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883Y1 -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식 연결클립 - Google Patents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식 연결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883Y1
KR200481883Y1 KR2020140007835U KR20140007835U KR200481883Y1 KR 200481883 Y1 KR200481883 Y1 KR 200481883Y1 KR 2020140007835 U KR2020140007835 U KR 2020140007835U KR 20140007835 U KR20140007835 U KR 20140007835U KR 200481883 Y1 KR200481883 Y1 KR 200481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lip frame
crop support
fram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483U (ko
Inventor
김상국
Original Assignee
(주)대한철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철강 filed Critical (주)대한철강
Priority to KR2020140007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883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4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4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8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Abstract

지면에 세워져 있는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농작물 지지대에 끈을 연결하기 위한 탈착식 연결클립은 둘레 일부가 개방된 고리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외력에 의해 개방 부분의 양단이 벌어지거나 오므라들어 농작물 지지대에 압착되어 결합되거나 농작물 지지대로부터 분리되는 클립 프레임과 클립 프레임의 외주면에 "T"자 형상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T"자 형상의 양측의 요곡부 중 적어도 하나에 농작물을 지지하는 끈이 묶일 수 있는 복수 개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식 연결클립 {Detachable connecting clip detachably attached to post supporting crops}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농작물 지지대에 끈을 연결하기 위한 탈착식 연결클립에 관한 것이다.
고추, 가지, 참깨 등과 같은 농작물은 자라나는 키에 비해 줄기가 가늘기 때문에 자연 상태에서 바람이나 열매의 중량 등으로 인해 쓰러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농작물의 줄기가 곧게 자라나도록 하기 위해, 종래에는 농작물의 줄기마다 버팀목을 세우거나 줄을 맞추어 심어진 농작물들의 양측에 지지대들을 세우고 이 지지대들에 끈을 묶어 농작물들이 묶어진 끈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자의 버팀목은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관리가 불편하여 근래에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또한, 후자의 지지대는 고추, 가지, 참깨 등과 같은 농작물을 재배하는 거의 모든 농가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종래 지지대에는 끈이 안정적으로 묶여질 수 있는 구성이 없어 묶여진 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9193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14111호 등의 종래 지지대는 끈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들을 갖고 있으나, 이러한 홈의 형성으로 인해 농작물 지지대의 제작 비용이 증가되어 실제로는 상용화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이러한 홈들의 형상에 의해 각지거나 뾰족한 부분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농작물 지지대의 몸체를 잡는 과정에서 상처를 입을 수 있다. 또한, 종래 지지대는 이러한 홈들의 간격이 넓어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에 끈을 고정시킬 수 없었다.
농작물 지지대에 끈을 고정하기 위한 특정 형상이 형성될 필요 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농작물 지지대에 결합되거나 농작물 지지대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면서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에 끈을 고정시킬 수 있는 탈착식 연결클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라 지면에 세워져 있는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농작물 지지대에 끈을 연결하기 위한 탈착식 연결클립은 둘레 일부가 개방된 고리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외력에 의해 상기 개방 부분의 양단이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개방 부분을 통하여 내측으로 상기 농작물 지지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농작물 지지대의 둘레에 끼워지며 상기 외력이 사라짐에 따라 상기 개방 부분이 오므라드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농작물 지지대에 압착되어 결합되는 클립 프레임; 및 상기 클립 프레임의 외주면에 "T"자 형상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T"자 형상의 양측의 요곡부 중 적어도 하나에 농작물을 지지하는 끈이 묶일 수 있는 복수 개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프레임은 외력에 의해 상기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의 양단이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개방 부분을 통하여 상기 클립 프레임의 외측으로 상기 결합된 농작물 지지대가 추출됨으로써 상기 농작물 지지대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의 양단 각각은 연장되어 서로 대칭되는 고리 형상으로 둥글게 말림으로써 농작물을 지지하는 끈이 상기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의 양단 각각의 연장 부위에 묶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는 상기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의 개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1 