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016A -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 - Google Patents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016A
KR20180067016A KR1020160168267A KR20160168267A KR20180067016A KR 20180067016 A KR20180067016 A KR 20180067016A KR 1020160168267 A KR1020160168267 A KR 1020160168267A KR 20160168267 A KR20160168267 A KR 20160168267A KR 20180067016 A KR20180067016 A KR 20180067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zipper
upper cover
storage box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포스트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트미디어 filed Critical (주)포스트미디어
Priority to KR102016016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7016A/ko
Publication of KR20180067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수납상자의 확장된 수납공간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수납상자의 내부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여 수납상자의 원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수납유닛과,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커버유닛과,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일단 및 상부커버유닛의 일단과 연결되는 확장유닛과,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지퍼치(齒)와 상기 상부커버유닛의 일단에 형성된 제2 지퍼치(齒)와 상기 제1 지퍼치 및 제2 지퍼치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지퍼고정구를 포함하는 지퍼유닛과,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높이를 지지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고정부가 형성되며, 서로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상부커버유닛의 내부 상면에 부착되고, 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된 상기 지지프레임의 고정부와 끼움결합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 {Folding box}
본 발명은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수납상자의 확장된 수납공간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수납상자의 내부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여 수납상자의 원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상자는 실생활에서 쓰이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품을 보관하여 가정에서 물건을 정리할 경우에 사용하거나, 산업현장 또는 농업현장 등에서 생산물품 등을 수납할 경우에 사용하는 등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특히, 물품의 양에 따라 수납공간에 확장되는 수납상자에 관련된 기술로서, 종래기술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14-0039388호는 확장부를 접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수납함의 높이가 가변되어 수납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납공간내에서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납함을 상하로 밀어 확장부를 긴장시켜 좌우측면판과 전후면판을 직립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확장수납공간이 형성된 접이식 수납함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의 확장프레임은 프레임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후 벌크로퍼스너로 확장프레임을 직립하게 되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벌크로퍼스너의 마모 및 접착력 저하로 인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확장된 수납공간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수납상자의 원래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39388호 (2014년 04월 02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60137호 (2010년 06월 07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간이 지나도 수납상자의 확장된 수납공간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최대한 견고하게 지지하여 수납상자의 원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는 다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수납유닛과,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커버유닛과,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일단 및 상부커버유닛의 일단과 연결되는 확장유닛과,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지퍼치(齒)와 상기 상부커버유닛의 일단에 형성된 제2 지퍼치(齒)와 상기 제1 지퍼치 및 제2 지퍼치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지퍼고정구를 포함하는 지퍼유닛과,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고정부가 형성되며 서로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상부커버유닛의 내부 상면에 부착되고, 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된 상기 지지프레임의 고정부와 끼움결합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을 자력에 의해 서로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커버유닛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고정유닛의 타면에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각 코너와 끼움결합되는 제2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전면부에는 제1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개방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1 커버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커버유닛의 상면부에는 제2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개방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2 커버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는, 수납상자의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도록 하부수납유닛의 내부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고정유닛의 제1 결합홈에 지지프레임을 끼움결합함으로써 수납상자의 원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의 확장유닛의 확장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의 확장유닛의 확장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 및 고정유닛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으로 확장유닛을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 및 상부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는 하부수납유닛(100), 상부커버유닛(200), 확장유닛(300) 및 지퍼유닛(4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먼저, 하부수납유닛(100)을 살펴보면 다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수납유닛(100)은 수납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1을 참조하면, 하부수납유닛(10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음으로, 상부커버유닛(200)을 살펴보면 하부수납유닛(100)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수납유닛(100)의 상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부커버유닛(20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도시된 하부수납유닛(100)의 상면과 동일하게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부수납유닛(100)의 상면에 대응하되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부커버유닛(200)은 수납공간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납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하부수납유닛(100)의 전면부에는 제1 개방부(110)가 형성되며, 제1 개방부(110)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1 커버부재(120)가 설치된다. 또한, 상부커버유닛(200)의 상면부에는 제2 개방부(210)가 형성되며, 제2 개방부(210)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2 커버부재(220)가 설치된다.
