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806A - 발포 덕트 - Google Patents

발포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806A
KR20200002806A KR1020197028483A KR20197028483A KR20200002806A KR 20200002806 A KR20200002806 A KR 20200002806A KR 1020197028483 A KR1020197028483 A KR 1020197028483A KR 20197028483 A KR20197028483 A KR 20197028483A KR 20200002806 A KR20200002806 A KR 20200002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duct
foam
bubble diame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키 오노데라
Original Assignee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05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0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08Instrument pa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24Preparation or use of a blowing agent concentrate, i.e. masterbatch in a foamabl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3Extrusion of the foamable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2CO2-releasing, e.g. NaHCO3 and citr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6CO2, N2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08J2205/044Micropores, i.e. average diameter being between 0,1 micrometer and 0,1 milli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Abstract

쿠션성이 뛰어난 발포 덕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부를 갖는 발포 덕트이며, 상기 통부는 둘레 방향 기포 변형률이 0.30 이하이며, 또한 기포 이방성이 0.6 ~ 1.6인 발포 덕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발포 덕트
본 발명은 발포 덕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대시 보드(dashboard)에는 에어컨에서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덕트("계기판 덕트"로 일컬어지는)가 설치된다. 이러한 덕트는 단열성과 저소음성을 고려하여 발포 성형체로 구성된 발포 덕트가 사용될 수 있다(특허문헌 1). 발포 덕트는 발포 블로우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된다.
일본공개특허 2015-124380호 공보
그런데 자동차가 정면에서 보행자와 충돌한 경우, 그 때의 충격에 의해 보행자의 머리가 대시 보드에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머리에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발포 덕트가 쿠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쿠션성이 뛰어난 발포 덕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부를 갖는 발포 덕트이며, 상기 통부는 둘레 방향 기포 변형률이 0.30 이하이며, 또한 기포 이방(異方)성이 0.6 ~ 1.6인 발포 덕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실시한 결과, 발포 덕트의 둘레 방향 기포 변형률 및 기포 이방성을 특정 범위 내로 하여 쿠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다음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부의 발포 배율은 1.5 ~ 3.5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부의 평균 두께는 1.0 ~ 2.0m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부의 블로우 비율은 0.3 ~ 1.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부의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직경은 100μm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부를 구성하는 수지는 HDPE와 LDPE를 포함하고, 상기 HDPE와 상기 LDPE의 질량비는 35 : 65 ~ 70 : 30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발포 덕트의 제조에 이용 가능한 성형기(1)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발포 덕트(7)를 제조하기 위한 발포 성형체(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발포 덕트(7)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발포 덕트(7)의 횡단면도(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도 5A는 도 4 중의 영역 X의 확대도이고 다수의 기포에 의해 벽면이 구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는 도 5A에서 두께 이등분선 Q에 있는 5개의 기포b를 추출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발포 덕트(7)의 종단면도(도 3에 B-B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다음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중에서 나타내는 각종 특징 사항은 서로 조합 가능하다. 또한 각 특징 사항에 대해 독립적으로 발명이 성립한다.
1. 성형기(1)의 구성
먼저, 도 1 ~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발포 덕트의 제조에 이용 가능한 성형기(1)에 대해 설명한다. 성형기(1)는 수지 공급 장치(2), 헤드(18), 분할 금형(19)을 구비한다. 수지 공급 장치(2)는 호퍼(12), 압출기(13), 주입기(16), 어큐뮬레이터(17)를 구비한다. 압출기(13)와 어큐뮬레이터(17)는 연결관(25)을 통해 연결된다. 어큐뮬레이터(17)와 헤드(18)는 연결관(27)을 통해 연결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호퍼(12), 압출기(13) >
호퍼(12)는 원료 수지(11)를 압출기(13)의 실린더(13a)에 투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원료 수지(11)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펠렛(Pellet)이다. 원료 수지(11)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등의 열가소성수지이며, 폴리올레핀으로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원료 수지(11)는 HDPE와 LDP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HDPE와 LDPE의 질량비가 35 : 65 ~ 70 : 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수지(11)는 호퍼(12)로부터 실린더(13a)에 투입된 후 실린더(13a) 내에서 가열됨으로써 용융된 용융수지가 된다. 또한, 실린더(13a) 내에 배치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13a)의 선단을 향해 반송된다. 스크류는 실린더(13a) 내에 배치되어 그 회전에 의해 용융수지를 혼련(混練)하면서 반송한다. 스크류의 기단에는 기어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기어장치에 의해 스크류가 회전구동된다. 실린더(13a) 내에 배치되는 스크류의 수는 1개이어도 되고, 2개 이상이어도 된다.
