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800A - 결속기 - Google Patents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800A
KR20200002800A KR1020197027741A KR20197027741A KR20200002800A KR 20200002800 A KR20200002800 A KR 20200002800A KR 1020197027741 A KR1020197027741 A KR 1020197027741A KR 20197027741 A KR20197027741 A KR 20197027741A KR 20200002800 A KR20200002800 A KR 20200002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driver
port
clincher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메 타케무라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2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applying separate securing members, e.g. deformable clips
    • B65B13/345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applying separate securing members, e.g. deformable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10Bundling rods, sticks, or like elongated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04G21/123Wire twis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구동기구(22)에 의해 직진운동을 행하는 드라이버(25)와, 드라이버(25)의 선단을 받는 위치에 배치된 클린처(18)를 구비하고, 드라이버(25)와 클린처(18) 사이에는 피결속물(5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16)가 마련된다. 드라이버(25)와 삽입구(16) 사이에는 결속구(41)가 발사 가능한 상태에서 대기하는 대기부(37)가 마련되어 있으며, 구동기구(22)가 작동되었을 때에 드라이버(25)가 대기부(37)에 공급된 결속구(41)를 발사하고, 발사된 결속구(41)의 다리부(41a)가 클린처(18)에 밀어붙여져서 변형되도록 구성했다.

Description

결속기
본 발명은 하니스의 결속이나, 봉지 입구의 결속, 밭의 번선이나 유인끈의 결속 등에 사용 가능한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가전제품을 제조하는 공장에서는 전원 공급이나 신호 통신에 이용되는 복수의 하니스를 결속하여 맞붙이는 작업이 행해진다. 이러한 하니스의 결속은 주로 손으로 점착 테이프를 감아서 행하는 방법이므로, 작업성이 악화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면 기계적으로 결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테이프를 감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C링에 의한 체결작업을 행할 수 있는 핸디 타입의 결속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한 결속기는 트리거가 조작되었을 때 한 쌍의 조가 닫혀져서 C링을 양쪽으로부터 눌러 변형시킴과 동시에, 조작된 트리거가 분리되었을 때 다음의 C링을 선단부에 보내는 동작을 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6-329118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0-3352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하니스의 삽입구 부근에 복수의 기어를 배치한 것이며, 기계 구조가 복잡하여 부품 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결속기는 조를 회동시키기 위한 기구와 C링을 보내기 위해서 직진운동을 행하는 기구가 모두 필요하므로, 기계 구조가 복잡하여 부품 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와 비교하여 기계 구조가 간단하며, 부품 수도 적은 결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소성 변형이 가능한 결속구에 의해 피결속물을 결속하는 결속기이며, 상기 결속구를 발사하는 드라이버와, 상기 드라이버를 직진 구동하는 구동기구와, 상기 드라이버의 선단을 받는 위치에 배치된 클린처를 구비하고, 상기 드라이버와 상기 클린처 사이에는 피결속물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드라이버와 상기 삽입구 사이에는 결속구를 대기시키는 대기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기구가 작동할 때 상기 드라이버가 상기 대기부에 공급된 결속구를 발사하고, 발사된 결속구의 다리부가 상기 클린처에 밀어붙여져서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구동기구에 의해 직진운동을 행하는 드라이버와, 드라이버의 선단을 받는 위치에 배치된 클린처를 구비하고, 드라이버와 클린처 사이에는 피결속물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가 마련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니스의 결속을 행하는 경우에는 결속기의 삽입구에 하니스를 삽입하여 드라이버를 구동시키면 된다.
또한, 드라이버와 삽입구 사이에는 결속구가 발사 가능한 상태에서 대기하는 대기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기구가 작동할 때 드라이버가 대기부에 공급된 결속구를 발사하고, 발사된 결속구의 다리부가 클린처에 밀어붙여져서 변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결속기의 삽입구에 삽입된 하니스를 결속구에 의해 결속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드라이버의 직진운동만으로 결속구의 발사과 결속구의 클린칭이 연속적으로 행해지므로, 종래의 구조와 같이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계구조를 단순화하며, 부품 수도 적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계 선단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하니스의 틈 등에도 끼워 넣기 쉬우며, 사용이 편리한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결속구를 세팅한 결속기의 외관도이다.
도 2는 결속기로 피결속물을 결속한 직후의 외관도이다.
도 3의 (a)는 결속구의 정면도이며, (b)는 연결 결속구의 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피결속물을 결속한 결속구의 외관도이며, (b)는 피결속물을 결속한 결속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결속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결속기의 출력부 부근의 일부 확대도이고, (a)는 대기상태의 도면이며, (b)는 결속 완료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의 (a)는 결속구를 세팅하기 전의 결속기의 평면도이며, (b)는 상기 a에서의 결속기의 선단 부근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결속구를 세팅한 후의 결속기의 평면도이며, (b)는 상기 a에서의 결속기의 선단 부근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대기상태의 결속기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가이드부재를 생략하고 있지 않은 도면이며, (b)는 가이드부재의 일부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10은 결속 도중의 결속기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가이드부재를 생략하고 있지 않은 도면이며, (b)는 가이드부재의 일부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11은 결속 완료상태의 결속기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가이드부재를 생략하고 있지 않은 도면이며, (b)는 가이드부재의 일부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12는 변형예 1에 따른 결속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a)는 사시도이며, (b)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변형예 1에 따른 결속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사시도이며, (b)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변형예 1에 따른 결속기로 결속했을 때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사시도이며, (b)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변형예 2에 따른 결속기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변형예 3에 따른 결속기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이며, (b)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변형예 3에 따른 결속기의 출력부 부근의 일부 확대도이고, (a)는 클린칭 전의 도면이며, (b)는 클린칭 후의 도면이다.
