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499A - 농수산물용 자루 - Google Patents

농수산물용 자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499A
KR20140013499A KR1020120080679A KR20120080679A KR20140013499A KR 20140013499 A KR20140013499 A KR 20140013499A KR 1020120080679 A KR1020120080679 A KR 1020120080679A KR 20120080679 A KR20120080679 A KR 20120080679A KR 20140013499 A KR20140013499 A KR 20140013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handle portion
bag body
handle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상
Original Assignee
김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상 filed Critical 김선상
Priority to KR1020120080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3499A/ko
Publication of KR20140013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4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9/00Sacks or like containers made of fabrics; Flexible containers of open-work, e.g. net-lik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수산물용 자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수산물을 담을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에 입구와 밀봉부가 구비된 자루에 있어서, 상기 자루는 몸체의 전후면 동시에 또는 전후면 중 일측면에서 몸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거나 이격가능한 밴드형상의 손잡이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좌우 또는 상하 양단에는 상기 자루의 몸체에 박음질, 열융착 또는 접착제 등으로 결합되어 자루 몸체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고정지지하는 일정길이의 고정단이 구비된 농수산물용 자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수산물용 자루{A sack for the agricultural products, fish and shellfish}
본 발명은 농수산물용 자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물망구조 또는 촘촘히 직조된 자루의 몸체 외주연 양측으로 자루와 별도의 손잡이부를 구성하여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진 자루의 이동시 작업지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농수산물용 자루에 관한 것이다.
농어촌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는 각종 농수산물을 담는 자루(포대(包袋), 부대(負袋)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됨)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제로 직조된 형태가 주로 많이 사용된다.
특히, 비교적 그 개체의 크기가 크고, 외부 노출로 인해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농산물의 구근류나 수산물의 어패류인 경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이 형성된 그물망 구조의 몸체를 갖는 자루(10)가 주로 이용되고, 쌀이나 보리 등 비교적 그 개체 크기가 작고 외부로 노출될 경우 품질이 떨어질 위험이 있는 농산물인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촘촘히 직조되어 내외부가 차단된 자루(11)가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농수산물용 자루(10,11)는 그 재질이 통상 합성수지제(P.P계열)로 성형되므로 그 표면이 매끄럽고 내구성이 강한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 사용되는 농수산물용 자루(10,11)의 경우, 그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운반을 할 경우, 자루 표면이 미끄러워 작업자가 자루를 잡기가 매우 불편하고, 이로 인해 작업자는 많은 힘을 들여 자루를 양손으로 감싼 형태로 들어올려야 하므로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작업자가 쉽게 피로하게 되어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운반시 작업자의 손에서 미끄러져 자루를 놓칠 경우, 자루에 담아진 내용물이 훼손되거나 작업자의 발을 다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용물이 담아진 자루의 파지가 용이하고, 이동이 편리하며, 자루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이동시 자루를 놓칠 염려가 줄어들어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 및 농산물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농수산물용 자루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자루에 농수산물이 담아진 상태에서 무리한 힘을 들일 필요없이 자루를 들어 올릴 수 있어서 작업자의 노동 피로도를 한층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농수산물용 자루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용 자루는 농수산물을 담을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에 입구와 밀봉부가 구비된 자루에 있어서, 상기 자루는 몸체의 전후면 동시에 또는 전후면 중 일측면에서 몸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거나 이격가능한 밴드 형상의 손잡이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좌우 또는 상하 양단에는 상기 자루의 몸체에 박음질, 열융착 또는 접착제 등으로 결합되어 자루 몸체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고정지지하는 일정길이의 고정단이 구비되는 특징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를 자루의 몸체에 고정하는 고정단은 자루 몸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자루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하 또는 좌우 고정단은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된 반대측 몸체의 표면까지 일정길이 연장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를 자루의 몸체에 고정하는 고정단은 자루 몸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자루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하 또는 좌우 고정단은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된 반대측 자루 몸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루는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를 자루의 몸체에 고정하는 고정단이 자루 몸체의 폭 방향 중심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 고정단은 자루 입구측에서 