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423A -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 Google Patents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423A
KR20200002423A KR1020180075891A KR20180075891A KR20200002423A KR 20200002423 A KR20200002423 A KR 20200002423A KR 1020180075891 A KR1020180075891 A KR 1020180075891A KR 20180075891 A KR20180075891 A KR 20180075891A KR 20200002423 A KR20200002423 A KR 20200002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rater
burner
edg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380B1 (ko
Inventor
김주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라산업
Priority to KR1020180075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3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8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ax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10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elongated tubular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0Baffles or like flow-disturb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구를 여러개 구비하여 중앙의 화구만 점화시키거나 또는 전체화구를 점화시켜 화구의 화력을 조절하여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의 종류에 대응할 수 있고, 점화시 불꽃(화염)의 영역을 확대하여 용기 저면 전체에 고르게 전달시켜 신속한 조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면서 버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휴대용버너에 장착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다수개 형성하는 장착홀과, 상면 중앙부에 아래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하는 요입부와, 요입부 위치의 저면에 아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돌출부와, 돌출부의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요입되게 커버안치홈을 형성한 화구베이스와; 상기 화구베이스의 상면 중앙과 가장자리에 화구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내경부에 결합나사를 형성하여 상방으로 돌출시키는 다수개의 화구결합구와; 상기 화구결합구의 바닥면 중앙에 돌출부와 관통되게 형성하여 점화에 필요한 가스를 공급받는 가스공급홀과; 상기 돌출부에 각각의 가스공급홀과 연통되어 각각의 화구결합구로 가스를 공급하도록 요입되게 형성하는 가스공급라인과; 상기 돌출부의 저면에 밀착시켜 공급된 가스가 가스공급라인을 벗어나지 않게하는 돌출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가스버너용 멀티화구{MULT IGNITION TOOLS FOR PORTABLE GAS BURNER}
본 발명은 가스버너용 멀티화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버너 또는 휴대용 가스버너에 장착되어 화염(불꽃)을 한 곳 이상에서 다중으로 발생시켜 열량증대로 신속하게 조리를 가능하게 하여 열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개선한 멀티화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가스버너용 화구는 가스버너의 상부에 장착되어 가스용기 등과 같은 가스공급원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점화에 의하여 불꽃을 지속적으로 발생시켜 발열을 수행하여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화구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는 데, 가정용 또는 업소에 설치되는 가스렌지 등에 장착되는 것과 야외에서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가스버너에 장착되는 것으로 구분되어 진다.
이 중에서 야외 등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부피를 줄여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도록 한 휴대가스버너에 장착되는 화구는 가정 및 업소에서 사용되는 것과는 구성적인 차이를 가지게 되며, 대표적인 예를 선행기술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문헌 1의 경우에는, 통상형의 가스버너(1)이 연료 유도관(2) 상방회연에 요홈테(3)를 형성하여 이에 클립(4)의 중앙협지부(5)가 삽착될 수 있게 하고 클립(4)의 양쪽 지지간(6)(6')에는 화발치차(8')에 의해 발화되는 공지의 라이타식 점화구(8)를 결속시키되 점화구(8)이 일측에는 제어턱(9) 및 편심공(10)을 형성하여 클립(4) 일측 지지간(6)의 절곡단부(11)가 끼워지게하고 반대쪽 발화석고정구(12)에는 타측 지지간(6')의 장공형 걸고리(13)가 끼워지게하여 편심공(10)쪽의 결속부위를 지점으로 점화구(8)의 발화석고정구(12)쪽이 걸고리(13) 범위내에서 상, 하 유동될 수 있게하고 점화구(8)의 작동 레버(14)를 길게 연장 형성한 구성이다.