도 18은 변형예 4에 따른 결속기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대기상태의 도면이며, (b)는 결속 완료상태의 도면이다.
도 19는 변형예 5에 따른 결속기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이며, (b)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변형예 5에 따른 결속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전'은 결속구(41)가 발사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는 결속구(41)가 발사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결속기(10)는 소성 변형이 가능한 결속구(41)에 의해 피결속물(50)을 결속하는 휴대식 결속기(10)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결속기(10)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개구부(41c)를 구비한 결속구(41)를 사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결속구(41)의 개구부(41c)를 닫음으로써 피결속물(50)을 결속하는 것이다. 이 결속기(10)는 예를 들어 하니스의 결속이나 봉지 입구의 결속, 밭의 번선이나 유인끈의 결속 등에 사용된다.
이 결속기(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에 의해 덮여져 있으며, 모터 수용부(12)와 그립부(13)와 출력부(15)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결속기(10)에는 이들 부위가 결속구(41)의 발사방향(D2)(도 6(a) 참조)에 따라서 전후로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즉, 결속구(41)의 발사방향(D2)에서 봤을 때 후방에서 전방으로 모터 수용부(12), 그립부(13), 출력부(15)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모터 수용부(12)는 결속기(10)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으며, 후단부에는 외부 전원을 접속하기 위한 전원접속부(12a)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전원접속부(12a)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음으로써, 결속기(10)는 결속구(41)의 발사 등의 각종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전원접속부(12a)에는 교류[Ø]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코드가 접속되도록 구성해도 되며, 충전지에 연결하기 위한 하니스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결속기(10)는 전기식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결속기(10)는 압축공기식이어도 된다. 압축공기식 결속기(10)의 경우, 전원접속부(12a) 대신에 압축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접속부를 마련해도 된다.
이 모터 수용부(12)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20)나 제어부(21)가 내장되어 있다. 모터(20)는 후술하는 구동기구(22)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원이다. 또한 제어부(21)는 모터(20)의 회전 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CPU나 메모리를 실장한 제어기판이다.
그립부(13)는 결속기(10)의 사용시에 사용자가 잡는 부분이다. 이 그립부(13)는 하우징(11)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잘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그립부(13)의 비스듬한 전방에는 그립부(13)를 잡았을 때 집게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트리거(14)가 마련되어 있다. 트리거(14)는 결속동작을 실행하기 위해서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아쇠 형상의 요동부재이다. 이 트리거(14)를 사용자가 당겨서 조작하면, 트리거(14)에 인접되어 배치된 스위치(14a)(도 5 참조)가 켜지고, 스위치(14a)로부터 제어부(21)로 조작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조작신호를 수신한 제어부(21)는 모터(20)를 회전시켜서 결속구(41)를 발사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트리거(14)가 조작되었을 때에 결속위치까지의 드라이버(25)의 전진과, 결속위치에서의 드라이버(25)의 유지와, 대기위치까지의 드라이버(25)의 후퇴로 구성되는 일련의 사이클이 연속적으로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속의 시작부터 완료까지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행해지므로, 결속동작이 도중에 정지되는 일도 없으며, 결속력이 불충분해지는 일도 없다.
이 그립부(13)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기구(22)가 내장되어 있다. 구동기구(22)는 트리거(14)가 조작되었을 때에 모터(20)에 의해 작동되는 기구이며, 후술하는 드라이버(25)를 전후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결속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이 구동기구(22)는 감속기구(23)와 볼 나사(24)를 구비하고 있다. 감속기구(23)는 모터(20)의 회전축에 접속되어 있으며, 모터(20)의 회전을 감속시켜서 큰 토크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구이다. 또한, 볼 나사(24)는 감속기구(23)의 출력축에 접속되어 있으며, 모터(20)의 회전력에 의해 나사축(24a)을 회전시키고, 나사축(24a)을 회전시킴으로써 너트(24b)를 전후로 직진 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모터(20)가 정회전했을 때에는 너트(24b)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결속동작이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결속동작의 완료 후에 모터(20)가 역회전했을 때에는 너트(24b)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대기상태로 돌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립부(13)에 구동기구(22)를 내장함으로써 기계가 소형화되어 있으며, 처리가 좋은 기계가 되고 있다. 게다가 모터(20)의 회전축과 볼 나사(24)의 나사축(24a)이 직선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가 슬림화되어 있으며, 좁은 작업 장소에서도 사용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출력부(15)는 결속기(10)의 선단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이 출력부(15)의 선단에는 돌출형성부(17)가 대략 L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출형성부(17)의 내측에 피결속물(5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16)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이 출력부(15)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25)와 가이드부재(30)와 연동기구(26)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이 출력부(15)의 측부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거진부(35)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형성부(17)는 하우징(11)의 일부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하우징(11)에 대해서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이 돌출형성부(17)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드라이버(25)의 선단을 받는 위치에 클린처(18)가 마련되어 있다. 클린처(18)와 드라이버(25)는 결속구(41)를 발사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으며, 양자 사이에는 삽입구(16)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결속기(10)는 이 삽입구(16)를 향해서 결속구(41)를 발사하여 결속을 행한다.
