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137A -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 - Google Patents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137A
KR20100060137A KR1020080118600A KR20080118600A KR20100060137A KR 20100060137 A KR20100060137 A KR 20100060137A KR 1020080118600 A KR1020080118600 A KR 1020080118600A KR 20080118600 A KR20080118600 A KR 20080118600A KR 20100060137 A KR20100060137 A KR 20100060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open
storage space
fastening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연억
Original Assignee
(주) 씨엔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엔팜 filed Critical (주) 씨엔팜
Priority to KR102008011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0137A/ko
Publication of KR2010006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3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by means of additional elements, e.g. mod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관되는 물품의 크기 및 양에 따라 내부 수납공간의 가변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하여 공간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납상자는, 상호 대향되는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제작되어지는 제1상자체(10)와 제2상자체(20)로 이루어지되, 제2상자체(20)는 제1상자체(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제1상자체(10) 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되며; 상기 제1상자체(10)의 개방측 입구부 내주면에는 걸림턱(11)이 돌출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제2상자체(20)의 개방측 입구부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11)과 대응되어지는 돌출턱(21)이 형성되어져 있어, 상기 걸림턱(11)과의 상호간 걸림작용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납, 가변, 상자, 절첩, 슬라이딩, 공간

Description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A SIZE CHANGE TYPE TYPE BOX}
본 발명은 가변형 수납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수납공간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가변형 수납상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절이 지난 옷가지나 물품 등을 보관하기 위하여 수납상자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수납상자는 대체로 완성품의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자만 이동하거나 보관할 경우에는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조립형 수납 상자가 제안되었다.
상기 조립형 수납 상자는 종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고정 부재 등을 이용하여 조립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형 수납 상자는 전개된 형태에 따라 절첩하여 접어서 상자 형태를 만들었을 때, 항상 크기가 획일화된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보관되는 물품의 크기 또는 양에 관계없이 실내의 일정 면적을 차지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수납상자의 수납공간에 비해 적은량의 물품이 수납되어진 상태에서는, 상자를 이동할 경우 내부에서 물품이 흩어지거나 충격이 발생하게 되며, 물품의 크기가 상자보다 큰 경우 새로운 상자를 구입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내부 수납공간의 가변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수납상자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물품의 보관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대향되는 일측면이 개방된 제1상자체와 제2상자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상자체의 개방측에는 제2상자체의 개방측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이 측벽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끼움홈의 입구측 내주면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끼움홈과 대응되는 제2상자체의 단부에는 돌출턱이 형성되어져 있어 상기 걸림턱과의 상호간 걸림작용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납상자는, 상자의 좌우길이 또는 상하높이의 가변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보관되어질 물품의 크기 및 양에 따라 적절하게 내부의 수납공간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이러한 상자는 전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절첩식으로 조립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누구나 손쉽게 구입 및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 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상자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본 발명의 상자 본체는 상부면 및 상호 대향되는 일측면이 각각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제1상자체(10)와 제2상자체(20)로 구성되어지며, 각각의 상부에는 뚜껑(15,25)이 구성되어지게 된다.
특히, 제2상자체(20)는 제1상자체(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제1상자체(10) 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지게 되며, 제1상자체(10)의 개방측에는 제2상자체(20)가 삽입되어질 수 있는 끼움홈(12)이 형성되어지게 되고, 끼움홈(12)의 내주면에는 걸림턱(11)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끼움홈(12)은 제1상자체(10)를 전개상태에서 접는 과정에서 형성되어지게 되며, 걸림턱(11) 역시 제1상자체(10)의 선단부를 접어서 접힘가공을 통해 형성되어진 것이다.
한편, 이와 대응되는 제2상자체(20)의 개방측 선단부 역시 외측으로 접혀짐으로 형성된 돌출턱(21)이 구비되어짐으로서, 상기 걸림턱(11)과의 상호 걸림작용에 의해 제2상자체(20)가 제1상자체(10)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양측의 뚜껑(15,25) 역시 상자체(10,20)와 동일한 상호 끼움 방식의 슬라이딩 가능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양측 상자체(10,20)간 결합방식과 동일하므로 해당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구성설명은 생략하였다.
