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725B1 - 모종이식기 - Google Patents

모종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725B1
KR102143725B1 KR1020190166165A KR20190166165A KR102143725B1 KR 102143725 B1 KR102143725 B1 KR 102143725B1 KR 1020190166165 A KR1020190166165 A KR 1020190166165A KR 20190166165 A KR20190166165 A KR 20190166165A KR 102143725 B1 KR102143725 B1 KR 102143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shovels
support frame
pair
pressur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광식
Original Assignee
한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광식 filed Critical 한광식
Priority to KR1020190166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45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with piercing buc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6

Abstract

본 발명은 모종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지면에 모종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모종삽(20)(20')이 가압레버(31)를 움켜쥐었을 때 각각 여닫이문처럼 좌우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함으로서 모종 식재 후 모종삽(20)(20')을 높이 들어 올리지 않더라고 식재된 모종으로부터 모종삽(20)(20')을 쉽게 이탈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모종이식작업에 따른 동선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모종이식 작업에도 피로를 줄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종이식기{Seedling removing machine}
본 발명은 모종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모종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모종삽이 가압레버를 움켜쥐었을 때 각각 여닫이문처럼 좌우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함으로서, 모종 식재 후 모종의 키 이상으로 모종삽을 들어 올리지 않더라고 식재된 모종으로부터 모종삽을 쉽게 이탈시킬 수 있게 하여 모종이식에 따른 동선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장시간 작업에도 피로를 크게 줄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각종 작물을 재배할 때는, 작물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하여 먼저 포트 등에 파종을 하고, 일정한 크기로 성장한 모종을 밭에 옮겨 심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을 모종 이식 작업이라 하며, 이때 사용되는 기구가 모종 이식기이다.
이러한 모종 이식기는 작업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모종이식 작업을 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모종이식에 따른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으로, 농촌이 현대화되면서 트랙터나 경운기에 연결 작업할 수 있는 고가의 기계적 장치를 비롯한 여러 가지 장비 또는 기구가 개발되어 있어 대량 모종 이식 작업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트랙터나 경운기에 연결 사용하는 모종이식기는 넓은 면적을 경작하는 규모가 큰 농가에서는 사용이 용이하지만, 규모가 작은 소규모 농가에서는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소규모 농가의 경우에는 여건 상 상기와 같은 고가의 작업기를 구입할 수 없고, 또 트랙터나 경운기로 작업할 공간도 되지 않아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을 통해 모종 이식 작업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경우가 많다.
한편, 위와 같이 수작업을 통해 모종 이식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는, 삽이나 괭이, 호미 등을 이용하여 모종홈, 즉 모종이 이식될 이식혈을 먼저 파낸 후, 그 이식혈 내에 모종을 넣은 뒤, 그 주위를 배토하여 이식 작업을 완료하게 되는데, 이 경우 작업자가 허리를 굽힘과 동시에 무릎을 쭈그린 상태로 연속 반복적으로 작업할 수밖에 없게 되므로 쉬 피로를 느낄 수밖에 없고, 또한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며, 더 나아가 이식혈 내에 모종을 파묻는 정도가 작업자마다 달라서 그 깊이가 불규칙하게 매설되거나, 또는 충분한 깊이로 이식되지 못하여 모종이 죽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간과할 수 없었다.
따라서, 각종 채소 등의 모종을 보다 더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이식작업 할 수 있는 수동식 모종 이식기가 요구되었으며, 그 요구에 부응하여 실용신안등록 제0444545호(2009.05.12.등록) 및 특허공개 공개번호 제 10-2017-0064723(2017.06.12. 공개)가 개발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 출원공개 및 등록 발명은 다음과 같이 큰 문제점이 따랐다.