자루 몸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보조고정단에 연결되어 고정 지지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 고정단은 자루의 밑면 또는 밑면을 거쳐 반대측 자루의 몸체 표면까지 연장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루의 몸체 전후면 좌우 양측단에 자루의 폭 방향으로 보조고정단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양측 보조고정단 사이에는 대각선방향으로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부는 상기 양측 보조고정단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자루 몸체에 고정시키는 좌우 고정단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루는 상기 손잡이부 및 고정단은 하나의 밴드가 연속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부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자루 몸체의 표면에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밴드 폭에 해당되는 크기의 절단부가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를 통해 상기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하나의밴드가 자루 몸체의 표면과 내면 사이로 교호로 끼움 설치되어 자루 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손잡이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좌우 고정단은 자루 몸체의 표면과 자루 몸체의 내측으로 통과되는 밴드 및 양측 절단부를 동시에 감싸 상호간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자루 몸체의 상면과 내면에 상하 덧댐부가 추가로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용 자루는 몸체의 외주연, 즉 전후면에 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정 길이의 손잡이부가 한 개 이상 구비되어 있어 내용물이 담아진 자루의 파지가 용이하고, 손잡이부를 잡고 들어올린 자루의 이동이 편리하며, 자루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에서 자루를 놓칠 염려가 줄어들어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 및 농수산물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자루에 농수산물이 담아진 상태에서 무리한 힘을 들일 필요없이 자루를 들어 올려 이동이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노동 피로도를 한층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자루 표면에 구비되는 손잡이부는 중량물이 채워진 자루를 들어올릴때, 자루로부터 떼어지거나 자루 몸체와 결합된 부위가 쉽게 찢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고한 고정단이 형성되어 실제 농수산물용 자루로 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자루의 평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루의 전,후면도 및 사용상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루의 전,후면도 및 사용상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루의 전,후면도 및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자루의 정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및 제5실시예에 따른 자루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루의 운반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루는 일반적으로 농수산물을 담을 수 있도록 일정 규격으로 제작되는 합성수지제 포대 및 그물형태의 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모두 총칭하는 것으로, 일 측단에 입구가 구비되고 타 측단이 밀봉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자루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지 않을 경우, 일 측단에 구비된 입구(26)와 타 측단에 구비된 밀봉부(27)를 기준으로 전후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어 도면상 일면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보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상 보이는 부분이 정면으로 설명되고, 도면에서 보이지 않는 반대측면이 후면으로 설명되며, 또한 자루의 입구가 구비된 방향을 좌측, 밀봉부가 구비된 방향을 우측으로 설명을 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루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20)의 평면도와 이면도 및 그 사용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20)는 그 표면이 그물모양으로 짜여져 자루몸체(21)의 표면에 통기공(22)이 형성되어 통기는 물론이고 수확된 농수산물에 부착되어 있는 흙이나 물이 자루몸체(21)의 외부로 빠질 수 있도록 부피가 큰 구근류 농산물이나, 조개나 굴과 같은 어패류를 담는데 사용되는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20)는 자루몸체(21)의 표면에 한 개 이상의 손잡이부(23a,23b,23c,23d)가 구비된 특징을 갖는다.
특히, 상기 손잡이부(23a,23b,23c,23d)는 실제 자루몸체(21)의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진 후에 자루의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고, 자루몸체(21)와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면서 자루몸체(21)의 표면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거나 이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23a,23b,23c,23d)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손잡이부(23a,23b,23c,23d)의 형상은 소정의 폭을 갖는 밴드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자루와 같은 동일 유사한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져 그 내구성이 뛰어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타 다른 재질로도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23a,23b,23c,23d)의 형성구조는 자루몸체(21)의 내부에 내용물이 담아질 경우, 자루몸체(21)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되, 자루몸체(21)의 표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의 손잡이부(23a,23b,23c,23d)를 자루몸체(21)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23a,23b,23c,23d)의 양단이 자루몸체(21)와 박음질, 열융착,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는 상하 고정단(24,24a,25,25a)이 각각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상하 고정단(24,24a,25,25a)은 상기 손잡이부(23a,23b,23c,23d)를 