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689B1 -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 Google Patents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689B1
KR101533689B1 KR1020130106768A KR20130106768A KR101533689B1 KR 101533689 B1 KR101533689 B1 KR 101533689B1 KR 1020130106768 A KR1020130106768 A KR 1020130106768A KR 20130106768 A KR20130106768 A KR 20130106768A KR 101533689 B1 KR101533689 B1 KR 101533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harvesting
lifting
frame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8097A (ko
Inventor
김중만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0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6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28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산물의 수확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농산물 수확박스를 간편하게 부양하여 농산물을 수확하는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은, 수확된 농산물(10)이 내부에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박스(100); 상기 박스(100)의 상부 외면을 감싸는 링 형태의 프레임부(200); 상기 프레임부(200) 상에서 고정위치를 갖고 두 개 이상이 형성되는 고리 형태의 연결부(300); 및 상기 연결부(300)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신체 일부에 걸쳐지면서 상기 박스(100)를 부양하는 끈 형태의 부양부(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THE SUPPORTS OF AGRICULTURAL PRODUCTS HARVEST BOX}
본 발명은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산물의 수확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농산물 수확박스를 간편하게 부양하여 농산물을 수확하는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은 농업에 의하여 생산된 물자, 곡식, 채소, 과일, 달걀, 특용 작물, 화훼 등을 말한다.
농작물은 논밭에 심어 가꾸는 곡식이나 채소 등을 말한다.
특히, 농작물을 재배하여 수확하기까지는 대부분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그리고, 농작물을 재배하여 수확하기 위해서 다양한 도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농작물 수확 도구로는 바구니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농부가 바구니를 사용함에 있어서, 농부는 바구니를 옆에 두고 양손을 이용하여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경우 농부는 양손에 있는 농작물을 바구니에 담기 위해 바구니를 둔 장소로 이동하여야 한다.
대부분의 농부는 바구니를 한 손으로 지니고 다니는 것이 바구니를 둔 장소로 이동하는 것보다 더 편하다고 느낄 것이다.
또한, 바구니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바구니를 사용하는 농부가 바구니에 수확할 수 있는 농작물의 양은 항상 고정되게 되어 버린다. 적은 바구니보다 큰 바구니를 사용하면 농작물 수확을 빠르게 할 것이나, 큰 바구니를 사용하면 지니고 다니기가 더욱 불편할 것이다.
그리고, 농작물을 수확하여 바구니가 가득 채워지면, 바구니의 농작물을 큰 자루로 옮기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바구니를 들어 농작물을 큰 자루로 옮겨야 한다.
위 과정이 자급 자족의 목적으로 농작물을 수확하기 위한 과정이라면 큰 자루로 옮기는 과정의 회수는 적을 것이고 농부는 위 과정이 힘들다는 것을 느끼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위 과정이 출하를 목적으로 한 과정이라면 바구니를 채우고 비우는 과정은 연속적으로 되풀이될 것이며 위 과정이 힘들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또한 가득 찬 농작물이 담긴 바구니를 혼자의 힘으로는 들기 힘들다고 느끼면 2인 이상의 농부가 필요하게 되어 인력 손실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한 손은 바구니를 지니고 다른 한 손은 곡물, 과일 및 채소를 따야하므로, 양손을 이용하여 농작물을 수확할 수 없고 한쪽 손으로 바구니를 들고다녀야 하므로 농작물을 수확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농작물의 수확 과정에서 일정한 장소에 수확 바구니를 놓고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농작물을 수확하거나, 한쪽 손으로 바구니를 들고 농작물을 수확하는 방식은 농작물의 수확능률이 저하 되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실용신안 20-045176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은, 농산물 수확박스가 간편하게 부양되어 작업자와 같이 이동되면서 농산물의 수확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은, 농산물을 수확하면서도 작업자의 수요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은, 농산물을 수확하는 박스의 부양을 위해서 작업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부양형태를 간편하게 변경하여 수확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은, 오디나 보리수열매처럼 수확 작업 중 외부 가압으로 인해 쉽게 훼손되는 농산물을 수확하면서도 농산물의 훼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은, 수확된 농산물(10)이 내부에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박스(100)의 상부 외면을 감싸는 링 형태의 프레임부(200); 상기 프레임부(200) 상에서 고정위치를 갖고 두 개 이상이 형성되는 고리 형태의 연결부(300); 및 상기 연결부(300)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신체 일부에 걸쳐지면서 상기 박스(100)를 부양하는 끈 형태의 부양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부양부(400)와 연결되는 고리 형태의 연결고리(310)와, 상기 연결고리(310)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200) 상에서 유동 된 후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는 위치설정핀(320)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설정핀(320)의 선단에는, 상기 연결고리(310)와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위에 상호 마주보며 이격 형성되고, 일측에 결합돌기(324)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결합돌기(324)가 결합 되는 결합홈(326)이 포함되고, 상기 위치설정핀(320)의 말단은, 절첩 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부(200)의 상면과 하면을 수평방향으로 감싸면서 상기 프레임부(200) 상에서 고정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부양부(400)는, 상기 연결고리(310)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탄성핀(410)을 포함한다.
