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042A - 통신 모듈 - Google Patents

통신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042A
KR20200003042A KR1020197035046A KR20197035046A KR20200003042A KR 20200003042 A KR20200003042 A KR 20200003042A KR 1020197035046 A KR1020197035046 A KR 1020197035046A KR 20197035046 A KR20197035046 A KR 20197035046A KR 20200003042 A KR20200003042 A KR 20200003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terminal
switch
recep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038B1 (ko
Inventor
진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003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46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7/463Duplexers
    • H03H7/465Duplexers having variable circuit topology, e.g. includ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5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03F3/245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53Electrical filters; Controlling thereof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48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the same frequency or frequency band,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7/482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the same frequency or frequency band, to a common load or source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in common antenna syste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004Impedance-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0538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 H03H9/0566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for du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5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diplexing or multiplexing filter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9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low noise amplifier [L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통신 모듈(1)은 입출력 스위치(105), 듀플렉서(104), 송신 필터(106), 및 수신 필터(107)를 구비한다. 듀플렉서(104)는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제 2 변(1042)이 제 1 변(1041)보다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송신 필터(106) 및 수신 필터(107) 중 어느 한쪽의 필터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입출력 스위치(105)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통신 모듈
본 발명은 통신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이동 단말 등에 탑재된 통신 모듈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고, 통신 이동 단말의 소형화와 함께 회로의 밀도가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고밀도화한 통신 모듈에서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전달 경로의 접근에 의해 아이솔레이션 특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통신 모듈은 모듈 기판의 제 1 변을 따라 송신 필터를 배치하고, 상기 제 1 변에 대향하는 모듈 기판의 제 2 변을 따라 수신 필터를 배치함으로써 아이솔레이션 특성의 열화를 억제하고 있다.
국제 공개 제2010/087307호
그러나, 송신 필터 및 수신 필터가 일체화한 듀플렉서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크리트 부품의 점수 삭감이 도모되는 통신 모듈에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송신 필터와 수신 필터를 떨어져 배치할 수 없다. 환언하면, 듀플렉서를 구비하는 통신 모듈에서는 아이솔레이션 특성의 열화가 억제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통신 모듈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송신 신호및 수신 신호의 신호 경로를 스위칭하는 입출력 스위치와, 제 1 방향에 평행한 제 1 변 및 제 2 변을 갖고, 제 1 변의 측에 배치된 제 1 스위치 단자, 제 2 변의 측에 배치된 제 1 송신 단자 및 제 2 변의 측에 배치된 제 1 수신 단자를 구비하는 듀플렉서로서, 제 1 송신 단자에 입력되는 제 1 송신 신호 중 제 1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제 1 송신 주파수의 신호를 제 1 스위치 단자로부터 입출력 스위치에 출력하고, 입출력 스위치로부터 제 1 스위치 단자에 입력되는 제 1 수신 신호 중 제 1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제 1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제 1 수신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듀플렉서와, 제 2 스위치 단자 및 제 2 송신 단자를 구비하는 송신 필터로서, 제 2 송신 단자에 입력되는 제 2 송신 신호 중 제 2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제 2 송신 주파수의 신호를 제 2 스위치 단자로부터 입출력 스위치에 출력하는 송신 필터와, 제 3 스위치 단자 및 제 2 수신 단자를 구비하는 수신 필터로서, 입출력 스위치로부터 제 3 스위치 단자에 입력되는 제 2 수신 신호 중 제 2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제 2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제 2 수신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수신 필터를 구비한다. 듀플렉서는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제 2 변이 제 1 변보다 입출력 스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송신 필터 및 수신 필터 중 어느 한쪽의 필터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입출력 스위치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모듈의 회로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비교예에 의한 통신 모듈의 구성 요소의 배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모듈의 구성 요소의 배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송신 필터에 있어서의 제 2 송신 단자의 배치 및 수신 필터에 있어서의 제 2 수신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송신 필터에 있어서의 제 2 송신 단자의 배치 및 수신 필터에 있어서의 제 2 수신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송신 필터에 있어서의 제 2 송신 단자의 배치 및 수신 필터에 있어서의 제 2 수신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비교예에 의한 통신 모듈 및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모듈의 듀플렉서의 송신 단자와 수신 단자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정량화하고 있는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에 의한 통신 모듈 및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모듈의 듀플렉서의 송신 단자와 수신 단자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정량화하고 있는 전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 또는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실시형태]
우선,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모듈(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모듈의 회로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신 모듈(1)은, 예를 들면 휴대 단말에 포함되고, 음성, 화상,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통신 모듈(1)은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의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통신 모듈(1)은 제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3G), 제 4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4G) 등의 복수의 통신 방식(멀티 모드)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통신 모듈(1)이 대응하는 통신 방식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2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2G), 제 5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5G)에 대응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통신 모듈(1)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에 대응하고 있어도 좋다.
통신 모듈(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 단자(101)와, 전력 증폭 회로(102)와, 송신 스위치(103)와, 듀플렉서(104)와, 입출력 스위치(105)와, 송신 필터(106)와, 수신 필터(107)와, 수신 스위치(108)와, 저잡음 증폭 회로(109)와, 수신 단자(110)와, 정합 회로(MN: Matching Network)(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를 구비한다. 통신 모듈(1)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응하는 신호 경로를 구비한다. 듀플렉서(104)는 통신 모듈(1)이 대응하고 있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 하나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송신 필터(106) 및 수신 필터(107)는 통신 모듈(1)이 대응하고 있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이외의 하나에 대응하고 있다. 통신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줄이지 않고, 디스크리트 부품의 점수를 삭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통신 모듈(1)은 복수의 듀플렉서를 구비해도 좋다.