또한, 이 삽입구(16)는 결속구(41)의 발사방향 상에 형성되고, 또한 출력부(15)의 선단방향(결속기(10)의 전후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속구(41)의 발사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했을 때 이 전후방향에 대략 직교하도록 측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클린처(18)는 드라이버(25)에 의해 발사된 결속구(41)의 다리부(41a)를 클린칭하여 결속을 완료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클린처(18)는 드라이버(25)에 의해 발사된 결속구(41)가 밀어붙여지는 플레이트이다. 클린처(18)의 표면에는 결속구(41)의 다리부(41a)를 유도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린처(18)에 밀어붙여진 결속구(41)의 다리부(41a)가 이 홈에 따라서 내측으로 구부러져서 변형되도록(클린칭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클린처(18)를 마련한 돌출형성부(17)는 클린처(18)를 포함해서 가동부를 가지지 않고 형성되어 있으며, 단순하면서 슬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돌출형성부(17)는 하니스 등의 피결속물(50)의 틈에 끼워 넣기 쉬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돌출형성부(17)는 도 6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출형성부(17)의 외측면(17a)은 삽입구(16)의 개구방향(D1)에 대해서 경사되어 있으며, 클린처(18)를 형성한 내측면(17b)에 대해서 예각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돌출형성부(17)는 삽입구(16)의 개구방향(D1)으로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좁은 틈에 끼워 넣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클린처(18)에 대향하는 하우징(11)에는 픽업면(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픽업면(11a)은 클린처(18)를 형성한 돌출형성부(17b)에 대해서 경사되어 있으며, 삽입구(16)를 크게 개구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픽업면(11a)을 형성함으로써, 하니스 등의 피결속물(50)을 삽입구(16)의 내측으로 유도하기 쉽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픽업면(11a)은 작동 전에 대기하고 있는 가이드부재(30)(후술)를 덮고 있으며, 피결속물(50)을 삽입구(16)의 내측으로 유도할 때에 피결속물(50)이 가이드부재(3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드라이버(25)는 결속구(41)를 삽입구(16)를 향해서 발사하기 위해서 구동기구(22)에 의해 직진 운동을 행하는 가늘고 긴 플레이트이다. 이 드라이버(25)는 하우징(11)의 내부에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안내되어 있으며, 결속구(41)의 발사방향(D2)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드라이버(25)는 볼 나사(24)의 너트(24b)에 고정되어 있으며, 너트(24b)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너트(24b)가 전진했을 때에 결속구(41)를 발사하도록 되어 있다. 이 드라이버(25)는 발사한 결속구(41)를 클린처(18)에 밀어붙임으로써 결속구(41)의 다리부(41a)를 구부리고, 이에 의해 개구부(41c)를 닫아서 결속을 완료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부재(30)는 삽입구(16)에 삽입된 피결속물(50)의 위치를 안정시키기 위한 것이며, 드라이버(25)에 의해 결속구(41)가 발사되어 결속구(41)의 개구부(41c)가 닫히기 직전에 삽입구(16)의 개구를 닫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재(3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축(30a)을 축으로 하여, 하우징(11)에 대해서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재(30)는 자연상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수단에 의해 삽입구(16)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부재(30)는, 후술하는 슬라이드부재(27)에 걸어 맞추는 작동핀(30b)을 구비하고 있다. 이 작동핀(30b)은 슬라이드부재(27)에 대해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걸어 맞추어져 있으며, 작동핀(30b)이 슬라이드부재(27)에 의해 눌러졌을 때에 가이드부재(30)가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력에 대항하여 삽입구(16)를 닫는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부재(30)는, 삽입구(16)를 막기 위해서 발톱 모양으로 형성된 선단부(30c)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선단부(30c)에는 제1 가이드부(30d)와 제2 가이드부(30e)가 마련되어 있다.
제1 가이드부(30d)는 삽입구(16)의 개구를 닫았을 때에 결속구(41)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구(16)를 막은 상태에서 결속구(41)의 발사방향(D2)과 평행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가이드부(30d)의 내측에는 결속구(41)의 측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가이드부(30e)는, 피결속물(50)을 누르기 위한 것이며, 삽입구(16)의 개구를 닫았을 때에 제1 가이드부(30d)보다 삽입구(16)의 내부에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가이드부(30e)에 의해 피결속물(50)을 누름으로써 피결속물(50)의 위치가 안정되고, 결속구(41)의 발사 시에 확실하게 결속구(41)로 피결속물(50)을 받아들일 수 있다.
연동기구(26)는 가이드부재(30)를 결속구(41)의 발사 동작과 연동하여 작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이 연동기구(26)를 통해서 가이드부재(30)를 작동시킴으로써, 가이드부재(30)가 결속구(41)의 발사 동작과 동기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연동기구(26)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27)와 접속부재(28)를 구비한다. 슬라이드부재(27)는, 접속부재(28)에 의해 볼 나사(24)의 너트(24b)에 고정되어 있으며, 너트(24b)와 일체로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부재(27)는, 도 9(b), 도 10(b),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30)의 작동핀(30b)과 걸어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크(27a), 경사부(27b), 수평부(27c)에 의해 연속되는 걸어맞춤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어맞춤면에서 작동핀(30b)과 걸어 맞추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크(27a)는, 대략 U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대기상태(결속구(41)의 발사 전의 상태)에서 작동핀(30b)에 걸어 맞추는 부분이다.
