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699U - 농사용 파지 장치 - Google Patents

농사용 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699U
KR20200002699U KR2020190002273U KR20190002273U KR20200002699U KR 20200002699 U KR20200002699 U KR 20200002699U KR 2020190002273 U KR2020190002273 U KR 2020190002273U KR 20190002273 U KR20190002273 U KR 20190002273U KR 20200002699 U KR20200002699 U KR 202000026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body
soil
gripping
cutting blade
ro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703Y1 (ko
Inventor
박희정
Original Assignee
박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정 filed Critical 박희정
Priority to KR2020190002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03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6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1/00Other hand imp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사용 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홀이 구비된 원통형의 파지 몸체 상단에 전동 공구와 연결되는 비트를 형성하고, 상기 파지 몸체의 하단에는 전동 공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흙을 토굴하면서 뿌리를 절단하는 제1 절단날을 형성하여 뿌리가 절단되어 섞여진 흙은 상기 파지 몸체의 배출홀을 통해 상부로 솎아 오르면서 흙으로부터 뿌리와 줄기를 동시에 제거하기 때문에 흙으로부터 딸기 등과 같은 식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전동 공구와 연결되는 비트는 파지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의 중앙에 형성하여 흙속에 박힌 파지 장치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상기 파지 몸체의 내측에는 배출 가이드를 착,탈식으로 결합 구성하여 배출홀을 통해 파지 몸체의 상부로 유출되는 흙을 파지 몸체의 외곽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사용 파지 장치 { field plant root cutting device }
본 고안은 농사용 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홀이 내부에 구비된 원통형의 파지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파지 몸체의 상단에 전동 공구와 연결되는 비트를 형성하며, 상기 파지 몸체의 하단에는 전동 공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뿌리를 절단하는 제1 절단날을 형성하여 뿌리가 절단되어 섞여진 흙은 상기 파지 몸체의 배출홀을 통해 상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흙으로부터 딸기 등과 같은 식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전동 공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흙을 토굴과 동시에 뿌리를 제거하기 때문에 농부들은 일일이 수 작업으로 뿌리와 흙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의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농사용 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 재배는 화분이나 텃밭 등과 같이 소규모로 하거나 딸기 모종을 포판과 같은 포트에 키워 본 밭에 옮겨 심어 대 규모로 재배를 한다.
대 규모로 딸기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17℃ ~ 18℃의 온도를 유지해야만 하며, 이로 인하여 딸기를 재배하는 농부들은 비닐 하우스를 설치하거나 또는 흙 속에 방열을 할 수 있는 톱밥 등과 같은 발열체를 형성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함은 물론 겨울철에도 딸기 열매를 수확하도록 한다.
딸기는 줄기를 통해 흙에 뿌리를 박고서 성장하면서 딸기 열매를 맺게 한다.
그리고 밭 등에 심어진 딸기는 2년 내지 3년 주기로 교체를 하여 딸기 열매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지만 요즘은 1년 주기로 밭에 심어진 딸기를 교체한다.
따라서, 딸기 열매 수확을 마친 후 새로운 딸기 모종을 심기 위해서는 흙에 있는 딸기의 뿌리까지 제거를 한 후에 새로운 딸기 모종을 밭에 심어야만 한다.
