3599071A1 (ko)
JP (1) JP6892090B2 (ko)
KR (1) KR20200011872A (ko)
CN (1) CN1107745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921B1 (ko) 2020-02-19 2020-08-31 주식회사 태성몰드 고정측 유압 슬라이드 작동기를 가진 사출금형
KR102245871B1 (ko) 2020-08-24 2021-04-28 이기우 분리효율이 향상된 고정측 유압 슬라이드 작동기를 가진 사출금형
KR102245873B1 (ko) 2020-08-24 2021-04-28 이기우 압착효율이 향상된 고정측 유압 슬라이드 작동기를 가진 사출금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9027A1 (ja) 2017-03-27 2018-10-04 株式会社テクノクラーツ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成形用金型及び成形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386U (ja) 2005-10-06 2006-01-05 政夫 三本木 環状突起部を有する円筒体の成型金型
JP2017036768A (ja) 2015-08-07 2017-02-1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パイプ及びパイプの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769Y2 (ko) * 1974-05-10 1979-06-16
FR2552537B1 (fr) * 1983-09-27 1985-11-22 Valeo Boitier muni d'une tubulure, en particulier boite a eau d'echangeur de chaleur pour vehicule automobi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S60109916U (ja) * 1983-12-28 1985-07-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モ−ルド成形装置
JPS6366211U (ko) * 1986-10-17 1988-05-02
US4709757A (en) * 1986-11-24 1987-12-01 Johnson Service Company Method of injection molding and plastic part formed thereby
US4873043A (en) * 1988-03-25 1989-10-10 Hoover Universal, Inc. Method injection molded a plastic part with a round tubular portion
US5340304A (en) * 1991-04-26 1994-08-23 Nissei Asb Machine Co., Ltd. Mold for injection molding preform with undercut lip
US5804123A (en) * 1992-10-21 1998-09-08 Huron Plastics Group, Inc. Method of making plastic part having parting line free O-ring groove for fluid outlet
FR2707915B1 (fr) * 1993-07-23 1995-09-15 Valeo Thermique Moteur Sa Boîte en matière plastique moulée avec une tubulure, en particulier pour échangeur de chaleur, et procédé de moulage.
FR2718669B1 (fr) * 1994-04-13 1996-06-07 Orbey Plastiques Ind Procédé de démoulage en force de pipettes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Óoeuvre de ce procédé.
JP4285247B2 (ja) * 2004-01-16 2009-06-24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JP4572883B2 (ja) * 2006-08-09 2010-11-0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内装用パネル及び射出成形方法
JP2009051121A (ja) * 2007-08-28 2009-03-12 Suzuki Motor Corp インモールド成形方法
JP5867741B2 (ja) * 2013-05-20 2016-02-24 株式会社テクノクラーツ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JP6204711B2 (ja) * 2013-06-19 2017-09-27 タカハタプレシジョンジャパン株式会社 回転体支持構造及び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386U (ja) 2005-10-06 2006-01-05 政夫 三本木 環状突起部を有する円筒体の成型金型
JP2017036768A (ja) 2015-08-07 2017-02-1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パイプ及びパイプの成形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921B1 (ko) 2020-02-19 2020-08-31 주식회사 태성몰드 고정측 유압 슬라이드 작동기를 가진 사출금형
KR102245871B1 (ko) 2020-08-24 2021-04-28 이기우 분리효율이 향상된 고정측 유압 슬라이드 작동기를 가진 사출금형
KR102245873B1 (ko) 2020-08-24 2021-04-28 이기우 압착효율이 향상된 고정측 유압 슬라이드 작동기를 가진 사출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15211A (ja) 2020-01-30
JP6892090B2 (ja) 2021-06-18
US20200031031A1 (en) 2020-01-30
EP3599071A1 (en) 2020-01-29
CN110774534A (zh)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1872A (ko)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
CN108582674B (zh) 注塑模具的二次脱模机构
CN111225781B (zh) 用于模具设备的推料夹爪及含该推料夹爪的成型模具
KR102305751B1 (ko) 언더컷 처리 기구, 성형용 금형 및 성형품
CN111347628A (zh) 一种节温器壳体注塑模具
JP7007690B2 (ja) スライド機構、可動型及び成形用金型
JP6823248B2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及び成形用金型
CN108422628B (zh) 双角度斜顶滑块集成联动抽芯机构
CN214773718U (zh) 一种前模滑块大行程顺序开模机构注塑模具
CN214188205U (zh) 一种带斜顶机构注塑模具
CN214294246U (zh) 一种注塑模具
KR20050017224A (ko) 플라스틱 사출 금형 장치의 제품 취출 구조
CN110900963B (zh) 一种注塑模具
CN210851120U (zh) 一种滑块内先抽芯结构
JP7097101B2 (ja) ゲート切断装置及び成形用金型
CN208664269U (zh) 一种汽车手柄杆成型结构
CN112829224A (zh) 一种带有倾斜手柄的注塑产品的注塑模具和注塑方法
CN216968573U (zh) 推顶结构及具有其的模具组件
CN214395266U (zh) 一种带倒扣注塑件注塑模具
CN219006840U (zh) 辅助离型结构及后模及模具
CN213224246U (zh) 一种模具楔紧机构
CN214773719U (zh) 一种带有倾斜手柄的注塑产品的注塑模具
CN215203254U (zh) 一种横抽脱模装置
CN211416117U (zh) 一种产品脱模装置
CN209832486U (zh) 前模抽芯自动脱离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