문헌 2는, 점화노즐(21)과 스파크단자(22) 및 상기 점화노즐과 스파크단자(22)를 구속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한 지지틀(23) 및 상기 점화노즐(21)에서 분사된 화염을 버너로 유도하는 화염유도구(24)로 구성된 버너 점화구(20)에 있어서;
점화구(20)로의 세척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점화구(20)의 후면과 화염유도구(24)의 상면 및 점화구(20)의 양측면을 감싸여지게 형성한 차수커버(10)를 지지틀(23)에 결속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문헌 1) 실용신안출원 제 20 - 1984 - 0004158 호 (문헌 2)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08646 0000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화구 중에서 문헌 2의 경우에는, 휴대용 가스버너에 적용할 수 있는 구성의 화구가 아니라 가정이나 업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화구의 기술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화구라는 것 외에는 본원이 추구하고자 하는 기술내용과는 다른 것이어서 비교의 대상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문헌 1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버너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화구의 기술내용에 관한 것이며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버너의 상부에 결합되는 연료유도관의 상부에 절두원추 형상의 납작한 형태의 화구헤드를 일체로 구비하고, 이 화구헤드의 가장자리에는 가스(화염)이 발생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화염공을 형성하여 불꽃이 이 화염공을 통하여 생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화염이 화구헤드 전체에 걸쳐 형성되 않고 화염공이 형성된 화구헤드의 가장자리에만 형성되므로 결국에는 화염의 전체적인 형상이 도넛과 같이 이루어지게 되고, 조리용기를 안치하였을 경우에는 화염 또는 도넛과 같은 형태로 조리용기의 전도되기 때문에 중앙에 집중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이 적용된 화구를 통하여 화염이 생성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화구가 중앙에 집중된 형태의 경우에는 화염또한 중앙에만 발생하는 형태를 취하게 되므로 안치되는 용기의 중앙부에만 집중되므로 용기 전체에 고르게 전도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화구가 링 형태로 구성된 경우에는 화염이 중앙에는 발생하지 않고 도넛 형태로 발생함과 동시에 불꽃이 원형으로 고르게 분산되기 때문에 강력하지 못하고 안치되는 용기의 밑면과 간신히 연접될 수 있는 정도에 지나지 않게 되므로 용기의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서서히 그 열기가 전도되므로 이 역시 가열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이와 같이 불꽃이 강력하지도 않으면서 촛불 또는 도넛형태로 분산되기 때문에 조리용기 전체를 가열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그에 따르는 열량의 소도가 과도하여 연료(가스)사용량은 증가하게 되는 원인에 의하여 조리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화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큰 화구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생산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것은 물론, 날로 경량화 소형화되어가는 휴대용 가스버너에는 적합하지 않아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없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휴대용버너에 장착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다수개 형성하는 장착홀과, 상면 중앙부에 아래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하는 요입부와, 요입부 위치의 저면에 아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돌출부와, 돌출부의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요입되게 커버안치홈을 형성한 화구베이스와;
상기 화구베이스의 상면 중앙과 가장자리에 화구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내경부에 결합나사를 형성하여 상방으로 돌출시키는 다수개의 화구결합구와;
상기 화구결합구의 바닥면 중앙에 돌출부와 관통되게 형성하여 점화에 필요한 가스를 공급받는 가스공급홀과;
상기 돌출부에 각각의 가스공급홀과 연통되어 각각의 화구결합구로 가스를 공급하도록 요입되게 형성하는 가스공급라인과;
상기 돌출부의 저면에 밀착시켜 공급된 가스가 가스공급라인을 벗어나지 않게하는 돌출부커버를 포함하여;
화구를 여러개 구비하여 점화시 불꽃(화염)의 영역을 확대하여 용기 저면 전체에 고르게 전달시켜 신속한 조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불꽃 발생을 중앙 또는 전체를 선택할 수 있어 조리되는 음식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면서 버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체적인 화구의 크기를 증대시키지 않고 기존의 휴대용 가스버너에 장착할 수 있는 크기를 유지하면서 화력을 버너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서 조리를 위하여 안치되는 용기 전체를 균일하고 신속하게 가열하여 조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화구의 열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화구를 소형화 하면서 화염을 중앙에 집중되도록 함으로서 조리시 중앙에서부터 가장자리로 신속하게 열이 전달되어 조리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연료소비량을 줄이고 열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화염을 중앙에 집중하도록 한 소형의 화구를 하나 이상 배치하여 화염을 버너의 중앙에만 발생시키거나 버너 전체에 고르게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음식물의 조리를 가능하게 하고 화구와 버너의 품질을 높이면서 새로운 디자인의 화구와 버너를 제공하여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스버너용 멀티화구를 도시한 정면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스버너용 멀티화구를 도시한 저면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스버너용 멀티화구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스버너용 멀티화구를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스버너용 멀티화구를 휴대용 버너에 장착한 상태의 예시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인 가스버너용 멀티화구에 적용되는 화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기술인 가스버너용 멀티화구에 적용되는 화구를 도시한 파절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인 가스버너용 멀티화구에 적용되는 화구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스버너용 멀티화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스버너용 멀티화구를 장착한 버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스버너용 멀티화구를 도시한 정면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스버너용 멀티화구를 도시한 저면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스버너용 멀티화구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스버너용 멀티화구를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스버너용 멀티화구에 사용되는 화구를 도시한 예시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스버너용 멀티화구를 장착한 버너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가스버너용 멀티화구(107)는, 버너 또는 휴대용버너(이하 휴대용 버너라 한다. 101)와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장착홀(102)을 형성한 원판형태의 화구베이스(103)를 구비한다.