송신 단자(101)에는 통신 모듈(1)의 외부로부터 RF 신호(송신 신호)가 입력된다.
전력 증폭 회로(102)는 송신 단자(101)에 입력된 RF 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레벨까지 증폭하여 송신 스위치(103)로 출력한다.
송신 스위치(103)는 전력 증폭 회로(102)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듀플렉서(104) 또는 송신 필터(106)로 송신하는 스위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송신 스위치(103)는 송신 주파수가 제 1 주파수 대역인 경우, 전력 증폭 회로(102)와 정합 회로(111a)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RF 신호는 듀플렉서(104)로 제 1 송신 신호로서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송신 스위치(103)는 송신 주파수가 제 2 주파수 대역인 경우, 전력 증폭 회로(102)와 정합 회로(111d)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RF 신호는 송신 필터(106)로 제 2 송신 신호로서 송신된다.
듀플렉서(104)는 1칩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 1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고 있다. 제 1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면 LTE(Long Term Evolution)의 밴드(26) 또는 밴드(20)이다. 밴드(26)는 송신 주파수가 814MHz 내지 849MHz인 주파수 대역이고, 수신 주파수가 859MHz 내지 894MHz인 주파수 대역이다. 밴드(20)는 송신 주파수가 832MHz 내지 862MHz인 주파수 대역이고, 수신 주파수가 791MHz 내지 821MHz이다.
듀플렉서(104)는 제 1 송신 단자(104T)와, 제 1 수신 단자(104R)와, 제 1 스위치 단자(104A)를 구비한다. 제 1 송신 단자(104T)는 송신 스위치(103)가 출력하는 제 1 송신 신호를 수신한다. 제 1 수신 단자(104R)는 입출력 스위치(105)가 제 1 스위치 단자(104A)에 입력하는 제 1 수신 신호 중 제 1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제 1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 1 스위치 단자(104A)는 제 1 송신 단자(104T)에 입력되는 제 1 송신 신호 중 제 1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제 1 송신 주파수의 신호를 입출력 스위치(105)로 출력한다. 또한, 제 1 스위치 단자(104A)는 입출력 스위치(105)가 출력하는 제 1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입출력 스위치(105)는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의 신호 경로를 스위칭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출력 스위치(105)는 통신 모듈(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안테나(200)로 출력되는 송신 신호 및 안테나(200)로부터 입력되는 수신 신호의 신호 경로를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스위칭한다. 구체적으로는, 입출력 스위치(105)는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안테나(200)와 듀플렉서(104), 또는 안테나(200)와 송신 필터(106) 및 수신 필터(107)를 접속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할 때, 입출력 스위치(105)는 안테나(200)와, 듀플렉서(104)의 제 1 스위치 단자(104A)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듀플렉서(104)의 제 1 스위치 단자(104A)로부터 출력된 제 1 송신 주파수의 신호를 안테나(200)로 송신한다. 또는, 입출력 스위치(105)는 안테나(200)와, 듀플렉서(104)의 제 1 스위치 단자(104A)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안테나(200)로부터 출력된 제 1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듀플렉서(104)로 송신한다.
또한,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할 때, 입출력 스위치(105)는 안테나(200)와, 송신 필터(106)의 제 2 스위치 단자(106A)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송신 필터(106)의 제 2 스위치 단자(106A)로부터 출력된 제 2 송신 주파수의 신호를 안테나(200)로 송신한다. 또는, 입출력 스위치(105)는 안테나(200)와, 수신 필터(107)의 제 3 스위치 단자(107A)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안테나(200)로부터 출력된 제 2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 필터(107)로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출력 스위치(105)가 통신 모듈(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안테나(200)와의 신호 경로를 스위칭하는 것으로 했지만, 입출력 스위치(105)의 접속처는 안테나(200)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입출력 스위치(105)는 동축 케이블 등에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안테나(200)는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통신 모듈(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통신 모듈(1)에 내장되어도 좋다.
송신 필터(106) 및 수신 필터(107)는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고 있다. 제 2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면 LTE의 밴드(13)이다. 밴드(13)는 송신 주파수가 777MHz 내지 787MHz인 주파수 대역이고, 수신 주파수가 746MHz 내지 756MHz이다. 통신 모듈(1)에서는, 예를 들면 송신 단자에 요구되는 특성과 수신 단자에 요구되는 특성이 크게 다른 밴드에 대응하기 위해 송신 필터(106)와 수신 필터(107)가 각각의 칩으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 필터(106)는 제 2 송신 단자(106T)와, 제 2 스위치 단자(106A)를 구비한다. 제 2 송신 단자(106T)는 송신 스위치(103)가 출력하는 제 2 송신 신호를 수신한다. 송신 필터(106)는 제 2 송신 단자(106T)에 입력되는 제 2 송신 신호 중 제 2 송신 주파수의 신호를 제 2 스위치 단자(106A)로부터 출력한다.
