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544Y1 - 모종 이식기 - Google Patents

모종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544Y1
KR200444544Y1 KR2020070005142U KR20070005142U KR200444544Y1 KR 200444544 Y1 KR200444544 Y1 KR 200444544Y1 KR 2020070005142 U KR2020070005142 U KR 2020070005142U KR 20070005142 U KR20070005142 U KR 20070005142U KR 200444544 Y1 KR200444544 Y1 KR 200444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rod
opening
rod member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306U (ko
Inventor
최기봉
Original Assignee
박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순 filed Critical 박성순
Priority to KR2020070005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544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3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3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5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채소류나 벼와 같은 잎사귀 또는 줄기의 크기가 비교적 큰 작물의 모종을 이식하는 장치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한 손으로 작업 가능하게 하고, 이식 작업시에 모종을 훼손함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중공의 로드 부재와; 상기 로드 부재의 상부에 결합하고, 일단이 수평 방향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 절곡 부위에 힌지 결합하는 개폐 조절부와; 상기 개폐 조절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로드 부재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 로드와; 상기 로드 부재의 하부에 힌지 결합하되, 상기 연결 로드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개폐 조절부의 조작에 의한 배출구 개폐를 통해 모종을 배출/이식하는 이식삽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종 이식기, 모종 보호대, 이식삽

Description

모종 이식기{Seedling-transplanting machine}
도 1은 종래 실시 예에 따른 이식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종 이식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종 이식기의 측면도; 및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종 이식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모종 이식기 110: 로드 부재
120: 손잡이부 121: 물공급 연결부
130: 개폐 조절부 140: 연결 로드
150: 로드 암 160: 이식삽부
161: 고정 이식삽 162: 작동 이식삽
163: 와이어 170: 모종 보호대
본 고안은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채소류나 벼와 같은 잎사귀 또는 줄기의 크기가 비교적 큰 작물의 모종을 이식하는 장치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한 손으로 작업 가능하게 하고, 이식 작업시에 모종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각종 작물을 재배할 때, 작물 성장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화분 등에 파종을 하고, 일정한 크기로 성장한 모종을 밭으로 옮겨심게 된다. 이러한 작업을 모종 이식 작업이라 하며, 이때 사용되는 기기가 모종 이식기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모종 이식기로서, 기계적 장치에 이식 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대량 이종 작업을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농촌이 현대화되면서 기계적 장치에 의존하여 대량 모종 이식 작업을 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소규모의 농가에서는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모종을 이식하기에는 농기계의 고가 비용 또는 지형의 불리함 등으로 인해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을 통해 모종 이식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작업을 통한 모종 이식 작업은, 삽이나 괭이 등을 이용하여 모종이 이식될 이식혈을 파낸 후, 그 이식혈 내에 모종을 파묻고 그 주위를 배토하여 이식 작업을 하는 것으로, 이는 작업자가 허리를 구부리고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을 연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행하여 이식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쉽게 몸에 피로를 느 끼게 되고, 또한 작업능률이 저하되며, 특히 이식혈 내에 모종이 파묻히는 깊이의 정도가 작업자마다 달라서 그 깊이가 불규칙하게 매설되거나, 충분한 이식 깊이로 이식되지 못한 모종이 죽어버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채소류 또는 벼의 모종을 수작업으로 이식하는 작업자의 노고를 해소하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수작업용 모종 이식기가 요구되었고, 그 요구에 부응하여 모종 이식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수작업용 모종 이식기는 식재중에 모종의 잎사귀를 절단하거나 훼손시키는 경우가 잦았고, 수작업용인 모종 이식기가 작업자에 맞게 설계되지 않아 작업시 많은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그 사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작업자의 불편함과 이식되는 모종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모종 이식기가 본 고안자에 의해 고안된 바 있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자에 의해 안출된 등록실용신안 제 