상기 화구베이스(103)는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원판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다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한 것에 국한하지 않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화구베이스(103)의 상면 중앙부는 아래방향으로 요입된 요입부(104)를 형성하고, 요입부(104) 위치의 저면은 아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05)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05)의 가장자리에는 상방으로 요입된 커버안치홈(106)을 형성한다.
상기 화구베이스(103)의 상면 중앙과 가장자리에는 화구(107)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내경부에 결합나사(108)를 형성한 다수개의 화구결합구(110)를 상방으로 돌출시켜 형성한다.
상기 화구결합구(110)는, 점화시 화염이 상방에 안치되는 조리용기 저면 전체에 고르게 닿을 수 있도록 3개 이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3개 형성시에는 요입부(104)의 삼각형상이 되도록 배치고, 4개 이상일 경우에는 중앙에 하나를 배치하고 나머지는 중앙을 기준으로 삼각, 사각, 오각, 육각 등의 형상이 되도록 배치하거나, 또는 중앙에 배치하지 않고 가장자리에 다각형상 또는 원형이 되도록 배열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배치 및 배열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한 것으로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구결합구(110)에 결합되는 화구(107)는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중앙에 1개 가장자리에 4개를 배치하고 전체 화구(107)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중앙의 화구(107)를 가장자리의 화구(107)보다 큰 것으로 배치하고, 반대로 중앙의 화구(107)를 가장자리의 화구(107)보다 작은 것으로 배치하는 등 다양하게 실시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한 것으로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화구결합구(110)의 바닥면 중앙에는 저면의 돌출부(105)와 관통되게 가스공급홀(111)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05)에는 각각의 가스공급홀(111)과 연통되도록 요입된 형태의 가스공급라인(112)을 형성하여 각각의 화구결합구(110)로 가스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105)의 저면에는 돌출부커버(113)를 밀착시켜 공급된 가스가 가스공급라인(112)을 벗어나지 않고 화구결합구(110)를 통하여 화구(107)를 통하여 점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출구커버(113)의 중앙에는 돌출부(10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요입된 형태의 돌출부홈(114)을 형성하고, 가장자리에는 커버안치홈(106)에 수용될 수 있는 단속림(115)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홈(114)의 깊이(D)와 돌출부(105)의 높이(H)는 동일하게하여 돌출구버(113)의 내면(116)과 돌출부(105)의 아래면(117)이 밀착되어 가스공급라인(112)으로 공급된 가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안치홈(106)과 단속림(115)에는 다수개의 결합공(118)을 형성하여 볼트와 같은 단속수단(119)으로 단속하여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고, 돌출부(105)의 외면과 돌출부홈(114)의 내면에는 기밀재(120)를 개재하여 가스공급라인(112)의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출구커버(113)의 다른 예로서는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예시하고 있지 않지만 돌출부(105)의 저면에 돌출부(105)를 수용하지 않고 판상형태로 기밀재(120)를 개재하여 밀착된 상태에서 단속수단(119)으로 고정되는 형태로도 실시 가능할 것이다.
