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036A -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036A
KR20120106036A KR1020110023862A KR20110023862A KR20120106036A KR 20120106036 A KR20120106036 A KR 20120106036A KR 1020110023862 A KR1020110023862 A KR 1020110023862A KR 20110023862 A KR20110023862 A KR 20110023862A KR 20120106036 A KR20120106036 A KR 20120106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mergency light
signal
ecu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8648B1 (ko
Inventor
박수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3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648B1/ko
Publication of KR20120106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은, 차량에 가해진 충격, 에어백 상태, 브레이크 상태 및 속도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위험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위험상황 발생시에 상기 차량의 비상등을 자동으로 점등하며, 비상등 점등 신호를 출력하는 ECU; 및 V2V(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s) 통신 또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으로 상기 비상등 점등 신호를 주변 차량에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System for Automatic Control of Hazard Lamp and Automatic Control Method of Hazard Lamp by ECU}
본 발명은 비상등 제어 기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비상등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점등버튼을 누르면 점등되어 뒷 차량에 비상상황을 알릴 수 있는 비상등을 구비한다.
하지만, 사고가 발생하기 직전이나 사고 발생시에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직접 비상등 점등버튼을 누르는 것은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신속성도 떨어진다.
예를 들어, 주행속도가 100kmh인 고속 도로상에서 앞차에서 충돌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바로 뒤차의 운전자는 급제동하기에 바빠서 급제동과 동시에 비상등 점등을 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바로 뒤차에 후속하여 뒤따라오는 차량은 비상상황을 알지 못하여 바로 뒤차와 충돌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 같이, 종래의 비상등은 수동으로 점등될 뿐만 아니라, 위험상황에 대한 경고를 바로 뒷 차량에만 알릴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비상상황을 감지하면 비상등을 자동으로 점등할 수 있는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V2V 통신을 통해 주변 차량의 비상등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은, 차량에 가해진 충격, 에어백 상태, 브레이크 상태 및 속도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위험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위험상황 발생시에 상기 차량의 비상등을 자동으로 점등하며, 비상등 점등 신호를 출력하는 ECU; 및 V2V(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s) 통신 또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으로 상기 비상등 점등 신호를 주변 차량에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은, 차량에 가해진 충격, 에어백 상태, 브레이크 상태 및 속도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위험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위험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상기 차량의 비상등을 점등하는 단계; 및 주변 차량에 비상등을 점등할 것을 지시하는 비상등 점등 신호를 생성하여 V2V(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s) 통신 또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을 통해 상기 주변 차량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자체적으로 위험상황을 판단하여 비상등을 신속하게 자동으로 점등시킬 수 있어, 운전자가 긴급한 상황에서 미쳐 비상등을 조작하지못함에 따른 뒤따라 오는 차량에 대한 2차 충돌의 위험에 노출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위험 상황의 알림을 바로 뒷 차량에만 국한하지 않고 V2V 통신 또는 V2I 통신을 통하여 주변의 여러 차량에 동시에 알림으로써, 운전자가 사고 발생 즉시 점등된 비상등을 확인하여 더 일찍 차량의 위험상황을 파악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웨이브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비상등 점등 신호의 패킷 구성도.
도 3은 비상등 점등 신호의 패킷의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등 점등 신호의 재전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 차량에 구비된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10)은 감지 센서(110), ECU(120) 및 통신모듈(130)을 포함한다.
감지 센서(110)는 일 차량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일 차량의 에어백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에어백동작 감지센서, 일 차량의 브레이크 동작을 감지하는 브레이크동작 감지센서나, 일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센서 등일 수 있다.
ECU(120)는 감지 센서(110)에 의하여 감지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위험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면 일 차량의 비상등을 자동으로 점등한다.