20-0434507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채소류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각각 측 평면 힌지부(11)를 갖는 반 원추 삽날(10) 한 쌍을 힌지 결합하여 원추형 이식삽부를 구성하고, 각 반 원추 삽날(10)의 입구부에 길이 조절 가능한 작동봉(20)을 체결 설치하며, 작동봉(20)의 상단에 곡형 손잡이(21)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종 이식기는 작업자가 팔의 근력을 이용하여 손잡이를 작동시켜 이식삽부를 통해 이식 혈을 형성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양손을 사용함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모종 이식기의 자체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작업자가 들고 이동시키는데에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종을 이식혈에 이식한 후 모종 이식기를 다시 빼낼 경우에, 모종이 이식삽부 사이에 끼여서 모종이 다시 뽑히는 현상이 발생하여 이식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모종의 줄기 또는 잎사귀 부분이 훼손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작업자가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모종 이식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이식기의 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모종 이식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모종을 이식한 후, 이식삽부가 닫힌 상태에서 모종 이식기를 빼낼 경우 모종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식삽부가 열린 상태에서 상부로 빼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모종 이식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모종 이식기에 모종을 공급하고 이식할 경우, 이식되는 모종의 흐트러짐과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모종 보호대를 구비한 모종 이식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공의 로드 부재와; 상기 로 드 부재의 상부에 결합하고, 일단이 수평 방향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 절곡 부위에 힌지 결합하는 개폐 조절부와; 상기 개폐 조절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로드 부재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 로드; 및 상기 로드 부재의 하부에 결합하되, 상기 연결 로드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개폐 조절부의 조작에 의한 배출구 개폐를 통해 모종을 배출/이식하는 이식삽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는 일단에 상기 로드 부재와 연결되는 중공의 내부를 형성하는 물공급 연결부가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식삽부는 상기 로드 부재의 하부에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 로드의 타단이 결합하고, 상기 연결 로드의 작동에 의해 힌지 작동하는 로드 암과; 상기 로드 암의 작동에 의해 일정 각도로 배출구의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는 원추형의 이식삽; 및 상기 로드 암 및 이식삽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로드 암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이식삽이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종 이식기는 상기 로드 부재의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이식삽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이식되는 모종의 흐트러짐 및 손상을 방지하는 원형 단면의 모종 보호대를 더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모종 이식기는 한 손 작동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이식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모종 이식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2 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종 이식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종 이식기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모종 이식기(100)는 로드 부재(110)와, 손잡이부(120)와, 개폐 조절부(130)와, 연결 로드(140), 및 이식삽부(160)로 구성된다.
상기 로드 부재(110)는 상기 손잡이부(120)를 통하여 유입되어 모종에 공급할 수 있는 물이 흐를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인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드 부재(110)의 길이는 모종 작업을 하는 자의 키에 맞게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다단식 손잡이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로드 부재(110)의 상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손잡이부(120)가 결합하며, 이 손잡이부(120)의 끝단 내측에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고압용 호스(horse)를 연결할 수 있도록 물공급 연결부(121)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필요에 의하여 상기 고압용 호스(horse)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 상기 물공급 연결부(121)를 통해 물이 공급되어 상기 로드 부재(110)의 내부에 안내되고, 끝단을 통해 모종에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120)의 하부 절곡된 부위에는 개폐 조절부(130)가 힌지(131) 결합하며, 작업자는 이 개폐 조절부(130)를 조작함으로써, 하술할 이식삽 부(160)를 개폐 작동하게 된다.
상기 개폐 조절부(130)의 일단에는 상기 로드 부재(110)의 하부로 연장되는 연결 로드(140)가 결합하며, 상기 연결 로드(140)는 개폐 조절부(130)의 조작에 의해 연동하게 된다.
