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527B1 - 모종가방 - Google Patents
모종가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2527B1 KR102222527B1 KR1020200103255A KR20200103255A KR102222527B1 KR 102222527 B1 KR102222527 B1 KR 102222527B1 KR 1020200103255 A KR1020200103255 A KR 1020200103255A KR 20200103255 A KR20200103255 A KR 20200103255A KR 102222527 B1 KR102222527 B1 KR 1022225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edling
- strap
- shoulder
- substrap
- wais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종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종판의 크기에 대응하여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된 바디부와 바디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모종판의 하면이 안착된 지지부와 지지부의 양측으로 연결되고, 신체의 어깨에 거치되는 스트랩부 및 바디부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는 모종가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종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종판이 안착된 사각프레임 형상의 바디부를 신체의 허리부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허리를 일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어깨에 거치된 스트랩부와 스트랩부에 연결된 서브스트랩에 의해 바디부가 지면으로부터 평행상태를 일부 유지함으로써, 작업자가 편리하게 모종을 취출하여 모종이식기에 투입할 수 있는 모종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종은 고추, 오이, 감자, 참외, 수박, 가지, 토마토, 들깨 등과 같은 작물을 일정한 모양의 포트(모종판)에 파종하여 발아시킨 다음 땅에 옮겨 심고 있다.
이러한 모종이식은 작물 생육기간을 기후에 맞추어 조절하고, 잡초보다 빨리 자라게 하여 수확량을 증대하며,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종을 이식하여 재배하는 기술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때, 포트(모종판)에 상토(모종흙)를 담은 후 파종하여 모종을 키우는데, 다자란 모종을 포트에서 분리하여 이식할 때 모종의 뿌리를 다치지 않게 해야 한다.
또한, 모종의 뿌리에 붙어 있는 상토(모종흙) 덩어리가 깨지지 않고 적절한 높이에서 떨어지는 힘에 의해 식재하고자 하는 토양의 식재공간에 도달하여 해당 상토가 식재공간의 토양에 잘 퍼지도록 심는 것이 작물의 생육과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작물별로 모종의 크기와 재배기술이 모두 다르므로, 최적의 모종 식재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한편, 작물별로 최적의 식재 간격을 유지해야 수확량이 많고 품질이 우수한 작물의 재배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모종이식 작업을 손으로 하면, 작업자가 모종을 포트(모종판)로부터 일일이 손으로 취출하여 옮겨 심어야하기 때문에 긴 작업시간을 요하게 되며, 작업 중 부주의로 모종이 손상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모종이식 작업을 위해 포트(모종판)을 들고 다니거나 이식하기 위한 장소 주변에 배치해두고 모종을 취출하기 때문에 혼자서 작업하기가 힘들다.
이를 위해, 적어도 2인의 작업자가 한조를 이루어 선작업자가 모종이식기로 땅속에 이식할 공간을 확보하면 후작업자가 모종을 모종이식기로 투입하여 작업을 한다.
