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166Y1 - 고화력 가스버너 - Google Patents

고화력 가스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166Y1
KR200466166Y1 KR2020100004316U KR20100004316U KR200466166Y1 KR 200466166 Y1 KR200466166 Y1 KR 200466166Y1 KR 2020100004316 U KR2020100004316 U KR 2020100004316U KR 20100004316 U KR20100004316 U KR 20100004316U KR 200466166 Y1 KR200466166 Y1 KR 200466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gas burner
thermal power
present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261U (ko
Inventor
하복진
Original Assignee
하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복진 filed Critical 하복진
Priority to KR2020100004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166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2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2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1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45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a plurality of burner bars assembled together, e.g. in a grid-like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23D14/065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with injector axis inclined to the burner hea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화력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노즐을 회동시켜 화염 면적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중앙 노즐을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요리에 적합한 화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고화력 가스버너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가스관(3)이 배관된 케이스(2) 상측에 적층한 상태로 조립한 노즐결합판(5)에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노즐(10)을 360° 회전 가능설치하며, 상기 노즐(10)은 하측으로 노즐결합판(5)에 형성된 나사구멍(7)에 조립되는 나사관(11)을 형성하고, 나사관(11)의 상측으로는 45° 상향 절곡된 엘보 타입의 분사공(13)을 형성한 노즐헤드(12)를 형성한 고화력 가스버너(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노즐(10)의 분사공(10a)에는 직경이 작은 분사공(31a)이 여러개 형성된 노즐팁(31)을 나사 조립하고, 노즐(10)의 외부에는 커버(32)를 탈착식으로 결합하여 조리용기에서 끓어 넘치는 국물이 노즐팁(31)에 직접 닿지 않게 구성하며,
상기 노즐결합관(5)에는 노즐(10)들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중앙노즐(34)을 더 설치하고, 스톱밸브(36)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하였다.