잡고 내용물이 채워진 자루몸체(21)를 들어올릴 때, 자루몸체(2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한 결합력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상기 손잡이부(23a,23b,23c,23d)가 자루몸체(21)의 폭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자루몸체(21)의 전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상하 고정단(24,25)과 후면의 상하 고정단(24a,25a)끼리 상호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호간의 결합력을 통해 어느 방향에서도 각 손잡이부(23a,23b,23c,23d)를 견고히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3a,23b,23c,23d)는 자루몸체(21)의 길이방향 양쪽으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각각 설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작업자들이 자루몸체(21)를 양손으로 들어 올리는데 편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의 사용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첨부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루는 상기 손잡이부(23a,23b,23c,23d)가 상하 고정단(24,25,24a,25a)과 일체로 형성되고, 자루의 전후면에 한 쌍으로 구성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 또는 양측을 자루몸체에 견고히 결합된 고정단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도 제작될 수 있고, 한 줄 또는 두 줄 이상의 손잡이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루(30)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자루(30)는 자루 표면이 밀폐되어 자루몸체(31)의 내부에 담아진 내용물을 외부에서 확인이 불가능하고, 자루에 담아진 내용물의 크기가 비교적 작고, 햇빛에 내용물이 노출될 경우 내용물의 변질이나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는 수확된 벼와 쌀, 보리 등 곡물을 담는데 사용되는 자루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루(30)도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자루(20)와 마찬가지로 자루몸체(31)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자루의 전후면 중 어느 한 면 또는 양면에 모두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자루몸체(30)의 양면에 각각 한 쌍의 손잡이부(33a,33b,33c,33d)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루(30)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자루(20)와 자루몸체의 형태만 상이할 뿐 자루몸체(30)의 양면에 구비된 손잡이부(33a,33b,33c,33d)의 구성과 각 손잡이부(33a,33b,33c,33d)를 자루몸체(31)에 고정시키는 상하 고정단(34,35,34a,35a)의 설치구조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루(30)에 구비되는 손잡이부(33a,33b,33c,33d)와 상하 고정단(34,35,34a,35a)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또한,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루(40)에 대한 전,후면도와 사용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루(40)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자루(20)와 마찬가지로 그물망구조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자루몸체(42)의 표면에 구비된 손잡이부(43)의 설치구조가 약간 상이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루(40)는 자루몸체(41)의 전후면 폭 중심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자형의 손잡이부(43,43a)가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43,43a)가 전체 자루몸체(41)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43,43a)의 양측으로 좌우고정단(44,45,44a,45a)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의 고정단(44,44a),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입구(47)를 향하는 일측 고정단(44,44a)은 자루몸체(41)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보조고정단(46)에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한 줄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손잡이부(43,43a)에 대한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손잡이부(43,43a)도 상술한 다른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루몸체(41)에 내용물이 채워질 경우, 자루몸체(41)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작업작 손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43,43a)를 자루몸체(41)에 고정시키는 좌우 고정단(44,45,44a,45a)은 자루몸체(41)에 대해 박음질이나 열융착, 접착제 등으로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손잡이부(43,43a)를 잡고 자루몸체(41)를 들어올릴 때 좌우 고정단(44,45,44a,45a)이 자루몸체(4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루(40)는 그 전후면 폭 중심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각각 한 줄 구조의 손잡이부(43,43a)가 구비된 실시예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 12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자루입구(47)측과 자루몸체의 하단부에 각각 보조고정단(46,46a)을 구성하고, 상기 양측 보조고정단(46,46a) 사이에 대각선 모양으로 손잡이부(43)와 좌우 고정단(44,45)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제4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자루(50)의 전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자루는 상술한 제3실시예에 마찬가지로 손잡이부(53,53a)가 자루 몸체(51)의 폭방향 중심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손잡이부(53,53a)가 한개가 아닌 좌우 양쪽에 각각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양쪽 손잡이부(53,53a)의 사이에 중간 고정단(54)이 구비되어 자루몸체(51)와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론, 자루의 입구(56)측에서 좌측 손잡이부(53)의 선단부 자루몸체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보조고정단(55)에 의해 자루몸체(55)와 일체로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져 손잡이부(53)의 일단이 자루몸체와 견고한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우측 손잡이부(53a)의 외측 고정단(54a)은 자루 몸체(51)의 밑면을 거쳐 후면까지 연장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손잡이부(53a)에 의해 자루가 들려질 때, 상기 손잡이부(53a)가 자루 몸체(51)에 견고히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3에는 자루(50)의 일측면만 도시되어 있지만, 자루(50)의 후면에도 전면과 동일한 형태 및 구조의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자루에 내용물이 채워진 후, 자루가 위치하는 방향에 따라서 작업자가 손잡이부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제5실시예>