또한, 경사부(27b)는, 결속구(41)의 발사방향(D2)에 대해서 경사진 면이다. 이 경사부(27b) 위를 작동핀(30b)이 미끄러져 움직이고 있을 때 가이드부재(30)가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평부(27c)는 결속구(41)의 발사방향(D2)에 대해서 평행한 면이며, 이 수평부(27c) 상을 작동핀(30b)이 미끄러져 움직이고 있을 때에는 가이드부재(30)가 삽입구(16)의 개구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매거진부(35)는 복수의 결속구(41)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결속기(1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연결 결속구(40)를 사용하는 것이며, 매거진부(35)에는 이와 같은 연결 결속구(40)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연결 결속구(40)는 복수의 결속구(41)를 서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결속구(41)는 플라스틱 등의 수지제 부재이며, 한 쌍의 다리부(41a)와, 한 쌍의 다리부(41a)를 접속하는 접속부(41b)를 구비하고,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다리부(41a) 사이에는 피결속물(50)을 받아들이기 위한 개구부(41c)가 형성되어 있다. 결속구(41)는 드라이버(25)에 의해 발사되어 클린칭되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부(41a)가 소성 변형되어 피결속물(50)을 받아들여서 결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매거진부(35)는,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결속구(41)의 다리부(41a) 사이(즉 개구부(41c))에 들어가는 리브(35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리브(35a)의 선단에 임하도록, 결속구(41)의 접속부(41b)가 안내되는 홈부(3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매거진부(35)에는, 매거진부(35)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는 푸셔(36)가 마련되어 있다. 푸셔(36)는 매거진부(35)에 장착한 연결 결속구(40)를 전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이며,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항상 전방(결속구(41)를 후술하는 대기부(37)로 보내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매거진부(35)는, 출력부(15)의 측방에 접속되어 있으며, 출력부(15)의 내부에 연결 결속구(40)를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매거진부(35)에 연속되는 출력부(15)의 내부에는 결속구(41)를 발사 가능한 상태에서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부(37)가 마련되어 있다. 대기부(37)는 드라이버(25)와 삽입구(16) 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며, 대기부(37)에 대기하고 있는 결속구(41)가 드라이버(25)에 의해 삽입구(16)의 방향으로 발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대기부(37)에서 대기하는 결속구(41)의 개구부(41c)는 결속구(41)의 발사방향(D2), 즉 출력부(15)의 선단방향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한편, 삽입구(16)는 출력부(15)의 선단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구(16)의 개구방향과, 드라이버(25)에 의해 닫혀지는 결속구(41)의 개구방향이 다른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매거진부(35)에 연결 결속구(40)를 장착할 때에는,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브(35a)를 걸치도록 연결 결속구(40)를 장착하고, 매거진부(35)의 홈부(35b)를 결속구(41)의 접속부(41b)가 통과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연결 결속구(40)를 장착하면, 연결 결속구(40)가 푸셔(36)에 의해 대기부(37)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와 같이, 연결 결속구(40)를 세팅하는 것만으로 결속구(41)의 발사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결속구(41)를 발사하기 전에 결속위치로 보내는 동작이 불필요하다. 또한, 대기부(37)에 공급된 결속구(41)는 연결 결속구(40)에 연결된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으므로, 연결 결속구(40)로부터 분리된 결속구(41)가 결속기(10)로부터 탈락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푸셔(36)에 의해 연결 결속구(40)를 대기부(37)의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드라이버(25)의 구동에 연동하여 결속구(41)를 대기부(37)로 보내는 기구를 마련해도 된다.
다음에 상기한 결속기(10)의 결속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결속기(10)를 사용하여 결속을 행할 때에는, 우선 삽입구(16)에 피결속물(50)을 삽입한다. 이때,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구(16)의 개구방향(D1)은 결속구(41)의 발사방향(D2)(즉 드라이버(25)의 진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피결속물(50)에 걸리도록 하여, 삽입구(16)의 내부에 피결속물(50)을 걸어 맞출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트리거(14)를 조작하면, 모터(20)가 회전하여 구동기구(22)가 작동된다. 이때, 구동기구(22)에 의해 우선 가이드부재(30)가 작동된다. 즉, 트리거(14)가 조작되기 전의 대기상태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핀(30b)이 슬라이드부재(27)의 후크(27a)에 걸어 맞추어져 있으며, 가이드부재(30)가 삽입구(16)의 개구를 연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구동기구(22)가 작동되기 시작하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27)가 전진함으로써 작동핀(30b)이 슬라이드부재(27)의 경사부(27b)에 따라서 이동되고, 이에 의해 가이드부재(30)가 요동하여 삽입구(16)의 개구를 막게 된다. 그리고 작동핀(30b)이 슬라이드부재(27)의 수평부(27c)에까지 도달하면, 가이드부재(30)가 완전히 삽입구(16)의 개구를 막은 상태가 된다.
