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082A - 편물기 공구, 특히 편물기 바늘 - Google Patents

편물기 공구, 특히 편물기 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082A
KR20200010082A KR1020190086226A KR20190086226A KR20200010082A KR 20200010082 A KR20200010082 A KR 20200010082A KR 1020190086226 A KR1020190086226 A KR 1020190086226A KR 20190086226 A KR20190086226 A KR 20190086226A KR 20200010082 A KR20200010082 A KR 20200010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
section
shank portion
guide
knit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베 슈팅엘
외르크 자우터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콤만딧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콤만딧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콤만딧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00010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0Needle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물기 공구(10)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측에 접촉 표면(20)을 포함하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생크부를 가지는 편물기 바늘(11)에 관한 것이다. 루프 형성을 위해 구성된 단부 섹션(18)의 외부에서, 접촉 표면(20)은 전방 단부 섹션(18) 반대편의 생크부(12)의 후방 단부(14)로의 천이까지 평면(E)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전방 가이드 섹션(45)과 후방 가이드 섹션(46) 사이에는 버트(27)를 구비하는 버트 섹션(26)이 존재한다. 각각의 가이드 섹션에는, 높이 방향(H)으로 생크부(12)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고 가이드 캔틸레버(47)의 캔틸레버 다리(49)와 그 아래에 배열된 생크부(12)의 섹션 사이의 갭(50)을 제한하는 가이드 캔틸레버(47)가 존재한다.

Description

편물기 공구, 특히 편물기 바늘{MACHINE-KNITTING TOOL, PARTICULARLY MACHINE-KNITTING NEEDLE}
본 발명은 편물기 공구, 특히 편물기, 예를 들어 원형 편물기(circular knitting machine)에 사용되는 편물기 바늘에 관한 것이다.
편물기 공구들은 상이한 실시예에서 공지되어 있다. 편물기 바늘들, 예를 들어, 래치 바늘 또는 슬라이더 바늘들은 편물 공정 동안 편물기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또는 바늘 채널에서 이동된다. 이렇게 하여, 편물기 공구의 버트(butt)는 그 길이 방향으로 편물기 공구를 위치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편물기의 캠 디바이스에 의해 맞물린다. 원형 편물기에서, 편물기 바늘들을 가지는 편물 실린더는 캠 디바이스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편물기 바늘들의 버트는 캠 경로에서 가이드된다. 이렇게 하여, 편물기 바늘들의 길이 방향으로의 힘뿐만 아니라 가로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힘이 버트들에 작용한다. 슬라이더 바늘의 싱커(sinker)들 또는 슬라이더들과 같은 다른 편물기 공구들은 또한 적절한 구동 장치에 의해 편물기에서의 편물 동안 이동되거나 또는 위치된다.
생산적인 편물 방법의 요건을 충족시키고 다른 한편으로 긴 수명을 보장하기 위해, 편물기 공구는 복수의 부분적으로 또한 경쟁하는 조건을 준수해야만 한다. 높은 생산성은 편물기 공구들의 높은 이동 속도 또는 가속을 요구한다. 이러한 가속으로 인하여, 편물기 공구에서 피로 파괴와 같은 과도한 마모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고장난 편물기 공구의 교체는 편물기의 정지를 필요로 하고, 생산성에서의 손실로 이어진다. 루프 형성 동안 결함의 생성을 피하기 위하여 편물기 공구가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는 것도 중요하다. 위치 설정 정확도는 가이드 또는 바늘 채널, 특히 채널 그라운드에서 축적될 수 있는 오염물로 인해 방해받지 않아야만 한다. 이러한 다양한 주변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완전한 편물기 공구는 가능한 모든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고 충족시키는 형태를 가져야만 한다.
종래 기술에서, 상이한 편물기 공구의 다수의 디자인이 제안된다. 바늘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 US 3,464,237은 편물기 바늘의 버트에 오목부를 제공하여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US 5,154,069 A는 편물기 바늘을 이동시키기 위해 생크부와, 편물기 바늘을 이동시키기 위해 생크부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버트를 가지는 편물기 바늘을 개시한다. 편물기 바늘의 전방 단부와 버트 사이에서, 생크가 여러번 구부러진 원호 형상 스프링 탄성 섹션을 포함한다. 이러한 섹션은 가속이 발생할 때 감쇠 효과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US 5,231,855 A 또는 DE 69 218 303 T2로부터, 편물기 바늘 상의 저크(jerk)형 가속의 충격을 감쇠시키고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로 형상 연장 생크 섹션이 공지되어 있다.
DE 28 20 925 A1은 편물기 공구를 제안하고, 편물기 공구의 생크부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를 포함하며, 생크부는 브릿지의 영역에서 가이드 채널 또는 바늘 채널의 바닥까지의 거리를 가진다. 브릿지의 영역에서, 생크부의 웨브 섹션은 1.1 mm 이하 또는 0.9 mm의 높이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감쇄를 위한 이러한 섹션에서, 생크부의 각각의 섹션이 편물기의 바늘 채널의 바닥에 접촉하지 않아서, 오염물이 축적될 수 있다. 또한, 작은 총 길이를 구비하는 편물기 공구가 가지는 문제는 원호 형상 또는 사행 샤프트 섹션이 샤프트 상에서 루프 형성 및 하나 이상의 루프의 보유를 위한 편물기 공구의 유효 작업 길이를 감소시키도록 존재한다는 것이다.