예를 들어, ECU(120)는 차량에 기설정된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 에어백이 전개된 경우, 브레이크가 급제동된 경우나,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한 경우에 위험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또한, ECU(120)는 주변 차량으로 송신할 비상등 점등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모듈(130)에 전달한다. 여기서, 비상등 점등 신호는 발생한 위험상황의 형태나, 위험상황에 처한 차량의 현 상태, 비상등 점등 시간이나, 비상등 점등 신호를 재전송할 횟수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그 구체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통신모듈(130)은 V2V(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s) 통신으로 비상등 점등 신호를 주변 차량에 송신한다. 이때, 통신 모듈(130)은 비상등 점등 신호를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으로 노변 통신장치를 통해 주변 차량에 송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130)은 근거리 표준 프로토콜 IEEE 802.11a/b/g나 중거리 표준 프로토콜 IEEE 802.16d를 포함하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등과 같은 V2V 통신 프로토콜이나, 노변 통신장치와 차량통신장치 간의 무선고속패킷통신 규약인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IEEE802.11p와 IEEE609를 통합한 무선통신 표준사양인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등의 V2V/V2I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면, 주변 차량의 ECU는 V2V 통신 또는 V2I 통신을 통해 비상등 점등 신호를 수신하면 비상등 점등 신호에 따른 시간 동안 비상등을 자동으로 점등하여 자신의 뒷 차량에 위험상황을 알린다. 또한, 비상등 점등 신호를 뒷 차에게 재전송하여 뒷 차량이 비상등 점등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이하, 도 2 및 3을 참고하여 ECU에 의하여 생성되는 비상등 점등 신호의 패킷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웨이브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비상등 점등 신호의 패킷 구성도이고, 도 3은 비상등 점등 신호의 패킷의 일 예이다.
웨이브 헤더(Wave Header)는 복수의 프로토콜 중에서 웨이브 프로토콜의 헤더임을 나타낸다.
해저드 램프 헤더(Hazard Lamp Header)는 도 2의 패킷이 비상등 점등 신호인지 아니면 다른 신호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2bit 정보이다.
타입(Type)은 위험상황의 형태나, 위험상황에 직면한 차량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6bit 정보이다. 여기서, 위험상황의 형태는 충돌 사고, 전복 사고, 급정거, 미끄러짐 등일 수 있으며, 위험상황에 직면한 차량의 상태 정보는 정지 상태, 급제동 상태, 브레이크 고장 등일 수 있다.
기간(Duration)은 비상등을 몇 초간 점등시킬지 결정하기 위한 8비트 정보이다. 예를 들어, 기간은 0초 내지 256초의 시간범위일 수 있다.
홉 카운트(Hop Count)는 간섭이나 노이즈로 인해 비상등 점등 신호(Wave 패킷신호)가 손실되어 거리가 다소 먼 차량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비상등 점등 신호를 수신한 차량에 안내하는 비상등 점등 신호의 재전송 횟수이다.
구체적으로, 비상등 점등 신호를 수신한 차량은 홉 카운트가 0이 아니라면 뒷 차량으로 비상등 점등 신호를 재전송한다. 이때, 첫 차량은 뒷 차량에 의한 재전송 횟수를 홉 카운트로 결정하며, 뒷 차량의 ECU는 수신한 홉 카운트에서 1을 뺀 값의 홉 카운트로 패킷을 구성하여 비상등 점등 신호를 재전송한다. 예를 들어, 홉의 범위는 0 내지 16일 수 있다.
끝(End)는 웨이브 패킷의 끝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V2V 통신 또는 V2I 통신으로 송신되는 신호의 패킷이 도 3과 같을 때, 해당 신호는 비상등 점등 신호이며, 위험상황의 형태는 전복 사고이고, 뒷 차량은 15초 동안 비상등을 점등해야 하며, 해당 비상등 점등 신호를 수신한 차량은 비상등 점등 신호를 3번 재전송할 것을 지시한다.
Figure pat00001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홉 카운트에 따른 비상등 점등 신호의 재전송 횟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등 점등 신호의 재전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전복 사고가 발생한 제1 차량(410)은 홉 카운트를 3으로 설정하여 비상등 점등 신호를 생성하여 바로 뒷 차량인 제2 차량(420)에 전송한다.
제2 차량(420)은 홉 카운트가 3인 비상등 점등 신호를 수신하고 홉 카운트를 2로 정정한 비상등 점등 신호를 3회 재전송한다.
제3 차량(430)은 홉 카운트가 2인 비상등 점등 신호를 수신하여 홉 카운트를 1로 정정한 비상등 점등 신호를 2회 재전송한다.
제4 차량(440)은 홉 카운트가 1인 비상등 점등 신호를 수신하여 홉 카운트를 0으로 정정한 비상등 점등 신호를 1회 재전송한다.