그 후 더 모터(20)가 회전하여 구동기구(22)가 작동할 때,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25)가 대기부(37)에 공급된 결속구(41)를 발사하고, 발사된 결속구(41)의 다리부(41a)가 클린처(18)에 의해 클린칭되어 결속이 완료된다(도 11 참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속 완료상태가 되면, 모터(20)가 역회전하여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이때 드라이버(25)가 대기부(37)로부터 퇴피함으로써 대기부(37)가 빈 상태가 되므로, 푸셔(36)에 의해 매거진부(35) 내의 연결 결속구(40)가 눌려서 움직이고, 다음 결속구(41)가 자동적으로 대기부(37)로 보내진다. 또한 슬라이드부재(27)가 후퇴함으로써 가이드부재(30)도 열림방향으로 요동한다. 가이드부재(30)는 작동핀(30b)이 슬라이드부재(27)의 후크(27a)에 걸어 맞추는 위치까지 요동하고, 삽입구(16)의 개구를 연 상태로 돌아간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구동기구(22)에 의해 직진운동을 행하는 드라이버(25)와, 드라이버(25)의 선단을 받는 위치에 배치된 클린처(18)를 구비하고, 드라이버(25)와 클린처(18) 사이에는 피결속물(5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16)가 마련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니스의 결속을 행하는 경우에는 결속기(10)의 삽입구(16)에 하니스를 삽입하여 드라이버(25)를 구동시키면 된다.
또한, 드라이버(25)와 삽입구(16) 사이에는 결속구(41)가 발사 가능한 상태에서 대기하는 대기부(37)가 마련되어 있으며, 트리거(14)가 조작되었을 때에 드라이버(25)가 대기부(37)에 공급된 결속구(41)를 발사하고, 발사된 결속구(41)의 다리부(41a)가 클린처(18)에 의해 클린칭되어 결속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결속기(10)의 삽입구(16)에 삽입된 하니스를 결속구(41)에 의해 결속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결속기에 있어서는, 트리거가 조작되었을 때에 한 쌍의 조가 닫혀서 C링을 양측으로부터 눌러서 변형시킴과 동시에, 조작된 트리거가 분리되었을 때에 다음 C링을 선단부에 보내는 동작을 행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기계에 C링을 장전한 직후에는 C링을 선단부에 보내기 위해서 트리거를 조작하여 공중에 발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결속구(41)의 절단으로부터 클린칭까지를 하나의 액션으로 행하므로, 결속구(41)를 장전한 후의 공중 발사가 불필요하다.
게다가, 이러한 결속기(10)가 휴대식 핸디 툴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길게 둘러싼 하니스 등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결속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작업성이 좋다.
그리고, 드라이버(25)의 직진운동만으로 결속구(41)의 발사와 결속구(41)의 클린칭이 연속적으로 행해지므로, 종래의 구조와 같이 C링을 양쪽으로부터 누르는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계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부품 수도 적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삽입구(16)보다 선단측에 가동부가 없으므로 취급이 좋아진다. 또한, 낙하에 강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클린처(18)가 결속기(10)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없는 결속기(10)를 실현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와 같이 결속구(41)를 발사하는 구조를 실현하려고 하면, 발사한 결속구(41)를 받기 위해서 클린처(18)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거치형 구조이면 결속구(41)를 받는 구조는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핸디 툴인 경우, 결속구(41)를 발사한다는 발상이나 결속구(41)를 받는다는 발상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린처(18)를 결속기(10)의 선단에 돌출 형성한다고 하는 신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취급이 좋은 것을 저해하는 일 없이, 결속구(41)를 발사하여 결속하는 구성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결속부에서 대기하고 있는 C링의 내측에 피결속물(50)을 삽입하고 있었기 때문에, 피결속물(50)의 삽입방향이나 C링의 전송방향 등 설계 상의 제약이 많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삽입구(16)에 삽입된 피결속물(50)을 걸치도록 결속구(41)가 발사되므로, 기계의 구동축(드라이버(25)의 이동방향)과 관계없이 삽입구(16)의 개구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결속기(10)는 복수의 결속구(41)를 연결한 연결 결속구(40)를 사용하는 것이며, 대기부(37)에 공급된 결속구(41)는 연결 결속구(40)에 연결된 상태에서 대기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결속구(41)를 발사하기 전에 결속위치로 보내는 기구가 불필요하며, 또한 연결 결속구(40)로부터 분리된 결속구(41)가 결속기(10)로부터 탈락될 우려도 없다.
