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035B1 - 수동식 모종이식기 - Google Patents

수동식 모종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035B1
KR102321035B1 KR1020190143017A KR20190143017A KR102321035B1 KR 102321035 B1 KR102321035 B1 KR 102321035B1 KR 1020190143017 A KR1020190143017 A KR 1020190143017A KR 20190143017 A KR20190143017 A KR 20190143017A KR 102321035 B1 KR102321035 B1 KR 102321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traction wire
shovel
lev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552A (ko
Inventor
한광식
Original Assignee
한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광식 filed Critical 한광식
Priority to KR1020190143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0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5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식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모종홈을 형성하는 성형구 중, 가동 모종삽의 작동을 지렛대원리를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레버 또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오랜 시간 반복 작업을 하더라도 힘이 덜 들어 장시간 작업에도 피로감이 훨씬 적고 이에 따라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동식 모종 이식기{Seedling removing machine}
본 발명은 수동식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하단에 고정모종삽과 가동모종삽으로 구성된 모종홈 성형구에 있어서, 모종홈을 형성하기 위해 가동 모종삽을 벌릴 때 지렛대 원리로 작동레버를 가볍게 눌러 벌릴 수 있게 함으로서 모종홈을 힘들이지 않고 형성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각종 작물을 재배할 때는, 작물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하여 먼저 포트 등에 파종을 하고, 일정한 크기로 성장한 모종을 밭에 옮겨 심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을 모종 이식 작업이라 하며, 이때 사용되는 기구가 모종 이식기이다.
이러한 모종 이식기는 작업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모종이식 작업을 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모종이식에 따른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으로, 농촌이 현대화되면서 트랙터나 경운기에 연결 작업할 수 있는 고가의 기계적 장치를 비롯한 여러가지 장비 또는 기구가 개발되어 있어 대량 모종 이식 작업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트랙터나 경운기에 연결 사용하는 모종이식기는 넓은 면적을 경작하는 규모가 큰 농가에서는 사용이 용이하지만, 규모가 작은 소규모 농가에서는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소규모 농가의 경우에는 여건 상 상기와 같은 고가의 작업기를 구입할 수 없고, 또 트랙터나 경운기로 작업할 공간도 되지 않아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을 통해 모종 이식 작업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경우가 많다.
한편, 위와 같이 수작업을 통해 모종 이식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는, 삽이나 괭이, 호미 등을 이용하여 모종홈, 즉 모종이 이식될 이식혈을 먼저 파낸 후, 그 이식혈 내에 모종을 넣은 뒤, 그 주위를 배토하여 이식 작업을 완료하게 되는데, 이 경우 작업자가 허리를 굽힘과 동시에 무릎을 쭈그린 상태로 연속 반복적으로 작업할 수밖에 없게 되므로 쉬 피로를 느낄 수밖에 없고, 또한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며, 더 나아가 이식혈 내에 모종을 파묻는 정도가 작업자마다 달라서 그 깊이가 불규칙하게 매설되거나, 또는 충분한 깊이로 이식되지 못하여 모종이 죽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간과할 수 없었다.
따라서, 각종 채소 등의 모종을 보다 더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이식작업할 수 있는 수동식 모종 이식기가 요구되었으며, 그 요구에 부응하여 실용신안등록 제0444545호(2009.05.12.등록) 및 특허공개 공개번호 제10-2017-0064723(2017.06.12. 공개)가 개발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 출원공개 및 등록 발명은 다음과 같이 큰 문제점이 따랐다.
즉, 상기한 선 출원공개 및 등록된 발명들은 모종이식기를 운반할 수 있도록 된 손잡이와 가동모종삽을 작동시키는 레버가 모종이식기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어, 손잡이를 잡은 손으로 레버를 함께 움켜쥐면 레버와 연결된 제1 및 제2견인철선과 제1아암 및 제2아암, 그리고 제3견인철선이 연동하여 가동모종삽을 벌리게 되어 지면에 모종홈을 형성하게 되고, 움켜쥐었던 레버에서 가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고정모종삽과 가동모종삽의 힌지부에 장착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모종삽이 고정모종삽에 안정적으로 밀착되게 되는데, 다수의 모종홈을 형성하기 위해 손잡이와 레버를 움켜쥐는 작업을 반복하다 보면 오래 작업하지 않더라도 손아귀에 힘이 빠지고 쉬 피로해지는 둥의 문제점이 따른다는 것이다.