상기 박스(100)는, 상부 테두리부위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200)가 상기 박스(100)의 상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탈방지턱(110)과, 상기 박스(100)의 상부 외면에 음각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200)가 상기 박스(100)의 외면에서 유동 되는 것을 차단하는 유동방지홈(120)을 포함한다.
상기 박스(100)는, 상기 박스(100)의 외면에 고정되되, 작업자의 신체와 상기 박스(1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박스(100)의 하중 일부를 작업자의 신체에 분산하는 밀착패드(130)를 포함한다.
상기 부양부(400)는, 상기 부양부(400)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감기면서, 작업자의 목 또는 어깨 부위에 직접 밀착되는 보조패드(420)를 포함한다.
상기 부양부(400)는, 상기 프레임부(200)의 2면 이상의 테두리 부위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은, 농산물의 수확능률을 향상시킴에 따라 기존의 오디 수확방법보다 최소 2배 이상 수확 능률이 향상되어 오디 수확 인건비가 절반 이상 감소하기 때문에 농가소득을 높이고 생산성이 최적화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은, 농산물을 수확하면서도 작업자의 수요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은, 작업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농산물 수확 박스의 부양형태를 간편하게 변경하여 수확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은, 작업자가 움직이면서 오디, 보리수 및 앵두를 박스에 수확하면서도 박스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농산물의 훼손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품질 개선의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은, 작업자가 바르게 선 자세로 두 손으로 수확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몸의 올바른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가 작업 후 발생 되는 근육통 등의 발병이 최소화되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결합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농산물의 수확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농산물 수확박스를 간편하게 부양하여 농산물을 수확하는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특히, 안내끈부, 연결부, 부양부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은, 수확된 농산물(10)이 내부에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박스(100)의 상부 외면을 감싸는 프레임부(200)와, 상기 프레임부(200)와 연결되는 연결부(300)와 상기 연결부(300)에 연결되어 작업자에 걸쳐지는 부양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스(100)는, 농산물(10)이 내부에 수용되는 공간을 갖고, 원통형 또는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재질은 금속, 합성수지 또는 나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박스(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반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 작업자(30)로부터 수확되어 상기 박스(100)의 내에 수용되는 상기 농산물(10)이 뽕나무에서 열리는 과실류인 오디가 될 수 있다.