또한, 제1상자체(10)의 양측벽에는 고정핀(2)과 쌍을 이루고 있는 체결피 스(1)가 삽입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공(13)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2상자체(20)의 양 측벽면에는 상기 체결공(13)과 대응되는 높이에 다수의 통공(2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됨으로서 상자체(10,20)간 가변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도 3은 응용예에 따른 위치조절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1상자체(10)의 양 측벽면에는 체결피스(1)가 삽입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공(13')이 수직방향의 장공형태를 이루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2상자체(20)의 양 측벽면에는 상기 체결공(13)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23')이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이루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통공(23')에는 일정 간격으로 위치선택홈(23a')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요부 확대도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자의 길이조절시에는 체결피스(1)를 체결공(13')의 상부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제2상자체(20)의 통공(23')을 따라 가이드되어지도록 하며, 적절한 위치가 선택되어지면 해당 위치선택홈(23a')에 체결피스(1)가 끼워지도록 체결피스(1)를 체결공(13') 하부로 하강시킴으로서 고정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4는 손잡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가변형 구조를 이루고 있는 본 발명 상자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가변형 수납상자는 제1상자체(10)와 제2상자체(20) 그리고 각각의 뚜껑(15,25)이 전개 상태에서 접어서 제작이 이루어지게 되며, 제1상자체(10)의 끼 움홈(12)에 제2상자체(20)를 끼워주고 양측 상자(15,25) 역시 동일하게 끼움 결합시킴으로서 하나의 일체형 상자체(10,20) 및 뚜껑(15,25)을 이루게 된다.
특히, 끼움결합이 이루어진 제1,2상자체(10,20)는 상호간에 걸림턱(11) 및 돌출턱(21) 구조로 인해 걸려짐으로서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손잡이(14)를 잡고 제2상자체(20)를 도 4에서와 같이 밀거나 당김으로서 내부 수납공간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상자체(20)를 슬라이딩 유동시켜 적절한 위치로 가변조절이 이루어진 후에는 체결피스(1)와 고정핀(2)을 이용하여 체결공(13) 및 해당 통공(23)에 삽입 체결함으로서, 조절된 위치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납상자의 내부 공간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가변 조절함은 물론, 조절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가변형 상자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자체(10)는 상면이 개방된 구조를 이루고, 제2상자체(20)는 제1상자체(10)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유동되며 끼워질 수 있도록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짐과 함께 상면과 하면이 동시에 개방된 구조를 이루게 되며, 상부에는 하나의 뚜껑(25)이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이러한 승강 가변식 상자의 응용예로서, 제1상자체(10)의 양 측벽면에는 체결피스(1)가 삽입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공(13')이 수평방향의 장공형 태를 이루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2상자체(20)의 양 측벽면에는 상기 체결공(13)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23')이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이루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통공(23')에는 일정 간격으로 위치선택홈(23a')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도 3에 대한 설명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상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높이 가변형 수납상자의 경우는, 사용자가 제2상자체(20)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한 상태에서 체결피스(1)를 사용하여 체결공(13,13') 및 통공(23,23')에 체결하여 조절된 높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이후 뚜껑(25)을 결합시킴으로서 원하는 수납공간을 이루는 수납상자의 조립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변형 수납상자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의 좌우 길이조절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 사용자의 이용 만족도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가변형 수납상자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상자체 및 뚜껑이 종이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 되었으나, 종이 외에도 박막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어질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뚜껑 분리 사시도.
도 2는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본체 분리도.
도 3은 상기 일 실시예의 응용예에 따른 길이조절 구조도.
도 4은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뚜껑 결합상태 측면도.
도 5는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본체 가변 조절상태 측면도.
도 6는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본체 결합상태 평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외관 상태도.
도 8은 상기 다른 실시예의 응용예에 따른 높이조절 구조도.