이러한 모종이식 작업은 작업자 혼자서 할 수 있지만, 포트(모종판)를 신경쓰면서 작업해야하므로 육체적피로감과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종판이 안착된 사각프레임 형상의 바디부를 신체의 허리부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허리를 일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어깨에 거치된 스트랩부와 스트랩부에 연결된 서브스트랩에 의해 바디부가 지면으로부터 평행상태를 일부 유지함으로써, 작업자가 편리하게 모종을 취출하여 모종이식기에 투입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모종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보강부를 형성하는 서브스트랩은 신체의 어깨에 거치된 스트랩부의 중앙부분에 연결되어 스트랩부의 마주하는 방향에 위치하여 어깨를 최고점으로 하는 삼각뿔을 형성시키는 모종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종판의 크기에 대응하여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종판의 하면이 안착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양측으로 연결되고, 신체의 어깨에 거치되는 스트랩부; 및
상기 바디부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는
모종가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는 신체의 허리부분에 접촉하는 외측면에 쿠션팬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부의 테두리보다 넓게 형성되고, 방수천, 실리콘, 레이온, 나일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홈이 한 쌍으로 형성된 체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바디부를 신체의 일측 허리에 위치시키는 경우, 신체의 타측 허리방향에 위치한 어깨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넓이와 두께로 형성된 보강대; 상기 보강대의 상부에 관통된 홀이 형성된 결합홀; 및 상기 결합홀에 연결되고, 상기 스트랩부에 연결된 서브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에 있어서, 상기 서브스트랩은 신체의 어깨에 거치된 상기 스트랩부의 중앙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랩부의 마주하는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어깨를 최고점으로 하는 삼각뿔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에 있어서, 상기 서브스트랩은 작업자가 신체의 허리를 일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스트랩부가 거치된 신체의 어깨의 최고점을 축으로 일방향을 향해 회동하고 상기 보강대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보강대가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상기 허리가 회동하는 방향을 향해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바디부가 지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종가방은 모종판이 안착된 바디부를 신체의 허리부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허리를 일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어깨에 거치된 스트랩부와 스트랩부에 연결된 서브스트랩에 의해 바디부가 지면으로부터 평행상태를 일부 유지함으로써, 작업자가 편리하게 모종을 취출하여 모종이식기에 투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디부의 최저면이 신체의 허리의 이상으로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다리부위의 움직임이 자유롭고, 바디부가 다리부위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 하여 보행이 편리함에 따라 이식 작업 시 모종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행의 편리성에 의해 밭 고랑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모종을 옮겨심는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추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강부를 형성하는 보강대에 의해 모종판이 바디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는 보다 활동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종가방은 보강부를 형성하는 서브스트랩은 신체의 어깨에 거치된 스트랩부의 중앙부분에 연결되어 스트랩부의 마주하는 방향에 위치하여 어깨를 최고점으로 하는 삼각뿔을 형성시킴으로써, 바디부가 안정적으로 신체의 허리부분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모종판으로부터 모종을 취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브스트랩은 작업자가 신체의 허리를 일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스트랩부가 거치된 신체의 어깨의 최고점을 축으로 어느 한 방향을 향해 예각으로 회동하여 바디부가 지면으로부터 수평방향에 위치할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을 신체의 어깨에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의 스트랩부와 서브스트랩을 일측면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의 바디부가 지면으로부터 수평방향을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을 신체의 어깨에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의 스트랩부와 서브스트랩을 일측면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의 바디부가 지면으로부터 수평방향을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을 신체의 어깨에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의 스트랩부와 서브스트랩을 일측면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의 바디부가 지면으로부터 수평방향을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10)은 바디부(100), 지지부(200), 스트랩부(300) 및 보강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10)은 모종판(11)의 크기에 대응하여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된 바디부(100), 바디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모종판의 하면이 안착된 지지부(200), 지지부의 양측으로 연결되고, 신체의 어깨에 거치되는 스트랩부(300) 및 바디부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보강부(40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바디부(100)는 모종판(11)의 테두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모종판(11)의 테두리보다 작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된다.
또한, 바디부(100)는 모종판(11)을 신체의 허리부분에 위치시켜야 하므로 하중이 가벼운 소재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디부(100)는 신체의 허리부분에 접촉하는 외측면에 쿠션팬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쿠션패드는 바디부(100)의 외측면이 허리부분을 압박하거나 마찰되어 피부에 발생하는 상처를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바디부(100)는 모종판(11)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되, 일반적인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200)는 바디부(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모종판(11)의 하면이 안착된다.
이를 위해, 지지부(200)는 안착부(210), 연장부(220) 및 체결홈(230)을 더 포함한다.
안착부(210)는 바디부의 테두리보다 넓게 형성되고, 방수천, 실리콘, 레이온, 나일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즉, 안착부(210)는 모종판(11)의 테두리가 바디부(100)의 사각틀을 따라 안착되고, 바디부(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모종판(11)의 하면을 지지해준다.