딸기 뿌리가 흙에 남은 상태에서 새로운 딸기 모종을 심게 되면, 딸기 뿌리가 썩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됨은 물론 각종 벌레들이 생겨서 딸기 성장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악취로 인해 딸기 재배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수확을 마친 딸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호미 내지 삽 등으로 이루어진 파지 장치를 사용하여 흙으로부터 뿌리까지 제거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파지 장치의 문제점은 호미 내지 삽 등을 이용하여 딸기를 흙으로부터 제거하기 때문에 딸기의 제거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종래에는 호미 내지 삽을 이용하여 딸기가 심어진 흙에 구멍을 판 후에 다시 흙으로부터 딸기를 뽑아 제저를 해야만 하기 때문에 흙으로부터 딸기 제거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딸기를 재배 하기 위해서는 흙을 덮는 검은색 비닐을 이용 하는 데, 종래의 파지 장치를 이용하여 딸기를 흙으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에서 비닐이 찢어져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선 등록된 실용신안 제 20-0424926 호와 같이 천공장치를 고안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천공 장치는 딸기의 뿌리와 흙을 동시에 절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절단된 뿌리가 섞인 흙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딸기가 심어진 흙이 토굴되도록 구멍을 낸 후에 농부가 일일이 손을 이용하여 절단된 뿌리가 섞인 흙을 파 내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파지 장치는 흙 속에 있는 뿌리까지 제거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수 작업으로 해야만 하기 때문에 딸기 제거 시간이 길어지면서 많은 인원 동원으로 인해 작업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출홀이 구비된 원통형의 파지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파지 몸체의 상단에 전동 공구와 연결되는 비트를 형성하며, 상기 파지 몸체의 하단에는 전동 공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뿌리를 절단하는 제1 절단날을 형성하여 뿌리가 절단되어 섞여진 흙은 상기 파지 몸체의 배출홀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면서 흙 속에서 제거하기 때문에 흙 으로부터 딸기 등과 같은 식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전동 공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흙을 토굴과 동시에 뿌리를 제거하기 때문에 농부들은 일일이 수 작업으로 뿌리와 흙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의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파지 몸체의 상부에는 배출 가이드를 형성하여 배출홀을 통해 파지 몸체의 상단으로 배출되는 흙을 상기 파지 몸체의 외곽으로 유도하여 뿌리가 섞인 흙이 전동 공구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파지 몸체에는 절단된 뿌리가 썩인 흙을 삽 처럼 펴 올려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수단을 형성하여 상기 인출수단으로 인해 뿌리가 섞인 흙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농사용 파지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하단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흙을 상단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홀이 구비된 원통형의 파지 몸체와;
파지 몸체의 하부에 돌출 되는 제1 절단날과;
파지 몸체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와;
전동공구와 연결되게 손잡이의 상부에 형성되는 비트;로 구성하여,
상기 전동공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제1 절단날이 회전되면서 흙에 심어진 식물의 뿌리를 절단하고, 절단된 뿌리가 섞인 흙은 회전되는 상기 파지 몸체의 배출홀을 상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고안에 의하면, 배출홀이 구비된 원통형의 파지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파지 몸체의 상단에 전동 공구와 연결되는 비트를 형성하며, 상기 파지 몸체의 하단에는 전동 공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뿌리를 절단하는 제1 절단날을 형성하여 뿌리가 절단되어 섞여진 흙은 배출홀을 통해 파지 몸체의 상부로 유출되면서 제거 되기 때문에 딸기 등과 같은 식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동공구와 연결되는 비트는 파지 몸체의 상단에 손잡이를 형성하고, 그 손잡이의 중앙에 형성하므로,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흙속에 박힌 파지 장치를 용이하게 뽑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동 공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흙을 토굴과 동시에 뿌리를 제거하기 때문에 농부들은 일일이 수 작업으로 뿌리와 흙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의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파지 몸체의 상부에는 배출 가이드를 형성하여 배출홀을 통해 파지 몸체의 상단으로 배출되는 흙을 상기 파지 몸체의 외곽으로 유도하여 흙이 전동 공구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동 공구와 파지 장치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파지 몸체에는 절단된 뿌리와 그 뿌리가 섞인 흙을 인출하는 인출수단을 더 형성하여 농부들이 뿌리가 섞인 흙 및 식물 등의 제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농사용 파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농사용 파지 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농사용 파지 장치의 절단날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농사용 파지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파지 몸체의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농사용 파지 장치에 설치되는 배출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배출 가이드가 구비된 농사용 파지 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배출 가이드가 구비된 농사용 파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9와 도 10은 본 고안의 농사용 파지 장치에 설치되는 인출수단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1과 도 12는 본 고안의 인출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파지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하단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흙을 상단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홀(11)이 구비된 원통형의 파지 몸체(10)와;
파지 몸체(10)의 하부에 돌출 되는 제1 절단날(21)과;
제1 절단날(21)과 대응되게 파지 몸체(10)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30)와;
전동공구(200)와 연결되게 손잡이(30)의 상부에 형성되는 비트(40);로 구성하여,
상기 전동공구(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제1 절단날(21)이 회전되면서 흙에 심어진 식물의 뿌리를 절단하고, 절단된 뿌리는 회전되는 상기 파지 몸체(10)의 배출홀(11)을 통해 파지 몸체(10) 상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 몸체(10) 상부에 배출 가이드(50)를 착,탈식으로 결합 구성하여 배출홀(11)을 통해 배출되는 흙을 상기 파지 몸체(10) 상단 외곽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배출 가이드(50)는, 파지 몸체(10)의 내면에 결합 되는 가이드 몸체(60)와;
파지 몸체(10)의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60)의 상단에 절곡 형성되는 유도부(61);로 구성하고,
식물의 줄기를 컷팅할 수 있는 컷팅날(62)을 상기 유도부(61)의 끝단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농사용 파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파지 장치의 사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뿌리를 절단하는 절단날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사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도 3은 본 고안의 파지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흙에 심어진 식물의 뿌리를 절단함과 동시에 그 절단된 뿌리가 섞인 흙을 상부로 인출시켜 수확을 마친 농장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농장물은 밭에 심어지는 작물로서, 본 고안은 딸기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파지 장치는 내부로 유입되는 흙을 상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홀(11)이 구비된 원통형의 파지 몸체(10)와, 상기 파지 몸체(10)의 상단에는 전동 공구(200)와 연결되는 비트(40)와, 상기 전동 공구(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뿌리를 절단할 수 있는 제1 절단날(21)로 구성한다.