연결부; 상기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과 상기 제 1 연결부 사이의 일측 외면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 2 연결부; 및 상기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과 상기 제 1 연결부 사이의 타측 외면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 3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 프레임은 상기 클립 프레임의 내주면이 상기 농작물 지지대의 몸체의 외주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농작물 지지대의 몸체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내주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클립 프레임은 내부 공간이 원판 형상을 형성하는 내주면을 갖고, 상기 내부 공간이 원판 형상을 형성하는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톱니 형상의 다수 개의 요철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지면에 세워져 있는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농작물 지지대에 끈을 연결하기 위한 탈착식 연결클립은 둘레 일부가 개방된 고리 형상의 클립 프레임을 구비하여 클립 프레임의 양단에 외력을 가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농작물 지지대에 결합되거나 농작물 지지대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 지지대의 임의의 높이에 결합이 가능하여 농작물의 성장 속도에 맞추어 연결클립의 결합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탈착식 연결클립은 클립 프레임의 외주면에 "T"자 형상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연결부를 구비하여 클립 프레임의 연결부에 여러 방향의 복수 개의 끈이 묶이게 되는 경우에도 각 끈 별로 독립적으로 묶일 수 있어 끈의 꼬임, 끈들끼리의 겹침 등에 따른 마모 내지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떤 끈의 교체시 다른 끈의 묶임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간편하게 교체될 수 있다.
또한, 탈착식 연결클립의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의 양단 각각은 연장되어 서로 대칭되는 고리 형상으로 둥글게 말림으로써 농작물을 지지하는 끈이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의 양단 각각의 연장 부위에 묶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 부위의 끈의 감김으로 인한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의 양단 사이의 결속력에 의해 연결클립이 농작물 지지대에 보다 더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연결부와 함께 전 방향으로부터의 끈이 독립적으로 묶일 수 있는 연결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탈착식 연결클립의 클립 프레임은 그 내주면이 농작물 지지대의 몸체의 외주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농작물 지지대의 몸체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내주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흘러내림 없이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탈착식 연결클립의 클립 프레임은 내부 공간이 원판 형상을 형성하는 내주면을 갖고, 내부 공간이 원판 형상을 형성하는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톱니 형상의 다수 개의 요철들이 형성되어 있어 농작물 지지대의 몸체의 외주면의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어떤 형상의 농작물 지지대에도 흘러내림 없이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는 범용적인 연결클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2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탈착식 연결클립(2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4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탈착식 연결클립(4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6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탈착식 연결클립(60)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70)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탈착식 연결클립(70)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 4에 도시된 연결클립(40)의 사용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3, 4에 도시된 연결클립(40)에 묶여진 끈에 의해 농작물이 지지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이하에서는 자연 상태에서 바람이나 열매의 중량 등으로 인해 쓰러지는 경향이 있는 고추, 가지, 참깨 등을 일괄하여 "농작물"로 호칭하기로 하며 지면에 세워져 이러한 농작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농작물 지지대"로 호칭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농작물 지지대에 끈을 연결하기 위한 탈착식 연결클립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2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탈착식 연결클립(20)의 평면도이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20)이 장착되는 농작물 지지대(10)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1,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20)은 클립 프레임(21)과 복수 개의 연결부(22)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작물 지지대(10)는 사각기둥의 형상의 몸체를 갖는다. 클립 프레임(21)의 내주면이 농작물 지지대(10)의 몸체의 외주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농작물 지지대(10)의 몸체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내주면 형상을 갖는다. 즉, 클립 프레임(21)은 농작물 지지대(10)의 사각기둥 형상의 몸체의 외주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그 내부 공간이 사각판을 형성하는 내주면을 갖는다.