<주입기(16)>
실린더(13a)에는 실린더(13a) 내에 발포제를 주입하는 주입기(16)가 설치된다. 주입기(16)로부터 주입되는 발포제는 물리발포제, 화학발포제 및 그 혼합물을 들 수 있지만, 물리발포제가 바람직하다. 물리발포제로는 공기, 탄산가스, 질소가스, 물 등의 무기계 물리발포제 및 부탄, 펜탄, 헥산,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등의 유기계 물리발포제, 또한 그것들의 초임계(超臨界) 유체를 이용할 수 있다. 초임계 유체로는 이산화탄소, 질소 등을 이용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질소이면 임계온도 -149.1℃, 임계압력 3.4MPa 이상, 이산화탄소이면 임계온도 31℃, 임계압력 7.4MPa 이상으로 하여 얻을 수 있다. 화학발포제로는 산(예: 구연산 또는 그염)과 염기(예: 중조)와의 화학반응에 의해 탄산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화학발포제는 주입기(16)로부터 주입하는 대신 호퍼(12)로부터 투입하여도 된다.
<어큐뮬레이터(17), 헤드(18)>
원료 수지와 발포제를 용융 혼련하여 이루어지는 용융수지(11a)는 실린더(13a)의 수지 압출구로 배출되어 연결관(25)을 통해 어큐뮬레이터(17) 내에 주입된다. 어큐뮬레이터(17)는 실린더(17a)와 그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피스톤(17b)을 구비하고, 실린더(17a) 내에 용융수지(11a)가 저장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17a) 내에 용융수지(11a)가 소정량 저류된 후에 피스톤(17b)을 이동시킴으로써, 연결관(27)을 통해 용융수지(11a)를 헤드(18) 내에 설치된 다이 슬릿으로부터 압출하고 수하시켜 발포파리손(23)을 형성한다. 발포파리손(23)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 형상이어도 되고, 시트 형상이어도 된다.
<분할 금형(19)>
발포 파리손(23)은 한 쌍의 분할 금형(19) 사이에 인도된다. 분할금형(19)을 사용하여 발포 파리손(23)의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포 성형체(10)가 얻어진다. 분할금형(19)을 사용한 성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분할금형(19)의 캐비티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어 성형하는 블로우 성형이어도 되고, 분할금형(19)의 캐비티의 내면으로부터 캐비티 내부를 감압하여 발포 파리손(23)의 성형을 실시하는 진공 성형이어도 되고, 그 조합이어도 된다.
도 2는 발포 덕트를 제조하기 위한 발포 성형체(10)를 나타낸다. 발포 성형체(10)는 주머니부(3, 4)를 가진다. 주머니부(4)는 통부(6)에서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주머니부(3)는 통부(6)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발포 성형체(10)는 분기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주머니부(3)를 분기시켜 주머니부(3)의 수를 3 개, 4 개 또는 그 이상으로 할 수 있다.