상기 배출홀(11)이 형성되는 파지 몸체(10)는 금속 내지 합성 수재 재질로 이루어짐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파지 몸체(10)의 하단에는 도 2와 같이 제1 절단날(21)을 형성하여 흙으로부터 분리하고, 그 분리된 뿌리가 섞인 흙은 배출홀(1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절단날(21)은 도 2와 같이 파지 몸체(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3와 같이 하단에 절단날(21)이 구비된 절단부(20)를 결합하여 형성하는 데, 상기 제1 절단날(21)은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절단날(21)을 도 2와 도 3과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등 간격으로 하부로 돌출되게 마치 기어 형태로 형성 시 식물등을 재배하기 위해 밭 등에 덮여 씌운 비닐 내지 뿌리가 절단날에 엉키게 되며, 이로 인하여 비닐 내지 뿌리가 구비된 흙에 구멍을 형성하기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과도한 압력에 전동 공구(200)로 전달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파지 몸체(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절단날(21)은 원통형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잡이(30)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비트(40)를 이용하여 파지 몸체(10)를 전동 공구(200)에 결합한다.
상기 전동 공구(200)에 파지 몸체(10)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 몸체(10)의 하단에 구비된 제1 절단날(21)이 흙에 닿도록 이동한다.
이때, 파지 몸체(10)를 회전시키는 전동 공구(200)는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도구로서, 충전식 밧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사용되는 전동 공구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절단날(21)이 흙에 닿음과 동시에 전동 공구(200)를 On 작동시키면서 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전동 공구(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파지 몸체(10)는 회전되면서 흙속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제1 절단날(21)은 뿌리를 절단한다.
상기 제1 절단날(21)이 절단한 뿌리는 도 4의 (c)와 같이 흙과 섞인 상태에서 회전되는 파지 몸체(10)의 배출홀(11)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면서 뿌리가 섞인 흙이 상기 파지 몸체(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절단날(21)에 의해 절단된 뿌리가 섞인 흙은 파지 몸체(10)의 배출홀(11)을 통해 도 4의 (c)와 같이 상기 파지 몸체(10)의 상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딸기를 흙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호미 내지 삽을 이용하여 땅을 파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뿌리가 섞인 흙은 배출홀(11)을 통해 파지 몸체(10)의 상단을 통해 흙속으로부터 솟아 오르면서 나오기 때문에 뿌리가 섞인 흙의 제거를 빠른 시간에 할 수 있으며, 흙 속에 박힌 파지 몸체(10)는 손잡이(30)를 이용하여 빼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파지 몸체(10)의 내부에 나사부(11a)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나사부(11a)는 파지 몸체(10)가 회전되는 방향인 흙이 유출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지 몸체(10)가 회전 되는 방향으로 나사부(11a)를 상기 파지 몸체(10)의 내부에 형성하므로, 뿌리가 섞인 흙을 빠르게 외부로 유출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파지 몸체(10)의 내측 상단으로 배출되는 뿌리가 섞인 흙을 상기 파지 몸체(10)의 상단 외주면으로 유도할 수 있는 배출 가이드(50)를 파지 몸체(10)에 결합한 것이다.