상기 연결 로드(140)는 상기 개폐 조절부(130)와 하술할 로드 암(150)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개폐 조절부(130)의 작동에 의해 로드 암(150)이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로드 암(150)의 회전에 의해 하술할 이식삽(161, 162)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상기 이식삽부(160)는 상기 로드 부재(110)의 하부에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 로드(140)의 타단이 결합하고, 상기 연결 로드(140)의 작동에 의해 힌지 작동하는 로드 암(150)과, 상기 로드 암(150)의 작동에 의해 일정 각도로 배출구의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는 원추형의 이식삽(161, 162), 및 상기 로드 암(150) 및 이식삽(161, 162)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로드 암(1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이식삽(160)이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와이어(16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식삽(161, 162)은 고정 이식삽(161)과 작동 이식삽(162)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이식삽(161)은 로드 부재(110)의 하부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작동 이식삽(162)은 상기 와이어(160)에 결합하여 힌지(164)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배출구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식삽부(160)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작업자가 상기 개폐 조절부(130)를 당기게 되면, 상기 연결 로드(140)가 상승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로드 암(150)이 힌지(151)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163)가 작동 이식삽(162)의 상단을 잡아당기게 된다. 그러면, 상기 작동 이식삽(162)은 힌지(164)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배출구를 개방하게 되며, 이 배출구를 통해서 모종이 이식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모종을 이식할 경우에, 상기 이식삽부(160)는 닫힌 상태로 이식될 토양 속에 박히며, 이 상태에서 상기 개폐 조절부(130)를 손으로 잡으면 이식삽부(160)의 배출구가 개방되면서 모종이 이식되고, 이 모종 이식 후에는 상기 개폐 조절부(13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이식기(100)를 들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식삽부(16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이식된 모종으로부터 이식기(100)를 제거하기 때문에 이식삽부(160)에 의한 모종의 뽑힘 현상을 방지하게 되고, 모종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식삽부(160)에는 상기 로드 부재(110)의 하부에 결합하되, 상기 이식삽부(160)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식되는 모종의 흐트러짐 및 손상을 방지하는 원형 단면의 모종 보호대(1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모종 보호대(170)는 채소류나 벼와 같은 잎사귀 또는 줄기의 크기가 비교적 큰 작물의 모종의 쓰러짐 및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상기 로드 부재(110)의 하부에 분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모종 이식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종 이식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작업자가 손잡이부(120)를 잡은 상태에서 모종이 이식될 이식혈의 위치에 이식삽(161, 162)의 끝단을 위치시키고, 이식삽(161, 162)의 배출구가 닫힌 상태에서 토양 속에 박은 다음, 개폐 조절부(130)를 당기게 되면, 연결 로드(140)가 상부로 움직이면서 로드 암(15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로드 암(150)이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163)가 이식삽(161, 162)의 상부를 잡아당겨 힌지(164)를 중심으로 이식삽(161, 162)을 개방시키게 되면, 모종 보호대(170)에 담긴 모종이 이식혈 내에 이식이 된다.