특히, 안착부(210)는 방수재질의 천 또는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어 모종판(11)에 수용된 모종을 취출 시, 흙 또는 물이 지면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모종판(11)에 수용된 모종을 취출하여 선단부가 땅속으로 파고든 모종이식기에 삽입한다.
이때, 모종판(11)에서 취출되는 모종에서 안착부(210)로 흙 또는 물이 낙하하거나 튀면서 안착부(210)에 흡착되거나 수용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복으로 흙 또는 물이 튀거나 묻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하게 작업을 하게 해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장부(220)는 바디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부(21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체결홈(230)은 연장부(220)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홈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홈(230)은 홈의 내주면에 링부재가 결합되어 후술하는 스트랩부(300)를 연결 시, 연장부(220)가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트랩부(300)는 지지부(200)의 양측으로 연결되고, 신체의 어깨에 거치되는 역할을 한다.
다시 설명하면, 스트랩부(300)는 일측이 연장부(220)에 형성된 일측의 체결홈(230)에 연결되어 타측이 타측의 체결홈(230)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신체의 어깨에 스트랩부(300)를 거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트랩부(300)는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하여 작업자의 신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트랩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를 신체의 일측 허리에 위치시키는 경우, 신체의 타측 허리방향에 위치한 어깨에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트랩부(300)는 비록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옆으로 메는 방식 외에도 지지부(200)를 작업자의 정면인 신체의 배 부분에 위치하여 바디부(100)가 작업자의 앞을 향해 위치할 수 있게 메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로 인해, 모종판(11)이 작업자의 앞으로 위치하는 작업을 할 수 있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강부(400)는 바디부(100)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부(400)는 보강대(410), 결합홀(420) 및 서브스트랩(430)을 더 포함한다.
보강대(4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넓이와 두께로 형성된다. 그리고 신체의 허리부분에 접촉하는 바디부(100)의 마주하는 프레임에 결합된다.
또한, 보강대(410)는 작업자의 활동성으로 모종판(11)이 바디부(100)로부터 이탈하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홀(420)은 보강대(410)의 상부에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서브스트랩(430)은 결합홀에 연결되고, 스트랩부(300)에 연결된다.
즉, 서브스트랩(430)은 신체의 어깨에 거치된 스트랩부의 중앙부분에 연결되어 스트랩부(300)의 마주하는 방향에 위치하여 어깨를 최고점으로 하는 삼각뿔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보강대(410)가 결합된 바디부(100)의 프레임을 허리부분을 축으로 평행하게 해준다.
한편, 서브스트랩(4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신체의 허리를 일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스트랩부(300)가 거치된 신체의 어깨의 최고점을 축으로 일방향을 향해 회동하고 보강대(410)를 잡아당김으로써, 보강대(410)가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허리가 회동하는 방향을 향해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바디부(100)가 지면으로부터 수평방향에 위치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설명하면, 작업자가 작업중 어느 한 방향으로 신체를 이동 시키더라도 스트랩부(300)가 거치된 신체의 어깨의 최고점을 중심축으로 하여 서브스트랩(430)이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스트랩(430)의 일측에 연결된 보강대(410)는 바디부(100)에 연결되어 바디부(100)와 함께 인가되는 무게만큼 중력이 작용하여 서브스트랩(430)을 수직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때, 서브스트랩(430)은 작용 반작용에 의해 보강대(410)를 잡아당기고, 보강대(410)는 서브스트랩(430)을 잡아당김으로써, 서로 끌어당기는 힘으로 인해 서브스트랩(430)이 보강대(410)의 회동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서브스트랩(430)은 신체의 회동한 방향으로 보강대(410)가 기울어지더라도 보강대(410)를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잡아당기기 