상기 요입부(104) 상에는 각각의 화구결합구(110)와 보강리브(121)로 연결하여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될 것이며, 가스공급라인(112) 위치의 화구베이스(103)의 상면 또는 저면에는 가스용기(122)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가스공급관(123)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화구(107)는, 휴대용휴대용버너(101)의 화구결합구(110) 내경부에 형성되는 결합나사(108)와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하단에 나사를 형성한 관체형상의 화구바디(125)를 구비하고, 상기 화구바디(125)의 상측에는 공급받은 가스를 점화를 통하여 화염을 발생시키기 위한 화구헤더(126)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화구헤더(126)는, 화구바디(125)의 상측 내경에 형성하는 암나사(127)와 결합할 수 있도록 외경에 수나사(128)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가스공급을 위한 가스공(129)을 형성한 결합구(130)를 하향 돌출시킨다.
상기 결합구(130)의 상측에는 화구바디(125)보다 직경이 확대되어 내부에 공급받은 가스가 집중될 수 있는 가스공간(131)을 가지는 보울 형태의 헤더바디(132)를 결합한다.
상기 헤더바디(132)는, 결합구(130)의 상측에 밀착되어 결합구(130)와 컬링으로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직경이 확대되는 수평부(133)와, 상기 수평부(133)의 외측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부(134) 및 수직부(134)의 상부에는 절곡에 의하여 개략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마감플랜지(135)로 구성한다.
상기 헤더바디(132)의 가스공간(131)에는 공급된 가스를 사방으로 확산 및 분산시킬 수 있도록 확산기(136)를 내장하고, 마감플랜지(135)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가스를 확산시키면서 화염을 중앙에 집중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화염망체(137)를 고정한다.
상기 확산기(136)는, 원판형상의 확산판(138)과 상기 확산판(138)의 가장자리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하향 절곡되어 수평부(133)에 안착되는 지지다리(139)로 구성하여 가스가 확산판(138)의 저면에 부딪쳐 가장자리로 이동한 후 상방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화염망체(137)는, 확산판(138)의 상방에 마감플랜지(135)에 평평한 상태로 개재하여 가스를 다시한 번 사방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확산망(140)과, 상기 확산망(140)의 상측에 개재되어 화염이 중앙에 집중되어 상방으로 향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화염공(141)을 형성한 평판형태의 집중판(142)으로 구성한다.
상기 확산망(140)의 조직(밀도)는 집중판(142)의 조직(밀도)보다 조밀한 조직을 가지도록하여 가스의 확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집중판(142)은 화염의 집중을 높이기 위하여 가급적이면 마감플랜지(135)에 의하여 단속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도록 하고, 집중판(142)에 형성되는 화염공(141)은 중앙에는 없고 중앙부 외측에서 가장자리까지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집중판(142)의 상측에는 마감플랜지(135)에 의하여 단속되는 집중판(142)의 상방으로 발생하는 화염이 바람과 같은 외압에 의하여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람막이(143)를 더 가지도록 한다.
상기 바람막이(143)는, 마감플랜지(135)에 의하여 단속되도록 원형링체 형태의 단속림(144)과, 상기 단속림(144)의 내측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집중판(142)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를 취하여 바람이 집중판(142)에 직접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림(145)으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스버너용 멀티화구(107)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멀티화구(107)를 휴대용휴대용버너(101)에 내장시킨 후 화구베이스(103)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장착홀(102)을 통하여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휴대용휴대용버너(101)의 상부에는 버너커버와 받침대를 장착하고, 휴대용휴대용버너(101)의 저면에는 받침다리를 장착함으로서 휴대용휴대용버너(101)로 완성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휴대용휴대용버너(101)를 사용할 위치에 안착시킨 후 가스공급관(123)과 가스용기(122)를 연결한 후 점화작동시키면 가스용기(122)의 가스는 가스공급관(123)을 통하여 가스공급라인(112)으로 공급되고, 가스공급라인(112)으로 공급된 가스는 가스공급라인(112)고 연결된 가스공급홀(111)을 통하여 공급된다.
