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288Y1 - 멜빵형 수확바구니 - Google Patents

멜빵형 수확바구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288Y1
KR200474288Y1 KR2020130001631U KR20130001631U KR200474288Y1 KR 200474288 Y1 KR200474288 Y1 KR 200474288Y1 KR 2020130001631 U KR2020130001631 U KR 2020130001631U KR 20130001631 U KR20130001631 U KR 20130001631U KR 200474288 Y1 KR200474288 Y1 KR 200474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lt
suspenders
harvest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혜선
이경숙
김효철
임철민
신용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130001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2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2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양쪽 어깨에 멜 수 있도록 하는 멜빵을 구비하고, 바닥면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멜빵형 수확바구니가 개시된다.
본 고안은 수확물을 담을 수 있고 바닥을 개폐시킬 수 있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에 후방에 양쪽으로 형성되며, 양단에 결속구가 형성되는 벨트부; 상기 용기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벨트부의 일단면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멜빵부를 포함하여, 멜빵을 사용하여 수확물의 하중을 양쪽 어깨로 분산시켜 피로도를 줄이고, 바닥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수확물의 배출이 용이한 멜빵형 수확바구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멜빵형 수확바구니{SUSPENDERS HARVEST BASKET}
본 고안은 수확바구니에 관한 것으로, 양쪽 어깨로 멜 수 있도록 하는 멜빵형 수확바구니에 관한 것이다.
과수수확 작업은 농작물을 수확바구니에 담아 운바하는 중량물 취급작업이 많다.
기존의 수확바구니는 손에 들거나 한쪽 어께에 매는 형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근골격계질환 유발의 원인이 되고 있다.
종래의 수확바구니는 앞치마처럼 허리에 두르는 자루 또는 포대타입의 운반용구와, 옆구리에 끼어 들고다니며 작무을 담는 바구니타입의 운반용구로 나뉘어진다.
이때, 전자의 경우는 운반용구가 허리에 묶여있는 상태에서 두손은 자유로와 수확이 용이한 반면 부드러운 천 또는 비닐 재질로만 이루어진 것이어서 수확물을 담을 때마다 입구부를 벌려줘야 하는 단점을 가지며, 또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수확물의 무게에 의해 찌그러지게 되어 운반용구 안에 담겨진 수확물이 서로 짓눌려 손상되어져 상품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또 운반용구가 작업자의 무릅에 까지 처진 상태이므로 걸을 때마다 작업자의 무릎에 채이게 되어 무른 재질의 수확물은 담기가 곤란한 단점을 갖는 것이다.
후자의 경우는 견고하고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는 있어 수확물의 손상은 방지할 수 있으나 이는 작업자가 항상 바구니를 파지하여야 하므로 양손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없어 수확이 용이하지 못하며, 또한 수확량이 많은 경우 작업자에게 피로드가 가중되어 작업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수확바구니는 한쪽 어깨로 수확바구니를 메고 작업하기 때문에 양쪽 어깨로 메는 수확바구니에 비해 몸의 피로가 쉽게 누적된다. 또한, 수확물을 하나씩 꺼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어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일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허리보호대와 수확바구니 연결 끈이 없어 수확물의 쏠림이 발생하여 안정적인 작업 자세를 유지하기 어렵다.