때문에 보강대(410)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바디부(100)는 작업자가 회동한 방향에 대응하여 일시적으로 회동후, 지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서브스트랩(43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대(410)로부터 일측 어깨를 지나 등을 통해 타측 어깨에 위치한 스트랩부(300)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는, 스트랩부(300)를 타측의 어깨에 거치한 하나의 실시를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트랩부(300)를 일측 어깨에 거치하는 경우에는 보강대(410)가 일측어깨 방향을 향해 마주보며 배치되고, 서브스트랩(430)이 스트랩부(300)와 보강대(410)의 사이에 연결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가방(10)의 보강부(400)는 일반적으로 모종의 길이가 최소 3cm인 상추, 배추 등 또는 최대 20cm 이상인 고추, 웃자란 옥수수, 팥, 들깨 등이 모종판(11)에 수용된 후 안착부(210)에 안착되는 경우, 어깨에서 내려오는 서브스트랩(430)이 작업 시 모종 잎과 마찰되어 모종잎이 상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모종가방
11 : 모종판
100 : 바디부
200 : 지지부
210 : 안착부
220 : 연장부
230 : 체결홈
300 : 스트랩부
400 : 보강부
410 : 보강대
420 : 결합홀
430 : 서브스트랩
11 : 모종판
100 : 바디부
200 : 지지부
210 : 안착부
220 : 연장부
230 : 체결홈
300 : 스트랩부
400 : 보강부
410 : 보강대
420 : 결합홀
430 : 서브스트랩
Claims (6)
- 모종판의 크기에 대응하여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종판의 하면이 안착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양측으로 연결되고, 신체의 어깨에 거치되는 스트랩부; 및
소정의 넓이와 두께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보강대와 상기 보강대의 상부에 관통된 홀이 형성된 결합홀 및 상기 결합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스트랩부에 타측이 연결된 서브스트랩을 포함하여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스트랩은
작업자가 신체의 허리를 일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스트랩부가 거치된 신체의 어깨의 최고점을 축으로 일방향을 향해 회동하고 상기 보강대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보강대가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상기 허리가 회동하는 방향을 향해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바디부가 지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가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부의 테두리보다 넓게 형성되고, 방수천, 실리콘, 레이온, 나일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안착부;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홈이 한 쌍으로 형성된 체결홈을 더 포함하는
모종가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바디부를 신체의 일측 허리에 위치시키는 경우, 신체의 타측 허리방향에 위치한 어깨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가방.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스트랩은
신체의 어깨에 거치된 상기 스트랩부의 중앙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랩부의 마주하는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어깨를 최고점으로 하는 삼각뿔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가방.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3255A KR102222527B1 (ko) | 2020-08-18 | 2020-08-18 | 모종가방 |
US18/020,036 US20230276743A1 (en) | 2020-08-18 | 2021-03-29 | Seedling transport apparatus |
JP2021569121A JP7146220B2 (ja) | 2020-08-18 | 2021-03-29 | 苗運搬装置 |
PCT/KR2021/003881 WO2022039344A1 (ko) | 2020-08-18 | 2021-03-29 | 모종 운반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3255A KR102222527B1 (ko) | 2020-08-18 | 2020-08-18 | 모종가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2527B1 true KR102222527B1 (ko) | 2021-03-03 |
Family
ID=7515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3255A KR102222527B1 (ko) | 2020-08-18 | 2020-08-18 | 모종가방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276743A1 (ko) |
JP (1) | JP7146220B2 (ko) |
KR (1) | KR102222527B1 (ko) |