원형 편물기의 캠 디바이스가 편물기 바늘의 이동의 목적에 알맞을 뿐만 아니라 반경 방향으로 외향하는 편물 실린더의 회전 동안 원심력에 대해 편물기 바늘들을 지지하는 것이 EP 2 799 603 A2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DE 2 229 858 A는 편물기를 위한 래치 바늘을 개시한다. 래치 바늘은 래치 바늘의 길이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배열되며, 그 사이에 배열되어 바늘 생크의 상부 가장자리의 높이 아래로 하향 연장되는 분리 구역을 가지는 2개의 버트를 가진다. 2개의 버트가 배열된 래치 바늘의 이러한 버트 섹션에서, 추가의 모따기부(chamfer)들이 바늘 생크의 하부측에 제공될 수 있다. 추가의 모따기부들은 바늘 생크의 상부측에서 생크부로의 버트들의 천이시에 제공될 수 있다. 버트 섹션에서의 바늘 생크의 이러한 약화로 인해, 버트를 통해 삽입된 바늘의 가속으로 인한 충격은 감쇠되어야 한다.
종래 기술로부터 볼 때, 본 발명의 목적은 편물기에서 편물기 공구의 가이드 및 위치 설정을 향상시키고, 이렇게 하여, 삽입된 충격 또는 진동의 충분한 감쇠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가지는 편물기 공구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편물기 공구는 특히 편물기 바늘로서 형성되고, 래치 바늘 또는 슬라이더 바늘일 수 있다. 편물기 공구는 그 하부측에 접촉 표면을 가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생크부를 가진다. 접촉 표면은 편물기에서 가이드 또는 바늘 채널의 바닥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생크부는 전방 단부 섹션에 의해 연결되는 전방 단부를 가진다. 전방 단부 섹션에서, 생크부는 루프 형성을 위한 수단, 특히 바늘 후크를 포함한다. 길이 방향으로, 생크부는 전방 단부 섹션 반대편의 후방 단부를 가진다. 전방 단부 섹션 외부에서, 접촉 표면은 하나의 단일 평면에서 후방 단부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며, 접촉 표면은 일정 반경으로 후방 단부에서 천이할 수 있다. 생크부는 바람직하게 100 mm 이하인 전방 단부에서 후방 단부까지의 전체 길이를 가진다. 루프 형성을 위해 구성된 전방 단부는 생크부의 전체 길이의 5% 이하의 길이를 가진다. 래치 바늘의 경우에, 전방 단부 섹션은 바람직하게 래치 베어링(래치 bearing) 및 단부들을 지나지 않고, 예를 들어 바늘 후크와 래치 베어링 사이에서 연장된다.
편물기 공구는 가이드 캔틸레버(guide cantilever)가 생크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가이드 섹션뿐만 아니라 추가의 가이드 캔틸레버가 생크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가이드 섹션을 가진다. 2개의 가이드 섹션 사이에, 버트가 생크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트 섹션이 존재한다. 버트는 편물기의 바늘 또는 가이드 채널에서 길이 방향으로 편물기 공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편물기의 캠 디바이스 또는 다른 드라이브와 협동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가이드 캔틸레버는 캔틸레버 다리(cantilever leg) 아래에서 높이 방향으로 배열된 생크부와의 사이의 갭을 제한하는 캔틸레버 다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갭들 중 적어도 하나는 버트로부터 멀리 향하는 측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다. 캔틸레버 다리는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또는 길이 방향에 대해 15°또는 10°보다 낮은 작은 각도의 경사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캔틸레버와 생크부는 각각의 가이드 섹션에서 소위 편물기 공구의 포크형 영역을 형성한다.
특히 융기부들 또는 함몰부들 또는 관통공이 없는 연속적인 평탄 접촉 표면을 구비하는 편물기 공구의 본 발명의 디자인으로 인해, 오염물이 축적되고 가이드 채널 또는 바늘 채널에서 편물기 공구의 배향 또는 가이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간이 바늘 생크의 영역에 제공되지 않는다. 오염물의 축적으로 인해, 가이드 채널에서 편물기 공구의 이동 동안 증가된 마찰 또는 증가된 마모가 생성되는 것이 또한 방지된다. 편물기 공구는 특히 스테이플사(staple yarn) 또는 면사의 편물을 위해 구성되거나 또는 이에 적합하다. 이러한 방적사를 사용하면, 특히 높은 오염물이 스테이플사의 잔사로 인해 편물기에서 생성된다. 그러므로, 편물기 공구는 이러한 오염물에 대해 특히 민감하지 않으며, 특히 이러한 방적사의 편물에 적합하다.
가이드 및 위치 설정 정확도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가이드 섹션들은 버트 또는 버트 섹션의 양쪽 측면 상에 존재하며, 버트 또는 버트 섹션으로부터 가이드 섹션의 거리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가이드 섹션은 모두 버트 섹션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섹션들 중 하나 및 특히 전방 가이드 섹션은 버트 섹션에 직접 인접할 수 있고, 중간 섹션은 다른 가이드 섹션, 특히 후방 가이드 섹션과 버트 섹션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가이드 캔틸레버들은 높이 방향 및/또는 가로 방향으로 생성된 힘에 대해 바늘을 지지하며, 가로 방향은 높이 방향에 직교하고 길이 방향에 직교하도록 배향된다. 캔틸레버 다리와 그 아래에 배열된 생크부의 영역 사이의 갭으로 인해, 힘이 높이 방향으로 캔틸레버 다리 상에 작용하면 스프링-탄성 효과가 생성된다. 그러므로, 이들 힘은 생크부에 직접 작용하지 않지만,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이드 캔틸레버에 수용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편물기 공구의 매우 정확한 가이드 및 위치 설정이 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및/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주위에서 기울어짐 경향이 또한 감소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캔틸레버가 생크부와 캔틸레버 다리를 연결하는 하나의 연결 다리를 가지면 유익하다. 연결 다리는 약 20°내지 90°, 바람직하게 약 25°내지 65°범위의 양을 가지는, 길이 방향에 대한 경사각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캔틸레버의 연결 다리는 바람직하게 생크부로부터 멀리 비스듬히 연장되고 동시에 버트로부터 멀리 비스듬히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가이드 캔틸레버는 생크부의 최대 생크 높이의 적어도 2배만큼 큰 생크부에 대한 천이 섹션에서 일정 폭을 가진다. 천이 섹션에서의 가이드 캔틸레버의 폭은 길이 방향으로 측정된다. 생크부의 생크 높이는 하부측의 접촉 표면과 높이 방향으로의 생크부의 하부측 반대편의 상부측 사이의 거리이다. 천이 섹션에서의 가이드 캔틸레버의 폭은 특히 각각의 가이드 섹션의 생크 높이의 2배만큼 크다.