수신 필터(107)는 제 2 수신 단자(106R)와, 제 3 스위치 단자(107A)를 구비한다. 제 3 스위치 단자(107A)는 입출력 스위치(105)가 출력하는 제 2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 필터(107)는 제 3 스위치 단자(107A)에 입력되는 제 2 수신 신호 중 제 2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송신 필터(106)와 수신 필터(107)는 하나의 듀플렉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2칩으로 구성된 듀플렉서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송신 필터(106)와 수신 필터(107)를 듀플렉서로서 기능시키는 경우,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송신 필터(106)와 수신 필터(107)는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 스위치(108)는 듀플렉서(104)로부터 수신한 RF 신호 또는 수신 필터(107)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저잡음 증폭 회로(109)로 송신하는 스위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수신 스위치(108)는 수신 주파수가 제 1 주파수 대역인 경우, 듀플렉서(104)의 제 1 수신 단자(104R)와 저잡음 증폭 회로(109)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수신 스위치(108)는 107 수신 주파수가 제 2 주파수 대역인 경우, 수신 필터의 제 2 수신 단자(107R)와 저잡음 증폭 회로(109)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저잡음 증폭 회로(109)는 수신 스위치(108)가 출력하는 제 1 수신 신호 또는 제 2 수신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레벨까지 증폭하고, 수신 단자(110)에 출력한다.
수신 단자(110)는 저잡음 증폭 회로(109)가 출력한 신호를 통신 모듈(1)의 외부로 전달한다.
정합 회로(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는 회로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정합 회로(111a)는 송신 스위치(103)의 출력 임피던스와, 듀플렉서(104)의 제 1 송신 단자(104T)의 입력 임피던스를 정합시킨다. 마찬가지로, 정합 회로(111b)는 듀플렉서(104)의 제 1 스위치 단자(104A)의 출력 임피던스와, 입출력 스위치(105)의 입력 임피던스를 정합시킨다. 정합 회로(111c)는 듀플렉서(104)의 제 1 수신 단자(104R)의 출력 임피던스와, 수신 스위치(108)의 입력 임피던스를 정합시킨다. 정합 회로(111d)는 송신 스위치(103)의 출력 임피던스와, 송신 필터(106)의 제 2 송신 단자(106T)의 입력 임피던스를 정합시킨다. 정합 회로(111e)는 입출력 스위치(105)의 출력 임피던스와, 송신 필터(106)의 제 2 수신 단자(106R)의 입력 임피던스 또는 수신 필터(107)의 제 3 스위치 단자(107A)의 입력 임피던스를 정합시킨다. 정합 회로(111f)는 수신 필터(107)의 제 2 수신 단자(106R)의 출력 임피던스와, 수신 스위치(108)의 입력 임피던스를 정합시킨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비교예에 의한 통신 모듈의 구성 요소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비교예에 의한 통신 모듈의 구성 요소의 배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교예에 의한 통신 모듈(1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 상에 배치된 전력 증폭 회로(1020)와, 송신 스위치(1030)와, 듀플렉서(1040)와, 입출력 스위치(1050)와, 송신 필터(1060)와, 수신 필터(1070)와, 수신 스위치(1080)와, 저잡음 증폭 회로(1090)와,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0A, 1110B, 1110C)을 구비한다.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0A, 1110B, 1110C)은 정합 회로가 배치되는 영역이다.
기판(2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한 쌍의 변이 제 1 방향에 평행이고, 대향하는 다른 한 쌍의 변이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평행한 직사각형의 기판이다.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0C)은 기판(20)의 네 모퉁이 중 하나에 형성되어 있다. 입출력 스위치(1050)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0C)과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듀플렉서(1040)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입출력 스위치(1050)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듀플렉서(1040)가 입출력 스위치(105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란 듀플렉서(1040)와 입출력 스위치(1050) 사이에 다른 듀플렉서 또는 필터가 배치되어 있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즉, 듀플렉서(1040)와 입출력 스위치(1050) 사이에 표면 실장 부품(SMD) 등의 다른 요소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듀플렉서(1040)는 제 1 송신 단자(1040T)와, 제 1 수신 단자(1040R)와, 제 1 스위치 단자(1040A)를 구비한다. 제 1 송신 단자(1040T)는 듀플렉서(1040)의 네 모퉁이 중, 입출력 스위치(1050)로부터 멀고, 또한 기판(20)의 가장자리로부터 먼 모퉁이의 근변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수신 단자(1040R)는 듀플렉서(1040)의 네 모퉁이 중, 입출력 스위치(1050)에 가깝고, 또한 기판(20)의 가장자리로부터 먼 모퉁이의 근변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스위치 단자(1040A)는 제 1 방향에 평행한 듀플렉서(1040)의 변 중 기판(20)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쪽의 변의 근변에 배치되어 있다.
송신 스위치(1030)는 듀플렉서(1040)로부터 보아 제 1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송신 필터(1060)는 듀플렉서(1040)로부터 보아 제 2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수신 필터(1070)는 입출력 스위치(1050)로부터 보아 제 2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송신 필터(1060)와 수신 필터(1070)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여 있다.
송신 필터(1060)는 제 2 송신 단자(1060T)와, 제 2 스위치 단자(1060A)를 구비한다. 제 2 송신 단자(1060T)는 송신 필터(1060)의 네 모퉁이 중, 듀플렉서에 가깝고, 또한 수신 필터(1070)로부터 먼 모퉁이의 근변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스위치 단자(1060A)는 송신 필터(1060)의 네 모퉁이 중, 듀플렉서(1040)로부터 멀고, 또한 수신 필터(1070)에 가까운 모퉁이의 근변에 배치되어 있다.
