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102B1 - 모종 이식기 - Google Patents

모종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102B1
KR102272102B1 KR1020200190081A KR20200190081A KR102272102B1 KR 102272102 B1 KR102272102 B1 KR 102272102B1 KR 1020200190081 A KR1020200190081 A KR 1020200190081A KR 20200190081 A KR20200190081 A KR 20200190081A KR 102272102 B1 KR102272102 B1 KR 102272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shovel
fixed
movable
transpla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90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경
김성림
Original Assignee
김유경
김성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경, 김성림 filed Critical 김유경
Priority to KR1020200190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4Single-grain seeders with or without s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02Dibble see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종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고정삽(11a)과 가동삽(11b)으로 이루어진 모종삽(11)을 연결바(12)의 양측부에 배치하되, 고정삽(11a)의 등부분 상단을 연결바(12)에 일체로 연결 장착시키고, 가동삽(11b)의 상단부에는 모종이식홈 성형작업을 서서 할 수 있는 길이로 된 레버(13)(13')를 장착하되, 상기 연결바(12)는 대소의 관체(12a)(12b)로 구성되어 안테나식으로 삽입 및 인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모종삽(11)의 간격조절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하며, 좌우레버(13)(13') 간격은 하단 간격보다 상단의 손잡이(13a)간격이 좁게끔 만곡 또는 절곡 형성하여 작업자가 양손으로 좌우레버(13)(13') 상단의 손잡이(13a)를 잡고 벌리거나 오므리면서 모종홈 성형작업을 할 때 최소의 동선이 유지될 수 있게 함으로서 불필요한 힘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게 하여 모종이식 작업에 따른 인력과 시간절감, 그리고 작업성 극대화를 이룰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볼 발명은 모종홈(2)을 형성할 때 1회작업시 2개의 모종홈(2)이 동시에 형성되게 되어 모종홈 형성에 따른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작업인력과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종 이식기{Seeding removing machine}
본 발명은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1회 작업에 2개의 모종홀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고, 모종의 종류에 따라 모종홈의 간격 조절도 손쉽게 할 수 있게 함으로서 모종이식 작업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각종 작물을 재배할 때는, 작물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하여 먼저 포트 등에 파종을 하고, 일정한 크기로 성장한 모종을 밭에 옮겨 심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을 모종 이식 작업이라 하며, 이때 사용되는 기구가 모종 이식기이다.
이러한 모종 이식기는 작업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모종이식 작업을 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모종이식에 따른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으로, 농촌이 현대화되면서 트랙터나 경운기에 연결 작업할 수 있는 고가의 기계적 장치를 비롯한 여러가지 장비 또는 기구가 개발되어 있어 대량 모종 이식 작업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트랙터나 경운기에 연결 사용하는 모종이식기는 넓은 면적을 경작하는 규모가 큰 농가에서는 사용이 용이하지만, 규모가 작은 소규모 농가에서는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소규모 농가의 경우에는 여건 상 상기와 같은 고가의 작업기를 구입할 수 없고, 또 트랙터나 경운기로 작업할 공간도 되지 않아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을 통해 모종 이식 작업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경우가 많다.
한편, 위와 같이 수작업을 통해 모종 이식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는, 삽이나 괭이, 호미 등을 이용하여 모종홈, 즉 모종이 이식될 이식혈을 먼저 파낸 후, 그 이식혈 내에 모종을 넣은 뒤, 그 주위를 배토하여 이식 작업을 완료하게 되는데, 이 경우 작업자가 허리를 굽힘과 동시에 무릎을 쭈그린 상태로 연속 반복적으로 작업할 수밖에 없게 되므로 쉬 피로를 느낄 수밖에 없고, 또한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며, 더 나아가 이식혈 내에 모종을 파묻는 정도가 작업자마다 달라서 그 깊이가 불규칙하게 매설되거나, 또는 충분한 깊이로 이식되지 못하여 모종이 죽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간과할 수 없었다.
따라서, 각종 채소 등의 모종을 보다 더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이식작업 할 수 있는 수동식 모종 이식기가 요구되었으며, 그 요구에 부응하여 실용신안등록 제0444545호(2009.05.12.등록) 및 특허공개 공개번호 제10-2017-0064723(2017.06.12. 공개)가 개발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 출원공개 및 등록 발명은 1회 작동에 하나의 모종홈을 형성할 수밖에 없어 모종 이식작업시 모종홈 형성에 따른 시간과 인력이 과다 소요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1. 실용신안등록 제0444545호(2009.05.12.) 특허문헌 002.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064723(2017.06.12.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특히 고정삽과 가동삽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모종삽을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 배치하고, 상기 한 쌍의 모종삽을 좌우레버에 의해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1회 작업에 2개의 모종홀이 동시에 형성되게 하여 모종이식작업에 따른 작업성 및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좌우측에 구비된 모종삽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작물에 따라 적절하게 모종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하려는 데도 목적이 있다.