상기 가스공급홀(111)은 화구베이스(103)의 상면에 구비되는 화구결합구(11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화구결합구(110)에 결합된 화구(107)의 상부로 배출되고, 통상적인 점화수단에 의하여 불꽃이 점화됨으로서 화구베이스(103)의 상면에 구비되는 여러개의 화구(107)에 화염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여러개 구비되는 화구(107)에서 동시에 화염이 발생하여 휴대용휴대용버너(101)의 상부에 조리를 위하여 안치된 용기의 저면의 중앙 또는 가장자리에만 집중되는 것이 아니고 화염이 용기 저면 전체를 고르게 가열하는 형태가 됨으로서 조리를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용휴대용버너(101)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가스용기(122)의 가스가 가스공급관(123)과 가스공급라인(112)을 통하여 화구(107)로 전달되는 과정에서는 화구베이스(103)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105)를 돌출구커버(113)가 감싸고 있고, 돌출부(105)의 외면과 돌출부커버(113)를 구성하는 돌출부홈(114)의 내면에는 기밀재(120)를 개재하여 혹여 가스공급라인(112)을 이탈한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혹여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화구(107)를 휴대용버너(101)의 화구결합구(110)와 결합한 후 통상적으로 휴대용버너(101)를 사용하듯이 가스용기를 연결한 후 점화를 수행하면 가스가 화구(107)로 공급되어 화염이 발생하게 되므로 휴대용버너(101)의 상부에 조리기구를 안치시킨 상태에서 필요한 조리를 수행하면 된다.
이러한 휴대용버너(101)의 작동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구체적인 작동관계의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화구(107)를 사용함으로서 화염이 중앙으로 집중되어 얻을 수 있는 효과와 장점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구(107)를 구성하는 화구헤더(126)가 화구바디(125)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컴팩트한 사이즈를 유지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소비자들의 요구에 대응하여 소형이면서 결량의 버너를 제공하여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화구헤더(126)를 구성하는 헤더바디(132)의 내부에 확산판(138)을 가지는 확산기(136)를 내장하여 공급되는 가스가 확산판(138)에 부딪쳐 1차로 가스공간(131)의 가장자리로 확산된다.
그런다음에는 확산기(136)의 상방에 개재되고 마감플랜지(135)로 고정되는 화염망체(137)의 확산망(140)에 의하여 재차 확산되어지고 마지막으로 집중판(142)에 형성된 화염공(141)을 통하여 가스가 상승하면 점화에 의하여 화염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때 화염은 집중판(142)을 벗어나지 않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가스의 공급이 소량일 경우에는 화염은 집중판(142)의 상방으로 높이올라가지 않으면서도 집중판(142)의 측방으로 확산되지 않고 집중판(142) 부위에 집중되어지고, 가스의 공급이 대량일 경우에는 화염은 커지게 되는 데, 이 때에도 화염은 집중판(142)의 측방으로 커지지 않고 상방으로 올라가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집중판(142)의 상측에는 바람막이(143)를 더 설치하고 있으므로 외부에서 바람이 불더라도 바람막이(143)에 의하여 어느정도 차단되어 꺼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특히 화염이 강하지 않고 약하게 한 상태에서 바람이 불 때 화염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지속적인 화염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스버너용 멀티화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스버너용 멀티화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이용자가 휴대용 휴대용버너(101)의 중앙에 배치된 화구(107)만 사용할 것인지 전체 화구(107)를 사용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도록하여 커피와 같은 소용량의 경우에는 중앙의 화구(107)만 사용하고 기타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에는 전체 화구(107)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구선택수단(150)을 더 가지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화구선택수단(150)은, 화구베이스(103)의 저면 돌출부(105)에 형성되는 가스공급라인(112)을 중앙에 위치하는 화구(107)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중앙공급라인(151)과,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화구(107)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장자리공급라인(152)으로 분리구성하여 돌출구커버(113)로 마감하는 데, 중앙 및 가장자리공급라인(141,142)으로 유입된 가스가 각각 다른 곳으로 유입 및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재(120)를 개재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돌출구커버(113)는 본 발명의 도면 1내지 도5에 도시된 형태로 구성하여도 되고, 돌출부(105)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커버홈에 원판형태로 밀착되게 고정수단(119)으로 고정되는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스공급라인(112)의 상부위치 화구베이스(103) 상면에는 화구베이스(103)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분리형성하여 고정하는 화구선택블록(153)을 구비하고, 상기 화구선택블록(153)에는 중앙공급라인(151)과 연통되는 중앙공급홀(154)과 가장자리공급라인(152)과 연통되는 가장자리공급홀(155)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한다.
