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578A - 모종 이식기 - Google Patents

모종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578A
KR20200014578A KR1020180089909A KR20180089909A KR20200014578A KR 20200014578 A KR20200014578 A KR 20200014578A KR 1020180089909 A KR1020180089909 A KR 1020180089909A KR 20180089909 A KR20180089909 A KR 20180089909A KR 20200014578 A KR20200014578 A KR 20200014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transplantation
shovel
roots
cut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립
Original Assignee
김윤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립 filed Critical 김윤립
Priority to KR102018008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4578A/ko
Publication of KR20200014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농작물의 모종을 이식하기 위해 이식 삽의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분리 안내봉을 형성하여 물기가 묻어있는 부양토와 뿌리가 이식할 때 이식기 내부에 늘어 붙지 않고 매끄럽게 낙하하는 길잡이 역할을 하고 땅속에 모종이 이식될 수 있도록 비닐을 사방향에서 정확하게 찢어 틈을 만들어주는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측에 손잡이(12)가 형성된 이식봉(11)이 양쪽으로 연결되며 상측에서 회전연결 볼트(24)와 회전연결 너트(25)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부양토가 묻어있는 뿌리(31)로 이루어진 모종(30)이 이등분되는 이식 삽(20, 20a)의 사이에서 이식되는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이식 삽(20, 20a)은 내경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모종(30)과 물기와 부양토가 묻어있는 뿌리(31)가 붙지않고 낙하도록 하는 분리 안내봉(23)을 포함하고,
외경의 중앙에 돌출된 중앙 절단날(21)과 한쪽 선단에서 돌출된 선단 절단날(22)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모종 이식기{Seedling a transplanter machine}
본 발명은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농작물의 모종을 이식하기 위해 이식 삽의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분리 안내봉을 형성하여 물기가 묻어있는 부양토와 뿌리가 이식할 때 이식기 내부에 늘어 붙지 않고 매끄럽게 낙하하는 길잡이 역할을 하고 땅속에 모종이 이식될 수 있도록 비닐을 사방향에서 정확하게 찢어 틈을 만들어주는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 오이, 감자, 참외, 수박, 가지, 토마토, 들깨 등과 같은 작물은 작물 생육기간을 기후에 맞추어 조절하고, 잡초보다 빨리 자라게 하여 수확량을 증대하며, 품질 또한 향상시키기 위해 모종을 이식하여 재배하는 기술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때, 포트(모종판)에 상토(모종흙)를 담은 후 파종하여 모종을 키우는데, 다자란 모종을 포트에서 분리하여 이식할 때 모종의 뿌리를 다치지 않게 함은 물론, 모종의 뿌리에 붙어 있는 상토(모종흙) 덩어리가 깨지지 않고 적절한 높이에서 떨어지는 힘에 의해 식재하고자 하는 토양의 식재공간에 도달하여 해당 상토가 식재공간의 토양에 잘 퍼지도록 심는 것이 작물의 생육과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작물별로 모종의 크기와 재배기술이 모두 다르므로, 최적의 모종 식재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한편, 작물별로 최적의 식재 간격을 유지해야 수확량이 많고 품질이 우수한 작물의 재배가 가능하다.
기존에는 이러한 모종 식재 작업을 통상 호미 등과 같은 농기구를 사용하거나, 삽날만 있는 통상의 모종기를 사용하여 작업자의 감각과 경험에 의지해서 어림짐작으로 모종 이식 작업을 함으로써 모종이 다치거나, 모종의 식재 깊이 및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작물별로 최적의 생육환경을 만족하지 못하였고, 같은 작물을 재배하더라도 농가별로 그 수확량과 품질에 큰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통상의 호미, 모종삽 등과 같은 농기구를 이용한 모종 작업은 작업자가 쪼그려 앉거나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모종을 심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장시간 필요하게 되고, 장시간의 작업에 의해 작업자의 무릎 관절과 허리에 무리가 가해져서 작업 능률도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모종은 물기와 부식토가 뿌리에 묻어있고 무게가 가벼워 어린모가 이식기에 붙어 쉽게 낙하가 되지 않아 이식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고, 이식기를 이용하여 비닐이 덮어진 두둑에 누르는 힘을 가해 모종이 공급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나, 비닐이 쉽게 찢어지지 않아 이식작업이 매우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문헌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72498호(2014. 04. 24.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1329379호(2013. 11. 07. 등록) [문헌 3]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72156호(2004. 12. 27. 등록) [문헌 4]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34507호(2006. 12. 15.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식 삽의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분리안내봉을 형성하여 모종에 물기와 부식토가 뿌리에 묻고 무게가 가벼워 이식기에 붙지 않고 매끄럽게 낙하되어 이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양쪽으로 분리되는 이식 삽의 중앙과 한쪽 선단에 절단날이 돌출되어 하강하면서 비닐을 정확하게 찢고 땅속에 어린 모종이 들어갈 공간을 확보해 정확한 이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이식봉이 양쪽으로 연결되며 상측에서 회전연결 볼트와 회전연결 너트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부양토가 묻어있는 뿌리로 이루어진 모종이 이등분되는 이식 삽의 사이에서 이식되는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이식 삽은 내경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모종과 물기와 부양토가 묻어있는 뿌리가 붙지않고 낙하도록 하는 분리 안내봉을 포함하고,
