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011A -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 - Google Patents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011A
KR20200006011A KR1020190082138A KR20190082138A KR20200006011A KR 20200006011 A KR20200006011 A KR 20200006011A KR 1020190082138 A KR1020190082138 A KR 1020190082138A KR 20190082138 A KR20190082138 A KR 20190082138A KR 20200006011 A KR20200006011 A KR 20200006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handle
seam
rod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요히코 마츠모토
야스유키 오소레다
아키라 사키야마
타카히로 야마나카
츠요시 타카하라
타쿠지 타츠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00006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낚시조작시에 있어서는, 채비 등을 흔들어 넣는 조작을 할 때에도 장대 초리 쪽 장대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로부터 빠져나가는 소위'쑥 빠짐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마무리 처리하여 귀가 준비를 할 때에는,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장대 초리 쪽 장대(1)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를,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와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와의 압접상태에 의하여 낚시조작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상태와, 압접상태를 해제하여 비(非)낚시조작상태로 이간(離間)시키는 비고정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하고,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와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의 표면에, 장대 축선(X)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 가지런히 된 강화 섬유(c)를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배치하고, 장대 축선(X)과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c)가 이루는 끼움각이 45°≤Θ<90°로 설정하고 있다.

Description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JOINT STRUCTURE FOR FISHING ROD}
본 발명은,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를, 상기 장대 초리 쪽 장대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손잡이 쪽 장대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의 압접상태에 의하여 낚시조작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상태와, 상기 압접상태를 해제하여 비(非)낚시조작상태로 이간(離間)시키는 비고정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있었다. 즉, 장대 초리 쪽 장대로서의 초릿대의 장대 손잡이단부에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를 형성하고, 장대 손잡이 쪽 장대로서의 초릿대 다음 장대(허리 장대 또는 몸통 장대)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를 형성하고, 역(逆)꽂기 장대를 구성하는 것이 있었다(인용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112670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100348호
이것으로는, 초릿대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의 내주면에, 비교적 두꺼운 프리프레그(prepreg) 시트를 안쪽에 바르고 있고, 이 보강 프리프레그 시트의 강화 섬유의 혼합 배치 방향은 원주 방향을 따른 것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한편, 초릿대 다음 장대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보강 프리프레그 시트를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의 외주면(外周面)에 권회(卷回)하고 있지는 않지만, 초릿대 다음 장대 자체를 구성하는 장대의 길이를 가지는 메인 프리프레그 시트를 복수층으로 권회한 것이기 때문에,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의 방향은 메인 프리프레그 시트의 강화 섬유의 방향이고, 장대의 축선 방향으로 혼합 배치된 것이거나, 또는, 원주 방향으로 혼합 배치된 것이 된다고 생각된다(특허 문헌 1).
상기한 구성의 경우에는, 보강 프리프레그 시트를 시공하고 있기 때문에, 장대의 휨 등에 대하여는, 강도를 높게 할 수 있어 충분한 것이지만, 한 가지 문제가 있다. 그것은, 채비를 캐스팅하였을 때에,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의 압접상태가 느슨하면, 초릿대가 초릿대 다음 장대로부터 튀어나와 이간하는 일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양(兩) 이음매부에 대한 표면 정도(精度)를 리머(reamer) 가공이나 센터리스 가공을 이용하여 더욱 높이면, 이번은 너무 단단히 죄여, 낚시가 끝나 마무리 준비를 하여야 할 때에, 초릿대가 초릿대 다음 장대로부터 빠져나갈 수 없게 되어, 마무리 처리에 곤궁(困窮)한 일도 일어나고 있었다.
다만, 초릿대 다음 장대로서 맨드릴(mandre1)에 권회되는 메인 프리프레그 시트로서, 장대 축선에 대하여서 강화 섬유를 경사시킨 메인 프리프레그 시트를 채용하는 것이 있다. 이것으로는, 소경 측 장대가 중실(中實) 봉상체(棒狀體)이고, 다수의 강화 섬유를 장대 축선 방향으로 혼합 배치한 묶음에 수지를 함침(含浸)시켜 굳힌 것이고, 표면은 장대 축선 방향을 따른 강화 섬유가 표출하고 있다(특허 문헌 2).
이와 같이, 소경 측 장대의 강화 섬유를 장대 축선 방향으로 혼합 배치한 것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초릿대의 튀어나옴 현상을 방지할 수는 없고, 접착제를 도포한다고 하는 일도 행해지고 있다. 그렇게 하면, 상기한 바와 것이, 마무리 처리 시에 고착 상태를 해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는 해결할 수 있지는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조작시에 있어서는, 채비 등을 흔들어 넣는 조작을 할 때에도 장대 초리 쪽 장대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로부터 빠져나가는 소위 '쑥 빠짐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마무리 처리하여 귀가 준비를 할 때에는,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낚싯대의 이음매부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구성]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를, 상기 장대 초리 쪽 장대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손잡이 쪽 장대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의 압접상태에 의하여 낚시조작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상태와, 상기 압접상태를 해제하여 비낚시조작상태로 이간시키는 비고정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의 표면에, 장대 축선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 가지런히 된 강화 섬유를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배치하고,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 표면의 강화 섬유와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 표면의 강화 섬유를 같은 경사 방향으로 설정하고, 또한, 상기 장대 축선과 강화 섬유가 이루는 끼움각 Θ가 45°≤Θ<90°로 설정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즉,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 표면의 강화 섬유와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 표면의 강화 섬유를 같은 경사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양 이음매부의 강화 섬유가 나사산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발휘하고, 양자를 일방(一方)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면 양 이음매부의 압접상태를 단단히 조여 가게 되고, 반대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면 비압접상태 측으로 느슨하게 하여 간다.