또, 상기 좌우 레버는 하단간격보다 상단의 손잡이간격이 좁도록 형성함으로서 작업자가 잡고 벌리거나 오므려 작업함에 있어서 최소의 동선이 유지되게 하려는 데도 목적이 있다.
또, 상기 가동삽 상단에 파이프형태의 모종안내관을 장착하여 모종홀을 형성한 뒤 모종 이식을 할 때 동선이 최소화되게 함으로서 힘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게 함에도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모종이식기(100)는,
고정삽(11a)과 가동삽(11b)으로 이루어진 모종삽(11)을 연결바(12)의 양측부에 배치하되, 고정삽(11a)의 등부분 상단을 연결바(12)에 일체로 연결 장착시키고, 가동삽(11b)의 상단부에는 모종이식홈 성형작업을 서서 할 수 있는 길이로 된 레버(13)(13')를 장착하되, 상기 연결바(12)는 대소의 관체(12a)(12b)로 구성되어 안테나식으로 삽입 및 인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모종삽(11)의 간격조절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하며, 좌우레버(13)(13') 간격은 하단간격보다 상단의 손잡이(13a) 간격이 좁게끔 만곡 또는 절곡 형성하여 작업자가 양 손으로 좌우레버(13)(13') 상단의 손잡이(13a)를 잡고 벌리거나 오므리면서 모종홈 성형작업을 할 때 최소의 동선이 유지될 수 있게 함으로서 불필요한 힘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게 하여 모종이식 작업에 따른 인력과 시간절감, 그리고 작업성 극대화를 이룰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종삽(11)은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지 않을 때 고정삽(11a)에 가동삽(11b)이 항상 닫쳐 있도록 고정삽(11a)과 가동삽(11b)의 상측 힌지부(h)(h')에 토션스프링(14)을 더 장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삽(11a) 상측에 모종안내관(15)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양측에 고정삽(11a)과 가동삽(11b)으로 이루어진 모종삽(11)이 구비되고, 상기 가동삽(11b)에 서서 작업할 수 있는 길이로 된 레버(13)(13')를 장착한 것이어서 모종홈(2)을 형성할 때 1회작업시 2개의 모종홈(2)이 동시에 형성되게 되어 모종홈 형성에 따른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작업인력과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따른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모종이식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모종이식기의 정면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모종홈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4는 모종삽에 스프링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의 예시도.
본 발명은 모종이식홈 작업시 1회 작업에 2개의 모종이식홈이 동시에 형성되게 함으로서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고, 모종의 종류, 즉 작물의 종류에 따라 원활하게 모종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모종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1은 사시도이고, 도2는 정면예시도이며, 도3은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고, 도4는 모종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1~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삽(11a)과 가동삽(11b)이 힌지(h)로 연결된 모종삽(11)을 연결바(12)의 양측단부에 장착하되, 상기 연결바(12)의 양 단부에는 고정삽(11a)을 연결 장착하고, 가동삽(11b)에는 레버(13)(13')를 장착하여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양손으로 상기 레버(13)(13') 상단의 손잡이(13a)를 잡고 벌린 상태에서 지면을 가압하면 가동삽(11b)이 고정삽(11a)에 맞닿아 원추형이 되면서 지면을 파고 들어가 소정의 깊이로 2개의 원추형 홈을 형성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손잡이(13a)를 잡고 레버(13)(13')를 오므리면 가동삽(11b)이 힌지(h)를 중심으로 외곽방향으로 벌어지면서 2개의 모종홈(2)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레버(13)(13')를 벌려 2개의 모종을 모종삽(1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다시 레버(13)(13')를 오므리면 모종홈(2)이 형성됨과 동시에 모종삽(11)에 안착되어 있던 모종이 모종홈(2)에 놓이게 되며, 이 상태에서 모종이식기(100)를 들어 올린 뒤 배토하면 모종의 이식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레버는 연결바(12)의 양측에 구비된 모종삽(11)의 가동삽(11b)에 장착되는데다가 상기 모종삽(11)이 원추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가 일직선 형태로 될 경우에는 레버 상단의 손잡이(13a)간격이 상당히 벌어지게 되어 양손으로 잡고 모종홈 작업을 하기에 힘이 많이 들고 불편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레버(13)(13')를 다양한 형태로 만곡 또는 절곡시켜 손잡이(13a)가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게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고정삽(11a)과 가동삽(11b)이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14)에 의해 작용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가동삽(11b)이 항상 고정삽(11a)에 밀착되려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레버(13)(13')를 인위적으로 벌려줄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오므릴 때만 힘을 가하면 되기 때문에 그만큼 힘의 손실을 예방하면서 작업이 편리하다.
또, 본 발명은 연결바(12)를 대소의 관체(12a)(12b)로 구성하여 안테나식으로 출몰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작물모종에 따라 모종홈(2)의 간격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삽(11a) 상단에 원형 파이프 형태의 모종안내관(15)을 더 구비하게 되면 작업자가 모종홈은 물론 모종이식 작업까지 서있는 자세에서 그대로 작업할 수 있어, 모종이식을 위해 허리를 구부리거나 쪼그려 앉게 되는 불편함을 예방 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동선이 최소화되어 노동력 절감과 작업피로도의 최소화 및 생산성 증대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미 설명부호 16은 나비볼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종이식기는 그 권리범위가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발명의 목적과 사상의 범위안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는 부분도 포함하여 해석하는 것이 당연하다 할 것이다.
11 : 모종삽 11a : 고정삽 11b : 가동삽
12 : 연결바 13,13' : 레버 13a : 손잡이
14 : 토션스프링 15 : 모종안내관 100 : 모종이식기
h, h' : 힌지부