또한,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5는 도 14의 일측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루(60)는 상술한 제4실시예의 변형실시예로서, 자루 몸체의 폭 중심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손잡이부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손잡이부는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63,63a,63b)가 3개로 구성되며, 각 손잡이부(63,63a,63b) 사이에는 손잡이부(63,63a,63b)를 자루 몸체에 고정시키는 중앙 고정단(64,64a)이 마련되며, 가장 좌측 손잡이부(63)의 고정단은 자루 몸체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보조고정단(65)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63)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가장 우측 손잡이부(63b)의 외측 고정단(64b)은 자루의 밑면을 거쳐 후면의 자루 몸체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63b)의 고정 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5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대한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실시예에 적용된 밴드형상의 손잡이부(63,63a,63b)는 자루 몸체(61)의 폭 방향 중심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절단부(66)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66)를 하나의 밴드형상의 손잡이부(63,63a,63b)가 자루 몸체(61)의 내측과 외측으로 교대로 통과되도록 구성시킨 후에, 자루 몸체(61)의 내측에 위치되는 밴드를 자루 몸체(61)에 고정하여 고정단(64,64a,64b)을 형성시키고, 자루 몸체(61)의 외측으로 노출된 부위를 손잡이부(63,63a,63b)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63,63a,63b)를 자루 몸체(61)에 고정시키는 고정단(64,64a,64b)을 구성하기 위해, 자루 몸체(61)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덧댐부(67,68)를 추가하여 상하 덧댐부(67,68) 사이에 자루 몸체(61)와 손잡이부(63,63a,63b)를 형성하는 밴드가 위치되어 박음질 처리되어 고정단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덧댐부(67,68)를 이용하여 고정단(64,64a,64b)을 형성시킬 때, 상기 상하 덧댐부(67,68)가 절단부(66)를 커버하도록 한 상태에서 박음질 처리되어 상기 절단부(66)로 인해 자루 몸체(61)가 찢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63,63a,63b)와 덧댐부(67,68)를 이용한 고정단(64,64a,64b)을 형성시키는 구조는 본 실시예 이외에도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는 그 형상이 소정의 폭을 갖는 밴드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자루와 같은 동일 유사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그 내구성이 튼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타 다른 재질로도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의 손잡이부는 자루몸체(21,31,41)의 내부에 내용물이 담아질 경우, 자루몸체(21,31,41)의 표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유격이 존재하면 되지만, 필요에 따라 손잡이부의 길이와 그 유격폭을 크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자루(20,30,40)에 구비되는 손잡이부는 자루몸체(21,31,41)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좌우 또는 상하 양측 고정단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고정단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견고한 지지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6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20)에 내용물이 채워져 사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루(20)는 자루 몸체(21)의 내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이 각각 채워져 그 입구가 밀봉된 경우, 자루몸체(21)는 일정한 부피로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자루가 양파망으로 사용되는 경우, 자루에 양파가 채워진 후에 그 입구가 고정끈으로 묶여 밀폐된다.
이렇게 경작지에서 수확된 양파나 감자, 해산물 등은 곧바로 자루에 담아진 후에 시장으로 바로 출하되거나, 또는 별도의 저온창고 등 보관창고에 저장되기 위해 이동 및 운반이 필요하다.
수확된 농수산물이 담아진 자루는 작업자에 의해 운반차량에 적재되고, 운반 후에는 다시 이적(移積)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매 자루마다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백 내지 수천번 작업자가 자루를 들었다 내렸다 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내용물이 채워진 농수산물용 자루의 경우, 그 표면이 매끄럽고 특별히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내용물이 든 중량의 자루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양팔로 자루를 감싼 형태로 들어올려야 하므로 자루를 들어올리거나, 자루를 든 상태에서 이동 및 차량의 적재, 차량으로부터 이적과정이 매우 힘들고 허리를 최대한 굽혀야 하므로 오랜 노동 후에는 허리에 무리가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허리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서 허리를 삐거나, 자루를 잡은 손으로부터 자루가 미끄러져 발등이 다치는 등 각종 안전사고 발생위험이 높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자루는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록 자루 내부에 농수산물이 담아진 중량물상태인 상태에서 자루의 외측면에 손잡이부(23a,23b)가 형성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손잡이부(23a,23b)를 양손으로 잡고 들어올리게 되므로, 무리하게 허리를 구부릴 필요가 없고, 자루를 들어올릴 때 자루몸체(21)로부터 손이 미끄러지는 불안감을 없앨 수 있다.