즉, 상기한 선 출원공개 및 등록된 발명들은 모종이식기를 운반할 수 있도록 된 손잡이와 가동모종삽을 작동시키는 레버가 모종이식기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어, 손잡이를 잡은 손으로 레버를 함께 움켜쥐면 레버와 연결된 제1 및 제2견인철선과 제1아암 및 제2아암, 그리고 제3견인철선이 연동하여 가동모종삽을 벌리게 되어 지면에 모종홈을 형성하게 되고, 움켜쥐었던 레버에서 가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고정모종삽과 가동모종삽의 힌지부에 장착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모종삽이 고정모종삽에 안정적으로 밀착되게 되는데, 다수의 모종홈을 형성하기 위해 손잡이와 레버를 움켜쥐는 작업을 반복하다 보면 오래 작업하지 않더라도 손아귀에 힘이 빠지고 쉬 피로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따른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모종이식기는 모종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모종식재 후 모종삽을 들어 올려야 하는데, 이때 모종삽은 최소한 모종의 키보다 높이 들어 올려야만 하기 때문에 상당한 높이까지 들어 올려야만 하고, 따라서 모종이식에 따른 동선이 상당이 커서 오랜 시간 작업하지 않더라도 쉬 피로해지면서 작업효율도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1. 실용신안등록 제0444545호(2009.05.12. 등록) 2.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064723(2017.06.12.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모종이식기에 대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맞물린 상태에서 두둑에 모종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모종삽을 마치 여닫이문을 열듯이 후미 힌지부를 기준으로 선단부분이 좌우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서 모종이식 후 한 쌍의 모종삽을 모종의 키 높이이상 들지 않더라도 모종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모종이식 작업에 따른 동선을 최소화하여 작업 안정성과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주대(10)의 정면 하단부에 ㄴ형 고정프레임(11)을 장착하고, 상기 고정프레임(11)의 하측에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말굽 모양의 지지프레임(12)을 지주대(10)와 직각으로 설치하며, 고정프레임(11)과 지지프레임(12) 사이에 선단에 고리(24)를 가진 연장편(21)을 구비한 한 쌍의 모종삽(20)(20') 후미를 힌지(22)(22')로 유설함과 동시에 스프링(23)에 의해 한 쌍의 모종삽(20)(20')이 항상 오물어진 상태를 유지하게끔 구성하고, 상기 지주대(10)의 상부에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관절편(40)을 설치함과 동시에 일 측에 손잡이(30) 및 상기 손잡이(30) 상측에
Figure 112019503979186-pat00001
형의 가압레버(31)를 설치하여 상기 가압레버(31) 상단과 관절편(40) 상단을 링크(41)로 연결시키며, 상기 관절편(40) 하단과 모종삽(20)(20')에 설치된 고리(24)에 와이어(50)(50')를 연결하되, 상기 와이어(50)(50')가 지지프레임(12)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3)(13')와 지주대(10) 하단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4)(14')에 의해 안정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연결시킴으로서 손잡이(30)와 함께 가압레버(31)를 움켜쥐면 한 쌍의 모종삽(20)(20')이 여닫이문처럼 개방되면서 모종을 모종홈에 이식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모종이식 후 모종 이식기(100)를 높이 들어 올리지 않더라도 모종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모종삽(20)(20')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30) 상측에 설치된 가압레버(31')는 힌지(h) 바로 앞쪽에 와이어(50)(50') 상단을 연결함으로서 지렛대의 원리가 그대로 적용되게 하고, 더불어 링크(41) 및 관절편(40) 또한 불필요하게 하여 부품절감으로 인한 원가절감효과도 극대화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종이식기(100)는 스프링(23)에 의해 오물어진 한 쌍의 모종삽(20)(20')을 로터리친 두둑에 찌름으로써 모종홈을 형성하고, 이어서 오물어져 있는 모종삽(20)(20')에 모종을 투입시킨 다음 손잡이(2)와 함께 가압레버(31)를 움켜쥐면 링크(41)와 관절편(40), 그리고 와이어(50)(50')가 당겨지면서 한 쌍의 모종삽(20)(20')을 벌리게 되어 모종홈에 안정적으로 모종이식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모종이식 후에는 모종이식기(100)를 그대로 들어 을리되 모종의 키에 관계없이 한 쌍의 모종삽(20)(20')이 지면 위로 들어 올려 지면 모종삽(20)(20')이 개방된 반대방향으로 모종이식기(100)를 당겨 모종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모종이식 작업에 따른 동선이 최소화되어 오랜 시간 모종이식 작업을 하더라도 종래 모종이식기로 작업할 때에 비해 피로감이 훨씬 적고, 또 작업에 따른 효율이 극대화되어 안정성 및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르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사시도로서 모종삽이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측면예시도.