제5 차량(450)은 홉 카운트가 0인 비상등 점등 신호를 수신하기만 할 뿐 재전송하지는 않는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ECU(120)는 감지 센서(110)에 의하여 감지된 차량에 가해진 충격, 에어백 구동, 브레이크 구동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정보를 확인한다(S510).
이어서, ECU(120)는 감지 센서(110)에 의하여 감지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험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한다(S520).
그리고, ECU(120)는 차량의 위험상황 발생시에 차량의 비상등을 자동으로 점등한다(S530).
또한, ECU(120)는 비상등 점등 신호를 생성하여 V2V 통신 또는 V2I 통신을 통해 주변 차량에 송신한다(S540).
이후, 주변 차량은 비상등 점등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비상등을 점등하여 위험상황을 뒷 차량에 경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이 자체적으로 위험상황을 판단하여 비상등을 신속하게 자동으로 점등시킬 수 있어, 운전자가 긴급한 상황에서 미쳐 비상등을 조작하지못함에 따른 뒤따라 오는 차량에 대한 2차 충돌의 위험에 노출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위험 상황의 알림을 바로 뒷 차량에만 국한하지 않고 V2V 통신 또는 V2I 통신을 통하여 주변의 여러 차량에 동시에 알림으로써, 운전자가 사고 발생 즉시 점등된 비상등을 확인하여 더 일찍 차량의 위험상황을 파악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차량에 가해진 충격, 에어백 상태, 브레이크 상태 및 속도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위험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위험상황 발생시에 상기 차량의 비상등을 자동으로 점등하며, 비상등 점등 신호를 출력하는 ECU; 및
    V2V(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s) 통신 또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으로 상기 비상등 점등 신호를 주변 차량에 송신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는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등 점등 신호는,
    상기 위험상황의 형태, 상기 차량의 상태, 상기 비상등의 점등 시간, 상기 비상등 점등 신호를 수신한 후 재전송할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차량은,
    상기 비상등 점등 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의 비상등을 점등하고, 상기 재전송할 횟수만큼 상기 비상등 점등 신호를 뒷 차량에 재전송하되, 상기 재전송할 횟수를 감소한 상기 비상등 점등 신호를 재전송하는 것인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및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인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
  5. 차량에 가해진 충격, 에어백 상태, 브레이크 상태 및 속도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위험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위험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상기 차량의 비상등을 점등하는 단계; 및
    주변 차량에 비상등을 점등할 것을 지시하는 비상등 점등 신호를 생성하여 V2V(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s) 통신 또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을 통해 상기 주변 차량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차량의 ECU가 송신된 상기 비상등 점등 신호를 확인함에 따라 상기 주변 차량의 비상등을 점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
KR1020110023862A 2011-03-17 2011-03-17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 KR101748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862A KR101748648B1 (ko) 2011-03-17 2011-03-17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862A KR101748648B1 (ko) 2011-03-17 2011-03-17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036A true KR20120106036A (ko) 2012-09-26
KR101748648B1 KR101748648B1 (ko) 2017-06-19

Family

ID=4711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862A KR101748648B1 (ko) 2011-03-17 2011-03-17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648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065B1 (ko) * 2013-08-08 2015-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527932B1 (ko) * 2013-05-24 2015-06-17 서정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급제동 또는 충돌 사고 경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60024302A (ko) * 2014-08-25 2016-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704303B1 (ko) * 2015-12-14 2017-02-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브레이크 등 고장 확인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0484734Y1 (ko) * 2017-06-20 2017-11-15 남상수 차량비상등 자동 제어 장치
KR20180130019A (ko) * 2014-11-24 2018-12-05 데이비드 엠. 터커 차량 비상 라이트를 위한 향상된 통신 시스템
US10220840B2 (en) 2015-12-22 2019-03-05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0497846A (zh) * 2019-09-10 2019-11-26 福建省汽车工业集团云度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信号灯系统、汽车控制系统及智能汽车
US10870390B2 (en) 2018-12-11 2020-12-22 Ess-Help, Inc. Enhancement of vehicle hazard systems
US10896606B1 (en) 2019-09-13 2021-01-19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Emergency vehicle detection and right-of-way deference control in platooning
US11135968B2 (en) 2019-03-28 2021-10-05 Ess-Help, Inc. Remote vehicle hazard and communication beacon
US11518298B2 (en) 2019-03-15 2022-12-06 ESS-Help, lnc. High visibility lighting for autonomous vehicles