상기 박스(100)는, 상부 테두리부위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200)가 상기 박스(100)의 상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탈방지턱(1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박스(100)는, 상기 박스(100)의 상부 외면에 음각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200)가 상기 박스(100)의 외면에서 유동 되는 것을 차단하는 유동방지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턱(110)은, 상기 프레임부(200)가 상기 박스(100)의 외면에서 상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홈(120)은, 상기 프레임부(200)가 상기 박스(100)의 외면 상에서 상하로 유동 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200)는 상기 연결부(300)와 연결되는 부위를 제외하고 상기 유동방지홈(120)의 내부에 삽입된 채로 상기 박스(100)의 외면에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프레임부(200)는, 금속이나 실 또는 탄력성을 갖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고, 상기 박스(100)의 하부에서부터 상기 박스(100)의 외면을 감싸면서 진입되어 상기 유동방지홈(120)에 고정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200)는, 상기 박스(100)의 외면에 견고하게 밀착된 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프레임부(200) 상에서 고정위치를 갖고 두 개 이상이 상기 박스(100)를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며 대응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연결부(300)가 상기 부양부(400)에 의해 부양시 상기 박스(10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300)는,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부(200)와 상기 부양부(400)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프레임부(200) 상에서 설정된 위치에 부분적으로 감기면서 고정될 수 있고, 연결부(300)가 프레임부(200)에서 묶이거나 풀리면서 상호 탈착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300)는, 고무, 합성수지, 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프레임부(200) 상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부양부(400)를 통해 작업자(30)의 목 또는 어깨에 걸쳐져 부양되는 상기 박스(100)가 일정한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부양부(400)의 갯 수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양부(400)는, 상기 연결부(300)에 연결되어 작업자(30)의 신체 일부에 걸쳐지면서 상기 박스(100)를 부양하는 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양부(400)는, 끈 형태의 고무 또는 실,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부양부(400)의 상부는 작업자(30)의 목이나 어깨 부위에 걸쳐지고, 상기 부양부(400)의 하부는 상기 프레임부(200)에 고정된 연결부(30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양부(400)는, 상기 연결부(300)에 묶여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부양부(400)가 연결부(300)에 묶여있는 것을 풀게 되면 부양부(400)는 연결부(300)에서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4를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양부(400)의 양측 말단에 상기 연결부(300)가 연결되기 위해서 상기 연결부(300)는 두 개가 설치되어야 하고, 두 개의 상기 부양부(400)가 설치될 경우, 상기 연결부(300)는 네 개가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프레임부(200) 상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부양부(400)를 통해 작업자(30)의 어깨에 걸쳐져 부양되는 상기 박스(100)가 일정한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부양부(400)의 갯 수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양부(400)는, 작업자(30)의 어깨에 각각 걸쳐진 상태로 상기 연결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박스(100)를 원활하게 부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박스(100)의 외면에는 프레임부(200)가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부(200)는 상기 연결부(300)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300)에는 상기 부양부(400)가 연결된 채로, 상기 부양부(400)가 작업자(30)의 양쪽 어깨 부위에 걸쳐져 상기 부양부(400)가 상기 박스(100)를 부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작업자(30)는 상기 부양부(400)를 통해 박스(100)를 거치한 채로, 이동하면서 농작물인 오디를 수확하여 상기 박스(100)의 내부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부양부(400)와 연결되는 고리 형태의 연결고리(310)와, 상기 연결고리(310)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200) 상에서 유동 된 후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는 위치설정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310)는, 원형의 고리형태로 형성되되, 일 측이 어긋나면서 원형이 개구될 수 있고, 다시 그 일 측이 맞물리면서 폐쇄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설정핀(320)에는 상기 연결고리(310)가 관통되어 끼워질 수 있는 관통홀(322)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310)가 개구된 상태로 상기 관통홀(322)을 관통한 후 다시 연결고리(310)가 폐쇄되면서 상기 위치설정핀(320)과 연결고리(31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부양부(400)는, 상기 연결고리(310)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탄성핀(4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양부(400)의 양측 말단에는 각각 상기 탄성핀(410)이 연결되어 상기 연결고리(310)와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핀(410)은, 탄성을 통해 일단이 분리되어 개구될 수 있고, 다시 탄성을 통해 그 일단이 상호 밀착되면서 폐쇄될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탄성핀(410)의 일단이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고리(310)와 연결된 후, 그 일단이 폐쇄되면서 상기 탄성핀(410)과 연결고리(31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위치설정핀(320)은, 박스(100)의 외면을 감싸는 프레임부(200) 상에서 유동 되어, 상기 프레임부(200) 상의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된 후 상기 연결고리(310)에 연결되면서 상기 부양부(400)가 상기 연결고리(310)에 연결될 위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설정핀(320)의 선단에는, 상기 연결고리(310)와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위에 상호 마주보며 이격 형성되고, 일측에 결합돌기(324)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결합돌기(324)가 결합 되는 결합홈(326)이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위치설정핀(320)의 말단은, 절첩 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부(200)의 상면과 하면을 수평방향으로 감싸면서 상기 프레임부(200) 상에서 고정 되게 된다.