캔틸레버 다리는 각각의 가이드 섹션에서 생크부의 생크 높이만큼 큰, 그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생크 높이는 각각의 가이드 섹션에서 일정하다.
후방 가이드 캔틸레버의 캔틸레버 다리는 생크부의 후방 단부와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를 가지는 자유 단부를 가진다. 후방 가이드 캔틸레버의 캔틸레버 다리와 생크부는 서로 동일한 높이로 종료한다. 이렇게 하여, 가이드 섹션들 또는 가이드 캔틸레버들이 편물기 공구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킴이 없이 가능한 큰, 서로에 대한 길이 방향으로의 거리를 가지는 것이 달성된다. 한 실시예에서, 버트로부터 전방 가이드 캔틸레버의 거리는 버트로부터 후방 가이드 캔틸레버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전방 가이드 캔틸레버는 전방 단부 섹션으로부터 전방 가이드 캔틸레버까지의 생크부의 유효 작업 길이를 최대화하기 위해 가능한 버트에 근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생크부의 전방 생크 섹션은 전방 단부 섹션에 인접하고, 전방 생크 섹션은 전방 가이드 캔틸레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이러한 전방 생크 섹션은 전방 생크 섹션을 따라서 생크부와 전방 가이드 캔틸레버의 연결 위치로 전방 단부 섹션 및 전방 생크 섹션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루프의 수용을 위해 제공되며, 통상의 편물 공정에서, 전방 생크 섹션의 길이의 약 절반은 최대한 루프 수용을 위해 사용된다. 한 실시예에서, 전방 생크 섹션의 길이의 절반은 루프 수용을 위해 구성된다.
버트는 생크부로의 전이 영역에서 버트 기저부를 가질 수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의 버트 기저부의 길이는 높이 방향으로의 버트 기저부에 인접하는 버트의 상부 버트 영역의 길이보다 작다. 버트 기저부는 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버트의 좁은 통로(throat)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조치로 인하여, 편물기 공구를 가속시키기 위한 힘의 생성 동안 길이 방향으로 버트에 작용하는 응력이 감소될 수 있다. 감쇠 효과는 접촉 표면이 생크부의 전체 또는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편물기의 가이드 채널에 접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서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버트 기저부의 기저 높이가 가이드 섹션들에서의 생크 높이보다 크면 유익하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기저 높이(basis height)는 가이드 캔틸레버들의 가이드 캔틸레버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가이드 캔틸레버 높이는 생크부의 하부측으로부터 가이드 다리의 상부측의 최대 거리이다. 기저 높이는 생크부의 인접한 상부측에서 시작하는 버트 기저부의 높이이다. 버트 기저부 및 인접한 상부 버트 영역은 버트가 길이 방향으로 그 최대 길이를 가지는 위치에서 병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버트 기저부는 길이 방향으로의 그 양쪽 측면에 곡선 섹션을 각각 가진다. 전방 가이드 섹션을 향한 곡선 섹션은 전방 가이드 캔틸레버, 특히 전방 가이드 캔틸레버의 연결 다리에 직접 병합될 수 있다. 후방 가이드 캔틸레버는 바람직하게 후방 가이드 캔틸레버를 향한 버트 기저부의 곡선 섹션까지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곡선 섹션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가변적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가변적인 곡률 반경은 높이 방향으로 생크부에 인접하는 곡선 섹션의 영역에서 최대일 수 있다.
버트가 적어도 하나의 버트 캐비티를 포함하면 더욱 유익하다. 버트 캐비티는 높이 방향으로 생크부까지 거리를 두고 배열될 수 있으며, 특히 상부 버트 영역에서만 버트 기저부 외부에 존재한다. 버트 캐비티는 높이 방향으로 생크부 반대편 측면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트 캐비티로 인해, 편물기 공구의 전체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버트 캐비티가 버트 기저부 외부로 완전히 연장되면, 종종 교번하는 힘이 길이 방향으로의 편물기 공구의 가속을 위해 버트에 작용하기 때문에 버트의 과도한 약화가 방지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생크부는 버트 섹션에서 최대 1.1 mm인 생크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생크부 높이는 하나 또는 양쪽 가이드 섹션에서, 버트 섹션에서의 생크부의 생크부보다 작거나 또는 최대한으로 이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편물기 바늘의 형태를 하는 편물기 공구의 실시예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절단선 II-II에 따른 도 1의 편물기 바늘의 생크부의 단면도,
도 3은 전방 가이드 섹션 및 인접한 버트 섹션의 영역에서의 도 1의 편물기 바늘의 섹션의 확대 부분도, 및
도 4는 버트 섹션에 대한 후방 가이드 섹션의 영역에서의 도 1의 편물기 공구의 섹션의 확대 부분도.