Description

고화력 가스버너{High thermal power gas burner}
본 고안은 고화력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노즐을 회동시켜 화염 면적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중앙 노즐을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요리에 적합한 화력을 제공할 수 있는 고화력 가스버너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스를 원료로 사용하는 버너는 화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공기를 가스와 함께 점화부로 토출토록 하여 고화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고화력 가스버너는 주로 음식점 또는 대단위 급식시설에서는, 식재료를 빠른 시간 내에 가열함으로써 조리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식재료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비타민과 같은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함으로써 음식의 맛을 극대화하기 위해 강한 화력을 갖는 가스버너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화력 가스버너는 가스가 분사되는 노즐이 대부분 고정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노즐을 고정한 고화력 가스버너의 경우 주입되는 가스의 양으로 화염 조절을 하게 되는 구성으로 화염 방사 범위를 사용자가 임의로 바꿀 수 없으므로 조리에 부합하도록 적당하게 화염을 조절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또한 조리 과정에서 조리물 또는 솥에서 끓어 넘치는 국물 등에 의해 버너가 갑자기 소화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 고화력 가스버너의 문제점을 개선코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노즐을 회동시켜 화염 면적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중앙 노즐을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요리에 적합한 화력을 제공할 수 있는 고화력 가스버너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가스가 분사되는 노즐을 버너본체에서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다수개 설치하였으며, 노즐에 필터를 설치하여 가스가 불완전연소 되는 것을 예방하며, 노즐에 커버를 결합하여 조리물 또는 솥에서 끓어 넘치는 국물로부터 노즐을 안전하게 하여 버너가 갑자기 소화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토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노즐들 중앙으로 별도 제어되는 중앙 노즐을 설치하여 특히 중화요리 등을 할 때 화력을 더욱 강력하게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화력 가스버너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노즐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조리용기 혹은 조리 대상에 따라 화염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노즐에 필터가 결합되어 있어 가스가 과도하게 공급되는 등의 염려를 일소할 수 있고, 가스와 공기의 혼합을 촉진시켜 가스가 불완전연소 되는 문제점을 일소하여 화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노즐에 커버를 결합할 경우 조리용기 등에서 끓어 넘치는 등의 국물이 노즐의 필터에 직접 닿지 않고 안전하게 화염을 제공할 수 있다.
방사상으로 배열된 노즐들 사이의 중앙에 별도 제어되는 중앙노즐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특히 중화요리와 같이 고화력으로 조리하는데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화력 가스버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는 노즐의 다른 예의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7에 적용된 노즐의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화력 가스버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화력 가스버너(1)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및 공기가 공급되는 가스관(3)이 배관된 케이스(2) 상측으로 패킹(4)에 의해 수밀되도록 노즐결합판(5)을 적층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6)를 이용하여 조립한다.
상기 케이스(2)에 배관된 가스관(3)으로 공급되는 가스는 공기와 혼합 상태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케이스(2)의 상측에 조립 구성되는 노즐결합판(5)에는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노즐(10)이 설치된다.
상기 노즐(10)은 노즐결합판(5)에 나사 조립되는 구성으로 360°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을 발휘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노즐(10)은 하측으로 노즐결합판(5)에 형성된 나사구멍(7)에 조립되는 나사관(11)을 형성하고, 나사관(11)의 상측으로는 45° 상향 절곡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분사공(13)을 형성한 노즐헤드(12)를 형성한다.
상기 노즐(10)은 고정수단(14)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고정수단(14)으로 본 고안에서는 노즐결합판(5)의 나사구멍(7) 주변에 방사상으로 수개의 스토퍼홈(14a)을 형성하고, 노즐(10)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14b)상의 핀구멍(14c)을 통해서 조립되는 고정핀(14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홈(14a)은 도시된 바에 의하면 30° 등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수가 증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고정수단(14)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고정수단(14) 없이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 노즐(10)의 분사공(10a)에 노즐팁(31)을 결합하고, 노즐(10)의 외부에는 커버(32)를 탈착식으로 결합하며, 또한 상기 노즐(10)들의 중앙에는 노즐결합판(5)에 나사공(33)을 형성하여 중앙노즐(34) 또는 캡(35)을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한다.
상기 노즐팁(31)은 직경이 작은 분사공(31a)이 여러개 형성되며, 분사공(10a)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노즐(10)로 공급되는 과도한 가스를 적정하게 제어 분사하여 점화시 불완전연소를 일부 개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노즐(10)의 선단에 커버(32)를 결합 구성할 경우 조리용기 등에서 끓어 넘치는 등의 국물이 노즐(10)에 결합되어 있는 노즐팁(31)에 직접 닿지 않고 안전하게 화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즐결합판(5)의 중앙에 나사공(33)을 형성하고 중앙노즐(34) 또는 캡(35)을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고화력을 제공받고자 할 시에는 중앙노즐(34)을 결합하고, 저 화력을 제공받고자 할 시에는 중앙노즐(34)을 분리하고 캡(35)을 조립하면 된다.
상기 중앙노즐(34)은 나사공(33)에 조립되는 노즐본체(34a)와 상향 개구된 분사공(34c)이 형성된 노즐팁(34b)로 구성이며, 스톱밸브(36)에 의해 가스가 제어되는 구성이며, 상기 스톱밸브(36)는 케이스(2) 외부에서 쉽게 조작할 수 있게 설치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실시예에서 스톱밸브(36) 없이 구성할 수 있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는 노즐(10)의 다른 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노즐결합판(5)에 형성된 나사구멍(7)에 노즐헤드(12)를 조립함에 있어서, 별도의 니플(37)을 이용하여 조립되도록 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케이스(2) 내부에 가스관(3)과 연결되는 분배기(20)를 설치하고, 가스관(3) 외부에 공기공급관(21)을 2중으로 배관한다.
상기 분배기(20)에는 노즐(10)로 가스를 공급하도록 분기관(20a)을 설치하고, 분기관(20a) 외부에는 하단에 유입공(22a)이 형성된 공기공급분기관(22)을 이중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분기관(22)의 상단은 노즐결합판(5)의 외부로 노출시키고, 노출된 부위에는 나사구멍(23)을 형성하여 노즐(10)의 나사관(11)을 체결한다.
본 고안에서는 공기공급분기관(22)의 상단은 암나사인 나사구멍(23)을 형성하고, 노즐(10)에 수나사인 나사관(11)을 형성하였으나, 도 5와 같이 서로 반대되게 공기공급분기관(22)의 상단은 수나사인 나사관(24)을 형성하고, 노즐(10)에 암나사인 나사구멍(16)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적용된 노즐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도 8에 도시된 노즐(10)은 45° 상향 절곡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분사공(13)을 형성한 노즐헤드(12)를 형성되게 함에 있어서, 상기 노즐헤드(12)는 여러 장의 평판(12a) 사이에 상부와 후방을 밀폐하는 ㄱ형 스페이스(12b)와, 전방의 하단만 막는 일자형 스페이스(12c)를 삽입하고 볼트와 너트(12d)로 고정한 구성이다.
도 7에서는 상기 분배기(20)에 공기공급분기관(22)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부(25)를 조립하고, 그 내측으로 노즐(10)로 가스를 공급하는 분기관(20a)의 나사부(26)를 공기공급분기관(22)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게 한 구성으로 공기공급분기관(22)에 분기관(20a)을 먼저 결합한 상태에서 공기공급분기관(22)을 분배기(20)에 조립하면 되는 구성으로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게 하였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a는 스토핑나사공이고, 11b는 스토핑나사공에 조립되는 스토핑볼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수단(10)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고화력 가스버너(1)는 고화력을 필요로 하는 급식시설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조리물 또는 조리용기에 적합하도록 노즐(10)을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조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좁은 조리용기에 화염을 집중코자 할 시에는 도 3과 같이 노즐(10)의 분사공(13)이 내측으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넓은 조리용기를 사용할 때는 노즐(10)의 분사공(13)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고화력 가스버너(1)는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넓은 바닥을 갖는 솥 종류를 이용하는 조리시에는 노즐(10)에서 커버(32)를 분리한 상태로 조리토록 하며, 중화요리와 같이 고화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조리물이 떨어지거나 끓어 넘치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도록 노즐(10)에 커버(32)를 결합하며, 중앙노즐(34)을 더 점화하여 강력한 화력을 제공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노즐(10)의 분사공(13)을 나선형으로 배치할 경우 화염이 소용돌이 되면서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므로 더욱 강력한 화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고화력 가스버너 2:케이스
3:가스관 4:패킹
5:노즐결합판 6:볼트와 너트
7:나사구멍 10:노즐
10a:분사공
11:나사관 12:노즐헤드
12a:평판 12b:ㄱ형 스페이스
12c:일자형 스페이스 13:분사공
14:고정수단 14a:스토퍼홈
14b:고정판 14c:핀구멍
14d:고정핀 16:나사구멍
20:분배기 20a:분기관
21:공기공급관 22:공기공급분기관
22a:유입공 23:나사구멍
24:나사관 25,26:나사부
31:노즐팁 31a:분사공
32:커버 33:나사공
34:중앙노즐 34a:노즐본체
34b:노즐팁 34c:분사공
35:캡 36:스톱밸브