클립 프레임(21)은 둘레 일부가 개방된 고리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외력에 의해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의 양단이 벌어지거나 오므라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의 양단은 사용자의 손에 쥐어져 벌려지거나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을 통해 농작물 지지대(10)가 클립 프레임(21)의 내측으로 압입되거나 클립 프레임(21)의 내측으로부터 압출되는 과정에서 농작물 지지대(10)의 두께에 의해 벌려질 수 있다. 이러한 클립 프레임(21)의 신축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인력에 의해 파손될 수 없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20)은 고강도의 탄성 소재, 예를 들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20)이 농작물 지지대(10)에 결합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외력에 의해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의 양단이 벌어진 상태에서 클립 프레임(21)의 외부에 위치한 농작물 지지대(10)에 클립 프레임(21)의 내측 방향의 외력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을 통하여 클립 프레임(21)의 내측으로 농작물 지지대(10)가 삽입됨으로써 클립 프레임(21)은 농작물 지지대(10)의 둘레에 끼워진다. 클립 프레임(21)이 농작물 지지대(10)의 둘레에 끼워진 상태에서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의 양단에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짐에 따라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이 오므라드는 복원력에 의해 클립 프레임(21)은 농작물 지지대(10)에 압착되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20)이 농작물 지지대(1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외력에 의해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의 양단이 벌어진 상태에서 클립 프레임(21)에 결합된 농작물 지지대(10)에 클립 프레임(21)의 외측 방향의 외력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을 통하여 클립 프레임(21)의 외측으로 클립 프레임(21)에 결합된 농작물 지지대(10)가 추출된다. 클립 프레임(21)으로부터 농작물 지지대(10)의 몸체 전부가 추출됨으로써 클립 프레임(21)은 농작물 지지대(10)로부터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20)은 클립 프레임(21)의 양단에 외력을 가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농작물 지지대(10)에 결합되거나 농작물 지지대(10)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 지지대(10)의 임의의 높이에 결합이 가능하여 농작물의 성장 속도에 맞추어 연결클립(20)의 결합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농작물 지지대(10)에 결합된 연결클립(20)과 다른 농작물 지지대(10)에 결합된 다른 연결클립(20) 사이에는 농작물을 지지하기 위한 끈이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의 양단이 벌어진 상태에서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을 통하여 클립 프레임(21)의 내측으로 농작물 지지대(10)의 사각기둥 형상의 몸체가 삽입됨으로써 클립 프레임(21)의 내주면이 농작물 지지대(10)의 사각기둥 형상의 몸체의 외주면 둘레에 끼워지며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의 양단에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짐에 따라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이 오므라드는 복원력에 의해 클립 프레임(21)의 내주면은 농작물 지지대(10)의 사각기둥 형상의 몸체의 외주면에 압착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그 내부 공간이 사각판을 형성하는 클립 프레임(21)의 내주면 전체가 농작물 지지대(10)의 사각기둥 형상의 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연결클립(20)이 농작물 지지대(10)에 회전되지 않으면서도 흘러내림 없이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결부(22)는 클립 프레임(21)의 외주면에 "T"자 형상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 프레임(21)의 외주면에 세 개의 연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T"자 형상의 각 연결부(22)의 양측의 요곡부 중 적어도 하나에 농작물을 지지하는 끈이 묶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세 개의 연결부(22)는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1 연결부(22),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과 제 1 연결부(22) 사이의 일측 외주면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연결부(22), 및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과 제 1 연결부(22) 사이의 타측 외주면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3 연결부(2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클립 프레임(21)의 외주면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연결부(22)가 형성되어 있어 각기 다른 장소에 위치한 여러 농작물 지지대(10)의 연결클립(20)에 일단이 묶여진 다양한 방향의 끈이 