이렇듯 하부수납유닛(100)의 전면부에 제1 개방부(110)를 형성함으로써 수납공간의 전면부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수납공간의 전면부에 수납된 물품을 꺼내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제1 커버부재(120)를 용이하게 개폐하기 위해서 하부수납유닛(100)의 전면부 및 제1 커버부재(120)는 지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용도에 맞게 다양한 개폐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커버유닛(200)의 상면부에 제2 개방부(210)를 형성함으로써 수납공간의 상부에 물품을 쌓아 수납하거나 수납공간의 상부에 수납된 물품을 꺼내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제2 커버부재(220)를 용이하게 개폐하기 위해서 상부커버유닛(200)의 상부 및 제2 커버부재(220)는 지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용도에 맞게 다양한 개폐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확장유닛(300)은 하부수납유닛(100)의 일단 및 상부커버유닛(200)의 일단과 연결된다.
다음으로, 지퍼유닛(400)은 하부수납유닛(100)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지퍼치(410)와, 상부커버유닛(200)의 일단에 형성된 제2 지퍼치(420)와, 제1 지퍼치(410) 및 제2 지퍼치(42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지퍼고정구(43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의 확장유닛의 확장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의 확장유닛의 확장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유닛(400)으로 인해 하부수납유닛(100) 및 상부커버유닛(200)이 지퍼결합하고 있을 경우에는 확장유닛(300)은 하부수납유닛(100) 및 상부커버유닛(200)의 사이에 접혀져 있다.
이렇듯 확장유닛(300)이 접혀진 상태로 물품을 수납하면서 사용하다가 수납공간보다 더 큰 부피의 물품을 수납하고자 하는 등 수납공간의 확장이 필요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수납유닛(100) 및 상부커버유닛(200)의 지퍼결합을 해제한 후 확장유닛(300)을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공간에 수납하고자 하는 물품의 양 또는 부피에 따라 확장유닛(300)을 접거나 펼쳐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납공간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수납공간이 부족하여 다른 수납상자를 구매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의 내부에는 하부프레임(500), 지지프레임(600) 및 고정유닛(700)이 설치된다.
먼저, 하부프레임(500)은 하부수납유닛(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하부프레임(500)은 하부수납유닛(100)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는 하부밑판프레임(510)과, 하부밑판프레임(510)의 상단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측면프레임(5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프레임(60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일단은 하부프레임(50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고정부(610)가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지지프레임(600)은 서로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500) 구조의 구체적인 설명에 따라, 지지프레임(600)의 일단은 한 쌍의 하부측면프레임(520)의 각 상단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600)의 타단에는 고정부(610)가 형성되어 있는데, 고정부(610)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600)을 자력에 의해 서로 고정하기 위한 자석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610)는 자석부재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리부재 등 한 쌍의 지지프레임(600)을 서로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확장유닛(300)이 접혀진 상태의 수납공간에 물품을 수납할 시, 한 쌍의 지지프레임(600)은 자석부재의 자력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하부수납유닛(100)의 내부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확장유닛(300)을 펼칠 경우에는 외력으로 한 쌍의 지지프레임(600)을 분리하고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켜 후술할 고정유닛(700)과 결합함으로써 확장유닛(300)의 내면을 지지하여 수납상자의 원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고정유닛(700)을 살펴보면 상부커버유닛(200)의 내부 상면에 부착되고, 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된 지지프레임(600)의 고정부(610)와 끼움결합되는 제1 결합홈(710)이 형성된다.