2. 발포 덕트
발포 덕트(7)는 발포 성형체(10)에서 주머니부(3, 4)를 절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머니부(3, 4)의 위치에 개구부(3a, 4a)가 형성된다. 즉, 발포 덕트(7)는 통부(6)에 개구부(3a, 4a)가 설치된 형상을 갖는다. 공조기로부터의 공기는 개구부(4a)를 통해 발포 덕트(7) 내에 유입되고 개구부(3a)를 통해 배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발포 덕트(7)는 대시 보드 내에 배치된 계기판 덕트이지만, 다른 부위에 배치되는 덕트이어도 된다. 또한 개구부(4a)가 설치되는 개구부(3a)의 한쪽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개구부(3a)의 다른 한 쪽에서 배출되도록 기능하는 덕트이어도 된다. 발포 덕트(7)(통부(6))는 독립 기포 구조를 갖는다. 독립 기포 구조는 여러 개의 독립된 기포 셀을 갖는 구조이며 적어도 독립 기포률이 7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통부(6)는 둘레 방향 기포 변형률이 0.30 이하이다. 둘레 방향 기포 변형률은 도 4 ~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부(6)의 횡단면에서 두께 이등분선 Q 위에 있는 기포 b의 (두께 방향 평균기포직경t / 둘레 방향 평균기포직경c)에 의해 정의된다. 두께 방향 평균기포직경 t 및 둘레 방향 평균기포직경 c는 각각 두께 이등분선 Q 위에 있는 5개의 기포에 대한 두께 방향 기포직경 및 둘레 방향 기포직경의 평균치이다. 기포 b1에 대한 두께 방향 기포직경 t1 및 둘레 방향 기포직경 c1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기포 b2 ~ b5에 대한 두께 방향 기포직경 t2 ~ t5 및 둘레 방향 기포직경 c2 ~ c5도 동일하게 측정할 수 있다. 두께 방향 평균기포직경 t는 t1 ~ t5를 산술 평균하여 산출되고, 둘레 방향 평균기포직경 c는 c1 ~ c5를 산술 평균하여 산출된다. 둘레 방향 기포 변형률은, 예를 들어 0.05 ~ 0.30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0.05, 0.10, 0.15, 0.20, 0.25, 0.3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어느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통부(6)는 길이 방향 기포 변형률이 0.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방향 기포 변형률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부(6)의 종단면에서 두께 이등분선 Q 위에 있는 기포 b의 (두께 방향 평균기포직경 t / 길이 방향 평균기포직경 l)에 의해 정의된다. 길이 방향 평균기포직경 l은 두께 이등분선 Q 위에 있는 5개의 기포에 대해 길이 방향 기포 직경 l1 ~ l5를 측정하고 l1 ~ l5를 산술 평균하여 산출된다. 길이 방향 기포 변형률은 예를 들어 0.05 ~ 0.30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0.05, 0.10, 0.15, 0.20, 0.25, 0.3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어느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통부(6)는 기포 이방성이 0.6 ~ 1.6이다. 기포 이방성은 (길이 방향 기포 변형률) / (둘레 방향 기포 변형율)에 의해 정의된다. 기포 이방성은 (둘레 방향 평균기포직경 c) / (길이 방향 평균기포직경 l)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기포 이방성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0.6, 0.7, 0.8, 0.9, 1.0, 1.1, 1.2, 1.3, 1.4, 1. 5, 1.6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어느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두께 방향 평균기포직경 t는 100μm 이하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50 ~ 100μm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μm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어느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둘레 방향 평균기포직경 c는, 예를 들어 200 ~ 600μm이며, 250 ~ 550μm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200, 250, 300, 350, 400, 450, 500, 550, 600μm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어느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길이 방향 평균기포직경 l은 예를 들어 200 ~ 600μm이며, 250 ~ 550μm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200, 250, 300, 350, 400, 450, 500, 550, 600μm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어느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통부(6)의 발포 배율은 1.5 ~ 3.5배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5, 2, 2.5, 3, 3.5배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어느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통부(6)의 평균 두께는 1.0 ~ 2.0mm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mm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어느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통부(6)의 블로우 비율은 0.3 ~ 1.0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0.3, 0.4, 0.5, 0.6, 0.7, 0.8, 0.9, 1.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어느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블로우 비율은 다음과 같이 산출한다. 먼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부(6)의 횡단면에 대향하는 분할선(parting line) PL의 최외점(最外点) 끼리를 직선 W로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횡단면 내에서 직선 W에서 가장 떨어진 점 T와 직선 W를 직선 V로 연결한다. 다음으로 블로우 비율 = (직선 V의 길이) / (직선 W의 길이)의 공식에 따라 블로우 비율을 산출한다.