도 1은 편물기 바늘(11)의 형태를 하는 편물기 공구(10)의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편물기 바늘(11)은 전방 단부(13)와 후방 단부(14) 사이에서 연장되는 생크부(12)를 가진다. 생크부(12)의 전방 단부(13)에서 편물기의 편물 동안 루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생크부(12)는 전방 단부(13)에서 바늘 후크(15)에 형성된다. 바늘 후크(15)의 내부 영역을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편물기 바늘(11)은 래치(17)의 형태를 하는 폐쇄 요소(16)를 포함한다. 래치(17)는 가로 방향(Q)으로 연장되는 선회 축(A) 주위에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며, 래치(17)는 후크 내부 영역을 폐쇄하기 위해 선회 베어링 반대편의 그 단부 섹션이 바늘 후크(15)에 접할 수 있다.
생크부(12)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된다. 생크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최대 100 mm의 양을 가지는 전방 단부(13)와 후방 단부(14) 사이의 전체 길이(xg)를 가진다.
전방 단부 섹션(18)은 바늘 후크(15)의 영역에서 전방 단부(13)에 인접하며, 전방 단부 섹션(18)은 루프 형성을 위해 구성된다. 전방 단부(13)로부터 시작하여, 전방 단부 섹션(18)은 최대 래치(17)의 래치 베어링의 단부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전방 단부 섹션의 길이(x1)는 생크부(12)의 전체 길이(xg)의 최대 5%의 양을 가진다.
생크부(12)의 전방 생크 섹션(19)은 전방 단부 섹션(18)에 직접 인접한다. 이러한 영역에서, 생크부(12)는 하나 이상의 루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생크부(12)는 편물 동안 루프를 통해 연장된다. 전방 생크 섹션(19)는 전방 단부 섹션(18)의 길이(x1)보다 큰 길이 방향(L)으로의 길이(x2)를 가진다.
편물기 바늘(11)의 생크부(12)는, 길이 방향(L)과 직교하고 가로 방향(Q)과 직교하는 높이 방향(H)의 생크 높이(z)를 가지며, 생크 높이(z)는 길이 방향으로 생크부(12)의 상이한 섹션에서 변할 수 있다. 생크 높이(z)는 도 2에 일반적으로 도시된다. 생크부(12)는 대부분 하나의 단일 평면(E)에서 거칠기(roughness)를 제외하고 연장되는 접촉 표면(20)을 하측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가지며, 이러한 평면(E)에 대해 돌출부 또는 함몰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전방 단부 섹션(18)에서, 그리고 후방 단부(14)에 대한 천이 반경에서 또는 후방 단부(14)에서, 생크부(12)의 하부측은 예를 들어 루프 형성을 위한 전방 단부 섹션(18)을 구성하기 위하여, 특히 바늘 후크(15)를 형성하도록 평면(E)에서의 연장부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적어도 생크부 하부측은 최전방 지점과 생크부 하부측이 평면(E)에 있는 최후방 지점 사이의 평면(E)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접촉 표면(20)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생크부(12)는 접촉 표면(20) 반대편 측면에서 상부측(21)을 가진다. 접촉 표면(20)과 상부측(21)은 가로 방향(Q)으로 생크부(12)의 양쪽 측면에 배열된 2개의 측부 표면(22)에 의해 연결된다. 그러므로, 생크부(12)는 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모서리 영역들은 반경에 의해 곡선화될 수 있거나 모따기될 수 있다(도 2). 또한, 생크부(12)는 대안적으로 다른 단면 외형, 예를 들어 타원형 또는 원형 단면을 또한 가질 수 있다.
편물기 바늘(11)은 버트(27)가 높이 방향(H)으로 생크부(12)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버트 섹션(26)을 포함한다. 버트(27) 및 생크부(12)는 예에 따라서 일체로 형성된다. 버트(27)는 높이 방향(H)으로 생크부(12)에 바로 인접한 버트 기저부(28)를 포함한다. 생크부(12)의 반대편 측면에서, 상부 버트 영역(29)이 버트 기저부(28)에 인접한다. 버트 기저부(28)는 상부 버트 영역(29)과 비교하여 짧은 길이를 가진다. 상부 버트 영역(29)은 버트(27)의 최대 길이(x3), 그러므로 버트 섹션(26)의 길이(x3)를 한정한다. 상부 버트 영역(29)은, 각각 높이 방향(H)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L)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배열되는 버트 전방 가장자리(30) 및 버트 후방 가장자리(31)를 포함한다. 버트 전방 가장자리(30)와 버트 후방 가장자리(31) 사이의 거리는 버트(27)의 최대 길이(x3)에 대응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트 기저부(28)는 2개의 버트 가장자리(30, 31)에 인접한다. 그러므로, 버트 기저부(28)에 인접한 2개의 버트 가장자리(30, 31)의 단부는 버트 기저부(28)와 상부 버트 영역(29) 사이의 천이 위치(32)를 한정한다. 천이 위치(32)는 도 1 및 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된다.
버트 전방 가장자리(30)와 버트 후방 가장자리(31)는 버트 상부 가장자리(3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버트 상부 가장자리(33)는 길이 방향(L)과 평행한 섹션들에서만 연장된다. 상부 버트 영역(29)에서, 버트 캐비티(34)는 버트(27)에 삽입되어 가로 방향(Q)으로 버트를 통해 완전히 연장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버트 캐비티(34)는 높이 방향(H)으로 생크부(12) 반대편의 측면에서 개방되고, 즉 상향으로 개방된다. 버트 캐비티(34)는 버트 상부 가장자리(33)의 섹션에 의해 제한된다.
특히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버트 캐비티(34)는, 높이 방향으로 경 사진 연장되고 제1 곡률 반경(R1)을 가진 곡선 연결 섹션(36)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플랭크(flank)(35)에 의해 제한되는, 가로 방향(Q)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V-자 형상 단면 형태를 가진다. 플랭크(35)들 및 연결 섹션(36)은 각각 버트 상부 가장자리(33)의 섹션에 의해 형성된다.