수신 필터(1070)는 제 2 수신 단자(1070R)와, 제 3 스위치 단자(1070A)를 구비한다. 제 2 수신 단자(1070R)는 수신 필터(1070)의 네 모퉁이 중 입출력 스위치(1050)로부터 멀고, 또한 송신 필터(1060)로부터 먼 네 모퉁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스위치 단자(1070A)는 수신 필터(1070)의 네 모퉁이 중 입출력 스위치(1050)에 가깝고, 또한 송신 필터(1060)에 가까운 네 모퉁이에 배치되어 있다.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0A)은 송신 필터(1060)로부터 보아 제 1 방향이고, 제 2 방향에 있어서 송신 스위치(1030)와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수신 스위치(1080) 및 저잡음 증폭 회로(1090)는 입출력 스위치(1050)로부터 보아 제 2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전력 증폭 회로(1020)는 수신 스위치(1080) 및 저잡음 증폭 회로(1090)로부터 보아 제 1 방향이고, 제 2 방향에 있어서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0A)과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0B)은 수신 스위치(1080) 및 저잡음 증폭 회로(1090)와 기판(20)의 네 모퉁이 중 하나를 형성하고 있는 2개의 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변은 제 2 방향에 있어서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0C)이 형성되어 있는 네 모퉁이 중 하나와 대향하고 있다.
또한, 전력 증폭 회로(1020), 송신 스위치(1030), 듀플렉서(1040), 입출력 스위치(1050), 송신 필터(1060), 수신 필터(1070), 수신 스위치(1080) 및 저잡음 증폭 회로(1090)가 배치되지 있지 않는 영역에는, 예를 들면 듀플렉서 그 밖의 전자 부품이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0A, 1110B, 1110C)이 형성되는 영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비교예에 의한 통신 모듈(10)에서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입출력 스위치(1050)와 듀플렉서(1040)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또한 듀플렉서(1040)의 제 1 수신 단자(1040R)가 듀플렉서(1040)의 네 모퉁이 중 입출력 스위치(1050)에 가까운 네 모퉁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비교예에 의한 통신 모듈에서는 듀플렉서(104)의 제 1 수신 단자(1040R)가 입출력 스위치(1050)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송신 단자(1040T)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입출력 스위치(1050)를 경유해서 제 1 수신 단자(1040R)에 누출되어, 제 1 수신 단자(1040R)의 수신 감도가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즉, 제 1 송신 단자(1040T)와 제 1 수신 단자(1040R) 사이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어서, 도 3~도 6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모듈의 구성 요소의 배치, 본 실시형태에 의한 송신 필터에 있어서의 제 2 송신 단자의 배치 및 수신 필터에 있어서의 제 2 수신 단자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모듈의 구성 요소의 배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송신 필터에 있어서의 제 2 송신 단자의 배치 및 수신 필터에 있어서의 제 2 수신 단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모듈(1)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 상에 배치된 전력 증폭 회로(102)와, 송신 스위치(103)와, 듀플렉서(104)와, 입출력 스위치(105)와, 송신 필터(106)와, 수신 필터(107)와, 수신 스위치(108)와, 저잡음 증폭 회로(109)와,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A, 111B, 111C)을 구비한다.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A, 111B, 111C)은 정합 회로가 형성되는 영역이다.
기판(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한 쌍의 변이 제 1 방향에 평행이고, 대향하는 다른 한 쌍의 변이 제 2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평행한직사각형의 기판이다.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C)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의 네 모퉁이 중 하나에 형성되어 있다. 입출력 스위치(105)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C)과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송신 필터(106)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방향에 평행한 제 3 변(1063) 및 제 4 변(1064)을 갖는다. 제 4 변(1064)은 제 3 변(1063)보다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멀다. 송신 필터(106)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입출력 스위치(105)의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C)과 인접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인접하여 있다. 즉, 제 3 변(1063)이 입출력 스위치(105)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2 주파수 대역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송신 필터(106)의 제 2 송신 단자(106T)는 제 4 변(1064)의 단부 중 듀플렉서(104)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입출력 스위치(105)와 송신 필터(106)와 수신 필터(107)를 연결하는 배선을 짧게 하여 전송 손실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송신 필터(106)의 제 2 스위치 단자(106A)는 제 3 변(1063)의 단부 중 듀플렉서(104)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송신 필터(106) 중에 있어서 제 2 송신 단자(106T) 및 제 2 스위치 단자(106A)의 배치되는 영역은 도 3에 나타내어진 배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송신 단자(106T)가 입출력 스위치(105)측의 단부의 영역(1061N) 이외의 영역(1061Y)에 배치되고, 제 2 스위치 단자(106A)가 영역(1061N)에 배치되어도 좋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송신 단자(106T)가 입출력 스위치(105)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의 영역(1062Y)에 배치되고, 제 2 스위치 단자(106A)가 영역(1062Y) 이외의 영역(1062N)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송신 단자(106T)가 입출력 스위치(105)측과는 반대측의 코너부의 영역(1063Y)에 배치되고, 제 2 스위치 단자(106A)가 영역(1063Y) 이외의 영역(1063N)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수신 필터(107) 중에 있어서 제 2 수신 단자(106R) 및 제 3 스위치 단자(107A)의 배치되는 영역은 도 3에 나타내어진 배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수신 단자(106R)가 입출력 스위치(105)측의 단부의 영역(1071N) 이외의 영역(1071Y)에 배치되고, 제 3 스위치 단자(107A)가 영역(1071N)에 배치되어도 좋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수신 단자(106R)가 입출력 스위치(105)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의 영역(1072Y)에 배치되고, 제 3 스위치 단자(107A)가 영역(1072Y) 이외의 영역(1072N)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수신 단자(106R)가 입출력 스위치(105)측과는 반대측의 코너부의 영역(1073Y)에 배치되고, 제 3 스위치 단자(107A)가 영역(1073Y) 이외의 영역(1073N)에 배치되어도 좋다.