특히, 상기 장대 축선과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가 이루는 끼움각 Θ가 45°≤Θ<90°로 설정하고 있는 것에 의하여,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가 장대 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상태, 즉, 장대 축선으로부터 상승한 상태에 가까워지고, 양 이음매부의 강화 섬유끼리의 맞물림이 양호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조작시에 있어서는, 단단히 조이고, 쑥 빠짐 현상, 및, 채비 투입 시에 낚싯줄 가이드에 관련되는 토크(torque)에 의한 둘레 방향 어긋남 등을 억제하고, 비낚시조작시의 경우는, 느슨하게 하여, 마무리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효과]
따라서, 약간의 상대 회전 조작을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에 가하는 것에 의하여, 낚시조작시와 비낚시조작시의 어느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구성]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를, 상기 장대 초리 쪽 장대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손잡이 쪽 장대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의 압접상태에 의하여 낚시조작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상태와, 상기 압접상태를 해제하여 비낚시조작상태로 이간시키는 비고정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의 일방의 표면에, 장대 축선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 가지런히 된 강화 섬유를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배치하고,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의 타방(他方)의 표면에, 부직포제의 시트를 배치하고, 또한, 상기 장대 축선과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가 이루는 끼움각 Θ가 45°≤Θ<90°로 설정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일방이 부직포인 만큼 양(兩) 강화 섬유의 맞물림은 청구항 1 정도는 아니지만,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를 상대 회전시겼을 경우에, 양 이음매부의 감합(嵌合)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점은 청구항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약간의 상대 회전 조작을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에 가하는 것에 의하여, 낚시조작시와 비낚시조작시의 어느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구성]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장대 초리 쪽 장대가 장대 초리 쪽에 위치하는 중실 봉상 또는 중공 통상(中空筒狀)의 소경(小徑) 초리 쪽 장대이며, 상기 장대 손잡이 쪽 장대가 장대 손잡이 쪽에 위치하는 중공 통상의 대경(大徑) 초릿대 다음 장대이고,
(a) 상기 소경 초리 쪽 장대의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를, 상기 대경 초릿대 다음 장대의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 내에 감합하여 고정상태를 만들어 내는 꽂기식의 장대
(b) 상기 대경 초릿대 다음 장대의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를, 상기 소경 초리 쪽 장대의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 내에 감합하여 고정상태를 만들어 내는 역꽂기식의 장대
(c)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 또는,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가 경사 외주면을 형성한 인롱(印籠) 심재이고, 인롱 심재를 상대 측 이음매부에 감합하여 고정상태를 만들어 내는 인롱계식의 장대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꽂기 장대, 역꽂기 장대, 인롱 장대는 그 구조상, 장대 초리 쪽 장대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를 감합시키는데, 일방을 타방의 이음매부에 대하여 끼워 넣어 감합시키는 방식이다. 그 때문에, 이음매부끼리의 감합력이 약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쑥 빠짐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강화 섬유의 방향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경사시켜, 또한, 상기 장대 축선과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가 이루는 끼움각 Θ가 45°≤Θ<90°로 설정한다고 하는 개량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쑥 빠짐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마무리 때에는 반대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느슨하게 하는 조작을 할 수 있고, 이 점에서도 유용한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구성]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의 일방에 경사 외주면을 형성하고,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의 타방에 경사 내주면을 형성하여,
(a) 상기 소경 초리 쪽 장대의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를, 상기 대경 초릿대 다음 장대의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 내에 감합하여 고정상태를 만들어 내는 꽂기식의 장대
(b) 상기 대경 초릿대 다음 장대의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를, 상기 소경 초리 쪽 장대의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 내에 감합하여 고정상태를 만들어 내는 역꽂기식의 장대
(c)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 또는,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가 경사 외주면을 형성한 인롱 심재이고, 인롱 심재를 상대측 이음매부에 감합하여 고정상태를 만들어 내는 인롱계식의 장대
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이와 같이 양자의 이음매부에 경사면 구조를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의 이음매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양자의 결합을 좋게 하려고 하고 있는 구성에 나아가, 본 발명의 구성인 강화 섬유의 경사 방향에 생각을 할당하여 구성을 도입하는 것에 의하여, 더욱,'쑥 빠짐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경사면 구조를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면 약간의 회전 각도이어도, 양 이음매부의 접촉면은 즉시 이간하는 곳으로부터, 마무리 처리도 용이한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구성]
청구항 5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장대 초리 쪽 장대가 장대 초리 쪽에 위치하는 중공 통상의 소경 초리 쪽 장대이며, 상기 장대 손잡이 쪽 장대가 장대 손잡이 쪽에 위치하는 중공 통상의 대경 초릿대 다음 장대이고, 상기 소경 초리 쪽 장대의 장대 손잡이단부의 외주면에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대경 초릿대 다음 장대의 장대 초리단부의 내주면에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를 형성하고, 상기 소경 초리 쪽 장대를 상기 대경 초릿대 다음 장대로부터 뽑아내고,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의 외주면을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의 내주면에 압접시켜 상기 고정상태를 만들어 내는 뽑이식의 장대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뽑이식 장대에 있어서는, 장대 손잡이 쪽 장대의 장대 손잡이 쪽 개구단으로부터 장대 초리 쪽 장대를 삽입하여 장대 초리 쪽 개구단으로부터 뽑아내어, 장대 초리 쪽 장대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를 장대 손잡이 쪽 장대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에 내감합(內嵌合)시켜 낚시 조작용의 고정상태를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에,'쑥 빠짐 현상'은 비교적 적다고 생각되지만, 낚시 조작을 행하고 있는 사이에, 장대 초리 쪽 장대가 장대 손잡이 쪽 장대에 대하여 장대 초리 쪽으로 이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사용이 진행될수록, 이음매부끼리의 감합력이 높아져 간다. 그렇게 하면, 마무리 처리에 곤란을 수반하지만, 그와 같은 경우이어도, 반대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음매부의 고착(固着) 현상을 해제할 수 있고, 마무리 처리를 확실히 행할 수 있다.
[구성]
청구항 6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상기 장대 손잡이 쪽 장대에,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가 특정의 상대 위치 관계로 설정된 것을 나타내는 지표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이와 같이 지표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의 현상의 상대 위치 관계를 곧바로 눈으로 볼 수 있고, 고정상태 또는 비고정상태를 만들어 내는 것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눈으로 볼 수 있다고 하는 점으로부터는, 가이드의 존재에 의하여도 파악할 수 있지만,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의 근방에 가이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이드를 지표로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고정상태 등에 조정할 때에, 장대에 대한 회전 방향 등을 지표로서 짜넣고 있으면, 매우 사용하기 쉬운 친절 설계가 된다.
본원 발명은, 낚시조작시에는 채비를 투입할 때에도 장대 초리 쪽 장대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낚시를 끝내 마무리 처리 할 때에는 확실히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를 분리할 수 있는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를 제공한다.