외경의 중앙에 돌출된 중앙 절단날과 한쪽 선단에서 돌출된 선단 절단날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식 삽의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분리안내봉을 형성하여 모종에 물기와 부식토가 뿌리에 묻고 무게가 가벼워 어린 모가 이식기에 붙지 않고 매끄럽게 낙하되는 길잡이 역할을 통하여 이식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양쪽으로 분리되는 이식 삽의 중앙과 한쪽 선단에 절단날이 삼각형 형태로 돌출되어 하강하면서 비닐을 쉽고 정확하게 찢고 땅속에 어린 모종이 들어갈 공간을 확보해 정확한 이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이식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이식 삽에 대한 주요 부분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이식 삽에 대한 주요 부분의 측면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이식 삽에 대한 주요 부분의 저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이식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모종 이식기(10)는 양손으로 잡아 구동을 제어하는 손잡이(12)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2)가 상측에 형성되도록 하측으로 길게 노출되는 이식봉(11)이 연결되며, 상기 이식봉(11)의 하측 선단을 고정핀(13)을 이용하여 양쪽으로 분한되게 형성한 이식 삽(20, 20a)에 각각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이식 삽(20, 20a)은 상측에서 양쪽을 더 돌출되게 형성한 후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연결 볼트(24)와 회전연결 너트(25)로 양쪽에서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이식 삽(20, 20a)은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원통형태에서 삼각뿔형태를 이루도록 하며, 외측의 중앙과 한쪽 선단에서 중앙 절단날(21)과 선단 절단날(22)이 각각 돌출되어 원주 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에 4개가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식 삽에 대한 주요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식 삽에 대한 주요 부분의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식 삽에 대한 주요 부분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식 삽(20, 20a)은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삼각형 형태를 이루고 원통형의 절반이 되도록 감아서 성형하며, 중앙의 외측으로 삼각형 형상의 중앙 절단날(21)이 돌출되고 한쪽 선단에는 외측으로 삼각형 형상의 선단 절단날(2)이 돌출된 후 상측의 양쪽 선단에서 회전연결 볼트(24)와 회전연결 너트(25)가 회전 가능하게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이식 삽(20, 20a)의 내경 중앙에는 세로방향으로 분리 안내봉(23)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모종에 물기와 부식토가 뿌리(31)에 묻고 무게가 가벼워 어린 모종(30)이 붙을 수 있으므로, 내경에 붙는 것을 방지하고 매끄럽게 낙하하는 길잡이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이식 삽(20, 20a)의 상측 중앙부분에는 외측으로 반원형이 되도록 홈을 형성한 후 이식봉(11)을 대고 고정핀(13)으로 고정하거나 용접에 의해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분리 안내봉(23)은 내경에서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원형의 봉이나 선재로 이루어지고, 하나 또는 다수개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모종(30)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모종 이식기(10)를 사용하여 이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양쪽의 손잡이(12)를 잡고 중심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회전연결 볼트(24)를 축으로 이식 삽(20, 20a)의 하측이 양쪽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벌어진 이식 삽(20, 20a)의 사이에 모종(30)이 위치하도록 하고, 부양토와 뿌리(31)가 있는 부분을 이식 삽(20, 20a)의 하측으로 감싸도록 손잡디(12)를 통해 이식봉(11)으로 구동시켜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손잡이(12)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비닐의 상측에 모종을 이식하기 위한 위치에서 하측을 향해 힘을 가하게 되면 이식 삽(20, 20a)의 선단이 비닐을 뚫고 들어가게 되면서 사방향으로 돌출된 중앙 절단날(21)과 선단 절단날(22)이 비닐을 쉽게 절단하며 진입할 수 있도록 한내하게 되므로 비닐은 중앙 절단날(21)과 선단 절단날(22)의 돌출에 의해 열십자로 찢어지면서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중앙 절단날(21)과 선단 절단날(22)에 사방향에서 열십자 형태로 찢어지면서 구멍을 형성하게 되고, 동시에 하측 선단이 삼각뿔 형태가 되도록 구멍을 형성하게 되며, 이식이 가능한 깊이로 구멍을 형성한 후에는 손잡이(12)를 서로 중심방향으로 당겨 이식봉(11)이 회전연결 볼트(24)와 회전연결 너트(25)를 중심으로 이식 삽(20, 20a)을 회전시켜 하측이 벌어지도록 한다.
상기 이식 삽(20, 20a)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 선단으로 일체형으로 선단 절단날(22)이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외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외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되 삼각형 형태로 돌출되도록 한 후 비닐을 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식 삽(20, 20a)을 상측으로 잡아 당기면 내부에 있던 모종(30)의 하측에 물기와 부양토가 뿌리(31)에 묻게 되며, 무게가 가벼워 어린 모가 이식 삽(20, 20a)의 내경에 있는 분리 안내봉(23)을 통하여 붙지 못하고 매끄럽게 낙하되어 이식되도록 하는 길잡이 역할을 통해 모종(30)의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내경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분리 안내봉(23)은 공급된 모종(30) 또는 부양토가 묻어 있는 뿌리(31)가 이식 삽(20, 20a)의 내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하측으로 낙하가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나 또는 다수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모종에 물기와 부양토가 뿌리에 묻어있는 상태에서 무게가 가벼워 이식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식기에 붙지 않고 매끄럽게 낙하되도록 하는 길잡이 역할을 수행하여 모종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하며, 비닐에 구멍을 성형할 때 사방향으로 돌출된 절단날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모종 이식기 11 : 이식봉
12 : 손잡이 13 : 고정핀
20, 20a : 이식 삽 21 : 중앙 절단날
22 : 선단 절단날 23 : 분리 안내봉
24 : 회전연결 볼트 25 : 회전연결 너트
30 : 모종 31 : 뿌리