송신 스위치(10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 필터(106)로부터 보아 제 1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수신 필터(107)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방향에 평행한 제 5 변(1065) 및 제 6 변(1066)을 갖는다. 제 6 변(1066)은 제 5 변(1065)보다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멀다. 수신 필터(107)는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보아 제 2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 2 방향에 있어서 제 6 변(1066)이 제 5 변(1065)보다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신 필터(107)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듀플렉서(104)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수신 필터(107)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방향에 있어서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C)과, 수신 스위치(108) 및 저잡음 증폭 회로(109) 사이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는, 수신 필터(107)는 듀플렉서(104)로부터 보아 제 1 방향이고, 송신 필터(106)로부터 보아 제 2 방향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면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C)과, 수신 스위치(108) 및 저잡음 증폭 회로(109) 사이에 다른 듀플렉서가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수신 필터(107)는 입출력 스위치(105) 및 듀플렉서(104)로부터 보아 송신 필터(106)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수신 필터(107)와 송신 필터(106)는 입출력 스위치(105) 및 듀플렉서(104)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 필터(106)가 입출력 스위치(105) 및 듀플렉서(104)로부터 보아 제 1 방향의 한쪽측에 배치되고, 수신 필터(107)가 입출력 스위치(105) 및 듀플렉서(104)로부터 보아 제 1 방향의 다른쪽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 필터(106)가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보아 제 1 방향의 한쪽측 또한 듀플렉서(104)로부터 보아 제 2 방향의 한쪽측에 배치되고, 수신 필터(107)가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보아 제 2 방향의 다른쪽측 또한 듀플렉서(104)로부터 보아 제 1 방향의 다른쪽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제 2 주파수 대역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수신 필터(107)의 제 2 수신 단자(106R)는 제 6 변(1066)의 단부 중 듀플렉서(104)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입출력 스위치(105)와 송신 필터(106)와 수신 필터(107)를 연결하는 배선을 짧게 하여 전송 손실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수신 필터(107)의 제 3 스위치 단자(107A)는 제 5 변(1065)의 단부 중 듀플렉서(104)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듀플렉서(10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방향에 평행한 제 1 변(1041) 및 제 2 변(1042)을 갖는다. 제 2 변(1042)은 제 1 변(1041)보다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멀다. 듀플렉서(104)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제 2 변(1042)이 제 1 변(1041)보다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듀플렉서(10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방향에 있어서 입출력 스위치(105)와, 수신 스위치(108) 및 저잡음 증폭 회로(109) 사이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는, 듀플렉서(104)는 송신 필터(106)로부터 보아 제 2 방향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듀플렉서(104)에 추가하여 송신 필터(106)로부터 보아 제 2 방향에 다른 듀플렉서가 배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듀플렉서(104)와 송신 필터(106) 사이에 다른 듀플렉서가 배치되어도 좋다.
듀플렉서(104)의 제 1 송신 단자(104T)는 제 2 변(1042)의 측이고, 수신 필터(107)로부터 먼쪽에 배치되어 있다. 듀플렉서(104)의 제 1 수신 단자(104R)는 제 2 변(1042)의 측이고, 수신 필터(107)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어 있다. 듀플렉서(104)의 제 1 스위치 단자(104A)는 제 1 변(1041)의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A)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듀플렉서(104)로부터 보아 제 1 방향에 형성되고, 제 2 방향에 있어서 송신 스위치(103)와 인접하여 있다. 수신 스위치(108) 및 저잡음 증폭 회로(109)는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보아 제 2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전력 증폭 회로(102)는 수신 스위치(108) 및 저잡음 증폭 회로(109)로부터 보아 제 1 방향에 배치되고, 제 2 방향에 있어서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A)과 인접하여 있다.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0B)은 수신 스위치(108) 및 저잡음 증폭 회로(109)와 기판(2)의 네 모퉁이 중 하나를 형성하고 있는 2개의 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변은 제 2 방향에 있어서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0C)이 형성되어 있는 네 모퉁이 중 하나와 대향하고 있다.
또한, 전력 증폭 회로(102), 송신 스위치(103), 듀플렉서(104), 입출력 스위치(105), 송신 필터(106), 수신 필터(107), 수신 스위치(108) 및 저잡음 증폭 회로(1090)가 배치되어 있지 않는 영역에는, 예를 들면 듀플렉서 그 밖의 전자 부품이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A, 111B, 111C)이 형성되는 영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비교예에 의한 통신 모듈 및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모듈의 듀플렉서의 송신 단자와 수신 단자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비교예에 의한 통신 모듈 및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모듈의 듀플렉서의 송신 단자와 수신 단자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정량화하고 있는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에 의한 통신 모듈 및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모듈의 듀플렉서의 송신 단자와 수신 단자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정량화하고 있는 전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의 가로축은 밴드(26)의 송신 주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아이솔레이션 특성이란 송신 단자(101)로부터 수신 단자(110)로 누출되는 전력량을 의미한다. 아이솔레이션 특성은 누출되는 전력량이 적을수록 높고, 누출되는 전력량이 많을수록 낮아진다. 즉, 누출되는 전력량이 많을수록 0에 가깝고, 누출되는 전력량이 많을수록 0에서부터 아래의 방향을 향해간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모듈(1)(실선)은 비교예(점선)에 의한 통신 모듈(10)보다 아이솔레이션 특성이 높다. 