도 1(a)는, 장대 초리 쪽 장대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의 연결 부분을 도시하는 꽂기 장대의 종단 측면도, 도 1(b)는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와의 연결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2(a)는, 장대 초리 쪽 맨드릴부와 장대 손잡이 쪽 맨드릴부를 연결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노치(notch) 측면도, 도 2(b)는, 장대 초리 쪽 맨드릴부와 장대 손잡이 쪽 맨드릴부와의 연결 후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2(c)는, 최내층(最內層)을 구성하는 유리 강화 섬유제 프리프레그를 도시하는 전개도, 도 2(d)는, 최내층을 맨드릴에 권회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e)는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권회하여 내측 테이프층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f)는, 중간 시트층을 형성하는 프리프레그 시트를 도시하는 전개도, 도 3(g)는,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여 중간 시트층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h)는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권회하여 외측 테이프층 및 보강 프리프레그를 권회하여 보강층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장대 손잡이 쪽 장대의 장대 초리 부분을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5(a)는, 장대 초리 쪽 장대를 중실 봉상체에 형성하는 경우의 장대 소재(素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b)는, 중실 봉상체를 순(順)테이퍼면의 장대 초리 쪽 부분과 역(逆)테이퍼면의 장대 손잡이 쪽 부분에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c)는 중실 봉상체에 순테이퍼면의 장대 초리 쪽 부분과 역테이퍼면의 장대 손잡이 쪽 부분에 형성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센터리스 연마기, 도 5(d)는 중실 봉상체의 장대 손잡이 쪽 부분에 장대 손잡이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e)는, 중실 봉상체의 장대 손잡이 쪽 부분에 장대 손잡이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기 끝낸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뽑이 장대에 있어서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를 감합시켜 고정상태를 도시하는, 다른 실시 구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7은, 인롱 심재를 사용하여,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하는, 다른 실시 구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8(a)는, 테스트용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를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 내에 삽입하여 감합 상태를 만들어 내는 측면도, 도 8(b)는 인장력 측정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c)는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9는, 장대 초리 쪽 장대를 도시하는, 다른 실시 구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0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를 도시하는, 다른 실시 구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가 특정의 상대 위치 관계로 설정된 것을 도시하는 지표를 시공한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원 발명은, 장대 초리 쪽 장대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를 감합하여 연결하는 낚싯대에 있어서, 채비를 투입할 때에 장대 초리 쪽 장대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를 떨어져 튀어나오는 소위 '쑥 빠짐 현상'이나, 낚시를 끝내는 단계에서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가 분리하지 않는 소위 '고착 현상'을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는 낚싯대의 장대 손잡이단 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꽂기 장대(A)는, 장대 초리 쪽 장대(1)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손잡이 쪽 단부의 외주면을 손잡이 쪽으로 갈수록 축경(縮徑)하는 역테이퍼면(1a)으로 형성하고,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 쪽 개구단 내의 내주면을 역테이퍼면(2a)에 형성하여,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손잡이 쪽 단부를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 쪽 개구단 내에 감합하고 있다.
꽂기 장대(A)로서 연결되는 장대의 갯수는 이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장대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낚싯줄 가이드가 설치되고, 또한, 손잡이대에는 릴 시트를 설치하여, 루어(1ure)로 낚시를 즐기는 꽂기 장대(A)를 제시한다.
꽂기 장대(A)에 있어서의 장대 초리 쪽 장대(1) 등은 다음과 같이 제작된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선을 따라 묶은 유리 강화 섬유의 묶음(500개 ~ 1000개)을 열강화성 수지액 내에 잠기게 하여 그 수지를 함침시킨 후 다이스(dies)로부터 뽑아내고 소정 길이로 재단하여 중실 봉상의 장대 소재를 형성한다. 여기서, 강화 섬유로서는 탄소 섬유 등도 사용할 수 있지만, 탄소 섬유 등에 비하여 인장 탄성률이 낮고 유연성이 높은 유리 섬유를 채용한다. 사용하는 유리 섬유의 인장 탄성률로서는, 5Ton/mm2 ~ 15Ton/mm2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실 봉상체로 마무리된 장대 초리 쪽 장대(1)를, 도 5(c)에 도시하는 센터리스 연마기(C)에 의하여,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초리 쪽 부분(1A)을 장대 손잡이 쪽으로 갈수록 대경화하는 순테이퍼면으로 형성하고, 장대 초리 쪽 부분(1A)의 장대 손잡이 쪽에 장대 손잡이 쪽 부분(1B)을 배열하고, 장대 손잡이 쪽 부분(1B)을 장대 손잡이 쪽으로 갈수록 소경화하는 역테이퍼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초리 쪽 부분(1A)의 후단부로부터 장대 손잡이 쪽 부분(1B)의 전역에 걸쳐, 탄소 섬유제의 장대 손잡이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9)를 권회한다. 장대 손잡이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9)는, 장대 초리 쪽으로 갈수록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재단되어 있고, 두께는 2 ~ 3mm/1000이고, 3프라이(p1y) 권회된다. 권회된 상태에서는, 장대 손잡이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9)의 강화 섬유(c)의 방향은, 장대 축선(X)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 혼합 배치되어, 나선상(螺旋狀)을 나타내고 있다.
도 5(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손잡이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9)를 3프라이 권회된 장대 초리 쪽 장대(1)에 대하여, 소성(燒成) 처리에 의하여, 수지와 강화 섬유(c)가 일체화하여 단단해진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 쪽 외주면에, 도 5(c)에 도시하는 센터리스 연마기(C)에 의하여 표면 연마하여 소망하는 표면 정도(精度)와 경사를 확보하여,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를 형성한다. 강화 섬유(c)와 장대 축선(X)이 이루는 끼움각 Θ는 45°≤Θ<90°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50°<Θ<70°의 범위이다.
다음으로,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제조 공정에 관하여, 맨드릴(3)의 구조로부터 설명한다. 도 2(a)(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맨드릴(3)은, 장대 초리 쪽 맨드릴부(3A)와 장대 손잡이 쪽 맨드릴부(3B)로 구성된다. 맨드릴(3)은, 통상(通常), 강철, 스텐레스, 티탄 등의 강재로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크롬 도금 등으로 표면 도장을 시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장대 초리 쪽 맨드릴부(3A)는, 초리 쪽 단으로부터 손잡이 쪽 단에 걸쳐, 파이프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외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역테이퍼면을 가지는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대 손잡이 쪽 맨드릴부(3B)는, 초리 쪽 단으로부터 손잡이 쪽 단에 걸쳐, 원주(圓柱)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외경이 서서히 커지는 정(正)테이퍼면을 가지는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장대 손잡이 쪽 맨드릴부(3B)의 초리 쪽 단에는, 인롱 심부(3b)가 형성되어 있고, 장대 초리 쪽 맨드릴부(3A)의 파이프 형상의 내부 공간을 이용한 손잡이 쪽의 계합(係合)용 구멍(3a) 내에 걸리게 하여 삽입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되는 장대 초리 쪽 맨드릴부(3A)와 장대 손잡이 쪽 맨드릴부(3B)는, 인롱 심부(3b)가 손잡이 쪽에 형성된 계합용 구멍(3a) 내에 삽입 계합되고, 인롱 심부(3b)의 손잡이 쪽에 형성된 단차부(3d)가 장대 초리 쪽 맨드릴부(3A)의 손잡이 쪽 개구단(3c)에 당접(當接)한 상태로 삽입 계합이 완료하고, 맨드릴(3)을 일체 연결 형성한다. 그 상태가 도 2(b)로 도시되어 있다.