즉, 상기 위치설정핀(320)은, 반으로 절첩 되면서 상기 프레임부(200)을 감싸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위치설정핀(320)의 결합돌기(324)가 상기 결합홈(326)과 끼움 결합 되면서 상기 위치설정핀(320)이 상기 프레임부(200) 상에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설정핀(320)의 결합돌기(324)가 상기 결합홈(326)에서 분리되면서 절첩 되었던 상기 위치설정핀(320)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위치설정핀(320)이 프레임부(200)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위치설정핀(320)은 상기 프레임부(200) 상에서 새로운 위치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위치설정핀(320)과 상기 연결고리(310) 및 상기 탄성핀(410)은 상호 원활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7을 살펴보면, 작업자(30)가 부양부(400)를 통해 박스(100)를 부양한 채로 이동하면서 오디를 수확하여 상기 박스(100) 내부에 수납할 경우, 작업자(30)의 어깨 또는 목에 걸쳐지는 상기 부양부(400)에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작업자(30)가 통증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부양부(400)는, 상기 부양부(400)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감기면서, 작업자(30)의 목 또는 어깨 부위에 직접 밀착되는 보조패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양부(400)는, 상기 연결부(300)에 연결되어 작업자(30)의 목 또는 어깨에 걸쳐지면서 상기 박스(100)를 부양하는 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령 상기 부양부(400)가 끈 형태보다 넓은 면 형태로 형성된다 하더라도, 상기 박스(100)에 수납되는 수확물의 양이 많아질 경우, 작업자(30)의 목 또는 어깨 부위에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패드(420)는, 작업자(30)의 목 또는 어깨 부위에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패드(420)는, 실리콘 또는 탄력을 갖는 고무나 스폰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패드(420)는, 상기 부양부(400)의 외면을 감싸거나 펼쳐지면서 상기 부양부(400)에 탈착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보조패드(420)가 상기 부양부(400)의 외면을 감싸면서 고정시에는 벨크로(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보조패드(420)가 상기 부양부(400)의 외면에서 감싸거나 펼쳐지면서 상기 부양부(400)에서 탈착됨으로 인해, 상기 부양부(400)가 작업자(30)의 목 또는 어깨 부위 중 어느 부위에 걸쳐진다 해도 작업자(30)가 상기 부양부(400) 상에서 상기 보조패드(420)의 위치를 간편하게 변경하여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8을 살펴보면, 작업자(30)가 부양부(400)를 통해 박스(100)를 부양한 채로 이동하면서 오디를 수확하여 상기 박스(100) 내부에 수납할 경우, 상기 박스(100)는 작업자(30)의 배 또는 가슴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의 경우, 상기 박스(100) 내부에 수납되는 수확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작업자(30)의 배 또는 가슴부위에 전달되는 하중이 커지게 된다.
특히, 작업자(30)는 상기 박스(100)를 부양한 채로 이동하면서 수확물을 수확하기 때문에 이동 중에 상기 박스(100)가 흔들리게 된다면 가중된 하중을 받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박스(100)는, 상기 박스(100)의 외면에 고정되되, 작업자의 신체와 상기 박스(1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박스(100)의 하중 일부를 작업자의 신체에 분산하는 밀착패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밀착패드(130)의 일면은 상기 박스(100)에 고정되고, 상기 밀착패드(130)의 타면은 작업자(30)의 배 또는 가슴부위에 밀착되어, 상기 박스(100)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밀착패드(130)는, 실리콘 또는 탄력을 갖는 고무나 스폰지로 이루어지면서, 작업자(30)의 배 또는 가슴부위에 견고하게 밀착되기 위해 완곡한 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박스(100)의 딱딱함을 반감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밀착패드(130)가 완곡한 곡면을 형성하면서 작업자(30)의 배 또는 가슴부위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 인해 작업자(30)의 이동시 상기 박스(100)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패드(130)는, 상기 박스(100)에 볼트(미도시) 등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패드(130)는, 작업자(30)의 작업 및 이동시 상기 박스(100)의 흔들림이 최소화되고, 박스(100)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결합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은, 수확된 농산물(10)이 내부에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박스(100)의 상부 외면을 감싸는 프레임부(200)와, 상기 프레임부(200)와 연결되는 연결부(300)와 상기 연결부(300)에 연결되어 작업자에 걸쳐지는 부양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스(100)에 수확하는 상기 농산물(10)로는 오디 또는 앵두 등이 수확될 수 있고, 이러한 오디 또는 앵두는 작업자(30)가 파지할 경우나 상기 박스(100)에 수용할 경우, 쉽게 물러지거나 훼손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박스(100)에 수확되는 상기 농산물(10)인 오디 또는 앵두는 상기 박스(100)에 수확되어 수용시, 오디 또는 앵두가 상기 박스(100) 내에 적층되는 양을 최소로 하고, 상기 박스(100) 내에 수확된 그대로 포장된 후 출하될 수 있다.