버트 캐비티(34)는 연결 섹션(36)과 플랭크(35)들에 인접한 버트 상부 가장자리(33)의 섹션들 사이의 최대 거리를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방향(H)으로 보았을 때 깊이(t)를 가진다.
전방 곡선 섹션(40)을 가지는 가장자리는 버트 기저부(28)를 따라서 버트 전방 가장자리(30)와 생크부(12) 사이에서 연장되고, 후방 곡선 섹션(41)을 가지는 가장자리는 버트 후방 가장자리(31)와 생크부(12) 사이에서 연장된다. 버트 기저부(28)는 이들 곡선 섹션(40, 41)들로 인해 상부 버트 영역(29)과 비교하여 짧은 길이를 가지는 버트(27)의 좁은 통로를 형성한다. 곡선 섹션(40, 41)들은 말하자면 오목한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전방 곡선 섹션(40)은 제2 곡률 반경(R2)을 가지며, 후방 곡선 섹션(41)은 제3 곡률 반경(R3)을 가진다. 제2 곡률 반경(R2) 및/또는 제3 곡률 반경(R3)은 곡선 섹션(40, 41)들이 하나 이상의 인접한 원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곡선 섹션(40, 41)들은 도 3에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곡률 반경(R2, R3)들의 양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2개의 곡선 섹션(40, 41)은, 길이 방향(L)에 직교하고 버트(27)의 중간을 통해 연장되는 대칭 평면을 기준으로 거울 대칭이다. 완전한 버트(27)는이러한 대칭 평면에 대해 대칭일 수 있다.
곡선 섹션(40, 41)들은 생크부(12)의 상부측(21)으로 병합된다. 생크부(12)의 상부측(21)으로부터 전이 위치(32)까지, 즉 상부 버트 영역(29)까지, 버트 기저부(28)는 기저 높이(b)를 가진다. 기저 높이(b)는 실시예에 따른 생크부(12)의 최대 생크 높이(z)보다 높다.
편물기 바늘(11)은 그 사이에 버트 섹션(26)이 배열되는 2개의 가이드 섹션, 즉 전방 가이드 섹션(45)과 후방 가이드 섹션(46)을 가진다. 2개의 가이드 섹션(45, 46)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적어도 전방 가이드 섹션(45)은 버트 섹션(26)에 직접 인접하고, 후방 가이드 섹션(46)은 예에 따라서 버트 섹션(26)과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각각의 가이드 섹션(45, 46)은 생크부(12)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 캔틸레버(47)를 가진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가이드 캔틸레버(47)는 높이 방향(H) 및 길이 방향(L)에 대해 경사져 기울어진 연결 다리(48)와, 주로 길이 방향(L)과 평행하고, 그러므로 생크부(12)과 평행한 캔틸레버 다리(49)를 가진다. 높이 방향(H)으로, 캔틸레버 다리(49)는 생크부(12)까지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생크부(12)의 섹션과 함께 가이드 캔틸레버(47)는 예에 따라서 길이 방향(L)으로 한쪽 측면에서 개방된 갭(50)을 제한한다. 갭(50)은 캔틸레버 다리(49)와 아래에 배열된 생크부(12)의 섹션 사이에 배열되고, 연결 다리(48)에 의해 한쪽 측면에서 길이 방향(L)으로 제한된다. 그러므로, 가이드 캔틸레버(47) 및 갭(50)에 인접한 생크부(12)의 섹션은 편물기 바늘(11)의 포크형 부분을 형성한다.
연결 다리(48)는 길이 방향(L)에 대해 경사각(α) 아래로 연장된다. 경사각(α)은 적어도 15-20°의 양을 가지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5°내지 45°또는 25°내지 65°일 수 있다. 연결 다리(48)는 생크부(12)로부터 멀어지게 높이 방향(H)으로, 동시에 버트(27)로부터 멀어지게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된다. 2개의 가이드 섹션(45, 46)의 갭(50)들은 각각 버트(27)로부터 멀어지게 길이 방향(L)으로 개방된다.
캔틸레버 다리(49)들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길이 방향(L)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캔틸레버 다리(49)들은 또한 최대한 10°내지 15°의 범위에서 비교적 작은 양을 가지는 경사각으로 길이 방향(L)에 대해 연장될 수 있다.
캔틸레버 다리(49)는 연결 다리(48)로부터 시작하여 다리 단부(51)까지 연장된다. 후방 가이드 섹션(46)에서, 캔틸레버 다리(49)의 다리 단부(51)와 생크부(12)의 후방 단부(14)는 길이 방향(L)으로 보았을 때 동일한 위치를 가지며, 그러므로 동일 높이로 종료한다. 그러므로, 후방 단부(14)뿐만 아니라 다리 단부(51)와 접촉하는, 길이 방향(L)과 직교하도록 배향된 평면이 한정되고, 후방 단부(40) 또는 다리 단부(51)에 의해 교차되지 않는다.
캔틸레버 다리(49)는 그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제1 다리 폭(s1)을 가지는 섹션을 다리 단부(51)에 인접하여 가진다. 캔틸레버 다리(49)가 예에 따라서 길이 방향(L)과 평행하게 배향되기 때문에, 캔틸레버 다리(49)의 제1 다리 폭(s1)은 높이 방향(H)으로 측정된다. 제1 다리 폭(s1)은 가이드 섹션(45, 46)에서 대략 생크부의 제1 생크 높이(z1)만큼 크다.
연결 다리(48)는 생크부(12)로의 천이 섹션에 제2 다리 폭(s2)을 가지며, 이것은 생크부(12)의 제1 생크 높이(z1) 및/또는 제1 다리 폭(s1)보다 적어도 대략 1.5배 크다. 제2 다리 폭(s2)은 생크부(12)에 인접하여 길이 방향(L)으로 측정된다.