덧붙여, 장대 초리 쪽 맨드릴부(3A)의 장대 초리단부, 및, 장대 손잡이 쪽 맨드릴부(3B)의 장대 손잡이단부에는, 공구 계지(係止)용의 구멍(3e, 3f)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구 계지용의 구멍(3e, 3f)에 걸고 계지구를 취부(取付)하고, 인발(引拔) 실린더 등을 사용하여, 장대 초리 쪽 맨드릴부(3A)와 장대 손잡이 쪽 맨드릴부(3B)를 분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장대 손잡이 쪽 장대(2)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내층(2A)과, 그 외측에 내측 테이프층(2B)과, 내측 테이프층(2B)의 외측에 중간 시트층(2C)과, 그 외측에 외측 테이프층(2D)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외측 테이프층(2D)의 외측에는 장대 초리 쪽과 장대 손잡이 쪽에 보강층(2E)이 설치된다.
최내층(2A)은, 장대 초리 쪽 단으로부터 일정 범위의 길이만큼 설치되고, 내측에 장대 손잡이 쪽으로 갈수록 축경하는 역테이퍼면(2a)과 역테이퍼면(2a)의 손잡이 쪽으로부터 더욱 손잡이 쪽으로 갈수록 확경하는 정테이퍼면(2b)으로 이루어지는 내주면을 가지고 있다.
최내층(2A)은, 역테이퍼상(狀) 내주면 측과 상기 정테이퍼상 내주면 측에 걸치는 일정 범위에 있어서, 유리 강화 섬유제의 프리프레그 시트(4)를 권회하고 있다.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 시트(4)는 유리제 강화 섬유(d)를 장대 축선(X)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 혼합 배치하고, 에폭시 수지나 PET 수지를 함침시켜, 시트로 재단된 프리프레그이다.
유리 강화 섬유제의 프리프레그 시트(4)의 장대 초리 쪽 단변(短邊)(4a)은 장대 축선(X)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 되고, 장대 손잡이 쪽 단변(4b)은 장대 축선(X)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경사하는 상태로 절단하고 있다. 나머지의 2변은, 장대 축선(X)에 대하여 평행한 변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리 강화 섬유제의 프리프레그 시트(4)에 의하여,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에 형성하고 있다. 강화 섬유(d)와 장대 축선(X)이 이루는 끼움각 Θ는 45°≤Θ<90°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50°<Θ<70°의 범위이다. 따라서, 상기한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의 표면 강화 섬유의 장대 축선(X)에 대한 경사 각도와 경사 방향을 일치시키고 있다.
프리프레그 시트(4)의 구성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어도 무방하다.
(a) 유리제 강화 섬유(d)를 장대 축선(X)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 혼합 배치한 시트와 장대 축선(X)을 사이에 두고 반대 쪽으로 경사하는 방향으로 혼합 배치한 시트를 포개어 맞춘 바이어스(bias)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b) 유리 강화 섬유제의 프리프레그 시트(4)는, 유리제 강화 섬유(d)를 장대 축선(X)에 대하여 경사하는 상태로 또한 그 섬유를 교차하는 상태로 엮은 크로스 섬유에, 에폭시 수지나 PET 수지를 함침시켜, 시트로 재단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c) 유리제 강화 섬유(d)를 카본제 강화 섬유(c)로 변경하여, 상기 시트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재단된 유리 강화 섬유제 프리프레그 시트(4)의 장대 초리 쪽 단변(4a)을, 도 2(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맨드릴(3)의 장대 초리 쪽 맨드릴부(3A)의 초리 쪽 단에 맞춘 상태로 권회한다. 유리 강화 섬유제 프리프레그 시트(4)는, 장대 초리 쪽 맨드릴부(3A)의 역테이퍼상 외주면과 장대 손잡이 쪽 맨드릴부(3B)의 정테이퍼상 내주면과의 접속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역테이퍼상 외주면 측과 정테이퍼상 외주면 측에 걸치는 일정 범위에 있어서 권회되어 있다.
다음으로, 내측 테이프층(2B)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테이프층(2B)으로 사용되는 것은, 세폭(細幅)의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5)이고, 카본제 강화 섬유가 복수 개 평행하게 테이프 긴쪽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그것에 에폭시 수지 등을 함침시켜 프리프레그 테이프로 하고 있다.
이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5)를, 맨드릴(3)에 감긴 최내층(2A)의 위로부터, 또한, 장대 손잡이 쪽으로부터 순차(順次) 나선상으로 권회하여, 내측 테이프층(2B)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중간 시트층(2C)을 형성한다. 도 3(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시트층(2C)을 형성하는 것은, 대략 가늘고 긴 사다리꼴 형상의 중간 프리프레그 시트(6)이다. 중간 프리프레그 시트(6)는, 카본제 강화 섬유(c)를 장대 둘레 방향 및 장대 축선 방향으로 평행하게 혼합 배치하고 교차 배치한 것에 에폭시 수지 등을 함침시켜 시트 형상으로 재단된 것이다.
상기한 프리프레그 시트(6)는, 장대 초리 쪽 단변(6A)과 장대 손잡이 쪽 단변(6B)이 장대 축선(X)에 대하여 직교하는 상태로 재단되어 있고, 내측 테이프층(2B)의 위에 최초로 감기는 감기 시작 단변(6C)은 대략 장대 축선(X)에 평행하게 재단되고, 감기 끝 단변(6D)은, 장대 손잡이 쪽으로 갈수록 장대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는 직선으로 재단되어 있다. 그리고, 장대 초리 쪽 단변(6A)과, 그 장대 초리 쪽 단변(6A)에 직교하는 감기 시작 단변(6C)과의 교차 위치에, 장대 초리 쪽 단변(6A)과 감기 시작 단변(6C)과의 어느 쪽에도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절취면(切取面)(6a)이 형성되어, 장대 초리 쪽 단변(6A)을 향하는 것에 따라 절취면(6a)이 장대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는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중간 시트층(2C)의 장대 초리 쪽의 형상에 있어서 절취면(6a)에 의한 노치 부분을 설치하고 있는 것은, 최내층(2A)을 역테이퍼상 내주면 측과 정테이퍼상 내주면 측에 걸치는 일정 범위에 있어서 설치하고 있는 것과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고, 중간 시트층(2C)을 내측 테이프층(2B) 위에 권회한 경우에, 도 3(g)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면의 테이퍼 형상을 손잡이 쪽으로 갈수록 확경하는 상태로 하기 위한 것이다.