한편, 제1 결합홈(710)을 지지프레임(600)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확장유닛(300)을 확장하기 전의 상태에서 제1 결합홈(710) 및 지지프레임(600)을 끼움결합하여 지지프레임(6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 충격에도 수납상자의 원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고정유닛(70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부커버유닛(200)의 내부 상면에 부착하는 방법, 고정유닛(700)의 외주면에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고리링(미도시) 등 재봉에 필요한 부재를 이용하여 상부커버유닛(200)의 내부 상면에 재봉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고정유닛(700)을 상부커버유닛(200)의 내부 상면에 부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부착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 및 고정유닛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600)이 수직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결합홈(710)을 따라 끼움결합하면서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유닛(700)은 용도에 맞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부커버유닛(200)의 코너에 설치되기 적합한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결합홈(710)도 고정유닛(700)의 일면에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커버유닛(200)의 내부 상면 중 어디서든지 지지프레임(600)과 끼움결합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으로 확장유닛을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610)가 안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제1 결합홈(710)에 지지프레임(600)을 끼움결합함으로써, 확장유닛(300)을 지지하여 외부 충격에도 제1 결합홈(710)으로부터 지지프레임(6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납상자의 원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 및 상부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유닛(200)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800)과, 고정유닛(700)의 타면에는 상부프레임(800)의 각 코너와 끼움결합되는 제2 결합홈(7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프레임(800)은 상부커버유닛(200)의 내부 상면을 지지할 수 있고, 제2 결합홈(720)은 상부프레임(800)의 외면이 끼움 결합 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제2 결합홈(720)으로부터 상부프레임(8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결합홈(720)이 제1 결합홈(710)보다 상부프레임(800)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유닛(700)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결합홈(710)이 제2 결합홈(720)보다 상부프레임(80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제1 결합홈(710) 및 제2 결합홈(720)의 간격에 대응하여 지지프레임(600) 일단의 위치도 변경되어야 하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펼쳐진 확장유닛(300)을 보다 더 견고하게 지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의 사용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부수납유닛(100) 및 상부커버유닛(200)이 지퍼결합됨에 따라 확장유닛(300)이 접혀져 있는 수납상자에 제1 커버부재(120) 또는 제2 커버부재(220)를 이용하여 내부공간에 물품을 수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공간에 물품을 수납하는 도중에 수납공간이 부족하거나 수납상자보다 더 큰 부피의 물품을 수납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부수납유닛(100) 및 상부커버유닛(200)의 지퍼결합을 해제하고 확장유닛(300)을 펼친다.
그런 다음, 지지프레임(600)을 하부수납유닛(100)의 내부 측면 측으로 세워 상부커버유닛(200)의 내부 상면에 부착된 고정유닛(700)의 제1 결합홈(710)에 끼움결합하여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한다.
이때, 상부커버유닛(200)의 내부 상면에 상부프레임(800)이 설치된 경우에는 고정유닛(700)에 형성된 제2 결합홈(720) 및 상부프레임(800)을 끼움결합하여 고정한 다음에 지지프레임(600)을 이용하여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는, 수납상자의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도록 하부수납유닛의 내부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고정유닛의 제1 결합홈에 지지프레임을 끼움결합함으로써 수납상자의 원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부수납유닛
110: 제1 개방부
120: 제1 커버부재
200: 상부커버유닛
210: 제2 개방부
220: 제2 커버부재
300: 확장유닛
400: 지퍼유닛
410: 제1 지퍼치
420: 제2 지퍼치
430: 지퍼고정구
500: 하부프레임
510: 하부밑판프레임
520: 하부측면프레임
600: 지지프레임
610: 고정부
700: 고정유닛
710: 제1 결합홈
720: 제2 결합홈
800: 상부프레임

Claims (4)

  1. 다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수납유닛;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커버유닛;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일단 및 상부커버유닛의 일단과 연결되는 확장유닛;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지퍼치(齒)와, 상기 상부커버유닛의 일단에 형성된 제2 지퍼치(齒)와, 상기 제1 지퍼치 및 제2 지퍼치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지퍼고정구를 포함하는 지퍼유닛;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