접촉 표면(20)과 캔틸레버 다리(49)의 상부측 또는 상부 가장자리 사이의 최대 거리는 가이드 캔틸레버 높이(c)를 한정한다. 높이 방향(H)으로, 갭은 다리 단부(51)의 영역에서 갭 높이(d)를 가진다. 갭 높이(d)는 연결 다리(48) 아래에서 감소한다.
갭에 인접하여, 연결 다리(48)의 내부 가장자리(52)는 제 4 곡률 반경(R4)을 포함하는 곡선 섹션에 의해 생크부(12)의 상부측(21)에서 병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전방 가이드 섹션(45)은 버트 섹션(26)에 바로 인접한다. 그러므로, 내부 가장자리(52) 반대편의 연결 다리(48)의 외부 가장자리(53)는 전방 곡선 섹션(40)에서 직접 병합된다. 이와 관련하여, 외부 가장자리(53)와 생크부(12)의 전방 곡선 섹션(40) 사이의 영역은 제1 생크 높이(z1)와 다를 수 있는 제2 생크 높이(z2)를 가진다. 제2 생크 높이(z2)는 최대 1.1 mm의 양을 가진다. 실시예에서, 제2 생크 높이(z2)는 제1 생크 높이(z1)보다 크다. 대안적으로, 제1 생크 높이(z1)와 제2 생크 높이(z2)는 동일할 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캔틸레버(47), 특히 전방 가이드 섹션(45)의 캔틸레버 다리(49)는 전방 생크 섹션(19)에 도달한다. 그러므로, 전방 생크 섹션(19)은 전방 가이드 섹션(45)의 갭(50) 내로 연장된다.
전방 가이드 섹션(45)과 후방 가이드 섹션(46)은 실시예에서 동일한 길이(x4)를 가진다. 대안적으로, 2개의 가이드 섹션(45, 46)의 길이는 상이한 양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섹션(45, 46)들의 길이(x4)는 다리 단부(51)에 의해 한쪽 측면에서, 생크부(12)에 있는 가이드 캔틸레버(47)로부터 천이에 의해 다른쪽 측면에서, 그리고 예에 따라서 생크부(12)의 상부측(21)에서 외부 가장자리(53)의 천이 위치에 의해 제한된다. 가이드 섹션(45, 46)들의 길이(x4)는 버트 섹션(26)의 길이(x3)와 대략 일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서, 후방 가이드 섹션(46)이 버트 섹션(26)에 바로 인접하지 않고, 후방 가이드 섹션(46)과 버트 섹션(26) 사이에 중간 섹션(57)이 존재하며, 중간 섹션에서, 생크부(57)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부 또는 함몰부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간 섹션(57)은 길이 방향(L)으로 길이(x5)를 가진다. 중간 섹션(57)의 길이(x5)는 실시예에 따라서 버트 섹션(26)의 길이(x3)보다 짧고 및/또는 가이드 섹션(45, 46)들의 길이(x4)보다 짧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 섹션(57)은 버트 섹션(26) 및/또는 가이드 섹션(45, 46)들보다 길 수 있다. 생크부(12)는 실시에에 따라서 제1 생크 높이(z1) 또는 제2 생크 높이(z2)만큼 높을 수 있는, 중간 섹션(57)에서 제3 생크 높이(z3)를 가진다.
전방 생크 섹션의 길이(x2)는 바람직하게 가이드 섹션(45, 46)들의 길이(x4)보다 길고 및/또는 버트 섹션(26)의 길이(x3)보다 길고 및/또는 중간 섹션(57)의 길이(x5)보다 길다. 종종 길이(x2)의 일부만이 편물 동안 루프, 예를 들어 절반의 수용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전방 생크 섹션(19)에서 생크부(12)의 자유 길이는 특히 버트(27)를 통해 편물기 바늘(11)에 도입된 충격 및 진동을 감쇠시킨다.
또한, 가이드 섹션(45, 46)들의 가이드 캔틸레버(47)에 기초하여, 편물기 바늘은 길이 방향(L)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위치에서 높이 방향(H) 및 가로 방향(Q)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편물기 바늘(11)은 가로 방향(Q)으로 서로 반대로 배열된 편물기의 캠 디바이스 및/또는 가이드 또는 바늘 채널의 채널 벽에 의해 지지된다. 원형 편물기에서, 예를 들어 버트(27) 상에서 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원심력 및 힘은 캠 디바이스에 대한 편물 실린더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한다. 또한, 편물 바늘(11)은 버트(27)를 통해 캠 디바이스의 캠 경로에 의해 길이 방향(L)으로 가속된다. 버트 기저부(28)의 좁은 통로로 인해, 특히 2개의 버트 가장자리(30, 31)를 통해 도입되어 길이 방향(L)으로 버트(27) 상에 작용하는 힘은, 편물기 바늘(11)의 응력이 감소되고 루프 형성 동안 위치 설정 정확도의 편차가 감소되도록 감쇠될 수 있다. 편물기 바늘(11)의 가이드 및 위치 설정은 가이드 캔틸레버(47)들에 의해 더욱 지지되고, 캔틸레버 다리(49)들은 생크부(12)까지의 거리와 함께 높이 방향(H)으로 연장되고, 이에 의해 갭(50)을 형성한다. 캔틸레버 다리(49)들은 생크부(12)의 하부 섹션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캠 디바이스에 의해 캔틸레버 다리(49)들에서 높이 방향(H)으로 작용하는 힘은 캔틸레버 다리(49)들의 탄성으로 인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편물기 바늘(11)의 접촉 표면(20)은 편물 실린더의 바늘 채널 또는 가이드 채널의 바닥에 매우 양호하게 접한다. 접촉 표면(20)이 편물 동안 오물이 축적될 수 있는 함몰부 및 캐비티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위치 설정 정확도의 개선이 특히 또한 달성된다. 이것은 특히 스테이플사로 편물될 때 유익하다.