1. 실용신안등록 제0444545호(2009.05.12. 등록) 2.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064723(2017.06.12.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수동식 모종 이식기에 대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모종홈을 형성하는 성형구에 있어서, 가동모종삽을 개방시켜 모종홈을 형성할 때 작동레버를 누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할 수 있게 함으로서, 모종홈 성형 작업을 오랜 시간 반복하더라도 힘이 덜 들어 피로감이 훨씬 적고 이에 따라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모종이식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하단에 고정모종삽(1b)과 가동모종삽(1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모종삽(1b)과 가동모종삽(1a)의 상측 연결부 힌지(h)에 항상 오므러지는 방향으로 작용하게끔 스프링(s)을 장착한 모종홈성형구(1)와,
상기 고정모종삽(1b) 후면 중앙부에 조립되며 상단 일 측에 손잡이(2)가 구비된 지주대(3)와,
상기 지주대(3)에 연결 고정됨과 동시에 모종홈성형구(1) 상부에 위치되게끔 구성한 파이프 형태의 모종 가이드(4)와,
상기 지주대(3)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링크아암(55) 선단에 가동모종삽(1a)을 작동시키는 제3견인철선(53)과, 제2링크아암(55)의 상단에 구비된 제1견인철선(51)과 제1링크아암(54), 제2견인철선(52), 그리고 제1견인철선(51) 상단에 연결 구성된 가동모종삽 작동레버(5)로 이루어진 수동식 모종이식기(100)에 있어서,
가동모종삽(1a)의 상단에 제3견인철선(53)의 선단이 연결되도록 상하 다수의 구멍(61)을 형성하여서 된 연장레버(6)을 더 설치하고, 제2링크아암(55)에는 제2견인철선(52)의 하단이 연결되는 다수의 조절구멍(55')을 더 천공하여, 상기 연장레버(6)의 구멍(61)중 하나와 제2링크아암(55)을 제3견인철선(53)으로 연결하며, 제2링크아암(55)에 형성한 다수의 조절구멍(55')에 제2견인철선(52) 하단이 연결되어 작동레버(5)를 당겼을 때 가동모종삽(1a)이 무리 없이 가볍게 작동하여 모종홈을 형성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2) 상부 선단에 작동레버(5)를 설치하되, 상기 작동레버(5)는 ∠형으로 형성하여 선단은 힌지(h')로 연결 구성되고, 작동레버(5) 상단 끝부분은 지주대(3) 상단에 힌지(h")로 회동 자재하도록 설치되어 제1견인철선(51)의 상단이 연결된 삼각링크(56)에 링크(57)로 연결구성하여 작동레버(5)를 가압하면 지렛대원리에 의해 가동모종삽(1a)이 작동하게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동식 모종 이식기는 모종홈 성형구(1)를 지면에 박은 상태에서 한 손으로 손잡이(2)와 작동레버(5)를 함께 움켜잡은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작동레버(5)를 누르면, 작동레버(5)가 가압되면서, 링크(57), 삼각링크(56)와, 제1견인철선(51), 제1링크아암(54), 제2견인철선(52), 제2링크아암(55)과 제3견인철선(53)이 연동하여 가동모종삽(1a)을 벌려 모종홈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레버(5)를 손바닥으로 눌러 동작시키는 것이기에 오랜 시간 반복 작업하더라도 손아귀가 아프다거나 힘이 들지 않아 피로감이 적고, 이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작동레버를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작동레버를 가압한 상태의 요부확대 사시도.
