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530A -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530A
KR20200010530A KR1020200006423A KR20200006423A KR20200010530A KR 20200010530 A KR20200010530 A KR 20200010530A KR 1020200006423 A KR1020200006423 A KR 1020200006423A KR 20200006423 A KR20200006423 A KR 20200006423A KR 20200010530 A KR20200010530 A KR 20200010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weight
parts
preparing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6299B1 (ko
Inventor
신용우
Original Assignee
신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7119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00004A/ko
Application filed by 신용우 filed Critical 신용우
Priority to KR1020200006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29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0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3L13/72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dditives, e.g. by injection of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23L21/12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derived from fruit or vegetable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은 벌꿀에 깐마늘, 깐생강, 모과, 파뿌리, 도라지, 더덕, 하수오, 천문동, 사철쑥잎, 방아잎, 가시오갈피, 천마를 혼합하여 벌꿀 혼합물을 제조하고 숙성하는 제 1단계; 갈색 설탕에 매실, 적포도, 복숭아, 오디즙, 쑥잎, 두릅, 당귀, 곰솔잎, 삼백초를 혼합하여 갈색 설탕 혼합물을 제조하고 숙성하는 제 2단계; 에탄올에 복령, 표고버섯, 상황버섯을 혼합하여 에탄올 혼합물을 제조하고 숙성하는 제 3단계; 상기 각 숙성된 벌꿀 혼합물 44중량부, 갈색 설탕 혼합물 41중량부, 에탄올 혼합물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식물혼합복합물을 제조하고 3년간 숙성하여 식물혼합발효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식물혼합발효물을 추출하여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상기 식물혼합발효추출액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Natural fermented extract drink}
본 발명은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효효소의 효과가 널리 알려지면서 노폐물 제거, 독소 배출, 다이어트 효과 등의 기능성과 유통기간이 짧은 식품들의 저장기간의 증대 등을 이유로 천연재료를 이용한 발효효소를 많이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천연재료를 단일로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성을 포함하지 못하며, 천연재료 각각의 기능성을 추출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71986호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은 벌꿀에 깐마늘, 깐생강, 모과, 파뿌리, 도라지, 더덕, 하수오, 천문동, 사철쑥잎, 방아잎, 가시오갈피, 천마를 혼합하여 벌꿀 혼합물을 제조하고 숙성하는 제 1단계; 갈색 설탕에 매실, 적포도, 복숭아, 오디즙, 쑥잎, 두릅, 당귀, 곰솔잎, 삼백초를 혼합하여 갈색 설탕 혼합물을 제조하고 숙성하는 제 2단계; 에탄올에 복령, 표고버섯, 상황버섯을 혼합하여 에탄올 혼합물을 제조하고 숙성하는 제 3단계; 상기 각 숙성된 벌꿀 혼합물 44중량부, 갈색 설탕 혼합물 41중량부, 에탄올 혼합물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식물혼합복합물을 제조하고 3년간 숙성하여 식물혼합발효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식물혼합발효물을 추출하여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상기 식물혼합발효추출액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천연발효추출음료는 음식 내에 혼합 시 잡냄새, 비린내 등을 제거하고, 고기의 육질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육류 또는 어류 섭취 시 피부질환 반응을 보이는 환자들의 경우 육류, 어류 조리 시 첨가하여 먹을 경우 가려움 등의 피부질환을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연재료를 숙성하는 과정에서 천연재료를 세 종류로 분류하여 절임으로서 각각의 천연재료가 가지는 최적의 기능성을 추출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는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
먼저, 제 1단계(S1)에서 벌꿀에 깐마늘, 깐생강, 모과, 파뿌리, 도라지, 더덕, 하수오, 천문동, 사철쑥잎, 방아잎, 가시오갈피, 천마를 혼합하여 벌꿀 혼합물을 제조하고 숙성한다.
구체적으로 벌꿀 30중량부에 대하여 깐마늘, 깐생강 각 2중량부, 모과, 파뿌리, 도라지, 더덕, 하수오, 천문동, 사철쑥잎, 방아잎, 가시오갈피, 천마 각 1중량부를 혼합하여 벌꿀 혼합물을 제조하고 6개월간 숙성한다.
벌꿀 혼합물 제조시, 벌꿀이 30중량부 미만일 경우 발효가 진행되기 위한 당류가 충분하지 않아 충분한 발효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며, 발효속도가 현저하게 늦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벌꿀이 30중량부 초과일 경우 당 성분이 과도하게 많아 소비자의 과도한 당 섭취가 문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발효가 과도하게 진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벌꿀 혼합물 제조 시 벌꿀 3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2단계(S2)에서 갈색 설탕에 매실, 적포도, 복숭아, 오디즙, 쑥잎, 두릅, 당귀, 곰솔잎, 삼백초를 혼합하여 갈색 설탕 혼합물을 제조하고 숙성한다.