Claims (3)

  1. 상측에 손잡이(12)가 형성된 이식봉(11)이 양쪽으로 연결되며 상측에서 회전연결 볼트(24)와 회전연결 너트(25)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부양토가 묻어있는 뿌리(31)로 이루어진 모종(30)이 이등분되는 이식 삽(20, 20a)의 사이에서 이식되는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이식 삽(20, 20a)은 내경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모종(30)과 물기와 부양토가 묻어있는 뿌리(31)가 붙지않고 낙하도록 하는 분리 안내봉(23)을 포함하고,
    외경의 중앙에 돌출된 중앙 절단날(21)과 한쪽 선단에서 돌출된 선단 절단날(22)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모종 이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안내봉(23)은 이식 삽(20, 20a)의 내경에서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원형의 봉이나 선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 삽(20, 20a)은 외경의 중앙에 중앙 절단날(21)이 삼각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한쪽 선단에 일체형의 삼각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선단 절단날(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KR1020180089909A 2018-08-01 2018-08-01 모종 이식기 KR20200014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909A KR20200014578A (ko) 2018-08-01 2018-08-01 모종 이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909A KR20200014578A (ko) 2018-08-01 2018-08-01 모종 이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578A true KR20200014578A (ko) 2020-02-11

Family

ID=6956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909A KR20200014578A (ko) 2018-08-01 2018-08-01 모종 이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45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527B1 (ko) 2020-08-18 2021-03-03 허재승 모종가방
CN115463720A (zh) * 2022-10-08 2022-12-13 南昌工程学院 一种用于底泥污染物治理的系统
KR20230030285A (ko) 2021-08-25 2023-03-06 윤부섭 수동 모종이식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156Y1 (ko) 2004-10-19 2005-01-14 오지한 모종삽
KR200434507Y1 (ko) 2006-09-30 2006-12-21 최기봉 채소류 모종 이식기
KR101329379B1 (ko) 2011-07-05 2013-11-14 강동구 모종기
KR200472498Y1 (ko) 2013-10-31 2014-04-30 이주환 모종 이식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156Y1 (ko) 2004-10-19 2005-01-14 오지한 모종삽
KR200434507Y1 (ko) 2006-09-30 2006-12-21 최기봉 채소류 모종 이식기
KR101329379B1 (ko) 2011-07-05 2013-11-14 강동구 모종기
KR200472498Y1 (ko) 2013-10-31 2014-04-30 이주환 모종 이식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527B1 (ko) 2020-08-18 2021-03-03 허재승 모종가방
KR20230030285A (ko) 2021-08-25 2023-03-06 윤부섭 수동 모종이식장치
CN115463720A (zh) * 2022-10-08 2022-12-13 南昌工程学院 一种用于底泥污染物治理的系统
CN115463720B (zh) * 2022-10-08 2023-08-25 南昌工程学院 一种用于底泥污染物治理的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0004B2 (ja) 対地作業装置
KR20200014578A (ko) 모종 이식기
KR101329379B1 (ko) 모종기
KR101573921B1 (ko) 작조파종기
KR101557365B1 (ko) 감자 파종기
KR200485559Y1 (ko)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
KR200469843Y1 (ko) 농업용 비닐천공 및 모종이식홈 성형구
KR102088643B1 (ko) 자동 모종이식기
KR20160097575A (ko) 다용도 파종기
KR100998665B1 (ko) 모종이식용 홈파기 장치
KR102052426B1 (ko) 비료 투입기
KR100991512B1 (ko) 농기계용 삽식기
KR20160119479A (ko) 흙 이탈판이 구비된 육묘이식 및 파종기
CN108718558A (zh) 农用一体机
KR102322515B1 (ko) 반자동 모종파종기
KR101597971B1 (ko) 모종 식재공 형성장치
US20130000931A1 (en) Dual Blade Parallel Garden Hoe
KR200494828Y1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KR20230030285A (ko) 수동 모종이식장치
CN108718557A (zh) 农用播种机
CN217936478U (zh) 一种自动种植机
KR20210001298U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Devan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battery operated multipurpose agricultural vehicle
JP3626026B2 (ja) 中耕除草機
US20130105184A1 (en) Dual Blade Parallel Garden 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