상기 배출 가이드(50)는 도 7과 같이 파지 몸체(10)의 내측 상단에 끼움홈(70)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70)에 끼워지는 끼움부(71)를 배출 가이드(50)의 외면에 형성하여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배출 가이드(50)는 도 6과 같이 파지 몸체(10)의 내측 상단에 결합 되는 가이드 몸체(60)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몸체(60)의 상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유도부(61)를 형성하며, 상기 유도부(61)의 끝단에는 딸기의 줄기를 컷팅할 수 있는 컷팅날(62)을 형성한다.
따라서, 회전되는 전동 공구(200)를 이용하여 파지 몸체(10)를 회전시키게 됨과 동시에 배출 가이드(50)는 파지 몸체(1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도 8과 같이 배출홀(11)을 통해 파지 몸체(10)의 상단으로 유출되는 뿌리가 섞인 흙을 파지 몸체(10)의 상단 외측으로 유도하면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출 가이드(50)를 통해 뿌리가 섞인 흙은 상기 파지 몸체(10)의 상단 외측으로 유도하면서 배출하기 때문에 상기 배출홀(12)을 통해 유출되는 흙에 의해 전동 공구(200)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출 가이드(50)의 끝단에 구비된 컷팅날(62)은 딸기의 줄기를 절단하여 흙에 심겨진 딸기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파지 몸체(10)에 인출수단(10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인출수단(100)은 배출홀(11)을 통해 배출되는 뿌리가 섞인 흙을 뜨듯이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인출수단(100)은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배출 가이드(5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파지 몸체(10)의 내측에 결합 된다.
상기 인출수단(100)은 파지 몸체(10)에 결합 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축(111)과;
파지 몸체(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절단된 뿌리가 섞인 흙을 파서 상기 파지 몸체(10)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고정축(111)에 상,하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인출부(120)와;
탄발 스프링(73)에 탄지되게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부(120)를 가압하는 가압판(130);으로 구성하고,
상기 인출부(120)의 하단은 파지 몸체(10)의 내측으로 곡면지게 인출면(121)을 형성하고,
인출면(121)의 끝단에는 뿌리를 절단할 수 있는 제2 절단날(123)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인출수단(100)을 파지 몸체(10)의 내측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몸체(10)의 내면에는 수평으로 결합홈(12)을 형성하고,
결합홈(12)과 연통되게 파지 몸체(10)의 내면에 수직으로 지지홈(13)을 형성하며,
결합홈(13)에 끼워지도록 하우징(110)의 외면에 결합부(113)를 돌출 형성하고, 그 결합부(113의 상부 중앙에는 지지홈(13)에 끼워지는 지지부(114)를 수직으로 돌출 형성한다.
이때, 결합홈(12)의 내부 바닥에는 결합부(113)의 하부를 가압하여 파지 몸체(10)에 하우징(110)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판(14)을 탄발 스프링(15)에 탄지되게 결합 구성한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고안의 인출수단(100)의 작동 상태를 도 11과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을 하게 되면,
먼저, 전공 공구(200)에 결합 된 파지 몸체(10)를 딸기가 심어진 흙에 닿도록 이동한다.
이때, 파지 몸체(10) 및 인출수단(100)의 끝단이 흙에 박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지 몸체(10)가 흙에 박히게 되면, 전동 공구(200)를 On 작동시켜 파지 몸체(10)와 인출수단(100)이 회전되면서 흙 속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파지 몸체(10)가 흙 속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인출수단(100)에 구비된 인출부(120)의 인출면(121)으로 인해 경사지게 박히면서 회전되는 것이다.
이때, 인출부(120)의 상단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탄발 스프링(131)에 탄지된 가압판(130)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인출부(120)는 흙 속에 박히면서 회전되는 것이다.
흙 속에 박힌 인출부(120)는 파지 몸체(10)의 회전력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마치 삽으로 뜨는 것과 같이 뿌리가 섞인 흙을 도 12와 같이 배출홀(11)의 내부에서 들어 올리듯이 인출하면서 흙을 파지 몸체(10)의 상단으로 유출한다.
이때, 인출부(120)의 끝단에 형성된 제2 절단날(123)은 흙 속에 있는 뿌리를 다시 한번더 절단한다.