독립적으로 이러한 연결부(22) 각각에 묶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 프레임(21)의 연결부(22)에 여러 방향의 복수 개의 끈이 묶이게 되는 경우에도 각 끈 별로 독립적으로 각 연결부(22)에 묶일 수 있어 끈의 꼬임, 끈들끼리의 겹침 등에 따른 마모 내지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떤 끈의 교체시 다른 끈의 묶임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간편하게 교체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연결부(22)의 개수와 방향은 도 1, 2에서 개시한 바와 같은 개수와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가 적용될 환경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의 양단 각각은 연장되어 서로 대칭되게 고리 형상으로 둥글게 말림으로써 농작물을 지지하는 끈이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의 양단 각각의 연장 부위(23)에 묶일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끈으로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의 양단 중 일측의 연장 부위(23)와 타측의 연장 부위(23)를 연속해서 팽팽하게 감을 수 있다. 이러한 끈의 감김에 의해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이 보다 오므라들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의 양단 사이의 결속력에 의해 연결클립(20)이 농작물 지지대(10)에 보다 더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끈의 감김에 의해 결속된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의 양단이 태풍 등의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벌어지지 않게 되어 연결클립(20)이 농작물 지지대(10)에 더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은 일정 간격으로 행렬 형태로 배치되어 논밭에 심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의 양단 각각의 연장 부위(23)는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 방향의 연결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세 개의 연결부(22)와 함께 상측 방향으로부터의 끈, 하측 방향으로부터의 끈이, 좌측 방향으로부터의 끈, 우측 방향으로부터의 끈이 독립적으로 묶일 수 있는 연결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클립(20)은 끈의 꼬임과 끈들끼리의 겹침 없이 행렬 형태로 배치된 농작물 모두를 지지할 수 있는 격자 구조로 끈을 연결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4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탈착식 연결클립(40)의 평면도이다. 도 3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40)이 장착되는 농작물 지지대(30)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3,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40)은 클립 프레임(41)과 복수 개의 연결부(42)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작물 지지대(30)는 육각기둥의 형상의 몸체를 갖는다. 클립 프레임(41)은 농작물 지지대(30)의 육각기둥 형상의 몸체의 외주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그 내부 공간이 육각판 형상을 형성하는 내주면을 갖는다. 이와 같이, 그 내부 공간이 육각판 형상을 형성하는 클립 프레임(41)의 내주면 전체가 농작물 지지대(30)의 육각기둥 형상의 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연결클립(40)이 농작물 지지대(40)에 회전되지 않으면서도 흘러내림 없이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연결부(42)가 클립 프레임(41)의 외주면에 "T"자 형상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T"자 형상의 각 연결부(42)의 양측의 요곡부 중 적어도 하나에 농작물을 지지하는 끈이 묶일 수 있다. 또한, 도 1,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클립 프레임(41)의 개방 부분의 양단 각각은 연장되어 서로 대칭되게 고리 형상으로 둥글게 말림으로써 농작물을 지지하는 끈이 클립 프레임(41)의 개방 부분의 양단 각각의 연장 부위(43)에 묶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농작물 지지대(30)가 육각기둥의 형상의 몸체를 가짐에 따라 클립 프레임(41)이 육각기둥 형상을 형성하는 내주면 형상을 갖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도 3,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도 1,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6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탈착식 연결클립(60)의 평면도이다. 도 3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60)이 장착되는 농작물 지지대(50)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5,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60)은 클립 프레임(61)과 복수 개의 연결부(62)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작물 지지대(30)는 원기둥의 형상의 몸체를 갖는다. 클립 프레임(61)은 농작물 지지대(50)의 원기둥 형상의 몸체의 외주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그 내부 공간이 원판의 형상을 형성하는 내주면을 갖는다.