본 발명의 모종이식기(100)는 모종홈을 형성하기 위해 가압레버(31)를 가압할 때 살짝 가압하더라도 한 쌍의 모종삽(20,20')이 여닫이문이 열리듯이 힘차게 벌어지면서 지면에 모종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렛대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모종홈의 성형 및 모종이식이 지극히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또, 상기 모종삽(20)(20')을 여닫이문을 열듯이 개방할 수 있게 함으로서 모종이식 과정에서 모종이식기(100)를 들어 올려 모종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모종의 키가 크더라도 높이 들어 올리지 않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분리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 동선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함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종이식기(100)는, 지주대(10)의 상부에는 손잡이(30)와 함께 가압레버(31)가 설치되어 있고, 지주대(10) 하부에는 한 쌍의 모종삽(20)(20')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모종삽(20)(20')은 상단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단이 좌우로 벌어지게 한 종래의 모종삽개방구조와는 달리 모종삽(20)(20')의 선단이 후미를 기준으로 마치 여닫이문이 열리듯이 개방되게 함으로서 이식한 모종의 키가 크거나 작음에 관계없이 모종홈으로부터 이탈될 정도만 모종이식기를 들어 올려 옆으로 이동시키면 되기 때문에 모종이식작업에 따른 동선이 종래 모종이식기에 비해 현저히 작고, 이에 따라 오랜 시간 반복작업을 하더라도 힘이 적게 들고 피로 또한 적어지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한 쌍의 모종삽(20)(20')을 여닫이 식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주대(10)의 정면 하단부에 ㄴ형 고정프레임(11)을 장착하고, 상기 고정프레임(11)의 하측에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여 말굽 모양의 지지프레임(12)을 지주대(10)와 직각이 되도록 수평으로 설치하며, 상기 고정프레임(11)과 지지프레임(12) 사이에 모종삽(20)(20')의 후미를 힌지(22)(22')로 유설하였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면 소정위치에는 선단이 모종삽(20)(20')과 연결된 와이어(50)(50')를 수평으로 안내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롤러(13)(13')를 대향 설치하고, 지주대(10)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롤러(13)(13')를 거쳐 안내되는 와이어(50)(50')를 지주대(10) 상부에 설치한 관절편(40)에 연결되게 함에 있어 와이어(50)(50')가 직각방향으로 원활하게 꺾여 힘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쌍의 가이드롤러(14)(14')를 대향 설치하였다.