Claims (3)

  1. 가스관(3)이 배관된 케이스(2) 상측에 적층한 상태로 조립한 노즐결합판(5)의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노즐(10)을 360°회전가능 설치하며, 상기 노즐(10)은 하측으로 노즐결합판(5)에 형성된 나사구멍(7)에 조립되는 나사관(11)을 형성하고, 나사관(11)의 상측으로는 45°상향 절곡된 엘보 타입의 분사공(13)을 형성한 노즐헤드(12)를 형성한 고화력 가스버너(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노즐(10)의 분사공(10a)에는 직경이 작은 분사공(31a)이 여러개 형성된 노즐팁(31)을 나사 조립하고, 노즐(10)의 외부에는 커버(32)를 탈착식으로 결합하여 조리용기에서 끓어 넘치는 국물이 노즐팁(31)에 직접 닿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력 가스버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결합판(5)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중앙노즐(34)을 더 설치하여 스톱밸브(36)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이며,
    상기 스톱밸브(36)는 케이스(2) 외부에서 쉽게 조작할 수 있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력 가스버너.
  3. 삭제
KR2020100004316U 2010-04-23 2010-04-23 고화력 가스버너 KR200466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316U KR200466166Y1 (ko) 2010-04-23 2010-04-23 고화력 가스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316U KR200466166Y1 (ko) 2010-04-23 2010-04-23 고화력 가스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61U KR20110010261U (ko) 2011-10-31
KR200466166Y1 true KR200466166Y1 (ko) 2013-04-05

Family

ID=51386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316U KR200466166Y1 (ko) 2010-04-23 2010-04-23 고화력 가스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1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423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제라산업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6108A (zh) * 2020-03-17 2020-06-09 山东钧辰清洁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燃气锅炉用富氧燃烧装置及其加装方法和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3504U (ko) 1981-04-09 1982-10-15
KR100938392B1 (ko) * 2009-08-27 2010-01-22 (주)금성주방 가스버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3504U (ko) 1981-04-09 1982-10-15
KR100938392B1 (ko) * 2009-08-27 2010-01-22 (주)금성주방 가스버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423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제라산업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KR102073380B1 (ko) * 2018-06-29 2020-03-02 김주학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61U (ko) 201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1958B2 (en) Diffusion cap burner for gas cooking appliance
NZ588231A (en) Accomodation of expansion in burner assembly of gas cooker
US8590526B2 (en) Gas stove having improved burners incorporated with removable flame heat transfer regulating apparatus concealed by top plates of the stove
KR200462172Y1 (ko) 고화력 가스버너
KR200466166Y1 (ko) 고화력 가스버너
KR200448527Y1 (ko) 대용량 취사용 조리기구
CN106122958A (zh) 燃烧器组件及燃气灶
KR101455192B1 (ko) 휴대용 가스 버너
CN205481193U (zh) 中餐燃气炒菜灶
KR101204024B1 (ko) 스팀압력 조리기구
CN110566945A (zh) 一种燃烧器及燃气灶
KR101230041B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헤드 구조
CN107048987A (zh) 一种蒸汽锅
KR101423098B1 (ko) 연소조절이 가능한 휴대형 석유버너
CN109973995A (zh) 预混燃烧器和预混燃气灶
KR100675917B1 (ko) 스팀을 이용한 조리기구
CN201589337U (zh) 室内直燃式多功能燃气取暖器
WO2016082422A1 (zh) 拼接式燃气灶头
KR200480491Y1 (ko) 휴대 가스버너용 듀얼 가스 어댑터
CN208886774U (zh) 完全上进风平行引射保洁燃烧器结构
KR100871937B1 (ko) 조리용 버너
JP3581981B2 (ja) カセットコンロ装置
KR200387555Y1 (ko) 가스버너
CN209558420U (zh) 一种点火针热电偶内藏式燃烧器
CN109282331A (zh) 一种移动式余热回收节能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