이와 같이, 그 내부 공간이 원판 형상을 형성하는 클립 프레임(61)의 내주면 전체가 농작물 지지대(50)의 원기둥 형상의 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연결클립(60)이 농작물 지지대(40)에 흘러내림 없이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농작물 지지대(50)의 원기둥 형상으로 인해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연결클립(60)은 농작물 지지대(50) 상에 다소 회전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클립 프레임(61)의 내주면 상에 농작물 지지대(50)의 원기둥 형상의 몸체의 외주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연결부(62)가 클립 프레임(61)의 외주면에 "T"자 형상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T"자 형상의 각 연결부(62)의 양측의 요곡부 중 적어도 하나에 농작물을 지지하는 끈이 묶일 수 있다. 또한, 도 1,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클립 프레임(61)의 개방 부분의 양단 각각은 연장되어 서로 대칭되게 고리 형상으로 둥글게 말림으로써 농작물을 지지하는 끈이 클립 프레임(61)의 개방 부분의 양단 각각의 연장 부위(63)에 묶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농작물 지지대(50)가 원기둥의 형상의 몸체를 가짐에 따라 클립 프레임(61)이 원기둥 형상을 형성하는 내주면 형상을 갖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도 5,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도 1,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70)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탈착식 연결클립(70)의 사시도이다. 도 7,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20)은 클립 프레임(71)과 복수 개의 연결부(72)로 구성된다. 도 8의 (a)에는 연결클립(70)의 클립 프레임(71)의 개방 부분의 반대쪽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의 (b)에는 연결클립(70)의 클립 프레임(71)의 개방 부분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70)의 클립 프레임(71)은 그 내부 공간이 원판 형상을 형성하는 내주면을 갖고, 이러한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톱니 형상의 다수 개의 요철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20)은 그 내부 공간이 사각판 형상을 형성하는 내주면을 갖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육각기둥 형상의 농작물 지지대(30), 도 5에 도시된 원기둥 형상의 농작물 지지대(30)에는 밀착되어 결합되기가 어렵다. 도 3,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40)과 도 5,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연결클립(60)도 마찬가지로 그 내주면 형상이 농작물 지지대의 몸체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지 않을 경우에 농작물 지지대에 밀착되어 결합되기가 어렵다.
도 7, 8에 도시된 탈착식 연결클립(70)은 그 내부 공간이 원판 형상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톱니 형상의 다수 개의 요철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농작물 지지대의 몸체의 외주면이 다각기둥 형상일 경우에 농작물 지지대의 몸체의 외주면의 각진 부분들이 톱니 형상의 다수 개의 요철들과 맞물림 결합됨으로써 연결클립(20)이 농작물 지지대(10)에 회전되지 않으면서도 흘러내림 없이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도 7, 8에 도시된 탈착식 연결클립(70)은 그 내부 공간이 원판 형상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이러한 요철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농작물 지지대의 몸체의 외주면의 어떠한 형상에도 대응할 수 있다.
다만, 농작물 지지대의 몸체의 외주면이 원기둥 형상일 경우에 톱니 형상의 다수 개의 요철들과 맞물림 결합될 수는 없으나 농작물 지지대의 몸체의 외주면과 다수 개의 요철들간의 마찰력에 의해 흘러내림 없이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다. 농작물 지지대는 현재 다양한 형상으로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농작물 지지대의 형상 별로 끈을 묶기 위한 연결클립을 제작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도 7, 8에 도시된 탈착식 연결클립(70)은 농작물 지지대의 몸체의 외주면의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어떤 형상의 농작물 지지대에도 흘러내림 없이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는 범용적인 연결클립이다.