프리프레그 시트(6)의 구성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어도 무방하다.
(a) 강화 섬유(c)를 장대 둘레 방향으로 혼합 배치한 시트와 장대 축선 방향으로 혼합 배치한 시트를 포개어 맞춘 바이어스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b) 강화 섬유(c)를 장대 둘레 방향으로 혼합 배치한 시트만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c) 강화 섬유(c)를 장대 축선 방향으로 혼합 배치한 시트만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d) 장대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는 상태의 강화 섬유(c)와, 장대 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는 상태의 강화 섬유(c)를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엮은 시트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외측 테이프층(2D)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h)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테이프층(2D)으로 사용되는 것은, 세폭의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이고, 카본제 강화 섬유(c)가 복수 개 평행하게 테이프 긴쪽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그것에 에폭시 수지 등을 함침시켜 프리프레그 테이프로 하고 있다.
이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를, 맨드릴(3)에 감긴 중간 시트층(2C)의 장대 초리 쪽 선단으로부터 순차 나선상으로 권회하여, 외측 테이프층(2D)을 형성한다.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5)와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는, 모두, 장대 축선(X)에 대하여 경사하는 상태로 또한 나선상을 그리도록 권회하고 있지만, 그 감는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고, 교차하도록 감겨져 있다. 이것에 의하여, 장대 손잡이 쪽 장대(2)로서 강도가 높은, 특히 비틀림에 강한 장대를 형성할 수 있다.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5)와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의 감기 시작 위치로서는, 장대 초리 쪽 또는 장대 손잡이 쪽 중 어느 것이라도 선택할 수 있고, 임의이다. 요(要)는, 서로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5)와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가 반대 방향으로 권회되어 있으면 된다.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5)와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의 각각의 권회 형태로서는, 나선상으로 권회된 인접하는 가는 폭(테이프 폭)끼리, 일부 겹치도록, 또는, 밀착하도록, 혹은, 조금 간극을 여는 상태일 것이어도 무방하다.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를 권회한 후에는, 도 2(h)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초리단과 장대 손잡이단에 축심 길이가 짧은 보강 프리프레그(8)를 권회한다. 보강 프리프레그(8)는, 강화 섬유(c)를 교차시키는 상태로 엮은 크로스 섬유제인 것이다. 장대 초리단과 장대 손잡이단에 배치된 보강 프리프레그(8)로 보강층(2E)을 구성한다.
다만,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강화 섬유(c)를 일 방향으로 혼합 배치한 프리프레그를 2매(枚) 가지런히 하고, 서로 강화 섬유(c)가 교차하도록 겹치는 바이어스식인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보강 프리프레그(8)를 권회한 후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감아 조이는 테이프를 외측에 권회하고, 맨드릴(3)마다 소성하고, 꺼낸 후, 감아 조이는 테이프를 박리한다.
그 후, 공구 계지용의 구멍(3e, 3f)을 통하여 연계된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장대 초리 쪽 맨드릴부(3A)를 장대 초리 쪽으로, 장대 손잡이 쪽 맨드릴부(3B)를 장대 손잡이 쪽으로 뽑아내어, 장대와 맨드릴(3)을 분리한다. 그 후, 소정의 도장, 소정 길이로 커트하여 장대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역테이퍼면(2a)을 가지는 장대이어도, 장대 초리 쪽 맨드릴부(3A)를 장대 초리 쪽으로 뽑아내는 제조 방법의 채용에 의하여, 리머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강화 섬유(c, d)가 절단되지 않고, 수지면이 거칠어지지 않는 원활한 내주면을 얻을 수 있다.
덧붙여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를 구성하는 장대 초리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4)의 강화 섬유(d)와,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를 구성하는 장대 손잡이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9)의 강화 섬유(c)는, 장대 축선(X)에 대하는 경사 각도(장대 축선(X)과 강화 섬유가 이루는 끼움각) Θ를 같게 하고, 또한, 원주 방향에서 같은 방향으로 나선을 그리도록 구성하고 있다. 강화 섬유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피치는,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가 감합하고 있는 상태로, 수(雄)나사와 암(雌)나사와 같이, 서로 동(同)피치로 산과 골짜기가 겹치도록 서로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와,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를 조합하여, 고정 시의 감합력을 측정해 보았다. 그 결과를 도 8에 도시한다.
(1)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와,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를 느슨하게 조합한 상태로, 추(錘)(W)로 소정량 l1=10mm만큼 밀어 넣고, 정규의 이음매 상태로 설정한다.
(2) 다음으로,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선단에 인장 측정기(10)를 장착하고, 또한,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 위치에,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와 장대 초리 쪽 장대(1)와의 원주 방향에서의 상대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상대 각도 측정기(14)를 장착하여, 측정한다.
(3)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와,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를, 강하게 감합하는 강(强)감합 상태(고정상태)와 느슨하게 감합하는 완(緩)감합 상태(비고정상태)와, 양자의 중간 상태를 기준 상태로 한다. 기준 상태로부터 일방 방향으로 약 30°(즉 +30°) 회전시키면 완감합 상태를 설정할 수 있고, 기준 상태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약 30°(즉 -30°) 회전시키면 강감합 상태(비고정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4) 그리고, 기준 상태로부터 +30°, -30° 회전시킨 상태에서의 인장에 대항하는 감합력을 측정하였다.
(5) 덧붙여서, 본 발명품의 구성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와,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 모두, 강화 섬유(d, c)의 권회 방향은 동일하고 또한 경사 각도(대(對)축선 경사) Θ=60°이다. 반대로, 종래품의 경우는,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와,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 모두, 축선(X)을 따른 방향(대축선 경사) Θ=0°이다.
(6) 이상과 같이 한 테스트의 실적을 도 8(c)에 도시한다. 이 테스트 결과에 의하면, 발명품에 의하면, 강감합 상태에서는 종래품의 2배 이상의 감합력(138, 6N)을 나타내고 있고, 완감합 상태에서는 종래품의 6할 가까운 뽑아냄 힘으로 장대 초리 쪽 장대(1)를 장대 손잡이 쪽 장대(2)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기준 상태로부터 상대 회전시켜 강감합 상태로 전환할 때의 상대 회전시키는 것에 필요로 하는 상대 회전 토크도 종래품에 비하여 1.5배 가까운 토크를 필요로 하고, 강감합 상태로 전환된 것을 실감할 수 있는 것이 되었다.
다음으로, 상기한 기준 상태로부터 강감합 상태(고정상태) 및 완감합 상태(비고정상태)로 전환 조작할 때에, 도움이 되는 지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의 각각의 외주면에,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와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가 특정의 상대 위치 관계로 설정된 것을 나타내는 지표(13)가 설치되어 있다.