특히, 내용물이 든 자루를 들어 올리는데 큰 힘이 필요치 않아 작업자의 노동강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루의 이동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루를 사용함으로 인해서, 작업자가 내용물이 든 자루를 들어올릴 때 자루를 놓치는 일이 없어 자루에 담아진 농수산물의 손상을 줄일 수 있어 운반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손해를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루는 자루의 몸체 외주연을 감싸면서 자루 몸체와 일체로 결합된 고정단과 손잡이부가 연결되어 있어서 자루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손잡이부만을 잡고 들어 올려도 자루 몸체가 찢겨지거나 하는 불편한 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자루(40)와 같이, 자루 몸체(41)의 중앙부 길이방향으로 한 줄의 밴드형상으로 손잡이부(43)가 형성되어 있어서, 양손을 사용할 필요없이 한 손만으로도 내용물이 든 자루몸체(41)를 들어 올리거나 이동, 적재, 이적이 모두 가능하여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거나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내용물이 든 자루 몸체를 직접 들고 이동하여야 하는 경우, 손잡이부(43)를 어깨에 걸치고 이동할 수 있어서 장거리를 손수 운반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그 이용편리성이 뛰어나도록 한다.
상술한 설명과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손잡이부와 고정단이 동일한 폭을 갖는 밴드형상으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한정해서 도시 및 설명했지만, 상기 고정단의 폭을 손잡이부보다 더 넓게 하여 고정단의 결합부의 접촉면을 늘려 자루몸체와 충분한 결합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단이 자루 몸체의 외주연 전체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굳이 자루 몸체의 외주연 전체를 감싸는 구조가 아니더라도 그 일부만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지만, 자루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게 되면 중량물 상태가 되므로, 일부만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고정단과 몸체 사이의 결합부분이 찢겨질 수 있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 고정단은 손잡이부와 대향되는 반대측 자루몸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20,30,40,50,60 : 자루 21,31,41,51,61 : 몸체
22 : 통기공 23a,23b,23c,23d : 손잡이부
24,25,24a,25b : 상하 고정단 26 : 입구
27 : 밀봉부 33a,33b,33c,33d : 손잡이부
34,35,34a,35b : 상하 고정단 43,43a : 손잡이부
44,45,44a,45b : 좌우고정단 46,46a : 보조고정단
53,53a : 손잡이부 54 : 중앙고정단
54a : 외측고정단 55 : 보조고정단
63,63a,63b : 손잡이부 64,64a : 좌우고정단
64b : 외측고정단 65 : 보조고정단
66 : 절단부 67,68 : 덧댐부

Claims (6)

  1. 농수산물을 담을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에 입구와 밀봉부가 구비된 자루에 있어서,
    상기 자루는 몸체의 전후면 동시에 또는 전후면 중 일측면에서 몸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거나 이격가능한 밴드형상의 손잡이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좌우 또는 상하 양단에는 상기 자루의 몸체에 박음질, 열융착 또는 접착제 등으로 결합되어 자루 몸체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고정지지하는 일정길이의 고정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용 자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를 자루의 몸체에 고정하는 고정단은 자루 몸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자루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하 또는 좌우 고정단은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된 반대측 몸체의 표면까지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용 자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를 자루의 몸체에 고정하는 고정단은 자루 몸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자루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하 또는 좌우 고정단은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된 반대측 자루 몸체의 외주연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용 자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를 자루의 몸체에 고정하는 고정단이 자루 몸체의 폭 방향 중심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 고정단은 자루 입구측에서 자루 몸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보조고정단에 연결되어 고정 지지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 고정단은 자루의 밑면 또는 밑면을 거쳐 반대측 자루의 몸체 표면까지 연장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용 자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의 몸체의 전후면 좌우 양측단에는 자루의 폭 방향으로 보조고정단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양측 보조고정단 사이에는 대각선방향으로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부는 상기 양측 보조고정단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자루 몸체에 고정시키는 좌우 고정단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용 자루.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및 고정단은 하나의 밴드가 연속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부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자루 몸체의 표면에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밴드 폭에 해당되는 크기의 절단부가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를 통해 상기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하나의 밴드가 자루 몸체의 표혐과 내면 사이로 교호로 끼움 설처되어 자루 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손잡이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좌우 고정단은 자루 몸체의 표면과 자루 몸체의 내측으로 통과되는 밴드 및 양측 절단부를 동시에 감싸 상호간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자루 몸체의 상면과 내면에 상하 덧댐부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용 자루.