도 9는 도 3, 4에 도시된 연결클립(40)의 사용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는 육각기둥 형상의 농작물 지지대(30)에 장착된 연결클립(40)에 다양한 방식으로 끈이 묶여져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4에 도시된 연결클립(40) 외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클립(20, 60, 70)에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끈이 묶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9의 (a)에는 클립 프레임(41)의 외주면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세 개의 연결부(42) 중 하나의 연결부(42)에 끈이 묶여져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a)로부터 여러 방향으로부터의 끈이 독립적으로 연결클립(40)의 세 개의 연결부(42) 중 어느 하나에 묶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9의 (b)에는 클립 프레임(24)의 개방 부분의 양단의 연장 부위(43) 중 어느 하나에 끈이 묶여져 있는 모습과 클립 프레임(24)의 개방 부분의 양단의 연장 부위(43) 모두를 하나의 끈으로 감아서 묶여져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b)로부터 전 방향으로부터의 끈이 클립 프레임(24)의 개방 부분의 양단의 연장 부위(43)와 세 개의 연결부(42)에는 독립적으로 묶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작물 지지대(30)에 장착된 연결클립(40)에 의해 농작물을 지지하기 위한 끈이 여러 방향으로 연결되어 연장될 수 있으며 여러 방향으로 연결되어 연장되는 끈들이 동일한 곳에 엉키거나 겹쳐서 연결되지 않으므로 끈이 엉키거나 하지 않고 끈들이 서로 마찰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클립(40)은 농작물 지지대(30)가 지면에 삽입 설치되었을 때 어떠한 높이에도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9에는 하나의 농작물 지지대(30)에 두 개의 연결클립(40)이 장착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가 적용될 환경에 따라 더 많은 개수 또는 더 적은 개수의 연결클립(40)이 장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0은 도 3, 4에 도시된 연결클립(40)에 묶여진 끈에 의해 농작물이 지지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4에 도시된 연결클립(40) 외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클립(20, 60, 70)에 묶여진 끈에 의해서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농작물이 지지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여러 개의 농작물 지지대(30)가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세워져 있다. 어떤 농작물 지지대(30)에 장착된 연결클립(40)의 "T"자 형상의 연결부(22)의 양측의 요곡부와 이것에 이웃하는 다른 농작물 지지대(30)의 "T"자 형상의 연결부(22)의 양측의 요곡부에는 두 개의 끈이 독립적으로 묶여서 두 개의 농작물 지지대(30)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져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농작물 지지대(30)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져 있는 두 개의 끈 사이에 농작물의 줄기가 끼임으로써 농작물이 지지될 수 있다. 클립 프레임(21)의 개방 부분의 양단 각각의 연장 부위(23)에도 두 개의 끈이 독립적으로 묶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실시예에 따른 연결클립은 하나의 연결부 또는 하나의 연장 부위에 두 개의 끈이 독립적으로 묶일 수 있어 작업자가 끈을 농작물을 감는 등의 복잡한 작업을 할 필요 없이 농작물을 두 개의 끈 사이에 위치시키는 간편한 작업만으로 농작물 지지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30, 50 : 농작물 지지대
20, 40, 60, 70 : 연결클립
21, 41, 61, 71 : 클립 프레임
22, 42, 62, 72 : 연결부
23, 43, 63, 73 : 연장 부위

Claims (5)

  1. 지면에 세워져 있는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농작물 지지대에 끈을 연결하기 위한 탈착식 연결클립에 있어서,
    둘레 일부가 개방된 고리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외력에 의해 상기 개방 부분의 양단이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개방 부분을 통하여 내측으로 상기 농작물 지지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농작물 지지대의 둘레에 끼워지며 상기 외력이 사라짐에 따라 상기 개방 부분이 오므라드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농작물 지지대에 압착되어 결합되는 클립 프레임; 및
    상기 클립 프레임의 외주면에 "T"자 형상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T"자 형상의 양측의 요곡부 중 적어도 하나에 농작물을 지지하는 끈이 묶일 수 있는 복수 개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프레임은 외력에 의해 상기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의 양단이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개방 부분을 통하여 상기 클립 프레임의 외측으로 상기 결합된 농작물 지지대가 추출됨으로써 상기 농작물 지지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의 양단 각각은 연장되어 서로 대칭되는 고리 형상으로 둥글게 말림으로써 상기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 방향의 연결부로서의 역할을 하여 농작물을 지지하는 끈이 상기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의 양단 각각의 연장 부위에 묶일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는
    상기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의 개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T"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1 연결부;
    상기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과 상기 제 1 연결부 사이의 일측 외면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T"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2 연결부; 및
    상기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과 상기 제 1 연결부 사이의 타측 외면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제 2 연결부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T"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3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프레임의 개방 부분의 양단 각각의 연장 부위, 상기 제 1 연결부, 상기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3 연결부에는 상측 방향으로부터의 끈, 하측 방향으로부터의 끈, 좌측 방향으로부터의 끈, 우측 방향으로부터의 끈이 끈의 꼬임과 끈들끼리의 겹침 없이 독립적으로 묶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연결클립.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프레임은 상기 클립 프레임의 내주면이 상기 농작물 지지대의 몸체의 외주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농작물 지지대의 몸체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내주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연결클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프레임은 내부 공간이 원판 형상을 형성하는 내주면을 갖고, 상기 내부 공간이 원판 형상을 형성하는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톱니 형상의 다수 개의 요철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연결클립.