또한 상기 모종삽(20)(20') 상부 선단은 연장편(21)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연장편(21)에 와이어(50)(50')의 선단이 연결되는 고리(24)가 장착되고, 힌지(22)(22')에 스프링(23)을 장착하여 상기 모종삽(20)(20')이 항상 맞붙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가압레버(31)는 손잡이(30)의 상부에 위치하게끔 구성하되
Figure 112019503979186-pat00002
형으로 형성하여 관절편(40)과 가압레버(31) 상단을 짧은 링크(41)로 연결하고, 상기 관절편(40)의 하단에는 모종삽(20)(20')의 선단 고리(24)와 가이드롤러(13)(13') 및 가이드롤러(14)(14')를 거치는 와이어(50)(50')의 상단이 연결되게 함으로서 지렛대의 원리 그대로 가압레버(31)을 가볍게 누르더라도 링크(41)와 관절편(40)에 의해 와이어(50)(50')가 동시에 당겨지면서 모종삽(20)(20')의 선단부분이 여닫이문처럼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종이식기(100)를 이용하여 모종이식을 하고자 할 때는, 먼저 모종이식기(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맞물려 있는 모종삽(20)(20')을 두둑에 소정의 깊이로 찌른 뒤(이때 모종홈이 형성됨), 모종삽(20(20') 안에 모종을 투입하고, 손잡이(30)를 잡은 상태에서 가압레버(31)를 누르게 되면, 가압레버(31)에 연결된 링크(41)가 관절편(40)을 당기게 됨으로서 선단이 모종삽(20)(20')의 고리(24)에 연결된 와이어(50)(50')가 가이드롤러(13)(13') 및 가이드롤러(14)(14')를 통해 안정적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모종삽(20)(20')의 선단이 스프링(23)의 힘을 이기고 벌어지면서 모종삽(20)(20')에 투입되어 있던 모종을 자연스럽게 모종홈으로 이식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지면 위로 모종이식기(100)를 들어 올리되 벌어져 있는 상기 모종삽(20)(20')의 하단이 지면에서 떨어지는 순간까지만 들어 올린 뒤 모종이 있는 반대 위치로 이동시켜 주게 되면 모종이 전혀 다치거나 손상되지 않고 안전하게 이식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모종의 키 이상으로 모종삽을 높이 들어 올려주어야만 했던 종래 모종 이식기와는 달리 본 발명의 모종이식기(100)는 모종이식 작업에 따른 동선이 최소화되어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힘도 덜 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지주대(10)의 전방에 모종안내관(60)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종을 더욱 안정적이면서도 정확하게 모종삽(20)(20')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주대(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파이프를 이용하여도 되지만, 이외에도 원형파이프나 환봉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모종삽(20)(20')을 개방시킬 때 인위적인 방법이 아닌 모터 등을 이용하여 전동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6은, 상기한 링크(41)와 관절편(40)이 없어도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모종삽(20)(20')을 가볍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는 손잡이(30) 상측에 설치되는 가압레버(31')의 힌지(h) 바로 앞쪽에 와이어(50)(50') 상단을 직결시킴으로서 가압레버(31')를 가압할 때 지렛대의 원리가 그대로 작용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가압레버(31')는 힌지(h)를 기점으로, 힌지(h)에서 와이어(50)(50')가 연결된 부분까지의 거리는 매우 짧게 형성되지만 자루부분(31")은 길게 형성됨으로서 가압레버(31')의 자루부분(31")을 가볍게 가압하더라도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모종삽(20)(20')이 힘차게 벌어지면서 모종홈의 형성 및 모종이식이 이루어지게 하였다는 것이며, 나아가 링크(41) 및 관절편(40) 또한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부품절감효과 또한 크도록 하였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그 권리범위가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며, 따라서 발명의 목적과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지주대 11: 고정프레임 12 : 지지프레임
13, 13', 14, 14' : 가이드롤러 20, 20' : 모종삽
21 : 연장편 22, 22' : 힌지 23 : 스프링
24 : 고리 30 : 손잡이 31, 31' : 가압레버
31" : 자루부분 40 : 관절편 41 : 링크
50, 50' : 와이어 60 : 모종안내관 100 : 모종이식기

Claims (2)

  1. 지주대(10)의 정면 하단부에 구비된 ㄴ형 고정프레임(11), 상기 고정프레임(11)의 하측에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지주대(10)와 직각으로 설치된 말굽 모양의 지지프레임(12), 상기 고정프레임(11)과 지지프레임(12) 사이에 선단에 고리(24)를 가진 연장편(21)을 구비한 한 쌍의 모종삽(20)(20') 후미를 힌지(22)(22')로 유설함과 동시에 스프링(23)에 의해 한 쌍의 모종삽(20)(20')이 항상 오물어진 상태를 유지하게끔 설치한 구성과, 상기 지주대(10)의 상부에는 관절편(40)을 설치함과 동시에 일 측에 손잡이(30) 및 상기 손잡이(30) 상측에
    Figure 112020500881255-pat00003
    형의 가압레버(31)를 설치하여 상기 가압레버(31) 상단과 관절편(40) 상단을 링크(41)로 연결시키며, 상기 관절편(40) 하단과 모종삽(20)(20')에 구비된 고리(24)에 와이어(50)(50')를 연결하되, 상기 와이어(50)(50')가 지지프레임(12)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3)(13')와 지주대(10) 하단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4)(14')에 의해 안정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연결시킴으로서 손잡이(30)와 함께 가압레버(31)를 움켜쥐면 한 쌍의 모종삽(20)(20')이 여닫이문처럼 개방되면서 모종홈을 형성할 수 있게 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기.
