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425A -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425A
KR20200002425A KR1020180075893A KR20180075893A KR20200002425A KR 20200002425 A KR20200002425 A KR 20200002425A KR 1020180075893 A KR1020180075893 A KR 1020180075893A KR 20180075893 A KR20180075893 A KR 20180075893A KR 20200002425 A KR20200002425 A KR 20200002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collision
detection
shock
detec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5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425A/ko
Publication of KR20200002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3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indicating the distance between vehicles or trains by the transmission of signals therebetw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72On-board train data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차의 충격을 검지하여 검지 정보를 출력하는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 상기 검지 정보를 수신하여 기준 조건을 만족할 경우 충격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열차충돌 검지장치, 및 상기 충격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을 판단한 후 설정된 거리 이내의 열차에 적어도 경보 신호를 송신하는 열차무선방호장치를 포함하는,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DETECTION SYSTEM OF THE TRAIN CRASH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열차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 열차의 운전자가 수동으로 열차무선방호장치의 상황발생 스위치를 취급하여 4km 이내의 열차에 경보와 제동 신호를 출력하고, 4~8km 이내의 열차에는 경보 신호만 출력한다.
과거 KTX 열차와 무궁화 열차의 3중 추돌 사고와 같이 사고 열차의 운전사가 실념하거나 부상으로 열차무선방호장치의 상황발생 스위치를 취급하지 않으면, 후속 열차 또는 주변 열차에서 사고 상황을 알 수 없어 이차 추돌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0441호
본 발명은 열차 충돌을 자동으로 검지하여 주변 열차에 열차사고 상황을 송출하고 이차 추돌 사고를 예방하는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차의 충격을 검지하여 검지 정보를 출력하는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 상기 검지 정보를 수신하여 기준 조건을 만족할 경우 충격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열차충돌 검지장치, 및 상기 충격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을 판단한 후 설정된 거리 이내의 열차에 적어도 경보 신호를 송신하는 열차무선방호장치를 포함하는,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준 조건은 미리 설정된 충돌 속도를 만족하는 검지 정보가 상기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 중 과반수 이상의 충격 검지센서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충돌 속도는 상기 열차가 제1종일 경우 36km/h 이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열차가 제2종일 경우 25km/h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는 운전실이 있는 열차의 제어차 전면과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는 열차의 충돌로 인해 이차 추돌 사고 가능성이 있을 경우 운전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차무선방호장치는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이 있는 경우 반경 4km 이내의 열차에 경보 신호 및 제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차무선방호장치는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이 없는 경우 반경 4~8km 이내의 열차에 경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열차충돌 검지장치가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로부터 미리 설정된 충돌 속도를 만족하는 검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열차충돌 검지장치가 상기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 중 과반수 이상의 충격 검지센서로부터 상기 검지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기준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열차충돌 검지장치가 열차무선방호장치로 충격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열차무선방호장치가 상기 충격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열차무선방호장치가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열차무선방호장치가 설정된 거리 이내의 주변 열차에 열차 사고 상황을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열차 사고 상황을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거리 이내의 주변 열차에 경보 신호 및 제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또는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이 없는 경우, 제2 거리 이내의 주변 열차에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거리는 반경 4km이고, 상기 제2 거리는 반경 4~8km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열차 충돌을 자동으로 검지하여 주변 열차에 열차사고 상황을 송출함으로써 이차 추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은 열차의 충격을 검지하여 검지 정보를 출력하는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110), 검지 정보를 수신하여 기준 조건을 만족할 경우 충격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열차충돌 검지장치(120) 및 충격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을 판단한 후 설정된 거리 이내의 주변 열차에 열차 사고 상황을 송신하는 열차무선방호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110) 각각은 열차에 충격 발생시 충돌 속도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110) 각각은 충돌 속도를 포함하는 검지 정보를 열차충돌 검지장치(12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110)는 운전실이 있는 열차의 제어차 전면과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격 검지센서(110)는 열차의 전면에 1개, 열차의 좌측면에 2개, 열차의 우측면에 2개, 총 5개가 설치될 수 있다.
열차충돌 검지장치(120)는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110)로부터 수신한 검지 정보가 기준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조건은 미리 설정된 충돌 속도를 만족하는 검지 정보가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110) 중 과반수 이상의 충격 검지센서(110)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충돌 속도는 도시철도차량의 기술기준에 설정된 사항을 이용하여 열차가 제1종일 경우 약 36km/h 이상으로 설정되고, 열차가 제2종일 경우 약 25km/h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열차충돌 검지장치(120)는 기준 조건이 만족되면 열차무선방호장치(130)로 충격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열차무선방호장치(130)는 열차충돌 검지장치(120)로부터 충격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주변의 열차에 열차사고 상황을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열차무선방호장치(130)는 상활발생 스위치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설정된 거리 이내의 열차에 열차사고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상황발생 스위치는 열차의 충돌로 인해 이차 추돌 사고 가능성이 있을 경우 운전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열차무선방호장치(130)는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이 있는 경우 이차 추돌 사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반경 4km 이내의 열차에 경보 신호 및 제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열차무선방호장치(130)는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이 없는 경우 이차 추돌 사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반경 4~8km 이내의 열차에 경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열차충돌 검지장치가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로부터 미리 설정된 충돌 속도를 만족하는 검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10), 열차충돌 검지장치가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 중 과반수 이상의 충격 검지센서로부터 상기 검지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120), 기준 조건을 만족할 경우 열차충돌 검지장치가 열차무선방호장치(130)로 충격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130), 열차무선방호장치가 충격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10), 열차무선방호장치가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0),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이 있는 경우, 열차무선방호장치가 제1 거리 이내의 주변 열차로 경보 신호 및 제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230) 및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이 없는 경우, 열차무선방호장치가 제2 거리 이내의 주변 열차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열차충돌 검지장치는 검지 정보로부터 충돌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충돌 속도는 도시철도차량의 기술기준에 설정된 사항을 이용하여 열차가 제1종일 경우 약 36km/h 이상으로 설정되고, 열차가 제2종일 경우 약 25km/h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열차충돌 검지장치는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 중 과반수 이상의 충격 검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총 5개의 충격 검지센서 중 3개 이상이 충격을 검지한 경우, 열차충돌 검지장치(120)는 기준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하여 열차무선방호장치(130)로 충격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열차무선방호장치는 열차의 충돌검지 결과를 수신하여 주변의 열차에 열차사고 상황을 송출할 수 있다.
우선, 열차무선방호장치는 열차충돌 검지장치(120)로부터 충격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열차무선방호장치는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황 발생 스위치의 입력이 있는 경우 이차 추돌 사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거리(반경 약 4km) 이내의 주변 열차에 경보 신호 및 제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열차무선방호장치는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황 발생 스위치의 입력이 없는 경우 이차 추돌 사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2 거리(반경 약 4~8km) 이내의 주변 열차에 경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차 충돌을 자동으로 검지하여 주변 열차에 열차사고 상황을 송출함으로써 이차 추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충격 검지센서
120: 열차충돌 검지장치
130: 열차무선방호장치