뿌리가 절단된 흙이 인출수단(100)을 통해 들어 올리듯이 파지 몸체(10)의 상부를 인출되면 농부를 딸기의 줄기를 잡고 흙 속에서 뿌리가 절단된 흙을 분리하는 것이다.
절단된 뿌리가 섞인 흙이 제거가 되면, 농부는 인출수단(100)이 구비된 파지 몸체(10)에 형성된 손잡이(30)를 손으로 잡은 후에 흙 속에 박힌 파지 몸체(10)를 분리한다.
상기 파지 몸체(10)가 분리됨과 동시에 인출부(120)의 상부에 구비된 돌기부(122)를 가압판(130)이 가압하여 인출부(120)의 자체 하중과 탄발 스프링(13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인출부(120)는 처음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다.
즉, 탄발 스프링(131)에 탄지되는 가압판(130)은 인출부(120)가 흙 속에 박히도록 하면서, 뿌리가 섞인 흙이 제거되면 처음 상태로 인출부(120)를 복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출수단(100)에 의해 파지 몸체(10)의 배출홀(11) 내부로 유입된 뿌리가 섞인 흙을 들어 올리듯이 하면서 파지 몸체(10)의 상부로 인출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에 흙 속에 있는 뿌리와 섞인 흙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3의 (a) ~ (d)는 파지 장치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10: 파지 몸체, 10a: 나사산,
11: 배출홀, 12: 결합홈,
13: 지지홈, 14: 결합판,
15: 탄발 스프링, 20: 절단부,
21: 제1 절단날, 30: 손잡이,
40: 비트, 50: 배출 가이드,
60: 가이드 몸체, 61: 유도부,
62: 컷팅날, 70: 끼움홈,
71: 끼움부, 100: 인출수단,
110: 하우징, 111: 고정축,
113: 결합부, 114: 지지부,
120: 인출부, 121: 인출면,
122: 돌기부, 123: 제2 절단날,
130: 가압판, 131: 탄발 스프링,
200: 전동 공구,

Claims (4)

  1. 하단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흙을 상단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홀(11)이 구비된 원통형의 파지 몸체(10)와;
    파지 몸체(10)의 하부에 돌출 되는 제1 절단날(21)과;
    제1 절단날(21)과 대응되게 파지 몸체(10)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30)와;
    전동공구(200)와 연결되게 손잡이(30)의 상부에 형성되는 비트(40);로 구성하여,
    상기 전동공구(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제1 절단날(21)이 회전되면서 흙에 심어진 식물의 뿌리를 절단하고, 절단된 뿌리가 섞인 흙은 회전되는 상기 파지 몸체(10)의 배출홀(11)을 통해 상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사용 파지 장치.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파지 몸체(10) 상부에 배출 가이드(50)를 착,탈식으로 결합 구성하여 배출홀(11)을 통해 배출되는 흙을 상기 파지 몸체(10) 상단 외곽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배출 가이드(50)는,
    파지 몸체(10)의 내면에 결합 되는 가이드 몸체(60)와;
    파지 몸체(10)의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가이드 몸체(60)의 상단에 절곡 형성되는 유도부(61);로 구성하고,
    식물의 줄기를 컷팅할 수 있는 컷팅날(62)을 상기 유도부(61)의 끝단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사용 파지 장치.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파지 몸체(10)의 내측면에 인출수단(100)을 더 형성하되,
    상기 인출수단(100)은,
    파지 몸체(10)에 결합 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축(111)과;
    파지 몸체(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절단된 뿌리가 섞인 흙을 파서 상기 파지 몸체(10)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고정축(111)에 상,하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인출부(120)와;
    탄발 스프링(73)에 탄지되게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부(120)를 가압하는 가압판(130);으로 구성하고,
    상기 인출부(120)의 하단은 파지 몸체(10)의 내측으로 곡면지게 인출면(121)을 형성하고,
    인출면(121)의 끝단에는 뿌리를 절단할 수 있는 제2 절단날(123)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사용 파지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항에 있어서,
    파지 몸체(10)의 내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결합홈(12)과;
    결합홈(12)과 연통되게 파지 몸체(10)의 내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홈(13)과;
    결합홈(13)에 끼워지도록 하우징(110)의 외면에 돌출되는 결합부(113) 및 지지홈(13)에 끼워지도록 결합부(113)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지지부(114);를 형성하여 파지 몸체(10)의 내면에 인출수단(100)을 착,탈식으로 결합 구성하며,
    상기 결합홈(12)의 내부에는 결합부(113)의 하부를 가압하여 파지 몸체(10)에 하우징(110)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판(14)을 탄발 스프링(15)에 탄지되게 결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사용 파지 장치.