또한, 오디 또는 앵두를 수확하는 과정이나 포장하는 과정에서 오디 또는 앵두가 외부의 가압으로 인해 훼손되는 것을 최소로 하기 위해 상기 작업자(30)가 상기 박스(100)를 부양한 채로 유동시 상기 박스(100)의 흔들림이 적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부양부(400)는, 상기 프레임부(200)의 2면 이상의 테두리 부위에 마주보며 연결된다.
상기 박스(100)의 프레임부(200)에 상기 연결부(300)를 통해 연결되어 작업자의 신체의 일부에 거치 되는 상기 부양부(400)는, 상기 프레임부(200)의 2곳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양부(400)는, 상기 프레임부(200)와 연결되는 연결부(300)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200)와 간편하게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박스(100)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200)는, 상기 박스(100)의 외면에 대응 되게 상하로 배치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부(200)에 상기 부양부(400)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200)는 상기 박스(100)의 상부 외면과 하부 외면에 평행하게 한 쌍이 배치되고, 이러한 프레임부(200)는 부분적으로 상호 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도, 상기 박스(100)는, 상기 박스(100)의 상부 외면에 음각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200)가 상기 박스(100)의 외면에서 유동 되는 것을 차단하는 유동방지홈(1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방지홈(120)이, 상기 박스(100)의 상부 외면과 하부 외면에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각각의 상기 유동방지홈(120)에 상기 프레임부(200)가 각각 배치됨으로 인해 상기 프레임부(200)가 상기 박스(100)에 견고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부(200)의 이중 구조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200)가 상기 박스(100)에 견고하게 배치됨으로 인해, 작업자(30)가 상기 박스(100)를 부양한 채로 유동시 상기 박스(100)가 안정적으로 거치 되어 상기 박스(100)의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부양부(400)가 상기 프레임부(200)의 양측 테두리에 각 두 곳씩 연결되어 상기 박스(100)가 작업자(30)에 안정적으로 거치 되어 오디 또는 앵두의 수확시 상기 박스(100)의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양부(400)는, 상기 프레임부(200)의 사방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업자(30)가 상기 박스(100)를 부양한 채로 움직이면서 농산물(10)의 수확시, 상기 박스(100)에 전달되는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면 상기 부양부(400)는 상기 프레임부(200)에 다수 개의 가닥으로 연결된 채로 작업자(30)의 신체 일부에 거치 되어 상기 박스(100)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농산물의 수확능률을 향상시킴에 따라 생산성이 최적화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농산물을 수확하면서도 작업자의 수요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작업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농산물 수확 박스의 부양형태를 간편하게 변경하여 수확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움직이면서 오디 또는 앵두를 박스에 수확하면서도 박스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농산물의 훼손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품질 개선의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농산물 30 : 작업자
100 : 박스 110 : 이탈방지턱
120 : 유동방지홈 130 : 밀착패드
200 : 프레임부
300 : 연결부 310 : 연결고리
320 : 위치설정핀 322 : 관통홀
324 : 결합돌기 326 : 결합홈
400 : 부양부 410 : 탄성핀
420 : 보조패드

Claims (8)

  1. 수확된 농산물(10)이 내부에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박스(100)의 상부 외면을 감싸는 링 형태의 프레임부(200);
    상기 프레임부(200) 상에서 고정위치를 갖고 두 개 이상이 형성되는 고리 형태의 연결부(300); 및
    상기 연결부(300)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신체 일부에 걸쳐지면서 상기 박스(100)를 부양하는 끈 형태의 부양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부양부(400)와 연결되는 고리 형태의 연결고리(310)와,
    상기 연결고리(310)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200) 상에서 유동 된 후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는 위치설정핀(320)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진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핀(320)의 선단에는,