또한, 연결 결속구(40)를 장착 가능한 매거진부(35)를 구비하고, 매거진부(35)는 연결 결속구(40)를 대기부(37)의 방향으로 가압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매거진부(35)에 의한 가압에 의해 자동적으로 대기부(37)에 결속구(41)가 공급되므로 단순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구동기구(22)는 볼 나사(24)를 사용하여 드라이버(25)를 왕복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모터(20)의 회전운동을 볼 나사(24)에 의해 직진운동으로 변환하여 드라이버(25)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기구(22)에 볼 나사(24)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기구를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구동기구(22)에 랙 앤드 피니언 등을 사용해도 된다. 즉,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20)의 회전축(20a)에 피니언(43)을 고정하고, 이 피니언(43)에 맞물리는 랙(44)을 마련해도 된다(변형예 2). 그리고 이 랙 앤드 피니언에 의해 모터(20)의 회전운동을 직진운동으로 변환하여, 랙(44)에 접속한 드라이버(25)를 전후로 구동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 모터(20)를 그립부(13)의 내부에 배치해도 된다. 그리고 그립부(13)를 출력부(15)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그립부(13)를 출력부(15)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배치하면, 기계의 전체 길이를 단축시켜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결속기(10)를 사용자가 잡는다는 전제로 설명했으나, 결속기(10)를 로봇 암 등의 기계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로봇 암 등의 기계에 설치되는 부분을 그립부(13)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따른 결속기(10)는 전원접속부(12a)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도록 구성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결속기(10)가 전원을 내장해도 되고, 결속기(10)에 전지 팩을 탈착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따른 결속기(10)는 제어부(21)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21)를 기계의 외부에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집중 제어 등에 의해 결속기(10)를 작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식 결속기(10)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거치식 결속기(10')에 본 발명을 응용해도 된다(변형예 1).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거치식 결속기(10')는 기본적인 구조는 휴대식 결속기(10)와 동일하며, 이미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조의 클린처(18'), 모터, 구동기구, 드라이버, 가이드부재(3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단, 하우징(11')의 형상은 거치식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경되어 있다.
또한, 이 거치식 결속기(10')는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4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베이스(42) 상에 기계가 고정되어 있다. 결속기(10')를 사용할 때에는 이 베이스(42)를 작업대 등에 고정함으로써 결속기(10')를 작업장소에 거치할 수 있다. 베이스(42)를 수평면에 얹어놓은 경우,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구(16')는 상방을 향해서 개구된다.
또한, 이 변형예에 따른 결속기(10')의 트리거(14')는 삽입구(16')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삽입구(16')의 안쪽까지 피결속물(50)을 밀어넣었을 때에 트리거(14')가 피결속물(50)에 의해 눌러져서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 13(b) 및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리거(14')가 눌러져서 작동되면, 휴대식 결속기(10)와 마찬가지로 스위치(14a)가 켜져서 결속동작이 실행된다.
이와 같은 거치식 결속기(10')의 경우에도 휴대식 결속기(10)와 마찬가지로 기계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부품 수도 적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드라이버(25)가 직진 구동됨으로써 결속 동작이 행해지도록 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클린처(18)를 직진 구동함으로써 결속 동작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6 및 도 17은 변형예 3에 따른 결속기(10)를 도시하고 있다. 이 변형예 3에 도시하는 결속기(10)는 전동 실린더(45)와, 전동 실린더(45)에 의해 구동되어 왕복 이동하는 직진부재(47)와, 직진부재(47)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린치부재(46)를 구비한다. 클린치부재(46)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단부(기단부측)가 회동축(18a)을 통해서 직진부재(47)에 접속되어 있으며, 다른 쪽의 단부(선단부측)의 내측에 클린처(18)가 마련되어 있다.
이 변형예 3에서는 피결속물(5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16)는 결속구(41)의 발끝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클린치부재(46)의 구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삽입구(16)에 피결속물(50)을 삽입한 후에 트리거(14)를 조작하면, 우선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회동기구에 의해 클린치부재(46)가 회동축(18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여 삽입구(16)를 닫는다. 이때 클린처(18)가 결속구(41)의 발끝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그 후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실린더(45)에 의해 직진부재(47) 및 클린치부재(46)가 결속구(41)의 방향으로 끌어 당겨진다. 이 직진운동에 의해, 결속구(41)가 클린처(18)에 의해 드라이버(25)에 밀어붙여져서 결속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클린치부재(46)를 회동시키는 회동기구로서는 직진부재(47)의 이동에 따라서 클린치부재(46)를 회동시키는 캠이나 링크 기구를 마련해도 되고, 클린치부재(46)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을 별도로 마련해도 된다.
또한, 도 18은 변형예 4에 따른 결속기(10)를 도시하고 있다. 이 변형예 4에 도시하는 결속기(10)는 전동 실린더(45)와, 전동 실린더(45)에 의해 구동되어 왕복 이동하는 직진부재(47)를 구비한다. 직진부재(47)는 선단이 대략 직각으로 굴절되어 있으며, 그 선단의 내측에 클린처(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클린처(18)는 결속구(41)의 발끝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변형예 4에 있어서는, 피결속물(5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16)는 결속구(41)의 발끝 방향과 다른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클린치부재(46)의 구동방향과 다른 방향(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삽입구(16)에 피결속물(50)을 삽입한 후에 트리거(14)를 조작하면,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실린더(45)에 의해 직진부재(47)가 결속구(41)의 방향으로 끌어 당겨진다. 이 직진운동에 의해, 결속구(41)가 클린처(18)에 의해 드라이버(25)에 밀어붙여져서 결속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상기한 변형예 3 및 변형예 4에서의 전동 실린더(45)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미 설명한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볼 나사(24)를 사용한 구동기구(22)이어도 되고, 피니언(43)이나 랙(44)으로 구동하는 기구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드라이버(25)가 직진 구동됨으로써 결속동작이 행해지도록 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드라이버(25)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결속 동작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9 및 도 20은 변형예 5에 따른 결속기(10)를 도시하고 있다. 이 변형예 5에 도시하는 결속기(10)는 모터(20)에 의해 회전하는 드라이버(25)와, 드라이버(25)의 회전궤도 상에 배치된 클린처(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변형예 5에 따른 드라이버(25)는 회전축(25a)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에서 요동한다. 즉, 도 19(b)에 도시하는 대기위치로부터 도 20(d)에 도시하는 결속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요동한다.