도 9는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가변 조절상태 측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체결피스 2 : 고정핀
10 : 제1상자체 11 : 걸림턱
12 : 끼움홈 13,13' : 체결공
14 : 손잡이 15 : 뚜껑
20 : 제2상자체 21 : 돌출턱
23 : 통공 23a': 위치선택홈
25 : 뚜껑

Claims (6)

  1. 상호 대향되는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제작되어지는 제1상자체(10)와 제2상자체(20)로 이루어지되, 제2상자체(20)는 제1상자체(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변되며 끼워질 수 있도록 제1상자체(10) 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상자체(10)의 개방측에는 제2상자체(20)의 개방측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12)이 형성되어져 있어 수평방향으로 상자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상자체(10)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제2상자체(2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태를 이루어서 상하 방향으로 상자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2상자체(20)의 상부에는 뚜껑(25)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자체(10)의 개방측 입구부 내주면에는 단부를 접힘가공하여 형성된 걸림턱(11)이 돌출 구성되어져 있고;
    상기 제2상자체(20)의 개방측 입구부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11)과 대응되어지는 돌출턱(21)이 접힘가공에 의해 형성되어져 있어, 상기 걸림턱(11)과의 상호간 걸림작용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자체(10)의 양 측벽면에는 체결피스(1)가 삽입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공(13)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2상자체(20)의 양 측벽면에는 상기 체결공(13)과 대응되는 높이에 다수의 통공(2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자체(10)의 양 측벽면에는 체결피스(1)가 삽입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공(13')이 장공형태를 이루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2상자체(20)의 양 측벽면에는 상기 체결공(13)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23')이 일정 길이를 이루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통공(23')에는 일정 간격으로 위치선택홈(2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
KR1020080118600A 2008-11-27 2008-11-27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 KR20100060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600A KR20100060137A (ko) 2008-11-27 2008-11-27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600A KR20100060137A (ko) 2008-11-27 2008-11-27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137A true KR20100060137A (ko) 2010-06-07

Family

ID=4236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600A KR20100060137A (ko) 2008-11-27 2008-11-27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0137A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53Y1 (ko) * 2010-07-23 2013-02-05 주식회사 그린빈에스텍 커피전문점용 보관함 및 이의 높이 조절 구조
CN103625740A (zh) * 2013-11-28 2014-03-12 苏州市亿达净化实验室设备有限公司 一种节省空间的实验室储物箱
KR101588786B1 (ko) * 2014-09-05 2016-01-26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문구함 및 그 사용방법
WO2016013891A1 (ko) * 2014-07-23 2016-01-28 박현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CN106078653A (zh) * 2016-08-25 2016-11-09 安庆市天涯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容积可调式电力检修箱
KR20160131603A (ko) * 2015-05-08 2016-11-16 주식회사 연합축산 가축 분만 보온장치
CN107804602A (zh) * 2017-11-10 2018-03-16 浦江县飞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物流运输用的集装箱装置
KR200486290Y1 (ko) * 2017-06-26 2018-04-27 향돈촌영농조합법인 포장공간 가변형 포장상자
KR20180067016A (ko) 2016-12-12 2018-06-20 (주)포스트미디어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
KR20180079090A (ko) * 2016-12-30 2018-07-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궤도 운반 트레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궤도 운반 시스템