본 발명의 수동식 모종홈 이식기(100)는 모종홈을 형성하기 위해 작동레버(5)를 가압할 때 살짝 가압하더라도 가동모종삽(1a)이 힘 있게 벌어지면서 지면에 모종홈을 형성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모종홈의 성형이 지극히 안정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오랜 시간 반복 작업하더라도 손과 팔에 피로감이 극소화되어 작업성과 안정성, 그리고 신뢰성을 극대화시키려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하단부에, 지면에 박아 모종홈을 형성하는 모종홈성형구(1)와, 상기 모종홈성형구(1)와 연결되며 상단에 손잡이(2)가 구비된 지주대(3)와, 상기 모종홈성형구(1) 상부에 위치하고 지주대(3)와 연결된 모종가이드(4)와, 상기 손잡이(2) 상부에 설치되며 가동 모종삽(1a)을 작동시키는 작동레버(5)로 이루어진 수동식 모종이식기(100)에 있어서,
상기 가동모종삽(1a) 상부에 다수의 구멍(61)을 가진 연장레버(6)를 설치하고, 손잡이(2) 상부에 선단이 지주대(3) 상부에 회동자재하도록 ∠형 작동레버(5)를 설치하여 상기 작동레버(5) 상단 끝을 삼각링크(56)와 연결시킴으로서 지렛대원리에 의해 작동레버(5)를 가볍게 살짝 가압하더라도 가동 모종삽(1a)이 힘 있게 벌어지면서 모종홈을 형성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모종홈 성형구(1)는 고정모종삽(1b)과 가동모종삽(1a)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고정모종삽(1b)과 가동모종삽(1a)의 상측 연접부는 힌지(h)로 연결 조립됨과 동시에 스프링(s)에 의해 가동모종삽(1a)이 항상 고정모종삽(1b)에 오무러든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 지면에 모종홈을 형성할 때 매우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가동모종삽(1a) 상부에 연결 설치된 연장레버(6)에는 다수의 구멍(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 중(61) 하나에 제2링크아암(55) 선단에 연결되는 제3견인철선(53)의 선단이 연결되어 작동레버(5)에 의해 가동모종삽(1a)이 작동하게 되며, 상기 연장레버(6)의 길이와 제3견인철선(53)이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지렛대의 작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제3 견인철선(53)이 연결되는 연장레버(6)에 형성된 구멍 중 상측의 구멍으로 갈수록 지렛대 효과가 더욱 커지게 되어 힘이 훨씬 덜 들게 되며, 이와 더불어 앞에서 설명한 ∠형 작동레버(5)와 삼각링크(57), 그리고 링크(57)의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더욱 지렛대 효과는 더욱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가동모종삽(1a)의 상단에 설치된 연장레버(6)에 상하 다수의 구멍(61)을 형성하고, 제2링크아암(55)에는 제2견인철선(52)의 하단이 연결되는 다수의 조절구멍(55')을 더 천공하여, 상기 연장레버(6)의 구멍(61)중 하나와 제2링크아암(55)을 제3견인철선(53)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제2링크아암(55)에 형성한 다수의 조절구멍(55')에 제2견인철선(52) 하단을 연결함으로서 작동레버(5)를 당겼을 때 삼각링크(56)와 제2링크아암(55)이 관절운동을 하면서 가동모종삽(1a)을 작동시킴으로서 작동레버(5)를 살짝 움켜쥐더라도 가동모종삽(1a)이 힘 있게 벌어지게 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모종홈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그 권리범위가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외에도 발명의 목적과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1 : 모종홈성형구 1a : 가동모종삽 1b : 고정모종삽
2 : 손잡이 3 : 지주대 4 : 모종 가이드
5 : 작동레버 6 : 연장레버 h, h', h" : 힌지
s : 스프링 51 : 제1견인철선 52 : 제2견인철선
53 : 제3견인철선 54 : 제1링크아암 55 : 제2링크아암
55' 조절구멍 56 : 삼각링크(56) 57 : 링크
61 : 구멍

Claims (2)

  1. 하단에 고정모종삽(1b)과 가동모종삽(1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모종삽(1b)과 가동모종삽(1a)의 상측 연결부 힌지(h)에 항상 오물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게끔 스프링(s)을 장착한 모종홈성형구(1)와,
    상기 고정모종삽(1b) 후면 중앙부에 조립되며 상단 일 측에 손잡이(2)가 구비된 지주대(3)와,
    상기 지주대(3)에 연결 고정됨과 동시에 모종홈성형구(1) 상부에 위치되게끔 구성한 파이프 형태의 모종 가이드(4)와,