본 발명은 편물기 공구(10), 특히 하부측에서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생크부를 구비한 편물기 바늘(11)에 관한 것이다. 루프 형성을 위해 구성된 단부 섹션(18)의 외부에서, 접촉 표면(20)은 전방 단부 섹션(18) 반대편의 생크부(12)의 후방 단부(14)로의 천이로 평면(E)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전방 가이드 섹션(45)과 후방 가이드 섹션(46) 사이에는 버트(27)를 가지는 버트 섹션(26)이 있다. 각각의 가이드 섹션에는, 높이 방향(H)으로 생크부(12)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고 가이드 캔틸레버(47)의 캔틸레버 다리(49)와 아래에 배열된 생크부(12)의 섹션 사이의 갭(50)을 제한하는 가이드 캔틸레버(47)가 존재한다.
10 : 편물기 공구 11 : 편물기 바늘
12 : 생크부 13 : 전방 단부
14 : 후방 단부 15 : 바늘 후크
16 : 폐쇄 요소 17 : 래치
18 : 전방 단부 섹션 19 : 루프 사용 섹션
20 : 접촉 표면 21 : 상부측
22 : 측부 표면 26 : 버트 섹션
27 : 버트 28 : 버트 기저부
29 : 상부 버트 영역 30 : 버트 전방 가장자리
31 : 버트 후방 가장자리 32 : 천이 위치
33 : 버트 상부 가장자리 34 : 버트 캐비티
35 : 플랭크 36 : 연결 섹션
40 : 전방 곡선 섹션 41 : 후방 곡선 섹션
45 : 전방 가이드 섹션 46 : 후방 가이드 섹션
47 : 가이드 캔틸레버 48 : 연결 다리
49 : 캔틸레버 다리 50 : 갭
51 : 다리 단부 52 : 연결 다리의 내부 가장자리
53 : 연결 다리의 외부 가장자리 57 : 중간 섹션
α : 경사각 A : 선회 축
b : 기저 높이 c : 캔틸레버 높이
d : 갭 높이 H : 높이 방향
L : 길이 방향 Q : 가로 방향
R1 : 제1 곡률 반경 R2 : 제2 곡률 반경
R3 : 제3 곡률 반경 R4 : 제4 곡률 반경
s1 : 제1 다리 폭 s2 : 제2 다리 폭
t : 버트 캐비티의 깊이 xg : 전체 길이
x1 : 전방 단부 섹션의 길이 x2 : 전방 생크 섹션의 길이
x3 : 버트 섹션의 길이 x4 : 가이드 섹션의 길이
x5 : 중간 섹션의 길이 z : 생크 높이
z1 : 제1 생크 높이 z2 : 제2 생크 높이
z3 : 제3 생크 높이

Claims (17)

  1. 편물기 공구(10), 특히 편물기 바늘(11)로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고, 하부측에 접촉 표면(20)을 포함하는 생크부(12)로서, 상기 생크부(12)는 전방 단부 섹션(18)에서 루프 형성을 위해 구성되고, 상기 접촉 표면(20)이 적어도 상기 전방 단부 섹션(18)과 후방 단부(14) 사이에서 하나의 평면(E)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상기 생크부(12),
    가이드 캔틸레버(47)가 상기 생크부(12)로부터 높이 방향(H)으로 연장되는 전방 가이드 섹션(45), 및 추가의 가이드 캔틸레버(47)가 상기 생크부(12)로부터 높이 방향(H)으로 연장되는 후방 가이드 섹션(46)으로서,
    각각의 가이드 캔틸레버(47)가 높이 방향(H)으로 아래에 배열된 상기 생크부(12)의 섹션과 함께 갭(50)을 제한하는 캔틸레버 다리(49)를 포함하는, 상기 전방 가이드 섹션(45) 및 상기 후방 가이드 섹션(46), 및
    상기 2개의 가이드 섹션(45, 46) 사이에 배열되고, 높이 방향으로 상기 생크부(12)로부터 연장되는 버트(27)가 존재하고 편물기의 구동 디바이스와 협동하도록 구성되는 버트 섹션(26)을 포함하는, 편물기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갭(50)은 길이 방향(L)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공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이드 캔틸레버(47)는 상기 생크부(12)와 상기 캔틸레버 다리(49)를 연결하는 연결 다리(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공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다리(48)는 20°내지 90°또는 25°내지 65°범위의 양을 가지는, 상기 길이 방향(L)과의 경사각(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공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이드 캔틸레버(47)는 상기 생크부(12)의 최대 생크 높이(z)보다 적어도 1.5배 큰, 상기 생크부(12)로의 천이 섹션에서의 폭(s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공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 다리(49)는 아래에 배열된 상기 생크부(12)의 생크 높이(z1)만큼 큰, 그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폭(s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공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가이드 섹션(46)에서의 상기 가이드 캔틸레버(47)의 캔틸레버 다리(49)는 길이 방향(L)으로 상기 생크부(12)의 후방 단부(14)와 동일한 위치를 가지는 자유 다리 단부(5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공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부(12)의 전방 생크 섹션(19)은 상기 전방 단부 섹션에 인접하고, 상기 전방 생크 섹션(19)은 상기 전방 가이드 캔틸레버(47)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공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트(27)는 상기 생크부(12)로의 천이 영역에서 버트 기저부(28)를 포함하며, 길이 방향(L)으로의 상기 버트 기저부(28)의 길이는 높이 방향(H)으로 상기 버트 기저부(28)에 인접하는 상부 버트 영역(29)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공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트 기저부(28)의 기저 높이(b)는 상기 가이드 섹션(45, 46)들에서의 생크 높이(z1)보다 높고 및/또는 상기 버트 기저부(28)의 기저 높이(b)는 상기 생크부(12)의 하측부로부터의 상기 가이드 캔틸레버(47)들의 가이드 캔틸레버 높이(c)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공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트 기저부(28)는 길이 방향으로 그 2개의 양쪽 측면에서 곡선 섹션(40, 4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공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섹션(40, 41)은 일정한 곡률 반경(R2, R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공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섹션(40, 41)은 상기 생크부(12)에 인접하여 가장 큰 양을 가지는 가변적인 곡률 반경(R2, R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공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트(27)는 높이 방향(H)으로 상기 생크부(12)까지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트 캐비티(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공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트 캐비티(34)는 높이 방향으로 상기 생크부(12) 반대편 측면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공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부(12)는 상기 버트 섹션(26)에서 최대 1.1 mm의 생크 높이(z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공구.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부(12)는 100 mm의 최대량을 가지는, 길이 방향(L)의 전체 높이(xg)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공구.