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73,421호(2002. 4. 15) 2.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450,746호(2010. 10. 20)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확 작업시 반복적으로 수확물을 거치용 수확바구니에 옮겨 담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편안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멜빵용 수확바구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멜빵형 수확바구니는 수확물을 담을 수 있고 바닥을 개폐시킬 수 있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에 후방에 양쪽으로 형성되며, 양단에 결속구가 형성되는 벨트부; 상기 용기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벨트부의 일단면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멜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부는 바닥면에 형성되는 고리부; 상단에 용기부의 상단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갈고리 형상의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와 끈으로 연결되어 상기 바닥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는 내측면부와 바닥면을 천으로 연결하되, 상기 바닥면이 열렸을 때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측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는 외 측면에 천을 제봉하여 형성되는 주머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멜빵부는 어깨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멜빵형 수확바구니는 양쪽 어깨에 멜 수 있도록 하여 한쪽 어깨에 걸리는 피로도를 분산하고, 허리를 보호하며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바구니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확바구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멜빵형 수확바구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멜빵형 수확바구니의 바닥면 개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멜빵형 수확바구니의 바닥면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멜빵형 수확바구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용기부(100), 벨트부(200), 멜빵부(300)를 포함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부(10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측면부(110)와, 상기 측면부(110) 하단부에 재봉되어 막혀있는 바닥면(120)을 포함하는 바구니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바닥면(120)은 상기 측면부(110)의 일부분과 재봉되어 바닥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용기부(100)는 바닥면(120)의 외면에 형성되는 고리부(131)와, 상기 고리부(131)와 끈(132)으로 연결되는 걸이부(133)를 포함하는 개폐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130)은 상기 걸이부(133)가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걸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확물의 중량에 의해 상기 바닥면(120)이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100)는 측면부(110)와 바닥면(120)의 일부를 천으로 연결하여 상기 바닥면이 열렸을 때 완전히 열리지 않고 일정 각도를 형성하여 열릴 수 있도록 하는 측벽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측면부에 천을 제봉하여 주머니(150)를 형성함으로써 수확물 외에 다른 물건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주머니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벨트부(200)는 상기 용기부에 외측면에 재봉되여 형성된다. 상기 벨트부는 벨트부의 중앙이 상기 용기부의 외측면에 재봉되며 양 끝단에 결속구(21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부(200)는 한쪽 끝단이 상기 용기부에 재봉되고 나머지 끝단에 결속구를 형성하도록 하는 제1 벨트부(201)와, 상기 제1 벨트부(201)와 반대방향으로 제1 벨트부와 똑같이 형성되는 제2 벨트부(202)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벨트부(201)와 제2 벨트부(202)의 끝단에 형성된 결속구(210)를 사용하여 제1 벨트부와 제2 벨트부가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벨트부(200)는 결속구와 벨트부 사이를 끝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끈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 길이조절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 길이조절부(220)는 벨트부의 한쪽 결속구에만 형성되거나, 양쪽 결속구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멜빵부(300)는 상기 용기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벨트부의 일단면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멜빵부는 어깨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패드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멜빵부는 상기 패드부와 상기 벨트부 사이에 멜빵 길이조절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멜빵 길이조절부는 상기 패드부와 벨트부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패드부와 용기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멜빵형 수확바구니의 바닥면 개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멜빵형 수확바구니의 바닥면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멜빵형 수확바구니 바구니가 앞쪽을 향하도록 멜빵을 어깨에 건 후 벨트부를 허리에 감아 결속구를 채우면 착용이 완료된다.
이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수확물을 용기부 안에 담으면서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상기 멜빵에 의하여 수확물의 하중의 양쪽 어깨로 분산되어 어깨의 피로도를 나눌 수 있으며, 벨트부에 의해 바구니가 몸에 확실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움직임이 자유로울 수 있다.
한편, 상기 벨트부와 멜빵부는 모두 길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 길이조절부와 멜빵 길이조절부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채형의 사람이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멜빵부에 어깨 패드를 더 포함함으로써 어깨에 걸리는 피로도를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용기부의 바닥면을 개폐시키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용기부 상단에 걸려있는 걸이부(133)를 들어 용기부에서 분리시키면 바닥면(120)은 하중에 의해 열리게 함으로써 수확물을 다른 곳으로 옮기기 쉽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바닥면의 일부분과 용기부의 측면부가 재봉되어 형성됨으로써 바닥면은 용기부에서 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바닥면이 완전하게 열려 수확물이 급하게 하강하여 발생할 수 있는 수확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벽부(140)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140)는 용기부의 내측면과 바닥면을 천으로 연결하되, 바닥면과 용기부가 재봉되어 있는 부분에서 전방부로 갈수록 천의 넓이가 넓어지도록 하여 바닥면이 열렸을 경우 한정된 각도를 유지하면서 열리고, 한 방향은 개폐되고 나머지는 막혀있어 수확물이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용기부 110: 측면부
120: 바닥면 130: 개폐수단
131: 고리부 132: 끈
133: 걸이부 140: 측벽부
150: 주머니 200: 벨트부
201: 제1 벨트부 202: 제2 벨트부
210: 결속구 220: 벨트 길이조절부
300: 멜빵부 310: 패드부
320: 멜빵 길이조절부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측면부와 바닥면으로 형성되어 수확물을 담을 수 있고, 상기 바닥면을 개폐시킬 수 있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후방에 양쪽으로 형성되며, 양단에 결속구가 형성되는 벨트부; 및
    상기 용기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벨트부의 일단면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멜빵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부는,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고리부;
    상기 측면부 상단에 걸릴 수 있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 및
    상기 고리부 및 상기 걸이부를 연결시키는 끈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면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을 통해 상기 바닥면이 열렸을 때 일정 각도를 형성시키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형 수확바구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외 측면에 천을 제봉하여 형성되는 주머니를 더 포함하는 멜빵형 수확바구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빵부는,
    어깨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멜빵형 수확바구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측면부의 내측과 상기 바닥면 일부가 천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형 수확바구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용기부의 전방으로 갈수록 천의 넓이가 넓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형 수확바구니.