    상기 지주대(3)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링크아암(55) 선단에 가동모종삽(1a)을 작동시키는 제3견인철선(53)과, 제2링크아암(55)의 상단에 구비된 제1견인철선(51)과 제1링크아암(54) 제2견인철선(52), 그리고 제1견인철선(51) 상단에 연결 구성된 가동모종삽 작동레버(5)로 이루어진 수동식 모종이식기(100)에 있어서,
    가동모종삽(1a)의 상단에 제3견인철선(53)의 선단이 연결되도록 상하 다수의 구멍(61)을 형성하여서 된 연장레버(6)을 더 설치하고, 제2링크아암(55)에는 제2견인철선(52)의 하단이 연결되는 다수의 조절구멍(55')을 더 천공하여, 상기 연장레버(6)의 구멍(61)중 하나와 제2링크아암(55)을 제3견인철선(53)으로 연결하며, 제2링크아암(55)에 형성한 다수의 조절구멍(55')에 제2견인철선(52) 하단이 연결되어 작동레버(5)를 살짝 당기더라도 가동모종삽(1a)이 힘차게 벌어지게 하며, 손잡이 상부 선단에 작동레버(5)를 설치하되, 상기 작동레버(5)는 ∠형으로 형성하여 선단은 힌지(h')로 연결 구성되고, 작동레버(5) 상단 끝부분은 지주대(3) 상단에 힌지(h")로 회동 자재하도록 설치되어 제1견인철선(51)의 상단이 연결된 삼각링크(56)에 링크(57)로 연결구성하여 작동레버(5)를 누르면 지렛대원리에 의해 가동모종삽(1a)이 힘차게 벌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모종 이식기.
  2. 삭제
KR1020190143017A 2019-11-07 2019-11-07 수동식 모종이식기 KR102321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017A KR102321035B1 (ko) 2019-11-07 2019-11-07 수동식 모종이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017A KR102321035B1 (ko) 2019-11-07 2019-11-07 수동식 모종이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552A KR20210055552A (ko) 2021-05-17
KR102321035B1 true KR102321035B1 (ko) 2021-11-02

Family

ID=7615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017A KR102321035B1 (ko) 2019-11-07 2019-11-07 수동식 모종이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0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947A (ja) * 2001-06-01 2002-12-10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野菜移植機におけるマルチフィルム孔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545B1 (ko) 2002-08-28 2004-08-16 이명규 콘크리트의 기체확산계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20170064723A (ko) 2015-12-02 2017-06-12 최기봉 한 손용 다중 모종 이식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947A (ja) * 2001-06-01 2002-12-10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野菜移植機におけるマルチフィルム孔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552A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447B1 (en) Hand actuated soil displacement and planting device
US5765648A (en) Multipurpose garden tool
CN107466201B (zh) 插秧机
KR102321035B1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KR102143725B1 (ko) 모종이식기
KR102321034B1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KR102272102B1 (ko) 모종 이식기
CN211531916U (zh) 一种苗木扦插工具
KR102563196B1 (ko) 모종 이식기
CN210328483U (zh) 一种植物种植铲
KR102588677B1 (ko) 수동식 모종 이식기
KR102272104B1 (ko) 모종 이식기
JP2010273665A (ja) 土掘りシャベル
CN208113306U (zh) 一种植株幼苗栽种器
KR200494828Y1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CN212970895U (zh) 一种打孔栽苗器
US9661796B1 (en) Bulb, plant, and seedling digging tool
CN112335350B (zh) 拔杆器
JP2572546Y2 (ja) 植物苗植え付け器
CN215935547U (zh) 一种农业种植用育苗种植装置
CN214257247U (zh) 一种苗木扦插器
CN218417238U (zh) 一种地被植物种植辅助工具
KR20210001298U (ko) 수동식 모종이식기
CN203523281U (zh) 一种地膜覆盖田点播挖穴器
CN212851758U (zh) 一种高度可调的花卉移苗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