구체적으로 갈색 설탕 30중량부에 대하여 매실, 적포도 각 2중량부, 복숭아, 오디즙, 쑥잎, 두릅, 당귀, 곰솔잎, 삼백초 각 1중량부를 혼합하여 갈색 설탕 혼합물을 제조하고 6개월간 숙성한다.
갈색 설탕 혼합물 제조시, 갈색 설탕이 30중량부 미만일 경우 발효가 진행되기 위한 당류가 충분하지 않아 충분한 발효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며, 발효속도가 현저하게 늦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갈색 설탕이 30중량부 초과일 경우 당 성분이 과도하게 많아 소비자의 과도한 당 섭취가 문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과도하게 진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갈색 설탕 혼합물 제조 시 갈색 설탕 3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3단계(S3)에서 에탄올에 복령, 표고버섯, 상황버섯을 혼합하여 에탄올 혼합물을 제조하고 숙성한다.
구체적으로 에탄올 10중량부에 대하여 복령, 표고버섯 각 2중량부, 상황버섯 1중량부를 혼합하여 에탄올 혼합물을 제조하고 6개월간 숙성한다.
에탄올 혼합물 제조시, 에탄올이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고자 하는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못하며 추출시간이 현저하게 길어져 작업의 효율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에탄올이 10중량부 초과일 경우 기능성을 포함하는 유효성분의 추출을 위한 에탄올의 양을 넘어 에탄올의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에탄올 혼합물 제조 시 에탄올 1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4단계(S4)에서 각 숙성된 벌꿀 혼합물 44중량부, 갈색 설탕 혼합물 41중량부, 에탄올 혼합물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식물혼합복합물을 제조하고 3년간 숙성하여 식물혼합발효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제 1단계, 제 2단계, 제 3단계에서 숙성한 벌꿀 혼합물 44중량부, 갈색 설탕 혼합물 41중량부, 에탄올 혼합물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식물혼합복합물을 제조하고 3년간 숙성하여 식물혼합발효물을 제조한다.
상기 식물혼합복합물의 숙성조건은 일반적으로 그늘진 곳에서 실온으로 진행하며, 숙성시 숙성기간이 3년 미만일 경우 발효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며, 숙성기간이 3년 초과일 경우 과도한 발효가 진행되어 발효효소의 변질이 진행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식물혼합복합물 숙성 시 3년간 숙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5단계(S5)에서 식물혼합발효물을 추출하여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제 4단계에서 제조한 식물혼합발효물을 추출하여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 6단계(S6)에서 식물혼합발효추출액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제 5단계에서 제조한 식물혼합발효추출액 2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98중량부를 혼합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한다.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 시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이 2중량부 미만일 경우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의 유용성분이 충분히 포함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이 2중량부 초과일 경우 신맛과 향이 강해 천연발효추출음료 맛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 시 식물혼합발효추출액 2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는 본 발명의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의 실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ㄱ) 천연발효추출음료 첨가유무에 따른 음식의 관능평가
하기 실험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발효추출음료의 첨가유무에 따른 음식의 관능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육류 및 어류에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첨가해보았다.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맛, 냄새, 식감, 전반적인 기호도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일반적인 고기양념으로 양념하여 구워낸 돼지고기이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구워낸 고등어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첨가하여 양념하여 구워낸 돼지고기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본 발명의 쳔연발효추출음료를 첨가하여 구워낸 고등어이다.
구분 냄새 식감 전반적인 기호도
비교예 1 7.1 7.2 7.0 7.1
비교예 2 6.5 6.1 6.5 6.3
실시예 1 8.5 7.7 7.8 8.0
실시예 2 7.6 7.3 7.5 7.5
실험결과, 비교예 1, 2보다 실시예 1, 2의 관능 평가 점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육류와 어류에 첨가하여 음식을 제조할 경우 비린내, 잡내 등을 없애고 식감과 맛을 더욱 좋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ㄴ) 각 혼합물의 함량에 따른 천연발효추출음료의 관능평가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의 벌꿀 혼합물, 갈색 설탕 혼합물, 에탄올 혼합물의 함량에 따른 천연발효추출음료의 관능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각 혼합물의 함량을 달리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였다.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맛과 향으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3은 벌꿀 혼합물 40중량부, 갈색 설탕 혼합물 40중량부, 에탄올 혼합물 20중량부로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벌꿀 혼합물 41중량부, 갈색 설탕 혼합물 41중량부, 에탄올 혼합물 18중량부로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벌꿀 혼합물 42중량부, 갈색 설탕 혼합물 42중량부, 에탄올 혼합물 16중량부로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벌꿀 혼합물 43중량부, 갈색 설탕 혼합물 41중량부, 에탄올 혼합물 16중량부로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벌꿀 혼합물 44중량부, 갈색 설탕 혼합물 41중량부, 에탄올 혼합물 15중량부로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였다.