  2. 삭제
KR1020190166165A 2019-12-11 2019-12-11 모종이식기 KR102143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165A KR102143725B1 (ko) 2019-12-11 2019-12-11 모종이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165A KR102143725B1 (ko) 2019-12-11 2019-12-11 모종이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725B1 true KR102143725B1 (ko) 2020-08-11

Family

ID=7204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165A KR102143725B1 (ko) 2019-12-11 2019-12-11 모종이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7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5318A (zh) * 2020-12-23 2021-04-16 塔里木大学 一种番茄基质栽培开槽回填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545B1 (ko) 2002-08-28 2004-08-16 이명규 콘크리트의 기체확산계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200412938Y1 (ko) * 2006-01-20 2006-04-05 이인용 모종삽
KR200444544Y1 (ko) * 2007-03-29 2009-05-18 박성순 모종 이식기
KR101742233B1 (ko) * 2015-03-18 2017-05-31 김동근 파종기
KR20170064723A (ko) 2015-12-02 2017-06-12 최기봉 한 손용 다중 모종 이식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545B1 (ko) 2002-08-28 2004-08-16 이명규 콘크리트의 기체확산계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200412938Y1 (ko) * 2006-01-20 2006-04-05 이인용 모종삽
KR200444544Y1 (ko) * 2007-03-29 2009-05-18 박성순 모종 이식기
KR101742233B1 (ko) * 2015-03-18 2017-05-31 김동근 파종기
KR20170064723A (ko) 2015-12-02 2017-06-12 최기봉 한 손용 다중 모종 이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5318A (zh) * 2020-12-23 2021-04-16 塔里木大学 一种番茄基质栽培开槽回填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447B1 (en) Hand actuated soil displacement and planting device
KR102143725B1 (ko) 모종이식기
CN107466201B (zh) 插秧机
CN109121602B (zh) 一种护根式小植株取出器
CN109362286A (zh) 一种农用铲
US3463244A (en) Plant puller
CN208657326U (zh) 一种甘薯种植用的快速栽苗装置
KR102563196B1 (ko) 모종 이식기
CN211531916U (zh) 一种苗木扦插工具
KR102272104B1 (ko) 모종 이식기
KR102321035B1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KR102321034B1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KR102272102B1 (ko) 모종 이식기
KR102588677B1 (ko) 수동식 모종 이식기
CN212970895U (zh) 一种打孔栽苗器
CN2179691Y (zh) 多用途拔梗器
KR200494828Y1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CN206650999U (zh) 手动钳式玉米间苗器
KR20220120393A (ko) 파종 겸용 모종 이식장치
CN215872910U (zh) 一种园林工程用移植装置
CN212138345U (zh) 一种容器苗移栽装置
CN213847553U (zh) 一种农耕用插秧机
CN112335350B (zh) 拔杆器
CN215935547U (zh) 一种农业种植用育苗种植装置
CN218388663U (zh) 一种辣椒移栽用的挖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