KR1020190086226A 2018-07-18 2019-07-17 편물기 공구, 특히 편물기 바늘 KR202000100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84119.8 2018-07-18
EP18184119.8A EP3597807B1 (de) 2018-07-18 2018-07-18 Maschinenstrickwerkzeug, insbesondere maschinenstricknad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082A true KR20200010082A (ko) 2020-01-30

Family

ID=6298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226A KR20200010082A (ko) 2018-07-18 2019-07-17 편물기 공구, 특히 편물기 바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597807B1 (ko)
JP (1) JP7341752B2 (ko)
KR (1) KR20200010082A (ko)
CN (1) CN110735224B (ko)
PT (1) PT3597807T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4237A (en) 1967-08-10 1969-09-02 Alfred O Kohorn Knitting machine needle
DE2229858C2 (de) 1972-06-19 1974-05-22 Theodor Groz & Soehne & Ernst Beckert Nadelfabrik Commandit-Gesellschaft, 7470 Ebingen Zungennadel für Strickmaschinen
DE2610078C3 (de) * 1976-03-11 1981-02-12 Mayer & Cie Gmbh & Co, 7470 Albstadt Zungennadel für Strickmaschinen
US4036036A (en) * 1976-03-22 1977-07-19 The Torrington Company Latch needle for knitting machines
DE2820925C2 (de) 1978-05-12 1982-11-18 Sulzer Morat Gmbh, 7024 Filderstadt Gestanztes Strickwerkzeug für Strickmaschinen
DE3014751C2 (de) * 1980-04-17 1982-06-16 Theodor Groz & Söhne & Ernst Beckert Nadelfabrik KG, 7470 Albstadt Gestanztes Strickwerkzeug für Strick- oder Wirkmaschinen
DE3843420C1 (ko) * 1988-12-23 1989-11-30 Theodor Groz & Soehne & Ernst Beckert Nadelfabrik Kg, 7470 Albstadt, De
JP2951757B2 (ja) 1991-06-25 1999-09-20 福原ニードル株式会社 丸編機用メリヤス針およびその使用法
US5154069A (en) 1991-09-12 1992-10-13 Exeltor Inc. Knitting needle having force reduction portion
JPH09158014A (ja) * 1995-12-07 1997-06-17 Fukuhara Seiki Seisakusho:Kk 編機用編針
DE19950259C1 (de) * 1999-10-18 2001-01-25 Groz Beckert Kg Schiebernadel mit asymmetrisch geteiltem Schieber
TW477845B (en) * 1999-10-27 2002-03-01 Shima Seiki Mfg Guide mechanism of knitting member and compound needle assembling the guide mechanism therein
FR2821093B1 (fr) * 2001-02-20 2003-05-09 Steiger S A C Atel Const Aiguille a coulisse pour machine a tricoter
DE102010017952B4 (de) * 2010-04-22 2012-04-19 H. Stoll Gmbh & Co. Kg Stricknadel für Strickmaschinen
JP5732316B2 (ja) * 2010-06-18 2015-06-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複合針
JP5632277B2 (ja) * 2010-12-22 2014-11-2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複合針
DE102013208066A1 (de) 2013-05-02 2014-11-06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Schlossteil für eine Rundstrick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41752B2 (ja) 2023-09-11
PT3597807T (pt) 2021-03-23
TW202012719A (zh) 2020-04-01
CN110735224B (zh) 2023-01-03
JP2020012226A (ja) 2020-01-23
EP3597807B1 (de) 2021-02-24
CN110735224A (zh) 2020-01-31
EP3597807A1 (de)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493B1 (ko) 브레이킹 스프링을 구비한 시스템 구성 요소
KR101060974B1 (ko) 편성 시스템용 싱커 및 마모를 감소시키는 편성 시스템
US7334436B2 (en) Component for a knitting system
KR20200010082A (ko) 편물기 공구, 특히 편물기 바늘
KR860001067B1 (ko) 편기용 부재
KR100684492B1 (ko) 루프-형성 직물기용 래치 니들
JP5819038B2 (ja) 蛇行状スリット曲線を備えた編み機の針
US7305855B2 (en) Machine knitting needle
US20090173109A1 (en) Latch needle
KR0181738B1 (ko) 편물기용 편침
US5097683A (en) Tool for stitch forming machines, particularly knitting machines
KR102416661B1 (ko) 기계 편직 도구, 특히 기계 편직 바늘
KR100821868B1 (ko) 개선된 슬라이더를 구비한 복합 바늘
US5609045A (en) Latch needle for knitting machines
US6931890B2 (en) Latch needle
US20240052537A1 (en) Knitt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