통부(6)를 구성하는 수지는 HDPE와 LDPE를 포함한다. 통부(6)를 구성하는 수지는 HDPE와 LDPE 이외의 수지를 포함하여도 된다. 통부(6)를 구성하는 모든 수지에 대한 HDPE와 LDPE의 질량비는 0.8 이상이 바람직하고, 0.9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이 보다 바람직하다. HDPE와 LDPE의 질량비는 35 : 65 ~ 70 : 30 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60 ~ 60 : 4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도 1에 나타낸 성형기(1)를 사용하여 표 1에 나타낸 실시예 · 비교예의 발포 성형체(10)를 제작하였다. 압출기(13)의 실린더(13a)의 내경은 50mm이고, L/D=34이었다. 원료 수지에는 LDPE(등급: G201-F, 스미토모화학회사 제조)와 HDPE(등급: B470, 아사히카세케미컬즈 제조)를 질량비 1 : 1로 혼합하여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핵제로서 20wt%의 탄산수소나트륨계 발포제를 포함하는 LDPE 베이스 마스터 배치(대일정화공업주식회사 제조, 상품명"파인셀마스터 P0217K")를 1.0 질량부, 및 착색제로서 40wt%의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LLDPE 베이스 마스터 배치 1.0 질량부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발포 파리손(23)의 온도가 190 ~ 200℃가 되도록 각 부위의 온도 제어를 실시했다. 발포제는 N2 가스를 사용하여 주입기(16)를 통해 주입했다. 발포제의 주입량, 용융 수지(11a)의 압출 속도 및 헤드(18)의 다이 슬릿의 간격은 발포 배율, 평균 두께 및 평균기포직경이 표 1에 나타내는 값이 되도록 설정했다.
이상의 조건으로 형성된 발포 파리손(23)을 분할금형(19)의 사이에 배치하고, 블로우 성형을 실시하여, 도 2에 나타낸 발포 성형체(10)를 제작하였다. 분할금형(19)은 블로우 비율이 표 1에 나타내는 값이 되는 것을 사용했다.
발포 성형체(10)에서 둘레 방향으로 긴 시험편 A (25mmХ50mm)와 길이 방향(발포 파리손의 흐름 방향)으로 긴 시험편 B (25mm Х 50mm)를 잘라냈다. 시험편 A에 나타낸 횡단면을 확대 배율 50배에서 촬영하여 두께 이등분선 Q 위에 있는 5개의 기포 각각에 대해 두께 방향 기포 직경 및 원주 방향 기포 직경을 측정하여 산술 평균하여 두께 방향 평균 기포 직경 및 둘레 방향 평균기포직경을 산출했다. 또한 시험편 B에 나타나는 종단면 확대 배율 50배에서 촬영하고 두께 이등분선 Q 위에 있는 5개의 기포 각각에 대해 두께 방향 기포 직경 및 둘레 방향 기포 직경을 측정하여 산술 평균하여 두께 방향 평균기포직경 및 길이 방향 평균기포직경을 산출했다. 얻어진 값을 표 1에 나타냈다. 두께 방향 평균기포직경은 횡단면에서 얻은 값과 종단면에서 얻은 값을 산술 평균한 것을 표 1에 나타냈다.
<굽힘 시험>
3점 굽힘 시험에서 시험편 A를 사용하여 둘레 방향의 최대굴곡강도를 측정하고 시험편 B를 사용하여 길이 방향의 최대굴곡강도를 측정했다. 최대굴곡강도가 1.0 ~ 4.5N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을 ○, 이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Х로 했다. 시험 조건은 상온, 지점 간 거리 30mm, 굴곡 속도 2.0mm/분으로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쿠션성 평가>
둘레 방향 및 길이 방향 모두의 굽힘 시험의 결과가 ○인 것의 쿠션성을 ○로 평가하고, 적어도 하나의 굽힘 시험의 결과가 Х인 것의 쿠션성을 Х로 평가했다.
<고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 방향 기포 변형률이 0.30 이하이며, 또한 기포 이방성이 0.6 ~ 1.6 인 모든 실시예는 쿠션성이 양호했다. 한편, 둘레 방향 기포 변형률이 0.30 이상이거나 또는 기포 이방성이 0.6 ~ 1.6의 범위 외인 모든 비교예에서는 둘레 방향과 길이 방향의 한 쪽 또는 모두에서 굽힘 강도가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물체의 충돌시 굽힘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고 쿠션성이 떨어졌다.
Figure pct00001
1: 성형기
2: 수지 공급 장치
3: 주머니부
3a: 개구부
4: 주머니부
4a: 개구부
6: 통부
7: 발포 덕트
10: 발포 성형체
11: 원료 수지
11a: 용융 수지
12: 호퍼
13: 압출기
13a: 실린더
16: 주입기
17: 어큐뮬레이터
17a: 실린더
17b: 피스톤
18: 헤드
19: 분할 금형
23: 발포 파리손
25: 연결관
27: 연결관

Claims (6)

  1. 통부를 갖는 발포 덕트이며,
    상기 통부는 둘레 방향 기포 변형률이 0.30 이하이며, 또한 기포 이방성이 0.6 ~ 1.6 인 발포 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발포 배율은 1.5 ~ 3.5배인 발포 덕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평균 두께는 1.0 ~ 2.0mm인 발포 덕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블로우 비율은 0.3 ~ 1.0인 발포 덕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두께 방향의 평균기포 직경은 100μm 이하인 발포 덕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를 구성하는 수지는 HDPE와 LDPE를 포함하고, 상기 HDPE와 상기 LDPE의 질량비는 35 : 65 ~ 70 : 30인 발포 덕트.