이 변형예 5에 있어서는, 피결속물(5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16)는 드라이버(25)의 구동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삽입구(16)에 피결속물(50)을 삽입한 후에 트리거(14)를 조작하면, 도 2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20)에 의해 드라이버(25)가 회전 구동되어, 드라이버(25)에 의해 선두의 결속구(41)가 클린처(18)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20(b) 및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속구(41)는 클린처(18)에 밀어붙여져서 결속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이 변형예 5에 있어서는, 드라이버(25)가 회전하면서 클린처(18)에 접근하기 때문에 결속구(41)를 클린처(18)에 밀어붙이는 궤도가 원호가 된다. 즉, 드라이버(25)가 클린처(18)에 대해서 비스듬해지는 타이밍이 발생하여, 클린칭의 자세가 안정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클린처(18)를 기울어져 움직일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즉, 도 20(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린처(18)가 경동축(18b)에 의해 기울어져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면, 드라이버(25)의 움직임에 따라서 클린처(18)가 기울어져 움직이므로 클린처(18)와 드라이버(25)가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클린칭을 행할 수 있다.
이 변형예 5와 같이 드라이버(25)를 회전식으로 하면, 드라이버(25)가 직진운동을 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계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변형예 5에 있어서는 드라이버(25)가 회전하도록 구성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드라이버(25)를 회전시키는 대신에 클린처(18)를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고정된 드라이버(25)에 대해서 클린처(18)를 밀어붙여서 결속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본 출원은 2017년 4월 27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 특원2017-088483, 2018년 2월 9일의 일본특허출원 특원2018-022386 및 2018년 4월 10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2018-075141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10 : 결속기 10' : 결속기
11 : 하우징 11' : 하우징
11a : 픽업면 12 : 모터 수용부
12a : 전원접속부 13 : 그립부
14 : 트리거 14' : 트리거
14a : 스위치 15 : 출력부
16 : 삽입구 17 : 돌출형성부
17a : 외측면 17b : 내측면
18 : 클린처 18a : 회전축
18b : 경동축 18' : 클린처
20 : 모터 20a : 회전축
21 : 제어부 22 : 구동기구
23 : 감속기구 24 : 볼 나사
24a : 나사축 24b : 너트
25 : 드라이버 25a : 회전축
26 : 연동기구 27 : 슬라이드부재
27a : 후크 27b : 경사부
27c : 수평부 28 : 접속부재
30 : 가이드부재 30' : 가이드부재
30a : 요동축 30b : 작동핀
30c : 선단부 30c' : 선단부
30d : 제1 가이드부 30d' : 제1 가이드부
30e : 제2 가이드부 30e' : 제2 가이드부
35 : 매거진부 35' : 매거진부
35a : 리브 35b : 홈부
36 : 푸셔 36' : 푸셔
37 : 대기부 40 : 연결 결속구
41 : 결속구 41a : 다리부
41b : 접속부 41c : 개구부
42 : 베이스 43 : 피니언
44 : 랙 45 : 전동 실린더
46 : 클린치부재 47 : 직진부재
50 : 피결속물 D1 : 삽입구의 개구방향
D2 : 결속구의 발사방향(드라이버의 진퇴방향)

Claims (12)

  1. 소성 변형이 가능한 결속구에 의해 피결속물을 결속하는 결속기이며,
    상기 결속구를 발사하는 드라이버와,
    상기 드라이버를 직진 구동하는 구동기구와,
    상기 드라이버의 선단을 받는 위치에 배치된 클린처를 구비하고,
    상기 드라이버와 상기 클린처 사이에는 피결속물을 삽입하도록 구성된 삽입구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드라이버와 상기 삽입구 사이에는 결속구를 대기시키는 대기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기구가 작동되었을 때에 상기 드라이버가 상기 대기부에 공급된 결속구를 발사하고, 발사된 결속구의 다리부가 상기 클린처에 밀어붙여져서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처는 상기 결속기의 선단에 돌출 형성된 돌출형성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성부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상기 드라이버의 구동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기는 복수의 결속구를 연결한 연결 결속구를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기부에 공급된 상기 결속구는 상기 연결 결속구에 연결된 상태에서 대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연결 결속구를 장착 가능한 매거진부를 구비하고,
    상기 매거진부는 상기 연결 결속구를 상기 대기부의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속 동작 시에 상기 삽입구의 개구를 닫도록 구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결속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의 개구가 발사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결속구가 상기 대기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의 상기 직진운동에 의해 상기 결속구의 발사와 상기 결속구의 클린칭이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의 발사방향 상에 상기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피결속물을 걸치도록 상기 삽입구를 향해서 상기 결속구가 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의 안쪽에 상기 구동기구를 구동하는 스위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기.