상기 화구선택블록(153)의 일측에는 가스공급관(123)이 연결되고, 상기 가스공급관(123)으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중앙공급홀(154)로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홀(156)을 형성한다.
상기 공급홀(156)을 바로 중앙공급홀(154)과 연결하여도 되고, 중앙에 위치한 화구(107)를 통하여 예열되어 공급되는 가스를 팽창시켜 완전연소를 도울 수 있도록 화구(107) 근처를 경유하는 예열관(157)을 공급홀(156)과 중앙공급홀(154) 사이에 연결하여도 된다.
상기 중앙공급홀(154)과 가장자리공급홀(155)은 연통홀(158)로 연결하고, 연통홀(158)은 화구선택블록(153)의 외측과 연통되는 조절공(159)에 결합되는 조절실린더(160)에 의하여 연통홀(158)을 개폐하여 가스를 중앙공급홀(154)에만 공급하거나 또는 중앙공급홀(154)과 가장자리공급홀(155) 전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절실린더(160)의 헤드(161)는 연통홀(158)과 근접 및 이탈에 의하여 연통홀(158)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헤드(161)의 후미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기밀재(162)를 개제하고, 헤드스템(163)에는 화구선택블록(153)과 나사결합시켜 조절실린더(160)의 외측단에 결합된 조절레버(164)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전,후진하면서 개폐선택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의 사용관계를 살펴보면, 중앙에 위치한 화구(107)에만 불꽃을 발생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조절실린더(160)와 연결된 조절레버(164)를 움직여 조절실린더(160)의 헤드(161)를 연통홀(158) 방향으로 이동시켜 연통홀(158)을 차단하게 되므로 가스가 중앙공급홀(154)로만 공급되게 하므로 중앙에 위치한 화구(107)에만 불꽃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중앙의 화구(107)만 점화시킬 경우에는 소량의 물을 가열하여 커피 한 두잔 정도를 끓이는 용도에 적합하며, 전체 화구(107)에 불꽃을 발생시켜 많은 양의 물을 끓이거나 조리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절레버(164)를 움직여 조절실린더(160)를 연통홀(158)과 멀어지게 하므로 헤드(161)가 연통홀(158)을 개방하는 형태가 된다.
그러면, 가스공급관(123)을 통하여 가스가 공급홀(156)과 예열관(157)을 거쳐 중앙공급홀(154)로 공급되고, 중앙공급홀(154)과 연결된 연통홀(158)을 통하여 가장자리공급홀(155)로도 공급되므로 최종적으로 가스는 중앙공급라인(151)과 가장자리공급라인(152)을 통하여 각각의 화구(107)로 공급되어 불꽃의 점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화구를 여러 개 구비하여 점화시 불꽃(화염)의 영역을 확대하여 용기 저면 전체에 고르게 전달시켜 신속한 조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중앙에 위치한 화구에만 불꽃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전체 화구에 불꽃을 발생시키는 것은 물론, 각 화구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어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의 종류에 적극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면서 버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103; 화구베이스
104; 요입부 104; 돌출부
106; 커버안치홈 107; 화구
110; 화구결합구 111; 가스공급홀
112; 가스공급라인 113; 돌출구커버
114; 돌출부홈 115; 단속림
120; 기밀재 123; 가스공급관
125; 화구헤더 132; 헤더바디
135; 마감플랜지 136; 확산기
138; 확산판 139; 지지다리
140; 확산망 141; 화염공
142; 집중판 143; 바람막이
150; 화구선택수단 151; 중앙공급라인
152; 가장자리공급라인 153; 화구선택블록
154; 중앙공급홀 155; 가장자리공급홀
156; 공급홀 157; 예열관
158; 연통홀 159; 조절공
160; 조절실린더

Claims (7)

  1. 휴대용휴대용버너(101)에 장착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다수개 형성하는 장착홀(102)과, 상면 중앙부에 아래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하는 요입부(104)와, 요입부(104) 위치의 저면에 아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돌출부(105)와, 돌출부(105)의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요입되게 커버안치홈(106)을 형성한 화구베이스(103)와;
    상기 화구베이스(103)의 상면 중앙과 가장자리에 화구(107)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내경부에 결합나사(108)를 형성하여 상방으로 돌출시키는 다수개의 화구결합구(110)와;
    상기 화구결합구(110)의 바닥면 중앙에 돌출부(105)와 관통되게 형성하여 점화에 필요한 가스를 공급받는 가스공급홀(111)과;