US11590887B2 (en) 2019-03-15 2023-02-28 Ess-Help, Inc.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US11981254B2 (en) 2019-03-15 2024-05-14 Ess-Help, Inc.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418B1 (ko) * 2006-09-27 2007-09-2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긴급상황 통보장치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932B1 (ko) * 2013-05-24 2015-06-17 서정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급제동 또는 충돌 사고 경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479065B1 (ko) * 2013-08-08 2015-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의 비상 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60024302A (ko) * 2014-08-25 2016-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
US11511686B2 (en) 2014-11-24 2022-11-29 Ess-Help, Inc.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US11021117B2 (en) 2014-11-24 2021-06-01 Ess-Help, Inc.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KR20180130019A (ko) * 2014-11-24 2018-12-05 데이비드 엠. 터커 차량 비상 라이트를 위한 향상된 통신 시스템
US11524638B2 (en) 2014-11-24 2022-12-13 Ess-Help, Inc.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US11332088B2 (en) 2014-11-24 2022-05-17 Ess-Help, Inc.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EP3578417A1 (en) * 2014-11-24 2019-12-11 Ess-Help, Inc.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KR20200011562A (ko) * 2014-11-24 2020-02-03 이에스에스-헬프, 아이엔씨. 차량 비상 라이트를 위한 향상된 통신 시스템
KR101704303B1 (ko) * 2015-12-14 2017-02-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브레이크 등 고장 확인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US10220840B2 (en) 2015-12-22 2019-03-05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484734Y1 (ko) * 2017-06-20 2017-11-15 남상수 차량비상등 자동 제어 장치
US10870390B2 (en) 2018-12-11 2020-12-22 Ess-Help, Inc. Enhancement of vehicle hazard systems
US11904765B2 (en) 2018-12-11 2024-02-20 Ess-Help, Inc. Enhanced operation of vehicle hazard and lighting communication systems
US11518298B2 (en) 2019-03-15 2022-12-06 ESS-Help, lnc. High visibility lighting for autonomous vehicles
US11590887B2 (en) 2019-03-15 2023-02-28 Ess-Help, Inc.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US11981254B2 (en) 2019-03-15 2024-05-14 Ess-Help, Inc.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US11135968B2 (en) 2019-03-28 2021-10-05 Ess-Help, Inc. Remote vehicle hazard and communication beacon
US11938862B2 (en) 2019-03-28 2024-03-26 Ess-Help, Inc. Remote vehicle hazard and communication beacon
CN110497846A (zh) * 2019-09-10 2019-11-26 福建省汽车工业集团云度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信号灯系统、汽车控制系统及智能汽车
US10896606B1 (en) 2019-09-13 2021-01-19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Emergency vehicle detection and right-of-way deference control in platoo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648B1 (ko) 201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6036A (ko) 비상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ecu의 비상등 자동 제어 방법
US79915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collision status of a nearby vehicle
US10453342B2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dangerous situation on a vehicle-to-vehicle interface
US79915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ide-impact collision status of a nearby vehicle
JP2014500550A (ja) 車両のための危険警告システム
KR20150070801A (ko)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전달방법
JP2022544533A (ja) 危険車両および道路状態を通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06259861A (ja) ハザードウォーニングシステム
KR101013121B1 (ko) 차량간 무선통신장치 및 방법
JP4534739B2 (ja) 車両用通信装置
JP2002234411A (ja) 車両間通信装置及び車両間通信方法
JP2005056016A (ja) 衝突回避装置
WO2017092171A1 (zh) 一种预警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101775840B1 (ko) 차량 충돌시 충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159885A1 (en) Blind Spot Detection System
US20140313023A1 (en) Active vehicle safety system and a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JP2006256480A (ja) 車両用制御装置
KR101462917B1 (ko)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340431B1 (ko) 차량 충돌 방지를 위한 도로 교통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1288A (ko) 사고차량과 주변차량 간의 긴급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
US11657716B1 (en) Automobile system for determination and protection against external crash hazards
US20230422012A1 (en) Transmission of ecall information using intelligent infrastructure
WO2018002727A1 (en) Vehicle honking system
JP2008294721A (ja) 車々間通信装置及び車々間通信システム
KR200369849Y1 (ko) 추돌사고 방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