KR1020197028483A 2017-04-27 2018-04-26 발포 덕트 KR202000028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88452 2017-04-27
JP2017088452A JP6920610B2 (ja) 2017-04-27 2017-04-27 発泡ダクト
PCT/JP2018/016951 WO2018199221A1 (ja) 2017-04-27 2018-04-26 発泡ダク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806A true KR20200002806A (ko) 2020-01-08

Family

ID=63919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483A KR20200002806A (ko) 2017-04-27 2018-04-26 발포 덕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42439B2 (ko)
EP (1) EP3617258B1 (ko)
JP (1) JP6920610B2 (ko)
KR (1) KR20200002806A (ko)
CN (1) CN110461923B (ko)
WO (1) WO20181992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4940A1 (ja) * 2022-06-30 2024-01-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4380A (ja) 2013-12-27 2015-07-06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発泡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369A (ja) * 2000-08-02 2002-02-12 Jsp Corp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押出発泡体
JP4786324B2 (ja) 2005-12-12 2011-10-05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発泡ブローダクトの製造方法
CA2657646A1 (en) * 2006-07-14 2008-01-17 Dow Global Technologies Inc. Anisotropic foam-film composite structures
JP5025549B2 (ja) * 2008-03-31 2012-09-1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発泡ブロー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63768B2 (ja) * 2009-01-21 2014-07-30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ブロー成形体
JP5360975B2 (ja) * 2009-05-01 2013-12-04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ブロー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ブロー成形体
JP5803086B2 (ja) * 2009-10-31 2015-11-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発泡成形体の成形方法及び発泡成形体
JP5602468B2 (ja) * 2010-03-24 2014-10-08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ブロー成形体の製造方法
WO2013114996A1 (ja) * 2012-01-30 2013-08-08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発泡成形品
EP3072922B1 (en) 2013-11-20 2020-01-01 Kaneka Corporation Polyethylene resin foamed particles, polyethylene resin in-mold expansion-molded article, and methods respectively for producing those products
JP6554834B2 (ja) * 2014-03-13 2019-08-07 Dic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電子機器
TWI640596B (zh) 2014-03-13 2018-11-11 迪愛生股份有限公司 黏著片及電子設備
JP6536280B2 (ja) * 2015-08-18 2019-07-03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発泡成形用樹脂、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4380A (ja) 2013-12-27 2015-07-06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発泡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84570A (ja) 2018-11-22
CN110461923A (zh) 2019-11-15
US20200071479A1 (en) 2020-03-05
EP3617258A1 (en) 2020-03-04
WO2018199221A1 (ja) 2018-11-01
JP6920610B2 (ja) 2021-08-18
CN110461923B (zh) 2022-07-29
EP3617258A4 (en) 2020-03-25
US11242439B2 (en) 2022-02-08
EP3617258B1 (en)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745B1 (ko) 발포 성형체
JP5025549B2 (ja) 発泡ブロー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33461B1 (ko) 발포 성형체의 제조 방법
KR102557789B1 (ko) 발포 성형용 수지, 발포 성형체, 발포 성형체의 제조 방법
KR102220282B1 (ko) 발포 성형용 수지, 발포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02806A (ko) 발포 덕트
JP6845426B2 (ja) 発泡成形用樹脂、発泡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7201910B2 (ja) 発泡ブロー成形用樹脂、発泡ブロー成形体の製造方法
JP6920604B2 (ja) 発泡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3675117B1 (en) Structure for vehicles and air conditioning duct for vehicles
JP6773967B2 (ja) 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30098912A (ko) 발포 덕트
JP7440743B2 (ja) 発泡成形体
JP6508514B2 (ja) ブロー成形方法
JP6770228B2 (ja) 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9051649A (ja) 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593065B2 (ja) 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JP2021030664A (ja) 発泡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