지표(13)로서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은 원을 채용한다. 또는, 검은 원(13)보다 세선(細線)(13A)을 서로 상대 측을 향하여 연장하고, 서로의 세선(13A)이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에 있어서 일치하는 것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이 지표(13)에 의하여 특정의 상대 위치 관계로 설정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로서는, 아래와 같은 것이 있다.
(a) 지표(13)가 강감합 상태(고정상태)를 나타낸다.
(b) 지표(13)가 완감합 상태(비고정상태)를 나타낸다.
(c) 지표(13)가 기준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지표(13)로서는, 검은 원을 채용하고 있지만, 각종의 기호 도형 등을 기재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관하여는, 검은 원(13)에서의 간소한 구성의 것을 나타내었지만,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조작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13B)나 설명문(13C)을 추가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보다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고 생각된다. 설명문으로서는,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LOCK(괄호 붙임) 및 비고정상태를 나타내는 RELEASE(괄호 붙임)를 부여한다.
여기서는, 원(13)이 기준 상태를 나타내고, LOCK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켜 비틀림 조작하면 고정상태를 현출할 수 있다. 반대로 RELEASE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켜 비틀림 조작하면 비고정상태를 현출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
장대 초리 쪽 장대(1)로서는, 중실 봉상체는 아니고, 원통상(圓筒狀)의 것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즉, 탄소 섬유제의 강화 섬유(c)(또는 유리제의 강화 섬유(d))를 일방향으로 혼합 배치하고, 그 혼합 배치 강화 섬유군에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프리프레그 시트를 형성한다.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프리프레그 시트(10A, 10B)를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재단한 복수의 것을 맨드릴(3)에 권회한다. 여기서는, 강화 섬유(c, d)를 원주 방향으로 혼합 배치한 프리프레그 시트(10A)와 강화 섬유(c, d)를 축선 방향으로 혼합 배치한 프리프레그 시트(1OB)를 맨드릴(3)에 권회한다.
다음으로, 중실 봉상체와 마찬가지로,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에 감합할 수 있도록,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를 형성하는 연삭 가공을 행한다. 도 5(c)에 도시하는 센터리스 연마기(C)에 의하여,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손잡이 쪽으로 갈수록 대경화하는 순테이퍼면으로 형성하고 있는 장대 초리 쪽 부분(1A)의 장대 손잡이 쪽에 장대 손잡이 쪽 부분(1B)을 배열하고, 장대 손잡이 쪽 부분(1B)을 장대 손잡이 쪽으로 갈수록 소경화하는 역테이퍼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9(c)(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초리 쪽 부분(1A)의 후단부로부터 장대 손잡이 쪽 부분(1B)의 전역에 걸쳐, 탄소 섬유제의 장대 손잡이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9)를 권회한다. 장대 손잡이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9)는, 장대 초리 쪽으로 갈수록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재단되어 있고, 두께는 2 ~ 3mm/1000이고, 3프라이 권회된다. 권회된 상태에서는, 장대 손잡이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9)의 강화 섬유(c)의 방향은, 장대 축선(X)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 혼합 배치되어, 나선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9(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손잡이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9)를 3프라이 권회된 장대 초리 쪽 장대(1)에 대하여, 소성 처리에 의하여, 수지와 강화 섬유(c)가 일체화하여 단단해진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 쪽 외주면에, 5(c)에 도시하는 센터리스 연마기(C)에 의하여 표면 연마하여 소망하는 표면 정도와 경사를 확보하여,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를 형성한다. 도 9(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화 섬유(c)와 장대 축선(X)이 이루는 끼움각 Θ는 45°≤Θ<90°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50°<Θ<70°의 범위이다.
프리프레그를 구성하는 강화 섬유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탄소섬유 이외에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알루미나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 외에, 페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나 PV(E)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리프레그로서는, 강화 섬유를 엮은 직물에 수지를 함침시켜 구성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다른 실시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결 분리 가능한 2개의 맨드릴(3A, 3B)을 사용하여 장대 손잡이 쪽 장대(2)를 형성하였지만, 여기서는 단일의 맨드릴(3)에 의하여, 장대 손잡이 쪽 장대(2)를 작성한다.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를 형성하기 위하여, 탄소 섬유제의 장대 초리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11)를 권회한다. 장대 초리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11)는, 장대 손잡이 쪽으로 갈수록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재단되어 있고, 두께는 2 ~ 3mm/1000이고, 3프라이 권회된다. 권회된 상태에서는, 장대 초리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11)의 강화 섬유(c)의 방향은, 장대 축선(X)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 혼합 배치되어, 나선상을 나타내고 있다.
장대 초리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11)를 권회된 장대 소재에 대하여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매의 프리프레그 시트(12A, 12B, 12C)를 권회한다. 이들 3매의 프리프레그 시트는, 내측으로부터 강화 섬유(c)가 원주 방향으로 혼합 배치된 내측 프리프레그 시트(12A)와, 강화 섬유(c)가 축선 방향으로 혼합 배치된 중간 측 프리프레그 시트(12B)와, 강화 섬유(c)가 원주 방향으로 혼합 배치된 외측 프리프레그 시트(12C)인 3매이다.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매의 프리프레그 시트(12A, 12B, 12C)가 권회된 장대 소재에 대하여 맨드릴(3)과 함께, 소성 처리를 행하고, 맨드릴(3)을 탈심(脫芯)한다. 소성 후, 수지와 강화 섬유(c)가 일체화하여 단단해진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 쪽 내주면에, 도 10(d)(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머(R)에 의하여 내면 연마하여 소망하는 표면 정도와 경사를 확보하여,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를 형성한다. 도 10(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화 섬유(c)와 장대 축선(X)이 이루는 끼움각 Θ는 45°≤Θ<90°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50°<Θ<70°의 범위이다.
장대 초리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11) 대신에, 두꺼운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권회하여도 무방하다.
[제2 실시 형태]
여기서는,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제1 실시 형태로 나타낸,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 쪽 외주면과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 쪽 내주면과의 일방에, 상기한 축심 길이가 짧은 탄소 섬유제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고,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 쪽 외주면과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 쪽 내주면과의 타방에, 부직포를 배치하여,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부직포는, 강화 섬유(c)를 혼합 배치한 것에 수지를 함침시켜 시트 형상으로 한 것은 아니고, 섬유를 열적·기계적 또는 화학적인 작용에 의하여 접착하게 하거나 또는 얽히게 하는 것으로 옷감으로 한 것이고, 섬유의 방향은 랜덤이다.