왜냐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모듈(1)의 듀플렉서(104)에서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제 1 수신 단자(104R)에 가장 근접하고 있는 제 2 변(1042)이 입출력 스위치(105)에 가장 근접하고 있는 제 1 변(1041)보다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입출력 스위치(105)와 듀플렉서(104)의 제 1 수신 단자(104R)의 거리가 비교적 긴데 반해, 비교예에 의한 통신 모듈(10)에서는 입출력 스위치(105)와 듀플렉서(104)의 제 1 수신 단자(104R)의 거리가 비교적 짧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양태에 의하면,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의 신호 경로를 스위칭하는 입출력 스위치(105)와, 제 1 방향에 평행한 제 1 변(1041) 및 제 2 변(1042)을 갖고, 제 1 변(1041)의 측에 배치된 제 1 스위치 단자(104A), 제 2 변(1042)의 측에 배치된 제 1 송신 단자(104T) 및 제 2 변(1042)의 측에 배치된 제 1 수신 단자(104R)를 구비하는 듀플렉서(104)로서, 제 1 송신 단자(104T)에 입력되는 제 1 송신 신호 중 제 1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제 1 송신 주파수의 신호를 제 1 스위치 단자(104A)로부터 입출력 스위치(105)에 출력하고, 출력 스위치(105)로부터 제 1 스위치 단자(104A)에 입력되는 제 1 수신 신호 중 제 1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제 1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제 1 수신 단자(104R)로부터 출력하는 듀플렉서(104)와, 제 2 스위치 단자(106A) 및 제 2 송신 단자(106T)를 구비하는 송신 필터(106)로서, 제 2 송신 단자(106T)에 입력되는 제 2 송신 신호 중 제 2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제 2 송신 주파수의 신호를 제 2 스위치 단자(106A)로부터 입출력 스위치(105)에 출력하는 송신 필터(106)와, 제 3 스위치 단자(107A) 및 제 2 수신 단자(106R)를 구비하는 수신 필터(107)로서,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제 3 스위치 단자(107A)에 입력되는 제 2 수신 신호 중 제 2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제 2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제 2 수신 단자(106R)로부터 출력하는 수신 필터(107)를 구비하고, 듀플렉서(104)는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제 2 변(1042)이 제 1 변(1041)보다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배치되고, 송신 필터(106) 및 수신 필터(107) 중 어느 한쪽의 필터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입출력 스위치(105)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통신 모듈(1)이 제공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듀플렉서(104)의 제 1 수신 단자(104R)를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입출력 스위치(105)를 통한 제 1 송신 주파수 신호의 제 1 수신 단자(104R)에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 모듈(1)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모듈(1)에서는 듀플렉서(104)가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보아 제 2 방향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송신 필터(106)를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보아 제 1 방향에 배치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은 레이아웃을 채용함으로써 기판(2) 상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모듈(1)에서는 듀플렉서(104), 송신 필터(106) 및 수신 필터(107)는 각각 1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디스크리트 부품의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한편,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분리에 송신 필터(106) 및 수신 필터(107)의 2칩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2) 상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예를 들면, 송신 필터(106) 및 수신 필터(107)를 분리하여 배치할 수 있다.
송신 필터(106) 및 수신 필터(107) 중 다른쪽의 필터는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보아 제 2 방향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입출력 스위치(105)와 송신 필터(106)를 연결하는 배선과, 입출력 스위치(105)와 수신 필터(107)를 연결하는 배선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선 사이에서의 제 2 주파수 대역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이 향상 가능하다.
수신 필터(107)는 듀플렉서(104)로부터 보아 송신 필터(106)의 반대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송신 필터(106)와 수신 필터(107)가 듀플렉서(104)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송신 필터(106)와 수신 필터(107) 사이에서의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누출이 억제 가능하다.
제 1 송신 신호를 듀플렉서(104)의 제 1 송신 단자(104T)에 출력하거나, 또는 제 2 송신 신호를 송신 필터(106)의 제 2 송신 단자(106T)에 출력하는 송신 스위치(103)와, 듀플렉서(104)의 제 1 수신 단자(104R)로부터 제 1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수신 필터(107)의 제 2 수신 단자(106R)로부터 제 2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스위치(108)를 더 구비하고, 송신 필터(106) 및 송신 스위치(103)는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보아 제 1 방향에 배치되고, 수신 필터(107) 및 수신 스위치(108)는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보아 제 2 방향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송신 스위치(103)와 수신 스위치(108) 사이에서의 제 2 주파수 대역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이 향상 가능하다.
송신 필터(106)는 제 2 방향에 평행한 제 3 변(1063) 및 제 4 변(1064)을 갖고, 제 2 스위치 단자(106A)는 제 3 변(1063)의 측에 배치되고, 제 2 송신 단자(106T)는 제 4 변(1064)의 측에 배치되고, 송신 필터(106)는 제 3 변(1063)이 입출력 스위치(105)와 인접하여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입출력 스위치(105)와 제 2 송신 단자(106T) 사이에서의 제 2 주파수 대역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이 향상 가능하다. 또한, 입출력 스위치(105)와 제 2 스위치 단자(106A)를 연결하는 배선을 짧게 할 수 있어 전송 손실이 저감 가능하다.
제 2 송신 단자(106T)는 제 4 변(1064)의 단부의 한쪽에 배치되어도 좋다. 특히, 제 2 송신 단자(106T)가 제 4 변(1064)의 단부 중 듀플렉서(104)로부터 먼쪽에 배치되는 경우, 제 2 송신 단자(106T)에 접속된 배선과 다른 신호 경로 사이에서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이 향상 가능하다.
수신 필터(107)는 제 1 방향에 평행한 제 5 변(1075) 및 제 6 변(1076)을 갖고, 제 3 스위치 단자(107A)는 제 5 변(1075)의 측에 배치되고, 제 2 수신 단자(106R)는 제 6 변(1076)의 측에 배치되고, 수신 필터(107)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제 6 변(1076)이 제 5 변(1075)보다 입출력 스위치(105)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입출력 스위치(105)와 제 2 수신 단자(106R) 사이에서의 제 2 주파수 대역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이 향상 가능하다. 또한, 입출력 스위치(105)와 제 3 스위치 단자(107A)를 연결하는 배선을 짧게 할 수 있어 전송 손실이 저감 가능하다.