    상기 돌출부(105)에 각각의 가스공급홀(111)과 연통되어 각각의 화구결합구(110)로 가스를 공급하도록 요입되게 형성하는 가스공급라인(112)과;
    상기 돌출부(105)의 저면에 밀착시켜 공급된 가스가 가스공급라인(112)을 벗어나지 않게하는 돌출부커버(113)와;
    상기 가스공급라인(112) 위치의 화구베이스(103) 상면 또는 저면에 연결하여 가스용기(122)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는 가스공급관(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커버(113)는, 돌출부(10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요입되게 형성하거나 또는 돌출부(105)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판상형태로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105)와 돌출부커버(113) 사이에는 가스공급라인(112)으로 공급된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기밀재(120)를 개재하여 단속수단(119)으로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구(107)는, 화구결합구(110)와 나사결합되는 화구바디(125)의 상측에 공급받은 가스를 점화를 통하여 화염을 발생시키도록 화구헤더(126)를 결합하고;
    상기 화구헤더(126)는, 화구바디(125)의 상측 내경에 형성하는 암나사(127)와 결합할 수 있도록 외경에 수나사(128)를 형성하고, 중앙에 가스공급을 위한 가스공(129)을 형성하여 하향돌출시키는 결합구(130)와;
    상기 결합구(130)의 상측에 화구바디(125)보다 직경이 확대되어 공급받은 가스가 집중될 수 있는 가스공간(131)을 가지는 보울 형태의 헤더바디(132)로 구성하고;
    상기 헤더바디(132)는, 결합구(130)의 상측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직경이 확대되는 수평부(133)와;
    상기 수평부(133)의 외측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부(134)와;
    상기 수직부(134)의 상부에 절곡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마감플랜지(135)와;
    상기 가스공간(131)에 내장하여 공급된 가스를 사방으로 확산 및 분산시키는 확산기(136)와;
    상기 마감플랜지(135)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가스를 확산시키면서 화염을 중앙에 집중적으로 발생시키는 화염망체(1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구(107) 중 중앙에 배치된 화구(107)만 사용할 것인지 전체 화구(107)를 사용할 것인지 선택하여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화구선택수단(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기(136)는, 원판형상의 확산판(138)과;
    상기 확산판(138)의 가장자리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하향 절곡되어 수평부(133)에 안착되는 지지다리(1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망체(137)는, 확산판(138)의 상방에 마감플랜지(135)에 평평한 상태로 개재하여 가스를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확산망(140)과;
    상기 확산망(140)의 상측에 개재되어 화염이 중앙에 집중되어 상방으로 향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화염공(141)을 가지는 집중판(142)과;
    상기 집중판(142)의 상부에 위치하여 바람이 집중판(142)으로 전도되어 화염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람막이(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구선택수단(150)은, 돌출구커버(113)로 마감되는 가스공급라인(112)을 분리구성하는 중앙공급라인(151) 및 가장자리공급라인(152)과;
    상기 화구베이스(103) 상면에 구비하는 화구선택블록(153)과;
    상기 화구선택블록(153)에 중앙공급라인(151)과 연통되게 형성하는 중앙공급홀(154) 및 가장자리공급라인(152)과 연통되게 형성하는 가장자리공급홀(155)과;
    상기 화구성택블록(143)의 일측에 연결되는 가스공급관(123)으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중앙공급홀(154)로 공급하도록 형성하는 공급홀(156)과;
    상기 공급홀(156)과 중앙공급홀(154) 사이를 연결하면서 예열되어 가스를 팽창시켜 완전연소를 도울 수 있도록 화구(107) 근처를 경유하는 예열관(157)과;
    상기 중앙공급홀(154)과 가장자리공급홀(155)을 연결하는 연통홀(158)과;
    상기 화구선택블록(153)의 외측과 연통되는 조절공(159)에 결합되어 연통홀(158)을 개폐하여 가스를 중앙공급홀(154)에만 공급하거나 또는 중앙공급홀(154)과 가장자리공급홀(155) 전체에 공급하는 것을 선택하는 조절실린더(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KR1020180075891A 2018-06-29 2018-06-29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KR102073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891A KR102073380B1 (ko) 2018-06-29 2018-06-29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891A KR102073380B1 (ko) 2018-06-29 2018-06-29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23A true KR20200002423A (ko) 2020-01-08