프리프레그 시트에 관하여는,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 중 어느 일방에 시공할 때에, 상기한 두께, 종횡의 넓이 등을 가지고, 3프라이분 권회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장대 초리 쪽 장대(1)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를 일방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면, 장대 초리 쪽 장대(1)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 내에 더욱 비집고 들어가는 상태가 되고, 이음매부(1C, 2F)가 단단히 죄여 쑥 빠짐 현상 등이 억제된다. 한편,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각각 상대 회전시키면, 장대 초리 쪽 장대(1)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로부터 멀어질 방향으로 이동하고, 양자의 고착 상태가 완화되고, 장대 초리 쪽 장대(1)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로부터 분리되어, 마무리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여기서는, 뽑이 장대(B)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장대 초리 쪽 장대로부터 장대 손잡이 쪽 장대를 5 ~ 6개 구비한 뽑이 장대(B)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초리 쪽 장대(1)를 장대 손잡이 쪽 장대(2)로부터 뽑아내어 낚시 상태로 설정하는 경우에,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가 감합하는 상태에 있다. 이 경우에,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1C)의 표면에 표출한 강화 섬유(c, d)의 장대 축선(X)에 대한 경사 방향과 향하는 쪽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2F)의 표면에 표출한 강화 섬유(c, d)의 장대 축선(X)에 대한 경사 방향과 향하는 쪽과 동일하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강화 섬유(c, d)와 장대 축선(X)이 이루는 끼움각 Θ는 45°≤Θ<90°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50°<Θ<70°의 범위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장대 초리 쪽 장대(1)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를 일방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면, 장대 초리 쪽 장대(1)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로부터 더욱 돌출하는 상태가 되고, 이음매부(1C, 2F)가 단단히 죄여 쑥 빠짐 현상 등이 억제된다. 한편,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각각 상대 회전시키면, 장대 초리 쪽 장대(1)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 내에 비집고 들어가, 양자의 고착 상태가 완화되고, 장대 초리 쪽 장대(1)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 내에 비집고 들어가, 마무리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여기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롱계대(C)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다. 장대 초리 쪽 장대(1)로부터 장대 손잡이 쪽 장대를 향하여 인롱 심재(1c)를 연장하는 것과 함께, 장대 손잡이 쪽 장대(2)로서, 제1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장대를 사용한다. 도 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롱 심재(1c)의 외주면을 장대 손잡이 쪽으로 갈수록 소경인 역테이퍼면으로 형성하는 것과 함께, 그 경사면에 탄소 섬유제의 장대 손잡이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9)를 권회한다. 장대 손잡이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9)는, 장대 초리 쪽으로 갈수록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재단되어 있고, 두께는 2 ~ 3mm/1000이고, 3프라이 권회된다. 권회된 상태에서는, 장대 손잡이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9)의 강화 섬유(c)의 방향은, 장대 축선(X)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 혼합 배치되어, 나선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장대 손잡이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9)를 3프라이 권회된 인롱 심재(1c)에 대하여, 소성 처리에 의하여, 수지와 강화 섬유(c)가 일체화하여 단단해진 외주면에, 도 5(c)에 도시하는 센터리스 연마기에 의하여 표면 연마하여 소망하는 표면 정도와 경사를 확보하여, 인롱 심재(1c)를 형성하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인롱 심재(1c)를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 쪽 단부로부터 돌출시켜, 이음매부(1C)를 형성한다. 강화 섬유(c)와 장대 축선(X)이 이루는 끼움각 Θ는 45°≤Θ<90°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50°<Θ<70°의 범위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장대 초리 쪽 장대(1)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를 일방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면,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인롱 심재(1c)가 더욱 장대 손잡이 쪽 장대(2) 내로 비집고 들어가고, 이음매부(1C, 2F)가 단단히 죄여 쑥 빠짐 현상 등이 억제된다. 한편,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각각 상대 회전시키면, 장대 초리 쪽 장대(1)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로부터 이간하는 상태가 되고, 양자의 고착 상태가 완화되고 양자를 분리하는 마무리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역꽂기 장대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1(a)에 있어서, 장대 초리 쪽 장대(1)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2)를 교체하여 구성하여, 역꽂기 장대를 구성한다. 즉, 장대 손잡이 쪽 장대(2)의 장대 초리단부를 장대 초리 쪽으로 갈수록 소경화하는 테이퍼 외주면으로 형성하고, 또한, 장대 초리 쪽 장대(1)의 장대 손잡이단부에, 장대 손잡이 쪽으로 갈수록 대경화하는 테이퍼 내주면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원 발명은, 낚시조작시에는 채비를 투입할 때에도 장대 초리 쪽 장대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낚시를 끝내 마무리 처리 할 때에는 확실히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를 분리할 수 있는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장대 초리 쪽 장대
1A: 장대 초리 쪽 부분
1B: 장대 손잡이 쪽 부분
1a: 역테이퍼면
1C: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
2: 장대 손잡이 쪽 장대
2A: 최내층
2B: 내측 테이프층
2C: 중간 시트층
2D: 외측 테이프층
2E: 보강층
2F: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
2a: 역테이퍼면
2b: 정테이퍼면
3: 맨드릴
3A: 장대 초리 쪽 맨드릴부
3B: 장대 손잡이 쪽 맨드릴부
3a: 계합용 구멍
3b: 인롱 심부
3c: 손잡이 쪽 개구단
3d: 단차부
4: 유리 강화 섬유제 프리프레그 시트
4a: 장대 초리 쪽 단변
5: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
6: 중간 프리프레그 시트
6A: 장대 초리 쪽 단변
6B: 장대 손잡이 쪽 단변
6C: 감기 시작 단변
6D: 감기 끝 단변
6a: 절취면
7: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
8: 보강 프리프레그
9: 장대 손잡이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
10: 인장 측정기
11: 장대 초리단 쪽 프리프레그 시트
12A, 12B, 12C: 프리프레그 시트
13: 지표
13A: 세선
13B: 화살표
13C: 설명문
14: 상대 각도계
A: 꽂기 장대
Θ: 강화 섬유와 장대 축선이 이루는 끼움각
R: 리머
X: 장대 축선
W: 추
c: 카본제 강화 섬유
d: 유리제 강화 섬유

Claims (6)

  1.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를, 상기 장대 초리 쪽 장대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손잡이 쪽 장대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의 압접상태에 의하여 낚시조작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상태와, 상기 압접상태를 해제하여 비(非)낚시조작상태로 이간(離間)시키는 비고정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의 표면에, 장대 축선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 가지런히 된 강화 섬유를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배치하고,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 표면의 강화 섬유와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 표면의 강화 섬유를 같은 경사 방향으로 설정하고, 또한, 상기 장대 축선과 강화 섬유가 이루는 끼움각 Θ가 45°≤Θ<90°로 설정하고 있는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