구분
비교예 3 5.5 5.4
실시예 3 5.9 5.7
실시예 4 6.5 6.6
실시예 5 6.7 6.8
실시예 6 7.2 7.1
실험결과, 실시예 6의 관능 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맛과 향 전체를 고려하였을 경우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 시 벌꿀 혼합물 44중량부, 갈색 설탕 혼합물 41중량부, 에탄올 혼합물 15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ㄷ) 숙성방법에 따른 천연발효추출음료의 관능평가
하기의 실험은 본 발명의 발효방법에 따른 천연발효추출음료의 관능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숙성방법을 달리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였다.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맛과 향, 전반적인 기호도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4는 각 벌꿀 혼합물, 갈색 설탕 혼합물, 에탄올 혼합물을 3년간 그늘진 곳에서 실온으로 숙성하고 혼합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7은 각 벌꿀 혼합물, 갈색 설탕 혼합물, 에탄올 혼합물을 1년간 그늘진 곳에서 실온에서 숙성하고, 혼합 후 2년간 2차 숙성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8은 각 벌꿀 혼합물, 갈색 설탕 혼합물, 에탄올 혼합물을 6개월간 그늘진 곳에서 실온에서 숙성하고, 혼합 후 2년간 2차 숙성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9는 각 벌꿀 혼합물, 갈색 설탕 혼합물, 에탄올 혼합물을 6개월간 그늘진 곳에서 실온에서 숙성하고, 혼합 후 3년간 2차 숙성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1은 각 벌꿀 혼합물, 갈색 설탕 혼합물, 에탄올 혼합물을 6개월간 그늘진 곳에서 실온에서 숙성하고, 혼합 후 4년간 2차 숙성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였다.
구분 전반적인 기호도
비교예 4 5.4 5.2 5.3
실시예 7 6.9 6.7 6.8
실시예 8 7.4 7.2 7.1
실시예 9 8.4 8.1 8.3
실시예 10 8.2 7.9 8.0
실험결과, 실시예 9의 관능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각 혼합물을 1차 숙성 후, 혼합하여 2차 숙성을 진행한 천연발효추출음료의 맛과 향,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았으며 숙성기간이 길수록 관능평가 점수가 점차 높아졌다. 그러나 2차 숙성기간이 3년 초과일 경우 과도한 발효가 진행되어 발효효소의 변질이 진행될 우려가 있었다. 그러므로 각 벌꿀 혼합물, 갈색 설탕 혼합물, 에탄올 혼합물을 6개월간 그늘진 곳에서 실온에서 숙성하고, 혼합 후 3년간 2차 숙성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ㄹ)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의 함량에 따른 천연발효추출음료의 관능평가
하기의 실험은 본 발명의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의 함량에 따른 천연발효추출음료의 관능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의 함량을 달리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였다.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맛과 향, 전반적인 기호도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5는 정제수 99중량부에 대하여 식물혼합발효추출액 1중량부를 혼합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은 정제수 98중량부에 대하여 식물혼합발효추출액 2중량부를 혼합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2은 정제수 97중량부에 대하여 식물혼합발효추출액 3중량부를 혼합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였다.