Claims (10)

  1. 열차의 충격을 검지하여 검지 정보를 출력하는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
    상기 검지 정보를 수신하여 기준 조건을 만족할 경우 충격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열차충돌 검지장치; 및
    상기 충격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을 판단한 후 설정된 거리 이내의 주변 열차에 열차 사고 상황을 송신하는 열차무선방호장치;
    를 포함하는,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조건은 미리 설정된 충돌 속도를 만족하는 검지 정보가 상기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 중 과반수 이상의 충격 검지센서로부터 수신된 것인,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속도는 상기 열차가 제1종일 경우 36km/h 이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열차가 제2종일 경우 25km/h 이상으로 설정되는,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는 운전실이 있는 열차의 제어차 전면과 측면에 설치되는,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는 열차의 충돌로 인해 이차 추돌 사고 가능성이 있을 경우 운전자에 의해 입력되는,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무선방호장치는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이 있는 경우 반경 4km 이내의 열차에 경보 신호 및 제동 신호를 송신하는,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무선방호장치는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이 없는 경우 반경 4~8km 이내의 열차에 경보 신호를 송신하는,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8. 열차충돌 검지장치가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로부터 미리 설정된 충돌 속도를 만족하는 검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열차충돌 검지장치가 상기 복수의 충격 검지센서 중 과반수 이상의 충격 검지센서로부터 상기 검지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기준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열차충돌 검지장치가 열차무선방호장치로 충격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열차무선방호장치가 상기 충격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열차무선방호장치가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열차무선방호장치가 설정된 거리 이내의 주변 열차에 열차 사고 상황을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 사고 상황을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거리 이내의 주변 열차에 경보 신호 및 제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또는 상기 상황발생 스위치의 입력이 없는 경우, 제2 거리 이내의 주변 열차에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는 반경 4km이고, 상기 제2 거리는 반경 4~8km인,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180075893A 2018-06-29 2018-06-29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20200002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893A KR20200002425A (ko) 2018-06-29 2018-06-29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893A KR20200002425A (ko) 2018-06-29 2018-06-29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25A true KR20200002425A (ko) 2020-01-08

Family

ID=6915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893A KR20200002425A (ko) 2018-06-29 2018-06-29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42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441A (ko) 2010-08-30 2012-03-08 김봉택 열차 종합 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441A (ko) 2010-08-30 2012-03-08 김봉택 열차 종합 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1572B2 (en) Rear collision warning system
US7330103B2 (en) Vehicle collision avoidance system enhancement using in-car air bag deployment system
EP0667020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oving linear chain
KR101399026B1 (ko) 차선 변경 시 위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1135B1 (ko) 차량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1188B1 (ko) 차선변경 경보 장치
US20180157272A1 (en) Vehicle mounted apparatus
KR20190047458A (ko) 주변 상황 판단을 통한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5419A (ko) 수신된 v2x 메시지들의 데이터 보안 시퀀스들을 선택적으로 점검하는 방법 및 v2x 통신 시스템
US9786167B2 (en) Method and device for validating an information item regarding a wrong-way driver
CN110060465B (zh) 一种用于车辆行人交互系统的交互方法及交互系统
KR20120106036A (ko)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
KR101929555B1 (ko) 급제동 경고 방법 및 장치
JP2008262414A (ja) 車両脇移動体すり抜け検出装置
JP7213265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KR20130120695A (ko) 역주행 차량 경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02425A (ko) 열차 충돌검지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20170143405A (ko)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차량 간 안전 도모 시스템 및 방법
JP2006521589A (ja) 非鉄道車両用安全装置
JP2005266844A (ja) 車載情報処理装置
KR101536872B1 (ko) 사고 감지 자동차 범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71581B1 (ko) 차량 경고 시스템
KR100307137B1 (ko) 차량사고발생시다중충돌방지장치
KR101427873B1 (ko) 다중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운전 지원 시스템
WO2018000218A1 (en) Vehicle hon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