KR1020120080679A 2012-07-24 2012-07-24 농수산물용 자루 KR20140013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679A KR20140013499A (ko) 2012-07-24 2012-07-24 농수산물용 자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679A KR20140013499A (ko) 2012-07-24 2012-07-24 농수산물용 자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499A true KR20140013499A (ko) 2014-02-05

Family

ID=50263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679A KR20140013499A (ko) 2012-07-24 2012-07-24 농수산물용 자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349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74U (ko) 2019-04-16 2019-05-07 박춘식 조개류 포장용 망사 자루
KR101977821B1 (ko) 2019-01-09 2019-05-13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범용 농산물 랩핑 그물망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적재방법
KR101977835B1 (ko) 2018-10-30 2019-05-13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농산물 하차용 랩핑 그물망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적재방법
KR200489175Y1 (ko) 2018-10-30 2019-05-13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농산물 하차용 랩핑 그물망
KR20190067135A (ko) 2019-05-27 2019-06-14 박경훈 묶을 수 있는 끈이 일체형으로 직조 된 망사 자루 연속 자동화 제조방법 및 그로써 직조 된 망사 자루
KR102125697B1 (ko) 2019-02-11 2020-06-23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범용 랩핑 그물망 및 이를 이용한 적재물 적재방법
KR20200001834U (ko) 2019-02-11 2020-08-20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농산물 랩핑용 결속부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835B1 (ko) 2018-10-30 2019-05-13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농산물 하차용 랩핑 그물망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적재방법
KR200489175Y1 (ko) 2018-10-30 2019-05-13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농산물 하차용 랩핑 그물망
KR101977821B1 (ko) 2019-01-09 2019-05-13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범용 농산물 랩핑 그물망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적재방법
KR102125697B1 (ko) 2019-02-11 2020-06-23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범용 랩핑 그물망 및 이를 이용한 적재물 적재방법
KR20200001834U (ko) 2019-02-11 2020-08-20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농산물 랩핑용 결속부재
KR20190001074U (ko) 2019-04-16 2019-05-07 박춘식 조개류 포장용 망사 자루
KR20190067135A (ko) 2019-05-27 2019-06-14 박경훈 묶을 수 있는 끈이 일체형으로 직조 된 망사 자루 연속 자동화 제조방법 및 그로써 직조 된 망사 자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3499A (ko) 농수산물용 자루
US7581772B2 (en) Carryable plastic mattress bag
US9650063B2 (en) Detachable assembly
CN103282289B (zh) 包括容器和袋的丝容纳设备和结构
US7832743B2 (en) Device for manually transporting a carcass
US9578814B2 (en) Christmas tree bag
US8371061B2 (en) Personal fish sack carrier
US2856069A (en) Carrying device for containers
JP3200959U (ja) 農業用保護袋
US20070236000A1 (en) Device for manually transporting a carcass
JPS593966Y2 (ja) 粉粒物の荷役用袋
KR200474288Y1 (ko) 멜빵형 수확바구니
KR102053797B1 (ko) 상하개방형 톤백
KR20140005002U (ko) 멜빵형 접이식 수확바구니
JP2009012830A (ja) 多用途風呂敷
KR101533689B1 (ko)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JP4057632B1 (ja) 返しを有する固定具
KR200210377Y1 (ko) 합성수지재 끈봉투
JP2004148057A (ja) 担架
CN210928663U (zh) 农业果实采集装置
CN214902248U (zh) 一种果园水果采摘包
CN210124156U (zh) 一种新型果蔬生长保护袋封口钳
KR19980032065U (ko) 포장용 망사자루
KR200194547Y1 (ko) 합성수지재 봉투
KR20180000375U (ko) 냉동수산물 보관용 자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