구분 전반적인 기호도
비교예 5 7.1 7.5 7.3
실시예 11 8.5 8.9 8.7
실시예 12 7.2 7.6 7.4
실험결과, 실시예 11의 관능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이 2중량부 미만일 경우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의 맛과 향이 미미하였으며,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이 2중량부 초과일 경우 신맛과 향이 강해 천연발효추출음료 맛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정제수 98중량부에 대하여 식물혼합발효추출액 2중량부를 혼합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ㅁ)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의 항산화 활성
Concentration of extracts(mg/ml)
10 20 50 100 200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2.00±0.71a 35.82±0.72b 63.23±0.64c 71.28±2.32d 72.41±1.35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9.42
±0.23a
29.541±0.89b 58.13±0.50c 80.81±0.50d 87.09±0.50e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60.26±3.88a 73.85±1.93b 86.41±3.27c 87.95±1.98c 88.98±0.97c
Reducing power (absorbance in 700nm) 0.234±0.003a 0.293±0.015b 0.473±0.004c 0.730±0.017d 1.161±0.022e
상기 시료의 농도를 10, 20, 30, 50, 100 및 200mg/ml로 조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상기 표 5와 같다. 반응조건에 대한 시료액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활성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모든 실험구에서 22.00~72.41%의 범위였으며, 시료액의 농도가 50mg/ml일 때 62.23%의 활성을 보였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19.42~87.09%의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100mg/ml이상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 활성은 10mg/ml 농도에서 60%이상의 소거활성을 보였으나, 50~200mg/ml 농도범위에서는 86.41~88.98%로 시료액의 농도 증가에 따른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상기 시료의 시료의 환원력은 0.234~1.161범위였으며, 200mg/ml 농도에서 흡광도값이 1.0이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DPPH는 유리 라디칼이며, ABTS는 양이온 라디칼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나, 이들 라디칼의 소거활성은 상관관계가 크다. 특히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Phenolic acid와 플라보노이드류 및 기타 페놀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 활성의 지표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물질의 환원력이 클수록 라디칼 소거활성도 상승하게 된다.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 활성은 xanthine oxidase가 xanthine을 기질로 하여 uric acid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Superoxide anion 라디칼을 시료와 반응시켜 nitro blue tetrazolium로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 정도를 확인하는 법이다. 환원력은 Fe+3이 Fe+2으로의 환원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환원력에서 흡광도 수치는 그 자체가 그 시료의 환원력을 나타내며, 높은 환원력을 가지는 물질은 흡광도 수치가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라디칼의 종류를 달리한 소거활성 및 환원력 측정 결과 시료의 항산화 활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결과는 시료 중에 함유된 여러 식물체의 생리활성 성분이나 발효에 의한 미지물질의 생성에 기인된 것으로 추정되나, 효과적인 성분이 주로 페놀성 화합물인 것으로 판단된다.
(ㅂ)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이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RBL-2H3 (rat basophilic leukemia cell line) 세포의 증식에 있어서 시료의 세포독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료액의 농도를 0.05, 0.1, 0.25, 0.5 및 1.0mg/ml 수준으로 RBL-2H3 세포에 처리한 결과는 도 2와 같다. 모든 농도의 시료 처리구에서 세포증식에 대한 세포 독성은 보이지 않았다.
(ㅅ)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이 세포내 ROS 생성에 미치는 영향
시료의 첨가농도를 0.25 및 0.5mg/ml 수준으로 설정하여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 reation oxygen species) 생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는 도 3과 같다. RBL-2H3 세포 내에 항원(DNP-HSA) 처리 시 ROS 생산은 항원 무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상승하였으며, 발효 복합물의 처리 시 항원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RBL-2H3 세포 내에서 IgE+DNP-BSA와 같은 다양한 자극에 반응하여 ROS가 발생될 수 있는데,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는 물질의 처리는 DNP-HSA에 의해 유도된 ROS 생성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는 보고가 있다. 상기 시료도 처리 시 항원에 의해 증가된 세포내 ROS 생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 이는 시료의 라디칼 소거에 의한 항산화 효과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와 같은 항산화 활성이 알레르기 등 질환 개선에 유익한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 벌꿀에 깐마늘, 깐생강, 모과, 파뿌리, 도라지, 더덕, 하수오, 천문동, 사철쑥잎, 방아잎, 가시오갈피, 천마를 혼합하여 숙성하는 단계
S2. 갈색 설탕에 매실, 적포도, 복숭아, 오디즙, 쑥잎, 두릅, 당귀, 곰솔잎, 삼백초를 혼합하여 숙성
S3. 에탄올에 복령, 표고버섯, 상황버섯을 혼합하여 숙성
S4. 벌꿀 혼합물, 갈색 설탕 혼합물, 에탄올 혼합물을 혼합하여 식물혼합복합물을 제조하고 숙성하여 식물혼합발효물을 제조
S5. 식물혼합발효물을 추출하여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을 제조