CN108577636A (zh) * 2018-06-21 2018-09-28 安徽商贸职业技术学院 一种便于操作的日常生活用品放置盒
CN108657573A (zh) * 2017-03-29 2018-10-16 亳州学院 一种方便分隔的物流用简易储货篮
CN111232461A (zh) * 2020-03-24 2020-06-05 黄万金 一种方便调整长度尺寸的新式集装箱
KR102295319B1 (ko) * 2020-08-26 2021-08-30 곽제일 학습 큐브
KR102315521B1 (ko) * 2021-06-17 2021-10-21 정원석 폭 가변형 가구커버
WO2022039344A1 (ko) * 2020-08-18 2022-02-24 허재승 모종 운반 장치
KR102377648B1 (ko) * 2021-10-22 2022-03-24 주식회사 레마 양측 개별 확장구조를 갖는 수납용 폴딩박스
KR102530550B1 (ko) * 2021-12-31 2023-05-09 주식회사 농부심보 보안작물 시설 재배용 가변형 식재기
KR102615094B1 (ko) * 2023-11-01 2023-12-19 주식회사 훈민종합엔지니어링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53Y1 (ko) * 2010-07-23 2013-02-05 주식회사 그린빈에스텍 커피전문점용 보관함 및 이의 높이 조절 구조
CN103625740A (zh) * 2013-11-28 2014-03-12 苏州市亿达净化实验室设备有限公司 一种节省空间的实验室储物箱
US10239662B2 (en) 2014-07-23 2019-03-26 Hyun-Jin Park Height-adjustable container
WO2016013891A1 (ko) * 2014-07-23 2016-01-28 박현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KR101588786B1 (ko) * 2014-09-05 2016-01-26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문구함 및 그 사용방법
KR20160131603A (ko) * 2015-05-08 2016-11-16 주식회사 연합축산 가축 분만 보온장치
CN106078653A (zh) * 2016-08-25 2016-11-09 安庆市天涯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容积可调式电力检修箱
KR20180067016A (ko) 2016-12-12 2018-06-20 (주)포스트미디어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
KR20180079090A (ko) * 2016-12-30 2018-07-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궤도 운반 트레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궤도 운반 시스템
CN108657573A (zh) * 2017-03-29 2018-10-16 亳州学院 一种方便分隔的物流用简易储货篮
KR200486290Y1 (ko) * 2017-06-26 2018-04-27 향돈촌영농조합법인 포장공간 가변형 포장상자
CN107804602A (zh) * 2017-11-10 2018-03-16 浦江县飞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物流运输用的集装箱装置
CN108577636A (zh) * 2018-06-21 2018-09-28 安徽商贸职业技术学院 一种便于操作的日常生活用品放置盒
CN111232461A (zh) * 2020-03-24 2020-06-05 黄万金 一种方便调整长度尺寸的新式集装箱
WO2022039344A1 (ko) * 2020-08-18 2022-02-24 허재승 모종 운반 장치
JP2022539448A (ja) * 2020-08-18 2022-09-09 ホ、ジェスン 苗運搬装置
KR102295319B1 (ko) * 2020-08-26 2021-08-30 곽제일 학습 큐브
KR102315521B1 (ko) * 2021-06-17 2021-10-21 정원석 폭 가변형 가구커버
WO2022265152A1 (ko) * 2021-06-17 2022-12-22 정원석 폭 가변형 가구커버
KR102377648B1 (ko) * 2021-10-22 2022-03-24 주식회사 레마 양측 개별 확장구조를 갖는 수납용 폴딩박스
KR102530550B1 (ko) * 2021-12-31 2023-05-09 주식회사 농부심보 보안작물 시설 재배용 가변형 식재기
KR102615094B1 (ko) * 2023-11-01 2023-12-19 주식회사 훈민종합엔지니어링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0137A (ko)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
USD942943S1 (en) Charging box
USD941581S1 (en) Storage case
USD943419S1 (en) Spout lid with handle
USD880958S1 (en) Container
USD878113S1 (en) Jewelry box
USD829097S1 (en) Foldable box
USD522855S1 (en) Slide lid container
USD588915S1 (en) Dispensing closure for container
USD583234S1 (en) Dispensing closure with hinged lid
CA114527S (en) Container with lid
USD595085S1 (en) Container base lid
USD699411S1 (en) Laundry basket
USD901294S1 (en) Cosmetic box
USD925223S1 (en) Fire-proof storage box
USD524115S1 (en) Ice container
CA108994S (en) Stackable front entry storage tote
USD571655S1 (en) Container
US9585521B2 (en) Bread keeper
USD889062S1 (en) Mobile cart
USD962762S1 (en) Box for coffee bags
KR200252494Y1 (ko) 다용도 조립식 서랍장
KR200417982Y1 (ko) 상품 포장 상자
USD1009998S1 (en) Storage stationary box
KR200480217Y1 (ko) 테이블 겸용 수납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