KR2020130001631U 2013-03-05 2013-03-05 멜빵형 수확바구니 KR2004742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631U KR200474288Y1 (ko) 2013-03-05 2013-03-05 멜빵형 수확바구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631U KR200474288Y1 (ko) 2013-03-05 2013-03-05 멜빵형 수확바구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288Y1 true KR200474288Y1 (ko) 2014-09-17

Family

ID=5200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631U KR200474288Y1 (ko) 2013-03-05 2013-03-05 멜빵형 수확바구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2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0481A (zh) * 2018-05-21 2018-11-09 贵州曌梅果蔬种植有限公司 一种核桃采摘器
KR20220000036U (ko) 2020-06-29 2022-01-05 윤채은 과일 따는 가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25U (ja) * 1993-06-25 1995-01-27 清水 正芳 果実収穫袋
JPH0761217B2 (ja) * 1990-04-27 1995-07-05 孝志 渡辺 果実用収穫篭
KR200207338Y1 (ko) * 2000-07-24 2000-12-15 이동규 과실 및 곡물 수집기
KR20130010661A (ko) * 2011-07-19 2013-01-29 임명숙 개인식 과일 수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1217B2 (ja) * 1990-04-27 1995-07-05 孝志 渡辺 果実用収穫篭
JPH075325U (ja) * 1993-06-25 1995-01-27 清水 正芳 果実収穫袋
KR200207338Y1 (ko) * 2000-07-24 2000-12-15 이동규 과실 및 곡물 수집기
KR20130010661A (ko) * 2011-07-19 2013-01-29 임명숙 개인식 과일 수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0481A (zh) * 2018-05-21 2018-11-09 贵州曌梅果蔬种植有限公司 一种核桃采摘器
KR20220000036U (ko) 2020-06-29 2022-01-05 윤채은 과일 따는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99340B (zh) 护具
CN103099341B (zh) 护具
US5201446A (en) Fruit picker's supported container
KR200482888Y1 (ko) 애완동물용 캐리어
JP2012524602A (ja) 子どもを持ち上げて中に入れたり外に出したりするのを容易にする手段を有するベビー・キャリア
US20140367397A1 (en) Basket
NZ232608A (en) Padded fruit picker's bag with support frame
US20210315365A1 (en) Combination backpack and baby carrier
WO2016156119A1 (en) A device for carrying an object
US20130068807A1 (en) Hook for shoulder sling
US9060590B2 (en) Backpack frame
US9788584B2 (en) Garment convertible to bag
US20100095903A1 (en) Pet belt
KR200474288Y1 (ko) 멜빵형 수확바구니
KR101030428B1 (ko) 튜브타입의 어깨걸이를 갖는 배낭
KR101776520B1 (ko) 농작물 수확용 앞치마
US719810A (en) Fruit-picker's receptacle.
US1198602A (en) Bag-carrier.
KR20140005002U (ko) 멜빵형 접이식 수확바구니
US1865353A (en) Harness for picking sacks and the like
KR200440044Y1 (ko) 아기띠
KR102050905B1 (ko) 농작물 수확용 셔블 로더형 앞치마 바스켓
US20090199532A1 (en) Fruit harvesting belt and bucket system
US10117501B2 (en) Portable bag with adjustable inner container
US20180098498A1 (en) Ergonomic Harvesting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