KR2020140007835U 2014-10-28 2014-10-28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식 연결클립 KR200481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35U KR200481883Y1 (ko) 2014-10-28 2014-10-28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식 연결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35U KR200481883Y1 (ko) 2014-10-28 2014-10-28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식 연결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83U KR20160001483U (ko) 2016-05-10
KR200481883Y1 true KR200481883Y1 (ko) 2016-11-22

Family

ID=56023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835U KR200481883Y1 (ko) 2014-10-28 2014-10-28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식 연결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88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357B1 (ko) * 2019-03-21 2020-01-16 조찬행 노지(露地) 비가림 고추나무 지지장치
KR20220169544A (ko) 2021-06-21 2022-12-28 심희섭 농작물 고정용 끈 연결 클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759U (ja) 1996-10-14 1997-05-02 手嶋 清和 クリップ
JP2006075091A (ja) * 2004-09-10 2006-03-23 ▲吉▼川 正雄 移動式園芸用紐張りクリップ
JP2007289154A (ja) * 2006-03-29 2007-11-08 Sekisui Jushi Co Ltd シート止めクリップ
KR200466349Y1 (ko) * 2012-08-13 2013-04-10 김재성 농작물 지지끈 연결용 클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6759U (ko) * 1989-08-11 1991-04-10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759U (ja) 1996-10-14 1997-05-02 手嶋 清和 クリップ
JP2006075091A (ja) * 2004-09-10 2006-03-23 ▲吉▼川 正雄 移動式園芸用紐張りクリップ
JP2007289154A (ja) * 2006-03-29 2007-11-08 Sekisui Jushi Co Ltd シート止めクリップ
KR200466349Y1 (ko) * 2012-08-13 2013-04-10 김재성 농작물 지지끈 연결용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83U (ko)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754B1 (ko) 수목 지지장치
US4287840A (en) Tree transplan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200481883Y1 (ko) 농작물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탈착식 연결클립
KR101103038B1 (ko) 덩굴 식물 재배용 지지대
US20100180537A1 (en) Method for Protecting a Plant Structure Against Wind Damage
KR20200099301A (ko) 농작물 지지대용 스프링구조의 탈착식 지지끈 연결클립
US201401440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djustable plant support
KR20110021538A (ko) 길이조절 가능한 수목 지지 장치
US2006023660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lant stems
US20070113470A1 (en) Plant support apparatus
JP3196472U (ja) 雑草防止シート
KR102067357B1 (ko) 노지(露地) 비가림 고추나무 지지장치
KR20110003537U (ko)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KR20130002453U (ko) 지지 끈이 꿰어진 덩굴식물 생장용 그물
CN206283965U (zh) 一种甜瓜吊蔓栽培架
KR101493929B1 (ko) 농작물 고정타이
KR200238331Y1 (ko) 고추모 지지대
KR20160035429A (ko) 화분용 식물지지대
TWM580857U (zh) Plant grafting structure
TWM456080U (zh) 樹木移植帶
KR101533689B1 (ko) 농산물 수확박스 받침
KR101794406B1 (ko) 식물지지장치
KR20170002877U (ko) 고추나무 지지용 끈 고정핀
CN207604285U (zh) 一种防鸟网
JP2009297005A (ja) 園芸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