제 2 수신 단자(106R)는 제 6 변(1076)의 단부의 한쪽에 배치되어도 좋다. 특히, 제 2 수신 단자(106R)가 제 6 변(1076)의 단부 중 듀플렉서(104)로부터 먼쪽에 배치되는 경우, 제 2 수신 단자(106R)에 접속된 배선과 다른 신호 경로 사이에서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이 향상 가능하다.
듀플렉서(104)의 제 1 수신 단자(104R)로부터 제 1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수신 필터(107)의 제 2 수신 단자(106R)로부터 제 2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스위치(108)와, 수신 스위치(108)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 회로(109)를 구비하고, 듀플렉서(104)는 입출력 스위치(105)와, 수신 스위치(108) 및 저잡음 증폭 회로(109) 사이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입출력 스위치(105), 듀플렉서(104) 및 수신 스위치(108)를 연결하는 배선을 짧게 할 수 있어 전송 손실이 저감 가능하다.
듀플렉서(104)는 송신 필터(106)로부터 보아 제 2 방향에 배치되어도 좋다.
송신 필터(106)로부터 보아 제 2 방향에 배치된 다른 듀플렉서를 더 구비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다른 한 쌍의 송신 필터 및 수신 필터를 구비하는 것보다 디스트리트 부품의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제 1 방향에 있어서 입출력 스위치(105)의 한쪽의 필터와 인접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인접하는 정합 회로 배치 영역(111C)을 더 구비해도 좋다. 이와 같이, 입출력 스위치(105)의 제 1 방향의 한쪽측 및 다른쪽측 모두에도 듀플렉서가 인접하지 않는 배치로 함으로써 입출력 스위치(105)를 통한 아이솔레이션의 저하가 억제 가능하다.
또한, 이상 설명한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개량될 수 있음과 아울러,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도 포함된다. 즉, 각 실시형태에 당업자가 적절히 설계 변경을 추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각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 및 그 배치, 재료, 조건, 형상, 사이즈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형태는 예시이고, 다른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구성의 부분적인 대체 또는 조합이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이들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10…통신 모듈 2, 20…기판
101…송신 단자 102, 1020…전력 증폭 회로
103, 1030…송신 스위치 104, 1040…듀플렉서
105, 1050…입출력 스위치 106, 1060…송신 필터
107, 1070…수신 필터 108, 1080…수신 스위치
109, 1090…저잡음 증폭 회로 110…수신 단자
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정합 회로
111A, 111B, 111C, 1110A, 1110B, 1110C…정합 회로 배치 영역
200…안테나

Claims (13)

  1.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의 신호 경로를 스위칭하는 입출력 스위치와,
    제 1 방향에 평행한 제 1 변 및 제 2 변을 갖고, 상기 제 1 변의 측에 배치된 제 1 스위치 단자, 상기 제 2 변의 측에 배치된 제 1 송신 단자 및 상기 제 2 변의 측에 배치된 제 1 수신 단자를 구비하는 듀플렉서로서, 상기 제 1 송신 단자에 입력되는 제 1 송신 신호 중 제 1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제 1 송신 주파수의 신호를 상기 제 1 스위치 단자로부터 상기 입출력 스위치에 출력하고, 상기 입출력 스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스위치 단자에 입력되는 제 1 수신 신호 중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제 1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상기 제 1 수신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상기 듀플렉서와,
    제 2 스위치 단자 및 제 2 송신 단자를 구비하는 송신 필터로서, 상기 제 2 송신 단자에 입력되는 제 2 송신 신호 중 제 2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제 2 송신 주파수의 신호를 상기 제 2 스위치 단자로부터 상기 입출력 스위치에 출력하는 상기 송신 필터와,
    제 3 스위치 단자 및 제 2 수신 단자를 구비하는 수신 필터로서, 상기 입출력 스위치로부터 상기 제 3 스위치 단자에 입력되는 제 2 수신 신호 중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제 2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상기 제 2 수신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상기 수신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듀플렉서는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이 상기 제 1 변보다 상기 입출력 스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송신 필터 및 상기 수신 필터 중 어느 한쪽의 필터는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스위치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통신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 상기 송신 필터 및 상기 수신 필터는 각각 1칩으로 구성되어 있는 통신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필터 및 상기 수신 필터 중 다른쪽의 필터는 상기 입출력 스위치로부터 보아 상기 제 2 방향에 배치되어 있는 통신 모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필터는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보아 상기 송신 필터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통신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신호를 상기 듀플렉서의 상기 제 1 송신 단자에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송신 신호를 상기 송신 필터의 상기 제 2 송신 단자에 출력하는 송신 스위치와,
    상기 듀플렉서의 상기 제 1 수신 단자로부터 상기 제 1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 필터의 상기 제 2 수신 단자로부터 상기 제 2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필터 및 상기 송신 스위치는 상기 입출력 스위치로부터 보아 상기 제 1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수신 필터 및 상기 수신 스위치는 상기 입출력 스위치로부터 보아 상기 제 2 방향에 배치되어 있는 통신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필터는 상기 제 2 방향에 평행한 제 3 변 및 제 4 변을 갖고,
    상기 제 2 스위치 단자는 상기 제 3 변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송신 단자는 상기 제 4 변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송신 필터는 상기 제 3 변이 상기 입출력 스위치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통신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단자는 상기 제 4 변의 단부의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통신 모듈.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필터는 상기 제 1 방향에 평행한 제 5 변 및 제 6 변을 갖고,
    상기 제 3 스위치 단자는 상기 제 5 변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수신 단자는 상기 제 6 변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신 필터는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6 변이 상기 제 5 변보다 상기 입출력 스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통신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 단자는 상기 제 6 변의 단부의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통신 모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의 상기 제 1 수신 단자로부터 상기 제 1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 필터의 상기 제 2 수신 단자로부터 상기 제 2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스위치와,
    상기 수신 스위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듀플렉서는 상기 입출력 스위치와, 상기 수신 스위치 및 상기 저잡음 증폭 회로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통신 모듈.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는 상기 송신 필터로부터 보아 제 2 방향에 배치되어 있는 통신 모듈.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필터로부터 보아 상기 제 2 방향에 배치된 다른 듀플렉서를 더 구비하고 있는 통신 모듈.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스위치의 상기 한쪽의 필터와 인접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인접하는 정합 회로 배치 영역을 더 구비하고 있는 통신 모듈.