Claims (3)

  1. 모종삽(11)은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지 않을 때 고정삽(11a)에 가동삽(11b)이 항상 닫쳐 있도록 고정삽(11a)과 가동삽(11b)의 상측 힌지부(h)(h')에 토션스프링(14)을 장착하고, 고정삽(11a) 상측에 모종안내관(15)을 구비하며, 상기 모종삽(11)을 연결바(12)의 양측부에 배치하되, 고정삽(11a)의 등부분 상단을 연결바(12)에 일체로 연결 장착시키고, 가동삽(11b)의 상단부에는 모종이식홈 성형작업을 서서 할 수 있는 길이로 된 레버(13)(13')를 장착하되, 상기 연결바(12)는 대소의 관체(12a)(12b)로 구성되어 안테나식으로 삽입 또는 인출시켜 조절한 뒤 나비볼트(16)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모종삽(11)의 간격조절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하며, 좌우레버(13)(13') 간격은 하단간격보다 상단의 손잡이(13a)간격이 좁게끔 만곡 또는 절곡 형성하여 작업자가 양 손으로 좌우레버(13)(13') 상단의 손잡이(13a)를 잡고 벌리거나 오므리면서 모종홈 성형작업을 할 때 최소의 동선이 유지될 수 있게 함으로서 불필요한 힘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게 하여 모종이식 작업에 따른 인력과 시간절감, 그리고 작업성 극대화를 이룰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기.
  2. 삭제
  3. 삭제
KR1020200190081A 2020-12-31 2020-12-31 모종 이식기 KR102272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90081A KR102272102B1 (ko) 2020-12-31 2020-12-31 모종 이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90081A KR102272102B1 (ko) 2020-12-31 2020-12-31 모종 이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102B1 true KR102272102B1 (ko) 2021-07-01

Family

ID=7685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90081A KR102272102B1 (ko) 2020-12-31 2020-12-31 모종 이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1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545Y1 (ko) 2007-03-29 2009-05-18 박성순 멀티 파종 이식기
KR200472520Y1 (ko) * 2013-04-22 2014-05-13 장병진 모종 이식기
KR20170064723A (ko) 2015-12-02 2017-06-12 최기봉 한 손용 다중 모종 이식기
KR102069798B1 (ko) * 2017-10-16 2020-01-2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2열 이식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545Y1 (ko) 2007-03-29 2009-05-18 박성순 멀티 파종 이식기
KR200472520Y1 (ko) * 2013-04-22 2014-05-13 장병진 모종 이식기
KR20170064723A (ko) 2015-12-02 2017-06-12 최기봉 한 손용 다중 모종 이식기
KR102069798B1 (ko) * 2017-10-16 2020-01-2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2열 이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06594B (zh) 一种山地简易烟苗移栽器
US7819447B1 (en) Hand actuated soil displacement and planting device
CN107466201B (zh) 插秧机
KR102272102B1 (ko) 모종 이식기
KR200444545Y1 (ko) 멀티 파종 이식기
CN105850583A (zh) 一种插板式育苗装置
CN109362286A (zh) 一种农用铲
KR102143725B1 (ko) 모종이식기
KR102272104B1 (ko) 모종 이식기
KR102563196B1 (ko) 모종 이식기
KR102321034B1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KR102321035B1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KR20180022360A (ko) 밭작물 모종기
KR102588677B1 (ko) 수동식 모종 이식기
CN210226147U (zh) 一种多功能烟株简易移栽开孔装置
KR20220120393A (ko) 파종 겸용 모종 이식장치
KR200494828Y1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CN210579998U (zh) 一种红薯苗平栽器
CN214507932U (zh) 幼苗移栽装置
CN205727279U (zh) 一种插板式育苗装置
CN214257247U (zh) 一种苗木扦插器
CN205408529U (zh) 一种牧草幼苗移栽器
CN216314116U (zh) 一种灌木栽植装置
CN215872910U (zh) 一种园林工程用移植装置
JP6781354B1 (ja) 苗定植用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