  2.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장대 손잡이 쪽 장대를, 상기 장대 초리 쪽 장대의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손잡이 쪽 장대의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의 압접상태에 의하여 낚시조작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상태와, 상기 압접상태를 해제하여 비낚시조작상태로 이간시키는 비고정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의 일방(一方)의 표면에, 장대 축선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 가지런히 된 강화 섬유를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배치하고,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의 타방(他方)의 표면에, 부직포제의 시트를 배치하고, 또한, 상기 장대 축선과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가 이루는 끼움각 Θ가 45°≤Θ<90°로 설정하고 있는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대 초리 쪽 장대가 장대 초리 쪽에 위치하는 중실 봉상(中實棒狀) 또는 중공 통상(中空筒狀)의 소경(小經) 초리 쪽 장대이고, 상기 장대 손잡이 쪽 장대가 장대 손잡이 쪽에 위치하는 중공 통상의 대경(大徑) 초릿대 다음 장대이고,
    (a) 상기 소경 초리 쪽 장대의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를, 상기 대경 초릿대 다음 장대의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 내에 감합(嵌合)하여 고정상태를 만들어 내는 꽂기식의 장대
    (b) 상기 대경 초릿대 다음 장대의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를, 상기 소경 초리 쪽 장대의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 내에 감합하여 고정상태를 만들어 내는 역꽂기식의 장대
    (c)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 또는,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가 경사 외주면(外周面)을 형성한 인롱(印籠) 심재이고, 인롱 심재를 상대 측 이음매부에 감합하여 고정상태를 만들어 내는 인롱계식의 장대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있는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의 일방에 경사 외주면을 형성하고,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와의 타방에 경사 내주면을 형성하여,
    (a) 상기 소경 초리 쪽 장대의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를, 상기 대경 초릿대 다음 장대의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 내에 감합하여 고정상태를 만들어 내는 꽂기식의 장대
    (b) 상기 대경 초릿대 다음 장대의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를, 상기 소경 초리 쪽 장대의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 내에 감합하여 고정상태를 만들어 내는 역꽂기식의 장대
    (c)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 또는,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가 경사 외주면을 형성한 인롱 심재이고, 인롱 심재를 상대 측 이음매부에 감합하여 고정상태를 만들어 내는 인롱계식의 장대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있는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대 초리 쪽 장대가 장대 초리 쪽에 위치하는 중공 통상의 소경 초리 쪽 장대이며, 상기 장대 손잡이 쪽 장대가 장대 손잡이 쪽에 위치하는 중공 통상의 대경 초릿대 다음 장대이고, 상기 소경 초리 쪽 장대의 장대 손잡이단부의 외주면에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대경 초릿대 다음 장대의 장대 초리단부의 내주면에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를 형성하고, 상기 소경 초리 쪽 장대를 상기 대경 초릿대 다음 장대로부터 뽑아내고,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의 외주면을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의 내주면에 압접시켜 상기 고정상태를 만들어 내는 뽑이식의 장대를 형성하고 있는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대 초리 쪽 장대와 상기 장대 손잡이 쪽 장대에, 상기 장대 손잡이단 쪽 이음매부와 상기 장대 초리단 쪽 이음매부가 특정의 상대 위치 관계로 설정된 것을 나타내는 지표를 형성하고 있는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
KR1020190082138A 2018-07-09 2019-07-08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 KR202000060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30082 2018-07-09
JP2018130082A JP7165520B2 (ja) 2018-07-09 2018-07-09 釣竿の合わせ部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011A true KR20200006011A (ko) 2020-01-17

Family

ID=6914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138A KR20200006011A (ko) 2018-07-09 2019-07-08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65520B2 (ko)
KR (1) KR20200006011A (ko)
CN (1) CN110692607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670A (ja) 2000-10-11 2002-04-16 Shimano Inc 釣 竿
JP2015100348A (ja) 2013-11-28 2015-06-0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314A (ja) * 1999-12-24 2001-07-03 Ryobi Ltd 釣 竿
JP2002101790A (ja) * 2000-09-28 2002-04-09 Shimano Inc 竿体の嵌合構造
JP4518455B2 (ja) * 2001-01-17 2010-08-04 株式会社シマノ 釣竿の連結構造
JP2003070390A (ja) * 2001-08-31 2003-03-11 Daiwa Seiko Inc 穂先竿又は一本竿
JP3880385B2 (ja) 2001-12-07 2007-02-1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
US20040200123A1 (en) 2003-02-27 2004-10-14 Kenneth Whiting Two piece bonded fishing rod blank and fishing rod
JP4784968B2 (ja) * 2005-03-11 2011-10-0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用の竿体
JP5376594B2 (ja) 2009-11-30 2013-12-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インロー継合構造を有する釣竿
JP6095309B2 (ja) * 2012-09-26 2017-03-15 株式会社シマノ 並継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670A (ja) 2000-10-11 2002-04-16 Shimano Inc 釣 竿
JP2015100348A (ja) 2013-11-28 2015-06-0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92607A (zh) 2020-01-17
CN110692607B (zh) 2022-11-04
JP2020005573A (ja) 2020-01-16
JP7165520B2 (ja)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6101A (en) Double hollow braided rope assembly and method
DE3322104C2 (de) Ziehkopf für Kabel oder dergleichen
DE302002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rohrfoermigen, faserverstaerkten zusammengesetzten welle oder verbundwelle - i
JP2017169869A (ja) 繊維強化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06011A (ko) 낚싯대의 이음매부 구조
CN101909530A (zh) 安全通管丝
EP0610037B1 (en) A joint type fishing r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81251B1 (ko) 낚싯대용 장대 및 낚싯대용 장대의 제조 방법
US3609906A (en) Solid ferrule construction
KR20200034609A (ko) 낚싯대 및 장대
US1924712A (en) Hose coupling
KR20200034610A (ko) 낚싯대 및 장대
CN108847304A (zh) 一种用于多层钢丝铠装拖拽缆的连接装置
JP2002101790A (ja) 竿体の嵌合構造
TWI293020B (ko)
JP4311534B2 (ja) 穂先竿
DE3136076A1 (de) &#34;t-rohrstueck aus faserverstaerktem kunststoff&#34;
JP5422421B2 (ja) 管状体
JP2001314142A (ja) 竿体の嵌合構造
JP6095309B2 (ja) 並継竿
JP4947611B2 (ja) 釣り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05714B1 (ko) 낚싯대
JP3553365B2 (ja) 釣竿
JP2001299157A (ja) 竿体の嵌合構造
JP4315324B2 (ja) 中通し竿及び中通し竿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