S6. 정제수에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을 혼합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

Claims (1)

  1. 벌꿀에 깐마늘, 깐생강, 모과, 파뿌리, 도라지, 더덕, 하수오, 천문동, 사철쑥잎, 방아잎, 가시오갈피, 천마를 혼합하여 벌꿀 혼합물을 제조하고 숙성하는 제 1단계;
    갈색 설탕에 매실, 적포도, 복숭아, 오디즙, 쑥잎, 두릅, 당귀, 곰솔잎, 삼백초를 혼합하여 갈색 설탕 혼합물을 제조하고 숙성하는 제 2단계;
    에탄올에 복령, 표고버섯, 상황버섯을 혼합하여 에탄올 혼합물을 제조하고 숙성하는 제 3단계;
    상기 각 숙성된 벌꿀 혼합물 44중량부, 갈색 설탕 혼합물 41중량부, 에탄올 혼합물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식물혼합복합물을 제조하고 3년간 그늘진 곳에서 실온으로 숙성하여 식물혼합발효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식물혼합발효물을 추출하여 식물혼합발효추출액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상기 식물혼합발효추출액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천연발효추출음료를 제조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벌꿀 30중량부에 대하여 깐마늘, 깐생강 각 2중량부, 모과, 파뿌리, 도라지, 더덕, 하수오, 천문동, 사철쑥잎, 방아잎, 가시오갈피, 천마 각 1중량부를 혼합하여 벌꿀 혼합물을 제조하고 6개월간 숙성하고,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갈색 설탕 30중량부에 대하여 매실, 적포도 각 2중량부, 복숭아, 오디즙, 쑥잎, 두릅, 당귀, 곰솔잎, 삼백초 각 1중량부를 혼합하여 갈색 설탕 혼합물을 제조하고 6개월간 숙성하고,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에탄올 10중량부에 대하여 복령, 표고버섯 각 2중량부, 상황버섯 1중량부를 혼합하여 에탄올 혼합물을 제조하고 6개월간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
KR1020200006423A 2018-06-21 2020-01-17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 KR102406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423A KR102406299B1 (ko) 2018-06-21 2020-01-17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191A KR20200000004A (ko) 2018-06-21 2018-06-21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
KR1020200006423A KR102406299B1 (ko) 2018-06-21 2020-01-17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191A Division KR20200000004A (ko) 2018-06-21 2018-06-21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530A true KR20200010530A (ko) 2020-01-30
KR102406299B1 KR102406299B1 (ko) 2022-07-13

Family

ID=82401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423A KR102406299B1 (ko) 2018-06-21 2020-01-17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2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416B1 (ko) * 2022-07-12 2023-10-06 김영훈 인삼이 함유된 닭갈비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986B1 (ko) 2013-08-01 2014-12-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가미원 브로콜리 효소 발효액 제조방법
KR20150143294A (ko) * 2014-06-12 2015-12-23 신용우 천연발효효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986B1 (ko) 2013-08-01 2014-12-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가미원 브로콜리 효소 발효액 제조방법
KR20150143294A (ko) * 2014-06-12 2015-12-23 신용우 천연발효효소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416B1 (ko) * 2022-07-12 2023-10-06 김영훈 인삼이 함유된 닭갈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299B1 (ko)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065B1 (ko) 매실감식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매실감식초
KR101690413B1 (ko) 아로니아 열매를 이용한 식초의 제조방법
KR101639126B1 (ko) 건강 다이어트용 저염 김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27998B1 (ko) 꾸지뽕 나무를 이용한 육류 숙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육류 숙성 방법
KR100998329B1 (ko) 냄새를 없앤 마늘과 솔잎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초 및 그제조방법
KR101186247B1 (ko) 오미자와 표고버섯을 함유하는 풍미와 보존성이 우수한 조미료의 제조 방법
KR20130055938A (ko) 발효 울금 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울금 분말
KR20200010530A (ko)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
KR20190042329A (ko) 2단계 발효에 의한 울금현미식초 제조방법
KR101293499B1 (ko) 어류를 이용한 식초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식초
KR102035858B1 (ko) 잣 초임계 추출물과 잣박을 함유하는 된장의 제조방법
JP2001299323A (ja) 野菜成分含有酒
KR100775630B1 (ko) 양파즙의 제조방법
CN108624450A (zh) 一种龙眼酒的制备方法
KR102626736B1 (ko) 발포 동치미를 이용한 소화를 돕는 막국수의 제조방법
KR102131362B1 (ko) 아로니아 효소가 함유된 된장 제조방법
KR20200000004A (ko) 천연발효추출음료 제조방법
KR101332028B1 (ko) 곰보배추가 포함된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894095B2 (ja) 銀杏を用いた食酢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銀杏を用いた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KR20160072353A (ko) 맵쌀과 찹쌀 및 석류를 이용한 발효식초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식초
KR102486866B1 (ko) 제주 전통 발효음료 쉰다리를 이용한 돔베고기와 그 제조방법
KR101662150B1 (ko) 오디 식초를 이용한 초고추장
KR102139892B1 (ko) 기능성 식초 제조방법
KR102361992B1 (ko) 제주 전통 발효음료 쉰다리 함유 고기국수용 육수와 그 제조방법
KR102356922B1 (ko) 면역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