KR2020190002273U 2019-06-04 2019-06-04 농사용 파지 장치 KR200493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73U KR200493703Y1 (ko) 2019-06-04 2019-06-04 농사용 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73U KR200493703Y1 (ko) 2019-06-04 2019-06-04 농사용 파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699U true KR20200002699U (ko) 2020-12-14
KR200493703Y1 KR200493703Y1 (ko) 2021-05-21

Family

ID=7378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273U KR200493703Y1 (ko) 2019-06-04 2019-06-04 농사용 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03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587U (ja) * 1991-10-04 1993-04-27 泰生 三井 除草具
JP3050027U (ja) * 1997-11-20 1998-06-30 春二 森 雑草堀り起こし装置
JP2004357637A (ja) * 2003-06-06 2004-12-24 Pharmacy Nakayama Kk 雑草の抜き取り装置
JP3155717U (ja) * 2003-12-15 2009-12-03 夏男 久保田 刈り取り機草取り作溝づくり円筒片具。
JP2016059341A (ja) * 2014-09-19 2016-04-25 藤田 寛 除草器具
KR101685171B1 (ko) * 2016-01-25 2016-12-09 윤선중 수목 이식용 굴취장치
KR20170138903A (ko) * 2016-06-08 2017-12-18 임현석 우거지 제조용 배추겉대 채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027B2 (ja) 1993-12-27 2000-06-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エンコーダのパルスカウント回路
JP3155717B2 (ja) 1996-10-24 2001-04-1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マイクロレンズに対するレーザ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587U (ja) * 1991-10-04 1993-04-27 泰生 三井 除草具
JP3050027U (ja) * 1997-11-20 1998-06-30 春二 森 雑草堀り起こし装置
JP2004357637A (ja) * 2003-06-06 2004-12-24 Pharmacy Nakayama Kk 雑草の抜き取り装置
JP3155717U (ja) * 2003-12-15 2009-12-03 夏男 久保田 刈り取り機草取り作溝づくり円筒片具。
JP2016059341A (ja) * 2014-09-19 2016-04-25 藤田 寛 除草器具
KR101685171B1 (ko) * 2016-01-25 2016-12-09 윤선중 수목 이식용 굴취장치
KR20170138903A (ko) * 2016-06-08 2017-12-18 임현석 우거지 제조용 배추겉대 채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703Y1 (ko)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896B1 (ko) 개별 육묘포트를 사용하는 제자리 육묘 및 아주심기 방법
KR101637227B1 (ko) 딸기재배용 사각포트를 이용한 딸기 재배 시설 및 재배 방법
CN211128891U (zh) 一种农业果树种植用地皮除草装置
CN104067847A (zh) 一种三叶木通的扦插育苗方法
KR200485559Y1 (ko)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
JP2009195153A (ja) 苺等の苗定植用穿孔具
KR200469843Y1 (ko) 농업용 비닐천공 및 모종이식홈 성형구
KR101759069B1 (ko) 고설재배용 쇄토장치
KR200493703Y1 (ko) 농사용 파지 장치
KR20200014578A (ko) 모종 이식기
CN110447405B (zh) 一种茶花培育方法
CN208446030U (zh) 一种快速移苗器
KR100998665B1 (ko) 모종이식용 홈파기 장치
KR101425908B1 (ko) 고설재배용 베드의 배토용 쇄토장치
CN214482529U (zh) 一种便于大棚内种植、采摘及裁枝的葡萄种植架
CN213603657U (zh) 一种水稻幼苗水培装置
CN203675622U (zh) 手持式铲草机
KR101878122B1 (ko) 잡초 성장억제용 덮개
CN215302022U (zh) 一种用于果蔬的多功能器具
CN217184068U (zh) 园林扦插育苗装置
CN205320524U (zh) 手持式蔬菜播种器
CN215898481U (zh) 一种花卉栽培控根花盆
CN219421693U (zh) 一种新型芽菜育苗盘
KR101493653B1 (ko) 다용도 곡괭이
CN114946816B (zh) 一种园艺用智能除根割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