KR102073380B1 KR102073380B1 (ko) 2020-03-02

Family

ID=6915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891A KR102073380B1 (ko) 2018-06-29 2018-06-29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3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848U (ko) 2022-03-14 2023-09-21 (주)엠아이티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
KR102480857B1 (ko) 2022-07-25 2022-12-22 김주학 멀티화구를 갖는 일체형 화구베이스
KR102652221B1 (ko) 2023-09-18 2024-03-27 김주학 화력 증대 및 사용수명 연장 기능을 갖는 멀티 화구형 휴대용 가스버너
KR102634388B1 (ko) 2023-09-18 2024-02-06 김주학 교차 와류를 이용한 고화력 휴대용 가스버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4158U (ko) 1983-01-15 1984-08-25 김두정 사진 현상기용 인화지 이송장치
KR970046955A (ko) * 1995-12-30 1997-07-26 배순훈 고열량 4구버너
KR200332814Y1 (ko) * 2003-08-28 2003-11-10 정평기 가스레인지의 버너헤드 구조
KR200408646Y1 (ko) 2005-11-25 2006-02-10 이승구 주방기구용 버너 점화구
KR100938392B1 (ko) * 2009-08-27 2010-01-22 (주)금성주방 가스버너
KR101019559B1 (ko) * 2007-10-17 2011-03-08 공재철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KR200466166Y1 (ko) * 2010-04-23 2013-04-05 하복진 고화력 가스버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4158U (ko) 1983-01-15 1984-08-25 김두정 사진 현상기용 인화지 이송장치
KR970046955A (ko) * 1995-12-30 1997-07-26 배순훈 고열량 4구버너
KR200332814Y1 (ko) * 2003-08-28 2003-11-10 정평기 가스레인지의 버너헤드 구조
KR200408646Y1 (ko) 2005-11-25 2006-02-10 이승구 주방기구용 버너 점화구
KR101019559B1 (ko) * 2007-10-17 2011-03-08 공재철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KR100938392B1 (ko) * 2009-08-27 2010-01-22 (주)금성주방 가스버너
KR200466166Y1 (ko) * 2010-04-23 2013-04-05 하복진 고화력 가스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380B1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380B1 (ko)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US6263868B1 (en) Gas stove burner
EP1120603B1 (fr) Brûleur à gaz à multiples couronnes de flammes
KR20170139237A (ko) 캠핑용 그릴장치
CN105612387B (zh) 气体燃烧器和燃烧器盖
US8590526B2 (en) Gas stove having improved burners incorporated with removable flame heat transfer regulating apparatus concealed by top plates of the stove
CN110388666A (zh) 锅具支撑件、气体炉和用于生产锅具支撑件的方法
CN207268454U (zh) 火力可调的燃烧器
CN114026366A (zh) 锅承载件、燃气灶和用于制造锅承载件的方法
KR101036337B1 (ko) 업소용 가스버너 시스템
KR101682331B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
US20070281256A1 (en) Gas burner
KR200332814Y1 (ko) 가스레인지의 버너헤드 구조
KR200480491Y1 (ko) 휴대 가스버너용 듀얼 가스 어댑터
CN110805903B (zh) 内环火盖组件及灶具
EP2216595A2 (fr) Brûleur à gaz
EP3473928A1 (en) Radial flame plate and gas burner using same
KR200329078Y1 (ko) 부탄가스 및 도시가스의 호환이 가능한 가스레인지
KR200387555Y1 (ko) 가스버너
CN210241654U (zh) 一种上进风燃气灶具
JP4338195B2 (ja) コンロ
KR200320698Y1 (ko) 조리용 가스버너
KR200392768Y1 (ko) 업소용 가스버너
CN214249587U (zh) 一种用于燃气灶的火盖
KR200186569Y1 (ko) 가스레인지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