    일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고정부가 형성되며, 서로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상부커버유닛의 내부 상면에 부착되고, 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된 상기 지지프레임의 고정부와 끼움결합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을 자력에 의해 서로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유닛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고정유닛의 타면에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각 코너와 끼움결합되는 제2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납유닛의 전면부에는 제1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개방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1 커버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커버유닛의 상면부에는 제2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개방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2 커버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
KR1020160168267A 2016-12-12 2016-12-12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 KR20180067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267A KR20180067016A (ko) 2016-12-12 2016-12-12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267A KR20180067016A (ko) 2016-12-12 2016-12-12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016A true KR20180067016A (ko) 2018-06-20

Family

ID=6276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267A KR20180067016A (ko) 2016-12-12 2016-12-12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70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8305A (zh) * 2020-03-20 2020-06-30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二附属医院 空间扩张式试剂盒
KR102315521B1 (ko) * 2021-06-17 2021-10-21 정원석 폭 가변형 가구커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7418A (en) * 1976-07-12 1978-03-07 Wilfred Cohen Quickly erected back pack tent
JP3307815B2 (ja) * 1995-12-19 2002-07-24 余川商事株式会社 区画ネット収納装置
KR20100005365U (ko) * 2008-11-17 2010-05-26 주식회사 혼 진열대 가변 확장식 진열장
KR20100060137A (ko) 2008-11-27 2010-06-07 (주) 씨엔팜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
KR20140039388A (ko) 2012-09-20 2014-04-02 주식회사 카노 확장수납공간이 형성된 접이식 수납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7418A (en) * 1976-07-12 1978-03-07 Wilfred Cohen Quickly erected back pack tent
JP3307815B2 (ja) * 1995-12-19 2002-07-24 余川商事株式会社 区画ネット収納装置
KR20100005365U (ko) * 2008-11-17 2010-05-26 주식회사 혼 진열대 가변 확장식 진열장
KR20100060137A (ko) 2008-11-27 2010-06-07 (주) 씨엔팜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상자
KR20140039388A (ko) 2012-09-20 2014-04-02 주식회사 카노 확장수납공간이 형성된 접이식 수납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8305A (zh) * 2020-03-20 2020-06-30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二附属医院 空间扩张式试剂盒
CN111348305B (zh) * 2020-03-20 2022-04-01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二附属医院 空间扩张式试剂盒
KR102315521B1 (ko) * 2021-06-17 2021-10-21 정원석 폭 가변형 가구커버
WO2022265152A1 (ko) * 2021-06-17 2022-12-22 정원석 폭 가변형 가구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42341A1 (en) Modular Display Case
US20030057171A1 (en) Folding collapsible storage rack
KR20180067016A (ko) 확장된 수납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접이식 수납상자
KR100834064B1 (ko) 접이식 받침대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대
US11267607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a fold down multiple cavity divider
US10821912B1 (en) Foldable toolbox for a pickup truck bed
JP2007183917A (ja) 電子機器載置テーブル機能を有する収納ケース
KR200478738Y1 (ko) 상품 진열용 스탠드
KR20160089833A (ko) 물건 수납대
GB2490164A (en) An expandable suitcase
US20040070318A1 (en) Folding hanger closet
KR20170018730A (ko) 포장용 상자
JP2017128355A (ja) 収納カゴ
KR200463478Y1 (ko)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한 테이블 겸용으로 사용되는 가방
KR101086617B1 (ko) 슬라이드리프트상품케이스
KR20140039388A (ko) 확장수납공간이 형성된 접이식 수납함
CN216916940U (zh) 一种双开顶起站立盒
CN220181343U (zh) 一种摆摊箱
CN217547507U (zh) 一种具有门组件的单元柜及组合柜
JP3183534U (ja) 収納パネルおよびドアパネル
KR101021196B1 (ko) 수납 케이스
CN209769645U (zh) 折叠式电视柜
CN107813649B (zh) 一种油画箱
KR101494596B1 (ko) 조립식 미술 물통
JP3149981U (ja) 商品陳列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