WO (1) | WO2022039344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39344A1 (ko) * | 2020-08-18 | 2022-02-24 | 허재승 | 모종 운반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42A (ja) * | 1995-06-22 | 1997-01-07 | Masayuki Asano | カゴ保持具 |
KR101995537B1 (ko) * | 2018-03-29 | 2019-07-03 | 조준래 | 허리 부착형 다기능 거치대 |
KR20200014578A (ko) | 2018-08-01 | 2020-02-11 | 김윤립 | 모종 이식기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I61796C (fi) * | 1981-06-25 | 1982-10-11 | Marttinen Ky T | Baeranordning foer klimpplantsbrickor |
US5170918A (en) * | 1991-09-11 | 1992-12-15 | Perron Christian Y | Ergonomic carrying belt for tree planting trays |
KR200368665Y1 (ko) * | 2004-09-10 | 2004-11-26 | 최성예 | 플라스틱 바구니 |
US20090199532A1 (en) * | 2008-02-12 | 2009-08-13 | Mary Imogene Bassett Hospital | Fruit harvesting belt and bucket system |
KR20100060137A (ko) * | 2008-11-27 | 2010-06-07 | (주) 씨엔팜 |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 |
CN201928631U (zh) | 2010-09-15 | 2011-08-17 | 姚毅 | 背负式抛秧托盘 |
KR101533689B1 (ko) * | 2013-09-05 | 2015-07-07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
JP6641412B2 (ja) | 2018-04-26 | 2020-02-05 | 株式会社サンカ | 手箕 |
KR102222527B1 (ko) * | 2020-08-18 | 2021-03-03 | 허재승 | 모종가방 |
-
2020
- 2020-08-18 KR KR1020200103255A patent/KR10222252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3-29 WO PCT/KR2021/003881 patent/WO202203934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03-29 US US18/020,036 patent/US20230276743A1/en active Pending
- 2021-03-29 JP JP2021569121A patent/JP7146220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42A (ja) * | 1995-06-22 | 1997-01-07 | Masayuki Asano | カゴ保持具 |
KR101995537B1 (ko) * | 2018-03-29 | 2019-07-03 | 조준래 | 허리 부착형 다기능 거치대 |
KR20200014578A (ko) | 2018-08-01 | 2020-02-11 | 김윤립 | 모종 이식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39344A1 (ko) * | 2020-08-18 | 2022-02-24 | 허재승 | 모종 운반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146220B2 (ja) | 2022-10-04 |
JP2022539448A (ja) | 2022-09-09 |
WO2022039344A1 (ko) | 2022-02-24 |
US20230276743A1 (en) | 2023-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9379B1 (ko) | 모종기 | |
CN103402350B (zh) | 土地耕作器具 | |
KR102088643B1 (ko) | 자동 모종이식기 | |
KR101628040B1 (ko) | 수경재배기 | |
KR102222527B1 (ko) | 모종가방 | |
KR200444544Y1 (ko) | 모종 이식기 | |
US2345741A (en) | Tractor cultivator | |
KR102322515B1 (ko) | 반자동 모종파종기 | |
KR102386731B1 (ko) | 작업편의성을 증진시킨 다용도 파종기 | |
KR101896472B1 (ko) | 농업용 다목적 작업보조장비 | |
KR100991512B1 (ko) | 농기계용 삽식기 | |
US5170918A (en) | Ergonomic carrying belt for tree planting trays | |
KR101995537B1 (ko) | 허리 부착형 다기능 거치대 | |
CN103415198B (zh) | 土地耕作器具 | |
CN209057459U (zh) | 一种免耕播种机用多排犁装置 | |
RU2353079C1 (ru) | Ручной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 |
Galigani et al. | Mechanized saffron cultivation, including harvesting | |
KR200490557Y1 (ko) | 모종 복토삽 | |
JP3398622B2 (ja) | 栽培容器ユニット及びこれを利用した高設栽培装置 | |
CN210470245U (zh) | 一种多功能药材种植机 | |
Mishra et al. | Inventory on women friendly tools | |
KR102047839B1 (ko) | 뿌리 식물 재배용 베드 장치 | |
KR102253037B1 (ko) | 허리 부착을 위한 착탈식 다기능 거치대 | |
CN215835841U (zh) | 一种用于荒漠草原补植小半灌木的机械装置 | |
US699257A (en) | Combined harrow and rol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