     


KR1020197035046A 2017-06-27 2018-05-31 통신 모듈 KR102246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4805 2017-06-27
JP2017124805 2017-06-27
PCT/JP2018/020914 WO2019003791A1 (ja) 2017-06-27 2018-05-31 通信モジュ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042A true KR20200003042A (ko) 2020-01-08
KR102246038B1 KR102246038B1 (ko) 2021-04-29

Family

ID=6474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046A KR102246038B1 (ko) 2017-06-27 2018-05-31 통신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58422B2 (ko)
KR (1) KR102246038B1 (ko)
CN (1) CN110809859B (ko)
TW (1) TWI730239B (ko)
WO (1) WO2019003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9482A1 (ja) * 2021-03-31 2022-10-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7307A1 (ja) 2009-01-29 2010-08-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デュプレクサモジュール
JP2014039265A (ja) * 2013-08-29 2014-02-27 Taiyo Yuden Co Ltd 高周波回路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3669B2 (ja) * 1999-06-04 2003-05-06 富士通株式会社 アンテナ分波器
KR100552482B1 (ko) * 2003-11-28 200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Rf 듀플렉서
KR100733899B1 (ko) * 2005-09-23 2007-07-02 (주)파트론 특성이 향상된 듀플렉서 및 필터
JP5304272B2 (ja) 2009-01-29 2013-10-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デュプレクサモジュール
US9319214B2 (en) * 2009-10-07 2016-04-19 Rf Micro Devices, Inc. Multi-mode power amplifier architecture
JP5603209B2 (ja) * 2010-11-10 2014-10-08 太陽誘電株式会社 分波器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装置
JP5561379B2 (ja) 2011-01-06 2014-07-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
JP5621920B2 (ja) * 2011-04-22 2014-11-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回路モジュール
JP5790770B2 (ja) 2011-09-26 2015-10-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送信フィルタモジュール、受信フィルタモジュール
US9312888B2 (en) * 2012-06-29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interface circuits for carrier aggregation on multiple antennas
JP5754556B2 (ja) * 2012-07-19 2015-07-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分波器およびこの分波器を備えるモジュール
JP5285806B1 (ja) 2012-08-21 2013-09-11 太陽誘電株式会社 高周波回路モジュール
JP5117632B1 (ja) 2012-08-21 2013-01-16 太陽誘電株式会社 高周波回路モジュール
US9467191B2 (en) * 2012-11-12 2016-10-11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interface circuits with quadplexers
US9444559B2 (en) * 2013-06-03 2016-09-1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econd order intercept point (IP2) calibration for wireless receivers
US9923581B2 (en) * 2013-10-14 2018-03-20 Netgear, Inc. Front-end module and antenna design for a wireless device simultaneously using WLAN modules operating in different wireless bands
US9344140B2 (en) * 2014-02-25 2016-05-17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related to improved radio-frequency modules
US9326171B2 (en) * 2014-03-10 2016-04-26 Qualcomm Incorporated Enhancing data throughput using multiple receivers
JP6451605B2 (ja) 2015-11-18 2019-01-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7307A1 (ja) 2009-01-29 2010-08-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デュプレクサモジュール
KR20110096594A (ko) * 2009-01-29 2011-08-3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듀플렉서 모듈
JP2014039265A (ja) * 2013-08-29 2014-02-27 Taiyo Yuden Co Ltd 高周波回路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09859B (zh) 2021-08-13
TW201906315A (zh) 2019-02-01
KR102246038B1 (ko) 2021-04-29
CN110809859A (zh) 2020-02-18
US20200127630A1 (en) 2020-04-23
TWI730239B (zh) 2021-06-11
US11258422B2 (en) 2022-02-22
WO2019003791A1 (ja)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9271B2 (en) Power amplifier module
KR102438875B1 (ko)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WO2016010063A1 (ja) 高周波モジュール
US11757476B2 (en) Radio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US11463118B2 (en) Radio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US11626967B2 (en) Radio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20230261382A1 (en) Radio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200058436A1 (en) High-frequency module
US11539385B2 (en) Radio-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2476616B1 (ko)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
KR20210103400A (ko)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KR102246038B1 (ko) 통신 모듈
US20230155612A1 (en) Radio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2416736B1 (ko)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KR20210128909A (ko)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US20220416817A1 (en) Radio frequency circuit, radio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2584103B1 (ko)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US20230145698A1 (en) Radio-frequency module
US20240014832A1 (en) High-frequency module
US20230318533A1 (en) Amplifier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7063395A (zh) 高频模块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