    상기 연결고리(310)와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위에 상호 마주보며 이격 형성되고, 일측에 결합돌기(324)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결합돌기(324)가 결합 되는 결합홈(326)이 포함되고,
    상기 위치설정핀(320)의 말단은,
    절첩 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부(200)의 상면과 하면을 수평방향으로 감싸면서 상기 프레임부(200) 상에서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400)는,
    상기 연결고리(310)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탄성핀(410)을 포함하는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100)는,
    상부 테두리부위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200)가 상기 박스(100)의 상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탈방지턱(110)과,
    상기 박스(100)의 상부 외면에 음각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200)가 상기 박스(100)의 외면에서 유동 되는 것을 차단하는 유동방지홈(120)을 포함하는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100)는,
    상기 박스(100)의 외면에 고정되되, 작업자의 신체와 상기 박스(1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박스(100)의 하중 일부를 작업자의 신체에 분산하는 밀착패드(130)를 포함하는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400)는,
    상기 부양부(400)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감기면서, 작업자의 목 또는 어깨 부위에 직접 밀착되는 보조패드(420)를 포함하는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400)는,
    상기 프레임부(200)의 2면 이상의 테두리 부위에 연결되는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KR1020130106768A 2013-09-05 2013-09-05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KR101533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768A KR101533689B1 (ko) 2013-09-05 2013-09-05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768A KR101533689B1 (ko) 2013-09-05 2013-09-05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097A KR20150028097A (ko) 2015-03-13
KR101533689B1 true KR101533689B1 (ko) 2015-07-07

Family

ID=53023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768A KR101533689B1 (ko) 2013-09-05 2013-09-05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344A1 (ko) * 2020-08-18 2022-02-24 허재승 모종 운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0356U (ko) * 1976-07-31 1978-02-21
JPH0942A (ja) * 1995-06-22 1997-01-07 Masayuki Asano カゴ保持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0356U (ko) * 1976-07-31 1978-02-21
JPH0942A (ja) * 1995-06-22 1997-01-07 Masayuki Asano カゴ保持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344A1 (ko) * 2020-08-18 2022-02-24 허재승 모종 운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097A (ko) 2015-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510711B2 (ja) 根系採取方法
KR20140013499A (ko) 농수산물용 자루
KR101533689B1 (ko)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KR20200099301A (ko) 농작물 지지대용 스프링구조의 탈착식 지지끈 연결클립
US10477782B1 (en) Support systems and methods for trees and bushes
KR20140091792A (ko) 농작물용 집게
KR200481883Y1 (ko)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식 연결클립
KR200478386Y1 (ko) 과일 수확기
JP2013158268A (ja) 果菜類保護カバー
KR200474288Y1 (ko) 멜빵형 수확바구니
JP6444931B2 (ja) 植物用支持具
KR20120118227A (ko)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과일 수확 주머니
KR200451761Y1 (ko) 과일 수확용 바구니
KR200452463Y1 (ko) 꽃다발 봉
KR200438703Y1 (ko) 화분 운반용 도구
KR101916760B1 (ko) 과일 수확 보조용 물갈퀴형 토시
KR200483296Y1 (ko) 농산물 수확용 포대 걸이대
CN111572853B (zh) 一种具有袋内除尘土功能的广东菜心包装装置
CN211745778U (zh) 一种批量水果防虫种植基地
CN218649534U (zh) 一种苗木支撑保护固定架
KR20140005002U (ko) 멜빵형 접이식 수확바구니
CN210028480U (zh) 一种手提包装袋
KR20180099409A (ko) 과일수확기에 사용되는 스톱퍼
KR101671741B1 (ko) 농작물 지지끈
CN203748465U (zh) 水族缸鱼类养殖用防跳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