KR1020197027741A 2017-04-27 2018-04-25 결속기 KR202000028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88483 2017-04-27
JP2017088483 2017-04-27
JPJP-P-2018-022386 2018-02-09
JP2018022386 2018-02-09
JPJP-P-2018-075141 2018-04-10
JP2018075141A JP6992657B2 (ja) 2017-04-27 2018-04-10 結束機
PCT/JP2018/016887 WO2018199197A1 (ja) 2017-04-27 2018-04-25 結束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800A true KR20200002800A (ko) 2020-01-08

Family

ID=6762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741A KR20200002800A (ko) 2017-04-27 2018-04-25 결속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354096A1 (ko)
EP (1) EP3617079A4 (ko)
JP (1) JP6992657B2 (ko)
KR (1) KR20200002800A (ko)
CN (1) CN110494365A (ko)
TW (1) TWI709511B (ko)
WO (1) WO20181991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971A (ko) *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호그링 결속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호그링건 연결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0088B2 (ja) * 2018-02-09 2022-03-23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具
CN112075256B (zh) * 2020-09-10 2022-06-28 宁波欣仪伟业进出口有限公司 捆扎控制方法、装置及其系统、捆扎器和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9118A (ja) 1993-05-17 1994-11-29 Watanabe Denki:Kk 粘着テ−プによる電線自動結束機
JP2000033526A (ja) 1998-07-21 2000-02-02 Meihou Kk ホッグリング締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9512A (en) * 1957-02-04 1959-03-31 Tipper Tie Inc Casing closure and closing apparatus
US2969545A (en) * 1958-10-13 1961-01-31 Bostitch Inc Fastener-applying implement
US3653117A (en) * 1970-09-01 1972-04-04 Signode Corp Clip tool and method of clinching
JPS61164919A (ja) * 1985-01-16 1986-07-25 株式会社 日本バノツク 結束機
JPH0233364A (ja) * 1988-07-20 1990-02-02 Nec Corp 三次元繊維強化複合材料の作製システム
JPH0725284Y2 (ja) * 1990-03-29 1995-06-07 マックス株式会社 密封結束機のドライバガイド装置
JP2900806B2 (ja) * 1994-12-08 1999-06-02 マックス株式会社 袋結束機の結束具捩回装置
US5881452A (en) * 1997-09-10 1999-03-16 Nowell, Iii; Stephen C. Apparatus for applying deformable metal fastener clips to concrete reinforcement steel and the like
CA2298309A1 (en) * 2000-02-04 2001-08-04 Herbert E. Leistner Clip crimping tool
JP4848594B2 (ja) * 2001-05-09 2011-12-28 マックス株式会社 クリップ連結体
JP2002362590A (ja) * 2001-05-31 2002-12-18 Max Co Ltd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用クリンチャー
JP2004010125A (ja) * 2002-06-07 2004-01-15 Max Co Ltd 結束クリップ
JP2004222520A (ja) * 2003-01-20 2004-08-12 Max Co Ltd 園芸用等結束機
CN102862698B (zh) * 2012-09-05 2015-02-04 袁野 自供料线扣钳
JP6932423B2 (ja) 2015-11-06 2021-09-08 株式会社オハラ 光学ガラス、プリフォーム及び光学素子
JP6329118B2 (ja) 2015-11-26 2018-05-23 矢崎総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電線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7163003B2 (ja) 2016-08-04 2022-10-31 ヤフー株式会社 配信装置、配信方法、及び配信プログラム
JP6907430B2 (ja) 2016-11-08 2021-07-21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9118A (ja) 1993-05-17 1994-11-29 Watanabe Denki:Kk 粘着テ−プによる電線自動結束機
JP2000033526A (ja) 1998-07-21 2000-02-02 Meihou Kk ホッグリング締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971A (ko) *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호그링 결속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호그링건 연결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92657B2 (ja) 2022-01-13
TW201841799A (zh) 2018-12-01
TWI709511B (zh) 2020-11-11
WO2018199197A1 (ja) 2018-11-01
CN110494365A (zh) 2019-11-22
JP2019135173A (ja) 2019-08-15
EP3617079A4 (en) 2020-12-30
EP3617079A1 (en) 2020-03-04
US20200354096A1 (en)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9409B2 (en) Cordless carton closing tool and method of replacing a carton closer clinching member
KR20200002800A (ko) 결속기
US6453640B1 (en) Bag binding machine
WO2011010634A1 (ja) 打込み工具
JP2011025362A (ja) 打込み工具
US5909751A (en) Automatic cable tie installation tool
JP4577495B2 (ja) ネジ、釘等の打込機における打込ガイド機構
CN210127651U (zh) 钢筋绑扎器
US20090072004A1 (en) Powered insulated staple gun
WO2018199198A1 (ja) 結束機
CN215789637U (zh) 钉枪
KR20200002801A (ko) 결속기
JP2018184213A (ja) 結束機
EP0745534A1 (en) Strapping tool
JP4539296B2 (ja) 釘打機における釘送り機構
CN219548414U (zh) 一种钢筋捆扎夹紧机构
JPH0624328Y2 (ja) 結束機のワンサイクル作動装置
JP3622196B2 (ja) 連結釘用釘打機における釘供給機構
CN218537201U (zh) 一种枪式电动捆线螺丝刀
JPH0627525Y2 (ja) 結束機の紐つかみ解放装置
WO2018199200A1 (ja) 結束機
WO2020031769A1 (ja) 結束機
JPH0624327Y2 (ja) 結束機の誤作動防止装置
US20130240594A1 (en) Cordless carton closer
JPS63856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