모종이 이식된 다음에는, 상기 개폐 조절부(130)를 당긴 상태에서 들어올리게 되면, 이식된 모종을 뽑거나 훼손하지 않으면서 상부로 빼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모종 이식기에 의하면, 작업자가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모종 이식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종을 이식한 후, 이식삽부가 열린 상태에서 상부로 빼낼 수 있는 구조로서, 모종의 뽑힘 현상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종 보호대를 구비함으로써, 모종 이식기에 모종을 공급하고 이식할 경우, 이식되는 모종의 흐트러짐과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중공의 로드 부재와;
    상기 로드 부재의 상부에 결합하고, 일단이 수평 방향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 절곡 부위에 힌지 결합하는 개폐 조절부와;
    상기 개폐 조절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로드 부재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 로드; 및
    상기 로드 부재의 하부에 결합하되, 상기 연결 로드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개폐 조절부의 조작에 의한 배출구 개폐를 통해 모종을 배출/이식하는 이식삽부;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일단에 상기 로드 부재와 연결되는 중공의 내부를 형성하는 물공급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삽부는 상기 로드 부재의 하부에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 로드의 타단이 결합하고, 상기 연결 로드의 작동에 의해 힌지 작동하는 로드 암과; 상기 로드 암의 작동에 의해 일정 각도로 배출구의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는 원추형의 이식삽; 및 상기 로드 암 및 이식삽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로드 암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이식삽이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이식기는 상기 로드 부재의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이식삽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이식되는 모종의 흐트러짐 및 손상을 방지하는 원형 단면의 모종 보호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KR2020070005142U 2007-03-29 2007-03-29 모종 이식기 KR200444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142U KR200444544Y1 (ko) 2007-03-29 2007-03-29 모종 이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142U KR200444544Y1 (ko) 2007-03-29 2007-03-29 모종 이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306U KR20080004306U (ko) 2008-10-02
KR200444544Y1 true KR200444544Y1 (ko) 2009-05-18

Family

ID=41326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142U KR200444544Y1 (ko) 2007-03-29 2007-03-29 모종 이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54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60490A (zh) * 2011-03-25 2011-08-24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水生植物栽种器
KR101329379B1 (ko) * 2011-07-05 2013-11-14 강동구 모종기
KR102088643B1 (ko) * 2019-06-25 2020-03-13 김태식 자동 모종이식기
KR102143725B1 (ko) * 2019-12-11 2020-08-11 한광식 모종이식기
KR20210023571A (ko) 2019-08-23 2021-03-04 전준영 복토 기능을 갖는 파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98Y1 (ko) * 2013-10-31 2014-04-30 이주환 모종 이식기
CN105850321A (zh) * 2016-06-02 2016-08-17 毕节市烟草公司威宁县分公司 一种集打孔、移栽及喷淋功能一体化的烟苗移栽器
CN109743935A (zh) * 2019-03-20 2019-05-14 中国农业科学院麻类研究所 一种手持式钵苗栽植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60490A (zh) * 2011-03-25 2011-08-24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水生植物栽种器
CN102160490B (zh) * 2011-03-25 2013-02-27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水生植物栽种器
KR101329379B1 (ko) * 2011-07-05 2013-11-14 강동구 모종기
KR102088643B1 (ko) * 2019-06-25 2020-03-13 김태식 자동 모종이식기
KR20210023571A (ko) 2019-08-23 2021-03-04 전준영 복토 기능을 갖는 파종기
KR102143725B1 (ko) * 2019-12-11 2020-08-11 한광식 모종이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306U (ko)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544Y1 (ko) 모종 이식기
KR20170064723A (ko) 한 손용 다중 모종 이식기
KR200434507Y1 (ko) 채소류 모종 이식기
KR200444545Y1 (ko) 멀티 파종 이식기
KR20200012313A (ko) 복토기능을 갖춘 한손용 모종 이식기
KR102276957B1 (ko) 파종기
CN107466201B (zh) 插秧机
JP5234444B1 (ja) 自然薯の生産方法
KR101936898B1 (ko) 포트 트레이 운반장치
KR102137579B1 (ko)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KR200472498Y1 (ko) 모종 이식기
US5438940A (en) Manual plant setting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plants
KR20210101445A (ko) 작업편의성을 증진시킨 다용도 파종기
KR20190094504A (ko) 비료 투입기
KR102322515B1 (ko) 반자동 모종파종기
KR101855462B1 (ko) 물공급이 가능한 고구마순 식재장치
KR200445928Y1 (ko) 고구마 모종 이식기
JP5207160B1 (ja) 自然薯の栽培装置
KR20140005788U (ko) 모종 이식기의 깊이 조절장치
KR200490557Y1 (ko) 모종 복토삽
KR102542575B1 (ko) 습도센서 부착형 고추 모종 이식기
CN109892089A (zh) 一种园艺花卉移栽工具
KR102047839B1 (ko) 뿌리 식물 재배용 베드 장치
KR200494828Y1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KR20210001298U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